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샤흐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샤흐티는 러시아 로스토프주에 위치한 도시로, 19세기 초 코사크에 의해 설립되어 석탄 채굴을 중심으로 발전했다. 1867년 도시 지위를 얻고 여러 차례 명칭 변경을 거쳐 1920년 현재 이름으로 정해졌다. 소련 시대에는 석탄 산업의 중심지였으나, 페레스트로이카 이후 탄광 폐쇄로 인해 경제적 어려움을 겪었다. 현재는 동유럽의 주요 타일 생산 및 수출 업체 중 하나이며, 알렉산드르 2세 기념비 등 여러 기념물과 명소를 보유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로스토프주 - 로스토프나도누
    로스토프나도누는 러시아 남부 돈 강 하구에 위치한 도시로, 고대부터 상업과 문화의 중심지였으며, 1749년 세관 설치를 시작으로 발전하여 주요 무역 및 교통 중심지 역할을 수행하고, 현재는 러시아 남부 군관구의 주요 거점이다.
  • 로스토프주 - 아조프
    아조프는 러시아 로스토프주에 위치한 도시로, 돈 강 어귀의 상업 중심지로서 고대 그리스 식민 도시에서 기원하여 여러 국가의 지배를 거쳤으며, 오스만 제국 시기 요새 건설과 러시아 제국과의 격전지, 그리고 표트르 1세의 아조프 원정으로 알려져 있고 현재는 아조프스키군의 행정 중심지로서 역사 유적과 박물관을 통해 풍부한 역사를 보여준다.
  • 러시아의 도시 - 첼랴빈스크
    첼랴빈스크는 러시아 첼랴빈스크주의 주도로, 우랄산맥 동쪽 미아스 강가에 위치하며 시베리아 횡단 철도 건설 후 교통과 산업의 중심지로 성장했고, 제2차 세계 대전 중 군수 산업 발달로 '탱코그라드'라 불렸으며, 2013년 운석 낙하 사건이 있었던 러시아의 주요 산업, 문화, 스포츠 중심지 중 하나이다.
  • 러시아의 도시 - 비르스크
    비르스크는 1663년에 건설되어 1781년에 도시 지위를 얻었으며, 러시아 내 바시키르 공화국 소속 도시이자 비르스키 구의 행정 중심지 역할을 한다.
샤흐티 - [지명]에 관한 문서
지도 정보
샤흐티 시가지 전경 (흐베카 지역에서 촬영)
흐베카 (면방직 공장) 지역에서 바라본 도시 전경
기본 정보
공식 명칭샤흐티
로마자 표기Shakhty
위치로스토프주
도시의 날9월 셋째 주 일요일
설립 시기19세기 초
행정
연방 주체로스토프주
행정 구역샤흐티 도시 округ
중심지샤흐티 도시 округ
시장데니스 스타니슬라보프
대표 기관불명
지리
좌표북위 47° 42' 동경 40° 14'
해발 고도불명
인구
2010년 인구 조사263,377명
인구 순위러시아 내 79위
2023년 추정 인구228,816명
기타 정보
시간대모스크바 시간 (UTC+3)
우편 번호346500
지역 번호8636
웹사이트샤흐티 시 공식 웹사이트

2. 역사

샤흐티의 역사는 도네츠 탄전(돈바스)의 역청탄 채굴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18] 19세기 초, 그루셰프카 강 유역에 세워진 코사크 스타니차인 '''Александро-Грушевская|알렉산드로-그루셰프스카야rus'''에서 도시의 역사가 시작되었다.[3][18] 당시 러시아 제국 황제 알렉산드르 1세를 기리기 위해 이름 붙여진 것으로 추정된다.[3] 19세기 중반까지 이 지역에서는 활발한 석탄 채굴이 이루어졌으며, 57개의 탄광이 운영되었다.[3][18]

1867년 도시 지위를 얻으며 '''Горное Грушевское Поселение|고르노예 그루셰프스코예 포셀레니예rus'''로 개칭되었고,[3][18] 1881년에는 '''Александровск-Грушевский|알렉산드로프스크-그루셰프스키rus'''로 다시 이름이 바뀌었다.[3][18] 20세기 초에는 러시아 제국 남부의 주요 탄광 도시 중 하나로 성장하여 1914년에는 인구가 54,000명에 달했고, 철도, 통신망, 전기 등 기반 시설을 갖추었다.[3]

러시아 내전의 혼란기를 거쳐 1920년에는 '광산'이라는 의미의 현재 이름 '''샤흐티'''(Шахтыrus)로 개명되었다.[3][18] 소비에트 시대에는 우크라이나 SSR에 잠시 속했다가 1925년 러시아 SFSR로 편입되었다.[3][19] 1928년에는 요시프 스탈린 정권 하에서 기술자들을 탄압한 샤흐티 재판이 열렸으며,[3][18]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나치 독일에 점령되어 많은 피해를 입었다.[3][18]

전후 복구를 거쳐 레오니트 브레즈네프 시대에는 인구 25만 명을 넘어서고 연간 약 1000만ton의 석탄을 생산하며 경제적 전성기를 누렸다.[3][18] 그러나 1970년대와 1980년대에는 연쇄 살인범 안드레이 치카틸로 사건이 발생하기도 했다.[3][18] 페레스트로이카 이후 많은 탄광이 폐쇄되면서 실업률 증가와 사회 문제 심화 등 어려움을 겪었으나,[3][18] 최근에는 새로운 공장 유치 등을 통해 산업 중심지로서의 면모를 회복하고 있으며, 특히 타일 제조 및 수출이 주요 산업으로 자리 잡았다.[3][18]

2. 1. 도시 성립 이전

19세기 초[3] 사병 팝포프는 그루셰프카 강 유역에 코사크 ''스타니차''인 '''Александро-Грушевская|알렉산드로-그루셰프스카야ru'''를 세웠다.[3][18] 이 이름은 러시아 제국의 황제 알렉산드르 1세를 기리기 위해 붙여진 것으로 추정된다.[3] 당시 이 스타니차에는 12명의 코사크와 14명의 농노가 거주했다고 전해진다. 19세기 중반까지 이 지역에서는 역청탄 채굴이 활발히 이루어져 57개의 탄광이 운영되었다.[3][18]

1867년에는 도시 지위를 얻어 '''Горное Грушевское Поселение|고르노예 그루셰프스코예 포셀레니예ru'''로 개칭되었고,[3][18] 1881년에는 다시 '''Александровск-Грушевский|알렉산드로프스크-그루셰프스키ru'''로 이름이 바뀌었다.[3][18] 20세기 초, 이 도시는 러시아 제국 남부 돈바스 탄광 지대의 주요 중심지 중 하나로 성장했다. 1914년에는 인구가 54,000명에 달했으며, 주요 수입원은 여전히 석탄 채굴이었다. 당시 도시는 철도, 전신 및 전화망, 전기 및 배관 시설을 비롯해 도서관, 병원, 우체국 등의 기반 시설을 갖추고 있었다.

2. 2. 도시 성립과 발전

19세기 초,[3] 그루셰프카 강변에 사병 팝포프가 코사크 ''스타니차''(촌락)인 '''Александро-Грушевская|알렉산드로-그루셰프스카야rus'''를 세운 것이 도시의 시작이다.[3][18] 이 이름은 러시아 제국의 황제 알렉산드르 1세를 기리기 위해 붙여진 것으로 추정된다.[3] 당시 이곳에는 12명의 코사크와 14명의 농노가 살고 있었다. 19세기 중반까지 이 지역에서는 57개의 탄광이 운영되었으며,[3][18] 역청탄 채굴은 도시 발전의 핵심 동력이었다.[18]

1867년, 도시 지위를 얻어 '''Горное Грушевское Поселение|고르노예 그루셰프스코예 포셀레니예rus'''로 이름이 바뀌었고,[3][18] 1881년에는 다시 시로 승격하며 '''Александровск-Грушевский|알렉산드로프스크-그루셰프스키rus'''가 되었다.[3][18] 19세기 말부터 20세기 초까지 러시아 제국 남부 탄광 지대의 주요 도시로 성장했으며, 1914년에는 인구가 54,000명에 달했다.[3][18] 당시 도시는 철도, 전신, 전화망, 전기 및 배관 시설을 비롯해 도서관, 병원, 우체국 등 기반 시설을 갖추고 있었다.[3]

러시아 내전 시기인 1917년에는 도시의 주인이 세 번이나 바뀌는 혼란을 겪었다.[3] 1919년 4월 28일, 돈 전군이 알렉산드르 피츠헬라우로프 장군의 지휘 아래 도시를 점령하여[3] 20개월간 볼셰비키로부터 독립 상태를 유지했으나, 이 기간 동안 장티푸스가 크게 유행하여 어려움을 겪었다.[3]

1920년 2월 11일,[18] 도시는 현재의 이름인 '''Шахты|샤흐티rus'''로 개명되었다.[3][18] 이는 러시아어로 '광산'을 의미하며, 도시의 정체성인 석탄 채굴과의 연관성을 강조하기 위해 선택된 이름이다.[3] 1920년부터 1924년까지 샤흐티는 우크라이나 SSR의 도네츠크 현에 속했다.[3][18] 이 시기 많은 교회와 기록 보관소가 파괴되었다.[3] 1925년 10월, 러시아 SFSR로스토프현으로 편입되었다.[19] 1928년에는 탄광 노동자와 기술자들이 사보타주 혐의로 체포되어 샤흐티 재판이라는 공개 재판이 열렸다.[3][18] 이는 요시프 스탈린 정권이 기술자나 지식인들을 탄압하기 시작한 초기 사례 중 하나로 평가받는다.[18]

1941년, 샤흐티에서 독립적인 코사크 공화국 선포 시도가 있었으나, 나치 독일의 침공 전에 NKVD에 의해 진압되었다.[4] 제2차 세계 대전(대조국 전쟁) 중인 1942년 7월 22일, 도시는 나치 독일 군대에 점령되었다.[3][18] 1943년 2월 12일 독일군이 철수하면서 많은 탄광과 건물을 파괴했다.[3][18] 전쟁 중 샤흐티 시민 29명이 소련 영웅 칭호를 받았다.[3][18]

전후 복구 노력으로 1948년에는 광산 생산량이 전쟁 이전 수준을 회복했다.[3][18] 시내에는 1954년까지 독일군 포로 수용소가 있었다.[18] 레오니트 브레즈네프 시대에 샤흐티는 경제적 전성기를 맞이하여 인구가 25만 명 이상으로 증가하고, 연간 약 1천만 톤의 석탄을 채굴했다.[3][18] 그러나 1970년대와 1980년대에는 연쇄 살인범 안드레이 치카틸로에 의한 사건들이 발생하기도 했다.[3][18]

소련 말기의 페레스트로이카 정책은 샤흐티 경제에 큰 타격을 주었다.[3][18] 광산들이 민영화되거나 폐쇄되면서 대량 실업이 발생했고, 이는 범죄율 증가와 약물 남용 문제로 이어졌다.[3][18] 샤흐티 시전차와 트롤리버스도 경제 침체와 민영 버스 업체의 난립으로 21세기 초에 폐지되었다.[18] 그럼에도 불구하고 숙련된 노동력을 바탕으로 새로운 공장들이 들어서면서 산업은 점차 회복세를 보이고 있다.[18] 오늘날 샤흐티는 돈바스 동부의 주요 산업 중심지 중 하나이며, 특히 타일 제조 및 수출 분야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3][18]

2. 3. 러시아 혁명과 소비에트 시대

1914년 당시 알렉산드로프스크-그루셰프스키의 인구는 54,000명에 달했다. 주요 수입원은 석탄 채굴이었으며, 도시는 철도, 전신, 전화, 전기, 배관 시설과 도서관, 병원, 우체국 등을 갖추고 있었다.[3] 러시아 혁명 이후 러시아 내전 시기인 1917년에는 도시의 주인이 여러 차례 바뀌는 혼란을 겪었다.[3] 1919년 4월 28일, 돈군이 알렉산드르 피츠헬라우로프(Александр Петрович Фицхелауровru) 장군의 지휘 아래 도시를 점령하여 약 20개월간 볼셰비키로부터 독립 상태를 유지했으나, 이 기간 동안 장티푸스가 크게 유행하며 황폐화되었다.[3]

1920년 2월 11일,[18] 도시는 석탄 채굴과의 연관성을 강조하기 위해 '광산'을 의미하는 현재의 이름인 '''샤흐티'''(Шахтыru)로 개명되었다.[3][18] 1920년부터 1925년까지 샤흐티는 우크라이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의 도네츠크 현에 속했다가, 1925년 10월 러시아 소비에트 연방 사회주의 공화국로스토프현으로 편입되었다.[3][19] 1920년대에는 많은 교회와 기록 보관소가 파괴되었다.[3] 1928년에는 탄광 노동자와 기술자들이 사보타주 혐의로 체포되어 샤흐티 재판이라 불리는 공개 재판이 열렸다.[3][18] 이는 요시프 스탈린 시대에 구시대 기술자나 지식인을 대상으로 한 숙청의 시작을 알리는 사건이었다.[18]

1941년, 샤흐티에서 독립적인 코사크 공화국 선포 시도가 있었으나, 나치 독일의 침공 이전에 NKVD에 의해 진압되었다.[4] 제2차 세계 대전 중 대조국 전쟁 시기인 1942년 7월 22일, 샤흐티는 나치 독일 군대에 점령되었다.[3][18] 1943년 2월 12일 독일군이 철수하면서 도시의 많은 탄광과 건물이 파괴되었다.[3][18] 전쟁 중 샤흐티 시민 29명이 소련 영웅 칭호를 받았다.[3][18] 전쟁 후 1948년에는 광산 생산량이 전쟁 이전 수준으로 회복되었고,[3][18] 시내에는 1954년까지 독일군 포로 수용소가 존재했다.[18]

레오니트 브레즈네프 시대에 샤흐티는 경제적으로 크게 발전하여 인구가 25만 명 이상으로 증가하고 연간 석탄 생산량이 약 1000만ton에 달하며 전성기를 맞았다.[3][18] 그러나 1970년대와 1980년대에는 안드레이 치카틸로에 의한 연쇄 살인 사건이 발생하기도 했다.[3][18]

페레스트로이카 시기에는 많은 탄광이 민영화되거나 폐쇄되면서 대량 실업이 발생했고, 이는 심각한 범죄율 증가와 약물 남용 문제로 이어졌다.[3][18] 샤흐티 시가 전차와 트롤리버스 역시 경제 침체와 민영 버스 업체의 난립으로 21세기 초에 폐지되었다.[18]

2. 4. 제2차 세계 대전

1941년 샤흐티에서는 독립적인 코사크 공화국 선포 시도가 있었으나, 나치 독일의 침공 이전에 NKVD에 의해 진압되었다.[4] 제2차 세계 대전(대조국 전쟁) 중인 1942년 7월 22일, 도시는 나치 독일군에게 점령되었다. 이후 1943년 2월 12일 독일군이 철수하는 과정에서 많은 탄광과 건물이 파괴되었다.[18] 이 전쟁 기간 동안 샤흐티 시민 29명이 소련 영웅 칭호를 받았다. 전쟁 후 복구 작업이 진행되어 1948년에는 광산 생산량이 전쟁 이전 수준으로 회복되었으며[18], 시내에는 1954년까지 독일군 포로 수용소가 존재했다.

2. 5. 전후 재건과 발전

제2차 세계 대전1943년 독일군이 철수하면서 샤흐티의 많은 탄광과 건물이 파괴되었다.[4][18] 전쟁 중 샤흐티 시민 29명은 소련 영웅 칭호를 받았다.[4][18]

전쟁 이후 복구 노력을 통해 1948년에는 광산 생산량이 전쟁 이전 수준으로 회복되었다.[4][18] 시내에는 1954년까지 독일군 포로 수용소가 운영되었다.[18] 레오니트 브레즈네프 집권 시기에 샤흐티는 경제적으로 가장 번성했던 시기를 맞이했다.[4][18] 당시 인구는 25만 명을 넘어섰고, 연간 약 1000만ton의 석탄이 채굴되었다.[4][18]

그러나 1970년대와 1980년대에는 안드레이 치카틸로에 의한 연쇄 살인 사건이 도시에서 발생하기도 했다.[4][18]

페레스트로이카 시기에는 큰 변화를 겪었다. 탄광들이 민영화되고 연이어 폐광되면서 대규모 실업 사태가 발생했으며, 이는 범죄율 증가와 약물 남용 문제 심화로 이어졌다.[4][18] 샤흐티 시전차와 트롤리 버스 역시 탄광 폐쇄에 따른 경제 침체와 민영 버스 업체의 증가로 인해 21세기 초에 운영이 중단되었다.[18]

오늘날 샤흐티는 동부 돈바스 지역의 주요 산업 중심지로 기능하고 있다.[4] 숙련된 노동 인력을 바탕으로 새로운 공장들이 유치되면서 산업은 점차 회복세를 보이고 있다.[18] 특히 타일 제조 및 수출은 이 도시의 주요 산업 중 하나로 자리 잡았다.[4][18]

2. 6. 페레스트로이카와 그 이후

페레스트로이카 시기 샤흐티의 탄광들은 민영화되고 차례차례 폐광되었다.[18][19] 이 과정에서 대량 실업이 발생했으며, 이는 범죄율 증가와 약물 남용 문제 악화로 이어져 도시에 큰 어려움을 안겼다.[18] 경제 침체와 민영 버스 업체의 난립으로 인해 샤흐티 시전차와 트롤리버스도 21세기 초에 폐지되었다.[19]

그러나 도시의 숙련된 노동력에 주목한 새로운 공장들이 들어서면서 산업은 점차 회복되기 시작했다.[19] 오늘날 샤흐티는 동부 돈바스 지역의 주요 산업 중심지 중 하나로 자리 잡았으며,[3] 특히 타일 제조 및 수출이 주요 산업으로 꼽힌다.[3][19]

3. 행정 구역 및 인구

러시아의 행정 구역 체계 내에서 샤흐티는 연방 주 중요 도시로서 '''샤흐티 도시 자치구'''로 통합되어 있다. 이는 로스토프주의 구와 동등한 지위를 가지는 행정 단위이다.[5] 지방 자치 단체로서도 도시 자치구 지위를 가지고 있다.[6]

1989년 인구 조사 당시 인구는 225,797명이었고,[9] 2002년 인구 조사에서는 222,592명으로 기록되었다.[8] 이후 2010년 인구 조사에서는 239,987명으로 증가하였다.[7]

4. 경제

소련 시대에는 샤흐티와 주변 도네츠 분지 지역에서 석탄이 주요 산업이었으나, 1990년대 경제 위기로 인해 대부분의 탄광이 문을 닫았다. 현재는 금속 공업, 건자재, 그리고 요업(타일 등)이 주요 산업이다.

교통 측면에서는 러시아 연방 도로 M4가 샤흐티를 지나가며, 철도가 로스토프나도누를 비롯한 여러 지역과 연결되어 있다. 시내 교통은 주로 버스와 택시이며, 과거에 운행했던 샤흐티 시내 전차와 샤흐티 트롤리 버스는 현재 폐지되었다.

5. 교통

샤흐티는 러시아 연방 도로 M4가 지나가며, 철도로스토프나도누와 각 지역을 연결하고 있다. 시내 교통은 주로 버스택시이며, 한때 존재했던 샤흐티 시내 전차와 샤흐티 트롤리 버스는 폐지되었다.

6. 기념물 및 명소

드라마 극장


샤흐티에는 여러 기념물과 역사 유적이 있다.

  • '''알렉산드르 2세 기념비''': 2015년 4월 29일에 제막되었다. 샤흐티 시내에 있는 돈 국립 기술 연구소(DSTU) 서비스 및 기업가 정신 연구소 본관 앞에 위치해 있으며, 시민들의 기부금으로 건립되었다.[10][20] 제막식에는 로마노프 왕가의 대표이자 알렉산드르 3세 황제의 증손자인 파벨 에두아르도비치 쿨리코프스키-로마노프가 참여했다. 유리 알렉세예비치 레보치킨이 제작했으며,[10] 받침대는 검은 화강암, 조각상 자체는 청동으로 만들어졌다. 기념비 전체 높이는 5.7m이고, 알렉산드르 2세 동상의 높이는 2.4m이다. 앞면에는 금색 글씨로 "알렉산드르 2세. 해방자 차르"라는 글귀가 새겨져 있으며, 뒷면에는 황제의 업적과 생애를 요약한 글이 있다: "황제 알렉산드르 2세는 1861년 러시아에서 농노제를 폐지하고 수백만 명의 농민을 수세기 동안의 노예 상태에서 해방시켰으며, 군사 및 사법 개혁을 실시하고 지방 자치 정부, 도시 두마 및 지방 행정 시스템을 도입했으며, 오랫동안 지속된 캅카스 전쟁을 종결시키고 슬라브 민족을 오스만 제국의 압제에서 해방시켰습니다. 그는 1881년 3월 1일에 살해되었으며 테러리스트의 희생자였습니다."[11][12][21] 이 기념비는 샤흐티 시 역사 위원회의 주도로 세워졌다.

바실리 알렉세예프 기념비

  • '''바실리 알렉세예프 기념비''' (2014년): 샤흐티 출신의 소련 역도 선수 바실리 알렉세예프를 기념하는 기념비이다.[13][14] 그는 역도에서 80개의 세계 기록과 81개의 소련 기록을 세웠으며, 1972년 하계 올림픽1976년 하계 올림픽에서 금메달을 획득했다.[15][22]
  • '''레닌 기념비''' (1945년): 러시아의 공산주의 혁명가이자 정치인인 블라디미르 레닌을 기념한다.
  • '''소비에트 권력 투쟁 기념비''' (1955년)
  • '''타라스 셰브첸코 기념비''' (1972년)
  • '''파시즘 희생자 기념비''' (1975년)
  • '''병사-해방자 기념비''' (1985년)
  • '''군인-인터내셔널리스트 기념비''' (2010년)
  • '''제1차 세계 대전 영웅 기념비''' (2014년): 제1차 세계 대전에 참전한 돈 코사크 부대들을 기리는 기념비이다. 기념비에는 쌍두 독수리가 묘사되어 있으며, 발에는 러시아 황제 니콜라이 2세의 모노그램이 새겨진 생도 표준이 있다. 독수리 날개 아래 판에는 제1차 세계 대전에 참여한 모든 돈 코사크 부대의 이름이 새겨져 있다.
  • '''성 알렉산드르 넵스키 교회'''

7. 자매 도시

샤흐티는 다음 도시들과 자매 도시 관계를 맺고 있다:[16][23]

8. 저명한 출신 인물

참조

[1] 웹사이트 Denis Ivanovich Stanislavov http://shakhty-gorod[...] 2014-03-11
[2] 웹사이트 population 2023 https://www.donland.[...]
[3] 문서 Pospelov, p. 26
[4] 서적 Stalingrad
[5] 법률 Law #340-ZS
[6] 법률 Law #191-ZS
[7] 간행물 2010Census
[8] 간행물 2002Census
[9] 간행물 1989Census
[10] 웹사이트 В Шахтах начали устанавливать памятник Александру II http://kvu.su/news/c[...] 2017-10-07
[11] 웹사이트 Члены ИППО приняли участие в открытии памятника императору Александру II в Шахтах http://ippo.ru/old/n[...] 2017-10-07
[12] 웹사이트 В городе Шахты открылся памятник Александру II - Администрация города Шахты http://shakhty-gorod[...] 2017-10-07
[13] 뉴스 Weightlifting-World record holder Alekseyev dies at 69 https://www.reuters.[...] Reuters 2011-11-25
[14] 서적 Great Athletes https://archive.org/[...] Salem Press
[15] 웹사이트 Vasily Alekseyev https://www.sports-r[...] 2016-06-22
[16] 웹사이트 Города-побратимы http://shakhty-gorod[...] Shakhty 2020-02-04
[17] 웹사이트 city population https://www.citypopu[...] 2023-05-02
[18] 서적 Имена городов: вчера и сегодня (1917–1992). Топонимический словарь. Москва, "Русские словари"
[19] 웹사이트 Постановление Президиума ЦИК СССР от 16. Oktober 1925 «Об урегулировании границ Украинской Социалистической Советской Республики с Российской Социалистической Федеративной Советской Республикой и Белорусской Социалистической Советской Республикой» http://base.consulta[...] 1925-10-16
[20] 웹사이트 Члены ИППО приняли участие в открытии памятника императору Александру II в Шахтах http://ippo.ru/old/n[...] 2017-10-07
[21] 웹사이트 В городе Шахты открылся памятник Александру II - Администрация города Шахты http://shakhty-gorod[...] 2017-10-07
[22] 웹사이트 Vasily Alekseyev https://www.sports-r[...] 2016-06-22
[23] 웹사이트 Города-побратимы http://shakhty-gorod[...] Shakhty 2020-02-0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