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광역시도 제77호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부산광역시도 제77호선은 부산광역시의 순환 도로로, 을숙도대교 교차로를 시작으로 벡스코 요금소까지 연결된다. 2007년부터 일부 구간이 자동차 전용도로로 지정되었으며, 을숙도대교, 광안대교, 산성터널, 윤산터널, 송정터널 등을 포함한다. 이 도로는 사하구, 강서구, 북구, 금정구, 해운대구, 기장군을 경유하며, 을숙도대로, 르노삼성대로, 가락대로, 해운대로 등 주요 도로와 연결된다. 을숙도대로, 서낙동로, 장산로 일부 구간은 자동차 전용도로로, 보행자, 자전거, 일반 이륜차의 통행이 제한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부산 수영구의 교통 - 광안대교
부산 수영구와 해운대구를 잇는 총 길이 7.42km의 2층 복층 구조 사장교인 광안대교는 1994년 착공되어 2003년 개통된 왕복 8차선 도로로, 교통 흐름 개선에 기여하고 아름다운 야경으로 유명하지만, 자동차 전용도로로 보행자 및 자전거 통행이 제한된다. - 부산 수영구의 교통 - 번영로 (부산)
부산 번영로는 금정구, 해운대구 등 부산 주요 지역을 연결하는 자동차 전용도로로, 다수의 터널과 나들목을 포함하고 부산의 주요 간선 도로망을 구성하며 아시안 하이웨이의 일부 구간이기도 하다. - 부산 북구의 교통 - 구포역 (한국철도공사)
구포역은 한국철도공사와 부산교통공사가 운영하는 철도역으로, KTX, ITX-새마을, ITX-마음, 무궁화호, 남도해양열차 등이 정차하며 부산 도시철도 3호선도 운행된다. - 부산 북구의 교통 - 남해고속도로
남해고속도로는 전라남도 영암군에서 부산광역시를 잇는 총 연장 273.17km의 고속도로 10호선으로, 1973년 개통 이후 확장 공사와 노선 변경을 거쳐 현재 전 구간 4차선 이상으로 운영되고 있으며, 구간별로 차로 수와 제한속도가 다르다. - 부산 해운대구의 교통 - 장산로 (부산)
부산광역시 해운대구의 장산로는 올림픽 교차로와 좌동지하차도를 잇는 자동차 전용 도로로, 장산1터널, 2터널, 3터널을 포함하여 해운대구 우동과 좌동을 주요 경유지로 한다. - 부산 해운대구의 교통 - 광안대교
부산 수영구와 해운대구를 잇는 총 길이 7.42km의 2층 복층 구조 사장교인 광안대교는 1994년 착공되어 2003년 개통된 왕복 8차선 도로로, 교통 흐름 개선에 기여하고 아름다운 야경으로 유명하지만, 자동차 전용도로로 보행자 및 자전거 통행이 제한된다.
부산광역시도 제77호선 - [지명]에 관한 문서 | |
---|---|
노선 정보 | |
도로 종류 | 부산광역시도 |
노선명 | 외부순환도로 |
노선 번호명 | 부산광역시도 제77호선 |
총 연장 | 61.17km |
기점 | 부산광역시 사하구 신평동 |
주요 경유지 | 부산광역시 사하구 부산광역시 강서구 경상남도 김해시 부산광역시 북구 부산광역시 금정구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부산광역시 기장군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
종점 |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우동 |
주요 교차 도로 | 남해고속도로제2지선 동해고속도로 중앙고속도로 국도 제2호선 국도 제7호선 국도 제14호선 국도 제35호선 국도 제77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31호선 부산광역시도 제11호선 부산광역시도 제12호선 부산광역시도 제15호선 부산광역시도 제17호선 부산광역시도 제23호선 부산광역시도 제24호선 부산광역시도 제36호선 부산광역시도 제40호선 부산광역시도 제41호선 부산광역시도 제61호선 부산광역시도 제66호선 부산광역시도 제81호선 부산광역시도 제91호선 부산광역시도 제1001호선 부산광역시도 제2301호선 부산광역시도 제2302호선 부산광역시도 제4005호선 부산광역시도 제4007호선 부산광역시도 제4008호선 부산광역시도 제4110호선 부산광역시도 제7102호선 부산광역시도 제7701호선 부산광역시도 제7703호선 부산광역시도 제7704호선 부산광역시도 제7705호선 부산광역시도 제7706호선 부산광역시도 제7709호선 부산광역시도 제7713호선 부산광역시도 제7715호선 |
2. 연혁
wiki
- 2007년 3월 21일 : 올림픽 교차로 ~ 좌동지하차도 5.01km 구간(장산로), 광안대교 구간을 자동차 전용도로로 지정[1]
- 2009년 12월 9일 : 을숙도대교 4.9km 구간을 자동차 전용도로로 지정[2]
- 2018년 9월 17일 : 산성터널 구간 개통
- 2020년 4월 22일 : 산성터널 마지막 구간(금정구간 접속도로)과 윤산터널 구간 동시 개통
2. 1. 자동차 전용도로 지정
부산광역시도 제77호선 중 다음 구간은 자동차 전용도로로 지정되어 있다.2. 2. 주요 구간 개통
- 2007년 3월 21일 : 올림픽 교차로 ~ 좌동지하차도 5.01km 구간 (장산로), 광안대교 구간을 자동차 전용도로로 지정[1]
- 2009년 12월 9일 : 을숙도대교 4.9km 구간을 자동차 전용도로로 지정[2]
- 2018년 9월 17일 : 산성터널 구간 개통
- 2020년 4월 22일 : 산성터널 마지막 구간(금정구간 접속도로)과 윤산터널 구간 동시 개통
3. 구성
부산광역시도 제77호선은 부산 시내를 순환하는 도로이다. 이 도로는 부산광역시 사하구에서 시작하여 강서구, 김해시, 북구, 금정구, 해운대구, 기장군을 거쳐 다시 해운대구로 이어진다. 전체 구간 중 일부는 자동차 전용도로로 지정되어 있다.
구간 | 주요 시설 | 비고 |
---|---|---|
을숙도대로 | 을숙도대교, 명호 나들목 | |
르노삼성대로 | 신호대교, 르노삼성자동차 | |
녹산산업대로 | 1번신호등 교차로 ~ 10번신호등 교차로 | |
가락대로 | 녹송육교, 부산신항역, 가락 나들목 | |
서낙동로 | 통전 교차로, 죽림 교차로, 식만 분기점, 초정 나들목, 대동화명대교 | |
화명대로 | 와석 교차로 | |
수림로 | 산성터널, 장전 램프, 윤산터널 | |
정관산업로 | 회동 나들목, 금사 나들목 | |
도로명 미정 | 반송터널(미개통), 고촌 나들목(미개통), 송정터널(미개통) | |
기장대로 | 해운대 나들목, 송정1호교 | |
해운대로 | 송정터널, 좌동지하차도 | |
장산로 | 장산3터널, 장산2터널, 장산1터널 | |
광안대로 | 올림픽 교차로, 벡스코 요금소 |
주요 도로는 다음과 같다.
3. 1. 주요 도로
을숙도대로 (을숙도대교) - 르노삼성대로 - 녹산산업대로 - 가락대로 - 서낙동로 - 대동화명대교 - 화명대로 - 산성터널 - 수림로 - 윤산터널 - 정관산업로 - 반송터널 - 송정터널 - 기장대로 - 해운대로 - 장산로 - 광안대교3. 2. 경유지
부산광역시경상남도
3. 2. 1. 부산광역시
3. 2. 2. 경상남도
김해시4. 노선
구간 | 이름 | 접속 노선 | 소재지 | 비고 | |
---|---|---|---|---|---|
을숙도대로 | 을숙도대교 교차로 (66호 광장) | 부산광역시도 제43호선 (다대로) 부산광역시도 제66호선 (을숙도대로) | 부산광역시 | 사하구 | |
을숙도대교 | rowspan=2 | | ||||
강서구 | |||||
명지 요금소 | |||||
명호교 | |||||
명호 나들목 | 부산광역시도 제31호선 (르노삼성대로) | rowspan=2 | | |||
르노삼성대로 | |||||
명지지하차도 | 명지오션시티4로 | ||||
신호대교 | |||||
76호광장 교차로 | 부산광역시도 제7709호선 (화전산업대로) | ||||
르노삼성자동차 남문 | 신호산단1로 | ||||
르노삼성자동차 정문 | 신호산단2로 | ||||
신호하수처리장 | 신호산단1로 | ||||
녹산산업대로 | 1번신호등 교차로 | 녹산산업북로 | |||
2번신호등 교차로 | 부산광역시도 제7701호선 (녹산화전로) 부산광역시도 제7703호선 (녹산산단442로) | ||||
3번신호등 교차로 | 녹산산단407로 녹산산단408로 | ||||
4번신호등 교차로 | 부산광역시도 제7706호선 (녹산산단381로) (녹산산단382로) | ||||
5번신호등 교차로 | 녹산산단361로 녹산산단362로 | ||||
6번신호등 교차로 | 부산광역시도 제7705호선 (녹산산단321로) (녹산산단322로) | ||||
7번신호등 교차로 | 녹산산단289로 녹산산단290로 | ||||
8번신호등 교차로 | 부산광역시도 제7704호선 (녹산산단261로) (녹산산단262로) | ||||
9번신호등 교차로 | 녹산산단231로 녹산산단232로 | ||||
10번신호등 교차로 | 국가지원지방도 제58호선 부산광역시도 제17호선 (거가대로) 부산광역시도 제88호선 (녹산산업대로) | ||||
가락대로 | 국가지원지방도 제58호선 중복 | ||||
27번신호등 교차로 | 녹산산업중로 | ||||
39번신호등 교차로 | 녹산산업북로 | ||||
녹송육교 | 국도 제2호선 국도 제77호선 부산광역시도 제10호선 (낙동남로) | ||||
송정사거리 | 가주로15번길 | ||||
(신항진출입교) | 신항남로 | 국가지원지방도 제58호선 중복 죽림 방면 진출 불가 녹산 방면 진입 불가 | |||
옥포마을 교차로 | 가락대로373번길 | 국가지원지방도 제58호선 중복 | |||
부산신항역 | |||||
장고개 | |||||
큰압실마을 교차로 | 미음산단2로 | ||||
(부산과학산업단지입구) | 부산광역시도 제7713호선 (과학산단로) | ||||
세산 교차로 | 국가지원지방도 제69호선 부산광역시도 제1001호선 (생곡로) 남해안대로 | 국가지원지방도 제58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69호선 중복 | |||
지사교 | 국가지원지방도 제69호선 중복 | ||||
조만포삼거리 | 수가로 | ||||
조만교 맹리교 | |||||
가락 나들목 | 104호선 남해고속도로제2지선 | ||||
봉림지하차도 | 조만로 | ||||
통전 교차로 | 부산광역시도 제15호선 (가락대로) | ||||
서낙동로 | |||||
통전교 오봉교 죽동교 | |||||
죽림 교차로 | 부산광역시도 제15호선 호계로 | ||||
식만 분기점 | 국도 제14호선 (동서대로) 부산광역시도 제14호선 | 국도 제14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69호선 중복 | |||
식만교 | 김해시 | 불암동 | |||
분도교 불암교 | |||||
불암지하차도 | 국도 제14호선 (김해대로) | ||||
수안 교차로 | 대동로 | 대동면 | 국가지원지방도 제69호선 중복 | ||
주중교 신명1교 신명2교 신안교 | |||||
초정 나들목 | 55호선 중앙고속도로 | 국가지원지방도 제69호선 중복 화명 방면 진입 불가 가락 방면 진출 불가 일부 미개통 | |||
미개통 | 미개통 | ||||
안막 나들목 | 부산광역시도 제31호선 (공항로) 동남로 | 국가지원지방도 제69호선 중복 일부 미개통 | |||
대동화명대교 | 부산광역시 | 북구 | |||
화명 나들목 | 부산광역시도 제55호선 (강변대로) | rowspan=2 | | |||
화명대로 | |||||
와석 교차로 (화명역) | 국도 제35호선 부산광역시도 제41호선 (금곡대로) 부산광역시도 제4110호선 (화명대로) 와석장터로 | ||||
산성터널 | rowspan=5 | | ||||
수림로 | 금정구 | ||||
장전 램프 | 부산광역시도 제7102호선 (금샘로) | ||||
(장전지하차도) | |||||
롯데마트 금정점 | 국도 제7호선 부산광역시도 제61호선 (중앙대로) | ||||
윤산터널 | rowspan=2 | | ||||
정관산업로 | |||||
회동 나들목 | 부산광역시도 제11호선 (번영로) | ||||
금사 나들목 | 부산광역시도 제81호선 (석대로) (정관산업로) | rowspan=2 | | |||
도로명 미정 | |||||
(반송터널) | 미개통 | ||||
해운대구 | |||||
기장군 | 철마면 | ||||
(고촌 나들목) | 국도 제14호선 부산광역시도 제91호선 (반송로) | ||||
(송정터널) | |||||
기장읍 | |||||
기장대로 | 해운대 나들목 (기장 교차로) | 65호선 동해고속도로 부산광역시도 제23호선 (기장대로) | 부산광역시도 제23호선 중복 | ||
내리교 | |||||
(이름 없음) | 소정안길 | ||||
(동부산 나들목 하부) | 부산광역시도 제2302호선 (동부산관광로) | ||||
송정1호교 | 해운대로 | 부산광역시 | 해운대구 | ||
송정역 | |||||
송정삼거리 | 부산광역시도 제2301호선 (송정중앙로) | ||||
송정어귀삼거리 | 송정광어골로 | ||||
(달맞이교) | 부산광역시도 제4007호선 (달맞이길) | ||||
송정터널 | 부산광역시도 제23호선 중복 연장 410m | ||||
좌동지하차도 | 부산광역시도 제23호선 부산광역시도 제4005호선 (해운대로) 부산광역시도 제40호선 (좌동로) | 부산광역시도 제23호선 중복 | |||
장산로 | |||||
부산시점 | 65호선 동해고속도로 | 해운대방면 진출입만 가능 | |||
대천 나들목 | 부산광역시도 제7715호선 (양운로) | ||||
장산3터널 | 연장 140m | ||||
장산2터널 | 연장 587m | ||||
장산1터널 | 좌동 방면 연장 547m 광안 방면 연장 543m | ||||
광안대교입구 | 고가구간 | ||||
올림픽 교차로 (벡스코역) | 부산광역시도 제40호선 (해운대로) 부산광역시도 제4008호선 (APEC로) 해운대로394번길 | ||||
광안대로 | 벡스코 요금소 | 구 우동천 요금소 | |||
(벡스코 요금소 입구) | 부산광역시도 제66호선 (광안대로) |
5. 통행 제한
을숙도대로 을숙도대교 교차로 ~ 명호 나들목 구간, 서낙동로 전 구간, 장산로 좌동지하차도 ~ 올림픽 교차로 구간은 자동차 전용도로로 지정되어 있다. 따라서 보행자, 자전거 등은 이 구간을 통행할 수 없다. 이륜자동차(모터사이클 혹은 오토바이)의 경우 긴급자동차(싸이카 및 소방용 모터사이클 등)에 한해서만 통행이 허용되며, 그 밖의 이륜자동차는 통행할 수 없다.
송정터널은 인도가 설치되어 있지 않아 오토바이 통행은 가능하다. 그러나 보행자나 자전거는 안전을 위해 진입이 엄격히 금지된다.
그 외 현재까지 개통된 나머지 구간에서는 보행자, 오토바이, 자전거 모두 자유롭게 통행할 수 있다.
5. 1. 자동차 전용도로 구간
을숙도대로의 을숙도대교 교차로 ~ 명호 나들목 구간, 서낙동로 전 구간, 장산로의 좌동지하차도 ~ 올림픽 교차로 구간은 자동차 전용도로이므로 보행자, 자전거 등은 다닐 수 없다. 이륜자동차(모터사이클 혹은 오토바이)는 긴급자동차(싸이카 및 소방용 모터사이클 등)에 한해 다닐 수 있으며, 그 밖의 이륜자동차는 다닐 수 없다.송정터널은 인도가 설치되어 있지 않으므로 오토바이는 다닐 수 있으나, 보행자, 자전거는 다닐 수 없다.
현재까지 개통된 나머지 구간은 보행자, 오토바이, 자전거 모두 이용할 수 있다.
5. 2. 통행 제한 안내
을숙도대로 을숙도대교 교차로 ~ 명호 나들목 구간, 서낙동로 전 구간, 장산로 좌동지하차도 ~ 올림픽 교차로 구간은 자동차전용도로이므로 보행자, 자전거 등은 통행할 수 없다. 이륜자동차(모터사이클 혹은 오토바이)는 긴급자동차(싸이카 및 소방용 모터사이클 등)에 한해 통행이 가능하며, 그 밖의 이륜자동차는 통행할 수 없다.[1]송정터널은 인도가 설치되어 있지 않아 오토바이 통행은 가능하지만, 보행자, 자전거의 진입은 엄격히 금지된다.[1]
현재까지 개통된 나머지 구간은 보행자, 오토바이, 자전거 모두 이용할 수 있다.[1]
참조
[1]
간행물
부산광역시 공고 제2007-194호
http://news.busan.go[...]
2007-03-21
[2]
간행물
부산광역시 공고 제2009-1293호
http://news.busan.go[...]
2009-12-09
[3]
간행물
부산광역시 고시 제2017-423호 부산광역시 도로노선의(지정, 변경, 폐지) 고시
http://news.busan.go[...]
[4]
문서
기장군 정관읍을 경유한다.
[5]
간행물
부산광역시 기장군 공고 제2002-526호 노선 인정(변경) 공고, 제2007-382호 노선 인정(변경) 공고
http://news.busan.go[...]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