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호세델몬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산호세델몬테는 필리핀 불라칸주에 위치한 도시로, 1752년 설립되었다. 원래 메이카우얀의 일부였으며, 필리핀 혁명, 미국 통치, 제2차 세계 대전, 후크발라합 반란 등 다양한 역사적 사건을 겪었다. 1996년에는 메트로 마닐라에서 이주해 온 인구 증가로 인해 범죄율이 증가하기도 했다. 2000년에는 시로 승격되었으며, 2023년에는 고도 도시화 도시로의 전환이 주민 투표에서 부결되었다. 산호세델몬테는 해발 40~900m의 다양한 지형을 가지고 있으며, 62개의 바랑가이로 구성되어 있다. 주요 경제 활동은 농업과 축산업이며, 상업 지구와 관광 명소도 갖추고 있다. 교통은 버스와 지프니가 주요 수단이며, 현재 MRT 7호선 건설이 진행 중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산호세델몬테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 | |
![]() | |
로마자 표기 | Lungsod ng San Jose del Monte |
별칭 | 없음 |
국가 | 필리핀 |
지역 | 중앙 루손 지방 |
지방 | 불라칸 주 |
건립 | 1752년 3월 2일 |
시 승격 | 2000년 9월 10일 |
단독 선거구 | 2003년 12월 18일 |
시장 | Arthur B. Robes |
부시장 | Efren C. Bartolome Jr. |
하원의원 | Florida P. Robes |
시 의회 | 1지구 Jose J. Abela Janet D. Reyes Rosalyn C. Cabuco Glenn M. Villano Liezl N. Aguirre-Abat Richard Maurice M. Robes 2지구 Romeo N. Agapito Benjamin G. Acibal Jr. Ryan B. Elfa Celso G. Francisco Argel Joseph V. Drio Vanessa Michelle S. Roquero |
유권자 | 명 () |
해발고도 | m |
최대 해발고도 | 1179 m |
최소 해발고도 | -1 m |
면적 | km2 |
인구 | 명 () |
인구 밀도 | 자동 계산 |
인구 통계 | San Joseño |
시간대 | PST |
UTC 오프셋 | +8 |
웹사이트 | 공식 웹사이트 |
경제 지표 | |
빈곤율 | % () |
유틸리티 | |
전기 | Meralco |
수도 | 산호세델몬테 시 수도국 |
기후 | |
언어 | |
종교 | |
주요 종교 | 정보 없음 |
가톨릭 교구 | 말롤로스 교구 |
수호 성인 | 정보 없음 |
기타 정보 | |
슬로건 | Arya San Joseño! |
찬가 | San Jose del Monte Hymn |
2. 역사
초기 기록에 따르면, 산호세델몬테는 원래 메이카우얀 마을의 일부였다. 1750년 3월 마닐라 대주교가 새로운 지방 자치체 설립에 관한 법령을 내렸고, 1752년 3월 2일에 산호세델몬테가 공식적으로 설립되었다.[3] 이 법령에는 이주를 자원한 가족들의 명단이 포함되어 있었으며, 메이카우얀의 라굴로(현재의 말하칸) 출신 가족들은 쌀, 포도주, 응앙가(nganga), 소금을 가져와 이 지역 원주민인 이타족과 두마가트족의 들돼지, 사슴, 얀톡(yanto), 알마시간(almasigan)과 교환했다. 도로 부지 등을 포함한 솔라레스(Solares)는 측량 후 새로운 주민들에게 평화롭게 분배되었다.[3]
사냥꾼들이 발견한 것을 메이카우얀의 본당 신부에게 보고했을 것으로 추정되며, 신부가 현재 마을 중심지가 있는 곳에 돌 교회를 짓고 성상을 안치했다고 한다. 현존하는 가톨릭 교회 기록에 따르면 초대 본당 신부는 안토니오 데 모랄(Antonio de Moral) 신부였으며, 1845년에 본당을 맡았다.
스페인에 대한 반란 당시 이 마을은 카티푸네로와 스페인군 사이의 전투 장소가 되었다. 혁명군이 패배하고 복수심에 불탄 스페인 병사들이 마을을 불태웠으며, 주민들은 목숨을 걸고 근처 마을로 피신했다. 미국의 통치가 시작되면서 1918년까지 산타 마리아의 일부가 되었고, 그 후 마을이 재건되면서 시리아코 갈라르도(Ciriaco Gallardo)가 초대 시장으로 임명되었다. 미국 통치 시기에는 공립학교가 개교했지만 인구 부족으로 가장 높은 학년은 4학년이었다.
일본 점령 기간 동안 이 마을은 구릉지대와 숲이 우거진 지형 때문에 지역 게릴라의 이상적인 은신처가 되었다. 일본 제국 육군은 1942년부터 1943년까지 산호세델몬테의 지방 정부를 장악했고, 저항으로 이 지방 자치체는 자체 게릴라 부대를 편성했다. 산호세델몬테는 1945년 1월 11일과 1월 14일에 미국군이 마을 중심지를 폭격하면서 큰 피해를 입었다. 필리핀과 미국군이 합동으로 진입하자 평화가 찾아왔지만 오래가지는 않았다.
후크발라합 반란이 절정에 달했던 1950년 10월 10일, 이 마을은 습격을 받았다. 후크(Huks)는 마을 청사를 불태웠다. 1951년 3월 21일에 두 번째 습격을 받았다. 마을 관리들이 사전 예방 조치를 취했기 때문에 후크는 성공하지 못했고, 그 후 점차 소탕되었다.
1980년대에는 메트로 마닐라의 수천 명의 무허가 거주자들이 산호세델몬테로 이주했다. 1996년 부라칸 주지사 로베르토 파그단가난은 이주가 무허가 거주자들에게 새로운 생계를 보장하지 못했고, 많은 무허가 거주자들을 범죄로 이끌었다고 회상하며, 경찰 보고서에 따르면 이 마을이 주에서 범죄율이 가장 높았다고 언급했다.[4] 1988년에는 에두아르도 로케로가 재선에 도전한 레이날도 비야노(Reynaldo Villano)를 8표 차이로 누르고 시장으로 당선되었다.[5]
2024년 2월 14일, 성가대원 루네타 모랄레스(Luneta Morales, 83세)가 가슴 부상으로 사망하고 63명이 부상을 입었다. "성 요셉 사목구" 성 베드로 사도 교회(산호세델몬테, 부라칸)의 30년 된 발코니 갤러리가 흰개미의 피해로 약해져 오전 7시 이후 재의 수요일 예배 중 붕괴되었다. 데니스 비야로호(Dennis Villarojo)는 "피해자들과 그 가족들은 말로로스 교구의 본당 신부 로물로 페레스(Romulo Perez) 신부와 그의 보좌 사제 디비노 카야난(Divino Cayanan) 신부의 도움을 받고 있다"고 말했다.[6][7][8]
2. 1. 초기 역사 및 어원
산호세델몬테는 울창한 숲에서 발견된 성 요셉의 동상에서 이름이 유래되었다. 사냥꾼들이 이 지역을 "산의 성 요셉"이라는 뜻의 스페인어로 부르면서 그 이름이 붙었다.[3]초기 기록에 따르면, 산호세델몬테는 원래 메이카우얀 마을의 일부였다. 1750년 3월 마닐라 대주교가 새로운 지방 자치체 설립에 관한 법령을 내렸고, 1752년 3월 2일에 산호세델몬테가 공식적으로 설립되었다.[3]
이 법령에는 이주를 자원한 가족들의 명단이 포함되어 있었다. 메이카우얀의 라굴로(현재의 말하칸) 출신 가족들 대부분은 쌀, 포도주, 응앙가(nganga), 소금을 가져와 이 지역 원주민인 이타족과 두마가트족의 들돼지, 사슴, 얀톡(yanto), 알마시간(almasigan)과 교환했다. 도로 부지 등을 포함한 솔라레스(Solares)는 측량 후 새로운 주민들에게 평화롭게 분배되었다.[3]
사냥꾼들은 그들의 발견 사항을 메이카우얀의 본당 신부에게 보고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신부가 현재 마을 중심지가 있는 곳에 돌 교회를 지었고, 새 교회에는 성상이 안치되었다. 현존하는 가톨릭 교회 기록에 따르면 초대 본당 신부는 안토니오 데 모랄(Antonio de Moral) 신부였으며, 1845년에 본당을 맡았다.
스페인에 대한 반란 당시 이 마을은 카티푸네로와 스페인군 사이의 전투 장소가 되었다. 혁명군이 패배하고 복수심에 불탄 스페인 병사들이 마을을 불태웠다. 주민들은 목숨을 걸고 근처 마을로 피신했다.
2024년 2월 14일, 성가대원 루네타 모랄레스(Luneta Morales, 83세)가 가슴 부상으로 사망하고 63명이 부상을 입었다. "성 요셉 사목구" 성 베드로 사도 교회(산호세델몬테, 부라칸)의 30년 된 발코니 갤러리가 흰개미의 피해로 약해져 오전 7시 이후 재의 수요일 예배 중 붕괴되었다. 데니스 비야로호(Dennis Villarojo)는 "피해자들과 그 가족들은 말로로스 교구의 본당 신부 로물로 페레스(Romulo Perez) 신부와 그의 보좌 사제 디비노 카야난(Divino Cayanan) 신부의 도움을 받고 있다"고 말했다.[6][7][8]
2. 2. 필리핀 혁명과 미국 통치 시기
스페인에 대한 반란 당시 이 마을은 카티푸네로와 스페인군 사이의 전투 장소가 되었다. 혁명군이 패배하고 복수심에 불탄 스페인 병사들이 마을을 불태웠다. 주민들은 목숨을 걸고 근처 마을로 피신했다.[3] 미국의 통치가 시작되면서 1918년까지 산타 마리아의 일부가 되었고, 그 후 마을이 재건되면서 시리아코 갈라르도(Ciriaco Gallardo)가 초대 시장으로 임명되었다. 미국 통치 시기에는 공립학교가 개교했지만 인구 부족으로 가장 높은 학년은 4학년이었다.일본 점령 기간 동안 이 마을은 구릉지대와 숲이 우거진 지형 때문에 지역 게릴라의 이상적인 은신처가 되었다. 일본 제국 육군은 1942년부터 1943년까지 산호세델몬테의 지방 정부를 장악했다. 저항으로 이 지방 자치체는 자체 게릴라 부대를 편성했다. 산호세델몬테는 1945년 1월 11일과 1월 14일에 미국군이 마을 중심지를 폭격하면서 큰 피해를 입었다. 필리핀과 미국군이 합동으로 진입하자 평화가 찾아왔지만 오래가지는 않았다.
후크발라합 반란이 절정에 달했던 1950년 10월 10일, 이 마을은 습격을 받았다. 후크(Huks)는 마을 청사를 불태웠다. 1951년 3월 21일에 두 번째 습격을 받았다. 마을 관리들이 사전 예방 조치를 취했기 때문에 후크는 성공하지 못했고, 그 후 점차 소탕되었다.
2024년 2월 14일, 성가대원 루네타 모랄레스(Luneta Morales, 83세)가 가슴 부상으로 사망하고 63명이 부상을 입었다. 성 베드로 사도 교회(산호세델몬테, 부라칸)의 30년 된 발코니 갤러리가 흰개미의 피해로 약해져 오전 7시 이후 재의 수요일 예배 중 붕괴되었다. 데니스 비야로호(Dennis Villarojo)는 "피해자들과 그 가족들은 말로로스 교구의 본당 신부 로물로 페레스(Romulo Perez) 신부와 그의 보좌 사제 디비노 카야난(Divino Cayanan) 신부의 도움을 받고 있다"고 말했다.[6][7][8]
2. 3. 제2차 세계 대전과 후크발라합 반란
일본 점령 기간 동안 이 마을은 구릉지대와 숲이 우거진 지형 때문에 지역 게릴라의 이상적인 은신처가 되었다. 일본 제국 육군은 1942년부터 1943년까지 산호세델몬테의 지방 정부를 장악했다. 저항으로 이 지방 자치체는 자체 게릴라 부대를 편성했다. 산호세델몬테는 1945년 1월 11일과 1월 14일에 미국군이 마을 중심지를 폭격하면서 큰 피해를 입었다. 필리핀과 미국군이 합동으로 진입하자 평화가 찾아왔지만 오래가지는 않았다.[3]후크발라합 반란이 절정에 달했던 1950년 10월 10일, 이 마을은 습격을 받았다. 후크(Huks)는 마을 청사를 불태웠다. 1951년 3월 21일에 두 번째 습격을 받았다. 마을 관리들이 사전 예방 조치를 취했기 때문에 후크는 성공하지 못했고, 그 후 점차 소탕되었다.[3]
2. 4. 도시 승격과 고도 도시화
1999년 12월, 필리핀 하원의 안헬리토 사르미엔토 의원이 산호세델몬테를 시로 승격하는 법안을 제출했고, 이 법안은 2000년 7월 15일 「공화국 법률 제8797호」로 승인되었다.[10][9]2000년 9월 10일 주민투표가 실시되었다. 투표율은 낮았지만, 주로 메트로 마닐라에서 온 이주민들이 주민의 70%를 차지하여 시 승격이 대부분 찬성으로 결정되었다. 59개 마을 중 9개 마을만이 법안에 반대표를 던졌다. 공식 선포는 저녁에 이루어졌다. 산호세델몬테는 1999년 12월 시 승격 입찰에 실패한 말롤로스 이후 부라칸 주 최초의 시가 되었으며,[10] 필리핀 선거위원회에 의해 2002년에 시로 승격되었다.[11] 또한 필리핀 86번째 시로 기록되었다.[3]
2003년 12월 18일, 시 헌장을 개정하는 「법률 제9230호」가 승인되어 산호세델몬테는 자체 입법구인 부라칸 주의 최초의 독립구를 얻게 되었다.[3] 동시에, ''상구니앙 판룽소드''에서의 대표를 위해 ''바랑가이''들이 두 개의 구역으로 분류되었다. 관리는 2004년 선출되었다.[12]

2020년 12월 4일, 로드리고 두테르테 대통령은 제1057호 선포령을 통해 산호세델몬테를 고도로 도시화된 도시로 선포했다.[13][14] 그러나 시 조례를 비준하기 위한 주민투표를 거쳐야 했다. 2022년 전국 및 지방 선거 4개월 후에 실시될 예정이었지만[15] 그 이후로 계속 연기되었다. 전국 및 지방 선거 이후 오랫동안 고도로 도시화된 도시(HUC) 지위에 대한 선포는 보류된 상태였다. 2023년 9월 11일, 필리핀 선거위원회는 2023년 10월 30일 주민투표를 브랑가이 및 상구니앙 카바타안 선거와 동시에 실시한다는 결의안을 발표했다.[16][17]
주민투표 이틀 후 필리핀 선거위원회가 발표한 바에 따르면, 유권자 대다수가 시 전환을 반대했다.[18] 한편, 투표에 참여한 유권자 중 10분의 1은 기권하여 무효표를 남겼다.[19]
3. 지리
산호세델몬테 시의 고도는 해발 약 40m에서 900m 범위이며, 동쪽으로 갈수록 저지대에서 고지대로 지형이 변화한다. 이는 도시가 시에라마드레(Sierra Madre) 산맥의 일부이기 때문이다. 서쪽과 남서쪽 지역은 평야와 강 계곡의 평지가 특징이며, 중앙부와 동쪽 대부분은 완만한 경사의 구릉성 지형이다. 고도가 높은 지역과 경사가 완만한 지역은 동쪽 끝과 북서쪽 지역에 가장 많이 분포한다.[20]
도시를 흐르는 강과 개울은 앙가트 강(Angat River)의 지류인데, 주요 수로는 키푼고크(Kipungok), 산토 크리스토(Santo Cristo), 산타 마리아 강 시스템이다. 키푼고크 강은 산호세델몬테를 칼룩칸(Caloocan)과 로드리게스와 구분하며, 마닐라 만(Manila Bay)으로 흘러가는 마릴라오(Marilao) 강과 직접 연결된다. 빅테(Bigte), 칸툴롯(Kantulot), 카팅가(Katinga), 살라민(Salamin) 개울 등이 이러한 강에 속한다.[20]
이 도시는 불라칸(Bulacan) 주 남동부에 위치하며, 남쪽으로는 메트로 마닐라의 칼룩칸 시와 퀘존시티(Quezon City) 시, 동쪽으로는 리살 주의 로드리게스 마을, 서쪽으로는 산타 마리아 마을과 마릴라오 마을, 북쪽으로는 노르자가라이(Norzagaray) 마을과 경계를 접한다. 말로로스(Malolos)에서 65km, 마닐라(Manila)에서 30km 떨어져 있다.[21]
산호세델몬테에는 필리핀에서 가장 큰 재정착 지역 중 일부가 있는데, 사팡 팔라이(Sapang Palay) 재정착 지역, 무존 사우스(Muzon South) 바랑가이의 파바하이 2000(Pabahay 2000), 미누얀 프로퍼(Minuyan Proper) 바랑가이의 타워빌(Towerville) 등이 대표적이다. 이 도시 인구의 상당수는 메트로 마닐라의 개울, 강둑, 철로 등에 거주하던 비정규 거주자 출신이다.[21]
3. 1. 기후
월 |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
평균 최고 기온 (℃) | 29°C | 30°C | 32°C | 34°C | 33°C | 31°C | 30°C | 29°C | 29°C | 30°C | 30°C | 29°C |
평균 최저 기온 (℃) | 20°C | 20°C | 21°C | 23°C | 24°C | 25°C | 24°C | 24°C | 24°C | 23°C | 22°C | 21°C |
평균 강수량 (mm) | 7mm | 7mm | 9mm | 21mm | 101mm | 152mm | 188mm | 170mm | 159mm | 115mm | 47mm | 29mm |
평균 강우 일수 | 3.3 | 3.5 | 11.1 | 8.1 | 18.9 | 23.5 | 26.4 | 25.5 | 24.5 | 19.6 | 10.4 | 6.4 |
3. 2. 행정 구역
산호세델몬테는 62개의 바랑가이(Barangay)로 구성되어 있으며,[24] 각 바랑가이는 푸록(Purok)으로, 일부는 시티오(Sitio)로 구성된다.원래는 포블라시온(Poblacion), 할랑(Halang)(무손(Muzon)), 사팡팔라이(Sapang Palay), 산토크리스토(Santo Cristo), 가야가야(Gaya-Gaya)의 5개 바랑가이만 존재했다. 시간이 지나면서, 특히 사팡팔라이 이주 지역(Sapang Palay Resettlement Area) 주민들의 주거 환경 개선을 위해 이 5개 바랑가이가 분할되었다.
2023년 3월 25일 주민투표를 통해 무손 바랑가이가 무손 프로퍼(Muzon Proper), 무손 이스트(Muzon East), 무손 웨스트(Muzon West), 무손 사우스(Muzon South)의 4개 바랑가이로 분할되었다.[25][26]
이 바랑가이들은 두 개의 구역으로 나뉘며, 첫 번째 구역의 우편번호는 3023, 두 번째 구역의 우편번호는 3024이다. 첫 번째 구역은 26개, 두 번째 구역은 36개의 바랑가이로 구성된다.
도시의 이전 행정 중심지는 포블라시온 1(Poblacion 1)이었으나, 현재는 둘롱 바얀(Dulong Bayan)으로 이전하여 새로운 정부 청사가 되었다.
산호세델몬테는 무손 노드(무손의 4개 바랑가이), 포블라시온 노드(포블라시온의 2개 바랑가이), 사팡팔라이 노드(삼폴 시장 주변 바랑가이), 퉁콩 망가 노드의 4개 주요 도시 중심지(노드)를 가지고 있다.
불라칸 주 노르자가라야 시와는 산호세델몬테의 어섬션 상부, 산토니뇨 2세 동부, 산 마르틴 드 포레스 동부, 라왕 파리 동부, 미누얀 프로퍼 동부, 카이반반, 산 로케, 파라다이스 3세, 산 이시드로, 퉁콩 망가 상부, 시우다드 레알 바랑가이와 노르자가라야의 티그베 하부, 비퉁골 하부, 미누얀 하부, 비그테 하부, 산 마테오(시티오 카라후메) 하부, 산 로렌조 산악 지대에서 영토 분쟁이 진행 중이다.
바랑가이 | 구역 | 인구 | 면적 (ha) | 인구밀도 (ha당) | 우편번호 |
---|---|---|---|---|---|
시우다드 레알(Ciudad Real) | 제1구역 | 1,826 | 1414 | 1 | 3023 |
둘롱 바얀(Dulong Bayan) | 제1구역 | 11,008 | 407.5 | 27 | 3023 |
프란시스코 홈즈 - 구이호(Francisco Homes - Guijo) | 제1구역 | 6,972 | 44.58 | 156 | 3023 |
프란시스코 홈즈 - 뮬라윈(Francisco Homes - Mulawin) | 제1구역 | 11,226 | 82.01 | 137 | 3023 |
프란시스코 홈즈 - 나라(Francisco Homes - Narra) | 제1구역 | 8,293 | 45.57 | 182 | 3023 |
프란시스코 홈즈 - 야칼(Francisco Homes - Yakal) | 제1구역 | 3,721 | 31.66 | 118 | 3023 |
가야가야(Gaya-Gaya) | 제1구역 | 56,896 | 511.3 | 111 | 3023 |
그레이스빌(Graceville) | 제1구역 | 42,207 | 254.5 | 166 | 3023 |
구마옥 센트럴(Gumaoc Central) | 제1구역 | 4,123 | 11.23 | 367 | 3023 |
구마옥 이스트(Gumaoc East) | 제1구역 | 5,376 | 13.7 | 392 | 3023 |
구마옥 웨스트(Gumaoc West) | 제1구역 | 8,885 | 31.29 | 284 | 3023 |
카이반반(Kaybanban) | 제1구역 | 3,245 | 401.1 | 8 | 3023 |
카이피안(Kaypian) | 제1구역 | 46,045 | 464.6 | 99 | 3023 |
마할리카(Maharlika) | 제1구역 | 3,057 | 24.63 | 124 | 3023 |
무손 이스트(Muzon East) | 제1구역 | 127,506 | 959.6 | 133 | 3023 |
무손 프로퍼(Muzon Proper) | 제1구역 | ||||
무손 웨스트(Muzon West) | 제1구역 | ||||
무손 사우스(Muzon South) | 제1구역 | ||||
파라다이스 3세(Paradise III) | 제1구역 | 5,318 | 1,108 | 5 | 3023 |
포블라시온(Poblacion) | 제1구역 | 2,273 | 62.94 | 36 | 3023 |
포블라시온 1(Poblacion I) | 제1구역 | 5,617 | 83.86 | 67 | 3023 |
산 이시드로(San Isidro) | 제1구역 | 4,282 | 1134 | 4 | 3023 |
산 마누엘(San Manuel) | 제1구역 | 11,432 | 92.52 | 124 | 3023 |
산 로케(San Roque) | 제1구역 | 2,492 | 268.4 | 9 | 3023 |
산토 크리스토(Santo Cristo) | 제1구역 | 49,579 | 769.2 | 64 | 3023 |
퉁콩 망가(Tungkong Mangga) | 제1구역 | 16,324 | 1652 | 10 | 3023 |
사팡팔라이 프로퍼(Sapang Palay Proper) | 제2구역 | 5,804 | 432.0 | 13 | 3024 |
에어리어 A - 미누얀 프로퍼(Area A - Minuyan Proper) | 제2구역 | 46,171 | 810.2 | 57 | 3024 |
에어리어 A - 미누얀 1(Area A - Minuyan I) | 제2구역 | 3,333 | 14.52 | 230 | 3024 |
에어리어 A - 미누얀 2(Area A - Minuyan II) | 제2구역 | 5,977 | 8.025 | 745 | 3024 |
에어리어 A - 미누얀 3(Area A - Minuyan III) | 제2구역 | 2,673 | 16.84 | 159 | 3024 |
에어리어 A - 미누얀 4(Area A - Minuyan IV) | 제2구역 | 4,769 | 33.82 | 141 | 3024 |
에어리어 A - 미누얀 5(Area A - Minuyan V) | 제2구역 | 2,200 | 14.38 | 153 | 3024 |
에어리어 B - 바궁 부하이 1(Area B - Bagong Buhay I) | 제2구역 | 7,264 | 42.92 | 169 | 3024 |
에어리어 B - 바궁 부하이 2(Area B - Bagong Buhay II) | 제2구역 | 4,175 | 26.81 | 156 | 3024 |
에어리어 B - 바궁 부하이 3(Area B - Bagong Buhay III) | 제2구역 | 5,698 | 20.08 | 284 | 3024 |
에어리어 C - 산 마르틴 1(Area C - San Martin I) | 제2구역 | 4,095 | 20.63 | 198 | 3024 |
에어리어 C - 산 마르틴 2(Area C - San Martin II) | 제2구역 | 3,527 | 10.22 | 345 | 3024 |
에어리어 C - 산 마르틴 3(Area C - San Martin III) | 제2구역 | 3,695 | 12.14 | 304 | 3024 |
에어리어 C - 산 마르틴 4(Area C - San Martin IV) | 제2구역 | 4,085 | 15.81 | 258 | 3024 |
에어리어 D - 산타 크루즈 1(Area D - Santa Cruz I) | 제2구역 | 4,854 | 22.43 | 216 | 3024 |
에어리어 D - 산타 크루즈 2(Area D - Santa Cruz II) | 제2구역 | 3,405 | 9.938 | 342 | 3024 |
에어리어 D - 산타 크루즈 3(Area D - Santa Cruz III) | 제2구역 | 3,029 | 10.20 | 297 | 3024 |
에어리어 D - 산타 크루즈 4(Area D - Santa Cruz IV) | 제2구역 | 3,175 | 14.36 | 221 | 3024 |
에어리어 D - 산타 크루즈 5(Area D - Santa Cruz V) | 제2구역 | 3,811 | 7.942 | 480 | 3024 |
에어리어 E - 파티마 1(Area E - Fatima I) | 제2구역 | 3,109 | 10.1 | 308 | 3024 |
에어리어 E - 파티마 2(Area E - Fatima II) | 제2구역 | 1,890 | 6.423 | 294 | 3024 |
에어리어 E - 파티마 3(Area E - Fatima III) | 제2구역 | 1,922 | 5.915 | 325 | 3024 |
에어리어 E - 파티마 4(Area E - Fatima IV) | 제2구역 | 2,121 | 8.337 | 254 | 3024 |
에어리어 E - 파티마 5(Area E - Fatima V) | 제2구역 | 2,195 | 20.96 | 105 | 3024 |
에어리어 F - 산 페드로(Area F - San Pedro) | 제2구역 | 16,439 | 77.15 | 213 | 3024 |
에어리어 G - 시트러스(Area G - CITRUS) | 제2구역 | 22,893 | 89.76 | 255 | 3024 |
에어리어 H - 산 라파엘 1(Area H - San Rafael I) | 제2구역 | 3,362 | 26.27 | 128 | 3024 |
에어리어 H - 산 라파엘 2(Area H - San Rafael II) | 제2구역 | 8,139 | 9.617 | 846 | 3024 |
에어리어 H - 산 라파엘 3(Area H - San Rafael III) | 제2구역 | 2,718 | 10.35 | 263 | 3024 |
에어리어 H - 산 라파엘 4(Area H - San Rafael IV) | 제2구역 | 6,447 | 16.50 | 391 | 3024 |
에어리어 H - 산 라파엘 5(Area H - San Rafael V) | 제2구역 | 2,844 | 6.798 | 418 | 3024 |
에어리어 I - 어섬션(Area I - Assumption) | 제2구역 | 4,362 | 24.68 | 177 | 3024 |
에어리어 I - 라왕 파리(Area I - Lawang Pari) | 제2구역 | 5,075 | 26.82 | 189 | 3024 |
에어리어 I - 산토 니뇨 1(Area I - Santo Niño I) | 제2구역 | 2,610 | 24.16 | 108 | 3024 |
에어리어 I - 산토 니뇨 2(Area I - Santo Niño II) | 제2구역 | 3,746 | 20.60 | 182 | 3024 |
에어리어 I - 산 마르틴 드 포레스(Area I - San Martin de Porres) | 제2구역 | 2,470 | 18.48 | 134 | 3024 |
4. 인구
2020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산호세델몬테의 인구는 651,813명이다.[27] 이는 불라칸 주에서 가장 큰 지방 자치 단체이며, 중부 루손(Region III)에서도 가장 큰 도시이다.[27]
1950년대 이후 농촌 지역에서 도시로 인구 이동이 증가하면서 인구가 급증했다. 마닐라와의 근접성으로 인해 마닐라의 인구 유입을 수용할 수 있었고, 인근 퀘존시티의 개발과 인구 및 인프라 증가로 인해 이러한 현상은 더욱 가속화되었다. 무허가 정착민들의 강제 이주와 정부의 주택 제공 유인책으로 인해 도시는 계속 성장했다.
산호세델몬테는 주 인구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1960년 2%에서 1990년 9%, 2015년 17%로 증가했다. 1980년 인구 조사에서 메이카우얀, 1990년 인구 조사에서 말롤로스를 넘어서 불라칸 주에서 가장 큰 도시가 되었다. 2015년에는 당시 두 번째로 큰 도시인 산타마리아(2015년 인구 조사 기준 256,454명)의 두 배가 넘는 인구를 기록했다.
현재 인구 증가율(2010-2015년, +4.55%)이 유지된다면 산호세델몬테의 인구는 2030년 인구 조사까지 두 배로 증가하여 100만 명을 돌파할 것으로 예상된다.
4. 1. 언어
이 시는 부라칸주에 있는 산 미구엘, 도냐 레메디오스 트린다드, 노르자가라이 세 개의 시와 함께 부라칸의 최초 주민인 알타 카불로완(Alta Kabulowan)의 고향이며, 그들의 언어는 '''알타 카불로완'''이라고도 불린다(이 언어). 현재 그들의 언어는 멸종 위기에 처해 있으며 지방 정부의 개입이 절실히 필요하다. 이 마을 주민 대부분은 타갈로그어를 모국어로 사용한다.5. 경제
산호세델몬테는 농업, 축산업, 상업, 관광 산업을 기반으로 경제를 발전시키고 있다.
농업 부문에서는 잎채소와 뿌리채소(특히 OTOP 품목인 카사바)를 비롯해 파인애플, 망고, 커피콩 등을 재배한다. 축산업은 대규모 및 소규모 돼지 사육이 주를 이루며, RFM 코퍼레이션(RFM Corporation), 비타리치, 펠단 등 주요 가금류 생산업체들이 있다.[1]
상업은 퉁콩 망가, 무손, 사팡 팔라이(샘폴) 등 세 곳의 주요 상업 지구를 중심으로 발달했으며, 도매 및 소매 무역이 활발하다. 이 외에도 미누얀 프로퍼의 타워빌, 카이피안의 팔메라 등 소규모 상업 지구가 여럿 있다. 주요 쇼핑몰로는 SM 시티 산호세델몬테와 스타몰 산호세델몬테가 있다.
관광 산업에서는 발라그바그 산(Mount Balagbag), 카이티팅가 폭포(Kaytitinga Falls), 루르드 성모 동굴 성지, VS 난초 농장[28] 등이 주요 명소로 꼽힌다.
5. 1. 농업

주요 작물은 잎채소, 뿌리채소(카사바는 OTOP)이며, 파인애플, 망고, 커피콩도 재배한다.
5. 2. 축산업
산호세델몬테의 주요 소득원은 대규모 및 소규모 돼지 사육이다. 이 도시에는 60개의 상업용 축산 및 가금류 농장이 있다.[1] 주요 가금류 생산업체는 RFM 코퍼레이션(RFM Corporation), 비타리치(Vitarich), 펠단(FELDAN)이다.[1]5. 3. 상업

산호세델몬테에는 퉁콩 망가, 무손, 사팡 팔라이(샘폴) 등 세 곳의 주요 상업 지구가 있다. 이 지역들은 도매 및 소매 무역을 중심으로 성장하고 있다.
소규모 상업 지구로는 미누얀 프로퍼의 타워빌, 카이피안의 팔메라, 산토 크리스토의 노스게이트, 시트러스, 포블라시온 1, 그레이스빌의 그로토, 프란시스코 홈즈, 구마옥, 산 라파엘 III 등이 있다.
상업은행, 저축은행, 전당포, 협동조합 등이 금융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주요 쇼핑몰로는 팔메라에 있는 스타몰 산호세델몬테와 퉁콩 망가에 있는 SM 시티 산호세델몬테가 있다.
5. 4. 관광

- '''발라그바그 산(Mount Balagbag)'''과 '''카이티팅가 폭포(Kaytitinga Falls)'''(산 이시드로 마을)는 이 도시의 주요 관광 명소이다. 앙갓 유역 산림 보호 구역(Angat Watershed Forest Reserve)의 일부도 산호세델몬테에 걸쳐 있다.
- '''VS 난초 농장(VS Orchids Farm)'''(산토 크리스토)은 롤리타 스포워트가 소유한 부라칸에서 가장 큰 난초 묘목장이자 관상용 식물 농장이며, 케손시티의 마닐라 묘목 은행 재단에 위치하고 있다.[28] 1.8ha 규모의 이 꽃 천국에서는 수백 종의 난초가 재배되고 있다.
- '''루르드 성모 동굴 성지'''(그레이스빌)는 로마 가톨릭 순례지로, 성주간 동안 신자들이 자주 찾는 곳이다.
- '''성 요셉 노동자 교구 교회(Saint Joseph the Worker Parish Church)'''(포블라시온 1)는 도시 중심부에 있는 주요 역사적 순례지이다.
- '''산호세델몬테 시민공원(People's Park of San Jose del Monte)'''(사팡 팔라이 프로퍼)
- '''강변 공원 에스플러네이드(River Park Esplanade)'''(둘롱 바얀)
- '''떠오르는 심장(The Rising Heart)'''과 '''피오 신부 치유의 산(Padre Pio Mountain of Healing)'''(파라다이스 III)
- '''그로토 비스타 리조트(Grotto Vista Resort)'''(그레이스빌)
- '''로스 아르코스 데 에르마노 리조트 앤 이벤트(Los Arcos de Hermano Resort and Events)'''(퉁콩 망가)
6. 교통
산호세델몬테 시는 파라냐케 (파라냐케 통합 터미널 교환센터), 마닐라 산타 크루즈, 케손시티, 니노이 아키노 국제공항을 오가는 버스 노선을 이용할 수 있다. 지프니, 현대식 지프니, 미니버스 노선 또한 메트로 마닐라와 불라칸주의 인근 도시 및 마을 사이를 운행한다.[29]
6. 1. 도로
- '''키리노 고속도로(Quirino Highway)'''는 노르자가라이(Norzagaray) 마을(빅테 로톤다(Bigte Rotonda))에서 케손 시티(Quezon City)(발린타왁(Balintawak))까지 이어지는 국도이다.
- '''보카우에-산호세 도로(Bocaue–San Jose Road)''' 또는 '''포르투나토 할릴리 애비뉴(Gov. Fortunato Halili Avenue)'''라고도 불리는 이 지방 도로는 퉁콩 망가(Tungkong Mangga)(퉁코(Tungko))를 거쳐 무존(Muzon)을 지나 산타 마리아(Santa Maria), 보카우에(Bocaue) 마을과 북부 루손 고속도로(North Luzon Expressway)를 연결한다.
- '''사팡 팔라이-산타 마리아 도로(Sapang Palay–Santa Maria Road)'''는 사팡 팔라이 재정착 프로젝트(Sapang Palay Resettlement Project)를 부락(Bulac) 바랑가이, 카트몬 바랑가이(Barangay Catmon), 그리고 해당 마을의 산호세 파타그(San Jose Patag) 바랑가이를 지나 산타 마리아(Santa Maria) 마을과 연결한다.
- '''산호세-마릴라오 도로(San Jose–Marilao Road)''' 또는 '''미구엘 빌라리카 도로(Miguel Villarica Road)'''라고도 불리는 이 도로는 마릴라오(Marilao) 시와 북부 루손 고속도로(North Luzon Expressway)를 연결한다.
- '''에두아르도 V. 로케로 박사 애비뉴(Dr. Eduardo V. Roquero Avenue)'''는 사팡 팔라이 재정착 프로젝트를 키리노 고속도로와 사팡 팔라이 프로퍼(Sapang Palay Proper)와 연결한다.
- '''이가이 지방 도로(Igay Provincial Road)'''는 산토 크리스토(Santo Cristo), 카이반반(Kaybanban), 산 로케(San Roque), 파라다이스 III(Paradise III), 산 이시드로(San Isidro)를 지나 키리노 고속도로를 로드리게스(Rodriguez)와 연결한다.
- '''카이피안 도로(Kaypian Road)'''는 둘롱 바얀(Dulong Bayan) 바랑가이를 카이피안(Kaypian) 바랑가이를 경유하여 스타몰-산호세델몬테(Starmall-San Jose del Monte)와 연결하고 키리노 고속도로와 연결된다.
- '''순환 도로 6 (C6)'''는 산호세델몬테 시를 우회하는 도로로, 이 프로젝트는 초기 단계에서 2단계를 통해 메트로 마닐라(Metro Manila)를 북쪽의 부라칸(Bulacan)주, 동쪽의 리살(Rizal (province))주, 남쪽의 카비테(Cavite)주와 연결할 계획이며, 파시그(Pasig), 타구이그(Taguig), 문틴루파(Muntinlupa)시를 통과한다.
- '''북부 루손 동부 고속도로 (NLEE)'''는 산호세델몬테 시를 우회하여 누에바 에시하주의 카바나투안(Cabanatuan)과 연결된다.
6. 2. 철도
이 도시는 현재 건설 중인 마닐라 도시철도 (7호선)의 종착역이 될 예정이다. 처음에는 산호세델몬테 역으로 명명된 해당 역사는 산호세델몬테의 퉁콩망가에 있는 콜리나스 베르데스 주택단지 인근에 위치할 예정이었으며, 탈라, 북 칼룩칸, 그리고 시우다드 레알 바랑가이를 지날 예정이었다.그러나 탈라의 판가랍 빌리지 주민들이 수년간 토지 분쟁과 통행권 문제를 제기함에 따라, 2021년에 역사로 이어지는 철도 노선이 변경되어 이제는 해당 분쟁 지역 사회를 통과하는 대신 키리노 고속도로를 지나게 되었으며, 새로운 산호세델몬테 역사는 스카이라인 병원 및 의료 센터 옆에 있는 넓은 빈터에 위치하게 될 것이다.[29][30]
7. 교육
산호세델몬테에는 다음과 같은 주요 교육 기관들이 있다.
대학교 |
---|
불라칸 주립대학교 사르미엔토 캠퍼스 |
필리핀 베스트링크 대학 |
산호세 델 몬테 시립대학 |
산 가브리엘 아르칸헬 대학 |
성 안토니오 대학 |
퍼스트 시티 프로비덴셜 대학 |
골든 밸리 대학 |
헤드워터스 대학 |
예수 그리스도의 가장 위대한 이름 기독교 대학 |
라 콘셉시온 대학 |
산호세 시에나 대학 |
SJDM 코너스톤 대학 |
STI 산호세 델 몬테 학술 센터 |
빌리지 몬테소리 학교 및 대학 |
참조
[1]
문서
DILG detail
[2]
뉴스
Bulacan voters reject conversion of SJDM into highly urbanized city
https://www.pna.gov.[...]
2023-11-02
[3]
웹사이트
History of San Jose Del Monte
http://csjdm.gov.ph/[...]
City of San Jose Del Monte, Bulacan, Philippines
2017-06-30
[4]
뉴스
Source of income must for resettled squatters
https://news.google.[...]
Kamahalan Publishing Corp.
1996-01-24
[5]
뉴스
Mayor proclaimed
Standard Publications, Inc.
1988-05-28
[6]
뉴스
One dead, 53 hurt as Philippine church balcony-gallery collapses during mass
https://gulfnews.com[...]
Gulf News
2024-02-14
[7]
뉴스
Ash Wednesday accident: 1 dead, dozens injured as Bulacan church balcony collapses
https://manilastanda[...]
Manila Standard
2024-02-14
[8]
뉴스
1 dead, 63 hurt in Bulacan church mezzanine collapse
https://www.pna.gov.[...]
2024-02-13
[9]
법률
Republic Act No. 8797
https://issuances-li[...]
Senate of the Philippines
[9]
법률
Charter of the City of San Jose del Monte
https://lawphil.net/[...]
2000-07-15
[10]
뉴스
Migrant vote: San Jose del Monte Bulacan's 1st city
https://news.google.[...]
2000-09-12
[11]
뉴스
Comelec rules Malolos a city
https://books.google[...]
2002-10-12
[12]
법률
An act amending Section 10 (B) and Sec. 58 of Republic Act No. 8797 (Charter of the City of San Jose del Monte), and providing funds therefor
https://chanrobles.c[...]
2003-12-18
[13]
웹사이트
Duterte proclaims San Jose del Monte as a highly-urbanized city – Bulacan solon
https://newsinfo.inq[...]
2020-12-06
[14]
법률
Conversion of the City of San Jose Del Monte, Bulacan Into a Highly-urbanized City
https://lawphil.net/[...]
2020-12-04
[15]
뉴스
Comelec postpones 5 plebiscites to prepare for May 2022 polls
https://www.pna.gov.[...]
2021-08-19
[16]
웹사이트
Bulakenyo! Tara na't maging bahagi ng kasaysayan! SAY YES TO HIGHLY URBANIZED CITY OF SAN JOSE DEL MONTE!
https://www.facebook[...]
2023-08-14
[17]
뉴스
San Jose del Monte plebiscite to be held with BSKE – Comelec
https://malaya.com.p[...]
2023-09-11
[18]
뉴스
Voters turn down conversion of San Jose del Monte, Bulacan to highly urbanized city
https://www.gmanetwo[...]
2023-11-01
[19]
뉴스
In charts: How Bulacan towns vote on a bid to convert San Jose del Monte into highly-urbanized city
https://www.rappler.[...]
2023-11-01
[20]
웹사이트
San Jose del Monte City Government (Geography)
https://web.archive.[...]
[21]
뉴스
San Jose del Monte declares moratorium on relocation projects
http://www.philstar.[...]
2013-08-08
[22]
웹사이트
San Jose del Monte City Government (Land Use)
https://web.archive.[...]
[23]
웹사이트
San Jose del Monte: Average Temperatures and Rainfall
https://www.meteoblu[...]
Meteoblue
[24]
뉴스
Plebiscite under way to divide Bulacan's largest village
https://newsinfo.inq[...]
2023-03-25
[25]
법률
An Act Dividing Barangay Muzon in the City of San Jose Del Monte, Province of Bulacan Into Four (4) Separate and Independent Barangays to Be Known as Barangay Muzon Proper, Barangay Muzon East, Barangay Muzon West and Barangay Muzon South
https://legacy.senat[...]
Government of the Philippines
2022-07-01
[26]
뉴스
Plebiscite for division of Bulacan village set March 25
https://www.pna.gov.[...]
2023-01-18
[27]
웹사이트
Population of Region III - Central Luzon (Based on the 2015 Census of Population)
https://psa.gov.ph/c[...]
2016-06-01
[28]
웹사이트
Tourism attractions
http://csjdm.gov.ph/[...]
[29]
뉴스
Pangarap Village residents decry harassment over land dispute
https://manilatoday.[...]
2015-06-18
[30]
문서
The MRT 7 Project
https://storage.goog[...]
2023-06-29
[31]
웹사이트
About Us
https://sanjosewater[...]
[32]
웹사이트
DEPED CSJDM
https://depedcsjdm.w[...]
[33]
웹사이트
City of San Jose Del Monte, Bulacan Barangay Captains
https://csjdm.gov.ph[...]
2024-02-09
[34]
웹사이트
City of San Jose Del Monte Bulacan Sangguniang Kabataan
https://csjdm.gov.ph[...]
[35]
웹사이트
Official City/Municipal 2013 Election Results
http://www.comelec.g[...]
Commission on Elections (COMELEC)
2013-09-11
[36]
웹사이트
Province: BULACAN
http://www.nscb.gov.[...]
National Statistical Coordination Board
2013-10-10
[37]
웹사이트
Total Population by Province, City, Municipality and Barangay: as of May 1, 2010
http://www.census.go[...]
National Statistics Office
2013-10-10
[38]
웹사이트
NSCB - ActiveStats - PSGC Interactive - CITY: CITY OF SAN JOSE DEL MONTE
http://www.nscb.gov.[...]
[39]
웹인용
San Jose del Monte: Average Temperatures and Rainfall
https://www.meteoblu[...]
Meteoblue
2020-05-1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