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김우명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김우명은 1619년에 태어나 1675년에 사망한 조선 시대의 문신이다. 김육의 아들이자 명성왕후의 아버지이며, 1661년 청풍부원군에 봉해지고 영돈녕부사를 역임했다. 관직 생활 동안 부평부사, 사재감 첨정 등을 거쳤으며, 아버지 김육 사후 서인 내 한당의 지도자가 되었다. 1674년 허적을 지지하며 남인과 연대했고, 홍수의 변에 연루되어 논란을 빚었다. 1675년 관직에서 물러난 후 사망했으며, 사후 영의정에 추증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알콜 독으로 죽은 사람 - 계양군
    계양군은 조선 세종과 신빈 김씨 사이에서 태어난 왕자로, 계유정난 때 수양대군을 지지하여 공신이 되었고 세조의 신임을 받았으나 술을 즐겨 마셔 비교적 이른 나이에 사망했다.
  • 알콜 독으로 죽은 사람 - 익현군
    익현군은 조선 세종의 14남으로 수양대군의 계유정난을 돕고 좌익공신 1등에 책정되었으며, 술병으로 사망하여 세조가 안타까워하고 시호는 충성이다.
  • 예송 논쟁 관련자 - 윤증
    윤증은 조선 중기 문신이자 소론의 영수로 우의정까지 역임한 정치가였으며, 성리학적·정치적 갈등으로 스승 송시열과 결별하고 탕평책을 지지했으나 당쟁 속에서 뜻을 이루지 못했으며, 실천적 삶을 강조한 무실학을 추구하며 조선 후기 정치와 사상에 큰 영향을 미쳤다.
  • 예송 논쟁 관련자 - 김수항
    김수항은 서인 및 노론의 중진으로 예송 논쟁에서 서인 측 입장을 대변하고 영의정을 역임했으나 기사환국으로 유배되어 사사된 조선 시대 문신이다.
  • 김육 - 성혼
    성혼은 조광조의 제자이자 이이와 도의를 맺고 이황을 사사한 조선 중기 문신으로, 사림파 서인에 속하여 정여립의 난과 임진왜란 시기에 활동했으며, 이황의 이기이원론을 지지하고 후학 양성에 힘썼다.
  • 김육 - 김집 (1574년)
    사계 김장생의 아들이자 조선 중기 문신이자 예학자인 김집은 율곡 이이, 성혼의 성리학과 송익필의 예학을 계승하고 인조반정 공신을 비판하는 등 강직한 성품을 보였으며, 『신독재문집』 등의 저서를 남기고 많은 제자를 배출하여 조선 후기 예학과 정치에 큰 영향을 미쳐 문묘에 배향되고 동방 18현에 오르는 영예를 누렸다.
김우명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김우명 초상
김우명 초상
이름김우명
한자 표기金佑明
작위조선 현종의 국구
작위명청풍부원군
한자 작위명淸風府院君
출생일1619년 2월 9일 (음력)
사망일1675년 6월 18일 (음력)
아버지김육
어머니파평 윤씨
가문청풍 김씨
시호충익(忠翼)
자녀9남 4녀
비고적자녀 4남 2녀+서자녀 5남 2녀
배우자덕은부부인 은진 송씨

2. 생애

1619년 경기도 가평군 잠곡에서 태어난 김우명은 기묘사화 때 희생된 김식의 후손이다. 1642년 진사시에 합격하고 강릉참봉, 세마(洗馬) 등을 지냈다. 1651년 딸이 세자빈으로 간택되었고, 1659년 효종이 승하하고 현종이 즉위하여 딸 명성왕후가 왕비가 되자, 1661년 국구로서 청풍부원군(淸風府院君)에 책봉되고 영돈녕부사(領敦寧府事)가 되었다. 상의원, 사도시, 장악원, 빙고(氷庫)의 도제조직과 오위도총부 도총관(五衛都摠府都摠管)을 겸임하였다.

1674년, 민신의 대부복상문제를 둘러싸고 남인서인이 대립할 때, 서인 내 한당(漢黨)파의 지도자로서 허적, 윤휴, 허목 등 남인과 동조하여 송시열산당을 공격하였다.[2] 김우명은 본래 서인이었으나 송시열과 사이가 좋지 않았고, 아버지 김육 묘소 문제로 송시열 등과 갈등이 있었다.

1675년 숙종 초 복창군, 복평군 형제의 행패를 탄핵하고, 외손자 숙종에게 위협이 되는 왕의 당숙들인 복창군, 복선군, 복평군 삼형제를 제거하려다 혐의점이 없어 실패, 윤휴 등의 역공격을 받고 몰락했다.[2] 이후 남인과 서인 산림의 비판이 심해지자 두문불출하였다. 허목윤휴는 삼복이 궁녀들과 간통한 증거가 없다며 김우명을 반좌율로 처단해야 한다고 상소했다. 숙종이 이를 시행하려 하자 명성왕후는 소복 차림으로 정청으로 달려와 대성통곡하였다. 이때 윤휴허목, 홍우원 등 남인 강경파들이 대비의 정청 출현을 비판하였다가 숙종의 노여움을 사 남인 몰락의 단초를 제공한다.

결국 김우명은 실의에 빠져 같은 해에 모든 관직을 사임하고 두문불출하며 술로 여생을 보내다가 2개월 후인 1675년 6월 18일 홧병과 술독의 후유증으로 사망했다. 사후 증 의정부영의정추증되었다. 자는 이정(以定), 시호는 충익(忠翼)이다. 대동법을 시행한 김육의 차남이며, 숙종 때 서인 중진 김석주의 숙부이다.

2. 1. 초기 생애

1619년 경기도 가평군 잠곡에서 태어났다. 기묘사화 때 살해된 김식의 후손으로, 군자감판관을 지내고 증 의정부좌찬성에 추증된 김비(金力)의 증손이자, 할아버지는 참봉 증 영의정 김흥우(金興宇)이고, 아버지는 영의정을 지낸 김육이며, 어머니는 파평 윤씨(坡平尹氏)로 증 이조 참의(吏曹參議)에 추증된 진사 윤급(尹汲)의 딸이다. 그는 뒤에 5촌 아저씨인 김지(金址)의 양자로 입양되었다.

위로 형 김좌명이 있었는데 훗날 김석주의 아버지이다. 아버지 김육은 일찍이 고아가 되어 어려운 상황에 놓여 있었는데, 그들 형제가 태어날 무렵에 집을 마련하지 못해 잠곡의 외숙부의 토지에 토굴을 마련해놓고 몇 년 후 집을 마련하였다.

증조부 김비의 차남이자 종증조부인 김흥록(金興祿)이 부모의 상중에 병을 얻어 죽고, 그 아들이자 김우명의 5촌 아저씨 김지(金址)는 일찍 죽자 김지의 부인 정씨(鄭氏)의 청으로 김지의 양자가 되었다. 김흥록의 증 의정부좌찬성 증직과 김지의 증 의정부영의정 증직은 그가 국구로서 보국숭록대부 영돈녕부사가 되면서 추증된 관직들이다.

아버지 김육

2. 2. 관직 생활과 왕실과의 인연

1642년 진사시에 합격하고 강릉참봉, 세마(洗馬) 등을 역임했다. 1651년 딸이 세자빈에 간택되었으며, 1659년 효종이 승하하고 현종이 즉위하여 딸 명성왕후가 왕비로 책봉되자 1661년 국구로서 청풍부원군(淸風府院君)에 책봉되고 영돈녕부사(領敦寧府事)가 제수되었다. 상의원, 사도시, 장악원, 빙고(氷庫)의 도제조직과 오위도총부 도총관(五衛都摠府都摠管)을 겸임하였다.

1674년, 민신(閔愼)의 대부복상문제(代父服喪問題)를 둘러싸고 남인서인이 대립하자, 서인 내 한당(漢黨)파의 지도자로서 허적, 윤휴, 허목 등 남인과 동조하여 송시열산당을 공격하는데 가담하였다.[2]

본래 서인 당원이었으나 송시열과 사이가 좋지 않았으며, 아버지 김육의 묘소 수도 문제로 송시열 등과 알력이 생겼다. 1674년 민신의 대부복상문제를 둘러싸고 남인과 서인이 대립하자 허적에 동조, 왕실 세력을 배경으로 하는 한당(漢黨)의 중심 세력이 되었다. 이때 외서내남(外西內南)이라는 평을 받았다. 사옹원제조, 오위도총부 도총관(都摠管), 호위대장(扈衛大將) 등에 임명되었다.

1675년 숙종 초 복창군, 복평군 형제의 행패를 탄핵하고, 외손자 숙종에게 위협이 되는 왕의 당숙 복창군, 복선군, 복평군 삼형제를 제거하려다 혐의점이 없어 실패, 윤휴 등의 역공격을 받고 몰락했다.[2]

2. 3. 서인 내 갈등과 남인과의 관계

김우명은 본래 서인 당원이었으나 김육 묘소의 수도 문제[3]와 민신의 대부복상 문제 등으로 송시열 등과 갈등하였다. 1674년 민신의 대부복상문제를 둘러싸고 남인과 서인이 대립하자, 서인 내 한당(漢黨)파의 지도자로서 허적, 윤휴, 허목 등 남인과 동조하여 산당송시열 등을 공격하는데 가담하였다.[2]

1675년(숙종 1년) 숙종 초, 복창군, 복평군 형제의 행패를 탄핵하였으며, 외손자인 숙종에게 위협이 되는 왕의 당숙들인 이들 삼형제를 제거하려다 실패하고 윤휴 등의 역공격을 당하고 몰락했다. 그 뒤 남인 및 서인 산림의 비판이 더욱 심해지자 두문불출하였다.

제2차 예송 논쟁 당시 민신(閔愼)의 대부복상문제를 계기로 남인의 예론을 지지, 남인 온건파인 허적에게 동조, 협력하여 송시열 등을 공격하였다. 1675년 인조의 삼남 인평대군의 세 아들 복창군복선군, 복평군(이른바 삼복)이 숙종에게 위협이 된다고 보고, 그해 2월 이들이 궁녀와 사통하였다, 다른 마음을 먹고 있다고 모함하여 죽이려 한 이른 바 홍수의 변에 가담하였다가 남인인 윤휴, 허목 등과 계속되는 갈등을 빚었다.

허목윤휴는 삼복이 궁녀들과 간통한 증거가 없다며 허위 사실로 무고한 김우명을 반좌율로서 처단해야 한다는 상소를 올렸다. 숙종이 이를 시행하려 하자 모후인 명성왕후는 소복 차림으로 정청으로 달려와 대성통곡하였다. 이때 윤휴와 허목, 홍우원 등 남인 강경파들이 대비의 정청 출현을 비판하였다가 숙종의 노여움을 사 남인 몰락의 단초를 제공한다.

2. 4. 홍수의 변과 몰락

1675년(숙종 1년) 인조의 삼남 인평대군의 세 아들 복창군, 복선군, 복평군(이른바 삼복)이 숙종에게 위협이 된다고 보고, 그해 2월 이들이 궁녀와 사통하였다, 다른 마음을 먹고 있다고 모함하여 죽이려 한 이른 바 홍수의 변에 가담하였다가 남인인 윤휴, 허목 등과 계속되는 갈등을 빚었다.[2]

허목윤휴는 삼복이 궁녀들과 간통한 증거가 없다며 허위 사실로 무고한 김우명을 반좌율로서 처단해야 한다는 상소를 올렸다. 숙종이 이를 시행하려 하자 모후인 명성왕후는 소복 차림으로 정청으로 달려와 대성통곡하였다. 이때 윤휴허목, 홍우원 등 남인 강경파들이 대비의 정청 출현을 비판하였다가 숙종의 노여움을 사 남인 몰락의 단초를 제공한다. 한편 오정창(吳挺昌), 윤휴 등은 그를 대질심문할 것을 계속 숙종에게 요청하였다.

그러나 남인 측에서는 그가 딸인 명성왕후를 사주하여 처벌을 모면하려 했다고 계속 비판을 가했다. 결국 김우명은 실의에 빠져 같은 해에 모든 관직을 사임한 뒤 두문불출하고 술로 여생을 보내다가 2개월 후인 1675년 6월 18일 홧병과 술독의 후유증으로 사망했다. 항년 56세였다. 대왕대비전 등에서 내관을 보내 조문했고, 숙종은 관곽과 장례용품을 보내게 하였다.

2. 5. 사망과 후대

1675년(숙종 1년) 숙종복창군, 복평군 형제의 행패를 탄핵하고, 외손자인 숙종에게 위협이 되는 왕의 당숙인 복창군, 복선군, 복평군 삼형제를 제거하려 했으나 혐의점이 없어 실패하고 윤휴 등의 역공격을 당하고 몰락했다.[2] 그 뒤 남인 및 서인 산림의 비판이 더욱 심해지자 두문불출하였다. 이후 술병과 홧병으로 사망하였다.

그는 본래 서인 당원이었으나 민신의 대부복상 문제와 부친 김육 묘소의 수도 문제 등으로 송시열 등과 갈등하기도 했다. 사후 증 의정부영의정추증되었다. 자는 이정(以定), 시호는 충익(忠翼)이다. 대동법을 시행, 추진한 김육의 차남이며, 숙종대의 서인 중진 김석주의 숙부이다. 또한 효의왕후의 친정아버지 김시묵은 그의 5대손이다.

강원도 춘성군 서면 안보1리(현, 춘천시 서면 안보1리) 산25-1에 매장되었고, 묘비문은 이민서(李敏敍)가 썼다. 행장은 조카 김석주가 지었다. 그의 묘소에서 가평을 지나 경기도 남양주시 삼패동 산 29-1번지에는 형 김좌명의 묘소와 후일 이장된 조카 김석주 등의 묘소가 있다. 김우명의 묘는 대한민국에 와서 강원도 기념물 제20호로 지정되었다.

사후 증직으로 증 대광보국숭록대부 의정부 영의정에 추증되었다.[4] 1681년(숙종 6년) 12월 4일 충익의 시호가 추서되었다. 숙종이 내린 시호 증시 교지는 후일 청풍부원군김우명상여(중요민속자료 120호)와 김우명영정과 함께 그의 12세손 김성구가 국립춘천박물관에 기증하였다.

그의 후손 중에서는 명성왕후 외에도 정조효의왕후가 배출되었는데, 효의왕후의 친정아버지 김시묵은 그의 아들 김석연의 4대손이었다.[5] 그의 또다른 후손들 중 일부는 몰락하여 강원도 춘성에 정착했는데, 후일 일제강점기의 소설가 김유정의 선조가 된다.

3. 가족 관계

관계이름비고
아버지김육1580년 ~ 1658년
어머니파평 윤씨진사 윤급(尹汲)의 딸
청릉부원군 김좌명
누나황도명(黃道明)의 처
정부인덕은부부인 은진 송씨1621년 ~ 1660년, 송국택(宋國澤)의 딸
장남김만주(金萬周)1639년 ~ 1657년
장녀명성왕후1642년 ~ 1684년
사위조선 현종18대 국왕, 1641년 ~ 1674년
외손녀명선공주1659년 ~ 1673년
외손자숙종 (조선)19대 국왕, 1661년 ~ 1720년
외손녀명혜공주1662년 ~ 1673년
외손녀명안공주1665년 ~ 1687년
차남김석익(金錫翼)1645년 ~ 1686년
3남김석연1648년 ~ 1723년[6]
자부전주 이씨이정한의 딸[7]
손자김도제(金道濟)
손자김도함(金道涵)
손자김도흡(金道洽)
차녀청풍 김씨1653년 ~ 1685년
사위안동 권씨 권익흥(權益興)1653년 ~ 1691년[8]
외손녀권강적(權康赤)1677년 ~ ?
외손자권득석(權得石)1678년 ~ ?
외손녀권소강적(權小康赤)1679년 ~ ?
4남김석달(金錫達)1657년 ~ 1687년[9]
자부전주 이씨인평대군의 손녀이자 복녕군 욱의 딸
손자김도협(金道浹)생부 : 김석연
측실홍씨[10]
서자김석구(金錫耉)


4. 평가

김우명은 대동법 시행을 놓고 김집 등과 갈등했던 김육의 아들로, 김육의 장례식 때 왕에게만 허용된 수도(隧道)를 사용한 문제로 산림 측과 갈등했다.[3] 또한 송시열이 숙종의 탄생을 경하하지 않는다고 오해하여 그를 미워했다. 숙종 즉위 초, 인평대군의 세 아들(복창군, 복선군, 복평군)을 모함하여 죽이려 한 홍수의 변에 가담했다가 남인과 갈등을 빚었다. 이 사건으로 허목윤휴는 김우명을 반좌율로 처단해야 한다고 주장했지만, 명성왕후의 반대로 무산되었고, 오히려 남인이 몰락하는 계기가 되었다.

4. 1. 부정적 평가

김우명은 김육의 장례식 때 왕에게만 허용된 수도(隧道)를 사용한 것을 산림 측이 지적한 일로 원한을 품었다.[3] 송시열이 숙종의 탄생을 경하하지 않는다고 오해하여 미워했다. 1675년에는 인평대군의 세 아들(복창군, 복선군, 복평군)을 모함하여 죽이려 한 홍수의 변에 가담했다가 남인과 갈등을 빚었다. 허목윤휴는 삼복 형제가 궁녀와 간통했다는 증거가 없다며 김우명을 반좌율로 처단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명성왕후의 반대로 무산되었고, 오히려 남인이 몰락하는 계기가 되었다. 남인은 김우명이 명성왕후를 사주하여 처벌을 피하려 했다고 비판했다. 김우명은 실의에 빠져 관직을 사임하고 술로 여생을 보내다 1675년 6월 18일 사망했다. 조선왕조실록에는 김우명의 성품이 어리석고 거만하였다고 기록되어 있다.[11]

5. 기타

홍수의 변을 무고했다는 이유로 김우명에 대한 처벌이 논의되어 확정될 때, 딸인 명성왕후가 나타나 곡을 하였고, 김우명에 대한 처벌은 무마되었다. 그러나 이 과정에서 윤휴는 여인이 정치에 관여한다며 질타한 뒤, 숙종에게 대비를 조관하라고 건의했다. 대비를 조관하라는 윤휴의 발언에 숙종의 비위가 상했고, 이후 윤휴는 왕의 눈밖에 나게 되었다.

허적복평군, 복창군 등이 연루되었다는 주장의 출처가 불명확하다며 그들의 무고를 주장했다. 그러나 뒤에 허적의 옥사 때, 역공격의 소재로 활용되어 서인들은 허목이 복창군, 복평군의 하수인이라 그들을 적극 감쌌다며 공세를 폈다. 당시 그를 가리켜 일각에서는 '외서내남'(外西內南)이라는 비판과 조롱이 있었다고 전해진다. 그는 남인 강경파인 허목과도 친분관계가 있었는데, 이점 역시 다른 서인들로부터 비방과 험담의 소재가 되었다.

6. 관련 작품

金佑明|김우명중국어을 연기한 배우는 다음과 같다.


  • 1995년 SBS 드라마 장희빈에서 김인태가 연기하였다.

참조

[1] 문서 적자녀 4남 2녀+서자녀 5남 2녀
[2] 문서 한편 복창군, 복평군 일가는 그의 가까운 사돈관계이기도 했다
[3] 문서 본래 묘지의 수도는 왕만 쓰게 되어 있었다.
[4] 서적 박물관 속의 한국사 휴머니스트 2008
[5] 문서 김육-김우명-김석연-김도함-김성응-김시묵-효의왕후
[6] 문서 송시열의 아들인 송기태와 동서간이다.
[7] 문서 덕흥대원군의 현손녀
[8] 문서 정숙옹주의 외증손자
[9] 문서 김석달의 처숙들이 복창군, 복평군, 복선군 등 삼복이다.
[10] 문서 허견의 처인 홍예영의 언니
[11] 간행물 청풍 부원군 김우명의 졸기 숙종실록 1678-01-1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