빈센트 반 고흐의 편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빈센트 반 고흐의 편지는 화가 빈센트 반 고흐가 가족, 특히 동생 테오에게 보낸 서신들을 모아놓은 것이다. 요한나 반 고흐-봉거는 테오의 아내로서 이 편지들을 수집하고 출판하는 데 헌신했다. 1914년 3권으로 구성된 초판이 출판되었고, 이후 1952-1954년에 추가 편지를 포함한 4권짜리 판이 출간되었다. 반 고흐의 편지는 그의 삶과 예술관을 보여주는 중요한 자료로, 미술사 연구에 활용되며 문학적 가치 또한 높이 평가받는다. 편지에는 그림 스케치, 다양한 인물과의 관계, 예술적 영감 등이 담겨 있으며, 고흐 사후 여러 언어로 번역되어 전기, 소설, 영화 제작에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서간집 - 숙명신한첩
숙명신한첩은 조선 시대 서첩으로, 보물로 지정된 후 서첩의 성격과 내용에 따라 명칭과 번호가 변경 및 정정되었다. - 서간집 - 신한첩 곤
신한첩 곤은 효종, 현종, 숙종, 인선왕후, 명성왕후, 인현왕후가 숙휘공주에게 보낸 한글 어찰 36통을 모아 엮은 책으로, 조선 왕실 한글 어찰 연구에 중요한 자료로 평가받는다. - 사후에 출판된 책 - 위험한 여름 (헤밍웨이의 책)
《위험한 여름》은 어니스트 헤밍웨이가 1959년 투우 시즌을 배경으로 두 투우사, 안토니오 오르도녜스와 루이스 미겔 도밍긴의 경쟁과 만남을 묘사하며, 투우에 대한 그의 깊은 이해와 애정을 보여주는 작품이다. - 사후에 출판된 책 - 닉 애덤스 이야기
어니스트 헤밍웨이의 단편 소설 모음집인 《닉 애덤스 이야기》는 헤밍웨이의 분신과 같은 인물인 닉 애덤스의 성장 과정을 통해 심리적 변화와 고뇌, 그리고 20세기 초 미국의 사회상을 반영하며, 삶의 고통, 상실감, 인간의 고독을 묘사한다. - 빈센트 반 고흐 - 반 고흐 미술관
반 고흐 미술관은 1973년 개관하여 반 고흐의 작품을 소장하고 있으며, 반 고흐 가문과 암스테르담 시의 지원으로 운영되는 네덜란드의 주요 미술관이다. - 빈센트 반 고흐 - 안톤 마우베
안톤 마우베는 헤이그파의 주요 네덜란드 화가로서 현실주의적인 풍경화, 특히 양떼 그림으로 유명하며, 빈센트 반 고흐의 외사촌 매형으로서 그의 초기 화가 생활에 큰 영향을 주었다.
빈센트 반 고흐의 편지 |
---|
2. 서신의 배경 및 출판 역사
요한나 반 고흐-봉거는 테오 반 고흐의 아내로서, 빈센트 반 고흐와 테오 사후 편지를 모으고 출판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요한나는 1889년 파리의 아파트에서 빈센트의 편지로 가득 찬 서랍을 발견했다고 회상했다.[1] 1891년 빈센트와 테오가 사망한 후, 요한나는 편지들을 모아 1914년 1월에 3권으로 구성된 초판을 출판했다.[1] 1952-1954년에는 추가 편지가 포함된 4권짜리 판이 출판되었다. 1987년 얀 휠스커가 편지를 날짜순으로 정리할 것을 제안했고, 1994년 반 고흐 미술관이 이 작업을 시작했다.[1][7]
테오는 형 빈센트로부터 받은 편지를 보관하다 1891년 1월에 사망했다. 테오의 아내 요한나는 같은 해 11월 14일 일기에 빈센트의 작품을 알리는 것을 테오가 남긴 일이라 결의하고, 편지 간행 준비를 시작했다.[36]
1892년 12월부터 1893년 2월까지 암스테르담에서 열린 파노라마 전시회 카탈로그에 고흐 서간의 짧은 발췌문이 게재되었다. 1893년 8월에는 벨기에의 네덜란드어 미술 잡지 『Van Nu en Straks|오늘과 내일nl』에 더 긴 발췌문이 실렸다.[37]
2. 1. 반 고흐 서신의 수집 및 보존
요한나 반 고흐-봉거는 테오 반 고흐의 아내로서, 남편 테오와 그의 형 빈센트 반 고흐가 사망한 후, 반 고흐 형제의 편지를 모으고 보존하는 데 여러 해를 헌신했다.[1] 그녀는 1889년 테오의 젊은 아내로서 파리의 아파트에서 빈센트의 편지로 가득 찬 서랍을 발견했다고 회상했다.[1] 요한나는 1914년 1월에 편지들을 3권으로 구성된 초판으로 출판했고, 1952-1954년에는 추가 편지가 포함된 4권짜리 판을 출판했다.[1] 얀 휠스커는 1987년에 편지를 날짜순으로 정리할 것을 제안했고, 이 작업은 1994년 반 고흐 미술관이 반 고흐 서신 프로젝트를 시작하면서 본격화되었다.[1][7]반 고흐 미술관에 따르면, 현존하는 고흐가 쓴 편지는 819통이며, 그중 동생 테오에게 보낸 것이 651통, 테오와 그의 아내 요한나에게 보낸 것이 83통이다.[27] 그 외에도 화가 안톤 판 라파르트, 에밀 베르나르, 여동생 빌레미나 판 고흐 등에게 보낸 편지들이 남아있다.[28] 고흐가 받은 편지는 83통이 남아 있으며, 그중 39통이 테오에게서 온 것이고, 2통은 테오와 요가 함께 보낸 것이다.[27]
테오는 형에게서 온 편지를 포함한 방대한 양의 서류를 보관했으며, 이는 테오 사후 아내 요한나와 아들 빈센트 빌렘에게 상속된 후 고흐 재단을 거쳐 현재 반 고흐 미술관에 보관되어 있다.[34]
2. 2. 초기 출판 및 전시
1901년 12월 말에서 1902년 1월까지 브루노 카시러와 그의 사촌 파울 카시러는 베를린에서 최초의 반 고흐 전시회를 열었다.[8] 파울 카시러는 처음으로 반 고흐의 작품 시장을 개척했고, 이후 요한나 반 고흐-봉거의 도움을 받아 시장 가격을 관리했다. 1906년 브루노 카시러는 빈센트가 테오 반 고흐에게 보낸 편지 중 일부를 선택하여 독일어로 번역한 소책자를 출판했다.[8]2. 3. 서신의 문학적, 예술적 가치
반 고흐의 서신은 문학적 소양과 독창적인 스타일을 반영하며, 세계 문학 수준으로 평가받는다. 시인 W. H. 오든은 "매료되지 않는 반 고흐의 편지는 거의 없다"라고 평했다.[1]반 고흐는 발자크, 미슐레, 졸라, 볼테르, 플로베르 등 다양한 작가들의 작품을 탐독했으며, 조지 엘리엇, 샬럿 브론테, 찰스 디킨스의 소설과 존 키츠의 시도 즐겨 읽었다.[12][13] 그의 편지에는 이러한 독서 경험이 녹아들어 독특한 문체를 형성했다.
이 편지들은 한 예술가의 삶을 연대기적으로 보여주는 귀중한 사료이기도 하다.[1] 그가 머물렀던 브라반트 지방, 파리, 런던, 헤이그, 드렌터, 뉘넨, 안트베르펜, 아를, 생레미 드 프로방스, 오베르 쉬르 우아즈 등지에서의 경험과 예술적 성장이 기록되어 있다.[14] 특히, 아를에서 예술가 공동체를 꿈꿨던 그의 유토피아적 이상은 1888년 말 폴 고갱과의 만남으로 이어진다.[1]
3. 주요 서신 내용
빈센트 반 고흐의 편지는 단순한 서신 교환을 넘어, 한 예술가의 삶과 예술, 그리고 정신적인 여정을 보여주는 귀중한 기록이다. 이 편지들은 반 고흐가 브라반트, 파리, 런던, 헤이그, 드렌터, 뉘넨, 안트베르펜, 아를, 생레미 드 프로방스, 오베르 쉬르 우아즈 등 여러 지역을 거치며 겪었던 육체적, 정신적 변화와 예술적 성장을 담고 있다.[14] 특히 동생 테오에게 보낸 편지에는 재정적 지원에 대한 감사뿐만 아니라, 잉글랜드와 네덜란드에 대한 묘사, 광부나 농부와 같은 평범한 사람들의 스케치도 포함되어 있어[1] 그의 삶과 예술 세계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단서가 된다.
반 고흐는 편지를 통해 자신의 영적, 신학적 사상과 신념을 드러냈으며,[15] 때로는 테오에게 매일 편지를 쓰기도 했다.[1] 그는 가난한 자들이 땅을 물려받을 것이라고 믿었고, 이러한 믿음은 그의 작품과 편지에 반영되었다.[1]
반 고흐는 편지에 자신의 작품 스케치를 자주 첨부했는데, 이는 그의 작품 세계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단서를 제공한다.
3. 1. 초기 서신 (1872-1880)
빈센트 반 고흐가 동생 테오에게 보낸 편지는 총 844통 중 663통이었다. 반면 테오가 빈센트에게 보낸 편지 중 현재 남아있는 것은 39통에 불과하다.[9] 1872년 9월 29일, 빈센트(당시 19세)는 "나의 친애하는 테오에게"로 시작하는 첫 번째 편지를 썼다. 당시 빈센트는 편지 작가로서 아직 미숙했기에 사실 위주의 내용을 담았지만, 자신의 내면을 드러내기도 했다. 이후 런던과 파리로 이사하면서 점차 개인적인 정보를 편지에 담기 시작했다.[10]
1872년 여름, 학생이었던 테오가 헤이그의 형을 방문한 직후부터 둘 사이의 편지 왕래가 시작되었다.[30] 초기 3년 동안은 주로 일과 관련된 짧은 편지들이 오갔다.[29]
1875년 여름, 고흐는 기독교에 깊이 빠져들었고, 편지에는 성경 및 종교 서적 인용이 급증했다. 그는 고린도후서의 "근심하는 자 같으나 항상 기뻐하고"라는 구절을 모토처럼 반복했다.[31] 1876년 봄, 영국 람스게이트와 아이즐워스로 이사한 후 장문의 편지들을 썼다. 그러나 암스테르담 신학 시험 낙방과 보리나주 복음 전도 활동 실패로 성직자의 꿈이 좌절되자, 1879년부터 종교 서적 인용은 급격히 줄었다.[31] 1870년대 말부터 편지는 고흐에게 생각과 느낌을 표현하는 중요한 수단이 되었고, 테오는 가족 중 유일한 이해자로 자리매김했다.[32]
3. 2. 네덜란드 시기 (1881-1885)
1880년경, 고흐는 화가가 되기로 결심한 후, 편지에서 그림에 대한 관심을 집중적으로 드러냈다. 테오와 안톤 판 라파르트, 폴 고갱, 에밀 베르나르 등에게 보낸 편지를 통해, 고흐가 초기에 소묘에 전념하고 새로운 화구를 시도하며 구도와 정확한 묘사에 어려움을 겪었던 과정, 독서, 다른 예술가와의 교류, 미술관 방문을 통해 받은 자극, 색채에 대한 생각, 남프랑스에서의 아틀리에 구상 등 화가로서 성장하는 과정을 상세히 알 수 있다. 반면, 의식주와 같은 일상생활에 대한 정보는 많지 않다.[33]3. 3. 파리 시기 (1886-1888)
반 고흐는 파리에서 동생 테오와 함께 거주했기 때문에 이 시기에 주고받은 편지는 남아있지 않다.[1] 따라서 파리 시기(1886-1888)의 반 고흐의 생활에 대한 정보는 제한적이다. 하지만 이 시기는 반 고흐가 에밀 베르나르 등 다른 화가들과 교류하며 예술적으로 성장했던 중요한 시기였다.3. 4. 아를 시기 (1888-1889)
1888년부터 1년 동안 반 고흐는 에밀 베르나르에게 22통의 편지를 썼는데, 그 어조는 테오에게 보낸 편지와는 달랐다. 이 편지에서 반 고흐는 자신의 기법, 색채 사용, 이론에 대해 더 많이 썼다.[11]
편지 716은 폴 고갱이 아를에서 반 고흐와 합류한 직후인 1888년 11월 1일경, 빈센트 반 고흐와 폴 고갱이 공동으로 에밀 베르나르에게 보낸 편지이다. 그해 늦여름, 반 고흐는 가장 상징적인 그림 중 하나인 두 번째 그룹의 ''해바라기'' 그림을 완성했으며, 그 중 두 점은 고갱의 방을 장식했고, 그들이 함께 사용했던 집을 묘사한 유명한 그림 ''노란 집''도 그렸다. 이 편지는 두 사람이 함께 작성한 공동 편지라는 점에서 독특하며, 반 고흐 미술관의 편지집 웹사이트에서 원본 프랑스어와 영어 번역본을 모두 읽을 수 있다.[25] 이 편지에서 그들은 예술가 공동체를 형성하려는 계획, 아마도 해외에 설립하려는 계획 등을 논의했다. 실제로는 그들의 관계는 항상 불안정했고, 연말까지 그들은 완전히 헤어지게 되었으며, 반 고흐는 귀를 자르는 발작을 겪은 후 스스로 병원에 입원하게 되었다.
''침실''은 반 고흐가 오랫동안 기다려온 '노란 집'에서의 생활을 기념하는 그림이다. 반 고흐는 9주 동안 폴 고갱이 머물렀던 손님방 옆, 1층의 방 중 하나를 사용했다.[23] ''의자''는 그의 침실에 있던 일상적인 물건을 소재로 삼았으며, 반 고흐는 또한 제목에서 알 수 있듯이 ''[https://www.vangoghmuseum.nl/en/collection/s0048V1962 고갱의 의자]''를 그렸다. 그는 예술적 스타일을 통해 고갱과 자신의 서로 다른 개성을 표현했다.
3. 5. 생레미 시기 (1889-1890)
반 고흐는 생레미 드 프로방스의 정신병원에 입원해 있는 동안에도 동생 테오와 꾸준히 편지를 주고받았다.[14] 이 시기의 편지들은 그의 육체적 여정과 예술적 성장을 보여주는 중요한 자료이다.[14] 때로는 매일 테오에게 편지를 쓰면서 재정적 지원에 대한 감사와 함께 잉글랜드와 네덜란드에 대한 묘사를 덧붙였다.[1] 그는 편지에 광부나 농부와 같은 평범한 사람들의 스케치를 포함하기도 했다.[1]1880년경, 화가가 되기로 결심한 후 고흐의 편지는 그림에 대한 관심사에 집중되었다.[33] 테오와 폴 고갱, 에밀 베르나르 등에게 보낸 편지를 통해, 고흐가 소묘, 새로운 화구, 구도와 정확한 묘사, 독서, 다른 예술가와의 교류, 미술관 방문, 색채, 남프랑스에서의 아틀리에 구상 등 화가로서 성장하는 과정을 상세히 알 수 있다.[33]
3. 6. 오베르 쉬르 우아즈 시기 (1890)
반 고흐는 오베르 쉬르 우아즈에서 보낸 기간 동안 자신의 육체적 여정과 예술적 성장에 대한 내용을 편지에 기록했다.[14] 이 시기는 그의 삶에서 중요한 부분으로, 폴 가셰 박사와의 만남, 마지막 작품 활동, 자살 직전의 심리 상태 등을 엿볼 수 있는 자료들을 남겼다.4. 서신에 나타난 주요 인물
반 고흐의 서신에는 여러 주요 인물들이 등장한다. 테오는 반 고흐의 동생으로, 형의 정신적, 재정적 후원자였다. 반 고흐는 테오에게 가장 많은 편지를 보냈으며, 테오 역시 반 고흐에게 꾸준히 편지를 보냈다.[27] 테오의 아내인 요한나 반 고흐-봉거 역시 반 고흐와 편지를 주고받았으며, 반 고흐 사후 서신 수집 및 출판에 기여했다.[27]
에밀 베르나르는 반 고흐의 친구이자 화가로, 반 고흐는 그에게 자신의 기법, 색채 사용, 이론 등에 대해 쓴 편지를 보냈다.[11] 안톤 판 라파르트는 반 고흐가 네덜란드에서 활동하던 시기에 교류했던 화가로, 반 고흐는 그에게도 그림에 대한 자신의 생각을 담은 편지를 보냈다.[33] 폴 고갱은 반 고흐와 함께 아를에서 생활하며 예술가 공동체를 구상하기도 했으나, 둘의 관계는 불안정했고 결국 헤어지게 되었다.[25] 존 피터 러셀은 오스트레일리아의 인상주의 화가로 반 고흐와 벨-일에서 함께 활동했다. 가셰 박사는 카미유 피사로의 소개로 반 고흐의 신경 질환을 치료한 의사이며, 인상주의 화가들과 교류했다.
4. 1. 테오 반 고흐
빈센트 반 고흐의 동생인 테오는 형의 정신적, 재정적 후원자였다. 현존하는 빈센트의 편지 819통 중 651통이 테오에게 보낸 것이며, 테오가 빈센트에게 보낸 편지는 39통이 남아있다.[27]1872년 9월 29일, 19세의 빈센트는 테오에게 첫 번째 편지를 보냈다.[29] 이 편지는 테오가 헤이그의 형을 방문한 직후 쓰였으며, 이후 두 사람의 편지 왕래가 시작되었다.[30] 초기 3년간의 편지는 주로 일에 대한 내용 등 정해진 내용이 많고 비교적 짧았다.[29]
1870년대 말부터 편지는 빈센트에게 있어 생각과 느낌을 표현하는 수단이 되었고, 테오는 가족 중 유일한 이해자가 되었다.[32] 빈센트는 테오에게 매일 편지를 쓰기도 했는데, 재정적 지원에 대한 감사뿐 아니라 잉글랜드와 네덜란드에 대한 묘사, 광부나 농부와 같은 평범한 사람들의 스케치를 포함하기도 했다.[1]
1880년경 화가가 되기로 결심한 후, 빈센트의 편지는 그림에 대한 관심에 집중되었다. 테오에게 보낸 편지를 통해 빈센트가 소묘에 전념하고, 새로운 화구를 시도하고, 구도와 정확한 묘사에 고생하고, 독서와 다른 예술가와의 교류, 미술관 방문을 통해 자극을 받고, 색채에 대해 생각하고, 남프랑스에 아틀리에를 구상하는 등 화가로서 성장하는 과정을 상세히 알 수 있다.[33]
4. 2. 요한나 반 고흐-봉거
테오의 아내로, 반 고흐 사후 서신 수집 및 출판에 기여했다.[27] 반 고흐 미술관에 따르면, 고흐가 쓴 편지 중 현존하는 것은 819통이며, 그중 동생이자 화상이었던 테오에게 보낸 것이 651통, 테오와 그의 아내 요한나 반 고흐-봉거에게 보낸 것이 83통이다.[27] 고흐가 받은 편지는 83통이 남아 있으며, 그중 39통이 테오에게서 온 것이고, 2통은 테오와 요한나 반 고흐-봉거가 함께 보낸 것이다.[27]4. 3. 에밀 베르나르
1888년부터 1년 동안 반 고흐는 에밀 베르나르에게 22통의 편지를 썼는데, 그 어조는 테오에게 보낸 편지와는 달랐다. 이 편지에서 반 고흐는 자신의 기법, 색채 사용, 이론에 대해 더 많이 썼다.[11]고흐가 1890년에 사망한 직후, 베르나르는 고흐에게서 받은 편지를 공개하기 위해 움직이기 시작했다. 그는 1891년에 지에 고흐를 소개하는 기사를 썼으며, 그 안에서 고흐에게서 받은 편지 간행은 "참신함과 호소력을 가질 것"이라고 적었다.[38] 그리고 1893년 4월부터 프랑스의 메르퀴르 드 프랑스 지상에 그의 소전과 함께 편지를 조금씩 발표하기 시작했다.[39] 처음 4회는 4월호부터 7월호까지 매달 게재되었다. 베르나르는 1892년 12월 31일에 편집의 고생에 대해 요의 형 앙드리스 봉거에게 "편지의 일부를 베꼈지만, 매우 시간이 걸리고 힘든 작업입니다. 쓰다 만 문장을 보충하거나, 불가해한 미로 사이를 헤쳐나가며 생각을 따라가야 하는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라고 적었다. 베르나르는 이 시기에 (1)17세기 네덜란드 회화, (2) 새로운 회화, (3) 고흐의 작품과 제작 상황에 대한 기술, (4) 베르나르의 작품에 대한 고흐의 반응, (5) 종교・사회에 대한 생각이라는 5가지 테마에 따라 편지를 골랐다. 베르나르는 이 당시 연재에서는 편지의 발췌만으로 그치고, "표현이 거칠어 감정을 해칠 수 있는 부분은 채록하지 않고, 나 자신과 관련된 부분은 공표하지 않으며, 또한 당시 친구들의 이니셜만 싣기로 했다"라고 나중에 설명했다. 게재 순서도 무작위로 하고, 사생활의 상황은 알기 어렵게 되어 있었다.[38]
이어서 1893년 8월부터 1895년 2월까지, 『메르퀴르』지에는 테오 앞으로 보낸 서간의 발췌가 게재되었다. 이것은 베르나르가 요에게서 빌린 것이다. 편지 게재는 중단을 거치면서 1897년 8월까지 계속되었다.[38] 『메르퀴르』지라는 권위 있는 잡지에서의 게재는 전위 미술에 관심 있는 독자들에게 큰 반향을 불러일으켰다. 그리고 프랑스 외에도 번역되어 소개되었다.[38]
4. 4. 안톤 판 라파르트
반 고흐가 네덜란드에서 활동하던 시기에 교류했던 화가 안톤 판 라파르트에게 보낸 편지는 1905년 네덜란드의 월간지 ''Kritiek van Beeldende Kunsten en Kunstnijverheid''에서 공개되었다.[41] 1880년경 화가가 되기로 결심한 후, 반 고흐는 테오, 라파르트, 폴 고갱, 베르나르 등에게 보낸 편지에서 그림에 대한 자신의 관심사를 상세히 밝혔다.[33]4. 5. 폴 고갱
폴 고갱은 반 고흐에게 "그는 책을 너무 많이 읽는다"고 말했다.[13]1888년 11월 1일경, 빈센트 반 고흐와 폴 고갱은 아를에서 함께 에밀 베르나르에게 편지(716)를 보냈다. 이 편지는 두 사람이 함께 작성한 공동 편지라는 점에서 독특하다. 그해 늦여름, 반 고흐는 ''해바라기'' 연작 중 두 번째 그룹을 완성했는데, 그 중 두 점은 고갱의 방을 장식했다. 또한, 그들이 함께 사용했던 집을 묘사한 ''노란 집''도 그렸다.
반 고흐 미술관의 편지집 웹사이트에서 이 편지의 원본 프랑스어와 영어 번역본을 모두 읽을 수 있다.[25] 이 편지에서 그들은 예술가 공동체를 형성하려는 계획(아마도 해외에 설립) 등을 논의했다. 그러나 실제로는 그들의 관계는 항상 불안정했고, 연말까지 완전히 헤어지게 되었다. 반 고흐는 귀를 자르는 발작을 겪은 후 스스로 병원에 입원하게 되었다.
이 친필 서명은 2012년 12월 12~13일 파리 경매에서 445000EUR에 낙찰되었다.[26]
1983년 더글러스 쿠퍼는 고갱이 고흐, 테오, 요에게 보낸 편지 45통을 엮어 ''45 Lettres à Vincent, Théo et Jo van Gogh프랑스어''를 출판했다. 여기에는 고흐가 받은 미공개 편지 15통 이상이 흑백 팩시밀리 판, 활자화된 텍스트, 주석과 함께 수록되어 있었다.
4. 6. 존 피터 러셀
존 피터 러셀은 오스트레일리아의 인상주의 화가였다. 빈센트 반 고흐와 클로드 모네와 함께 벨-일에서 활동했다.
4. 7. 가셰 박사
카미유 피사로가 소개한 의사로, 빈센트 반 고흐의 신경 질환을 치료했다. 가셰 박사는 여가 시간에 그림을 그렸으며, 인상주의 화가들과 교류했다. 마르그리트 가셰의 아버지이다.[1]5. 서신 속 삽화
빈센트 반 고흐는 동생 테오를 비롯한 여러 사람들과 편지를 주고받으면서, 자신의 생각과 그림에 대한 아이디어를 공유했다. 특히 편지에는 그의 작품과 관련된 스케치들이 포함되어 있어, 그의 작품 세계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자료가 된다.
5. 1. '아를의 노란 집' 스케치
5. 2. '아를의 침실' 스케치
5. 3. '가셰 박사의 초상' 스케치
6. 서간집 출판의 역사
요한나 반 고흐-봉거는 테오 반 고흐의 아내로서, 남편이 죽은 후 빈센트 반 고흐의 편지를 모으는 데 여러 해를 헌신했다. 1889년 테오의 아내가 되어 파리의 아파트에 들어갔을 때 빈센트의 편지로 가득 찬 서랍을 발견했고,[1] 2년 안에 두 형제가 모두 사망하자 요한나는 편지들을 모아 1914년 1월에 3권으로 된 초판을 출판했다.[1] 1952-1954년에는 추가 편지가 포함된 4권짜리 판이 나왔다. 얀 휠스커는 1987년에 편지를 날짜순으로 정리할 것을 제안했고, 이 작업은 1994년 반 고흐 미술관이 반 고흐 서신 프로젝트를 시작하면서 본격화되었다.[1][7]
1901년 말부터 1902년 초까지 브루노 카시러와 파울 카시러는 독일 베를린에서 최초의 반 고흐 전시회를 열었다. 파울 카시러는 반 고흐 작품 시장을 개척하고 요한나 반 고흐-봉거의 도움을 받아 시장 가격을 관리했다. 1906년 브루노 카시러는 빈센트가 테오에게 보낸 편지 중 일부를 독일어로 번역하여 출판했다.[8]
반 고흐 미술관에 따르면, 고흐가 쓴 편지 중 현존하는 것은 819통이며, 그중 동생 테오에게 보낸 것이 651통, 테오와 그의 아내 요에게 보낸 것이 83통이다.[27] 그 외에는 화가 안톤 판 라파르트, 에밀 베르나르, 여동생 빌 등에게 보낸 편지들이 있다.[28] 고흐가 받은 편지는 83통이 남아 있으며, 그중 39통이 테오에게서 온 것이고, 2통은 테오와 요가 함께 보낸 것이다.[27]
고흐의 첫 번째 편지는 1872년 9월 29일 테오에게 보낸 것으로, 당시 고흐는 19세였다.[29] 이 편지를 시작으로 두 사람 사이의 편지 왕래가 시작되었지만, 처음 3년 정도는 일에 대한 내용이 많고 비교적 짧은 편지가 많았다.[29] 1875년 여름 고흐는 기독교에 관심을 갖게 되면서 편지에 성경 구절 인용이 급격히 증가했다. 1876년 봄에는 장문의 편지가 쓰여졌으나, 암스테르담에서 신학 시험, 보리나주에서 복음 전도 활동에 실패하면서 1879년부터는 종교 관련 언급이 사라졌다.[31] 1870년대 말부터 편지는 고흐에게 자신의 생각과 감정을 표현하는 수단이 되었고, 테오는 가족 중 유일한 이해자로 자리 잡았다.[32] 1880년경 화가가 되기로 결심한 후, 고흐의 편지는 그림에 대한 내용에 집중되었다. 테오, 라파르트, 폴 고갱, 베르나르 등에게 보낸 편지를 통해 고흐의 성장 과정을 알 수 있다.[33]
테오는 형의 편지를 포함한 방대한 양의 서류를 보관했으며, 이는 1891년 테오 사후 아내 요와 아들 빈센트 빌렘을 거쳐 고흐 재단으로 이어져 현재 반 고흐 미술관에 보관되어 있다.[34] 하지만 분실된 것으로 보이는 편지도 있다. 1879년 8월부터 가족 간의 편지가 줄었고, 1880년은 아버지가 고흐를 정신병원에 보내려 했던 시기이다. 1883년 초의 편지도 분실된 것으로 보인다.[34] 고흐는 자신이 받은 편지를 보존하지 않아 파리 시대 이전의 편지는 거의 남아있지 않다. 1889년 4월 말 이후 테오와 요의 편지는 거의 완벽하게 남아있다.[34] 현존하는 902통 외에 고흐가 쓴 편지 약 290통, 받은 편지 약 550통이 있었을 것으로 추정된다.[34]
고흐는 1920년경까지 각국에서 평가되었고, 서간집도 번역 출판되었다. 영국에서는 1913년 Anthony Ludovici영어가 독일어판을 번역하여 출판했다. 일본에서는 고지마 키쿠오가 『시라카바』(1911년 2월 이후)에 「빈센트 반 고호의 편지」를 게재하여 처음 소개했다.[47] 단행본으로는 키무라 소하치가 1915년에 『반 고호의 편지』를 출판했다. 쇼와 시대에는 고바야시 히데오가 『'''고흐의 편지'''』를 연재하여 간행, 1953년 요미우리 문학상을 수상했다. 민예 운동을 지지한 시키바 류자부로는 1956년에 『고흐의 편지』를 시작으로 많은 관련 저서·번역서를 간행했다.
1921년에 독일어판·볼라르의 베르나르 앞으로의 서간집이 출판되었고(1928년 재판), 1924년에는 요가 편찬한 네덜란드판 서간집이 나왔다. 1925년 요는 사망했지만, 독일어판 재판에는 요의 아들 빈센트 빌렘 반 고흐의 서문이 수록되어 요의 노력이 소개되었다.[48] 영국에서는 1927년에 처음으로 본격적인 영문판 서간집이 출판되었다. 1938년 미술사학자 Douglas Cooper영어는 베르나르 앞으로의 서간집 영문 번역판을 출판하면서 학술적인 주석을 달았다.[48] 빈센트 빌렘은 1932년 아버지 테오가 빈센트에게 보낸 편지 41통을 프랑스어로 출판했다.[49] 1936년에는 고흐의 라파르트 앞으로의 서간이 뉴욕에서, 1937년에는 네덜란드에서 출판되었다.[49]
6. 1. 베르나르의 서간집 (1911)
파리의 화상 앙브루아즈 볼라르는 《메르퀴르》지에 서간을 소개한 지 15년이 지나 완전한 서간집을 출판하려는 기획을 세웠고, 1910년 1월, 그는 에밀 베르나르와 계약을 맺어 1911년에 출판했다.[42] 이 서간집은 편지 자체(80페이지 남짓)보다 서문(70페이지)이 더 많은 부분을 차지했다. 서문에는 베르나르가 이 판을 위해 새로 쓴 「서문」 외에도, 《메르퀴르》지에 게재되었던 베르나르 앞으로, 테오 앞으로의 서문, 계획이 무산되었던 서간집을 위해 1895년에 쓰인 서문, 그리고 《현대의 사람들》지에 게재된 고흐에 대한 추상문이 수록되었다.[42] 편지 22통과 사진 도판 100점도 함께 수록되었다.[43]베르나르는 「서문」에서 고흐의 편지를 수정 없이 그대로 채록했다고 적었지만, 실제로는 이름이 이니셜이나 가명으로 바뀌거나, 상스러운 표현을 가려 놓은 곳이 있었다.[42]
6. 2. 요한나 반 고흐-봉거의 서간집 (1914)
1914년, 요(ヨー)는 빈센트의 편지를 3권으로 묶은 서간집 ''Vincent van Gogh, Brieven aan zijn broeder|빈센트 반 고흐, 형제에게 보내는 편지nl''를 간행했다. 이 서간집은 기본적으로 빈센트가 동생 테오에게 보낸 편지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1889년 결혼 후에는 요에게 보낸 편지도 포함되었다. 부모님과 어머니에게 보낸 편지도 약간 포함되었다.[44]요는 서문에서 남편 테오가 파리의 아파트 서랍에 빈센트의 편지를 남겼고, 출판을 원했지만 실현하지 못하고 사망했다고 밝혔다. 약 24년이 지난 후에 출판된 이유는 해독과 정리에 시간이 걸렸고, 빈센트가 화가로서 정당한 평가를 받을 시기를 기다렸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44]
편지는 고흐가 보낸 시기에 따라 장소가 구분되어 있으며, 고흐가 쓴 언어 그대로 수록되었다. 따라서 처음 2권은 네덜란드어로, 제3권은 파리 시대부터 시작하므로 주로 프랑스어로 되어 있다.[44]
하지만, 이 서간집은 편지의 순서나 날짜가 잘못된 경우가 있다는 점이 연구자들에 의해 지적되었다. 요가 인명을 이니셜로 바꾸거나, 좋지 않은 부분을 건너뛰거나, 잉크로 덧칠한 흔적도 있다.[45]
요와 출판사(De Wereldbibliotheek 사)와의 계약은 1911년 1월 18일에 체결되었으며, 처음에는 1912년에 독일어판 출판과 시기를 맞춰 출판될 예정이었다. 그러나 1914년까지 늦춰져 2100부가 인쇄되었다. 출판 비용은 요가 자비로 부담했다.[44]
같은 해인 1914년, 브루노 카시러의 사촌인 파울 카시러가 요의 서간집 독일어 번역본을 출판했다.[46]
6. 3. 구 완전판 (1952-1954)
제2차 세계 대전 후, 빈센트 빌렘 반 고흐는 고흐 탄생 100주년을 기념하여, 그때까지 공개된 모든 서간을 하나로 묶는 구상을 하였다. 그 결과, 1952년부터 1954년에 걸쳐 네덜란드에서 당시 결정판이라고 할 수 있는 전 4권의 고흐 서간집 ''Verzamelde brieven|베르자멜더 브리번nl''(구 완전판)이 발행되었다.[50] 여기에는 테오, 베르나르, 라파르트 등 모든 사람과의 편지 왕래가 망라되어 있으며, 고흐가 쓴 오리지널 언어(네덜란드어, 프랑스어, 일부 영어)로 인쇄되어 있다.[50] 주로 뉘넨 시대에 쓰인, 날짜가 없거나 미완성인 테오에게 보낸 편지 21통, 여동생 빌레미나 판 고흐(빌)에게 보낸 편지 22통 등, 그때까지 미발표되었던 편지도 수록되었다.[50]제1권에서 제3권까지는 빈센트가 테오에게 보낸 편지가 수록되어 있으며, 요 판 서간집에서 부여된 서간 번호가 그대로 사용되었다. 새롭게 수록된 편지에는 숫자 뒤에 a, b, c와 같은 곁가지 번호가 붙어 있다. 그런데, 이러한 편지들에 섞여서, 고흐에 관한 제3자의 문장이 참고 자료로 게재되어 있으며, 그것에도 편지와 같은 숫자와 곁가지 번호가 매겨져 있다는 특징이 있다.[50]
제4권에는, 기타 편지와 각종 참고 자료가 수록되어 있다. 먼저, 라파르트, 빌, 베르나르에게 보낸 편지와 테오가 빈센트에게 보낸 편지가 게재되어 있다. 서간 번호에는, 각각, 머리글자를 따서 R, W, B, T라는 기호가 붙어 있다. 그 다음 장에는, 각종 신문·잡지·서적에서 발표된 고흐 회상록 등, 잡다한 자료가 수록되어 있다. 그리고, 마지막 장에는, 고흐 가문에 대해 빈센트 빌렘이 정리한 글이 게재되어 있다.[50]
1955년에는 재빨리 전 2권으로 재간행되었고 1973-74년에도 재판되었다. 또한 영국에서는 1958년에 ''The complete letters of Vincent van Gogh|더 컴플리트 레터스 오브 빈센트 반 고흐영어''가, 템스 & 허드슨(Thames & Hudson)에서 영문 번역 출판되었다. 이 영문 번역에는, 빈센트가 테오에게 보낸 편지 5통이 새롭게 수록되어 있다. 1959년에는 이탈리아어판, 1960년에는 프랑스어판, 1965년에는 독일어판이 출판되었다.[50]
일본어 번역은 이 판을 바탕으로, 후타미 시로·아와즈 노리오·우사미 에이지·시마모토 토오루 역 『'''반 고흐 서간 전집'''』(미스즈 서방(みすず書房)[51](전 6권), 1969-70년, 신장 개정판 1984년), 하자마 이노스케 역 『'''고흐의 편지'''』(이와나미 문고(岩波文庫) 전 3권, 발췌 번역)가 출판되었다.
6. 4. 반 고흐 미술관 개정판 (2009)
반 고흐 미술관은 고흐 사후 100주년인 1990년을 기념하여, 지금까지 발표된 모든 편지를 묶은 서간집 ''De brieven|더 브리번nl''(전 4권)을 발표하였다. 2009년 가을에는 웹 버전과 영어, 네덜란드어, 프랑스어 서적판이 동시에 발표되었으며, 웹 버전은 무료로 공개되었다.[55]이 개정판에서는 날씨 기록이나 우편 배달 일수 등 모든 정보를 바탕으로 날짜가 기재되지 않은 편지의 날짜를 특정하였고, 구판의 오류를 수정하였다. 또한 편지에서 언급된 작품, 인물, 사건에 상세한 주석을 추가하였다.[45]
7. 한국어 번역본
일본에서는 고지마 키쿠오가 『시라카바』(1911년 2월 이후)에 「빈센트 반 고호의 편지」를 게재하여 고흐의 편지를 처음 소개했다.[47] 키무라 소하치는 1915년에 『반 고호의 편지』(로요도)를 출판했다.[47] 쇼와 시대에는 고바야시 히데오가 『고흐의 편지』(신초샤, 신판은 신초 문고)를 1950년 『예술신조』 창간호부터 연재하여 간행, 1953년에 제4회 요미우리 문학상을 수상했다. 민예 운동을 지지한 시키바 류자부로는 1956년에 『고흐의 편지』(각·전 4권, 창예사/신판은 『불꽃의 화가 고흐 시키바 류자부로 선집』 노벨 서방, 1981년)를 간행했다.
한국어 번역본은 다음과 같다.
- 『반 고흐의 편지』 Ⅰ・Ⅱ (국부사사 역, 신초샤, 2020년): 반 고흐 미술관 전문 스태프가 엄선한 265통을 수록했다.
- 『빈센트 반 고흐의 편지』 (후타미 시로 편역・구니후지 쓰카사 역, 미스즈 서방, 2001년, 신장판 2017년): 네덜란드어판을 바탕으로 한 발췌 번역본이다.
- 『고흐의 편지 그림과 영혼의 일기』 (안나 수 편, 센즈 신코 감수, 토미타 아키라・후지시마 미나 역, 니시무라 서점, 2012년)
- 『고흐의 프로방스 편지』 (마틴 베일리 해설, 오카모토 유카코 역・토미타 아키라 해설, 마르사, 2023년)
- 『서간으로 읽는 고흐』 (사카구치 테츠히로, 후지와라 서점, 2014년): 동생 테오에게 보낸 편지를 통한 평전이다.
8. 서신의 의의 및 영향
빈센트 반 고흐의 편지는 미술사 연구에서 그림의 제작 시기, 경위, 배경 등을 파악하는 데 매우 중요한 자료이다. 특히 동생 테오 반 고흐는 구필 상회에서 근무하며 미술계의 최신 동향을 잘 알고 있었으므로, 고흐는 테오에게 자신의 회화관을 자유롭게 이야기할 수 있었다.[56]
또한 고흐의 편지에는 가족, 종교, 예술에 대한 그의 생각과 감정, 좌절 등이 솔직하게 담겨 있어 문학적으로도 높은 가치를 인정받고 있다.[57] 고흐가 이토록 특별한 화가로 여겨지는 이유가 바로 그의 삶을 자세히 알 수 있는 이 편지들 덕분이라는 평가도 있다.[58]
고흐 사후, 에밀 베르나르와 테오의 아내 요한나 반 고흐-봉거는 고흐의 편지를 공개했고, 이는 고흐의 삶과 예술에 대한 관심을 크게 불러일으켰다. 특히 1914년에 요한나가 출판한 편지 모음집은 여러 나라에서 번역되었고, 이를 바탕으로 많은 전기, 소설, 영화가 만들어졌다.[59]
참조
[1]
웹사이트
"Overview of all the letters"
http://vangoghletter[...]
Van Gogh Museum Amsterdam
2015-11-04
[2]
웹사이트
"Van Gogh as letter-writer"
http://vangoghletter[...]
Van Gogh Museum Amsterdam
2015-10-19
[3]
서적
Pomerans (1997), xiii
[4]
웹사이트
List of letters to Vincent van Gogh
http://vangoghletter[...]
Van Gogh Museum
[5]
웹사이트
List of letters to Vincent van Gogh from Theo van Gogh
http://vangoghletter[...]
Vincent van Gogh
[6]
서적
Pomerans (1997), xv–xvii
[7]
웹사이트
Publication history: The first collected edition of 1952-1954 and thereafter
http://vangoghletter[...]
2015-03-10
[8]
서적
The posthumous fate of Vincent van Gogh 1890–1970
Abrams
1986
[9]
웹사이트
"Van Gogh as Writer"
http://vangoghletter[...]
Unknown
[10]
웹사이트
"The Earliest Letters"
http://vangoghletter[...]
[11]
뉴스
Letters from Vincent
Smithsonian
2008
[12]
서적
Pomerans (1997), xx
[13]
웹사이트
Dutch Courage
http://www.newstates[...]
New Statesman
2012-03-04
[14]
서적
Pomerans (1997), xxiii
[15]
서적
Van Gogh and God : a creative spiritual quest
Loyola University Press
1989
[16]
웹사이트
Letter 254: To Theo van Gogh. The Hague, Saturday, 5 or Sunday, 6 August 1882
http://vangoghletter[...]
Van Gogh Museum
[17]
웹사이트
Letter 253: To Theo van Gogh. The Hague, Saturday, 5 August 1882
http://vangoghletter[...]
Van Gogh Museum
[18]
웹사이트
Letter 323: To Theo van Gogh. The Hague, on or about Saturday, 3 March 1883
http://vangoghletter[...]
Van Gogh Museum
[19]
웹사이트
691 To Theo van Gogh. Arles, on or about Saturday, 29 September 1888
http://www.vangoghle[...]
Van Gogh Museum
[20]
웹사이트
877 To The van Gogh. Auvers-sur-Oise, Tuesday, 3 June 1890.
http://vangoghletter[...]
2020-10-03
[21]
웹사이트
879 To Willemien van Gogh. Auvers-sur-Oise, Thursday, 5 June 1890.
http://vangoghletter[...]
2020-10-01
[22]
웹사이트
902. To Theo van Gogh. Auvers-sur-Oise, Wednesday, 23 July 1890.
http://vangoghletter[...]
2020-10-01
[23]
서적
Van Gogh
Phaidon
[24]
웹사이트
The Sower Vincent van Gogh, 1888
https://www.vangoghm[...]
[25]
웹사이트
716 Vincent van Gogh and Paul Gauguin to Emile Bernard. Arles, Thursday, 1 or Friday, 2 November 1888
http://vangoghletter[...]
Van Gogh Museum
[26]
웹사이트
van Gogh, Vincent (1853-1890) et Gauguin, Paul (1848-1903). Lettre autographe signée à Émile Bernard [Arles 1er ou 2 novembre 1888]
http://www.christies[...]
Christie's
[27]
웹사이트
Van Gogh as a letter-writer: A new edition
http://vangoghletter[...]
Van Gogh Museum
2015-11-03
[28]
문서
圀府寺 (2010: 197)。
[29]
웹사이트
Van Gogh as a letter-writer: 2.1 The earliest letters
http://vangoghletter[...]
Van Gogh Museum
2015-11-09
[30]
문서
Naifeh and Smith (2012: 76)。
[31]
웹사이트
Van Gogh as a letter-writer: 2.2 1875: a watershed
http://vangoghletter[...]
Van Gogh Museum
2015-11-09
[32]
웹사이트
Van Gogh as a letter-writer: 2.3 A voice of his own
http://vangoghletter[...]
Van Gogh Museum
2015-11-09
[33]
웹사이트
Van Gogh as a letter-writer: 2.4 Artist
http://vangoghletter[...]
Van Gogh Museum
2015-11-09
[34]
웹사이트
Correspondents: 4.1 Kept or thrown away
http://vangoghletter[...]
Van Gogh Museum
2015-11-09
[35]
문서
ヨー・ファン・ゴッホ夫人による回想『フィンセント・ファン・ゴッホの思い出』(マーティン・ゲイフォード解説、林卓行監訳、吉川真理子訳、東京書籍、2020年)が刊行されている。
[36]
웹사이트
Publication hisotry: The early publications of the letters: 2.1 Around 1890
http://vangoghletter[...]
Van Gogh Museum
2015-11-02
[37]
웹사이트
Publication hisotry: The early publications of the letters: 2.2 Publication of the first extracts: Netherlands 1892-1893
http://vangoghletter[...]
Van Gogh Museum
2015-11-02
[38]
웹사이트
Publication history: 2.3 Mercure de France 1893-1897
http://vangoghletter[...]
Van Gogh Museum
2013-11-30
[39]
문서
エニック (2005: 55-56)。
[40]
웹사이트
Publication history: 2.4 Germany in the first decade of the twentieth century
http://vangoghletter[...]
Van Gogh Museum
2015-11-02
[41]
웹사이트
Publication history: 2.5 Netherlands, 1905: letters to Anthon van Rappard
http://vangoghletter[...]
Van Gogh Museum
2015-11-02
[42]
웹사이트
Publication history: 3.1 The letters to Emile Bernard, 1911
http://vangoghletter[...]
Van Gogh Museum
2015-11-02
[43]
문서
新関 (2011: 341)。
[44]
웹사이트
Publication history: 3.2 1914: Jo van Gogh-Bonger published Vincent van Gogh. Brieven aan zijn broeder
http://vangoghletter[...]
Van Gogh Museum
2015-11-03
[45]
문서
圀府寺 (2010: 198-201)。
[46]
웹사이트
Publication history: 3.3 1914: The letters to Theo translated into German
http://vangoghletter[...]
Van Gogh Museum
2015-11-05
[47]
웹사이트
Publication history: 4.1 Occasional publications up to 1945
http://vangoghletter[...]
Van Gogh Museum
2015-11-05
[48]
웹사이트
4.2.1 Reissues and translations
http://vangoghletter[...]
Van Gogh Museum
2015-11-05
[49]
웹사이트
Publication hisotry: 4.2.2 New editions
http://vangoghletter[...]
Van Gogh Museum
2015-11-06
[50]
웹사이트
Publication history: The first collected edition of 1952-1954 and thereafter
http://vangoghletter[...]
Van Gogh Museum
2015-11-06
[51]
문서
初訳版は1963年に全3巻で刊行、全6巻版は度々再版。[[小林秀雄 (批評家)|小林秀雄]]・[[瀧口修造]]・[[富永惣一]]監修。
[52]
웹사이트
Publication history: 5.3.2 Facsimile edition, 1977
http://vangoghletter[...]
Van Gogh Museum
2015-11-06
[53]
웹사이트
Publication history: 5.3.3 Letters from Gauguin to Van Gogh
http://vangoghletter[...]
Van Gogh Museum
2015-11-06
[54]
웹사이트
De brieven 1990: a large edition for a small readership
http://vangoghletter[...]
Van Gogh Museum
2015-11-07
[55]
웹사이트
About this edition: 1 Introduction
http://vangoghletter[...]
Van Gogh Museum
2015-11-07
[56]
문서
Leeuw (ed.) (1996: xiv-xv)。
[57]
문서
Leeuw (ed.) (1996: xvi-xvii)。
[58]
문서
圀府寺 (2010: 196-97)。
[59]
문서
圀府寺 (2010: 198)。
[60]
웹사이트
Overview of all the letters
http://vangoghletter[...]
Van Gogh Museum Amsterdam
2015-11-04
[61]
웹사이트
Van Gogh as letter-writer
http://vangoghletter[...]
Van Gogh Museum Amsterdam
2015-10-19
[62]
문서
Pomerans (1997), xiii
[63]
웹인용
List of letters to Vincent van Gogh
http://vangoghletter[...]
Van Gogh Museum
[64]
웹인용
List of letters to Vincent van Gogh from Theo van Gogh
http://vangoghletter[...]
Vincent van Gogh
[65]
문서
Pomerans (1997), xv–xvii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