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자나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비자나무는 상록 침엽수 교목으로, 암수딴그루이며 최대 25m까지 자란다. 잎은 선형으로 흑녹색이며, 4~5월에 꽃이 피고 다음 해 9~10월에 종자가 열린다. 목재는 가구, 바둑판, 장기판 제작에 사용되며, 씨앗은 식용 또는 약용으로 쓰인다. 한국에서는 여러 비자나무와 숲이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어 보호받고 있으며, 일본에서도 문화적, 역사적으로 중요한 나무로 여겨진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주목과 - 개비자나무
- 주목과 - 비자나무속
비자나무속은 주목과에 속하는 상록 침엽수 속으로, 식용 씨앗이나 관상용으로 재배되는 일부 종을 포함하며 기후 변화에 따른 생물 이동 지원 사례로도 주목받는다. - 식용 씨앗과 견과류 - 커피콩
커피콩은 커피나무 열매 속 씨앗으로, 볶아서 커피 음료를 만드는 데 사용되며, 생두와 볶은 콩으로 나뉘고, 에티오피아에서 발견되어 전 세계로 퍼져나갔으며, 브라질이 최대 생산국이다. - 식용 씨앗과 견과류 - 너도밤나무속
너도밤나무속은 북반구 온대 지역에 분포하는 참나무과 교목으로, 두 아속으로 나뉘며 각 아속은 형태, 유전형, 분포에서 차이를 보이고, 목재, 식량, 관상용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되며, 질병과 해충의 위협을 받고 있다. - 일본의 나무 - 나한송
나한송은 따뜻한 지역에서 자라는 상록 교목으로, 껍질이 벗겨지는 특징이 있고 건축재나 약재로 쓰이며 정원수로도 심는데, 종자는 독성이 있지만 붉은 종탁은 먹을 수 있다. - 일본의 나무 - 밤나무
밤나무는 한국과 일본 원산의 참나무과 낙엽성 교목으로, 밤 열매를 얻기 위해 재배되며 목재와 조경용으로도 이용되고, 타원형 잎과 향기로운 꽃, 가시 밤송이가 특징이며, 다양한 품종이 존재하고, 역사적으로 식량, 건축, 공예 등 다방면으로 활용되어 왔다.
비자나무 - [생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학명 | Torreya nucifera (L.) Siebold 및 Zucc. (1846) |
한국어 이름 | 비자나무 |
영어 이름 | Japanese torreya (일본 비자나무), Japanese nutmeg-yew (일본 육두구 주목) |
분류 | |
계 | 식물계 |
문 | 구과식물문 |
강 | 소나무강 |
목 | 소나무목 |
과 | 주목과 |
속 | 카야속 |
종 | 카야 |
분포 및 서식지 | |
분포 지역 | 일본 남부, 한국 제주도 |
보존 상태 | |
IUCN 적색 목록 | LC (최소 관심) |
2. 생태
비자나무는 높이 25m, 지름 2m까지 자라는 상록 침엽수이다. 나무껍질은 세로로 얇게 벗겨지며 붉은빛이 도는 갈색을 띤다. 작은 가지는 붉은색이다. 잎은 깃털처럼 달리며 길쭉하고 끝이 뾰족하며, 중앙맥 양쪽으로 노란빛이 도는 흰색 줄이 선명하다.
가지는 전나무와 비슷하지만, 잎 끝이 갈라지지 않는다는 점에서 구별된다. 잎이 비슷한 개비자나무과의 개비자나무는 가지가 녹색이고 잎이 부드러워 만져도 아프지 않다.
속의 학명 Torreya영어는 미국의 식물학자 John Torrey (1796-1873년)에서 유래되었으며, 종소명 nuciferala는 "견과를 가진"이라는 의미이다.
2. 1. 꽃과 열매
4월에는 수꽃과 암꽃이 다른 그루에서 따로따로 핀다. 둥근 달걀 모양인 수꽃은 잎겨드랑이에 달리고, 5-6개의 녹색 포로 싸인 암꽃은 가지 끝에 2-3개씩 달린다. 雄花일본어[7]는 길이 1 cm 정도의 타원형으로, 전년에 나온 가지의 葉腋일본어에서 늘어져, 많은 인편 안쪽에 葯일본어이 있고, 노란 花粉일본어을 낸다. 雌花일본어[7]는 전년 가지의 끝에 생긴다. 새 가지 기부의 잎 밑동에 2개 붙지만 결실하는 것은 보통 그 중 1개뿐이다.
다음 해 9-10월에 익는 솔방울은 타원형이고 자줏빛이 도는 갈색을 띤다. 種子일본어는 녹색의 두꺼운 仮種皮일본어에 싸여 있다. 타원형으로, 처음에는 녹색이지만, 꽃이 핀 다음 해 가을에 익으면 종의는 갈색이 되고, 세로로 갈라져 종자를 낙하시킨다. 종자는 굳고, 옅은 적갈색이며 양쪽 끝이 뾰족하다.
2. 2. 생육 환경
비자나무는 상록 침엽수 교목이다. 암수딴그루로 줄기는 곧게 서고 키는 25미터(m), 둘레는 2m 정도이며, 수관은 폭이 넓은 원뿔형이 된다.[7] 성장은 매우 느리지만 수명은 길다. 음수성이 강하고 숲 내부에서 햇빛이 잘 들지 않는 곳에서도 자랄 수 있다.가지는 마주나기를 하고, 곁가지는 세 갈래로 뻗는다.[7] 수피는 회갈색에서 갈색이며, 세로로 갈라져 벗겨진다.[7] 노목이 되면 수피에 얕은 흠이 생긴다.[7] 어린 가지는 녹색이며 털이 없다.[7]
잎은 길이 2~3센티미터(cm), 폭 2~3밀리미터(mm)의 선형으로, 단면은 편평하고 표면이 부풀어 있으며, 기부는 넓은 쐐기 모양, 선단은 뾰족하게 뾰족하고, 움켜쥐듯이 만지면 찔리고 아프다.[7] 잎 표면은 흑녹색에서 짙은 녹색이며, 뒷면은 옅은 녹색, 광택이 있고 가죽질로 굳다.[7] 가지 양쪽에 늘어서서 어긋나기를 한다. 중맥은 분명히 보이지 않는다.[7] 웅화의 겨울눈(꽃눈)은 일년생 가지의 잎 기부에 붙고, 자화의 겨울눈은 새 가지의 기부에 붙는다.[7] 잎눈은 가지 끝에 거의 3개씩 붙는다.[7]
일본의 혼슈 (미야기현 이서), 시코쿠, 큐슈, 야쿠시마에 걸친 지역[6], 한반도에 분포한다. 이들 지역의 온대림, 산지[6]에 흩어져 자란다.
변종인 차보가야는 주로 일본해 쪽에 자생하며, 관목으로 적설지에 적응한다.
3. 분포
일본의 혼슈(미야기현 이서), 시코쿠, 큐슈, 야쿠시마와 한반도에 분포한다. 이들 지역의 온대림, 산지에 흩어져 자란다.[6]
3. 1. 변종
- 차보가야 (''Torreya nucifera'' var. ''radicans'')[9]
- ''Torreya nucifera'' var. ''nucifera''[9]
- * ''T. nucifera'' var. ''nucifera'' f. ''igaensis''[9]
- * ''T. nucifera'' var. ''nucifera'' f. ''macrosperma''[9]
- * ''T. nucifera'' var. ''nucifera'' f. ''nuda''[9]
- * ''T. nucifera'' var. ''nucifera'' f. ''sphaerica''[9]
4. 쓰임새
비자나무는 목재와 열매를 포함하여 다양한 용도로 사용된다. 목재는 주로 가구재, 바둑판, 장식재, 조각재, 토목재 등으로 쓰이며, 특히 바둑판과 장기판 제작에 귀하게 사용된다.[10] 열매는 약용으로 널리 쓰이고 그 즙은 기름 대용으로도 이용되었다.[10] 진언종과 같은 일본 밀교 불교에서는 비자나무 잎과 추출한 기름이 의례에 사용되기도 한다. 또한, 사민리 비자나무처럼 주변 사람들에게 문화적, 역사적 중요성을 가지기도 한다.
4. 1. 목재
비자나무 목재는 중심재가 갈색, 변재는 노란색을 띠며 나뭇결이 곱고 가공이 쉬워 가구재, 바둑판, 장식재, 조각재, 토목재 등으로 이용된다.[10] 특히 바둑판과 장기판 제작에 귀하게 사용되는데, 아름다운 황금색, 섬세하고 균일한 나이테 질감, 표면에 돌을 놓을 때 나는 소리의 음향적 품질 때문이다.과거 과도한 벌목으로 인해 비자나무는 일본에서 보호받고 있으며, 오래된 비자나무는 두꺼운 바둑판을 만드는 데 사용되어 가격이 매우 비싸다. 최고급 바둑판은 19000USD 이상에 판매되기도 한다. "신비자나무"(일본어로 "새로운 비자나무")는 보통 알래스카, 티베트, 시베리아산 백가문비나무로 만드는데, 비자나무의 희소성 때문에 더 저렴한 장비로 인기를 얻고 있다. 바둑 사발도 비자나무로 만들 수 있지만 흔하지 않다.

가야재는 바둑판, 장기판,[10] 오목판 제작에 가장 널리 사용된다. 다양한 목재 중 가야로 만들어진 것이 최고급품으로 여겨지며, 특히 미야자키현(宮崎県) 휴가 지방의 히무카 가야가 최고급품이다. 히무카 가야는 일교차가 크고 강수량이 많은 기상 조건에서 자라 나뭇결이 선명하고, 성장이 느려 나이테가 조밀하다. 수령 200~800년 된 비자나무가 바둑판 최고급품의 조건이 되며, 판재(판재)에 따라 가격은 수십만 엔에서 수백만 엔 이상에 이른다. 치수가 부족한 경우에는 장기판으로 사용된다. 일본 국내에서는 양질의 목재를 얻을 수 있는 원목 입수가 어려워져 중국산 가야재를 사용한 판도 유통되고 있는데, 재질은 일본산과 거의 동등하다고 여겨진다.
비자나무 목재는 옛날부터 불상 조각에도 사용되었고, 물과 습기에 강해 욕조 등 욕실 용품, 건축재, 선박재 등으로 사용되기도 하지만, 생산량이 적어 이러한 용도로 사용되는 경우는 드물다.
4. 2. 열매
비자나무 씨는 약용으로 널리 쓰였고 그 즙은 기름 대용으로도 이용되었다.[10] 씨앗은 식용으로 사용되며, 볶은 후의 향기 때문에 "일본산 아몬드"라고 불리기도 한다. 씨껍질을 깨서 생으로 먹거나 볶아서 먹는다. 생 씨앗도 문제없이 먹을 수 있지만, 볶으면 고소해진다. 생 씨앗은 송진과 같은 냄새가 나고 아린 맛이 강하므로, 며칠 동안 아린 맛을 제거한 후 볶거나, 호두처럼 흙에 묻어 과육을 썩혀 제거한 다음 쪄서 먹는다. 또는 재를 넣은 물에 삶는 등의 방법으로 아린 맛을 제거한 후 건조시켜 껍질째 볶거나 로스팅한 후 껍질과 속껍질을 제거하고 먹거나, 아린 맛을 제거하고 껍질을 제거한 열매를 전자레인지로 몇 분간 가열하여 속껍질을 긁어내고 열매를 먹는 방법도 있다.열매에는 35%의 많은 지방이 함유되어 있어서 식용유나 등불용으로 사용된다. 이 외에도 장기판 제작 과정에서 칠해지고, 유지 보수에도 사용된다. 야마나시현에서는 향토 식품으로, 열매를 알갱이째 엿에 넣어 반죽하여 판상으로 굳힌 "카야아메"로 축제 등에서 판매된다.
비자나무 씨앗은 '''비자실'''(히지츠)이라고 칭하여 한방에 사용되며, 씨앗 속의 딱딱한 핵을 꺼내어 햇볕에 말린 것이다. 이것을 사용할 때는 핵을 부수고, 배젖을 꺼낸다. 비자실은 1일 10g을 달여 복용하며, 십이지장충 구제, 민간에서는 장내 기생충의 구충제, 야뇨증, 빈뇨에 사용한다. 씨앗 100g 정도를 하룻밤 물에 담가 불린 다음, 잘 빻아서 먹거나, 씨앗을 볶은 것을 잘 씹어 수십 알을 먹으면 촌충 구제에 효과가 있다고 한다.
4. 3. 기타
비자나무 씨는 약용으로 널리 쓰이고 그 즙은 기름 대용으로도 이용되었다. 목재 중심재는 갈색이고 변재는 노란색으로, 나뭇결이 곱고 가공이 쉬워 주로 가구재, 바둑판, 장식재, 조각재, 토목재 등으로 이용된다.[1]비자나무 목재는 아름다운 황금색, 섬세하고 균일한 나이테 질감, 그리고 표면에 돌을 놓을 때 나는 소리의 음향적 품질 때문에 바둑판과 장기판 제작에 귀하게 사용된다. 이 나무는 과거 과도한 벌목으로 인해 희소해져 일본에서 보호받고 있다. 오래된 비자나무는 두꺼운 바둑판을 만들기 위해 벌채되어야 하는데, 이는 가격을 극도로 비싸게 만든다. 최고급 바둑판은 19000USD 이상에 판매되기도 한다. "신비자나무"(일본어로 "새로운 비자나무")인 모조 비자나무는 보통 알래스카, 티베트, 또는 시베리아산 백가문비나무로, 비자나무의 희소성 때문에 더 저렴한 장비로 어느 정도 인기를 얻고 있다. 바둑 사발도 비자나무로 만들 수 있지만, 흔하지는 않다.[1]
진언종과 같은 일본 밀교 불교에서는 이 나무의 잎과 추출한 기름이 의례에 사용된다. 이 나무의 잎은 꽃을 상징하며, 나무에서 추출한 기름은 아침 별 명상으로 알려진 긴 명상 수련 동안 등불로 태워진다.[1]
씨앗은 식용 가능하며, 구워서 ''비자''와 같이 간식으로 먹거나, 식물성 기름을 얻기 위해 압착하기도 한다.[1]
그 외에도, 이 나무들은 사민리 비자나무와 같이 주변에 사는 사람들에게 문화적, 역사적 중요성을 가질 수 있다.[1]
5. 한국의 비자나무
천연기념물 | 명칭 |
---|---|
천연기념물 제39호 | 강진 삼인리 비자나무 |
천연기념물 제111호 | 진도 상만리 비자나무 |
천연기념물 제153호 | 장성 백양사 비자나무 숲 |
천연기념물 제239호 | 고흥 금탑사 비자나무 숲 |
천연기념물 제241호 | 해남 녹우단 비자나무 숲 |
천연기념물 제287호 | 사천 성내리 비자나무 |
천연기념물 제374호 | 제주 평대리 비자나무 숲 |
천연기념물 제483호 | 화순 개천사 비자나무 숲 |
6. 문화
비자나무 열매는 전쟁터의 부정함을 정화하는 힘이 있다고 여겨져 무사가 개선했을 때 되치기(搗栗, 떡갈나무 열매를 찧은 음식)와 함께 상에 올랐다[11]. 비자나무 열매는 스모의 씨름판 진정물로도 사용되며, 쌀, 소금, 마른 오징어, 다시마, 밤과 함께 씨름판 중앙부의 구멍에 묻는다. 비자나무의 꽃말은 "노력"이다.
6. 1. 어원
간벌재와 잔가지는 훈증하여 모기를 쫓는 데 사용되었다. 가야(榧, 비자나무)의 어원은 이 "모기 쫓기"에서 유래되었다는 설이 있다.비자나무 열매에는 전쟁터의 부정함을 정화하는 힘이 있다고 여겨져, 무사가 개선했을 때 되치기(搗栗, 떡갈나무 열매를 찧은 음식)와 함께 상에 올랐다[11]. 비자나무 열매는 스모의 씨름판 진정물로도 사용되며, 쌀, 소금, 마른 오징어, 다시마, 밤과 함께 씨름판 중앙부의 구멍에 묻힌다.
6. 2. 상징
비자나무는 모기를 쫓는 데 사용되었는데, 간벌재와 잔가지를 훈증하여 사용하였다. "가야(榧, 비자나무)"라는 어원은 이 "모기 쫓기"에서 유래되었다는 설이 있다.비자나무 열매는 전쟁터의 부정함을 정화하는 힘이 있다고 여겨졌다. 그래서 무사가 개선했을 때 되치기(搗栗, 떡갈나무 열매를 찧은 음식)와 함께 상에 올랐다[11]. 또한, 비자나무 열매는 스모의 씨름판 진정물로도 사용되며, 쌀, 소금, 마른 오징어, 다시마, 밤과 함께 씨름판 중앙부의 구멍에 묻는다.
6. 3. 유명한 비자나무
대한민국의 여러 비자나무와 비자나무 숲이 천연기념물로 보호받고 있다.번호 | 이름 |
---|---|
제39호 | 강진 삼인리 비자나무 |
제111호 | 진도 상만리 비자나무 |
제153호 | 장성 백양사 비자나무 숲 |
제239호 | 고흥 금탑사 비자나무 숲 |
제241호 | 해남 녹우단 비자나무 숲 |
제287호 | 사천 성내리 비자나무 |
제374호 | 제주 평대리 비자나무 숲 |
제483호 | 화순 개천사 비자나무 숲 |
오래된 비자나무가 나고야 성의 "니시노마루-에노키다" 문 근처에 위치해 있다. 높이는 16m이고, 밑동 둘레는 8m이다. 600년 이상 된 이 나무는 성이 건설될 때 이미 그 자리에 있었다. 이 나무는 나고야에서 유일하게 정부가 지정한 천연기념물이다.[2] 1945년 일본 공습으로 피해를 입었음에도 불구하고 생존력을 회복했다. 오와리의 초대 영주이자 성주였던 도쿠가와 요시나오는 오사카로 출전하기 전과 이후 새해 축하 행사 때 이 나무에서 열리는 비자 열매로 식탁을 장식했다고 전해진다.
참조
[1]
간행물
2015-12-11
[2]
웹사이트
名古屋城のカヤ 文化遺産オンライン
https://bunka.nii.ac[...]
[3]
뉴스
Torreya nucifera
http://www.iucnredli[...]
Conifer Specialist Group
1998
[4]
논문
Cladistic analysis of Taxaceae s. l.
[5]
간행물
2023-09-19
[6]
서적
ヤマケイポケットガイド21 野菜・植物
山と渓谷社
[7]
서적
[8]
서적
巨樹・巨木 日本全国674本
山と渓谷社
[9]
웹사이트
米倉浩司・梶田忠 (2003-) 「BG Plants 和名−学名インデックス」(YList)
http://ylist.info/yl[...]
[10]
뉴스
厄介者カヤの実 一転 盛り上げ役 ナッツ、食用油…人気加工品に 奈良県曽爾村 伐採「待った」
https://www.agrinews[...]
日本農業新聞
2021-01-22
[11]
웹사이트
本邦飮食物概觀 (4)
https://doi.org/10.6[...]
日本醸造協会雑誌34巻 (1939) 5号
2023-01-25
[12]
서적
우리가 정말 알아야 할 우리 나무 백 가지
현암사
1995-02-28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