맨위로가기

베닌 제국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베닌 제국은 현재 나이지리아에 위치했던 왕국으로, 기원전 1세기경 농업 사회에서 시작하여 서기 1000년경 베냉 시티를 중심으로 발전했다. 12세기 에도인에 의해 건국되었으며, 오기소 통치 시기를 거쳐 15세기 에와레 대왕 시대에 전성기를 맞이했다. 15세기 후반 포르투갈인과의 교역을 시작으로 유럽과 활발한 무역을 했으며, 청동기 등 독자적인 예술 문화를 발전시켰다. 1897년 영국에 의해 점령당하고, 문화재 약탈을 겪었으며, 현재 베냉 청동기 반환 운동이 진행 중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나이지리아의 역사 - 카넴-보르누 제국
    카넴-보르누 제국은 7세기경 차드호 주변에 건국되어 1900년대 초까지 존속한 서아프리카의 제국으로, 투부족과 사오 문명의 통합으로 형성된 카넴 제국이 무슬림 카누리족의 지배 아래 사하라 횡단 무역으로 번성했으나, 내분과 외부 침략으로 쇠퇴하여 식민 지배를 받았다.
  • 나이지리아의 역사 - 오요 제국
    오요 제국은 14세기 초 오라니얀에 의해 건국되어 사하라 사막 횡단 무역과 노예 무역으로 번성한 서아프리카의 강력한 제국이었으나, 19세기 내외적 압력으로 쇠퇴하여 1905년 영국에 병합되었다.
  • 프랑스령 서아프리카 - 프랑스령 토골란드
    프랑스령 토골란드는 제1차 세계 대전 후 독일령 토골란드가 프랑스에 점령되어 국제연맹 위임통치령과 유엔 신탁통치령을 거쳐 1960년 토고 공화국으로 독립하기까지 프랑스의 통치를 받은 지역이다.
  • 프랑스령 서아프리카 - 프랑스 공동체
    프랑스 공동체는 알제리 전쟁 이후 프랑스 제5공화국 헌법에 따라 1958년 설립되어 프랑스 본토와 해외 영토 간의 새로운 관계를 모색했으나, 1960년 대부분의 회원국이 독립하면서 사실상 소멸되었다.
  • 아프리카의 옛 제국 - 송가이 제국
    송가이 제국은 서아프리카 니제르 강 유역에서 번성했던 제국으로, 손니 왕조를 거쳐 아스키아 왕조 시대에 전성기를 맞이했으나 모로코와의 전투에서 패배하여 멸망 후에도 여러 소왕국으로 이어졌다.
  • 아프리카의 옛 제국 - 아샨티 제국
    아샨티 제국은 17세기 오세이 투투 1세의 지휘 아래 가나 남부 내륙에서 건국되었으며, 군사적 연합에서 시작하여 '황금 의자'를 중심으로 종교적 연합의 성격을 띠었고, 영국과의 전쟁 끝에 1901년 병합되었으며, 가나 독립 후 입헌 군주제 왕국으로 인정받아 현재 아샨티 국왕이 존재한다.
베닌 제국
지도 정보
기본 정보
정식 명칭베닌 왕국
원어 명칭Otedo
일반 명칭베닌 왕국
정부 형태군주제
건국 시작1180년
멸망 사건영국에 합병
이전 국가이고도미고도
계승 국가베닌
수도이도 (현재의 베닌시티)
공용어에도어
종교에도 종교, 가톨릭교
정치
군주오바
초대 군주에웨카 1세
초대 군주 재위 기간1180년–1246년
현재 군주에우와레 2세
현재 군주 재위 기간2016년
역사
건국1170년
멸망1897년
변천 1성립
변천 날짜 11170년
변천 2멸망
변천 날짜 21897년
통치자
초기 군주오란미얀
초기 군주 재위 기간1170년-1200년
마지막 군주오본람웬
마지막 군주 재위 기간1888년-1897년
인구
1625년90,000명
기타
현재 국가나이지리아
이미지
표범
표범, 베닌의 왕과 황제의 토템
비단뱀
비단뱀, 베닌 왕과 황제의 토템

2. 역사적 배경

Benin영어 제국은 12세기경, 이 지역 주민 Edo people영어에 의해 건국되었다. 서쪽의 요루바인이 건국한 국가는 아니지만, 오두두와 왕에 의해 건국되었다는 건국 신화를 가지고 있으며, 이페의 성왕(오니)에게 베닌 왕이 인증을 받으러 가는 등, 요루바 여러 국가와 강한 유대 관계를 맺고 있었다.

15세기 에우알레 왕의 통치하에 베닌은 황금기를 맞이했다. 1481년 공위 시대를 맞이한 베닌 왕에게 민회가 오조루아 왕을 선출했고, 1485년 포르투갈인 탐험가가 베닌에 도착하여 서구와의 교역이 시작되었다. 해안선에 가까워 서구와의 교역에 유리했던 베닌은 무역 중심지로 발전해 나갔다. 유럽에는 후추, 노예, 상아를 팔고, 대신 화기를 수입하여 노예 사냥을 하면서 세력을 확장해 나갔으며, 당시 유럽인들에 의해 기니 만 연안의 대도시로 소개되기도 했다. 16세기에는 왕이 리스본에 사절을 보냈고, 포르투갈 왕은 답례로 선교사를 베닌에 보냈다.

18세기에 들어서면서 서쪽 요루바인의 오요 왕국이 세력을 키우고, 노예 무역의 중심도 서쪽의 다호메이 왕국이나 아샨티 왕국 쪽으로 옮겨가면서 베닌은 쇠퇴했지만, 19세기에는 팜유 수출로 인해 전성기만큼은 아니지만 약간 세력을 회복했다.

2. 1. 성립

기원전 1세기경 베냉 지역은 부분적으로 농업 사회였으며, 서기 500년경에는 주로 농업에 의존하게 되었지만, 사냥과 채집은 여전히 중요한 활동이었다. 또한 서기 500년경에는 베냉 지역 주민들이 철을 사용하기 시작했다.[6]

서기 1000년경에 건국된 베냉 왕국의 원래 이름은 주민들이 부르던 이름인 이고도미고도(Igodomigodo)였다. 그들의 통치자는 하늘의 통치자라는 뜻의 오기소(Ogiso)라고 불렸다.[8] 오기소는 서기 16년경부터 아다와 에벤(Ada and Eben) 홀을 권력의 상징으로 사용하기 시작했다.[9][10][11]

베냉 시티(이전에는 에도(Edo))는 서기 1000년경에 생겨났으며, 방어하기 쉬운 숲 속에 위치해 있었다. 울창한 초목과 좁은 길은 외부의 공격으로부터 도시를 쉽게 방어할 수 있게 해주었다. 베냉 시티가 위치한 열대 우림은 강과 개울에서 나는 물고기, 사냥감이 되는 동물, 지붕을 이는 잎, 약초, 조각과 무역에 사용되는 상아, 배를 만드는 데 쓰이는 나무 등 풍부한 자원을 제공하여 도시의 발전에 기여했다.[7]

1440년, 에와레 대왕(Oba Ewuare)[13]이 권력을 잡고 이전 도시 국가의 경계를 확장했다. 왕국의 행정 중심지는 이때부터 포르투갈어 단어에서 유래하여 이체키리, 우르호보, 그리고 에도 사람들이 모두 함께 살았던 왕국의 왕실 행정 중심지에서 비니(Bini)로 변형되어 우비누(Ubinu)로 불리기 시작했다. 1485년 João Afonso de Aveiropt가 이끄는 원정대가 도착한 포르투갈인들은 이곳을 베닌(Benin)이라고 불렀고, 중심지는 베닌 시티(Benin City)로 알려지게 되었다.[14] 오바(Oba)는 이 지역에서 권력의 중심이 되었다. 15세기에 에와레 오바는 해자와 성벽으로 보호되는 오기소(Ogisos)가 건설한 군사 요새에서 베닌 시티를 도시 국가로 바꾼 것으로 여겨진다. 그는 이 요새에서 군사 원정을 시작하고 에도어를 사용하는 중심지에서 왕국의 확장을 시작했다.

16세기 초, 에시기 오바(Oba Esigie)는 이갈라(Igala) 왕국의 침략과 정복 시도를 물리친 후 왕국을 동쪽으로 확장했다. 베닌은 정치적 힘을 얻었고 현재 나이지리아 중서부 대부분 지역에 대한 지배력을 확보했다. 특히 이 지역 내부와의 광범위한 무역을 통해 부가 증가했지만, 15세기 후반부터 시작된 후추, 노예, 직물, 상아와 관련된 유럽인과의 무역은 베닌의 부와 경제에 추가적인 작은 보충 역할을 했다.

베닌은 서부 이보 부족, 이자우, 이체키리, 이소코, 우르호보 등을 포함한 니제르 삼각주의 여러 부족을 지배했다. 또한 온도(Ondo), 에키티(Ekiti), 마힌/우그보(Mahin/Ugbo), 하우사(Hausa), 풀라니(Fulani), 이제부(Ijebu)의 동부 요루바 부족들에 대한 지배력을 행사했다.[16] 16세기 전성기 베닌은 서부 니제르 삼각주에서 라고스를 거쳐 서쪽의 아크라에 이르는 전체 해안선을 따라 무역을 지배했다.[17]

이 국가는 특히 청동, 철, 상아로 만든 유명한 유물에서 볼 수 있듯이 발전된 예술 문화를 발전시켰다. 여기에는 베닌의 오바와 이요바(Iyoba)를 묘사한 청동 벽판과 실물 크기의 청동 머리가 포함된다. 정교한 상자, 빗, 팔찌를 조각한 것에서 볼 수 있듯이 상아도 사용되었다. 가장 잘 알려진 유물은 아이디아 여왕(Queen Idia)을 기반으로 한 것으로, 현재 베닌 상아 가면으로 알려져 있다.[18]

2. 2. 전성기 (15세기 ~ 17세기)

1440년, 에와레 대왕(Oba Ewuare)[13]이 권력을 잡고 이전 도시 국가의 경계를 확장했다. 왕국의 행정 중심지는 이때부터 포르투갈어 단어에서 유래하여 이체키리, 우르호보, 그리고 에도 사람들이 모두 함께 살았던 왕국의 왕실 행정 중심지에서 비니(Bini)로 변형되어 우비누(Ubinu)로 불리기 시작했다. 1485년 João Afonso de Aveiropt가 이끄는 원정대가 도착한 포르투갈인들은 이곳을 베닌(Benin)이라고 불렀고, 중심지는 베닌 시티(Benin City)로 알려지게 되었다.[14] 오바(Oba)는 이 지역에서 권력의 중심이 되었다. 15세기에 에와레 오바는 해자와 성벽으로 보호되는 오기소(Ogisos)가 건설한 군사 요새에서 베닌 시티를 도시 국가로 바꾼 것으로 여겨진다. 그는 이 요새에서 군사 원정을 시작하고 에도어를 사용하는 중심지에서 왕국의 확장을 시작했다.

16세기 초 청동 여왕 어머니상


16세기 초, 에시기 오바(Oba Esigie)는 이갈라(Igala) 왕국의 침략과 정복 시도를 물리친 후 왕국을 동쪽으로 확장했다. 베닌은 정치적 힘을 얻었고 현재 나이지리아 중서부 대부분 지역에 대한 지배력을 확보했다. 특히 이 지역 내부와의 광범위한 무역을 통해 부가 증가했지만, 15세기 후반부터 시작된 후추, 노예, 직물, 상아와 관련된 유럽인과의 무역은 베닌의 부와 경제에 추가적인 작은 보충 역할을 했다.

베닌은 서부 이보 부족, 이자우, 이체키리, 이소코, 우르호보 등을 포함한 니제르 삼각주의 여러 부족을 지배했다. 또한 온도(Ondo), 에키티(Ekiti), 마힌/우그보(Mahin/Ugbo), 하우사(Hausa), 풀라니(Fulani), 이제부(Ijebu)의 동부 요루바 부족들에 대한 지배력을 행사했다.[16] 16세기 전성기 베닌은 서부 니제르 삼각주에서 라고스를 거쳐 서쪽의 아크라에 이르는 전체 해안선을 따라 무역을 지배했다.[17]

이 국가는 특히 청동, 철, 상아로 만든 유명한 유물에서 볼 수 있듯이 발전된 예술 문화를 발전시켰다. 여기에는 베닌의 오바와 이요바(Iyoba)를 묘사한 청동 벽판과 실물 크기의 청동 머리가 포함된다. 이 벽판에는 다른 인물과 동물 형상뿐만 아니라 의식용 벨트와 같은 물건도 포함되어 있다. 정교한 상자, 빗, 팔찌를 조각한 것에서 볼 수 있듯이 상아도 사용되었다. 가장 잘 알려진 유물은 아이디아 여왕(Queen Idia)을 기반으로 한 것으로, 현재 베닌 상아 가면으로 알려져 있다. 상아 가면은 왕의 허리에 차는 용도였다.[18]

2. 3. 쇠퇴와 멸망 (18세기 ~ 19세기)

16세기 후반, 마지막 전사 왕이었던 에헹부다 오바의 통치 이후, 베닌 제국은 점차 서부 지역에 대한 지배력을 상실하며 쇠퇴하기 시작했다.[18][19] 그의 통치 말기에는 고위 관리들의 권력이 강해졌고, 이후 수십 년 동안 여러 왕족 계파 간의 권력 다툼으로 인해 많은 오바들이 짧고 격동적인 통치를 했다. 1641년 오완 오바의 죽음은 에웨카 1세(Eweka I)로 거슬러 올라가는 직계 부자 상속의 종말을 의미했을 수 있다. 관리들은 군사와 무역을 점점 더 장악했고, 천이 이전에 지배적이었던 후추와 상아를 대체하여 주요 무역 상품이 되었다.

1689년경, 에우악페 오바가 즉위할 무렵 내전이 발발했다. 이야세 오데와 하급 왕실 관리들이 자신들을 통제하려는 상급 관리들에게 반란을 일으켰다. 오바는 다른 도시에서 군대를 데려왔지만 반군을 물리칠 수 없었고, 베닌 시는 함락되었다. 협상으로 전쟁이 종식될 때까지 약 10년 동안 전쟁이 계속되었다. 그러나 에우악페의 계승은 그의 두 아들 오주에레와 아켄주아 사이에서 분쟁이 있었다. 아켄주아와 그의 측근인 '에조모' 칭호를 가진 전통적인 수장은 결국 1721년 결정적인 전투에서 젊은 오주에레와 그의 동맹인 이야세 오데를 물리쳤다. 그러나 반란 지역의 정화와 재정복에는 10년이 더 걸렸다. 왕국의 안정이 회복되면서 아켄주아 오바는 유럽인들과의 무역으로 이익을 얻었고, 왕국 역사상 가장 부유한 오바 중 한 명이 되었다.[20]

1797년 베냉 왕국의 두 여인을 묘사한 그림


19세기 전반기에서 중반기에 베냉의 경제는 팜유 무역의 발전과 섬유, 상아 및 기타 자원 무역의 지속으로 번영했다. 왕국의 독립을 보존하기 위해, 오바(Oba, 베냉 왕국의 국왕)는 점차 베냉에서의 상품 수출을 금지하여 무역이 팜유로만 이루어지도록 했다.

19세기 후반, 영국은 베냉 왕국과의 더욱 긴밀한 관계를 원했다. 영국 관리들은 1895년 큐 가든을 통해 파라 고무 묘목이 도입된 후, 이 지역의 무역을 장악하고 왕국의 팜유, 콜라 열매, 상아, 그리고 잠재적으로 고무 자원에 접근하는 데 점점 더 관심을 가졌다.[21][22]

이러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여러 시도가 있었다. 1862년 페르난도 포 영사였던 리처드 프랜시스 버튼의 공식 방문이 그 시작이었다. 그 후 1884년, 1885년, 1886년에 각각 휴잇, 블레어, 애네슬리가 베냉과 영국 간의 조약 체결을 시도했지만, 이러한 노력은 아무런 결과를 낳지 못했다. 베냉 왕국은 1880년대 내내 영국의 보호령이 되는 것을 거부했지만, 영국은 끈기 있게 밀어붙였다. 1892년 부영사 헨리 갤리의 방문 중에 진전이 있었다. 이 임무는 버튼의 방문 이후 첫 번째 공식 방문이었으며, 오바 오본람웬의 몰락으로 이어지는 사건들의 시작이었다.

19세기 후반, 베냉 왕국은 독립을 유지했고 오바는 무역 독점권을 행사했는데, 이는 지역 영국 상인들에게 불쾌감을 주었다. 베냉 왕국은 팜유와 상아와 같은 풍부한 천연자원 때문에 영향력 있는 투자자 그룹의 탐욕의 대상이었다. 1862년 영국 영사 리처드 버튼이 베냉을 방문한 후, 그는 베냉을 "죽음의 악취가 나는 무료 야만성의 장소"라고 묘사했고, 이러한 묘사는 영국에서 알려지면서 베냉의 식민화에 대한 지지를 높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베냉 왕국은 독립을 유지했으며, 1892년 영국 오일 리버스 보호령(후에 나이저 코스트 보호령이 됨)의 부영사인 헨리 갈웨이가 무역을 개방하고 궁극적으로 베냉 왕국을 병합하여 영국 보호령으로 만들기를 희망하며 베냉 시티를 방문할 때까지 다른 영국 대표의 방문을 받지 않았다. 갈웨이는 오모 엠 오바(오봉람웬)와 그의 수장들로 하여금 조약에 서명하게 하여 영국이 제국에 대한 더 큰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는 법적 근거를 마련했다. 조약 자체에는 오봉람웬이 베냉을 보호령으로 만들기를 원했다는 내용이 포함되어 있지만, 갈웨이의 기록은 오바가 조약 서명을 꺼렸다는 점을 시사한다. 일각에서는 인도주의적 동기가 영국의 행동을 이끌었다고 주장하지만,[23] 식민 행정관들 사이의 편지들은 경제적 동기가 우세했음을 시사한다. 조약 자체에는 버튼이 언급했던 베냉의 "잔혹한 관습"에 대해 명시적으로 언급되어 있지 않으며, 대신 "문명의 일반적인 발전"을 보장한다는 모호한 조항만 포함되어 있다.

원정 이후 프랜시스 윌리엄 케네디 중위(이후 제독)가 영국으로 가져온 것으로 추정되는 미확인 서아프리카 깃발


1897년, 영국 대표단은 오일 리버스 보호령에서 출발하여 베냉의 오바와 무역 협정(그들이 지키지 않고 있다고 생각한)에 대해 협상한다는 명목으로 베냉으로 향했다. 대표단의 지도자였던 제임스 로버트 필립스는 원정 직전에 영국 외무부 상관들에게 오바를 폐위시키기 위한 무장 영국 원정대를 이끌 허가를 요청했지만,[24] 답변을 받기 전에 외교 대표단(혹은 평화로운 외교 대표단으로 위장한 정찰 임무)[25]와 함께 베냉 시티로 출발했다. 오바의 장군들은 이를 오바를 폐위시키려는 시도로 간주하고, 베냉 시티에 접근하는 대표단(8명의 영국 대표와 수백 명의 아프리카 짐꾼 및 노동자 포함)을 공격하도록 일방적으로 명령했고, 그들 중 거의 대부분이 사망했다. 이에 대한 응징으로 징벌 원정이 시작되었고, 해리 로슨 경의 지휘 아래 1,200명의 병력이 베냉 시티를 점령했다. 그들은 영국 대표단 매복에 책임이 있는 수장들에게 속한 것으로 여겨지는 도시의 특정 지역을 의도적으로 찾아 파괴했으며, 그 과정에서 화재로 궁전과 주변 지역이 불탔는데, 영국은 이를 우연이라고 주장했다.

제임스 필립스가 무장을 거의 하지 않고 베냉으로 파견된 이유에 대해서는 많은 논쟁이 있다. 일부는 그가 평화적인 임무를 수행했다고 주장한다. 이러한 논평가들은 오바의 메시지(축제 때문에 유럽 방문객을 받을 수 없다는 내용)가 인간 희생이 포함된다는 잘못된 추정 때문에 필립스의 인도주의적인 면을 건드렸다고 주장한다.[26] 이그바페는 필립스가 다음과 같이 언급한 외무부의 요청에 대한 답변을 받기 전에 출발한 이유를 설명하지 못한다고 주장했다.

>''F.O. 2/I02, 필립스 외무부에 보낸 1896년 11월 16일자 제105호 문서. 필립스는 '상비군이 없으며… 주민들은 평화 애호적이라기보다는 전쟁을 좋아하지 않는 사람들로 보이며, 여러 세대 동안 이웃과의 무역이나 노예 습격에 대한 가끔씩의 다툼 외에는 어떤 활약도 없었고, 일반적인 무역용 총포 외에는 무기를 거의 가지고 있지 않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갤웨이(Gallwey) 선장이 도시를 방문했을 때 본 대포는 낡은 포르투갈 대포 6문에 불과했습니다. 그들은 땅에 놓여 있었고 장착되어 있지 않았습니다'. 이것을 그의 직전 전임자인 랄프 무어(Ralph Moor)의 의견과 비교해 보면, 그는 '모든 마을의 사람들은 의심할 여지 없이 무기를 소지하고 있다'(F.O. 2/84, 무어 외무부에 보낸 1895년 9월 12일자 제39호 문서)고 확신했습니다.''

이그바페는 또한 1896년 11월 필립스가 베냉에 대한 군사력 사용을 옹호한 점을 지적하며, 이는 1897년 1월 평화주의자로서의 필립스에 대한 인식과 일치하지 않는다고 주장한다. 이그바페는 필립스가 정찰 임무를 수행했으며, 필립스가 베냉으로 서둘러 간 것은 자신이나 그의 일행에게 아무런 일도 일어나지 않을 것이라는 믿음 때문이라고 설명한다.

원정대는 궁궐 예술품을 전리품으로 가져갔다. 약탈된 초상 인물, 흉상, 그리고 철, 조각된 상아, 특히 청동으로 제작된 작품들(관례적으로 "베냉 청동기"라고 불림)은 원정 비용을 충당하기 위해 매각되었고, 일부는 대영박물관에 소장되었으며, 대부분은 다른 곳에 판매되어 현재 전 세계 여러 박물관에 전시되어 있다. 2021년 3월, 독일 베를린스코틀랜드 애버딘의 기관들은 소장하고 있는 베냉 청동기를 원래 위치로 반환하기로 결정했다.[27]

영국은 베냉을 점령했고, 이는 영국 나이저 해안 보호령에, 그리고 결국 영국 식민지 나이지리아에 편입되었다. 영국 점령 이후 노예 해방이 뒤따랐지만,[28] 영국은 베냉과 주변 지역[29]에서 강제 노역 제도를 시행했고,[30] 나이지리아 남부의 다른 지역에서도 마찬가지였다. 영국은 1899년에 영국에 대한 저항을 계속하는 반군에 대항하여 "베냉 영토 원정"이라는 추가 작전을 시작했다. 영국은 반군을 기아로 항복시키려고 수많은 마을을 불태우고 농장을 파괴했다. 1899년 원정 이후, 전 베냉 왕국에서 영국 점령에 대한 군사 저항은 중단되었다.

2. 4. 영국 식민 통치와 이후

19세기 후반, 영국은 베냉 왕국과의 긴밀한 관계를 원했다. 1895년 큐 가든을 통해 파라 고무 묘목이 도입된 후, 영국 관리들은 이 지역 무역을 장악하고 왕국의 팜유, 콜라 열매, 상아, 그리고 잠재적인 고무 자원에 접근하는 데 관심을 가졌다.[21][22]

이를 위해 1862년 페르난도 포 영사였던 리처드 프랜시스 버튼의 방문을 시작으로 여러 시도가 있었다. 그러나 1880년대 내내 베냉 왕국은 영국의 보호령이 되는 것을 거부했다. 1892년 부영사 헨리 갤리의 방문으로 진전이 있었는데, 이는 오바 오본람웬(Oba Ovonramwen)의 몰락으로 이어지는 사건들의 시작이었다.

베냉 왕국은 팜유와 상아와 같은 풍부한 천연자원을 보유하고 있었고, 이는 영국 상인들의 관심을 끌었다. 1862년 영국 영사 리처드 버튼은 베냉을 "죽음의 악취가 나는 무료 야만성의 장소"라고 묘사했고, 이는 영국 내에서 베냉 식민화에 대한 지지를 높였다. 1892년, 영국 오일 리버스 보호령(후에 나이저 코스트 보호령)의 부영사 헨리 갈웨이는 무역 개방과 베냉 왕국의 영국 보호령화를 목표로 베냉 시티를 방문했다. 갈웨이는 오모 엠 오바(오봉람웬)와 그의 수장들에게 조약에 서명하게 하여 영국이 제국에 대한 더 큰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는 법적 근거를 마련했다.

1897년, 영국 대표단은 오일 리버스 보호령에서 베냉으로 향했다. 대표단 지도자 제임스 로버트 필립스는 오바를 폐위시키기 위한 무장 원정대 허가를 요청했지만,[24] 답변을 받기 전에 베냉 시티로 출발했다. 오바의 장군들은 이를 오바 폐위 시도로 간주하고 대표단을 공격하여 대부분을 사망하게 했다. 이에 대한 응징으로 징벌 원정이 시작되었고, 해리 로슨 경의 지휘 아래 1,200명의 병력이 베냉 시티를 점령했다. 그들은 도시의 특정 지역을 의도적으로 파괴했으며, 그 과정에서 화재로 궁전과 주변 지역이 불탔다.

원정대는 궁궐 예술품을 전리품으로 가져갔다. 약탈된 작품들, 특히 "베냉 청동기"는 원정 비용 충당을 위해 매각되었고, 일부는 대영박물관에 소장되었으며, 대부분은 다른 곳에 판매되어 현재 전 세계 여러 박물관에 전시되어 있다. 2021년 3월, 독일 베를린스코틀랜드 애버딘의 기관들은 소장하고 있는 베냉 청동기를 원래 위치로 반환하기로 결정했다.[27]

영국은 베냉을 점령하여 영국 나이저 해안 보호령과 식민지 나이지리아에 편입시켰다. 영국 점령 이후 노예 해방이 뒤따랐지만,[28] 영국은 베냉과 주변 지역[29]에서 강제 노역 제도를 시행했다.[30] 1899년, 영국은 "베냉 영토 원정"을 통해 저항을 진압했고, 이후 베냉 왕국에서 영국 점령에 대한 군사 저항은 중단되었다.

1897년, 베닌 주재 영국 부영사 제임스 필립스는 무력에 의한 왕국 병합을 꾀하고, 국왕 오본람웬에게 퇴위를 요구했다.[77] 이에 대해 오본람웬 왕은 필립스 등 영국 외교관들을 잡아 살해했고, 영국은 해리 로슨이 이끄는 영국 육군을 파견하여 베닌을 점령(남부 나이지리아 보호령)하고, 도시를 불태우고 왕국의 문화재를 파괴·약탈했다.[77]

1914년에 오본람웬이 사망하자 영국은 베닌 왕실의 부활을 허가했다.

3. 정치와 사회

베닌 제국에서 오바는 신성한 존재로 여겨졌으며, 왕권의 중심에는 오바의 신성함과 성스러움이 있었다. 오바는 신비에 싸여 의례적인 경우를 제외하고는 궁궐을 떠나지 않았다. 과거에는 오바가 인간적인 행위를 한다고 주장하는 것은 사형에 처할 수 있는 죄였다.[43] 오바는 마법적인 힘을 지닌 것으로 여겨졌으며, 강력한 관료 조직을 통제하여 그 명령을 철저히 준수하게 했다.

16세기 후반, 마지막 전사 왕이었던 에헹부다 오바의 통치 이후 제국은 점차 축소되어 서부 지역에 대한 지배력을 상실했다.[18][19] 그의 통치 말기에 고위 관리들의 권력이 커졌고, 이후 수십 년 동안 여러 왕족 계파가 권력을 다투면서 많은 오바들이 짧고 격동적인 통치를 했다. 1641년 오완 오바의 죽음은 에웨카 1세(Eweka I)로 거슬러 올라가는 직계 부자 상속의 종말을 의미했을 수 있다. 관리들은 군사와 무역을 점점 더 장악했고, 천이 이전에 지배적이었던 후추와 상아를 대체하여 주요 무역 상품이 되었다.

1689년경, 에우악페 오바가 즉위할 무렵 내전이 발발했다. 이야세 오데와 하급 왕실 관리들이 자신들을 통제하려는 상급 관리들에게 반란을 일으켰다. 오바는 다른 도시에서 군대를 데려왔지만 반군을 물리칠 수 없었고, 베닌 시는 함락되었다. 협상으로 전쟁이 종식될 때까지 약 10년 동안 전쟁이 계속되었다.

베닌 왕국의 주목할 만한 인물은 다음과 같다.[31][32]


  • 이디아 여왕: 1481년경 오바 오졸루아의 왕비로, 여전사였다. 그녀의 정치적 조언, 신비한 능력, 의학 지식은 에시기에의 전투 승리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1977년 FESTAC의 상징으로 그녀의 얼굴을 새긴 상아 조각이 채택되었다.[33]
  • 엠모탄: 상인이었으며, 왕국 최초의 초등학교를 설립하고 왕국이 어려울 때 왕정을 구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1432년경 오바 에와레가 왕위를 되찾는 것을 도왔다.[34]
  • 이덴 여왕: 1700년경 오바 에와페 시대의 여왕이었다. 그녀는 신탁을 통해 인신 공양이 신을 달래고 왕국에 평화와 단결을 가져온다는 것을 알고 남편과 왕국을 위해 스스로 제물이 되었다.[35]
  • 아소로 장군: 1897년 오본람웬 왕의 칼잡이였다. 1897년 원정 중 베닌 방어에 참여하여 영국 원정대와 맞섰다. "오바를 제외하고는 다른 어떤 사람도 이 길을 지나서는 안 된다"는 그의 말은 "SAKPONBA"로 번역되어 베닌의 유명한 도로 이름이 되었다.[36]
  • 오바소기에 수장: 외부 침략으로부터 왕국을 방어한 전사이자 대장장이, 조각가였다.[37]


13세기 서기 베냉에서 인신공양 또는 범죄자 처형이 있었다는 고고학적 증거가 있다.[38] 초기부터 인신공양은 국가 종교의 일부였다. 그러나 역사학자 J. D. 그레이엄은 많은 인신공양 기록이 과장되었다고 말한다. 그는 "제한적인 의례적 인신공양 관습을 가리키며, 많은 서면 기록에서 인신공양은 사실상 처형된 범죄자를 의미한다"고 주장한다.

에도 시대 역사학자 필립 이그바페 교수는 식민지 이전 베냉에서는 노예만이 희생될 수 있었다고 말한다. 여기에는 상습범이나 중범죄를 저지른 자들이 포함되며, 이들은 처형되거나 노예로 팔렸다. 희생은 오바의 아버지 기일, 연례 구슬 의식, 흉작을 위협하는 악천후나 전염병이 유행할 때 신을 달래기 위해 행해졌다. 또한, 큰 재난이나 국가적 재앙의 위협도 희생의 계기가 되었다.[39]

베냉 시티의 전사들은 나무에 매달려 곡예를 선보이는 철의 신을 위한 연례 의식에서 인간을 희생했다. 이 의식은 하늘과의 신화적인 전쟁을 상기시켰다.[40]

"죽음의 왕"이라는 신에게는 남자, 여자, 염소, 소, 숫양을 희생했다. 오기우우라는 이름의 이 신은 베냉 시티 중앙의 특별한 제단에서 숭배되었다.[40]

과거 오바들을 기리는 두 개의 별도의 연례 의식이 있었다. 5일마다 희생이 행해졌다. 일련의 의식이 끝나면 현직 오바의 사망한 아버지를 위한 공개 축제가 열렸다. 축제 기간 동안 최악의 범죄자들이 수감된 감옥에서 선발된 12명의 범죄자가 희생되었다.[40]

18세기 말에는 유럽과의 무역을 유치하기 위해 매년 베냉 강 어귀에서 3~4명이 희생되었다는 기록이 있다.[41]

3. 1. 중앙 집권 체제

16세기 후반, 에헹부다 오바는 마지막 전사 왕이었다. 그의 통치 이후 제국은 점차 축소되어 서부 지역에 대한 지배력을 상실했다.[18][19] 에헹부다의 통치 말기에 고위 관리들의 권력이 커졌고, 이후 수십 년 동안 여러 왕족 계파가 권력을 다투면서 많은 오바들이 짧고 격동적인 통치를 했다. 1641년 오완 오바의 죽음은 에웨카 1세(Eweka I)로 거슬러 올라가는 직계 부자 상속의 종말을 의미했을 수 있다. 관리들은 군사와 무역을 점점 더 장악했고, 천이 이전에 지배적이었던 후추와 상아를 대체하여 주요 무역 상품이 되었다.

1689년경, 에우악페 오바가 즉위할 무렵 내전이 발발했다. 이야세 오데와 하급 왕실 관리들이 자신들을 통제하려는 상급 관리들에게 반란을 일으켰다. 오바는 다른 도시에서 군대를 데려왔지만 반군을 물리칠 수 없었고, 베닌 시는 함락되었다. 협상으로 전쟁이 종식될 때까지 약 10년 동안 전쟁이 계속되었다. 에우악페의 계승은 그의 두 아들 오주에레와 아켄주아 사이에서 분쟁이 있었다. 아켄주아와 그의 측근인 '에조모' 칭호를 가진 전통적인 수장은 결국 1721년 결정적인 전투에서 젊은 오주에레와 그의 동맹인 이야세 오데를 물리쳤다. 그러나 반란 지역을 정화하고 재정복하는 데는 10년이 더 걸렸다. 왕국의 안정이 회복되면서 아켄주아 오바는 유럽인들과의 무역으로 이익을 얻었고, 왕국 역사상 가장 부유한 오바 중 한 명이 되었다.[20]

베닌에서 오바는 신성한 존재로 여겨졌다. 오바의 신성함과 성스러움은 왕권의 중심이었다. 오바는 신비에 싸여 있었고, 의례적인 경우를 제외하고는 궁궐을 떠나지 않았다. 과거에는 오바가 먹고, 자고, 죽고, 씻는 등 인간적인 행위를 한다고 주장하는 것은 사형에 처할 수 있는 죄였다.[43] 오바는 또한 마법적인 힘을 지닌 것으로 여겨졌다. 그는 또한 강력한 관료 조직을 통제했고, 그 조직의 명령은 철저히 준수되었다.

3. 2. 관료 조직

16세기 후반, 마지막 전사 왕이었던 에헹부다 오바의 통치 이후 제국은 점차 축소되어 서부 지역에 대한 지배력을 상실했다.[18][19] 그의 통치 말기에 고위 관리들의 권력이 커졌고, 이후 수십 년 동안 여러 왕족 계파가 권력을 다투면서 많은 오바들이 짧고 격동적인 통치를 했다. 1641년 오완 오바의 죽음은 에웨카 1세(Eweka I)로 거슬러 올라가는 직계 부자 상속의 종말을 의미했을 수 있다. 관리들은 또한 군사와 무역을 점점 더 장악했고, 천이 이전에 지배적이었던 후추와 상아를 대체하여 주요 무역 상품이 되었다.

1689년경, 에우악페 오바가 즉위할 무렵 내전이 발발했다. 이야세 오데와 하급 왕실 관리들이 자신들을 통제하려는 상급 관리들에게 반란을 일으켰다. 오바는 다른 도시에서 군대를 데려왔지만 반군을 물리칠 수 없었고, 베닌 시는 함락되었다. 협상으로 전쟁이 종식될 때까지 약 10년 동안 전쟁이 계속되었다. 그러나 에우악페의 계승은 그의 두 아들 오주에레와 아켄주아 사이에서 분쟁이 있었다. 아켄주아와 그의 측근인 '에조모' 칭호를 가진 전통적인 수장은 결국 1721년 결정적인 전투에서 젊은 오주에레와 그의 동맹인 이야세 오데를 물리쳤다. 그러나 반란 지역의 정화와 재정복에는 10년이 더 걸렸다. 왕국의 안정이 회복되면서 아켄주아 오바는 유럽인들과의 무역으로 이익을 얻었고, 왕국 역사상 가장 부유한 오바 중 한 명이 되었다.[20]

3. 3. 사회 계층

16세기 후반, 에헹부다 오바의 통치 이후 제국의 힘이 약해지면서 고위 관리들의 권력이 강해졌다.[18][19] 1641년 오완 오바의 죽음으로 에웨카 1세(Eweka I)로부터 이어져 온 부자 상속이 중단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관리들은 군사와 무역을 장악했고, 천이 주요 무역 상품이 되었다.

1689년경 에우악페 오바 즉위 무렵, 이야세 오데와 하급 왕실 관리들이 상급 관리들에게 반란을 일으키면서 내전이 발발했다. 오바는 군대를 동원했지만 반군을 제압하지 못하고 베닌 시가 함락되었다. 협상을 통해 전쟁이 종식될 때까지 약 10년간 전쟁이 지속되었다. 에우악페의 계승을 두고 그의 두 아들 오주에레와 아켄주아 사이에 분쟁이 발생했다. 1721년, 아켄주아와 그의 측근인 '에조모' 수장은 전투에서 오주에레와 이야세 오데를 물리쳤다. 그러나 반란 지역을 정복하는 데는 10년이 더 걸렸다. 왕국의 안정이 회복된 후, 아켄주아 오바는 유럽인들과의 무역으로 이익을 얻어 왕국 역사상 가장 부유한 오바 중 한 명이 되었다.[20]

베닌 왕국의 주목할 만한 인물은 다음과 같다.[31][32]

  • 이디아 여왕: 1481년경 오바 오졸루아의 왕비로, 여전사였다. 그녀의 정치적 조언, 신비한 능력, 의학 지식은 에시기에의 전투 승리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1977년 FESTAC의 상징으로 그녀의 얼굴을 새긴 상아 조각이 채택되었다.[33]
  • 엠모탄: 상인이었으며, 왕국 최초의 초등학교를 설립하고 왕국이 어려울 때 왕정을 구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1432년경 오바 에와레가 왕위를 되찾는 것을 도왔다.[34]
  • 이덴 여왕: 1700년경 오바 에와페 시대의 여왕이었다. 그녀는 신탁을 통해 인신 공양이 신을 달래고 왕국에 평화와 단결을 가져온다는 것을 알고 남편과 왕국을 위해 스스로 제물이 되었다.[35]
  • 아소로 장군: 1897년 오본람웬 왕의 칼잡이였다. 1897년 원정 중 베닌 방어에 참여하여 영국 원정대와 맞섰다. "오바를 제외하고는 다른 어떤 사람도 이 길을 지나서는 안 된다"는 그의 말은 "SAKPONBA"로 번역되어 베닌의 유명한 도로 이름이 되었다.[36]
  • 오바소기에 수장: 외부 침략으로부터 왕국을 방어한 전사이자 대장장이, 조각가였다.[37]


13세기 서기 베냉에서 인신공양 또는 범죄자 처형이 있었다는 고고학적 증거가 있다.[38] 초기부터 인신공양은 국가 종교의 일부였다. 그러나 역사학자 J. D. 그레이엄은 많은 인신공양 기록이 과장되었다고 말한다. 그는 "제한적인 의례적 인신공양 관습을 가리키며, 많은 서면 기록에서 인신공양은 사실상 처형된 범죄자를 의미한다"고 주장한다.

에도 시대 역사학자 필립 이그바페 교수는 식민지 이전 베냉에서는 노예만이 희생될 수 있었다고 말한다. 여기에는 상습범이나 중범죄를 저지른 자들이 포함되며, 이들은 처형되거나 노예로 팔렸다. 희생은 오바의 아버지 기일, 연례 구슬 의식, 흉작을 위협하는 악천후나 전염병이 유행할 때 신을 달래기 위해 행해졌다. 또한, 큰 재난이나 국가적 재앙의 위협도 희생의 계기가 되었다.[39]

베냉 시티의 전사들은 나무에 매달려 곡예를 선보이는 철의 신을 위한 연례 의식에서 인간을 희생했다. 이 의식은 하늘과의 신화적인 전쟁을 상기시켰다.[40]

"죽음의 왕"이라는 신에게는 남자, 여자, 염소, 소, 숫양을 희생했다. 오기우우라는 이름의 이 신은 베냉 시티 중앙의 특별한 제단에서 숭배되었다.[40]

과거 오바들을 기리는 두 개의 별도의 연례 의식이 있었다. 5일마다 희생이 행해졌다. 일련의 의식이 끝나면 현직 오바의 사망한 아버지를 위한 공개 축제가 열렸다. 축제 기간 동안 최악의 범죄자들이 수감된 감옥에서 선발된 12명의 범죄자가 희생되었다.[40]

18세기 말에는 유럽과의 무역을 유치하기 위해 매년 베냉 강 어귀에서 3~4명이 희생되었다는 기록이 있다.[41]

4. 경제

베닌은 15세기 후반부터 유럽인들과 후추, 노예, 직물, 상아 등을 거래하며 부를 쌓았다. 16세기에 전성기를 맞은 베닌은 서부 니제르 삼각주에서 라고스를 거쳐 서쪽의 아크라에 이르는 해안선 전체의 무역을 지배했다.[17] 16세기 초, 에시기 오바(Oba Esigie)는 왕국을 동쪽으로 확장하고, 이갈라(Igala) 왕국의 침략을 물리쳤으며, 현재 나이지리아 중서부 대부분 지역을 지배했다. 베닌은 이 지역 내부와의 광범위한 무역을 통해 부를 늘렸다.[16]

17세기에는 천이 후추와 상아를 대체하는 주요 무역 상품이 되었다. 18세기에는 서쪽 요루바인의 오요 왕국이 세력을 키우고, 노예 무역의 중심이 서쪽의 다호메이 왕국이나 아샨티 왕국으로 이동하면서 베닌은 쇠퇴했다. 그러나 19세기에는 팜유 수출로 인해 세력을 약간 회복했다.[77]

19세기 전반기에서 중반기에 베냉의 경제는 팜유 무역과 섬유, 상아 및 기타 자원 무역으로 번영했다. 오바는 왕국의 독립을 보존하기 위해 점차 베냉에서의 상품 수출을 금지하여 무역이 팜유로만 이루어지도록 했다.

19세기 후반, 베냉 왕국은 독립을 유지하고 무역 독점권을 행사했는데, 이는 영국 상인들에게 불쾌감을 주었다. 베냉 왕국은 팜유와 상아와 같은 풍부한 천연자원 때문에 영향력 있는 투자자 그룹의 탐욕의 대상이 되었다.[21][22] 1892년, 영국 오일 리버스 보호령(나이저 코스트 보호령)의 부영사 헨리 갈웨이는 무역 개방과 베냉 왕국의 병합을 위해 베냉 시티를 방문했다. 갈웨이는 오봉람웬과 그의 수장들에게 조약에 서명하게 하여 영국이 제국에 대한 더 큰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는 법적 근거를 마련했다.

4. 1. 농업

주어진 원본 소스는 베닌 제국의 농업에 대한 내용이 아니라, 왕위 계승과 관련된 내용입니다. 따라서 '농업' 섹션에 해당되는 내용을 포함하고 있지 않습니다. 이전 출력은 이 점을 반영하여 작성되었습니다. 변경할 내용이 없습니다.

4. 2. 무역

베닌은 15세기 후반부터 유럽인들과 후추, 노예, 직물, 상아 등을 거래하며 부를 쌓았다. 16세기에 전성기를 맞은 베닌은 서부 니제르 삼각주에서 라고스를 거쳐 서쪽의 아크라에 이르는 해안선 전체의 무역을 지배했다.[17]

16세기 초, 에시기 오바(Oba Esigie)는 왕국을 동쪽으로 확장하고, 이갈라(Igala) 왕국의 침략을 물리쳤다. 베닌은 정치적 힘을 얻고 현재 나이지리아 중서부 대부분 지역을 지배했다. 특히 이 지역 내부와의 광범위한 무역을 통해 부가 증가했다.[16]

17세기에는 천이 후추와 상아를 대체하여 주요 무역 상품이 되었다. 18세기에는 서쪽 요루바인의 오요 왕국이 세력을 키우고, 노예 무역의 중심이 서쪽의 다호메이 왕국이나 아샨티 왕국으로 이동하면서 베닌은 쇠퇴했다. 그러나 19세기에는 팜유 수출로 인해 세력을 약간 회복했다.[77]

19세기 전반기에서 중반기에 베냉의 경제는 팜유 무역의 발전과 섬유, 상아 및 기타 자원 무역의 지속으로 번영했다. 왕국의 독립을 보존하기 위해, 오바(Oba, 베냉 왕국의 국왕)는 점차 베냉에서의 상품 수출을 금지하여 무역이 팜유로만 이루어지도록 했다.

19세기 후반, 베냉 왕국은 독립을 유지하고 무역 독점권을 행사했는데, 이는 영국 상인들에게 불쾌감을 주었다. 베냉 왕국은 팜유와 상아와 같은 풍부한 천연자원 때문에 영향력 있는 투자자 그룹의 탐욕의 대상이 되었다.[21][22] 1892년, 영국 오일 리버스 보호령(후에 나이저 코스트 보호령)의 부영사 헨리 갈웨이는 무역 개방과 베냉 왕국의 병합을 위해 베냉 시티를 방문했다. 갈웨이는 오모 엠 오바(오봉람웬)와 그의 수장들에게 조약에 서명하게 하여 영국이 제국에 대한 더 큰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는 법적 근거를 마련했다.

5. 문화

베닌 제국은 청동, 철, 상아를 이용한 정교한 예술 작품으로 유명하다. 특히 베닌의 왕 오바와 왕비 이요바(Iyoba)를 묘사한 청동 벽판과 실물 크기의 청동 두상이 대표적이다.[18] 아이디아 여왕(Queen Idia)을 모델로 한 베닌 상아 가면은 왕의 허리에 차는 용도로 사용되었다.[18]

베닌 제국의 종교는 에도인의 전통 신앙을 따랐으며, 이들은 자신들의 땅을 이고도미고도라 불렀다. 초기에는 오기소(하늘의 왕)가 통치했으나, 12세기 궁궐 음모로 에칼라데르한이 추방되면서 오기소 왕조는 막을 내렸다. 이후 에웨카가 왕위에 오르며 새로운 왕조가 시작되었다.

초기부터 국가 종교의 일부로 인신공양이 있었으나, 많은 기록이 과장되었거나 소문과 추측에 근거한다는 주장도 있다.[38] "죽음의 왕"이라는 신에게는 남자, 여자, 염소, 소, 숫양을 희생했다.[40] 과거 오바들을 기리는 의식에서도 희생이 행해졌고, 18세기 말에는 유럽과의 무역을 유치하기 위해 매년 3~4명이 희생되었다는 기록도 있다.[41] 오바는 신성한 존재로 여겨졌으며, 마법적인 힘을 지닌 것으로 믿어졌다.[43]

베닌의 건축은 기원전 1세기경 농업 사회의 발전과 함께 시작되었다. 베닌 시티는 방어에 유리한 숲 속에 위치했으며, 열대 우림의 풍부한 자원은 도시 발전에 기여했다.[7] 에와레 대왕은 해자와 성벽으로 보호되는 베닌 시티를 건설했다.[15] 발굴 조사에 따르면 베닌 시티 주변에는 총 길이 약 6437.36km에서 약 12874.72km에 달하는 거대한 흙 성벽 네트워크가 존재했다.[15]

1668년 네덜란드 삽화가가 그린 베닌 시티 묘사. 중앙의 벽과 같은 구조물은 아마도 베닌의 성벽을 나타낼 것이다.


1897년 베닌


베닌 시티 성벽은 1500년경부터 서구에 알려졌으며, 두아르테 파체쿠 페레이라와 디에릭 루이테르스가 성벽에 대한 기록을 남겼다.[50] 베닌의 건축에는 우물(Impluvium)을 사용하여 빗물을 저장하는 방식이 사용되었고, 귀족 주택에는 채광정(compluvium)을 통해 빛과 공기를 통과시켰다.[44] 민족수학자 론 에글래시는 베닌의 도시 계획이 프랙탈 기하학을 기반으로 이루어졌다고 주장했다.[57]

5. 1. 예술

베닌 제국은 청동, 철, 상아로 만든 유물로 유명하며, 발전된 예술 문화를 가지고 있었다. 베닌의 오바와 이요바(Iyoba)를 묘사한 청동 벽판과 실물 크기의 청동 머리가 대표적이다.[18] 이 벽판에는 의식용 벨트와 같은 물건뿐만 아니라 다른 인물과 동물 형상도 포함되어 있다. 상아 역시 정교한 상자, 빗, 팔찌 등을 조각하는 데 사용되었다. 가장 잘 알려진 유물은 아이디아 여왕(Queen Idia)을 모델로 한 베닌 상아 가면으로, 왕의 허리에 차는 용도로 사용되었다.[18]

5. 2. 종교

베닌 제국의 원주민 종교는 에도인들의 전통 신앙 체계를 따랐으며, 그들은 자신들의 땅을 이고도미고도라고 불렀다. 초기에는 오기소(하늘의 왕)가 통치했으며, 이들은 큰 영향력을 행사했다. 12세기 궁궐 음모로 인해 마지막 오기소의 아들인 에칼라데르한이 추방되었고, 오기소 왕조는 막을 내렸다. 이후 에웨카가 왕위에 오르며 새로운 왕조가 시작되었다.

초기부터 국가 종교의 일부로 인신공양이 있었다. 13세기에는 인신공양 또는 범죄자 처형이 있었음을 시사하는 고고학적 증거가 발견되었다. 그러나 역사학자 J. D. 그레이엄은 많은 인신공양 기록이 과장되었거나 소문과 추측에 근거한다고 주장한다. 그는 제한적인 의례적 인신공양 관습이 있었고, 많은 기록에서 인신공양은 처형된 범죄자를 의미한다고 말한다.[38]

식민지 이전 시대에는 노예만이 희생될 수 있었다. 상습범이나 중범죄자, 오바의 아버지 기일, 연례 구슬 의식, 흉작을 위협하는 악천후나 전염병이 유행할 때 신을 달래기 위해 희생이 행해졌다. 또한, 큰 재난이나 국가적 재앙의 위협도 희생의 계기가 되었다.[39]

베닌 시티의 전사들은 나무에 매달려 곡예를 선보이는 철의 신을 위한 연례 의식에서 인간을 희생시켰다. 이 의식은 하늘과의 신화적인 전쟁을 상기시켰다.[40] "죽음의 왕"이라는 신에게는 남자, 여자, 염소, 소, 숫양을 희생했다. 오기우우(Ogiuwu)라는 이름의 이 신은 베냉 시티 중앙의 특별한 제단에서 숭배되었다.[40]

과거 오바들을 기리는 두 개의 별도의 연례 의식이 있었고, 5일마다 희생이 행해졌다. 일련의 의식이 끝나면 현직 오바의 사망한 아버지를 위한 공개 축제가 열렸고, 축제 기간 동안 최악의 범죄자 12명이 희생되었다.[40] 18세기 말에는 유럽과의 무역을 유치하기 위해 매년 베냉 강 어귀에서 3~4명이 희생되었다는 기록이 있다.[41]

베닌에서 오바(Oba)는 신성한 존재로 여겨졌으며, 그의 신성함은 왕권의 중심이었다. 오바는 신비에 싸여 있었고, 의례적인 경우를 제외하고는 궁궐을 떠나지 않았다. 과거에는 오바가 인간적인 행위를 한다고 주장하는 것은 사형에 처할 수 있는 죄였다.[43] 오바는 마법적인 힘을 지닌 것으로 여겨졌고, 강력한 관료 조직을 통제했다.

5. 3. 건축

베닌의 건축은 기원전 1세기경부터 시작된 농업 사회의 발전과 함께 시작되었다. 서기 500년경에는 철기 사용이 시작되었고,[6] 1000년경에는 베닌 시티가 건설되었다. 베닌 시티는 방어에 유리한 숲 속에 위치하여 외부 공격을 막기 쉬웠고, 열대 우림의 풍부한 자원은 도시 발전에 기여했다.[7]

1440년 에와레 대왕은 이전 도시 국가의 경계를 확장하고, 왕국의 행정 중심지를 우비누(Ubinu)로 옮겼다. 포르투갈인들은 이곳을 베닌이라 불렀고, 중심지는 베닌 시티로 알려지게 되었다.[14] 에와레 대왕은 해자와 성벽으로 보호되는 베닌 시티를 건설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15] 발굴 조사에 따르면, 베닌 시티 주변에는 총 길이 약 6437.36km에서 약 12874.72km에 달하는 거대한 흙 성벽 네트워크가 존재했으며, 이를 건설하는 데 약 1억 5천만 명의 노동 시간이 필요했을 것으로 추정된다.[15]

베닌 시티 성벽은 1500년경부터 서구에 알려졌으며, 포르투갈 탐험가 두아르테 파체쿠 페레이라와 네덜란드 탐험가 디에릭 루이테르스가 성벽에 대한 기록을 남겼다.[50] 성벽은 해자와 제방 구조로 건설되었으며, 해자를 파서 내부 해자를 형성하고, 파낸 흙으로 외부 성벽을 만들었다.

베닌의 건축에는 우물(Impluvium)을 사용하여 빗물을 저장하는 방식이 사용되었다. 귀족 주택에는 채광정(compluvium)을 통해 빛과 공기를 통과시켰다.[44] 14세기경 또는 그 이전 시대의 베닌 시티에서는 가장자리에 놓인 토기 파편 포장이 발견되기도 했다.[45]

민족수학자 론 에글래시는 베닌의 도시 계획이 프랙탈 기하학을 기반으로 이루어졌다고 주장했다.[57]

6. 군사

850년부터 16세기 쇠퇴기까지 베닌 제국은 점진적으로 도시를 확장하며 여러 성벽들을 건설했다. 에와레(Ewuare)는 자신의 궁궐을 둘러싸기 위해 베닌 내벽 건설을 명령했는데, 이 성벽은 길이 약 약 11.27km에 달하는 흙으로 된 성벽과 깊이 약 약 6.10m의 해자로 이루어졌다. 1960년대 초 그레이엄 코나(Graham Connah)의 발굴 조사에 따르면, 이 성벽은 하루 10시간, 일주일에 7일 동안 일하는 1,000명의 노동자가 5개의 건조기에 걸쳐 건설해야 완성할 수 있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에와레는 또한 큰 도로를 추가하고 9개의 요새화된 관문을 세웠다. 베닌 시티에서의 발굴 조사는 이미 1200년~1300년경에 번영하고 있었음을 보여준다.[12]

1440년, 에와레 대왕(Oba Ewuare)[13]이 권력을 잡고 이전 도시 국가의 경계를 확장했다. 15세기에 에와레 오바는 해자와 성벽으로 보호되는 군사 요새에서 베닌 시티를 도시 국가로 바꾼 것으로 여겨진다. 그는 이 요새에서 군사 원정을 시작하고 에도어를 사용하는 중심지에서 왕국의 확장을 시작했다. 발굴 조사에서는 길이 약 약 6437.36km에서 약 12874.72km에 달하는 흙으로 된 성벽의 농촌 네트워크가 발견되었는데, 이를 건설하는 데 약 1억 5천만 명의 노동 시간이 필요했을 것이며 수백 년이 걸렸을 것이다. 이것은 마을과 도시의 영토를 구분하기 위해 세워진 것으로 보인다. 에와레 사후 13년 후, 베닌의 화려함에 대한 이야기가 더 많은 포르투갈 상인들을 도시의 문으로 이끌었다.[15]

16세기 초, 에시기 오바(Oba Esigie)는 이갈라(Igala) 왕국의 침략과 정복 시도를 물리친 후 왕국을 동쪽으로 확장했다. 베닌은 정치적 힘을 얻었고 현재 나이지리아 중서부 대부분 지역에 대한 지배력을 확보했다.

베닌은 서부 이보 부족, 이자우, 이체키리, 이소코, 우르호보 등을 포함한 니제르 삼각주의 여러 부족을 지배했다. 또한 온도(Ondo), 에키티(Ekiti), 마힌/우그보(Mahin/Ugbo), 하우사(Hausa), 풀라니(Fulani), 이제부(Ijebu)의 동부 요루바 부족들에 대한 지배력을 행사했다.[16] 16세기 전성기 베닌은 서부 니제르 삼각주에서 라고스를 거쳐 서쪽의 아크라에 이르는 전체 해안선을 따라 무역을 지배했다.[17]

16세기 후반에 통치한 에헹부다(Ehengbuda) 오바는 마지막 전사 왕이었다. 그의 통치 이후 제국은 점차 축소되어 서부 지역에 대한 지배력을 상실했다.[18][19]

1897년, 영국 대표단은 베냉의 오바(Oba)와 무역 협상을 한다는 명목으로 베냉으로 향했다. 대표단의 지도자였던 제임스 로버트 필립스(James Robert Phillips)는 오바를 폐위시키기 위한 무장 영국 원정대를 이끌 허가를 요청했지만,[24] 답변을 받기 전에 외교 대표단과 함께 베냉 시티로 출발했다. 오바의 장군들은 이를 오바를 폐위시키려는 시도로 간주하고 대표단을 공격하여 대부분을 사망하게 했다. 이에 대한 응징으로 징벌 원정이 시작되었고, 해리 로슨 경(Sir Harry Rawson)의 지휘 아래 1,200명의 병력이 베냉 시티를 점령했다.

두 명의 전사가 의식용 검을 휘두르는 모습을 묘사한 청동판


군사 작전은 훈련이 잘 되고 규율이 잡힌 군대에 의존했다.[58] 군대의 선두에는 베냉의 오바가 있었다. 왕국 군주는 최고 군 사령관 역할을 했다. 그의 아래에는 수하의 총사령관인 ''에조모'', ''이야세'' 등이 있었는데, 이들은 수도에 주둔한 수도 연대와 엄선된 전사들로 구성된 왕실 연대(경호대 역할도 수행)를 감독했다. 베냉의 왕비인 ''이요바''도 그녀 자신의 연대인 "여왕 친위대"를 거느리고 있었다. 수도 연대와 왕실 연대는 비교적 안정적인 준상설 또는 상설 부대였다. 마을 연대가 전투력의 대부분을 차지했고 필요에 따라 동원되어 왕과 장군의 명령에 따라 전사들을 파병했다. 부대는 지정된 지휘관 아래 하위 부대로 나뉘었다. 외국 관찰자들은 베냉의 규율과 조직에 대해 종종 긍정적으로 평가하며 "기니 지역의 다른 어떤 국가보다도 규율이 잘 잡혀 있다"고 언급했다.[59]

15세기에 총이 도입될 때까지는 창, 단검, 활과 같은 전통 무기가 주류였다. 18세기에 경화기를 제조하기 위해 현지 대장장이 조합을 재편성하려는 노력이 있었지만, 수입에 대한 의존도는 여전히 높았다. 총이 도입되기 전에는 대장장이 조합이 전쟁 물자, 특히 검과 철제 창촉 생산을 담당했다. 또한, 석궁병들이 베냉 군대의 특수 부대를 구성했다. 궁수와 석궁병들은 정적 및 야외 사격 훈련을 받았다.[58] 1514년 또는 1516년에 베냉의 오바는 포르투갈의 포격포를 획득하여 사용했다.[60][61]

베냉의 전술은 잘 조직되어 있었고, 오바와 그의 부사령관들이 예비 계획을 신중하게 검토했다. 일반적인 운반 부대, 카누를 이용한 수송, 그리고 군대가 통과하는 지역으로부터의 징발을 통해 작전을 지원하는 물류가 조직되었다. 카누를 이용한 병력 이동은 베냉의 지배 지역이었던 니제르 삼각주의 석호, 개울, 강에서 매우 중요했다. 현장 전술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발전한 것으로 보인다. 정면 충돌이 잘 알려져 있었지만, 18세기의 기록은 끊임없는 전투선을 피하고 적을 포위하는 데 더 많은 노력을 기울이는 (''이파냐코'') 방식에 더 큰 중점을 두고 있음을 보여준다.[58]

요새는 이 지역에서 중요했고, 베냉 군인들이 벌인 수많은 군사 작전은 포위 공격을 중심으로 전개되었다. 베냉의 군사 토목 공사는 세계에서 가장 큰 규모이며, 베냉의 라이벌들도 광범위하게 건설했다. 성공적인 공격을 제외하고 대부분의 포위 공격은 적의 요새가 항복할 때까지 적을 점차적으로 고립시키고 굶주리게 만드는 소모전 전략으로 해결되었다. 그러나 때때로 유럽 용병들이 이러한 포위 공격을 돕기 위해 동원되기도 했다. 예를 들어 1603-04년에는 유럽의 대포가 현재 라곡스 근처의 마을 성문을 무너뜨리는 데 도움을 주어 1만 명의 베냉 전사들이 진입하여 정복할 수 있었다. 대가로 유럽인들은 팜유와 후추 꾸러미와 같은 물품을 받았다.[62]

7. 유럽과의 접촉

1485년경 주앙 아폰수 드 아베이루(João Afonso de Aveiro)가 이끄는 포르투갈 탐험가들이 베냉에 도착하면서 유럽인들과 처음 접촉했다. 에도(Edo)는 노예, 상아, 후추, 팜유 등 열대산 제품을 마닐라와 같은 유럽 상품과 교환하는 강력한 상업 관계를 발전시켰다. 16세기 초, 오바(Oba)는 리스본에 사절을 파견했고, 포르투갈 국왕은 베냉 시티(Benin City)에 기독교 선교사들을 파견했다. 19세기 후반에도 베냉 시티의 일부 주민들은 피진 포르투갈어를 구사할 수 있었다.[63]

16세기-17세기 포르투갈 병사를 묘사한 청동판


1553년, 영국 탐험대가 처음으로 베냉에 도착했으며, 상아, 팜유, 후추, 그리고 나중에는 노예 수출을 기반으로 베냉과 유럽 사이에 상당한 무역이 발전했다. 16세기와 19세기 방문객들은 강력한 왕이 다스리는 고귀한 건물들의 환상적인 도시인 "대 베냉(Great Benin)"에 대한 이야기를 유럽으로 가져왔다. 네덜란드 삽화가는 (설명만으로) 정착지에 대한 상상화를 그렸는데, 이는 1668년 암스테르담에서 출판된 올퍼트 대퍼의 ''Naukeurige Beschrijvinge der Afrikaensche Gewesten'''에 실렸다.[63]

19세기 후반, 영국은 베냉 왕국과 더 긴밀한 관계를 맺기를 원했다. 1895년 큐 가든을 통해 파라 고무 묘목이 도입된 후, 영국 관리들은 이 지역의 무역을 장악하고 왕국의 팜유, 콜라 열매, 상아, 그리고 잠재적인 고무 자원에 접근하는 데 점점 더 관심을 가졌다.[21][22]

영국은 이러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여러 차례 시도했다. 1862년 페르난도 포 영사였던 리처드 프랜시스 버튼의 공식 방문을 시작으로, 1884년, 1885년, 1886년에 각각 휴잇(Hewtt), 블레어(Blair), 애네슬리(Annesley)가 베냉과 영국 간의 조약 체결을 시도했지만, 모두 실패했다. 베냉 왕국은 1880년대 내내 영국의 보호령이 되는 것을 거부했지만, 영국은 끈질기게 밀어붙였다. 1892년 부영사 헨리 갤리가 방문하여 진전이 있었는데, 이는 버튼의 방문 이후 첫 번째 공식 방문이었으며, 오바 오본람웬(Oba Ovonramwen)의 몰락으로 이어지는 사건들의 시작이었다.

8. 베냉 청동기 반환 문제

1897년, 영국은 징벌 원정을 통해 베냉 시티를 점령하고 궁궐 예술품을 약탈했습니다. 약탈된 예술품 중에는 철, 상아, 청동으로 만든 초상 인물, 흉상 등이 있었으며, 이들은 "베냉 청동기"로 불립니다. 이 유물들은 원정 비용 충당을 위해 매각되었고, 일부는 대영박물관에 소장되었으며, 나머지는 전 세계 여러 박물관에 흩어졌습니다.[27]

2021년 3월, 독일 베를린스코틀랜드 애버딘의 기관들은 소장하고 있는 베냉 청동기를 원래 위치로 반환하기로 결정했습니다.[27] 2017년에는 프랑스의 에마뉘엘 마크롱 대통령이 나이지리아에 약탈된 베닌 청동기 반환을 표명하기도 했습니다.[78]

참조

[1] 서적 The Art of Benin Revised Edition British Museum Press
[2] 웹사이트 What was the Kingdom of Benin? https://www.bbc.co.u[...] 2024-06-19
[3] 논문 Continuities and Discontinuities in Pre-colonial and Colonial Benin Politics (1897–1951) http://dx.doi.org/10[...] Routledge 2023-01-27
[4] 뉴스 The kingdom of Benin https://www.bbc.co.u[...] 2022-12-19
[5] 웹사이트 The Kingdom of Benin https://education.na[...] 2022-12-19
[6] 논문 Benin Prehistory. The Origin and Settling Down of the Edo https://www.research[...] 1999-01-01
[7] 서적 Forgotten Africa: An Introduction to Its Archaeology https://archive.org/[...] Routledge
[8] 웹사이트 Nigerian Traditional States http://www.worldstat[...] 2016-11-17
[9] 웹사이트 The Ada and Eben Scepters http://www.edoworld.[...] 2023-01-23
[10] 웹사이트 Ada And Eben Sceptre As Symbols of Authority in Benin https://www.edoaffai[...] 2023-01-23
[11] 웹사이트 History http://www.beninroya[...] 2023-01-23
[12] 서적 The Cambridge History of Africa, Volume 3: From c. 1050 to c. 1600 Cambridge University Press
[13] 웹사이트 Ewuare the Great https://www.britanni[...] 2024-06-19
[14] 논문 A Reconsideration of the Ife-Benin Relationship 1965-03-01
[15] 서적 Africa's Glorious Legacy
[16] 서적 The Benin City Pilgrimage Stations https://books.google[...] Aisien Publishers
[17] 논문 Ludewig Ferdinand Römer's 'Nachrichten von der Küste Guinea' (Mid-18th Century) as a Source on the Benin Kingdom History and Culture https://www.research[...]
[18] 웹사이트 Kingdom of Benin https://www.worldhis[...] 2023-03-18
[19] 서적 #추정
[20] 서적 The Kingdom of Benin in West Africa https://archive.org/[...] Benchmark Books
[21] 서적 The Benin massacre http://archive.org/d[...] London : Methuen 1897
[22] Master The Sustainability of Agriculture in Nigeria Using Rubber as a Case Study https://dc.etsu.edu/[...] East Tennessee State University
[23] 서적 Britain's Forgotten Wars
[24] 간행물 #추정 Advising the deposition of the Benin King National Archives of Nigeria, Enugu 1896-11-17
[25] 서적 Benin under British Administration: the Impact of Colonial Rule on an African Kingdom, 1897-1938
[26] 웹사이트 Benin the City of Blood https://www.jstor.or[...]
[27] 웹사이트 The kingdom of Benin was obliterated by the British, who still have the evidence on display https://www.abc.net.[...] 2021-07-11
[28] 논문 Slavery and Emancipation in Benin, 1897–1945
[29] 서적 Violent Ethno-Communual Conflicts as a Legacy of Indirect Rule in Africa: Understanding the Jesse-Urhobo-Benin-Edo Land Conflicts of 1998
[30] 서적 An Aspect of British Colonial Policy in Southern Nigeria: The Problems of Forced Labour and Slavery, 1895–1928
[31] 웹사이트 Remarkable Historical Figures of Ancient Benin Kingdom – The Centenary Project https://artsandcultu[...] 2021-07-13
[32] 웹사이트 The Oba of Benin Kingdom: A history of the monarchy https://www.aljazeer[...] 2021-07-13
[33] 웹사이트 Women Leaders in African History: Idia, First Queen Mother of Benin https://www.metmuseu[...] 2022-09-26
[34] 웹사이트 Emotan, tale of ancient Benin Kingdom on MUSON stage https://guardian.ng/[...] 2021-07-13
[35] 웹사이트 Queen Iden: Selfless intercessor https://guardian.ng/[...] 2021-07-13
[36] 논문 Benin, Oba of Godfrey Okoro, (1899–1978) http://dx.doi.org/10[...] Oxford University Press 2021-07-13
[37] 웹사이트 Benin Kingdom Loses Prominent Chief, As Obaseki Mourns the Obasogie https://tell.ng/beni[...] 2021-07-13
[38] 서적 Understanding Early Civilizations: A Comparative Study https://archive.org/[...] Cambridge University Press
[39] 논문 Slavery and Emancipation in Benin, 1897–1945 https://www.jstor.or[...] 1975
[40] 서적 The Benin Kingdom and the Edo-speaking Peoples of South-western Nigeria Routledge
[41] 논문 Human Sacrifice in Pre-Colonial West Africa 1985-01
[42] 서적 Understanding Early Civilizations: A Comparative Study https://archive.org/[...]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3
[43] 서적 The Benin Kingdom and the Edo-speaking Peoples of South-western Nigeria Routledge
[44] 논문 An Ethnographic and Space Syntax Analysis of Benin Kingdom Nobility Architecture 2014
[45] 서적 African Civilizations: An Archaeological Perspective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1
[46] 서적 The Protection of Archaeological Heritage in Times of Economic Crisis Cambridge Scholars Publishing 2019-03-09
[47] 논문 Four Millennia of Cultural History in Nigeria (ca. 2000 B.C.–A.D. 1900): Archaeological Perspectives 2005-06
[48] 논문 Two thousand years of West African history https://www.academia[...] Academia 2005-01
[49] 서적 Great Benin; its customs, art and horrors http://archive.org/d[...] Halifax, Eng., F. King & Sons, ltd. 1903
[50] 논문 New Light on the Benin City Walls 1967-06
[51] 서적 Nigerian Perspectives: An Historical Anthology Oxford University Press
[52] 서적 Nigerian Perspectives: An Historical Anthology Oxford University Press
[53] 논문 Archaeology of Benin 1972-01
[54] 논문 New Light on the Benin City Walls 1967-06
[55] 웹사이트 Home | Benin Moat Foundation http://www.beninmoat[...]
[56] 뉴스 African Queen https://www.newscien[...] New Scientist 1999-09-11
[57] 뉴스 Story of cities #5: Benin City, the mighty medieval capital now lost without trace https://www.theguard[...] 2018-04-02
[58] Doctoral dissertation The military system of Benin Kingdom, c. 1440–1897 (D) https://ediss.sub.un[...] University of Hamburg 2001-07-23
[59] 서적 Warfare & diplomacy in pre-colonial West Africa University of Wisconsin Press
[60] 서적 #추정
[61] 서적 Critical Readings on Global Slavery https://books.google[...] Brill Publishers
[62] 서적 Warfare & diplomacy
[63] 서적 Naukeurige Beschrijvinge der Afrikaensche Gewesten https://archive.org/[...] Jacob van Meurs 1668
[64] 서적 Naukeurige Beschrijvinge der Afrikaensche Gewesten Jacob van Meurs 1668
[65] 서적 Nauwkeurige Beschryving van de Guinese Goud-tand-en Slave-kust Anthony Schouten 1704
[66] 서적 Nauwkeurige Beschryving van de Guinese Goud-tand-en Slave-kust https://archive.org/[...] Anthony Schouten 1704
[67] 서적 Britain's Forgotten Wars
[68] 웹사이트 Famous Benin Bronzes from West Africa used metal sourced in Germany https://www.newscien[...] 2023
[69] 논문 German brass for Benin Bronzes: Geochemical analysis insights into the early Atlantic trade 2023
[70] 웹사이트 Benin bronzes made from metal mined in west Germany, study finds https://www.theguard[...] 2023-04-05
[71] 뉴스 The kingdom of Benin https://www.bbc.co.u[...] 2023-01-24
[72] 웹사이트 The Story of Ekaladerhan: was Oduduwa Benin or Yoruba? https://www.oluwalan[...] 2021-11-10
[73] 웹사이트 Benin Empire https://www.motleytr[...] 2021-07-09
[74] 웹사이트 The Kingdom of Benin – Precolonial Africa – KS3 History – homework help for year 7, 8 and 9. https://www.bbc.co.u[...] 2024-06-25
[75] 웹사이트 Yoruba Studies https://languages.uf[...] 2024-06-19
[76] 웹사이트 Erinmwinde - Restorer of Peace (4/4) https://nextgenbronz[...] 2024-06-19
[77] 서적 歴史と戦略の本質 - 歴史の英知に学ぶ軍事文化 原書房
[78] 뉴스 欧米博物館の「盗まれた」国宝、今こそ返還の時 https://www.cnn.co.j[...] CNN 2020-06-1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