봉합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봉합사는 외과 수술 시 절개된 부위나 손상된 조직을 꿰매어 봉합하는 데 사용되는 의료용 실을 의미한다. 봉합술의 역사는 고대 이집트 시대로 거슬러 올라가며, 다양한 천연 재료를 사용한 기록이 존재한다. 현대에는 합성 고분자 섬유로 만들어진 흡수성 및 비흡수성 봉합사가 주로 사용되며, 봉합 바늘의 형태와 재료, 봉합 기술 또한 다양하게 발전해 왔다. 봉합사는 크기, 재질, 코팅 여부 등에 따라 여러 종류로 나뉘며, 봉합 바늘과 함께 사용되어 조직을 봉합하는 데 사용된다. 봉합 이외에도 의료용 스테이플러나 피부 봉합 접착제와 같은 대체 방법이 사용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의료기기 - 에네마그라
에네마그라는 일본 광한당에서 개발 및 판매하는 전립선 마사지 기구의 명칭으로, 본래 HIH사의 Pro-State를 일본에서 판매하며 사용된 이름이었으나, 상표권 분쟁 후 광한당 자체 제품으로 구분되었다.
봉합사 |
---|
2. 역사
수천 년 동안 다양한 봉합 재료가 사용되거나 제안되었다. 바늘은 뼈나 은, 구리, 알루미늄, 청동, 철사와 같은 금속으로 만들어졌다. 봉합사는 아마, 삼, 면과 같은 식물 재료 또는 머리카락, 힘줄, 동맥, 근육 조각 및 신경, 실크, 장선과 같은 동물 재료로 만들어졌다.
봉합 바늘은 봉합사를 조직에 통과시키는 역할을 하는 의료 도구이다. 크게 바늘귀(eye)가 있는 바늘과 없는 바늘(무침)로 나뉜다. 과거에는 바늘귀가 있는 바늘에 봉합사를 직접 꿰어 사용했으나, 현대에는 봉합사가 바늘에 부착된 형태의 무침 봉합 바늘이 주로 사용된다.[3] 무침 봉합 바늘은 조직 손상을 줄이고 수술 시간을 단축시키는 장점이 있다.
수술용 봉합사에 대한 가장 초기의 보고는 기원전 3000년 고대 이집트에서 찾아볼 수 있으며, 가장 오래된 봉합사는 기원전 1100년의 미라에서 발견된다. 상처 봉합과 그에 사용된 봉합 재료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기원전 500년에 기록된 인도의 현자이자 의사인 수스루타에 의해 작성되었다.[26] 의학의 아버지인 그리스의 히포크라테스는 봉합 기술을 설명했으며, 로마인 켈수스도 마찬가지였다. 2세기 로마의 의사 갈레노스는 외과용 거트 또는 장선으로 만든 봉합사에 대해 설명했다.[27] 10세기에는 아불카시스가 수술에 장선 봉합사와 수술용 바늘을 사용했다.[28][29] 거트 봉합사는 바이올린, 기타, 테니스 라켓의 줄과 유사하며 양이나 소의 창자를 수확하는 과정이 포함되었는데, 소독과 멸균 처리가 부족하여 감염으로 이어지는 경우가 있었다.[30]
조지프 리스터는 모든 봉합사의 일상적인 멸균을 지지했다. 그는 1860년대에 "석탄산 장선"으로 처음 멸균을 시도했으며, 20년 후에 크롬산 장선이 뒤를 이었다. 멸균 장선은 1906년에 요오드 처리를 통해 최종적으로 개발되었다.
20세기에 들어서면서 화학 산업은 1930년대 초에 최초의 합성 실 생산을 주도했고, 이는 다수의 흡수성 및 비흡수성 합성물 생산으로 이어졌다. 최초의 합성 흡수성은 1931년에 폴리비닐 알코올을 기반으로 했다. 폴리에스터는 1950년대에 개발되었으며, 이후 장선과 폴리에스터에 대한 방사선 멸균 공정이 확립되었다. 폴리글리콜산은 1960년대에 발견되어 1970년대에 적용되었다. 오늘날 대부분의 봉합사는 합성 고분자 섬유로 만들어진다. 실크와 드물게 장선 봉합사만이 고대 시대부터 여전히 사용되고 있는 유일한 재료이다. 실제로, 장선 봉합사는 소해면상뇌증에 대한 우려로 인해 유럽과 일본에서 금지되었다. 실크 봉합사는 오늘날에도 주로 수술용 드레인을 고정하는 데 사용된다.[31]
3. 봉합 바늘
압착 봉합사에서는 실의 직경이 바늘보다 좁아 조직을 통과할 때 저항이 적고, 바늘귀가 없어 취약한 조직에 외상을 줄 가능성이 적어 "무외상성"이라는 명칭이 부여된다.
봉합 바늘의 형태는 다양하며, 수술 부위와 목적에 따라 적절한 형태를 선택한다. 바늘 형태는 다음과 같다.
바늘 끝의 모양에 따라서도 분류할 수 있다. 바늘 끝 모양은 다음과 같다.
무외상성 바늘은 봉합사에 영구적으로 압착되거나 날카로운 직선 당김으로 봉합사에서 분리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이러한 "팝오프"는 각 봉합사를 한 번만 통과시킨 후 묶는 중단 봉합에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4. 봉합사
'''봉합사'''는 손상된 조직을 꿰매는 데 사용되는 실이다. 봉합사는 크게 흡수성 봉합사와 비흡수성 봉합사로 나뉜다.
봉합 재료는 흡수성 실과 비흡수성 실로 구분되며, 이는 다시 합성 섬유와 천연 섬유로 나뉜다. 또 다른 중요한 구분은 단일 필라멘트인지 다중 필라멘트(꼬임)인지 여부이다. 봉합사를 선택하는 요인으로는 흡수성 유무, 크기, 연선(編糸)(https://ja.wikipedia.org/wiki/%E7%B7%A8%E7%B3%B8) 또는 단선(単糸)(https://ja.wikipedia.org/wiki/%E5%8D%98%E7%B3%B8)(모노필라멘트사), 코팅 유무, 염색 유무 등이 있다.
봉합사의 주요 특성은 다음과 같다.
- 인장 강도: 봉합사가 파괴되지 않고 조직을 제자리에 유지하는 능력.
- 탄성: 부종과 같이 변화하는 조직에 봉합 재료가 적응하는 능력.
- 조직 반응성: 주변 조직의 염증 반응으로 인해 재료가 더 빨리 분해되고 인장 강도가 손실될 수 있다. 비흡수성 합성 봉합사는 조직 반응성이 가장 낮고, 흡수성 천연 섬유는 조직 반응성이 가장 높다.[4]
- 매듭 안전성: 봉합사가 실을 제자리에 고정하는 매듭을 유지하는 능력.[2]
비흡수성 봉합사는 더 오랜 기간 동안 더 큰 인장 강도를 유지하며 분해되지 않아 기계적 또는 전단력(힘줄, 특정 피부 부위)이 높은 조직에 적합하다. 또한, 실의 기억력이 적어 시술자에게 사용 편의성을 제공한다.[8]
4. 1. 흡수성 봉합사
흡수성 봉합사는 단백질 분해 또는 가수 분해를 통해 분해되며, 2개월 이상의 인장 강도가 필요한 신체 조직에는 사용해서는 안 된다. 일반적으로 수술 중 내부적으로 사용되거나 봉합사 제거를 위해 재방문할 가능성이 낮은 환자에게 추가 시술을 피하기 위해 사용된다.[2] 흡수성 봉합사와 비흡수성 봉합사의 단기 상처 결과는 동일하다는 데이터가 있지만, 외과 의사들 사이에서는 의견이 일치하지 않는다.[5]흡수성 봉합사는 천연 흡수성 봉합사와 합성 흡수성 봉합사로 나뉜다.
천연 흡수성 봉합사:
- 일반 캣거트: 소의 창자에서 추출한 콜라겐으로 만들어진 다중 필라멘트 봉합사이다. 7~10일 동안 초기 강도를 유지하며, 10주 이내에 완전히 분해된다. 조직 부종에 적응할 수 있는 탄성이 뛰어나지만, 다루기 어렵고 조직 반응성이 높아 인장 강도가 빠르게 감소하는 단점이 있다. 혈액 공급이 원활한 빠른 치유 조직, 즉 점막 조직에 가장 적합하다.[8]
- 크롬 캣거트: 일반 캣거트에 크롬염 코팅을 하여 취급성이 향상되고 조직 반응성이 감소한 봉합사이다. 21~28일 동안 초기 강도를 유지하며, 16~18주 내에 완전히 분해된다. 조직 부종에 적응할 수 있는 탄성이 뛰어나며, 조직 손상이 거의 없이 피부를 통과한다. 피부 봉합 (얼굴), 점막, 생식기에 주로 사용된다.
- 속성 캣거트: 단백질을 더욱 분해하고 체내 조직에서 더 빠른 흡수를 위해 열처리한 봉합사이다. 인장 강도는 일주일 미만(3–5일)이다.[2] 조직 부종에 적응할 수 있는 탄성이 뛰어나며, 조직 손상이 거의 없이 피부를 통과한다. 일반적으로 점막이나 얼굴에만 피부 봉합에 권장된다.[8]
합성 흡수성 봉합사:폴리락트산, 폴리글리콜산, 폴리글리카프론, 폴리디옥사논, 폴리트리메틸렌 카보네이트 등이 합성 흡수성 재료에 포함된다. 이 중에는 단일 필라멘트, 다중 필라멘트 및 꼬인 봉합사가 있다. 일반적으로 합성 재료는 국소 조직 염증이 적기 때문에 더 오랫동안 인장 강도를 유지한다.[2]
4. 2. 비흡수성 봉합사
비흡수성 봉합사는 체내에서 분해되지 않고 장기간 유지되는 봉합사이다. 명주실, 폴리프로필렌, 폴리에스터, 나일론 등이 사용된다. 스테인리스강선도 정형외과 영역이나, 개흉술 시 흉골을 봉합하기 위해 사용된다.[8]비흡수성 봉합사는 높은 인장 강도가 요구되는 부위(힘줄, 인대 등)나 피부 봉합에 주로 사용된다. 심장이나 방광과 같이 흡수성 봉합사로는 불충분한 부하가 걸리는 체내에서도 사용된다. 비흡수성 재료는 면역 반응이 적기 때문에 반흔화가 경미한 경우가 많아, 미관이 요구되는 수술 부위에 사용된다. 이러한 봉합사는 제거되지 않는 한 체내에 잔류한다.[8]
4. 3. 봉합사의 크기
봉합사의 크기는 미국 약전(U.S.P.)에 의해 정의된다.[1] 원래 봉합사는 #1(가장 굵음)부터 #6까지 크기로 제조되었으며, #4 봉합사는 테니스 라켓 줄(가트)의 직경과 거의 비슷하다.[1] 초기에는 악기 현 제조 기술에서 파생된 제조 기술로는 더 얇은 직경을 만들 수 없었다. 이후 기술이 향상되면서 #0이 봉합사 직경에 추가되었고, 더 얇은 실이 제조되면서 #00(#2-0 또는 #2/0)에서 #000000(#6-0 또는 #6/0)으로 식별되었다.[1]현대 봉합사는 #5(정형외과용 굵은 꼬임 봉합사)부터 #11-0(안과용 가는 단사 봉합사)까지 다양하다.[1] 무외상성 바늘은 대부분의 크기에 대해 모든 형태로 제조된다. 특정 U.S.P. 크기의 실제 실 직경은 봉합사 재료 등급에 따라 다르다.[1]
4. 4. 봉합사의 코팅
봉합사는 조직과의 마찰을 줄이기 위해 다양한 물질로 코팅하기도 한다. 코팅은 실의 공간을 채워 봉합사 내로 체액이 스며드는 것을 억제하며, 항생물질의 담체로 사용되기도 한다. 초기의 코팅 재료로는 밀랍과 같은 왁스가 사용되었다. 비흡수성 봉합사에는 실리콘이나 PTFE를, 흡수성 봉합사에는 카프로락톤이나 글리콜산과 같은 흡수성 모노머로 만들어진 코팅을 사용한다[33] . 또한, 수술 부위 감염을 줄이기 위해 항균 작용을 하는 트리클로산을 첨가한 봉합사도 있다[34] .5. 봉합 기술
다양한 봉합 기술이 존재한다. 가장 흔한 것은 단순 결절 봉합이다.[12] 이는 가장 간단한 봉합 방법으로, 한 땀씩 꿰매고 매듭을 짓기 때문에 "결절"이라고 불린다. 수직 매트리스 봉합과 수평 매트리스 봉합은 결절 봉합의 일종이지만, 피부를 외번(바깥쪽으로 뒤집는 것)시키고 장력을 분산시키는 데 사용되는 더 복잡한 봉합 방법이다. 런닝 봉합 또는 연속 봉합은 더 빠르게 봉합할 수 있지만, 한 곳에서 봉합사가 잘리면 봉합 전체가 실패할 위험이 있다. 연속 잠금 봉합은 어떤 면에서는 더 안전한 방식이다. 흉관 봉합과 모서리 봉합은 수평 매트리스 봉합의 변형이다.
다른 봉합 기술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 '''지갑끈 봉합:''' 수술 또는 외상으로 생긴 상처 가장자리를 고정하기 위해 만들어진 연속적인 원형 내번 봉합.[13][14]
- 8자 봉합
- 피하 봉합: 바늘이 피부 표면을 따라 표피를 드나드는 연속 봉합이다. 이 봉합은 얕은 피부 가장자리를 가깝게 만드는 데 사용되며, 최상의 미용 결과를 낼 수 있다. 얕게 벌어진 상처는 연속 피하 봉합으로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다.[15] 다른 봉합 방법과 비교했을 때 피하 봉합이 수술 부위 감염률을 줄일 수 있는지 여부는 불분명하다.[16]
봉합은 봉합사가 부착된 바늘을 바늘 잡이에 장착하여 시행한다. 바늘 끝을 피부에 밀어 넣고, 바늘의 곡선을 따라 진행하여 나오게 한 다음 당겨 빼낸다. 그런 다음 꼬리 실을 평매듭 또는 외과 매듭으로 묶는다. 이상적으로 봉합사는 피부가 함몰되거나 창백해지지 않으면서 상처 가장자리를 함께 묶어, 혈액 공급이 방해받아 감염 및 흉터가 생기는 것을 막아야 한다.[18][19] 이상적으로 봉합된 피부는 상처에서 약간 바깥쪽으로 말려야(외번) 하며, 봉합된 살의 깊이와 너비는 거의 같아야 한다.[3] 봉합 간격과 봉합선에서 상처까지의 거리는 일정해야 한다(젠킨의 규칙).[3][20]
피부 및 기타 연조직은 압박을 받으면 상당히 늘어날 수 있다. 이러한 늘어남을 고려하여 연속 봉합은 충분한 여유분을 가져야 한다. 젠킨의 규칙은 이 분야의 최초 연구 결과로, 당시 일반적이던 봉합사 길이 대 상처 길이 비율(2:1)을 사용하면 상처가 터질 위험이 증가하며, 복부 상처의 경우 봉합사 길이 대 상처 길이 비율을 4:1 이상으로 하는 것이 좋다고 제안했다.[3][20] 이후의 연구에서는 복부 봉합 시 최적의 비율을 6:1로 제안했다.[21]
'''층 봉합'''은 심부 조직을 봉합한 후 표층 조직을 봉합하는 방법이다. 예를 들어, 제왕 절개는 자궁 절개 부위를 단층 또는 이중층 봉합으로 시행할 수 있다.[22]
봉합사는 일반적으로 외상이나 상처 치유를 돕기 위한 단기적인 도구이지만, 일부는 영구적으로 사용하도록 설계되어 수 주 동안 유지될 수 있다.
봉합사 제거는 전통적으로 핀셋으로 봉합사를 잡고 뾰족한 메스나 가위를 사용하여 절단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핀셋과 가위는 실용적인 이유로 멸균 키트로 제공된다. 특정 국가(예: 미국)에서는 청소 및 재멸균 비용이 높기 때문에 멸균 일회용 트레이로 제공되기도 한다.
'''플레지티드 봉합'''은 조직이 찢어질 가능성이 있을 때 봉합사 아래에 지지대로 사용되는 작고 평평한 비흡수성 패드인 ''플레지트''로 지지되는 봉합사이다. 플레지트는 일반적으로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으로 구성된다.[24]
6. 봉합 이외의 방법
시아노아크릴레이트 계열 접착제는 상처 봉합 시 봉합사를 대체하거나 봉합사와 함께 사용되어 왔다. 이 접착제는 물이나 물을 함유한 물질에 닿기 전까지는 액체 상태를 유지하다가, 닿으면 굳어져서(중합) 접착하려는 표면에 결합한다. 조직 접착제는 접착 필름이 온전하게 유지되는 동안 미생물 침투를 막는 장벽 역할을 한다. 다만, 눈 근처에는 사용할 수 없고, 사용법을 익히는 데 시간이 걸릴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삼출물이 있거나 오염될 가능성이 있는 상처에는 적합하지 않다. 수술 절개 부위에서는 봉합만큼 효과적이지 않으며, 상처가 자주 벌어지기도 한다.[25]
- 의료용 스테이플러
스테이플러를 의료용으로 만든 것으로, 피부 스테이플러라고도 한다. 일본에서는 의료용 호치키스라고도 부른다.
기기를 통해 금속 바늘로 피부를 연결하므로 빠르게 봉합할 수 있다. 치유 후에는 바늘을 제거(발 hook(抜鉤))한다.
- 피부 봉합 접착제
아론알파라는 상품명으로 잘 알려져 있다. 문구점 등에서 일반적으로 판매되는 제품과 달리, 유해한 중금속을 최대한 제거한 것이다.
상처 부위 접착 외에도 손톱 갈라짐 등에도 사용된다.
참조
[1]
학술지
The Surgical Suture
2019-03-14
[2]
서적
The Mont Reid surgical handbook
2018
[3]
웹사이트
Surgical Needle Guide
http://www.ethicon.n[...]
2014-11-06
[4]
서적
Local flaps in facial reconstruction
Mosby Elsevier
2007
[5]
학술지
International, prospective cohort study comparing non-absorbable ''versus'' absorbable sutures for skin surgery: CANVAS service evaluation
https://eprints.whit[...]
2023-02-08
[6]
서적
Feline soft tissue and general surgery
2013
[7]
서적
Skin and soft tissue injuries and infections: a practical evidence based guide
People's Medical
2010
[8]
서적
Wounds and lacerations: emergency care and closure
2012
[9]
서적
Comprehensive biomaterials
Elsevier
2011
[10]
서적
Paediatric cardiology
Churchill Livingstone/Elsevier
2010
[11]
서적
Evidence-based orthopaedics: the best answers to clinical questions
Saunders/Elsevier
2009
[12]
서적
Clinical Procedures in Emergency Medicine
Saunders
[13]
문서
Dorland's Medical Dictionary for Health Consumers
Copyright
2007
[14]
문서
Miller-Keane Encyclopedia & Dictionary of Medicine, Nursing, and Allied Health
Seventh Edition
[15]
학술지
Continuous versus interrupted skin sutures for non-obstetric surgery
2014-02-14
[16]
학술지
Subcuticular sutures for skin closure in non-obstetric surgery
2020-04-09
[17]
학술지
Effect of suture materials on bacterial survival in infected wounds: An experimental study
[18]
학술지
Sutures and suturing - Current concepts
[19]
서적
Basic Surgical Techniques
Churchill Livingstone
[20]
학술지
The repair of surface trauma
[21]
학술지
Six-fold suture:wound length ratio for abdominal closure.
1999-09
[22]
학술지
Evaluation of combinations of procedures in cesarean section
[23]
웹사이트
www.scribd.com
https://www.scribd.c[...]
2013-08-24
[24]
웹사이트
Polytetrafluoroethylene Pledget
http://www.bardpv.co[...]
[25]
학술지
Tissue adhesives for closure of surgical incisions.
2014-11-28
[26]
서적
Acs(I) Textbook on Cutaneous and Aesthetic Surgery
https://books.google[...]
Jaypee Brothers
2016-01-25
[27]
서적
Ancient Medicine
https://books.google[...]
Taylor & Francis US
2012-11-21
[28]
서적
The Story of Medicine
https://books.google[...]
Arcturus
2009
[29]
서적
Textbook of Family Medicine E-Book
https://books.google[...]
Elsevier Health Sciences
2011
[30]
서적
Tutorials in Suturing Techniques for Orthopedics
Springer Nature
[31]
서적
Oral and Maxillofacial Surgery for the Clinician
Springer Singapore
[32]
서적
Ancient Medicine
https://books.google[...]
Taylor & Francis US
2012-11-21
[33]
서적
Biomaterials Science: An Introduction to Materials in Medicine
Academic Press
[34]
뉴스
抗菌縫合糸の使用はSSI発生率を下げる?
http://medical.nikke[...]
日経メディカルオンライン
[35]
학술지
Effect of suture materials on bacterial survival in infected wounds: An experimental study
[36]
논문
Sutures and suturing - Current concepts
[37]
서적
Basic Surgical Techniques
Churchill Livingstone
[38]
논문
The repair of surface trauma
[39]
서적
Clinical Procedures in Emergency Medicine
Saunder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