순다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순다인은 오스트로네시아인 기원으로, 서부 자바 지역에 주로 거주하는 민족이다. 순다 왕국을 세웠으며, 11세기부터 '순다'라는 명칭이 사용되었다. 순다어는 인도네시아에서 두 번째로 널리 사용되는 언어이며, 힌두교, 불교, 이슬람교 등 다양한 종교의 영향을 받았다. 농업을 기반으로 하며, 쌀 재배가 중요하며, 독특한 문화와 예술을 발전시켰다. 순다 요리는 신선한 채소를 많이 사용하는 것이 특징이며, 음악, 춤, 건축 등 다양한 분야에서 독창적인 문화를 보여준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인도네시아의 민족 - 파푸아인
파푸아인은 뉴기니섬과 주변 지역에 거주하며 오스트랄로이드 인종에 속하고 다양한 고유 언어를 사용하는 원주민으로, 화전 농업, 수렵, 가축 사육을 하며 부계 씨족 중심의 사회를 이루고 독특한 풍습을 지니고 있으며, 최근 유전학 연구를 통해 데니소바인과의 유전적 혼합이 밝혀졌다. - 인도네시아의 민족 - 발리인
발리인은 자바와 보르네오에서 온 원말레이계 이주민을 기원으로 하며, 자바로부터의 추가 이주와 마자파힛 제국 붕괴 후 이주민들에 의해 형성되어, 발리 힌두교 중심의 독특한 문화와 예술, 명명 시스템, 사회 구조, 푸푸탄과 같은 역사, 수박 관개 시스템, 다양한 종교 축제 등을 특징으로 한다.
순다인 | |
---|---|
기본 정보 | |
![]() | |
토착 이름 | 순다어: Urang Sunda 인도네시아어: Orang Sunda |
인구 | 약 4,000만 ~ 4,200만 명 |
거주 지역 | 인도네시아 |
주요 거주 지역 | 서자바 주: 3,400만 명 반텐 주: 240만 명 자카르타: 150만 명 람풍 주: 60만 명 중앙자바 주: 30만 명 남수마트라 주: 10만 명 리아우 주: 9만 명 잠비 주: 8만 명 벵쿨루 주: 6만 명 서칼리만탄 주: 5만 명 동자바 주: 4만 명 파푸아 주: 3만 명 동남술라웨시 주: 2만 명 일본: 약 1,500명 (2015년) |
언어 | 모국어: 순다어 인도네시아어 방언: 반텐어: 서부 순다어 (반텐 주 및 람풍 주) 북부 순다어 (보고르) 남부 순다어 (수카부미, 수메당, 치안주르, 반둥, 가룻, 타식말라야) 중동부 순다어 (치레본, 마잘렝카, 인드라마유) 북동부 순다어 (쿠닝안, 브레베스) 남동부 순다어 (치아미스, 팡안다란, 반자르, 칠라찹) |
종교 | 다수: 수니 이슬람 (99.85%) 소수: 기독교 (개신교 및 천주교) (0.08%) 순다 위위탄 (0.06%) 힌두교 불교 기타 (0.01%) |
관련 민족 | 바두이족 발리인 반텐인 베타위족 치레본인 자바인 |
2. 역사
순다 왕국은 오늘날 보고르를 수도로 한 순다인들의 전통시대 왕국이다. 4세기에서 7세기 사이에 번성했던 타루마나가라 왕국은 자바 서부에서 나타난 가장 초기의 역사적인 정치체였다. 힌두교의 영향은 서기 4세기 초에 순다족에게 도달했으며, 이는 타루마나가라 비문에서 분명히 드러난다.[7] 그러나 대다수의 일반 순다족은 여전히 그들의 고유한 자연 숭배와 조상 숭배를 유지한 것으로 보인다. 고대 시대에는 순다 왕국 시대와 같이 궁정 문화가 번성했다. 그러나 순다족은 대규모 종교 기념물을 건설할 자원도, 의지도 없었던 것으로 보인다.[7]
"순다"라는 이름을 언급하는 가장 초기의 역사적 기록 중 하나는 보고르 현에서 발견된 854 사카(932 AD) 연도의 케본 코피 II 비문에 나타난다. 1225년, 중국 작가 저우 취페이는 그의 저서 ''주판지''에서 ''신-토''(순다) 항구를 묘사하는데, 이는 아마도 반텐 또는 칼라파 항구를 가리키는 것으로 보인다. 스리 바두가 마하라자(일반적으로 실리왕이 왕으로 알려짐)의 통치 하에 파자자란 시대 동안 순다 왕국의 통일성과 정체성이 형성되고 굳어진 후, 순다족의 공유된 공통 정체성은 더욱 확고하게 자리 잡았다.
내륙 파수단은 산과 언덕이 많았으며, 19세기까지 숲이 우거지고 인구가 희소했다. 순다족은 전통적으로 밭농사에 종사했다. 이러한 요인들로 인해 순다족은 덜 엄격한 사회적 계층 구조와 더 독립적인 사회적 태도를 갖게 되었다.[7] 19세기에 네덜란드 식민지 착취로 인해 내륙 지역의 많은 부분이 커피, 차, 퀴닌 생산을 위해 개방되었고, 고지대 사회는 개척지적인 모습을 띠게 되어 개인주의적인 순다족의 사고방식을 더욱 강화했다.[7]
2. 1. 기원
순다인은 오스트로네시아인 기원이며, 타이완에서 기원한 것으로 여겨진다. 그들은 필리핀을 거쳐 기원전 1,500년에서 기원전 1,000년 사이에 자바에 도착했다.[4]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대 순다인의 오스트로네시아 조상이 원래 순다랜드에서 왔다는 가설도 있는데, 순다랜드는 오늘날 자바해, 말라카 해협, 순다 해협 및 그 사이의 섬들을 형성하는 거대한 침몰된 반도이다.[5] 최근 유전자 연구에 따르면, 순다인은 자바인, 발리인과 함께 오스트로아시아인 및 오스트로네시아인 조상의 상당한 혼합을 보인다.[6]순다인의 신앙인 ''순다 위위탄''은 순다인의 신화적 기원을 담고 있다. 고대 순다 신앙의 최고 신인 상 히앙 케르사는 ''사사카 푸사카 부아나''(지구의 성스러운 장소)에 일곱 명의 바타라(신)를 창조했다. 이들 바타라 중 가장 오래된 존재는 바타라 치칼이라고 불리며, 카네케스족의 조상으로 여겨진다. 다른 여섯 명의 바타라는 서부 자바의 순다 땅의 다양한 지역을 다스렸다. 상쿠리앙에 관한 순다 전설은 선사 시대의 반둥 분지의 고대 호수 고원에 대한 기억을 담고 있으며, 순다인이 적어도 20,000년 전 중석기 시대부터 이 지역에 거주했음을 시사한다. 또 다른 인기 있는 순다 속담과 전설은 순다 왕국의 중심지인 파라히앙안 (프리앙안) 고원의 창조에 대해 언급한다. "히앙(신)들이 미소를 지을 때 파라히앙안의 땅이 창조되었다." 이 전설은 파라히앙안 고원을 신들의 놀이터 또는 거처로 제시하며, 자연의 아름다움을 암시한다.
2. 2. 힌두-불교 왕국 시대
순다 왕국 참고, 전통시대 순다인들은 오늘날 보고르를 수도로 한 순다왕국을 세웠다.
자바 서부의 순다 왕국에서 나타난 가장 초기의 역사적인 정치체는 4세기에서 7세기 사이에 번성했던 타루마나가라 왕국이었다. 힌두교의 영향은 서기 4세기 초에 순다족에게 도달했으며, 이는 타루마나가라 비문에서 분명히 드러난다.[7] 그러나 순다족의 삶에 이 다르마교를 받아들이는 것은 자바족만큼 강렬하지 않았다. 중앙 궁정이 힌두-불교 문화와 제도를 받아들이기 시작했음에도 불구하고, 대다수의 일반 순다족은 여전히 그들의 고유한 자연 숭배와 조상 숭배를 유지한 것으로 보인다. 4세기까지, 더 오래된 거석 문화는 힌두교의 영향이 침투하는 가운데에도 여전히 살아있고 번성했을 것이다. 고대 시대에는 궁정 문화가 번성했는데, 예를 들어 순다 왕국 시대가 그러했다. 그러나 순다족은 대규모 종교 기념물을 건설할 자원도, 의지도 없었던 것으로 보인다.[7] 전통적인 순다족 농법인 ''라당'' 또는 ''후마''(건조 벼농사) 방식 또한 희소하게 거주하는 순다족 마을의 작은 인구에 기여했다.
각 지역을 고립시키는 지리적 제약은 또한 순다족 마을이 그들의 단순한 삶의 방식과 독립을 더욱 즐기도록 이끌었다. 이것은 아마도 순다족의 태평스러운 본성, 평등주의, 보수적, 독립적, 다소 개인주의적인 사회적 관점을 형성하는 요인이 되었을 것이다. 순다족은 정신적인 방식으로 자연을 사랑하고 숭배하는 것으로 보이며, 자연을 보존하고 생태계를 유지하기 위해 몇 가지 금기를 채택하게 되었다. 보수적인 성향과 외국 세력에 대한 다소의 반대는 카네케스 또는 바두이족이 열렬히 채택한 극단적인 고립주의 조치에서 나타난다. 그들은 외부인과의 교류와 외국의 아이디어, 기술, 삶의 방식을 받아들이는 것을 금지하는 규칙을 가지고 있다. 또한 그들은 자연 생태계를 보존하기 위해 나무를 베거나 숲의 생물을 해치지 않는 것과 같은 몇 가지 금기를 설정했다.
"순다"라는 이름을 언급하는 가장 초기의 역사적 기록 중 하나는 보고르 현에서 발견된 854 사카(932 AD) 연도의 케본 코피 II 비문에 나타난다. 1225년, 중국 작가 저우 취페이는 그의 저서 ''주판지''에서 ''신-토''(순다) 항구를 묘사하는데, 이는 아마도 반텐 또는 칼라파 항구를 가리키는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기록을 검토해 볼 때, "순다"라는 이름은 자바인들이 서부 이웃을 지칭하기 위해 사용한 용어로 11세기 초에 나타나기 시작한 것으로 보인다. 더 구체적으로, 한 중국 자료는 이를 반텐 또는 순다 켈라파 항구로 지칭한다. 스리 바두가 마하라자 (일반적으로 실리왕이 왕으로 알려짐)의 통치 하에 파자자란 시대 동안 순다 왕국의 통일성과 정체성이 형성되고 굳어진 후, 순다족의 공유된 공통 정체성은 더욱 확고하게 자리 잡았다. 그들은 그들의 왕국, 그들의 민족, 그들의 언어를 식별하기 위해 "순다"라는 이름을 채택했다.
2. 3. 네덜란드 식민지 시대
순다 왕국 참고. 전통시대 순다인들은 오늘날 보고르를 수도로 한 순다왕국을 세웠다.
내륙 파수단은 산과 언덕이 많았으며, 19세기까지 숲이 우거지고 인구가 희소했다. 순다족은 전통적으로 작고 고립된 마을에 살았기 때문에 원주민 법정의 통제가 어려웠다. 순다족은 전통적으로 밭농사에 종사했다. 이러한 요인들로 인해 순다족은 덜 엄격한 사회적 계층 구조와 더 독립적인 사회적 태도를 갖게 되었다.[7] 19세기에 네덜란드 식민지 착취로 인해 내륙 지역의 많은 부분이 커피, 차, 퀴닌 생산을 위해 개방되었고, 고지대 사회는 개척지적인 모습을 띠게 되어 개인주의적인 순다족의 사고방식을 더욱 강화했다.[7]
2. 4. 현대

인도네시아 민족들 사이에서는 순다족이 아름다움으로 유명하다는 믿음이 널리 퍼져 있다. 16세기 초 순다 왕국에 대한 보고서 "동방견문록(Summa Oriental)"에서 포르투갈 약제사 토메 피르스는 "(순다족) 여성들은 아름답고, 귀족 여성들은 정숙하다. 이는 하류 계급의 여성들과는 다르다."라고 언급했다.[8] 순다 여성들은 기후(다른 인도네시아인보다 피부가 더 밝다)와 생채소를 즐겨 먹는 식단(특히 부드러운 피부를 가졌다고 한다) 때문에 이 나라에서 가장 아름다운 여성 중 하나로 여겨진다. 반둥 여성들은 일반적으로 ''모장 쁘리앙안(Mojang Priangan)''으로 알려져 있는데, 예쁘고, 패션 감각이 뛰어나며 진취적인 것으로 평판이 나 있다.[8] 이러한 이유로 오늘날 많은 순다인들이 연예계에서 경력을 쌓고 있다.
3. 언어
순다어는 2010년에 약 3,600만 명이 사용했으며,[9] 인도네시아에서 두 번째로 널리 사용되는 지역 언어이다.[10] 2000년 인도네시아 인구 조사에서는 이 수치가 3,090만 명으로 나타났다. 이 언어는 반텐 주의 남부,[11] 서자바의 대부분 지역과 중부 자바의 브레베스에 있는 파말리 강까지 동쪽으로 사용된다.[12]
순다어는 자바어와 마찬가지로 말레이어, 미낭카바우어와도 밀접한 관련이 있는데, 순다어가 계급과 존경을 나타내는 다양한 언어 수준을 사용한다는 점에서 알 수 있으며, 이는 자바어에서 차용한 개념이다.[7] 자바어 및 말레이어와 유사한 어휘를 공유한다. 순다어에는 여러 방언이 있는데, 반텐-순다 방언에서 서자바 동부와 중부 자바주의 서부까지의 순다-치레본 방언이 있다. 가장 뚜렷한 방언 중 일부는 반텐, 보고르, 프리안간, 치레본에서 사용된다. 중부 자바에서는 순다어가 칠라캅 지역의 일부와 브레베스 지역의 일부에서 사용된다. 가장 세련된 순다어 방언, 즉 원래 형태로 간주되는 방언은 치아미스, 타식말라야, 가룻, 반둥, 수메당, 수카부미, 특히 치안주르에서 사용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치안주르에 사는 사람들이 사용하는 방언이 가장 세련된 순다어로 간주된다). 북부 해안, 반텐 및 치레본에서 사용되는 방언은 덜 세련된 것으로 간주되며, 바두이족이 사용하는 언어는 자바어가 보여준 (그리고 영향을 준) 계급과 존경을 나타내는 언어 계층화 개념을 채택하기 전의 순다어의 고대 유형으로 간주된다.[13]
오늘날 순다어는 주로 로마자로 표기된다. 그러나 14세기에서 18세기 사이에 사용되었던 순다 문자를 부활시키려는 노력이 있다. 예를 들어, 반둥과 서자바의 여러 도시의 거리 이름은 현재 로마자와 순다 문자 모두로 쓰여 있다. 오스트로네시아어족에 속한다.
4. 종교
15~16세기경 인도 무슬림 상인들에 의해 이슬람교가 순다족에게 전파되기 시작했다. 힌두-애니미즘 순다 왕국이 멸망하고 서부 자바 해안에 반텐과 치레본의 이슬람 술탄국이 설립된 이후 이슬람교 채택이 가속화되었다.[14] 많은 울라마(현지에서 "카이"로 알려짐)가 파라히앙안 산악 지역 마을에 침투하여 모스크와 학교(페산트렌)를 설립하고 순다족에게 이슬람 신앙을 전파했다. 소규모 전통 순다족 공동체는 고립을 택하고 외국 영향, 전도 및 근대화를 거부하며 고유의 사회 및 신념 체계를 유지했다. 레바크 리젠시 내륙의 바두이 (카네케스) 족이 그 예이다. 시구구르 쿠닝안 등 일부 순다족 마을은 순다 위위탄 신념을 유지했으며, 타식말라야의 캄풍 나가와 보고르의 신당 바랑 파시르 에우리의 일부 마을은 스스로를 무슬림으로 식별하지만, 이슬람 이전의 전통과 금기를 고수하고 ''카루훈''(조상 영)을 숭배한다. 오늘날 대부분의 순다족은 수니파 무슬림이다.[15][16]
18세기 초 서부 자바가 네덜란드 동인도 회사(VOC)의 통제를 받고, 이후 네덜란드령 동인도의 통제를 받게 되면서, 순다족에 대한 기독교 복음화가 시작되었다. 1851년 Mr. F. L. Anthing과 Pastor E. W. King이 설립한 Genootschap voor In- en Uitwendige Zending te Batavia (GIUZ) 선교사들이 복음화를 시작했으나, 순다족 개종을 위해 선교사를 파견한 것은 Nederlandsche Zendelings Vereeniging (NZV)이었다. 이들은 바타비아에서 선교를 시작하여 반둥, 치안주르, 치레본, 보고르, 수카부미 등 서 자바의 여러 도시로 확장했다. 서 자바 원주민을 위해 학교, 교회, 병원을 지었다. 순다족 무슬림 인구에 비해 기독교 순다족의 수는 적다. 오늘날 서 자바의 기독교인은 대부분 서 자바에 거주하는 중국계 인도네시아인이며, 원주민 순다족 기독교인의 수는 적다.
현대 순다족의 사회 및 종교 생활, 특히 도시 순다족 사이에서 이슬람주의로의 이동이 증가하고 있다.[15][16] 1960년대에 비해 오늘날 많은 순다족 무슬림 여성들이 히잡을 착용한다. 이는 수마트라와 말레이시아의 말레이 공동체에서도 발견되는 현상이다. 1949년 서 자바 타식말라야에서 다룰 이슬람 인도네시아의 탄생으로 정치적 이슬람의 부상이 있었지만, 이 운동은 인도네시아 공화국에 의해 탄압되었다. 현대 정치 지형에서 서 자바와 반텐의 순다족 영역은 번영 정의당(PKS) 및 연합 개발당(PPP)과 같은 이슬람 정당에 광범위한 지지를 보낸다. 압둘라 김나스티아르 카이, 아디 히다야트 우스타즈, 그리고 TV 유명인이 된 마마 데데 등 많은 순다족 울라마와 이슬람 설교자들이 전국적인 인기를 얻었다. 하지 (메카 순례)를 사회적 위신을 얻는 것으로 여기는 순다족의 수가 증가하고 있다. 한편, 소수 순다족 보수 전통주의자 ''아다트''인 ''순다 위위탄'' 공동체가 신앙과 삶의 방식에 대한 더 광범위한 수용과 인정을 얻기 위해 노력하는 운동도 있다.
5. 문화
순다인의 신앙 순다 위위탄은 순다인의 신화적 기원을 담고 있다. 고대 순다 신앙의 최고 신 상 히앙 케르사는 ''사사카 푸사카 부아나''(지구의 성스러운 장소)에 일곱 바타라(신)를 창조했다. 이들 중 가장 오래된 바타라 치칼은 카네케스족의 조상으로 여겨진다. 다른 여섯 바타라는 서부 자바 순다 땅의 여러 지역을 다스렸다.[7] 상쿠리앙 전설은 반둥 분지의 고대 호수에 대한 기억을 담고 있으며, 순다인이 적어도 20,000년 전 중석기 시대부터 이 지역에 거주했음을 시사한다. 또 다른 전설은 히앙(신)들이 미소를 지을 때 파라히앙안 고원이 창조되었다고 전하며, 이곳을 신들의 놀이터 또는 거처로 묘사한다.
4세기경 타루마나가라 왕국 시대에 힌두교가 전래되었지만, 자바족만큼 강렬하지는 않았다. 중앙 궁정은 힌두-불교 문화를 받아들였지만, 대다수 순다족은 고유한 자연 및 조상 숭배를 유지했다.[7] 순다 왕국 시대에 궁정 문화가 번성했지만, 대규모 종교 기념물 건설은 드물었다.[7] 전통적인 ''화전'' 농법은 인구 밀도가 낮은 순다족 마을 형성에 영향을 주었다.
지리적 고립은 순다족의 단순한 삶, 독립성, 평등주의, 보수적 성향을 강화했다. 자연 숭배와 생태계 보존을 위한 금기 사항이 존재하며, 바두이족의 고립주의에서 극명하게 드러난다.
"순다"라는 이름은 케본 코피 II 비문(932년)에 처음 등장한다. 1225년 저우 취페이는 ''주판지''에서 ''신-토''(순다 왕국) 항구를 언급하는데, 이는 반텐 또는 칼라파를 가리킨다. 스리 바두가 마하라자(실리왕이 왕) 치세 파자자란 시대에 순다 왕국의 통일성과 정체성이 확립되면서, 순다족의 정체성도 공고해졌다.
19세기까지 내륙 파수단은 산과 숲이 많아 인구가 희소했다. 순다족은 작고 고립된 마을에서 밭농사를 지으며, 덜 엄격한 사회 계층 구조와 독립적인 태도를 가졌다.[7] 19세기 네덜란드 식민지 시대 커피, 차, 퀴닌 생산으로 고지대 사회가 개척되면서 개인주의적 성향이 강화되었다.[7]
순다족은 아름다움으로 유명하다. 16세기 초 토메 피르스는 "동방견문록"에서 순다족 여성이 아름답다고 언급했다. 특히 반둥 여성들은 ''모장 쁘리앙안''으로 불리며, 미모, 패션 감각, 진취성으로 유명하다.[8]
순다 문화에는 보고르의 ''쿠추락'' 또는 프리앙안의 ''뭉가한''처럼 함께 식사하는 문화가 있으며, 라마단 기간에 가족, 동료와 함께 행해진다.
5. 1. 가족 및 사회 관계
순다 문화는 자바 문화와 유사하지만, 사회적 계층 시스템이 훨씬 덜 경직되어 있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7] 순다인들은 정신과 행동 면에서 평등주의가 더 강하고, 계층 간의 구분에 대한 반감이 크며, 공동체 중심의 물질 문화를 가지고 있다는 점에서 자바 제후국 사람들에게서 나타나는 봉건적 위계질서와 다르다.[17] 중앙 자바 궁정 문화는 엘리트적이고 양식화된, 흠 잡을 데 없이 세련된 형태의 예술과 문학을 배양하는 데 기여했지만, 순다 문화에서는 이러한 전통의 흔적을 거의 찾아볼 수 없다.[18]문화적으로 순다인들은 양계 친족 시스템을 채택하며, 남성과 여성의 계보가 똑같이 중요하다. 순다 가족에서 중요한 의례는 출생에서 죽음에 이르기까지 삶의 주기와 관련되어 있으며, 이전의 애니미즘, 힌두교-불교, 이슬람 전통을 많이 받아들였다. 예를 들어 임신 7개월째에는 ''누주 불라난'' (자바 전통의 날로니 미토니와 동일)이라는 출산 전 의식이 있는데, 이는 힌두교 의식에서 유래되었다. 아기가 태어난 직후에는 ''아케카한''(아랍어: 아키카)이라는 의식을 치르는데, 이슬람 전통으로 부모가 여자 아기에게는 염소 한 마리, 남자 아기에게는 염소 두 마리를 잡아 그 고기를 요리해 친척과 이웃에게 나누어 준다. 할례 의식은 사춘기 전의 남자아이들에게 행해지며, 시싱안(사자) 춤으로 축하한다.
결혼식은 순다 가족 축제의 하이라이트로, ''나로스켄''과 ''눈데운 오몽''(부모와 가족 어른들이 주관하는 결혼 제안 및 합의), ''시라만''(신부 샤워), ''세세라한''(신부에게 결혼 선물을 증정), ''아카드 니카''(결혼 서약), ''사웨란''(미혼 하객들이 수집하도록 동전, 꽃잎, 때로는 사탕을 뿌리며, 이는 로맨스에 더 좋은 행운을 가져다준다고 믿어진다), ''후아프 링궁''(신랑 신부가 서로 손으로 음식을 먹여주며, 팔을 얽어 사랑과 애정을 상징), ''바카칵 하얌''(신랑 신부가 구운 닭고기를 다리 하나씩 잡고 찢는 의식; 가족 내에서 누가 우위를 점할 것인지를 결정하는 전통적인 방법으로, 더 큰 부분이나 머리 부분을 갖는 사람이 우위를 점한다) 등 복잡한 의례와 함께 온 가족, 사업 관련 친척, 이웃, 친구들을 하객으로 초대하는 결혼 잔치가 포함된다. 순다 가족의 죽음은 일반적으로 전통적인 이슬람에 따라 일련의 의식을 통해 치러지며, ''펭가지안''(꾸란 암송)이 그 예이다. 펭가지안은 손님에게 ''베르캇''(반찬이 들어 있는 밥 상자)을 제공하는 것을 포함한다. 꾸란 암송은 사망 당일부터 7일 동안 매일 행해지며, 이후 사망 40일째, 1년째, 1,000일째에 다시 행해진다. 그러나 오늘날에는 순다인들 중 상당수가 더 이상 많은 오래된 전통을 유지하지 않는 덜 전통적인 이슬람을 채택함에 따라 이러한 전통이 항상 긴밀하고 충실하게 지켜지지는 않는다.
5. 2. 예술
순다족의 예술과 문화는 선사 시대의 토착 애니미즘과 샤머니즘 전통, 고대 힌두교-불교 유산, 이슬람 문화를 포함한 다양한 문화의 역사적 영향을 반영한다. 순다족은 순다 왕국의 웅장한 시대에 대한 매우 생생하고 구전으로 전해지는 기억을 가지고 있다.[18] 구전 전통은 판툰 순다라고 불리는데, 이는 이야기 전달에 사용되는 시적 구절의 찬트이다. 판툰 순다는 자바의 "템방"에 해당하며, 말레이시아의 판툰과 유사하지만 독립적이다. 판툰 순다는 종종 상쿠리앙, 루퉁 카사룽, 치웅 와나라, 문딩라야 디쿠수마, 실리왕기 왕의 이야기, 그리고 시 레웅리와 같은 인기 있는 어린이 민담과 같은 순다 민속과 전설을 이야기한다.
순다족은 농업을 생업으로 쌀농사를 짓고 있으며, 치안주르 등이 양질의 쌀 생산지로 알려져 있다. 1970년대 말 구굼 굼비라(Gugum Gumbira)가 창시한 순다족의 신작 무용 자이풍안이 알려져 있다.
민족 요리는 순다 요리라고 불리며, 진하고 매운 양념이 많은 인도네시아 요리 중에서는 담백하며, 또한 생야채를 많이 먹는 유일한 민족 요리이다. 바나나 잎을 사용한 쌈 요리인 페페스가 유명하다. 거주지가 대부분 내륙이기 때문에 생선은 민물고기 요리가 많다. 콩 발효 식품인 템페는 전국에서 먹히지만, 순다의 경우 전통적으로 유사한 온초엄도 많이 먹는 것이 특징이다.
순다인은 연예와 음악에 능하다고 하며, 많은 연예인과 가수를 배출하고 있다.
5. 2. 1. 음악

전통 순다 예술에는 다양한 형태의 음악, 무용, 무술이 포함된다. 가장 주목할 만한 순다 음악의 종류는 앙클룽 대나무 음악, 까차삐 술링 음악, 가믈란 드궁, 레욕 순다, 람빡 끈당이다. 앙클룽 대나무 악기는 무형 문화 유산의 세계 유산 중 하나로 여겨진다.[19] 민족 음악으로는 자이풍안과 뗌방 순다가 유명하다. 타악기 앙상블인 가믈란은 전국 각지에 있지만, 순다만 유일하게 대나무 피리인 술링도 다용하여 표현을 높이고 있다.
5. 2. 2. 무용
가장 잘 알려지고 독특한 순다 춤은 자이풍안[20]으로, 일반적으로 에로티시즘과 연관되지만 잘못된 전통 사교 춤이다. 공작 춤과 같은 다른 인기 있는 춤은 다채로운 춤을 추는 공작새를 묘사한다. 시싱안 춤은 할례 의식을 축하하기 위해 주로 수방 지역에서 공연되는데, 네 명의 남자가 운반하는 사자 형상에 소년이 앉아 있는 것이 특징이다. 공작 춤, 데위 춤, 라투 그래니 춤과 같은 다른 춤은 자바의 마타람 궁정의 영향을 보여준다.5. 2. 3. 인형극
와양 골렉은 순다 사람들에게 가장 인기 있는 와양 공연이다. 많은 형태의 ''케자웬'' 춤, 문학, 가믈란 음악 및 그림자 인형극 (''와양 쿨릿'')은 자바에서 유래되었다.[7] 순다 인형극은 자바 버전의 인도 서사시 영향보다 이슬람 민속의 영향을 더 많이 받았다.[7]5. 2. 4. 무술
순다 전통의 펜착 실랏 무술은 순다 파자자란 왕국의 역사적인 인물 실리왕기 왕에서 유래되었으며, 치만데는 가장 두드러진 학교 중 하나이다.[19] 최근 개발된 타룽 데라잣 또한 서부 자바에서 인기 있는 무술이다. 쿠장은 순다 사람들의 전통 무기이다.5. 3. 건축
순다족 전통 가옥의 건축 양식은 기능성, 단순성, 소박함, 그리고 자연과의 조화를 중시하는 특징을 보인다. 특히, 자연 지붕 덮개 재료를 사용하고, 환경과의 조화를 추구하는 점이 두드러진다.[21]순다족 전통 가옥은 대부분 박공 지붕 구조를 기본 형태로 하며, ''깜풍'' 스타일 지붕이라고 불린다. 나무 프레임과 들보 위에 짚 재료(''이주크'' 검은색 ''아렌'' 섬유, ''키라이'', ''하테우프'' 잎 또는 야자 잎)를 덮고, 짠 대나무 벽을 사용한다. 가옥 구조는 짧은 고상 위에 세워진다. 지붕 형태는 모임지붕과 고대 지붕 (박공 지붕과 모임 지붕의 조합) 등 다양하게 나타난다.

더 정교하게 돌출된 고대 지붕은 "새가 날개를 펼치는" 모습을 빗대어 ''줄랑 응아팍''이라고 불린다. 이 외에도 ''부카 퐁폭, 카피트 군팅, 주블렉 낭쿠브, 바닥 헤우아이, 타고그 안징'', ''페라우 케무렙'' 등 다양한 형태의 전통 가옥이 존재한다.[22]
가옥뿐만 아니라, 쌀 창고 (순다어로 ''러이ut'') 역시 전통 순다 농업 공동체에서 중요한 건축물이다. ''러이ut''는 ''세렌 타운'' 수확 의식에서 필수적인 역할을 담당한다.[23]
5. 4. 음식
순다 음식은 인도네시아에서 가장 유명한 전통 음식 중 하나이며, 인도네시아 대부분의 도시에서 쉽게 찾아볼 수 있다. 순다 음식은 신선함을 특징으로 한다. 랄랍(생 채소 샐러드)은 삼발(고추 페이스트)과 함께 먹고, 카레독(땅콩 페이스트)은 순다인들이 신선한 생 채소를 얼마나 좋아하는지 보여준다. 다른 인도네시아 민족과 마찬가지로 순다 사람들은 거의 모든 식사에 쌀을 먹는다. 순다 사람들은 "쌀을 먹지 않으면 전혀 먹지 않은 것이다."라고 말하는 것을 좋아한다. 쌀은 수백 가지 다른 방식으로 준비되지만, 모든 식사의 중심은 단순한 찐 쌀이다.[24]찐 쌀 외에도, 다양한 맛과 단백질, 미네랄 및 영양소 섭취를 위해 채소, 생선, 또는 고기 반찬이 추가된다. 이러한 반찬은 마늘, 갈랑갈(생강과의 식물), 강황, 고수, 생강, 레몬그라스를 조합하여 굽거나, 튀기거나, 찌거나, 삶거나 양념한다. 바나나 잎 안에 싸서 요리한 허브가 풍부한 음식인 페페스(순다어: ''파이스'')는 순다 사람들 사이에서 인기가 있다. ''페페스''는 재료에 따라 잉어, 멸치, 계란을 넣은 다진 고기, 버섯, 두부, 온콤 등 다양한 종류가 있다. 온콤은 순다 음식에서 흔한 발효된 땅콩 기반 재료이며, 자바인들 사이에서 인기 있는 템페와 같다. 일반적으로 음식 자체는 너무 맵지 않지만 고추와 마늘을 함께 갈아 만든 끓는 소스와 함께 제공된다. 해안가에서는 바닷물고기가 흔하고, 산에서는 양식 잉어 또는 금붕어가 많다. 잘 알려진 순다 요리는 랄라판으로, 파파야 잎, 오이, 가지, 여주와 같은 생 채소로만 구성된다.[24]
일반적으로 순다 음식은 풍부하고 풍미가 있지만, 파당 음식만큼 풍부하지 않고, 자바 음식만큼 달콤하지 않다.[25]
민족 요리는 순다 요리라고 불리며, 진하고 매운 양념이 많은 인도네시아 요리 중에서는 담백하며, 또한 생야채를 많이 먹는 유일한 민족 요리이다. 바나나 잎을 사용한 쌈 요리인 페페스가 유명하다. 거주지가 대부분 내륙이기 때문에 생선은 민물고기 요리가 많다. 콩 발효 식품인 템페는 전국에서 먹히지만, 순다의 경우 전통적으로 유사한 온콤도 많이 먹는 것이 특징이다.
5. 5. 직업
순다족의 전통적인 직업은 농업이며, 특히 쌀 재배가 주를 이룬다. 순다 문화와 전통은 보통 농업 주기를 중심으로 이루어진다. ''세렌 타운'' 수확 의식과 같은 축제는 치프타겔라르 마을, 치솔록, 수카부미, 신당 바랑, 파시르 에우리히 마을, 타만 사리, 보고르, 치구구르 쿠닝안의 전통적인 순다족 공동체에서 매우 중요하게 여겨진다.[27] 전형적인 순다족의 ''leuit''(쌀 창고)는 전통적인 순다족 마을의 중요한 부분이며, 부와 복지의 상징으로 여겨진다.[18] 옛날부터 순다족은 주로 농부였다.[18] 그들은 정부 공무원이나 입법가가 되는 것을 꺼리는 경향이 있다.[28]
농업 외에도 순다족은 생계를 위해 사업과 무역을 선택하는 경우가 많지만, 대부분은 이동식 음식 또는 음료 판매상, 소규모 ''와룽''(음식 노점) 또는 식당 설립, 일용품 판매 또는 소규모 이발소 운영과 같은 전통적인 기업가이다. 소규모 기업가 정신을 확립하고 운영하려는 그들의 친화력은 독립적이고, 태평하며, 평등주의적이고, 개인주의적이며, 낙천적인 순다족의 경향에 기인하는 것으로 보인다. 그들은 정부 관청의 엄격한 구조와 규칙을 싫어하는 듯하다. ''시오마이'', ''가도-가도'' 및 ''카레독, 나시고랭, 첸돌, 부부르 아얌, 로티 바카르''(구운 빵), ''부부르 카창 히자우''(녹두 죽) 및 인도미 인스턴트 국수 노점과 같은 여러 전통적인 이동식 음식 판매상과 음식 노점은 순다족이 운영하는 것으로 유명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많은 순다족이 국가 정치, 정부 관청 및 군대에서 지식인 또는 정치인으로 성공적으로 경력을 쌓았다. 몇몇 유명한 순다족은 인도네시아 정부에서 주지사, 시장, 부통령 및 국무 장관, 그리고 인도네시아 군의 장교 및 장군으로 자리를 얻었다.
순다족은 또한 유쾌하고 변덕스러운 사람들로 유명하며, 농담과 놀리기를 좋아한다. 와양 골렉 예술 형태인 체폿, 다왈라, 가렝 푸나카완 캐릭터는 순다족의 기발한 면을 보여준다. 일부 순다족은 예술과 문화를 열정으로 여기고 순수 예술, 음악 또는 공연 예술 분야에서 예술가가 될 수 있다. 오늘날에는 음악 및 엔터테인먼트 산업에 종사하는 여러 순다족이 있으며, 인도네시아에서 가장 유명한 가수, 음악가, 작곡가, 영화 감독, 영화 및 시네트론(연속극) 배우 중 일부는 순다족 출신이다.[29]
농업을 생업으로 쌀농사를 짓고 있으며, 치안주르 등이 양질의 쌀 생산지로 알려져 있다. 1970년대 말 구굼 굼비라(Gugum Gumbira)가 창시한 순다족의 신작 무용 자이풍간이 알려져 있다.
민족 요리는 순다 요리라고 불리며, 진하고 매운 양념이 많은 인도네시아 요리 중에서는 담백하며, 또한 생야채를 많이 먹는 유일한 민족 요리이다. 바나나 잎을 사용한 쌈 요리인 페페스가 유명하다. 거주지가 대부분 내륙이기 때문에 생선은 민물고기 요리가 많다. 콩 발효 식품인 템페는 전국에서 먹히지만, 순다의 경우 전통적으로 유사한 온초엄도 많이 먹는 것이 특징이다.
순다인은 연예와 음악에 능하다고 하며, 많은 연예인과 가수를 배출하고 있다. 민족 음악으로는 자이풍간과 템반 순다가 유명하다. 타악기 앙상블인 가믈란은 전국 각지에 있지만, 유일하게 순다만 대나무 피리인 술링도 다용하여 표현을 높이고 있다.
6. 저명한 인물
인도네시아의 국민 영웅으로 인정받은 주목할 만한 순다인으로는 여성 교육 평등을 위해 싸운 데위 사르티카, 오토 이스칸다르 디 나타 및 주안다 카르타위자야와 같은 정치가들이 있다. 자카르타의 전 주지사 알리 사디킨과 아니스 바스웨단, 전 부통령 우마르 위라하디쿠수마, 전 국방부 장관 아굼 구멜라르, 그리고 모흐타르 쿠수마아트마자, 하산 위라유다, 마티 나탈레가와, 메우티아 하피드와 같은 외무부 장관들은 정치 분야에서 두각을 나타낸 순다인들이다. 아집 로시디와 아흐디아트 카르타 미하르자는 인도네시아의 저명한 시인이자 작가이다.[8]
현대 인도네시아 엔터테인먼트 산업에는 인도네시아에서 가장 유명한 가수, 음악가, 작곡가, 영화 감독, 영화 및 시네트론 배우가 된 많은 수의 순다 출신 예술가들이 있다. 유명한 당두트 가수 로마 이라마, 엘비 수카에시, 그리고 에르빈 구타와와 같은 음악가이자 작곡가, 아디스티 자라, 로에키아, 헤티 코에스 엔당, 비나 판두위나타, 니키 아스트리아, 나이키 아르딜라, 포피 머큐리, 로사, 기타 구타와, 샤흐리니와 같은 가수, 라피 아흐마드, 지한 파히라 및 아스미란다 잔트만과 같은 인도네시아 시네트론 배우, 스턴트 안무가이자 영화 액션 스타 강 체체프 아리프 라흐만, 영화 감독 니아 디나타도 순다 출신 예술가들이다. 유명한 와양 골렉 인형극의 거장은 아셉 수난다르 수나야였으며, 술레, 조존, 강 이빙은 인기 있는 코미디언들이다. 스포츠 분야에서 순다 출신 인도네시아 운동선수로는 배드민턴 올림픽 금메달리스트 타우픽 히다얏, 리키 수바자, 리즈키 주니안샤 등이 있다.[8]
참조
[1]
서적
Kewarganegaraan, Suku Bangsa, Agama dan Bahasa Sehari-hari Penduduk Indonesia - Hasil Sensus Penduduk 2010
http://sp2010.bps.go[...]
Badan Pusat Statistik
[2]
웹사이트
Sikap Luwes Rahasia Perantau Sunda di Jepang
https://jabar.antara[...]
ANTARAJABAR
[3]
서적
Sejarah tatar Sunda
https://books.google[...]
Satya Historika
2003
[4]
문서
Taylor (2003), p. 7.
[5]
서적
Eden in the east: the drowned continent
Weidenfeld & Nicolson
[6]
웹사이트
Pemetaan Genetika Manusia Indonesia
http://assets.kompas[...]
[7]
문서
Hefner (1997)
[8]
서적
Java, West Java
https://books.google[...]
Periplus
2011-10-24
[9]
웹사이트
Sundanesiska
http://www.ne.se/sun[...]
Nationalencyklopedin
2013-09-13
[10]
문서
Taylor (2003), p. 120-121
[11]
서적
Indonesian Houses: Volume 2: Survey of Vernacular Architecture in Western Indonesia, Volume 2
BRILL
[12]
웹사이트
Pengaruh Bahasa Jawa Cilacap Dan Bahasa Sunda Brebes Terhadap Pencilan Bahasa (Enklave) Sunda Di Desa Madura Kecamatan Wanareja Kabupaten Cilacap
https://www.research[...]
Universitas Semarang
2015
[13]
웹사이트
The Sundanese
http://www.balitouri[...]
[14]
뉴스
Perjumpaan Islam dengan Tradisi Sunda
Pikiran Rakyat
2003-03-26
[15]
웹사이트
Sundanese Sufi Literature And Local Islamic Identity: A Contribution of Haji Hasan Mustapa's Dangding
http://digilib.uin-s[...]
State Islamic University (UIN) Sunan Gunung Djati, Bandung, Indonesia
2012
[16]
간행물
Female Circumcision in Indonesia : To " Islamize " in Ceremony or Secrecy
http://www.persee.fr[...]
1998
[17]
서적
Ethnic Groups of South Asia and the Pacific: An Encyclopedia
ABC-CLIO
[18]
문서
Alit Djajasoebrata, Bloemen van net Heelal: De kleurrijke Wereld van de Textiel op Java, A. W. Sijthoffs Uitgeversmaatschappij bv, Amsterdam, 1984
[19]
웹사이트
Angklung, Inspirasi Udjo bagi Dunia
http://www.kasundaan[...]
Kasundaan.org
2010-03-11
[20]
웹사이트
Jaipong - Erotismeu Itu Kodrati
http://www.kasundaan[...]
Kasundaan.org
2009-11-19
[21]
웹사이트
ArchitectureWeek - Culture - The Sundanese House - 2007.0307
http://www.architect[...]
2018-05-16
[22]
웹사이트
Julang Ngapak, Filosofi Sebuah Bangunan
http://budaya-indone[...]
2015-02-11
[23]
뉴스
What to discover in West Java cultural village Ciptagelar
http://www.thejakart[...]
2018-05-16
[24]
웹사이트
Kuliner
http://www.kasundaan[...]
Kasundaan.org
[25]
웹사이트
Kuliner Sunda, Budaya yang Tak Lekang Oleh Waktu
http://koenjit.wordp[...]
Koenjit
2008-05-06
[26]
웹사이트
Mengenal Tradisi Cucurak, Cara Warga Bogor Sambut Ramadhan
https://megapolitan.[...]
2022-10-14
[27]
웹사이트
Seren Taun Bogor
http://travel.kompas[...]
[28]
문서
Ajip Rosidi, Pikiran Rakyat, 2003
[29]
서적
Revitalisasi dan Aplikasi Nilai-nilai Budaya Sunda dalam Pembangunan Daerah
[30]
웹사이트
日本におけるスンダ遊牧民の秘密の器用さ(In Indonesia)
https://jabar.antara[...]
Antara Jabar
2015-08-3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