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칼리만탄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서칼리만탄주는 보르네오 섬 서부에 위치한 인도네시아의 주로, 주도는 폰티아낙이다. 힌두교와 불교 왕국 시대를 거쳐 이슬람 술탄국이 번성했으며, 17세기부터 말레이인들이 정착하면서 근대사가 시작되었다. 1800년부터 네덜란드령 동인도의 지배를 받았고, 1942년부터 1945년까지 일본의 점령 하에 있었다. 인도네시아 독립 후 인도네시아 공화국의 일부가 되었으며, 다야크족과 말레이족이 주요 민족을 이루고 있다. 다나우 센타룸 국립공원 등 3개의 국립공원이 있으며, 불법 벌목과 환경 문제에 직면해 있다. 전통 가옥, 춤, 의상, 무기 등 다양한 문화 유산을 보유하고 있으며, 로보-로보 축제가 열린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칼리만탄 - 누산타라 (도시)
인도네시아의 새로운 수도 누산타라는 자카르타의 인구 집중과 지반 침하 문제 해결을 위해 보르네오 섬 동쪽 해안에 건설 중인 계획 도시로, 지속가능성을 중시하며 2024년 독립 기념식이 거행되었고, 건설은 계속 추진될 예정이다. - 칼리만탄 - 북칼리만탄주
북칼리만탄주는 2012년 동칼리만탄주에서 분리 신설된 인도네시아의 주로, 과거 불루간 술탄국, 브루나이, 술루 술탄국의 지배를 받았으며, 2013년 주로 승격되어 4개의 군과 1개의 시로 구성되어 있고, 약 74만 명이 거주하며 이슬람교를 믿고 타라칸 공항과 트랜스-칼리만탄 고속도로를 통해 교통이 이루어진다. - 서칼리만탄주 - 카푸아스강
카푸아스강은 인도네시아에서 가장 긴 강으로 보르네오섬 서부를 흐르며, 서칼리만탄주의 주요 수로이자 교통로이며, 상류와 중류에는 국립공원이 위치하여 풍부한 동식물과 어류가 서식한다. - 서칼리만탄주 - 폰티아낙
폰티아낙은 인도네시아 서칼리만탄 주의 주도로 적도에 위치한 카푸아스 강 삼각주 도시이며, 1771년 폰티아낙 술탄국 수도로 건설되어 말레이, 중국, 다약 등 다양한 민족과 문화가 공존하고, 무역, 농업, 산업이 주요하며, 수파디오 국제공항과 폰티아낙 항구를 통해 인도네시아 내외 주요 도시와 연결된다. - 인도네시아의 주 - 자카르타
자카르타는 인도네시아의 수도이자 최대 도시로, 아시안 게임을 개최하고 다양한 민족과 종교가 공존하며, 동남아시아 경제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도시이다. - 인도네시아의 주 - 서파푸아주
서파푸아주는 뉴기니섬 서쪽 지역에 위치한 인도네시아의 주로, 4만 년 전부터 인류가 거주하며 다양한 문화와 언어가 발달했고 역사적으로 여러 제국과 술탄국의 지배를 거쳐 네덜란드 식민 지배를 받았으며, 인도네시아에 편입되었지만 분리 독립 운동이 이어지고 있다.
서칼리만탄주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지도 | |
![]() | |
![]() | |
기본 정보 | |
공식 명칭 | 서칼리만탄 주 |
별칭 | Provinsi Seribu Sungai (인도네시아어) (천 개의 강이 있는 주) |
표어 | Akçaya (산스크리트어) (불멸) |
수도 | 폰티아나크 |
설립일 | 1957년 1월 1일 |
ISO 코드 | ID-KB |
웹사이트 | kalbarprov.go.id |
행정 | |
주지사 | 하리손 아즈로이 (직무 대행) |
부주지사 | 공석 |
정부 | 서칼리만탄 주 정부 |
면적 순위 | 인도네시아 2위 |
지리 | |
면적 | 147,037.04 km2 |
최대 해발고도 | 운죽발루이 산 (1,659m) |
인구 | |
인구 (2024년 추정치) | 5,695,500명 |
인구 순위 | 인도네시아 15위 |
인구 밀도 | 자동 계산 |
민족 | |
민족 구성 | 34.93% 다야크족 33.84% 말레이족 9.74% 자바인 8.17% 중국계 인도네시아인 6.27% 마두라족 3.13% 부기스족 3.91% 기타 |
종교 (2021년) | |
종교 | 60.07% 이슬람 22.16% 천주교 11.58% 개신교 5.85% 불교 0.26% 유교 0.05% 힌두교 |
언어 | |
언어 | 인도네시아어 (공용어), 부카르 사동어, 하카어, 이반어, 자고이어, 켄다얀어, 장캉어, 폰티아나크 말레이어, 삼바스 말레이어, 테오추 방언, 비아타어, 트링구스어 (지역어) |
경제 | |
명목 GDP (2022년) | 총액: Rp 255조 8천억 (인도네시아 17위) / US$ 172억 / Int$ 538억 (PPP) 1인당: Rp 4,620만 (인도네시아 24위) / US$ 3,109 / Int$ 9,701 (PPP) 성장률: 5.07% |
인간 개발 지수 (2024년) | 0.712 (31위) - 높음 |
시간대 | |
시간대 | 인도네시아 서부 표준시 (UTC+7) |
2. 역사
서칼리만탄은 1800년부터 네덜란드령 동인도의 지배를 받았다. 식민지 시대부터 말레이인들이 다야크족을 억압하는 등, 여러 민족이 섞여 사는 지역 특성상 민족 간 분쟁이 끊이지 않았다.
1942년부터 1945년까지는 일본의 통치를 받았으며, 1943년에는 폰티아나크 사건이 발생했다.
인도네시아 독립 후, 서칼리만탄은 인도네시아 공화국의 일부가 되었다. 1947년 5월 12일, 폰티아낙의 샤리프 하미드 2세가 이끄는 서칼리만탄 자치 지역이 설립되었으나, 1950년 4월 22일 통합이 이루어졌고, 8월 15일 서칼리만탄 자치 지역은 칼리만탄 주에 편입되었다.
1960년대 중반, 수카르노 정부 시기에 서칼리만탄은 인도네시아-말레이시아 대립으로 인해 격전지가 되었다. 1965년 수하르토가 수카르노를 축출한 후, 대립은 빠르게 해결되었으나, 이후 10년간 인도네시아 공산당(PKI)의 지원을 받은 무장 세력과 수하르토 정부 간의 내전이 계속되었다.
1930년대 네덜란드령 동인도 정부의 이주 계획과 1960년대 인도네시아 정부의 정책으로 인해 마두라인이 팜유 재배를 위해 숲을 개간하면서 현지 다약족과의 갈등이 심화되었다. 1968년부터 반 마두라인 폭동이 빈번하게 발생하여, 1990년대에는 대량의 마두라인 난민이 발생했다. 이러한 갈등은 1996년, 1999년의 삼바스 폭동, 2001년의 삼피트 분쟁으로 이어져 수천 명의 사망자를 낳았다.
수하르토 시대에는 칼리만탄의 풍부한 산림 자원과 플랜테이션을 기반으로 한 산림 개발이 추진되었다. 1998년 수하르토 체제가 붕괴된 후, 지방 분권적 민주 체제로 전환되면서 지방 유력자들과 현 관리, 정치가들 간의 경쟁이 심화되었다.
2001년 1시 6현에서 2시 8현으로 변경되었다.
2019년, 칼리만탄 섬 최대 규모의 항만이 될 키진 항이 개항할 예정이다.[45]
2013년 10월 25일, 인도네시아 국회는 서칼리만탄 주의 '''카푸아스 라야''' (대 카푸아스) 분리 신설을 포함한 법률 초안 검토를 시작했으나, 2013년부터 보류된 상태다.
연도 | 인구 |
---|---|
1971 | 2,019,936 |
1980 | 2,486,068 |
1990 | 3,229,153 |
1995 | 3,635,730 |
2000 | 4,034,178 |
2005 | 4,052,345 |
2010 | 4,395,983 |
2015 | 4,783,209 |
2020 | 5,414,390 |
2023 | 5,623,328 |
2. 1. 고대 및 초기 왕국 시대
서칼리만탄 주의 역사는 힌두교와 불교 왕국이 이 지역과 보르네오 섬 전체를 지배하면서 시작되었고, 이후 이 왕국들이 이슬람 술탄국으로 개종하면서 바뀌었다. 16세기에는 마자파힛 왕국의 왕자가 서칼리만탄의 가장 오래된 왕조인 스카다나를 건국했다.[40] 18세기에는 서보르네오 해안가와 내륙의 하천에 말레이인과 부기스인이 지배층인 항만 도시 국가가 다수 존재했으며, 1771년에는 해적 활동으로 세력을 확대한 압두르라흐만이 카푸아스강 하구에 폰티아나크 왕국을 건국했다. 또한 화교 상인과 노동자의 유입도 증가하여 1777년(혹은 1840년)에는 카푸아스강 내륙에 객가계 화교의 광산(금광) 노동자에 의한 공화국 "란팡 공사"도 성립되었다.[41][42]2. 2. 술탄국 시대와 란팡 공화국
17세기에 말레이인들이 서칼리만탄 지역에 정착하면서 근대사가 시작되었다. 1609년 삼바스 술탄국이 삼바스 지역에 건설되었고,[13][14] 1740년에는 폰티아낙과 삼바스 지역 사이에 멤파와 술탄국이 세워졌다.[13][14] 18세기에는 폰티아낙 등 여러 항만 도시 국가들이 번성했다. 1771년에는 압두르라흐만이 폰티아낙 왕국을 건국했다.[41] 1750년경부터 삼바스 술탄국과 멤파와 술탄국은 중국인 노동자들을 금광 채굴에 투입했다.[13][14] 1777년(혹은 1840년) 금광 채굴을 위해 이주한 객가계 화교들이 란팡 공화국(蘭芳共和國: Republik Lanfang)을 건국했다.[41][42] 란팡 공화국은 폰티아낙 및 삼바스 술탄국과 동맹을 맺고 청나라의 속국이 되었다.[15] 1884년, 네덜란드 침공으로 란팡 공화국은 멸망했다.2. 3. 네덜란드 식민지 시대
1800년부터 네덜란드령 동인도의 지배를 받았다. 식민지 시대부터 말레이인들이 다야크족을 억압하는 등, 여러 민족이 섞여 사는 지역 특성상 민족 간 분쟁이 끊이지 않았다.[43] 1942년부터 1945년까지는 일본의 통치를 받았으며, 1943년에는 폰티아나크 사건이 발생했다.2. 4. 일본 점령기 (1942-1945)
서칼리만탄은 1942년부터 1945년까지 일본의 지배를 받았다.[16] 이 시기에 인도네시아는 독립을 선언했다. 일본 점령 기간 동안 폰티아낙 사건이 발생하여 폰티아낙에서 술탄을 포함한 21,000명 이상의 사람들(남성, 여성, 어린이 포함)이 일본군에 의해 납치, 고문, 학살당했다.[16] 칼리만탄의 모든 말레이 술탄들은 처형되었고, 말레이 엘리트들은 일본에 의해 제거되었다.[16] 희생자 대부분은 만도르(폰티아낙에서 88km 떨어진 곳)에 있는 여러 개의 거대한 우물에 매장되었다. 전쟁이 끝난 후, 폰티아낙의 일본 장교들은 연합군에 의해 체포되어 극동 국제 군사 재판소로 이송되었다.[16] 이 사건을 기념하기 위해 마캄 주앙 만도르라는 기념비가 세워졌다.2. 5. 인도네시아 독립 이후
인도네시아 독립 후, 서칼리만탄은 인도네시아 공화국의 일부가 되었다. 1947년 5월 12일, 폰티아낙의 샤리프 하미드 2세가 이끄는 서칼리만탄 자치 지역이 설립되었다. 그는 네덜란드가 추진한 인도네시아 연합국(RUSI) 설립을 지지했다.[18] 그러나 1950년 4월 5일, 레이먼드 웨스터링이 주도한 APRA 쿠데타에 연루된 혐의로 술탄 하미드가 체포되면서, 인도네시아 공화국과의 통합을 요구하는 여론이 높아졌다. 결국 1950년 4월 22일 통합이 이루어졌고, 8월 15일 서칼리만탄 자치 지역은 칼리만탄 주에 편입되었다. 이틀 후인 8월 17일 RUSI는 해체되고 단일 인도네시아 공화국이 수립되었다.[19][20][21]1960년대 중반, 수카르노 정부 시기에 서칼리만탄은 인도네시아-말레이시아 대립으로 인해 격전지가 되었다. 1965년 수하르토가 수카르노를 축출한 후, 대립은 빠르게 해결되었으나, 이후 10년간 인도네시아 공산당(PKI)의 지원을 받은 무장 세력과 수하르토 정부 간의 내전이 계속되었다.[43]
1930년대 네덜란드령 동인도 정부의 이주 계획과 1960년대 인도네시아 정부의 정책으로 인해 마두라인이 팜유 재배를 위해 숲을 개간하면서 현지 다약족과의 갈등이 심화되었다. 1968년부터 반 마두라인 폭동이 빈번하게 발생하여, 1990년대에는 대량의 마두라인 난민이 발생했다.[43] 이러한 갈등은 1996년의 대규모 폭력 사태, 1999년의 삼바스 폭동, 2001년의 삼피트 분쟁으로 이어져 수천 명의 사망자를 낳았다.[22][23][24]
수하르토 시대에는 칼리만탄의 풍부한 산림 자원과 플랜테이션을 기반으로 한 산림 개발이 추진되었다.[44] 1998년 수하르토 체제가 붕괴된 후, 지방 분권적 민주 체제로 전환되면서 지방 유력자들과 현 관리, 정치가들 간의 경쟁이 심화되었다.[44]
2013년 10월 25일, 인도네시아 국회는 서칼리만탄 주의 '''카푸아스 라야''' (대 카푸아스) 분리 신설을 포함한 법률 초안 검토를 시작했으나, 2013년부터 보류된 상태다.
3. 지리
서칼리만탄주는 보르네오 섬 서부에 위치하며, 북위 2°08'에서 남위 3°05', 동경 108°0'에서 114°10' 사이에 있다. 주도 폰티아낙을 지나 적도가 통과한다. 서칼리만탄은 열대 기후로, 높은 기온과 습도가 자주 나타난다.
서칼리만탄은 사라왁(동말레이시아)과 국경을 접하고 있으며, 폰티아낙-엔티콩-쿠칭(사라왁, 말레이시아)을 잇는 약 400km 길이의 도로가 개방되어 있어 이동 시간은 약 6~8시간이다. 주 북부에는 삼바스, 상가우, 신탕, 카푸아스 훌루 등 4개의 군이 말레이시아와 직접 접경하고 있으며, 칼링캉 산맥-카푸아스 훌루를 따라 뻗어 있다.
서칼리만탄의 대부분은 저지대로, 총 면적은 147037km2로 인도네시아 전체 육지 면적의 7.53%를 차지하며, 자바 섬의 1.13배에 해당한다. 이 지역은 북쪽에서 남쪽으로 600km 이상, 서쪽에서 동쪽으로 약 850km 뻗어 있다. 서칼리만탄은 파푸아(421891km2)와 중부 칼리만탄(152,600km2)에 이어 인도네시아에서 세 번째로 큰 주이다. 가장 큰 군은 카푸아스 훌루 (31318km2, 주 면적의 21.3%)이며, 케타팡 (30019km2, 20.4%)과 신탕 (22026km2, 15.0%)이 그 뒤를 잇고 있다.
동쪽 경계는 대개 카푸아스 강의 분수령을 이루는 산맥과 일치하며, 주 대부분이 동강의 유역이 되고 있다.
3. 1. 지형
서칼리만탄주의 토지는 일반적으로 낮고 수백 개의 강이 항해 가능하며, 카푸아스 강 계곡과 나투나 해/카리마타 해협을 따라 서쪽에서 동쪽으로 뻗어 있는 약간의 언덕이 있다. 토지 면적의 대부분은 늪지대로, 이탄과 맹그로브 숲이 혼합되어 있다. 이 지역은 북쪽의 칼링캉 산맥과 중앙칼리만탄주와의 경계를 따라 남쪽에 있는 슈바너 산맥, 두 산맥에 의해 둘러싸여 있다.[1] 토양의 질감을 보면 서칼리만탄주 대부분의 지역은 약 10500000ha, 즉 총 면적 14700000ha의 17.28%를 차지하는 PMK(포드졸 적황색) 토양 유형으로 구성되어 있다.[1] 다음으로 OGH(유기토, 글레이 및 부식토) 토양과 약 2000000ha, 즉 10.29%의 충적토가 Dati II에 걸쳐 있지만, 대부분 해안 지역에 있을 가능성이 높다.[1]광대한 저지대의 영향으로 산의 높이는 비교적 낮으며 화산 활동도 없다. 가장 높은 산은 신탕 군 세라와이 구에 있는 바투라야 산(Mount Baturaya)으로 해발 2278m이며, 세메루 산(동 자와 주, 3676m) 또는 린치 산(잠비, 3805m)보다 훨씬 낮다.[1]
라위트 산(Mount Lawit)은 카푸아스 훌루 구 엠발로 훌루에 위치해 있으며 서칼리만탄에서 더 잘 알려져 있다. 해발 1767m로 세 번째로 높고, 두 번째로 높은 산은 해발 1770m에 달하는 바투삼붕 산(Ambalau 구)이다.[1] 동주와 다른 지역의 경계는 대개 카푸아스 강의 분수령을 이루는 산맥과 일치하며, 동주의 대부분이 동강의 유역이 되고 있다.[1]
3. 2. 산
서칼리만탄 주의 산들은 높이가 비교적 낮고 화산 활동은 없다. 가장 높은 산은 신탕 군 세라와이 구에 있는 바투라야 산으로 해발 2278m이다. 이는 동 자바의 세메루 산(3676m)이나 잠비의 린치 산(3805m)보다 훨씬 낮다.[1]카푸아스 훌루 구 엠발로 훌루에 위치한 라위트 산은 해발 1767m로 서칼리만탄에서 세 번째로 높은 산이다. 두 번째로 높은 산은 암발라우 구에 있는 바투삼붕 산으로, 해발 1770m이다.[1]
3. 3. 강과 호수
서칼리만탄주는 "천 개의 강이 있는 주"라고 불릴 수 있다. 이 별명은 수백 개의 크고 작은 강이 있는 지리적 조건과 일치하며, 그중 일부는 배가 다닐 수 있고, 주민들이 자주 이용한다. 여러 주요 강은 도로 기반 시설이 대부분의 지역에 도달할 수 있게 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시골 지역의 주요 교통 수단이다.가장 긴 강은 카푸아스강으로, 인도네시아에서 가장 긴 강(1,086km)이기도 하며, 942km 구간에서 배가 다닐 수 있다. 다른 주요 강으로는 멜라위 강(471km), 파완 강(197km), 켄다왕안 강(128km), 젤라이 강(135km), 세카다우 강(117km), 삼바스 강(233km), 란닥 강(178km)이 있다.
강 이름 | 항해 가능 길이 |
---|---|
카푸아스강 | 942km |
멜라위 강 | 471km |
파완 강 | 197km |
켄다왕안 강 | 128km |
젤라이 강 | 135km |
세카다우 강 | 117km |
삼바스 강 | 233km |
란닥 강 | 178km |
서칼리만탄주에는 강이 매우 많지만, 이 지역에는 두 개의 중요한 호수만 있다. 이들은 카푸아스 훌루군에 있는 센타룸 호수와 루아르 I 호수이다. 센타룸 호수는 117500ha 면적을 가지고 있으며, 건기에는 거의 마르기도 한다. 루아르 I 호수는 약 5400ha의 면적을 가지고 있다. 이 두 호수 모두 관광 명소로서의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
3. 4. 국경
서칼리만탄주는 사라왁(동말레이시아)과 국경을 접하고 있는 인도네시아의 주 중 하나이다.[1] 서칼리만탄주와 사라왁은 폰티아낙-엔티콩-쿠칭(사라왁, 말레이시아)을 잇는 약 400km 길이의 도로를 개방했으며, 이동 시간은 약 6~8시간이다.[1] 주 북부에는 말레이시아와 직접 접경하고 있는 삼바스, 상가우, 신탕, 카푸아스 훌루 등 4개의 군이 있으며, 칼링캉 산맥-카푸아스 훌루를 따라 뻗어 있다.[1]4. 행정 구역
서칼리만탄 주는 2개의 시(''Kota'')와 12개의 군(''Kabupaten'')으로 구성되어 있다.[28] 1999년까지 이 주는 폰티아낙 시와 6개의 군으로 구성되어 있었으나, 이후 여러 차례 행정 구역 개편이 이루어졌다.
주 인구의 약 29%가 대(大)폰티아낙 지역에 거주한다.
이 주는 인민 대표 위원회 의원을 선출하기 위한 2개의 국가 선거구를 포함한다. '''서칼리만탄 1 선거구'''는 7개의 군과 2개의 시로 구성되며, 8명의 의원을 선출한다. '''서칼리만탄 2 선거구'''는 5개의 군으로 구성되며, 4명의 의원을 선출한다.[28]
(하위 섹션인 "시"와 "군" 섹션에서 자세한 내용을 다룬다.)
4. 1. 시 (Kota)
서칼리만탄 주에는 2개의 시(''kota'')가 있다.
4. 2. 군 (Kabupaten)
서칼리만탄 주에는 2개의 시(''kota'')와 12개의 군(''kabupaten'')이 있다.[28] 1999년까지 이 주는 폰티아낙시(''kota'')와 6개의 군(''kabupaten'')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이후 여러 차례 행정 구역 개편을 거쳐 현재의 모습을 갖추게 되었다.[8][25][26]- 1999년 4월 20일: 삼바스군에서 븡카양군 분리
- 1999년 10월 4일: 멤파와군에서 란닥군 분리
- 2001년 6월 21일: 븡카양군에서 싱카왕시 분리 독립
- 2003년 12월 18일: 상가우군에서 스카다우군 분리, 신탕군에서 믈라위군 분리
- 2007년 1월 2일: 케타팡군에서 북카용군 분리
- 2007년 7월 17일: 멤파와군에서 쿠부라야군 분리
2023년 중반 공식 추정치에 따르면, 각 군의 수도, 면적, 인구, HDI는 다음과 같다.[27]
지역 코드 | 군 이름 | 수도 | 면적 (km2) | 2023년 중반 추정 인구 | HDI |
---|---|---|---|---|---|
61.01 | 삼바스군 | 삼바스 | 5938km2 | 648,181 | 0.632 |
61.07 | 븡카양군 | 븡카양 | 5488.61km2 | 298,979 | 0.644 |
61.08 | 란닥군 | 응아방 | 8430.71km2 | 413,588 | 0.635 |
61.02 | 멤파와군 | 멤파와 | 1935.42km2 | 312,785 | 0.627 |
61.12 | 쿠부라야군 | 수아이라야 | 8549.29km2 | 639,250 | 0.645 |
61.11 | 북카용군 | 수카다나 | 4110.12km2 | 132,855 | 0.585 |
61.04 | 케타팡군 | 케타팡 | 30018.68km2 | 592,521 | 0.632 |
61.06 | 카푸아스훌루군 | 푸투시바우 | 31318.25km2 | 262,404 | 0.629 |
61.10 | 멜라위군 | 낭가피노 | 10122.51km2 | 239,502 | 0.628 |
61.03 | 상가우군 | 상가우 | 12452.22km2 | 503,937 | 0.620 |
61.09 | 스카다우군 | 스카다우 | 5979.04km2 | 219,724 | 0.619 |
61.05 | 신탕군 | 신탕 | 22025.79km2 | 438,022 | 0.631 |
5. 인구
인도네시아 통계청(Badan Pusat Statistik)의 2024년 및 이전 조사에 따르면,[46] 2023년 기준 서칼리만탄주의 인구는 약 562만 명이다. 인구 증가 추이는 다음과 같다.
연도 | 인구 |
---|---|
1971년 | 2,019,936명 |
1980년 | 2,486,068명 |
1990년 | 3,229,153명 |
1995년 | 3,635,730명 |
2000년 | 4,034,178명 |
2005년 | 4,052,345명 |
2010년 | 4,395,983명 |
2015년 | 4,783,209명 |
2020년 | 5,414,390명 |
2023년 | 5,623,328명 |
6. 민족
서칼리만탄주에서 가장 큰 민족 집단은 다야크 (34.93%)와 말레이인 (33.84%)이다.[32] 다야크족은 내륙 지방의 부족이며, 말레이인은 주로 해안과 강 유역에 거주한다. 세 번째로 큰 민족 집단은 이주 지역에 주로 거주하는 자바인 (9.74%)이다. 네 번째는 싱카왕과 폰티아낙과 같은 도시 지역에 주로 거주하는 중국인 (8.17%)이다. 다섯 번째는 폰티아낙과 쿠부 라야에 주로 거주하는 마두라인 (6.27%)이다.
그 다음으로 큰 민족 집단(6위~10위)은 부기스인 (3.13%), 순다인 (1.13%), 바탁인 (0.60%), 다야 (0.52%), 반자르인 (0.33%)이며, 기타 민족은 1.33%를 차지한다.[33]
순위 | 민족 | 인구 (%) |
---|---|---|
1 | 다야크 | 34.93 |
2 | 말레이인 | 33.84 |
3 | 자바인 | 9.74 |
4 | 중국인 | 8.17 |
5 | 마두라인 | 6.27 |
6 | 부기스인 | 3.13 |
7 | 순다인 | 1.13 |
8 | 바탁인 | 0.60 |
9 | 반자르인 | 0.33 |
10 | 기타 | 1.85 |
7. 언어
인도네시아어는 서칼리만탄 주민들이 언어 소통을 위해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언어이다. 지역별로 말레이어도 사용된다. 다약어에도 다양한 종류가 있는데, Institut Dayakologi의 연구에 따르면 다약족이 사용하는 방언은 188개나 된다. 차오저우어와 객가어/하카어와 같은 중국어도 사용된다.
오트 다눔어는 다른 다약족의 방언이 아닌 독립된 언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방언은 일부 하위 우트 다눔 다약 부족에 존재한다. 예를 들어, 하위 부족 언어인 도호이어는 '먹다'라는 의미를 최소 16개의 어휘로 표현하며, 가장 미묘한 표현부터 가장 거친 표현까지 다양하다. 응골라슉(섬세함), 게름(일반), 데칵(연장자나 존경받는 대상), 응오나훅(거친), 모니라크(거친), 마추(죽은 영혼을 위한) 등이 그 예시이다.
서칼리만탄의 말레이어는 폰티아낙 말레이, 삼바스, 멤파와, 마탐, 케타팡을 포함한 여러 하위 그룹으로 구성된다. 주 북부에서 사용되는 상가우, 신탕, 스카다우 말레이어는 사라왁 말레이어와 동일한 방언을 가지고 있으며, 수도에서 사용되는 폰티아낙 말레이어는 표준 말레이시아어 및 리아우 말레이어와 더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
8. 종교
Agamams
2010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이슬람교(59.22%)가 다수를 차지한다. 기독교(천주교 및 개신교, 34.32%), 불교(5.41%), 유교(0.68%), 힌두교(0.06%) 등도 믿고 있다.[34]
종교 | 2010년 기준 백분율 |
---|---|
이슬람교 | 59.22% |
기독교 (천주교 및 개신교) | 34.32% |
불교 | 5.41% |
유교 | 0.68% |
힌두교 | 0.06% |
말레이족, 자바인, 마두라인 및 부기스인들은 주로 이슬람교를 믿는다. 다약족은 주로 기독교를 믿는다. 중국계 인도네시아인은 주로 불교와 기독교를 믿는다.[35] 2020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서칼리만탄주에서 가장 큰 종교 집단 역시 이슬람교(60%)이다. 서칼리만탄주의 무슬림 다수 지역은 말레이족이 다수인 해안 지역으로, 삼바스, 멤파와, 케타팡, 북카용, 쿠부 라야, 카푸아스 훌루 및 폰티아낙 등이 있다. 멜라위와 싱카왕에서는 인구의 약 50%가 무슬림이다.[35]
9. 관광
서칼리만탄주에는 증기폭포, 적도 기념비 외에 다나우 센타룸 국립공원, 구눙 팔룽 국립공원, 베퉁 케리훈 국립공원 등 3개의 국립공원이 있다.
10. 환경 문제
이 지역에는 다나우 센타룸, 구눙 팔룽, 베퉁 케리훈의 3개의 국립공원이 있다. 현재, 불법 벌목으로 디프테로카르푸스와 같은 나무와 팜유, 펄프우드 농장들이 서식지 파괴를 일으켜 이 지역의 많은 희귀종을 위협하고 있다.[30] 이탄 습지 화재와 ENSO 에피소드 동안의 가뭄 또는 홍수는 이 지역을 위협하며, 진행 중인 산림 벌채로 인해 악화되고 있다.
호틀린 옴푸숭구 박사는 서칼리만탄주에서 보존 활동으로 2011년 휘틀리 상을 받았다. 그녀는 6만 명의 마을 사람들에게 저렴한 양질의 치과 및 의료 치료를 제공하는 조건으로, 그들이 조림 및 보존 작업에 참여하도록 함으로써 불법 벌목에 맞서 싸워왔다.[31]
11. 문화
서칼리만탄주의 문화는 다약족과 말레이족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
다약족의 전통 가옥인 "루마 판장"(긴 집)은 여러 가족이 함께 살며 회의를 하는 장소로 사용된다. 폰티아낙 주변에는 루마 판장의 일종인 "루마 라닥"이 있는데, 길이 380m, 높이 7m로 서칼리만탄에서 가장 화려한 전통 가옥으로 꼽힌다. 바다유 다약족의 전통 가옥인 "루마 바톡"은 둥근 모양에 높이가 12m인 독특한 형태를 띤다. 폰티아낙에는 말레이족의 전통 가옥도 있는데, 결혼식 등 다양한 행사에 사용된다.
전통 춤으로는 치유를 위한 춤인 타리 모농/마낭, 사교 춤인 타리 자핀 템붕, 농촌 생활을 묘사하는 타리 메노레 게타, 다약족의 투지를 상징하는 타리 만다우 등이 있다.[1]
다약족 남성은 코뿔새 깃털 머리 장식, 조끼, 무릎 길이 바지, 허리띠를 착용하고 구슬 목걸이를 한다. 여성은 가슴 가리개, 여러 겹의 천, 직조된 천을 착용하고 코뿔새 깃털 머리 장식, 구슬 목걸이, 팔찌를 한다. 말레이족 남성은 텔록 벨랑가, 여성은 바주 쿠롱을 입으며, 송켓 직물도 인기가 있다.
전통 무기로는 만다우라는 마체테가 대표적이며, 용기의 상징으로 사람 머리카락으로 장식하기도 한다. 킬리킷이라는 방패, 취관, 창, 낫 등도 사용된다.
축제로는 이슬람력 사파르 달의 마지막 수요일에 열리는 로보-로보가 있다. 이 축제는 축복을 상징하며, 마탄 왕국의 왕자가 멤파와 왕국에 도착하는 것을 알리는 의미를 담고 있다.[1] 멤파와 강 하구에서 바다를 "환영"하는 의식을 거행하며, 오푸 다엥 마남분의 죽음을 기리는 하울란의 시작을 알린다.[1] 부기스족 혈통 시민들은 가족 식사로 로보-로보를 기념하며, 학교에서도 함께 식사하는 행사를 연다.[1]
11. 1. 전통 가옥
서칼리만탄의 문화 유적 중 하나는 크기가 길고 나무로 만들어져 "루마 판장"(긴 집)이라고 불린다. 이 집은 다약족의 거주지이며, 여러 가족 구성원이 머물고 회의를 하는 장소로 사용된다. 루마 판장은 말레이시아 사라왁과 칼리만탄의 다른 주에서도 발견된다. 폰티아낙과 주변 지역에는 긴 집의 일종인 "루마 라닥"(Rumah Radakng)이 있다. 루마 라닥은 길이가 약 380m, 높이가 7m이며, 현재 서칼리만탄에서 가장 호화로운 전통 가옥으로 손꼽힌다. "루마 바톡"(Rumah Batok)은 바다유 다약족의 전통 가옥으로, 둥근 모양에 꼭대기까지 높이가 약 12m인 독특한 형태를 가지고 있다. 폰티아낙시에는 말레이족의 전통 가옥이 있는데, 이 가옥은 숙고, 공연 예술, 결혼식 등 다양한 행사에 사용된다.11. 2. 전통 춤
타리 모농/마낭(Tari Monong/Manang)은 서칼리만탄 주의 전통 춤으로, 치유를 위한 춤이다. 아픈 사람이 낫지 않을 때, 가족들은 타리 모농/마낭을 거행한다. 무용수는 특별한 주문을 외우는 주술사 역할을 하며, 환자는 이를 통해 병이 나을 수 있다는 동기를 얻게 된다.[1] 타리 자핀 템붕(Tari Zapin Tembung)은 서칼리만탄 지역 사회의 사교 춤 중 하나이다.[1] 타리 메노레 게타(Tari Menoreh Getah)는 서칼리만탄 농촌 공동체의 일상생활을 묘사하는 전통 춤으로, 주민들의 일상적인 필요를 충족시키는 모습을 보여준다. 이 춤은 서칼리만탄의 말레이와 다약 춤 동작을 바탕으로 만들어졌다.[1] 타리 만다우(Tari Mandau)는 명예와 지위를 지키기 위한 다약 공동체의 투지를 상징하는 춤이다.[1]11. 3. 전통 의상
다약족의 전통 의상은 남성의 경우 코뿔새 깃털로 장식된 머리 장식, 소매 없는 셔츠(조끼), 무릎 길이 바지, 허리띠 역할을 하는 천을 착용한다. 보통 구슬 목걸이와 같은 장신구도 착용한다. 여성은 가슴을 가리는 천과 세타겐(setagen) 역할을 하는 여러 겹의 천, 그리고 직조된 천을 착용한다. 장신구는 머리 장식으로 코뿔새 깃털, 구슬 목걸이, 팔찌 형태로 착용한다.말레이족의 전통 의상은 남성의 경우 텔록 벨랑가를, 여성의 경우 바주 쿠롱을 착용한다. 바주 텔록 벨랑가와 바주 쿠롱은 특히 결혼식 및 기타 전통 행사에서 인기가 많다. 송켓 직물 또한 특히 삼바스(주 북서부에 위치)에서 인기가 있다.
11. 4. 전통 무기
만다우는 서칼리만탄주에서 흔히 사용되는 전통 무기이다. 만다우는 일종의 마체테이며, 일부는 일상적인 용도로 사용된다. 만다우는 전쟁에 사용되며, 용기의 상징으로 사람의 머리카락으로 장식된다. 킬리킷이라고 불리는 방패는 키가 큰 사람 크기이며, 검은색과 붉은색으로 화려하게 조각되어 있다. 다른 무기로는 취관이 있는데, "이포"라는 나무의 독액으로 화살촉을 만들어 사용한다. 그 외 다른 무기로는 창, 낫 등이 있다.11. 5. 축제
로보-로보는 이슬람력에서 수요일을 뜻하는 '로보' 또는 '라부'(Rabu)에서 유래되었다. 로보-로보 전통은 축복을 상징하는 이슬람력의 사파르(Safar) 달의 마지막 수요일에 열린다.[1] 이 의식은 마탄 왕국(Martapura)의 라즈쿠마르 마스 수르야 네가라가 멤파와 왕국에 도착하는 것을 알리는 경고 또는 예행 연습으로 전해진다.[1]의식은 마하라자(왕), 멤파와 여왕, 아들, 딸, 수행원, 경비병이 암투빌라 궁전(Amantubillah Palace)의 왕실 보트인 비다르(bidar) 보트를 이용하여 멤파와 마을(Castle Village, Mempawah)을 출발하면서 시작된다.[1] 배는 약 1시간 거리에 있는 꾸알라 멤파와(Kuala Mempawah) 마을에 위치한 멤파와 강 하구로 항해한다.[1] 강 하구에서는 오푸 다엥 메남본(Opu Daeng Menambon)이 처음 강 하구에 도착했을 때처럼 바다를 "환영"하는 일종의 의식을 거행한다.[1]
로보-로보 자체는 오푸 다엥 마남분의 죽음을 기리는 사파르 달의 마지막 주 월요일 밤부터 화요일까지 시작되는 중요한 행사인 하울란(Haulan) 시리즈를 알리는 경고로 의도되었다.[1] 부기스 혈통의 시민들은 이 의례에서 로보-로보를 보통 집에서 가족 식사와 함께 기념한다.[1] 집뿐만 아니라 초등학교부터 고등학교까지 다양한 학교의 학생들도 수요일 아침에 함께 식사를 한다.[1]
참조
[1]
간행물
Badan Pusat Statistik
2021
[2]
간행물
Provinsi Kalimantan Barat Dalam Angka 2024
Badan Pusat Statistik
2024-02-28
[3]
서적
Demography of Indonesia's Ethnicity
https://books.google[...]
Institute of Southeast Asian Studies
[4]
웹사이트
Produk Domestik Regional Bruto (Milyar Rupiah), 2020-2022
https://www.bps.go.i[...]
Badan Pusat Statistik
[5]
웹사이트
Produk Domestik Regional Bruto Per Kapita (Ribu Rupiah), 2020-2022
https://www.bps.go.i[...]
Badan Pusat Statistik
[6]
웹사이트
Capaian Indikator Utama Pembangunan
https://simreg.bappe[...]
Badan Pembangunan Nasional
[7]
웹사이트
Indeks Pembangunan Manusia 2024
https://www.bps.go.i[...]
Statistics Indonesia
2024
[8]
간행물
Biro Pusat Statistik
2011
[9]
간행물
Badan Pusat Statistik
2021
[10]
간행물
Provinsi Kalimantan Barat Dalam Angka 2024
Badan Pusat Statistik
2024-02-28
[11]
간행물
Badan Pusat Statistik
2021
[12]
간행물
Provinsi Kalimantan Barat Dalam Angka 2024
Badan Pusat Statistik
2024-02-28
[13]
논문
Chinese Indonesians : remembering, distorting, forgetting
http://dx.doi.org/10[...]
2005-03-22
[14]
웹사이트
Republik Lanfang, Republik Pertama di Nusantara
https://tirto.id/rep[...]
2024-07-25
[15]
웹사이트
Republik Lanfang, Republik Pertama di Nusantara
https://tirto.id/rep[...]
2020-03-16
[16]
웹사이트
The Mandor Affair, the massacres in West Kalimantan during WWII
https://kajomag.com/[...]
2022-01-21
[17]
간행물
Provinsi Kalimantan Barat Dalam Angka 2024
Badan Pusat Statistik
2024-02-28
[18]
서적
The Indonesian National Revolution, 1945–1950
Longman
[19]
서적
A History of Modern Indonesia Since {{circa|1300}}
Palgrave
[20]
서적
Nationalism and Revolution in Indonesia
Cornell University Press
[21]
서적
The Decline of Constitutional Democracy in Indonesia
https://archive.org/[...]
Equininox Publishing (Asia) Pte Ltd
2020-03-30
[22]
웹사이트
Armed Conflicts Report. Indonesia – Kalimantan
http://www.ploughsha[...]
2011-05-26
[23]
웹사이트
Dayak
http://www.globalsec[...]
2018-04-03
[24]
웹사이트
THE RELATIONSHIP BETWEEN DAYAK AND MADURA IN RETOK by Yohanes Supriyadi
http://www.akademida[...]
2018-04-03
[25]
간행물
Badan Pusat Statistik
2021
[26]
간행물
Provinsi Kalimantan Barat Dalam Angka 2024
Badan Pusat Statistik
2024-02-28
[27]
웹사이트
Indeks-Pembangunan-Manusia-2014
http://bappenas.go.i[...]
2017-02-14
[28]
문서
Law No. 7/2017 (''UU No. 7 Tahun 2017'') as amended by Government Regulation in Lieu of Law No. 1/2022 and
[29]
뉴스
Jakarta Post
2013-11-14
[30]
뉴스
Greed and demand doom rainforest
http://gulfnews.com/[...]
2011-01-28
[31]
웹사이트
RI conservationist receives award from British royalty | the Jakarta Post
http://www.thejakart[...]
2011-05-17
[32]
서적
Demography of Indonesia's Ethnicity
Institute of Southeast Asian Studies dan BPS – Statistics Indonesia
[33]
서적
Demography of Indonesia's Ethnicity
https://www.research[...]
Institute of Southeast Asian Studies
2015-12
[34]
웹사이트
Jumlah Penduduk Menurut Agama
https://satudata.kem[...]
Ministry of Religious Affairs
2023-10-29
[35]
웹사이트
Population by Region and Religion in Indonesia
http://sp2010.bps.go[...]
2017-06-22
[36]
웹사이트
Statistical Yearbook of Indonesia 2022
https://www.bps.go.i[...]
中央統計庁
2022-02-25
[37]
웹사이트
Indonesia: Provinces & Cities
http://citypopulatio[...]
Citypopulation.de
2020-06-12
[38]
웹사이트
西カリマンタン州公立病院医療サービス改善計画
https://www.jica.go.[...]
JICA、ODA見える化サイト
2005-03
[39]
문서
Wikipedia英語版West Kalimantan
[40]
간행물
南西カリマンタンの海洋移民と国家 ―1760-1850年
https://www.rikkyo.a[...]
立教大学アジア地域研究所
[41]
논문
近代「客家(Hakka)社会」の形成 : 清代中期から民国初期における広東客家社会の発展過程
[42]
간행물
港市国家ポンティアナックの成立と近世後期東南アジア海域世界
http://www.jsseas.or[...]
東南アジア学会第79回研究大会
2008-06-07
[43]
학술지
民族紛争と国民国家建設 - インドネシアの地方分権と西カリマンタン州の不良開発を例に -
https://hdl.handle.n[...]
熊本学園大学
[44]
논문
スハルト体制崩壊後のインドネシア地方政治 : 西・中部・東カリマンタンの利権を握るのはどういった人たちか
https://hdl.handle.n[...]
[45]
웹사이트
カリマンタン島最大規模の港湾、来年開港
https://www.nna.jp/n[...]
NNA.ASIA
2018-04-13
[46]
간행물
Provinsi Kalimantan Barat Dalam Angka 2024
Badan Pusat Statistik, Jakarta
2024-02-2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