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본초 자오선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본초 자오선은 12간지 중 자시(밤 12시)와 오시(낮 12시)에서 유래된 용어로, 경도 0°를 기준으로 삼는 가상의 선이다. 고대부터 다양한 기준이 사용되었으며, 프톨레마이오스는 카나리아 제도를, 18세기에는 각국의 수도를 기준으로 삼았다. 1884년 국제 자오선 회의에서 그리니치 자오선이 세계의 표준 자오선으로 채택되었으며, 이후 IERS 기준 자오선이 현대적인 기준으로 사용되고 있다. 본초 자오선은 지구뿐 아니라 다른 천체에도 임의로 정의되어 사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시간 및 날짜 및 달력에 관한 - 그레고리력
    그레고리력은 1582년 교황 그레고리오 13세가 율리우스력의 오차를 수정하기 위해 제정하여 400년에 97번의 윤년을 두는 방식으로 개선되었으며, 현재 전 세계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역법이다.
  • 시간 및 날짜 및 달력에 관한 - 태양력
    태양력은 지구의 공전 주기를 바탕으로 계절 변화를 예측하는 역법으로, 이집트에서 시작되어 율리우스력과 그레고리력으로 발전하며 현재 세계 대부분 국가에서 사용되고 있다.
  • 잉글랜드의 발명품 - 기관총
    기관총은 자동 사격이 가능하며, 19세기 개틀링 건에서 시작되어 맥심 기관총을 거쳐 발전했고, 제1차 세계 대전을 거치면서 참호전의 주요 무기가 되었으며, 냉각 방식, 사용 탄약, 작동 방식에 따라 종류가 나뉘어 제압 사격, 지역 거부 등의 목적으로 사용된다.
  • 잉글랜드의 발명품 - 진공관
    진공관은 진공 상태 용기 내부에 전극을 갖춘 전자 장치로, 다이오드와 트라이오드 발명 후 20세기 중반까지 널리 쓰였으나 트랜지스터 등장으로 사용이 줄었지만, 고주파/고출력 분야나 오디오 앰프 등 특정 분야에서 다양한 종류로 여전히 사용되고 있다.
  • 시간대 - 남아프리카 표준시
    남아프리카 표준시는 남아프리카 공화국, 레소토, 에스와티니에서 사용되며, 서머타임을 실시하지 않고 중앙아프리카 시간과 동일하다.
  • 시간대 - 한국 표준시
    한국 표준시는 대한민국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 사용되는 표준 시간으로, 동경 135도(UTC+09:00)를 기준으로 하며, 과거에는 변경된 역사가 있고 일광 절약 시간제(서머타임)가 시행되기도 했다.
본초 자오선
지도 정보
기본 정보
이름본초 자오선
로마자 표기Boncho Jawoseon
영어 이름Prime meridian
설명경도가 0°로 정의되는 경선
위치
현재 기준IERS 기준 자오선
역사적 기준그리니치 천문대의 에어리 자오환에서 동쪽으로 102.5m (112야드) 떨어진 위치
설명역사적 본초 자오선은 실제 본초 자오선의 서쪽에 위치함
추가 정보
정의국제 협정에 따라 경도 0°로 정의됨
방향지구가 직접 회전하는 경우 서쪽 경도를 사용하고, 역회전하는 경우 동쪽 경도를 사용함. 지구, 태양, 달은 직접 회전하므로 동서로 180°까지 경도를 표시하거나, 동쪽으로 360°까지 표시함

2. 어원

자오선이란 12간지에 따른 12시 중 자(子)시와 오(午)시를 뜻하는 것으로, 자시는 밤 12시(00시), 오시는 낮 12시를 나타낸다. 본초자오선은 '밤 12시와 낮 12시가 근본적으로 시작되는 선'이란 의미를 지닌다.[59]

3. 역사

그리니치 천문대의 본초 자오선


18세기에는 유럽 대부분의 국가들이 자국의 수도를 통과하는 자오선을 기준으로 삼았다. 예를 들어 프랑스파리 자오선, 프로이센베를린 자오선, 덴마크코펜하겐 자오선, 영국그리니치 자오선을 사용했다.

1765년부터 1811년까지 네빌 매스클라인은 그리니치 왕립 천문대의 자오선을 기준으로 49권의 《항해연감》을 출판했다. 매스클라인의 표는 육분의나 옥탄트를 이용한 천문항법을 가능하게 했을 뿐만 아니라, 그리니치 자오선을 보편적인 기준으로 만들었다. 프랑스어 번역판에서조차 파리 자오선이 아닌 그리니치 자오선을 기준으로 한 매스클라인의 계산을 그대로 사용했을 정도였다.

1884년, 워싱턴 D.C.에서 열린 국제 자오선 회의에서 22개국이 그리니치 자오선을 세계의 주요 자오선으로 채택하는 데 투표했다.[103] 프랑스는 아소르스 제도베링 해협을 지나는 중립적인 선을 주장했지만, 결국 기권하고 1911년 이후 그리니치 자오선을 본초 자오선으로 인정했다.

3. 1. 고대 ~ 중세

그리스에서의 경도 개념은 알렉산드리아의 에라토스테네스(기원전 276년~195년경)와 로도스의 히파르코스(기원전 190년~120년경)에 의해 발전되었고, 지리학자 스트라보(기원전 64/63년~기원후 24년경)에 의해 많은 도시에 적용되었다. 하지만 프톨레마이오스(기원후 90년~168년경)가 그의 ''Geographia''에서 세계 지도에 일관된 자오선을 처음 사용했다.

프톨레마이오스의 제1투영도. 1300년경 막시무스 플라누데스에 의해 재작성되었으며, 아프리카 서쪽의 카나리아 제도를 기준 자오선으로 사용하여 지도의 왼쪽 가장자리에 위치한다. (여기서 보이는 명확한 중앙선은 두 장의 연결 부분이다.)


프톨레마이오스는 대서양의 섬들인 "포르투나테 제도"를 기준으로 사용했는데, 이는 보통 카나리아 제도(서경 13°~18°)와 관련이 있지만, 그의 지도는 카보베르데(서경 22°~25°)와 더 일치한다. 그의 기준 자오선은 오늘날 윈체스터에서 서쪽으로 18° 40'(약 서경 20°)에 해당한다.[103] 당시 경도를 결정하는 주된 방법은 여러 나라에서 보고된 월식 시간을 사용하는 것이었다.

윌리엄 그리그가 만든 1529년 스페인 파드론 레알의 복사본. 디오고 리베이루가 제작한 사본으로 바티칸 도서관에 소장되어 있다.


프톨레마이오스의 ''지리학''은 1477년 볼로냐에서 지도와 함께 처음 인쇄되었고, 16세기의 많은 초기 지구본도 그의 방법을 따랐다. 크리스토퍼 콜럼버스는 (1493년) 나침반이 대서양 중간 어딘가에서 정확히 북쪽을 가리킨다고 보고했고, 이 사실은 1494년 새로 발견된 땅에 대한 스페인과 포르투갈 간의 영토 분쟁을 해결한 중요한 토르데시야스 조약에 사용되었다. 토르데시야스 선은 결국 카보베르데 서쪽 370 리그(2,193킬로미터)로 결정되었다.[4][5][6] 이는 디오고 리베이루가 1527년과 1529년에 제작한 스페인의 파드론 레알 사본에 나와 있다. 아소르스 제도의 산미구엘 섬(서경 25.5°)은 1594년 크리스토퍼 삭스턴에 의해 같은 이유로 여전히 사용되었지만, 그 당시에는 영자기 편각선이 경도선을 따라가지 않는다는 것이 입증되었다.

아브라함 오르텔리우스가 1571년에 제작한 아프리카 지도. 카보베르데를 기준 자오선으로 사용했다.


자코모 칸텔리가 1682년에 제작한 동아시아 지도. 카보베르데를 기준 자오선으로 사용했으며, 일본은 따라서 동경 약 180°에 위치한다.


1541년, 메르카토르는 유명한 41cm 지구본을 제작하고 기준 자오선을 카나리아 제도의 푸에르테벤투라(서경 14°1')를 정확히 통과하도록 그렸다. 그의 후기 지도는 자기 가설을 따라 아소르스 제도를 사용했다. 그러나 오르텔리우스가 1570년에 최초의 근대 아틀라스를 제작했을 무렵에는 카보베르데와 같은 다른 섬들이 사용되기 시작했다. 그의 아틀라스에서 경도는 0°에서 360°까지 계산되었다.[7] 1634년, 리슐리외 추기경은 파리에서 서쪽으로 19° 55' 떨어진 카나리아 제도의 가장 서쪽 섬인 엘 히에로를 자오선으로 선택했다. 지리학자 들리슬르는 이것을 20°로 반올림하여 파리 자오선으로 위장했다.[8]

18세기 초, 바다에서 경도 측정을 개선하기 위한 경쟁이 시작되었고, 이는 존 해리슨에 의한 해상 크로노미터의 개발로 이어졌다. 존 플램스티드가 개발하고 에드먼드 핼리가 보급한 정확한 항성표 덕분에 항해사들은 토마스 고드프리와 존 해들리가 개발한 옥탄트를 사용하여 월거리법을 통해 경도를 더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게 되었다.

18세기에는 유럽의 대부분의 국가가 수도를 통과하는 자체 '기준' 자오선을 채택했다. 프랑스에서는 파리 자오선, 프로이센에서는 베를린 자오선, 덴마크에서는 코펜하겐 자오선, 영국에서는 그리니치 자오선이 기준이었다.

1765년부터 1811년까지 네빌 매스클라인은 그리니치 왕립 천문대 자오선을 기준으로 ''해양 연감'' 49호를 발표했다. 매스클라인의 표는 월거리법을 실용적으로 만들었을 뿐만 아니라 그리니치 자오선을 보편적인 기준점으로 만들었다. 심지어 ''해양 연감''의 프랑스어 번역본조차도 다른 모든 표가 파리 자오선을 기준으로 고려했음에도 불구하고 그리니치의 매스클라인의 계산을 유지했다.

3. 2. 근대 초 ~ 19세기

18세기에는 프랑스에서는 파리 자오선을, 프로이센에서는 베를린 자오선을, 덴마크에서는 코펜하겐 자오선을, 영국에서는 그리니치 자오선을 기준으로 삼는 등 대부분의 유럽 국가들이 자국의 수도를 통해 자오선을 조정했다.

1765년부터 1811년까지 네빌 매스클라인은 그리니치 왕립 천문대의 자오선을 기초로 한 49권의 《항해연감》을 출판했다. 매스클라인의 표는 육분의나 옥탄트를 통한 천문항법을 실행 가능하게 했을 뿐만 아니라 그리니치 자오선을 보편적인 기준점으로 만들었다. 프랑스어 번역판마저도 파리 자오선이 아닌 그리니치 자오선을 기준으로 한 매스클라인의 계산을 그대로 사용했다.

1884년에 워싱턴 D.C.에서 열린 국제 자오선 회의에서 22개국이 그리니치 자오선을 세계의 주요 자오선으로 채택하는 데 투표했다.[103] 프랑스는 아소르스 제도베링 해협을 통한 중립 노선을 주장했지만 결국 기권하고 1911년 이후 그리니치 자오선을 본초 자오선으로 인정했다.

3. 3. 국제 자오선 회의 (1884)

18세기에는 유럽 대부분의 국가가 수도를 통과하는 자체 '기준' 자오선을 채택했으므로, 프랑스에서는 파리 자오선이 기준이었고, 프로이센에서는 베를린 자오선이, 덴마크에서는 코펜하겐 자오선이, 영국에서는 그리니치 자오선이 기준이었다.

1765년부터 1811년까지 네빌 매스클라인은 그리니치 왕립 천문대 자오선을 기준으로 ''해양 연감'' 49호를 발표했다. 매스클라인의 표는 월거리법을 실용적으로 만들었을 뿐만 아니라 그리니치 자오선을 보편적인 기준점으로 만들었다. 심지어 ''해양 연감''의 프랑스어 번역본조차도 다른 모든 표가 파리 자오선을 기준으로 했음에도 불구하고 그리니치의 매스클라인의 계산을 유지했다.[103]

1884년 워싱턴 D.C.에서 열린 국제 자오선 회의에서 22개국이 그리니치 자오선을 세계의 기준 자오선으로 채택하는 데 투표했다.[9] 프랑스는 아소르스 제도베링 해협을 언급하면서 중립적인 선을 주장했지만, 결국 기권했고 1911년까지 파리 자오선을 계속 사용했다.

4. 국제 본초 자오선

IERS 기준 자오선이 제정되기 이전인 1960~1970년대까지 국제적인 본초 자오선으로는 그리니치 천문대를 기준으로 한 그리니치 자오선이 오랫동안 사용되었다.[60] 이는 IERS 기준 자오선에서 서쪽으로 5.3101초, 거리로는 102.478m 지점을 통과한다. 이 두 자오선은 지구 전체적으로 매우 가까워 현재도 일반적인 설명에서는 “그리니치 자오선”이 “본초 자오선”의 의미로 사용되는 경우가 있다.[60]

일본의 측량법 체계에서도 경도의 기준으로 국제 지구 기준 좌표계(ITRF)에서 경도 0도의 자오선을 채택하고 있지만,[61][62][63] 엄밀히 말하면 현대 좌표계의 정의는 그렇지 않다. 현대에는 방향의 기준이 우주 측지 관측소의 위치에서 반대로 정의되어 있다.[64]

일본에서 “본초 자오선”을 정한 법령은 다음과 같으며 이 규정은 현재도 효력이 있다.[65][66]

게랄두스 메르카토르의 ''Atlas Cosmographicae''(1595년)에서는 서경 25도선 부근이 본초 자오선으로 되어 있다. 이 자오선은 대서양아소르스 제도 산타마리아섬 바로 서쪽을 통과한다. 180도 경선은 당시 존재가 믿어졌던 아니안 해협을 통과하고 있다.


국제지구자전 및 기준계 사업(IERS)에서 정의하고 유지하는 측지계인 국제지구기준좌표계(ITRF)의 X축 방향은 IERS 기준 자오선을 따른다. 미국 국방부가 운영하는 GPS의 기준 좌표계인 WGS 84의 기준 자오선도 이것을 사용한다.

IERS 기준 자오선을 기준으로 하면, 그리니치 천문대의 그리니치 자오선(에어리의 자오환)은 1989년 시점에서 서쪽으로 각도로 5.3101초, 거리로는 102.478m 떨어진 위치에 있다.[68][69] 이러한 차이는 그리니치 자오선이 그리니치에서의 국소적인 연직을 사용한 국소좌표계였기 때문에 발생한 것이다. IERS 기준 자오선은 지심좌표계이며, IERS 기준 자오선을 포함하는 평면은 지구의 중력 중심을 통과한다.[70]

최초의 전지구항법위성시스템인 트랜짓(미국이 1960년 전후부터 개발)은 1960년에 제정된 전지구적 측지계(지심좌표계)인 WGS를 기반으로 하며, 그 기준은 북미 측지계 1927에 의한 기지국 좌표를 사용했다. 미국은 1912년부터 공식적으로 그리니치 자오선을 본초 자오선으로 채택했지만, 트랜짓을 이용하여 1969년에 그리니치 자오선의 위치를 측정한 결과, WGS는(또는 북미 측지계를 그대로 지심좌표계로 간주하면) 그리니치 자오선에서 약 102m 동쪽으로 치우친 자오선을 본초 자오선으로 하고 있다는 것이 명확해졌다. 이것이 IERS 기준 자오선이 되었다.

IERS 기준 자오선의 방향은 지구의 대륙판의 움직임의 가중 평균을 따른다.

국제수로기구는 1983년에 모든 해도에서 국제지구기준좌표계를 채택하고 있다.

과거 여러 나라에서 사용되었던 본초 자오선은 다음과 같다.

지명GPS 좌표 (경도)자오선 명칭비고
베링 해협서경 168° 30′
워싱턴 D.C.서경 77° 03′ 56.07″ (1897), 서경 77° 04′ 02.24″ (NAD 27), 서경 77° 04′ 01.16″ (NAD 83)신 해군 천문대 자오선
워싱턴 D.C.서경 77° 02′ 48.0″, 서경 77° 03′ 02.3″, 서경 77° 03′ 06.119″, 서경 77° 03′ 06.276″ (both presumably NAD 27). If NAD27, the latter would be 77° 03′ 05.194″ (NAD 83)구 해군 천문대 자오선
워싱턴 D.C.서경 77° 02′ 11.56258″ (NAD 83), 서경 77° 02′ 11.55880″ (NAD 83), 서경 77° 02′ 11.57375″ (NAD 83)백악관 자오선
워싱턴 D.C.서경 77° 00′ 32.6″ (NAD 83)의사당 자오선
필라델피아서경 75° 10′ 12″
리우데자네이루서경 43° 10′ 19″[94]
푸에르테벤투라섬(카나리아 제도)약 서경 25° 40′ 32″중세까지 사용. 국제 자오선 회의에서 피에르 잔센이 "자연스러운 본초 자오선의 가능성"으로 제안.[95]
엘 이에로섬(페로섬)(카나리아 제도)서경 18° 03′,페로 자오선고대, 프톨레마이오스의 『게오그라피아』에서 사용. "그리니치에서 서쪽으로 17° 39′ 46″"에서 "파리에서 서쪽으로 20°"로 재정의.
리스본서경 9° 07′ 54.862″
마드리드서경 3° 41′ 16.58″
그리니치서경 0° 00′ 05.3101″그리니치 자오선에어리 자오선[96]
그리니치서경 0° 00′ 05.33″United Kingdom Ordnance Survey Zero Meridian영어브래들리 자오선[96]
그리니치서경 0° 00′ 00.00″IERS 기준 자오선
파리동경 2° 20′ 14.025″파리 자오선
브뤼셀동경 4° 22′ 4.71″
앤트워프동경 4° 24′앤트워프 자오선메르카토르가 사용
암스테르담동경 4° 53′Westerkerk영어를 통과하는 경선. 1909년부터 1937년까지 네덜란드의 공식 시간을 정의하는 데 사용.
베른동경 7° 26′ 22.5″
피사동경 10° 24′
오슬로(크리스티아니아)동경 10° 43′ 22.5″
피렌체동경 11° 15′Florence Meridian영어Peters World Map영어에서 사용. 대척점(지구의 반대편)은 베링 해협을 통과.
로마동경 12° 27′ 08.4″Monte Mario영어의 자오선
코펜하겐동경 12° 34′ 32.25″Rundetårn영어의 경도
나폴리동경 14° 15′[95]
스톡홀름동경 18° 03′ 29.8″스톡홀름 천문대의 경도
바르샤바동경 21° 00′ 42″Warsaw Meridian영어
오라데아동경 21° 55′ 16″
알렉산드리아동경 29° 53′[97]
상트페테르부르크동경 30° 19′ 42.09″Пулковский меридиан|풀코보 자오선|en|Pulkovo meridianru풀코보 천문대의 경도
기자의 대피라미드동경 31° 08′ 03.69″1884년 [98]
예루살렘동경 35° 13′ 47.1″성묘 교회의 돔의 경도
메카동경 39° 49′ 34″Mecca Time영어
우자인동경 75° 47′4세기부터 인도의 천문학과 역법에 사용[99]
교토동경 135° 74′1779년부터 1871년까지 일본의 지도와 역법에 사용. 중경구 서월광정의 교토 개력소를 통과하는 경선.
도쿄동경 139° 45′ 10″ (당시 환산)[81]1878년부터 1882년까지 내무성이 사용. 아카사카구 타마이케 아오이초의 내무성 지리국 측량과를 통과하는 경선.[81]
도쿄동경 139° 45′ 46″ (당시 환산)[81]1882년부터 1886년까지 내무성이 사용. 에도성 천수대를 통과하는 경선.[81] 1885년에 내무성과 해군에서 경도를 통일할 때 그리니치 환산값을 변경.
도쿄메이지 초기 내무성이 지도에 사용. 에도성 후지미야구라를 통과하는 경선.[81]
180°그리니치 자오선의 반대편. 1884년10월 13일의 국제 자오선 회의에서 샌포드 플레밍이 제안.[95]


4. 1. 그리니치 자오선과의 관계

18세기에는 프랑스에서는 파리 자오선을, 독일에서는 베를린 자오선을, 덴마크에서는 코펜하겐 자오선을, 영국에서는 그리니치 자오선을 기준으로 삼는 등 대부분의 유럽 국가들이 자국의 수도를 통해 자오선을 조정했다.

1765년에서 1811년까지 네빌 마스켈린은 그리니치 왕립 천문대의 자오선을 기초로 한 49권의 《항해연감》을 출판했다. 마스켈린의 표는 육분의나 팔분의를 통한 천문항법을 실행 가능하게 했을 뿐만 아니라 그리니치 자오선을 보편적인 기준점으로 만들었다. 프랑스어 번역판마저도 파리 자오선이 아닌 그리니치 자오선을 기준으로 한 마스켈린의 계산을 그대로 사용했다.

1884년에 워싱턴 D.C.에서 열린 국제 자오선 회의에서 22개국이 그리니치 자오선을 세계의 주요 자오선으로 채택하는데 표를 던졌다.[103] 프랑스는 아소르스 제도베링 해협을 통한 중립 노선을 주장했지만 결국 기권하고 1911년 이후 그리니치 자오선을 본초 자오선으로 인정했다.

1884년 10월, 미국 워싱턴 D.C.에서 열린 국제 자오선 회의에 참석한 25개국 대표 41명은 그리니치 자오선을 세계 공통 경도 0도와 시간 기준으로 채택했다.[12]

그리니치 천문대에 기반을 둔 역사적인 본초 자오선의 위치는 1851년 조지 비들 에어리 경에 의해 확립되었다. 그것은 그가 처음 관측을 시작한 이후로 에어리 천이 원의 위치에 의해 정의되었다.[14] 그 이전에는 일련의 초기 천이 기구에 의해 정의되었는데, 그중 첫 번째 기구는 두 번째 왕립 천문학자인 에드먼드 핼리가 1721년에 확보한 것이었다. 현재 플램스티드 하우스에 포함된 이 지점은 에어리 천이 원에서 서쪽으로 약 43m에 해당하는 거리에 있다. 1884년 국제 자오선 회의에서 세계의 본초 자오선으로 채택된 것은 에어리의 천이 원이었다.[15][16]

이 모든 그리니치 자오선들은 지구 표면에서의 천문 관측을 통해, 표면의 중력 방향을 따라 수직선을 이용하여 위치가 확인되었다. 이 천문학적 그리니치 자오선은 처음에는 달거리 측정법을 통해, 그 다음에는 배에 실린 크로노미터를 통해, 그리고 해저 통신 케이블을 통해 전신선을 이용하여, 나중에는 무선 시간 신호를 통해 전 세계에 전파되었다.

IERS 기준 자오선이 제정되기 이전(1960~1970년대까지)의 국제적인 본초 자오선으로는 그리니치 천문대를 기준으로 한 그리니치 자오선이 오랫동안 사용되었다. 이는 IERS 기준 자오선에서 서쪽으로 5.3101초, 거리로는 102.478m 지점을 통과한다. 이 두 자오선은 지구 전체적으로 매우 가까워 현재도 일반적인 설명에서는 “그리니치 자오선”이 “본초 자오선”의 의미로 사용되는 경우가 있다.[60]

IERS 기준 자오선을 기준으로 하면, 그리니치 천문대의 그리니치 자오선(에어리의 자오환)은 1989년 시점에서 서쪽으로 각도로 5.3101초, 거리로는 102.478m 떨어진 위치에 있다.[68][69] 이러한 차이는 그리니치 자오선이 그리니치에서의 국소적인 연직을 사용한 국소좌표계였기 때문에 발생한 것이다.

최초의 전지구항법위성시스템인 트랜짓(미국이 1960년 전후부터 개발)은 1960년에 제정된 전지구적 측지계(지심좌표계)인 WGS를 기반으로 하며, 그 기준은 북미 측지계 1927에 의한 기지국 좌표를 사용했다. 미국은 1912년부터 공식적으로 그리니치 자오선을 본초 자오선으로 채택했지만, 트랜짓을 이용하여 1969년에 그리니치 자오선의 위치를 측정한 결과, WGS는(또는 북미 측지계를 그대로 지심좌표계로 간주하면) 그리니치 자오선에서 약 102m 동쪽으로 치우친 자오선을 본초 자오선으로 하고 있다는 것이 명확해졌다. 이것이 IERS 기준 자오선이 되었다.

4. 2. IERS 기준 자오선의 통과 지점

좌표나라, 지역, 해역비고
style="background:#b0e0e6;" |북극해style="background:#b0e0e6;" |
style="background:#b0e0e6;" |그린란드해style="background:#b0e0e6;" |
style="background:#b0e0e6;" |노르웨이해style="background:#b0e0e6;" |
style="background:#b0e0e6;" |북해style="background:#b0e0e6;" |
영국이스트라이딩오브요크셔주에서 이스트서식스주까지 지나감.
style="background:#b0e0e6;" |영국 해협style="background:#b0e0e6;" |
프랑스
스페인
style="background:#b0e0e6;" |지중해발렌시아 만
스페인
style="background:#b0e0e6;" |지중해style="background:#b0e0e6;" |
알제리
말리
부르키나파소
토고약 600 m
가나약 16 km
토고약 39 km
가나볼타 호를 지남.
style="background:#b0e0e6;" |대서양적도를 통과함.
style="background:#b0e0e6;" |남극해style="background:#b0e0e6;" |
남극퀸모드랜드에서 남극점까지 노르웨이가 영유권을 주장함.


5. 다른 천체의 본초 자오선

의 본초 자오선은 지구에서 보이는 달 표면의 중앙에 위치하며 브루스 크레이터 근처를 지난다.[20]

6. 과거의 본초 자오선 (지구)

18세기에는 유럽의 대부분의 국가가 수도를 통과하는 자체 '기준' 자오선을 채택했다. 프랑스에서는 파리 자오선이 기준이었고, 프로이센에서는 베를린 자오선이, 덴마크에서는 코펜하겐 자오선이, 영국에서는 그리니치 자오선이 기준이었다.[9]

1765년부터 1811년까지 네빌 매스클라인은 ''해양 연감'' 49호를 그리니치 왕립 천문대 자오선을 기준으로 발표했다. "매스클라인의 표는 월거리법을 실용적으로 만들었을 뿐만 아니라 그리니치 자오선을 보편적인 기준점으로 만들었다. 심지어 ''해양 연감''의 프랑스어 번역본조차도 다른 모든 표가 파리 자오선을 기준으로 고려했음에도 불구하고 그리니치의 매스클라인의 계산을 유지했다."[9]

1884년 워싱턴 D.C.에서 열린 국제 자오선 회의에서 22개국이 그리니치 자오선을 세계의 기준 자오선으로 채택하는 데 투표했다.[9] 프랑스는 아소르스 제도와 베링 해협을 언급하면서 중립적인 선을 주장했지만, 결국 기권했고 1911년까지 파리 자오선을 계속 사용했다.

참조

[1] 웹사이트 What is the Prime Meridian and why is it in Greenwich? https://www.rmg.co.u[...] 2021-12-13
[2] 논문 Report of the IAU Working Group on Cartographic Coordinates and Rotational Elements: 2015 https://astropedia.a[...] 2019-08-06
[3] 논문 The Computation of the Length of Daylight in Hindu Astronomy https://www.jstor.or[...]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4] 논문 The linear league in North America null
[5] 서적 The Diplomatic History of America: Its first chapter 1452—1493—1494 https://books.google[...] Stevens 1897
[6] 논문 The length of Eratosthenes' stade null
[7] 서적 The voyage of Don Felipe Gonzalez to Easter Island in 1770-1 https://archive.org/[...] Hakluyt Society 1908
[8] 웹사이트 Meridian Conference https://www.gutenber[...]
[9] 웹사이트 What is the Prime Meridian - and why is it in Greenwich? Who decided that the Prime Meridian should be in Greenwich? https://www.rmg.co.u[...] Royal Museums Greenwich null
[10] 간행물 A manual on the technical aspects of the United Nations Convention on the Law of the Sea – 1982 http://www.iho.shom.[...]
[11] 간행물 WGS 84 Implementation Manual http://www.icao.int/[...] 1998
[12] 웹사이트 International Conference Held at Washington for the Purpose of Fixing a Prime Meridian and a Universal Day. October, 1884. Protocols of the proceedings https://www.gutenber[...] Project Gutenberg 1884
[13] 서적 null
[14] 서적 Greenwich Observatory ... the story of Britain's oldest scientific institution, the Royal Observatory at Greenwich and Herstmonceux, 1675–1975 null Taylor & Francis 1975
[15] 서적 TIME from Earth Rotation to Atomic Physics null Wiley-VCH 2009
[16] 웹사이트 The Prime Meridian at Greenwich http://www.rmg.co.uk[...] 2002-08-23
[17] 논문 Why the Greenwich meridian moved null 2015-08-01
[18] 웹사이트 Greenwich Meridan, Tracing its History http://gpsinformatio[...]
[19] 이미지 IRM on grounds of Royal Observatory from Google Earth http://www.gearthblo[...]
[20] 웹사이트 Carrington heliographic coordinates http://www.encyclope[...]
[21] 논문 Surface Coordinates and Cartography of Mercury 1975-06-10
[22] 서적 NASA Atlas of Mercury NASA Scientific and Technical Information Office 1978
[23] 논문 Report of the IAU Working Group on Cartographic Coordinates and Rotational Elements: 2009 https://web.archive.[...]
[24] 논문 Surface Coordinates and Cartography of Mercury 1975-06-10
[25] 논문 Report of the IAU Working Group on Cartographic Coordinates and Rotational Elements: 2009 null 2010
[26] 웹사이트 USGS Astrogeology: Rotation and pole position for the Sun and planets (IAU WGCCRE) https://web.archive.[...]
[27] 논문 The Rotation Period, Direction of the North Pole, and Geodetic Control Network of Venus 1992
[28] 웹사이트 USGS Astrogeology: Rotation and pole position for the Sun and planets (IAU WGCCRE) https://web.archive.[...]
[29] 논문 Preliminary Control Net of Mars 1971-01-10
[30] 논문 Report of the IAU Working Group on Cartographic Coordinates and Rotational Elements: 2015 null 2018
[31] 웹사이트 New Maps of Ceres Reveal Topography Surrounding Mysterious 'Bright Spots' https://www.jpl.nasa[...] NASA 2015-10-30
[32] 웹사이트 IAU WGCCRE Coordinate System for Vesta https://astrogeology[...] Astrogeology.usgs.gov 2013-11-15
[33] 웹사이트 Planetographic Coordinates https://reference.wo[...]
[34] 간행물 Control Networks for the Galilean Satellites JPL/NASA 1979-11
[35] 논문 Io after Galileo null 2005
[36] 웹사이트 USGS Astrogeology: Rotation and pole position for planetary satellites (IAU WGCCRE) https://astrogeology[...] 2017-08-28
[37] 서적 Satellites of Jupiter University of Arizona Press 1982
[38] 논문 A Control Network of Triton 1991
[39] 웹사이트 International Conference Held at Washington for the Purpose of Fixing a Prime Meridian and a Universal Day. October, 1884 https://www.gutenber[...] Project Gutenberg
[40] 웹사이트 Oct. 13, 1884: Greenwich Resolves Subprime Meridian Crisis https://www.wired.co[...] 2010-10-13
[41] 웹사이트 Atlas do Brazil http://www.maproom.o[...] F. Briguiet & Cia 1909
[42] 웹사이트 The Project Gutenberg eBook of International Conference Held at Washington for the Purpose of Fixing a Prime Meridian and a Universal Day https://www.gutenber[...] Gutenberg.org 2006-02-12
[43] 기타
[44] 웹사이트 Parallel meridians: Diffusion and change in early modern oceanic reckoning https://livrepositor[...] The Hague 2005
[45] 서적 One Time Fits All: The Campaigns for Global Uniformity https://books.google[...] Stanford University Press 2007
[46] 웹사이트 In search of the lost meridian of Cadiz https://elpais.com/e[...] 2016-12-23
[47] 서적 El Observatorio de Cádiz (1753–1831) Ministerio de Defensa 1988
[48] 웹사이트 Eenheid van tijd in Nederland (Unity of time in the Netherlands) http://www.staff.sci[...]
[49] 웹사이트 Grids & Datums – Italian Republic http://www.asprs.org[...]
[50] 웹사이트 meridian http://www.denstored[...]
[51] 서적 Stellarium https://www.corvina.[...] 1480
[52] 논문 Stellarium – egy csillagászati kódex Mátyás könyvtárában https://www.academia[...] 2014
[53] 논문 Az asztrológia, alkémia és misztika Mátyás király udvarában. http://members.iif.h[...] 2002
[54] 웹사이트 Oradea http://romaniatouris[...] Romania Tourism
[55] 웹사이트 Romanian astronaut marks 10th anniversary of Prime Meridian Astronomy Club http://www.nineocloc[...] 2015
[56] 웹사이트 Meridian Zero csillagászklub http://meridianzero.[...]
[57] 웹사이트 The Canary Islands and the Question of the Prime Meridian: The Search for Precision in the Measurement of the Earth http://muweb.millers[...]
[58] 웹사이트 Hilchot Kiddush Hachodesh 11:17 http://mechon-mamre.[...]
[59] 웹사이트 Prime Meridian http://www.geog.port[...] Geography Department, Portsmouth University
[60] 웹사이트
[61] 웹사이트 日本の測地系|国土地理院 https://www.gsi.go.j[...] 国土地理院 2019-06-17
[62] 웹사이트 世界測地系移行に関する質問集(Q&A) |国土地理院 https://www.gsi.go.j[...] 国土地理院 2019-06-17
[63] 웹사이트 用語集|国土地理院 https://www.gsi.go.j[...] 国土地理院 2019-06-17
[64] 서적 世界測地系と座標変換 (社)日本測量協会 2002-04-15
[65] 법률 昭和二十二年法律第七十二号(日本国憲法施行の際現に効力を有する命令の規定の効力等に関する法律)
[66] 법률 昭和二十二年政令第十四号(日本国憲法施行の際現に効力を有する勅令の規定の効力等に関する政令)
[67] 법률 明治十九年勅令第五十一号(本初子午線経度計算方及標準時ノ件)
[68] 웹사이트 History of the Prime Meridian -Past and Present http://gpsinformatio[...] 1999-11-01
[69] 웹사이트 Why the Greenwich meridian moved http://link.springer[...]
[70] 논문 Why the Greenwich meridian moved http://link.springer[...] 2015-08-01
[71] 서적 Greenwich Observatory ... the story of Britain's oldest scientific institution, the Royal Observatory at Greenwich and Herstmonceux, 1675-1975 Taylor & Francis
[72] 서적 TIME from Earth Rotation to Atomic Physics Wiley-VCH
[73] 웹사이트 The Prime Meridian at Greenwich http://www.rmg.co.uk[...] Royal Museums Greenwich 2002-08-23
[74] 웹사이트 International Conference Held at Washington for the Purpose of Fixing a Prime Meridian and a Universal Day. October, 1884. Protocols of the proceedings. http://www.gutenberg[...] Project Gutenberg 1884
[75] harvnb
[76] harvnb
[77] 웹사이트 The voyage of Don Felipe Gonzalez to Easter Island in 1770-1 https://archive.org/[...] Hakluyt Society
[78] 웹사이트 Speech by Pierre Janssen, director of the Paris observatory, at the first session of the Meridian Conference. http://www.gutenberg[...]
[79] harvnb
[80] harvnb
[81] 웹사이트 日本の本初子午線 https://eco.mtk.nao.[...] 国立天文台 2019-02-01
[82] 웹사이트 京都に子午線があった時代 https://www.archives[...] 京都府立京都学・歴彩館 2024-03-30
[83] 웹사이트 日本の天文史跡目録と教育への利用 https://tenkyo.net/k[...] 日本天文教育普及研究会 2019-02-01
[84] 웹사이트 “振り子時計”で経度を測定 (1) http://hiroba.jmc.or[...] (一財)日本地図センター 2012-09-21
[85] 웹사이트 “振り子時計”で経度を測定 (2) http://hiroba.jmc.or[...] (一財)日本地図センター 2012-09-24
[86] 간행물 航海家ヘ示ス布告 近代デジタルライブラリー
[87] 간행물 航客ヘ布告 近代デジタルライブラリー
[88] 웹사이트 海軍水路部と東京天文台 https://eco.mtk.nao.[...] 国立天文台 2019-02-01
[89] 웹사이트 内務省地理局『東京実測全図』について https://doi.org/10.1[...] 2019-02-01
[90] 웹사이트 明治以降の編暦 https://eco.mtk.nao.[...] 国立天文台 2019-02-01
[91] 웹사이트 実測東京全図 https://kochizu.gsi.[...] 国土地理院 2019-02-01
[92] 웹사이트 International Conference Held at Washington for the Purpose of Fixing a Prime Meridian and a Universal Day. October, 1884 http://www.gutenberg[...] Project Gutenberg
[93] 웹사이트 http://www.reissmann[...]
[94] 서적 Atlas do Brazil http://www.maproom.o[...] F. Briguiet & Cia.
[95] 웹사이트 http://www.gutenberg[...]
[96] 웹사이트 http://www.thegreenw[...]
[97] 서적 알마게스트
[98] 웹사이트 The Canary Islands and the Question of the Prime Meridian: The Search for Precision in the Measurement of the Earth https://web.archive.[...]
[99] harvnb
[100] 웹사이트 USGS Astrogeology: Rotation and pole position for the Sun and planets (IAU WGCCRE) http://astrogeology.[...]
[101] 웹사이트 Planetographic Coordinates http://documents.wol[...]
[102] 웹사이트 그리니치 천문대 - 지구에 기준선을 긋고 시간을 정한 천문대 https://terms.naver.[...] 네이버 지식백과
[103] 웹사이트 What is the Prime Meridian - and why is it in Greenwich? Who decided that the Prime Meridian should be in Greenwich? https://www.rmg.co.u[...] Royal Museums Greenwich n.d.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