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트남 공화국 육군 특수부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베트남 공화국 육군 특수부대는 1956년 창설되어 1970년 해체된 남베트남 육군의 특수 부대이다. 창설 초기에는 미국의 지원을 받아 정보 수집, 파괴 공작, 심리전 훈련을 받았으며, 1960년대 초 응오딘 지엠 정권 하에서는 반체제 인사 탄압에 동원되었다. 1963년 쿠데타 이후 육군 소속으로 재편되었으며, 미국과의 협력을 통해 소수 민족을 활용한 작전을 수행했다. 1970년 미군의 철수와 함께 해체되었고, 일부 병력은 다른 부대로 재배치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특수부대 - 콰우틀리
콰우틀리는 아즈텍 사회에서 태양을 상징하는 독수리의 이미지를 따온 최고위 전사 계급으로, 엘리트 훈련을 통해 용맹을 떨치며 귀족과 동등한 사회적 지위와 특권을 누렸다. - 특수부대 - 잠수부
잠수부는 수중 침투를 통해 적에게 은밀하게 접근하여 정찰, 파괴 공작, 목표 타격 등의 특수 작전을 수행하도록 훈련된 군인이며, 다양한 장비와 대잠수부 기술을 활용한다. - 1975년 폐지 - 베트남 공화국
베트남 공화국은 1955년 응오딘지엠이 수립한 국가로, 베트남 전쟁의 주요 무대였으며, 권위주의와 부패, 내전 격화, 미국의 개입을 거쳐 1975년 사이공 함락으로 멸망했다. - 1975년 폐지 - 옥인동
옥인동은 1914년 옥동과 인왕동을 통합하여 만들어졌으며, 옥류동천이 흐르던 지역으로 일제강점기 옥인정으로 불리다가 해방 이후 현재의 이름으로 변경되었고, 수성동 계곡, 박노수 가옥, 윤동주 하숙집 터 등이 있는 서울특별시 종로구의 법정동이다.
베트남 공화국 육군 특수부대 - [군대/부대]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명칭 | 육군 베트남 공화국 특수 부대 |
베트남어 명칭 | Lực Lượng Đặc Biệt Quân Lực Việt Nam Cộng Hòa (LLDB) |
약칭 | LLDB |
로마자 표기 | Luc Luong Dac Biet Quan Luc Viet Nam Cong Hoa |
영어 명칭 | Army of the Republic of Vietnam Special Forces |
부대 역사 | |
창설일 | 1956년 2월 |
해체일 | 1975년 4월 30일 |
국가 | 남베트남 |
소속 | 베트남 공화국군 |
종류 | 특수 부대 |
규모 | 2,873명 (1965년) |
주둔지 | 나트랑 |
별칭 | LLDB |
역할 및 특기 | |
역할 | 공중 강습 공수 부대 근접 전투 대 게릴라전 직접 행동 인간 정보 정글전 군사 정보 산악전 기습 정찰 수색 및 파괴 특수 작전 특수 정찰 비정규전 |
지휘관 | |
주요 지휘관 | 레 꽝 퉁 응오딘뉴 |
전투 및 작전 | |
참전 | 베트남 전쟁 |
식별 | |
표식 | 부대 식별 휘장 |
참고 자료 | |
웹사이트 | Luc Luong Dac Biet (globalsecurity.org) |
2. 창설 및 초기 역사 (1956년 ~ 1960년)
1956년 2월, 냐짱에서 미국의 미군사원조고문단(MAAG) 지도 하에 고딘지엠 대통령이 특수부대 편성 및 훈련을 지시하면서, 제1관측대대(FOG)라는 명칭으로 창설되었다.[8] 초대 군사 고문은 로저스 대령이었으며, 이후 플로이드 파커 대령으로 교체되었다. 창설 당시에는 베트남 공화국군 참모본부 산하 총교육훈련국 소속의 중앙 훈련 별동대가 설치되어 훈련을 담당했다.[8]
지형 개척소의 임무는 특수 부대원의 모집 및 훈련, 그리고 첩보 활동이었다. 임무 내용이 다른 부국으로 제45과 (Phòng 45vi)와 제55과 (Phòng 55vi)를 갖추고 있었다. 제45과는 북부소 (Sở Bắcvi)라고도 불리며, 북베트남에 대한 잠입 및 첩보를 그 임무로 하고 있었다. 이에 대해 제55과는 남부소 (Sở Namvi)라고도 불리며, 베트남 공화국 국내 방첩 등을 그 임무로 하고 있었다. 1961년 이후에는 라오스나 국경 지대에서 활동하기 위해 대대 규모의 독립 전력을 갖추었다.
1956년 말, 총교육훈련국이 해산되고, 전술 첩보 및 방첩 임무는 사회정치연구소로 이관되었다.[8] 특수부대 채용 및 훈련을 담당하는 부서는 연락소(Sở Liên lạcvi)라는 명칭으로 신설되어 대통령 직속으로 운영되었으며, 총교육훈련국장이었던 레꽝쭝Lê Quang Tungvi 중령이 연락소 소장으로 유임되었다.[8] 1960년까지 대부분의 특수부대 부대는 FOG 프로그램에 참여하여 롱탄에서 정보 수집, 파괴 공작 및 심리전(PSYOP) 훈련을 받았다. 주요 임무는 북베트남에서 1~4명으로 구성된 팀을 모집하여 정보, 파괴 공작, 심리전 임무를 수행하도록 훈련시키는 것이었으나, 큰 성과는 없었다.
1960년 4월, 연락소는 지형개척소(Sở Khai thác Địa hìnhvi)로 개명되었으나, 조직이나 임무에는 큰 변화가 없었다.
3. 확대 및 발전 (1961년 ~ 1963년)
응오딘 지엠 정권 하에서는 대 반란 작전도 지형 개척소에 부과된 중요한 임무로 간주되어, 실제 활동에서 차지하는 대 북 첩보 작전의 비율은 점차 감소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월경 및 첩보를 임무로 하는 제1관찰군 (Liên đoàn quan sát số 1vi)이라는 부대가 신설되었다. 1961년 11월, 제1관찰군은 제77군 (Liên đoàn 77vi)으로 개명되었으며, 1963년 2월에는 동종의 임무를 담당하는 제31군 (Liên đoàn 31vi)이 신설되었다. 1963년 3월 15일, 지엠은 제77군과 제31군, 그리고 지형 개척소의 제45과 및 제55과를 통합하여 하나의 특수 부대를 편성한다는 명령을 내렸다. 이렇게 편성된 여단 규모의 특수 부대는 명령 계통상 국방부에 직속되어 있었지만, 실제로는 대통령 직속 부대로 취급되었다. 명령은 대통령부 연락과 (Phòng Liên lạc Phủ Tổng thốngvi)라는 부서에서 발령되었지만, 이 부국의 실체는 레꽝 쭝 대령을 장으로 하는 특수 부대 사령부에 지나지 않았다.
3. 1. 지엠 정권 시기 (1960년대 초)
응오딘 지엠 대통령 통치 기간 동안, 특수부대는 주로 반체제 인사들을 탄압하는 데 사용되었다. 남베트남이 시골 지역에서 베트콩의 공산주의 반란에 맞서 고군분투했음에도 불구하고, 특수 부대는 대부분 쿠데타를 방지하거나 정권 반대자들을 괴롭히기 위해 수도 사이공에 배치되었다. 지엠 정권 하에서, 특수 부대는 레꽝 쭝 대령이 지휘했으며, 그는 1,840명의 병력을 관리하며 응오딘 누의 지시를 받았다. 쭝은 CIA가 운영하는 그룹을 이끌었는데, 이들은 북부 출신의 남베트남 공화국군 요원들을 현지인으로 위장시켜 북베트남으로 보내 정보 수집과 공산주의 기반 시설 및 통신 파괴 임무를 수행하게 했다. 이들은 냐짱, 다낭의 기지에서 훈련을 받았으며 때로는 대만, 괌, 오키나와현과 같은 해외 기지에서도 훈련을 받았다. 1963년에 낙하산 투하나 야간 삼판 항해를 통해 투입된 80개 조작반 중, 각 조작반은 6~7명으로 구성되었으며, 거의 모든 요원들이 생포되거나 사망했다. 생포된 요원들은 북베트남에 의해 종종 선전에 이용되었다. 쭝은 작전 관리에 대해 심한 비판을 받았다.
4. 불교도 위기 및 쿠데타 (1963년)
1963년, 남베트남은 가톨릭 중심의 응오딘지엠 정권의 차별에 항의하는 불교도들로 인해 시민 불안에 직면했다. 부처님 오신 날에 석가모니 부처의 생일에 불교 깃발 금지령을 어겼다는 이유로 9명의 불교 시위자들이 사격당한 후, 종교적 평등을 요구하는 대규모 시위가 전국에서 일어났다. 지엠에 대한 반대가 커지면서, 응오딘누는 이 운동이 활동을 조직하고 있던 사이공 최대의 불교 중심지인 사러이 사원에 대한 공격을 계획했다. 응오딘누의 명령을 받은 레꽝쭝의 특수 부대는 1963년 8월 21일 사러이 사원 습격 사건/Xá Lợi Pagoda raids영어을 주도하여 1,400명의 승려가 체포되고 수백 명이 사망한 것으로 추정되며, 광범위한 재산 피해가 발생했다. 이러한 공격은 전국적으로 동기화된 방식으로 반복되었다. 공격 이후, 미국 관리들은 특수 부대가 반체제 인사 공격이 아닌 공산주의자 격퇴에 사용되지 않으면 원조를 보류하겠다고 위협했다.
레꽝쭝의 부대는 1963년 불교도 공동체에 대한 또 다른 종교 공격을 감행했다. 다낭 근처의 작은 연못에서 매우 큰 잉어가 헤엄치는 것이 발견되었는데, 지역 불교도들은 그 물고기가 석가모니 부처의 제자 중 한 명의 환생이라고 믿기 시작했다. 연못으로의 순례가 더 커지고 더 빈번해지면서, 응오딘칸에게 보고하는 지구 장관과 그의 관리들 사이에서도 불안이 커졌다. 연못에 지뢰를 매설했지만, 물고기는 방해받지 않고 헤엄쳐 다녔다. 연못을 기관총으로 긁어낸 후에도 물고기는 여전히 살아 있었다.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레꽝쭝의 부대가 투입되었고, 연못에 수류탄을 투척하여 잉어가 죽었다. 이 사건은 전 세계 신문에 기적적인 물고기에 대한 기사가 실리면서 더 많은 홍보를 낳았다. ARVN 헬리콥터가 현장에 착륙하기 시작했고, ARVN 공수부대는 마법의 힘을 가지고 있다고 믿는 물로 병을 채웠다.
레꽝쭝은 응오딘누의 요청에 따라 사이공 미국 대사관 밖에서 정부가 조직한 학생 시위를 계획하고 있었다고 한다. 이 계획에서 레꽝쭝과 그의 요원들은 헨리 캐벗 로지 주니어 미국 대사, 다른 주요 관리들, 사원 습격 후 망명을 요청한 불교 지도자 틱 트리 꽝을 암살할 예정이었다.
1963년 11월 1일, ARVN은 응오딘지엠에 대한 쿠데타를 일으켰다. 레꽝쭝이 응오딘지엠을 방어하기 위해 그의 특수 부대에 명령을 내릴 충성스러운 인물임을 알고, 장군들은 그를 정기적인 회의를 구실로 합동 참모 본부(JGS)로 초대했다. 그는 체포되어 부관이자 남동생인 레 꽝 트리우와 함께 처형되었다. 응오딘지엠과 응오딘누도 쿠데타가 성공적으로 끝나고 체포되어 처형되었고, 그 결과 ARVN의 지도부가 바뀌었다.
5. 남베트남 육군(ARVN) 소속 부대로 재편 (1964년 ~ 1970년)
쿠데타 이후 대통령부 연락과는 해체되었다. 구 북부소만이 육군 참모 본부의 일부로 존속되었고, 전투 부대도 재편성되었다. 1964년 7월, 제31군은 제111군으로, 제77군은 제301군으로 개명되었으며, 특수 부대 사령관(Chỉ huy trưởng Lực lượng đặc biệtvi)직이 설치되었다. 1965년 6월 19일, 제111군과 제301군이 해산 및 재편성되어 육군 소속의 특수 부대가 재설치되었다. 이 특수 부대는 사령부(Bộ Tư lệnhvi), 대대 본부(đại đội Tổng hành dinhvi), 중앙 훈련대(trung tâm huấn luyệnvi)를 포함하며, 육군의 4개 군관구 각각에 지휘소(bộ chỉ huyvi)를 설치했다. 임무의 독립성이 높았던 제91공정 레인저군(Tiểu đoàn 91 Biệt cách dùvi)도 특수 부대 사령부 산하에 배치되었다. 이들을 모두 포함한 특수 부대의 전력은 약 5,000명이었다.
1968년 4월 1일, 제91공정 레인저군은 제81공정 레인저군으로 개명되었다. 이 부대는 에 참가하는 것을 전제로 편성되었다.
미국은 민간 비정규 방어 그룹 프로그램(CIDG)을 통해 LLDB를 지원했다. CIDG 캠프는 베트남 공화국 육군 특수부대가 지휘하고, 미 특수부대 고문이 보충했다. 이들은 라오스에서의 정보 수집 작전(델타 작전) 등을 수행했다.
베트남 공화국 육군 특수부대(LLDB)의 가장 큰 작전은 미국 중앙정보국(CIA)과 미국 특수 부대의 자금 및 훈련을 받은 몽타냐드족과 민간 비정규 방어 그룹 프로그램(CIDG)을 통해 진행되었다.[4][5][6][7] 역사적으로 남베트남은 소수 민족, 특히 산악 부족을 열등하게 여겼으며, 이는 LLDB와 CIDG 간의 협력을 약화시켰다.[4][5][6][7] 지휘 및 통제 문제는 1964년 9월 억압받는 민족 해방 전선(FULRO)에 충성하는 부족 집단의 반란으로 이어졌다.[4][5][6][7]
소수 민족은 정보 제공, 정찰, 게릴라전 등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 남베트남은 인종 차별적인 태도에도 불구하고 몽타냐드족의 지원이 필요했으며, LLDB와 몽타냐드족 간의 충돌 발생 시 미국 특수 부대와 호주 특수공수부대(SAS) 고문이 중재자 역할을 했다. 그러나 이들은 남베트남의 프로그램 담당으로 인해 완전한 관할권을 행사할 수 없었다. 베트남화 기간(1969–1972) 동안 미국 고문이 철수하면서, LLDB는 소수 민족 병력을 통제하게 되었고, 이로 인해 소수 민족 병력은 불만을 품게 되었다.
5. 1. 미국과의 협력 및 CIDG 프로그램
미국은 민간 비정규 방어 그룹 프로그램(CIDG)을 통해 LLDB를 지원했다. CIDG 캠프는 베트남 공화국 육군 특수부대가 지휘하고, 미 특수부대 고문이 보충했다. 이들은 라오스에서의 정보 수집 작전(델타 작전) 등을 수행했다.5. 2. 소수민족과의 관계
베트남 공화국 육군 특수부대(LLDB)의 가장 큰 작전은 미국 중앙정보국(CIA)과 미국 특수 부대의 자금 및 훈련을 받은 몽타냐드족과 민간 비정규 방어 그룹 프로그램(CIDG)을 통해 진행되었다.[4][5][6][7] 역사적으로 남베트남은 소수 민족, 특히 산악 부족을 열등하게 여겼으며, 이는 LLDB와 CIDG 간의 협력을 약화시켰다.[4][5][6][7] 지휘 및 통제 문제는 1964년 9월 억압받는 민족 해방 전선(FULRO)에 충성하는 부족 집단의 반란으로 이어졌다.[4][5][6][7]소수 민족은 정보 제공, 정찰, 게릴라전 등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 남베트남은 인종 차별적인 태도에도 불구하고 몽타냐드족의 지원이 필요했으며, LLDB와 몽타냐드족 간의 충돌 발생 시 미국 특수 부대와 호주 특수공수부대(SAS) 고문이 중재자 역할을 했다. 그러나 이들은 남베트남의 프로그램 담당으로 인해 완전한 관할권을 행사할 수 없었다. 베트남화 기간(1969–1972) 동안 미국 고문이 철수하면서, LLDB는 소수 민족 병력을 통제하게 되었고, 이로 인해 소수 민족 병력은 불만을 품게 되었다.
6. 해체 (1970년)
1970년 3월, 미국 특수 부대의 베트남 철수를 앞두고, 미국 베트남 군사 지원 사령부(MACV)는 CIDG(민사통합개발그룹) 기지를 남베트남 육군(ARVN) 국경 레인저 기지로 전환하는 데 동의했다. CIDG 부대 중 가장 높이 평가받던 이동 타격 부대도 ARVN으로의 전환 및 통합을 따랐다.[2] 1970년 8월, 격화되는 베트남 전쟁에서 효과적인 전개가 어려워짐에 따라, 1970년 12월 LLDB는 결국 해산되었다.[2]
이전에 MACV-SOG(MACV의 미국 군사 정찰 부서)와 함께 근무하도록 배정되었던 전 원주민 정찰팀 인원은 합동 참모 본부(JGS)의 정보국("제7기술국")으로 재편성되어 세 개의 섹션으로 나뉘었다.[2]
- 해상 관련 정찰 활동을 처리하고 관리하는 '''해안 방어 사무소'''.[2]
- 남베트남 북부 및 인접한 삼국 접경 지역(베트남, 라오스 및 캄보디아)의 정찰 및 군사 정보를 관리하는 '''연락 사무소'''.[2]
- 남베트남 내의 현장 정찰 활동을 관리하는 '''지형 사무소'''.[2]
장병들은 남베트남 육군 레인저 등 육군의 다른 부대로 보내졌으며, 많은 수가 재편성된 제81 공수 레인저 그룹(베트남어: ''Liên đoàn 81 Biệt cách dù'')의 대원이 되었다.[2] 이 부대는 특수 부대 지휘 하에 있다가 나중에 JGS 지휘하에 배치되었으며, 1968년 구정 공세와 1972년 부활절 공세 동안 안록의 수비대를 베트남 인민군의 포위 공격으로부터 구출하기 위해 전투에 투입되었다.[2] 일부 전 LLDB 인원은 새로운 비밀 부대인 베트남 특수 임무 서비스(SMS)로 편성되었고, 다른 사람들은 베트남 공화국 국가 경찰 야전군(베트남어: ''Cãnh Sát Dã Chiên'' – CSDC)에서 복무했다.[3] 베트남 전쟁 중 약 5,000명의 인원이 특수 부대에서 복무했다. 사이공 함락 이후 탈출에 실패한 사람들은 재교육 수용소로 보내졌다.
7. 주요 지휘관
레꽝쭝(Lê Quang Tung) 레꽝쭝/Lê Quang Tungvi 대령은 초대 사령관으로 1963년 쿠데타로 암살되었다. 레반졤(Lê Văn Nghiêm) 중장이 1963년부터 1964년까지 지휘관을 역임했다. 판딘트(Phan Đình Thứ) 판딘트/Phan Đình Thứvi 대령은 1964년에, 도안반꽝(Đoàn Văn Quảng) 도안반꽝/Đoàn Văn Quảngvi 대령(이후 준장)은 1964년부터 1969년까지 지휘관을 맡았다. 팜반푸(Phạm Văn Phú) 판딘트/Phạm Văn Phúvi 준장은 1969년과 1970년에, 호띠에우(Hồ Tiêu) 대령은 1970년에 마지막 사령관을 역임하였다.
참조
[1]
웹사이트
South Vietnam - Special Forces - Luc Luong Dac Biet (LLDB)
https://www.globalse[...]
[2]
서적
South-East Asian Special Forces
1991
[3]
서적
La Police de Campagne du Sud-Vietnam 1967–1975
2005
[4]
서적
U.S. Army Special Forces, 1961–1971
1973
[5]
간행물
MACV-SOG Command History
1990
[6]
서적
Inside the Green Berets
1983
[7]
서적
Green Berets at War
1985
[8]
문서
Lữ Giang, "Ai đã giết anh em Đại tá Lê Quang Tung? Những câu hỏi và trả lời 47 năm sau"
[9]
웹인용
Luc Luong Dac Biet
https://www.globalse[...]
2020-12-2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