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필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서필원은 조선 시대의 문신으로, 만죽헌 서익의 증손이다. 1633년 진사시에 급제하여 관직에 진출, 인조실록 편찬에 참여하고, 이조 좌랑, 평안도어사, 충청도 관찰사 등을 역임했다. 효종 대에는 대사간, 전라감사 등을 거쳐 대동법 시행에 기여했으며, 현종 대에는 함경도 관찰사로 목면 재배를 권장하고 육진의 폐단을 개혁했다. 1668년 형조 판서, 1671년 병조 판서를 지냈으며, 시호는 정의이다. 저서로는 문집인 《육곡유고》가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614년 출생 - 김익겸
병자호란 당시 강화도에서 의병을 일으켜 청나라에 항거하다 분신자결한 김익겸은 사헌부 지평에 증직되고 충렬사에 제향되었으며, 인경왕후의 아버지 김만기와 소설가 김만중의 아버지이다. - 1614년 출생 - 존 릴번
존 릴번은 "자유민 존"으로 불리며 잉글랜드 내전 당시 의회파로 활동한 17세기 급진주의 정치 사상가이자 평등주의자로, 언론과 종교의 자유, 법 앞의 평등, 성인 남성의 선거권 등 "자유민의 권리"를 옹호하며 여러 차례 투옥과 망명을 겪었고 그의 사상은 미국 헌법 수정 제5조와 미란다 원칙에 영향을 주었다. - 1671년 사망 - 레 현종 (20대)
레 현종은 후 레 왕조의 20대 황제로, 어린 나이에 즉위하여 권신의 영향력 아래 청나라와의 외교 관계 수립, 기독교 금지, 도량형 제정 등의 정책을 시행했다. - 1671년 사망 - 앤 하이드
앤 하이드는 평민 출신으로 요크 공 제임스의 첫 번째 부인이 되어 메리 2세와 앤 여왕을 낳았고, 가톨릭으로 개종 후 유방암으로 사망했다.
서필원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서필원 |
한자 이름 | 徐必遠 |
출생일 | 1614년 |
사망일 | 1671년 |
국적 | 조선 |
본관 | 부여(扶餘) |
자 | 재이(載邇) |
호 | 육곡(六谷) |
시호 | 정의(貞毅) |
배우자 | 전주 이씨 |
자녀 | 서경조(徐敬祖) |
아버지 | 서운기(徐雲驥) |
어머니 | 이씨 |
친척 | 증조부 서익(徐益) |
학력 및 경력 | |
학력 | 1648년 정시 문과 급제 |
주요 경력 | 충청도 관찰사 한성부판윤 형조 판서 병조 판서 |
2. 생애
서필원은 만죽헌(萬竹軒) 서익(徐益)의 증손으로, 조선의 문신이다. 인조 때 진사시에 급제하고 문과에 급제하여 여러 관직을 거쳤다. 효종 때 홍문관부수찬, 사간원헌납, 이조좌랑 등을 역임하고 충청도관찰사로 나가 서원의 폐단을 보고하고 개혁을 청했다. 대사간, 승지를 거쳐 전라도전라감사가 되어 대동법 시행에 찬동하였다. 현종 때 병조참의, 대사성, 함경도관찰사 등을 역임하고 강화유수, 형조 판서, 병조판서를 지냈다. 시호는 정의(貞毅)이다.[10][11]
2. 1. 관직 생활
1633년(인조 11년) 진사시에 급제하여 1643년(인조 21년) 창릉참봉, 사옹원봉사가 되었다. 1648년(인조 26년) 정시 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여 승문원관을 거쳐 예문관검열, 설서 등을 역임했고, 통훈대부 행 사간원 정언 겸 춘추관 기사관으로 《인조실록》 편찬에 참여하였다.[2]1654년(효종 5년) 홍문관부수찬, 사간원헌납,[3] 이조좌랑,[4] 평안도어사를 역임하였다.
1656년(효종 7년) 수찬, 사헌부지평, 홍문관교리, 이조정랑 등을 지내고, 충청도관찰사가 되었을 때 서원의 폐단을 보고하고 그 개혁을 청하였다.[5]
1657년(효종 8년) 대사간,[6] 1658년(효종 9년) 승지를 거쳐 전라도전라감사가 되어서 대동법 시행에 찬동하여 전남도대동사목(全南道大同事目)을 반포하였다.
현종 초에 병조참의, 승지, 대사성, 예조참의, 이조참의 등을 거쳐, 1663년(현종 4년) 대사간, 승지, 병조참의를 역임하였다. 이듬해 함경도관찰사가 되어 목면 재배를 권장하고 구휼 사업에 힘쓰기도 하였다.[7] 특히 육진혁막제조(六鎭革瘼諸條)를 올려 그 지방의 폐단을 개혁하는 데 앞장섰다.
1665년(현종 6년) 강화유수를 역임하고, 1668년(현종 9년) 자헌대부에 승진하여 형조 판서가 되었다.[8] 1671년(현종 12년) 병조판서에 이르렀다.[9]
3. 저서
서필원의 저서로 문집 《육곡유고(六谷遺稿)》가 전해진다.
3. 1. 《육곡유고(六谷遺稿)》
서필원의 문집이다.참조
[1]
한국학중앙연구원
EXM_MN_6JOb_1648_006028
[2]
실록
인조실록 1권, 편수관 명단
http://sillok.histor[...]
[3]
실록
효종실록 12권, 효종 5년 4월 18일 정축 2번째기사
http://sillok.histor[...]
[4]
실록
효종실록 13권, 효종 5년 10월 30일 병술 2번째기사
http://sillok.histor[...]
[5]
실록
효종실록 18권, 효종 8년 6월 21일 임진 3번째기사
http://sillok.histor[...]
[6]
실록
효종실록 19권, 효종 8년 12월 4일 임신 1번째기사
http://sillok.histor[...]
[7]
웹인용
현종실록 7권, 현종 5년 1월 29일 임진 4번째기사
https://web.archive.[...]
2016-05-22
[8]
웹인용
현종실록 15권, 현종 9년 11월 11일 병오 4번째기사
https://web.archive.[...]
2016-05-22
[9]
웹인용
현종실록 19권, 현종 12년 6월 14일 계사 3번째기사
https://web.archive.[...]
2016-05-22
[10]
웹인용
영조실록 79권, 영조 29년 4월 23일 무신 2번째기사
https://web.archive.[...]
2016-05-22
[11]
문서
서필원이 죽기 직전에 [[영의정]]에는 [[허적]]이, [[좌의정]]에는 [[정치화]]가, [[우의정]]에는 [[송시열]]이 앉아있었고 [[이조판서]]에는 [[김수항]]이, [[호조판서]]에는 [[김수흥]]이, [[예조판서]]에는 [[정지화]]가, [[병조판서]]에는 [[서필원]]이, [[형조판서]]에는 [[민희]]가, [[공조판서]]에는 [[박장원]]이 앉아있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