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성황묘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성황묘는 성벽과 해자를 의미하는 '성황'을 신격화한 사당으로, 중국에서 기원하여 동아시아 여러 지역으로 퍼져나간 민간 신앙이다. 중국에서는 당나라 때 성황신을 모시는 사당이 등장하였고, 송나라 시대에는 국가 행사로 성황신 제사가 거행되었으며, 명나라 때에는 황제의 숭배를 받으며 전국적으로 성황묘가 건립되었다. 청나라 역시 명나라의 제사를 이어받았으나, 근대에 들어 타이완에서는 일제의 황민화 운동으로 인해, 중국 본토에서는 문화대혁명으로 인해 성황묘 신앙이 탄압받았다. 현재는 민간 신앙으로 부활하여, 중국, 한국, 베트남, 싱가포르 등지에서 다양한 형태의 성황묘가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묘당 - 상하이 성황묘
    상하이 성황묘는 상하이에 위치한 사당으로, 명나라 시대에 성황묘로 개명되었으며, 상하이의 섬 진산의 영혼에게 헌정되어 행운과 평화를 기원하는 장소였고, 문화 대혁명 이후 복원되어 세 명의 성황에게 봉헌되었다.
  • 도관 - 무후사
    무후사는 쓰촨성 청두시에 있는 사당으로, 제갈량과 유비를 함께 모시며, 촉한의 역사와 문화를 엿볼 수 있는 청나라 시대의 유적지이다.
  • 도관 - 관제묘
    관제묘는 관우를 모시는 사당을 의미하며, 한국에는 동관왕묘와 남관왕묘가 있고, 동관왕묘는 보물로 지정되어 있으며, 세계적으로도 널리 분포되어 있다.
  • 중국 민간신앙 - 중국 신화
    중국 신화는 천지 창조, 인류 기원, 왕조의 흥망성쇠 등 다양한 주제를 다루며 삼황오제와 하, 상, 주 시대로 이어지는 신화적 연대기를 포함하고, 유교, 불교, 도교 등 다양한 사상과 민간 신앙의 영향을 받아 발전해 온 중국 문화의 신화, 전설, 역사적 사건에 대한 이야기이다.
  • 중국 민간신앙 - 제사
    제사는 조상에게 음식을 바쳐 기리는 한국의 의례로, 유교의 영향으로 격식을 갖춘 제례 형태를 띠며, 종교에 따라 다양한 관점이 존재하고 다른 문화권에서도 유사한 의례를 찾아볼 수 있다.
성황묘
지도 정보
기본 정보
이름성황묘
한자城隍廟
간체자城隍庙
병음Chénghuángmiào
통용 병음Chénghuángmiào
주음부호ㄔㄥˊㄏㄤˊㄇㄧㄠˋ
광둥어Sing4wong4miu6*2
타이완어Sêng-hông-biō
영어City God Temple
상세 정보
설명성황신을 모시는 도교 사원
역할지역 수호, 악귀 퇴치
분포 지역중국, 타이완, 동남아시아 등
주요 의례제사, 기도, 축제
특징각 지역마다 다른 특징을 가짐
건축 양식전통 중국 건축 양식
관련 신성황신
이미지
타이완 성황묘
타이완 성황묘

2. 역사

성황신 신앙의 기원은 고대 중국에서 비롯되었다. 성벽과 해자를 뜻하는 '성황'이라는 단어는 후한반고가 쓴 《서도부서》에 처음 등장하지만, 제사에 대한 기록은 없다. 성황은 수용(도랑과 성벽)을 가리키며, 농업 관련 제사인 팔사(八蜡)의 하나로 《예기》에 나오는 말이 기원이라는 설이 유력하다.

명확한 기록으로는 당나라 때 쓰여진 《북제서》에 성황신을 제사하는 사당이 있었다는 기록이 최초이다. 당 현종장열이 성황당에 제사 지낸 글이 전해지는 것으로 보아, 이 시기에 이미 성황묘 신앙이 널리 퍼져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송나라 시대에는 국가 행사의 하나로 성황신을 제사 지냈고, 성황신의 부인도 함께 모셨다. 명나라청나라 시대에도 성황신 신앙은 이어졌다.

근대에 들어 타이완에서는 일제강점기 황민화 운동으로 인해 성황묘 신앙이 탄압받았고, 중국 대륙에서는 문화대혁명으로 많은 성황묘가 파괴되었다. 그러나 이후 민간 신앙으로 다시 부활하였다.

2. 1. 중국

상하이 성황묘


성벽과 해자를 의미하는 "성황(城隍)"이라는 말은 후한반고가 지은 《서도부서》(西都賦序)에 처음 등장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제사에 대한 기록은 없다. "성황"은 수용(水庸), 즉 도랑과 성벽을 가리킨다고도 하며, 농업과 관련된 여덟 종의 제사인 팔사(八蜡)의 하나로써 《예기》 교특생(郊特牲)에 보이는 말이 기원이 되었다는 설이 유력하다.[1]

명확한 기록으로는 대에 저술된 《북제서》 모용엄전(慕容儼伝)에 "성황신(城隍神)"을 제사하는 사당이 있었다는 기록이 최초이다.[1] 당 현종 시대 중서령을 지냈던 장열이 성황당에 제사지냈던 제성황문(祭城隍文)이 전하고 있어, 이 무렵에도 성황묘 신앙이 널리 퍼져 있었음을 알 수 있다.[1] 현존하는 성황묘 가운데 연대가 가장 오래된 것으로 알려진 것은 푸젠성 푸저우시 구러우 구에 있는 복건도성황묘(福建都城隍廟)로 서진 태강 연간(280년 ~ 289년)에 세워진 것으로 전한다.

대에 이르면 국가행사의 하나로써 성황신을 제사지내는 기조가 생겨났고, 성황신의 부인으로써 성황부인(城隍夫人)도 함께 제사지내게 되었다.[1]

명나라와 청나라 시대의 성황신 신앙에 대한 내용은 하위 섹션을 참조.

근대에 이르면 타이완의 경우 일본 식민지 시절 이른바 황민화운동(皇民化運動)에 의해 일본 신토의 신인 아마테라스나 그 후손으로 자처했던 천황 자체에 대한 숭배를 장려하면서 성황묘 신앙을 탄압하였으며, 중국 대륙에서는 문화대혁명의 와중에 수많은 성황묘가 파괴되었다.[1] 이후 민간신앙으로써 차츰 부활하였다.[1]

성황묘 신앙은 중국 뿐 아니라 한반도베트남, 싱가포르 등지로 퍼져나갔다.

2. 1. 1. 명나라 시대

명나라 태조 홍무제는 성황신 신앙에 특별히 독실했는데, 이는 홍무제 자신이 토지묘에서 태어났다는 개인적인 배경과 관련이 있었다.[1] 1369년(홍무 2년) 황제 주원장은 천하 각지의 모든 성황신에 대한 봉호를 더하고, 각지 성황묘에 등급을 매겨 도(都), 부(府), 주(州), 현(縣)의 4급으로 나누었다.[1] 이후 명나라에서는 성황묘 제사가 제도화되어 도시마다 성황묘가 세워졌다.[1]

2. 1. 2. 청나라 시대

청나라에서도 명나라의 제사를 이어받아 국가 행사로써 지방 관리가 매달 초하루와 보름날에 성황묘를 참배하도록 《흠정대청회전사례》(欽定大清會典事例)에 규정되어 있었다.

2. 2. 동아시아

성황묘 신앙은 중국뿐만 아니라 한반도, 베트남, 싱가포르 등지로 퍼져나갔다. 타이완에서는 일본 통치 시대에 이른바 황민화 운동으로 인해 신토(神道)의 신인 아마테라스 오오미카미나 그 후손으로 자처했던 천황(天皇) 자체에 대한 숭배가 장려되면서 성황묘 신앙이 탄압받았다.

3. 주요 성황묘

문화대혁명 때 탄압받아 폐쇄되었다가 2010년 복원되었다.蘇州府城隍廟|소주부성황묘중국어장쑤성쑤저우시명 홍무 3년(1370년)장쑤성문물보호단위南昌城隍廟|난창성황묘중국어장시성난창시시후구명 홍무 3년(1370년)宁波府城隍庙|닝보부성황묘중국어저장성닝보시하이슈구명 홍무 4년(1371년)닝보시문물보호단위西安城隍庙|시안성황묘중국어산시성시안시리엔후구명 홍무 20년(1387년)전국중점문물보호단위상하이성황묘상하이시황푸구명 영락 연간(1403년-1424년)상하이시문물보호단위



=== 대만 ===

이름위치창건비고
대만부성황묘타이난시중서구정씨정권 영력 23년(1669년)국정고적. 당시 승천부 성(현재 타이난) 동안방 군서의 오른쪽에 위치.[1]
봉읍구성성황묘가오슝시좌영구 강희 43년(1704년)당시 봉산현(현재 좌영구)에 위치.[1]
전대수읍현성황묘타이난시북구청나라 강희 50년(1711년)[1]
가의성황묘(가읍성황묘)자이시동구청나라 강희 54년(1715년)시정고적(3급 고적).[1]
조주성황묘핑둥현조주진청나라 옹정 4년(1726년)[1]
문오성황묘펑후현마공시청나라 옹정 5년(1727년)현정고적(3급 고적).[1]
장읍성황묘장화현장화시청나라 옹정 11년(1733년)[1]
신죽도성황묘신죽시북구청나라 건륭 13년(1748년)시정고적(3급 고적).[1]
록항성황묘장화현 록항진청나라 건륭 19년(1754년)현정고적(3급 고적).[1]
록초중료안계성황묘자이현록초향청나라 건륭 40년(1775년)[1]
마성성황묘(마공성황묘)펑후현 마공시청나라 건륭 42년(1777년)현정고적(3급 고적).[1]
봉산성황묘가오슝시봉산구청나라 가경 5년(1800년)[1]
기륭호국성황묘기륭시인애구청나라 가경 23년(1818년)[1]
대북하해성황묘(대도정하해성황묘)대북시대동구청나라 함풍 9년(1859년)시정고적(3급 고적).[1]
대만성성황묘대북시중정구청나라 광서 7년(1881년)창건 당시에는 "대북부성황묘"라는 명칭이었으나, 일제강점기1907년(메이지 40년)에 폐쇄. 이후 1945년(민국 34년) 10월 25일에 제사가 재개되었고, 1947년(민국 36년) 11월에 현재 위치로 이전.[1]
대북부성황묘대북시송산구1921년(다이쇼 10년)구 송산소명묘. 1921년(다이쇼 10년)에 "대북부성황묘" 신도들이 신상을 송산에 봉안하고 송산소명묘 건립. 2002년(민국 91년) 8월 8일에 현재 명칭으로 개칭.[1]
가오슝시하해성황묘가오슝시 염정구1936년(쇼와 11년)대북하해성황묘에서 분사.[1]
타이중시진봉위령공도성황묘타이중시동구1966년(민국 55년)신죽도성황묘에서 분사.[1]



=== 기타 지역 ===


소기만 성황묘

3. 1. 중국

문화대혁명 때 탄압받아 폐쇄되었다가 2010년 복원되었다.蘇州府城隍廟|소주부성황묘중국어장쑤성쑤저우시명 홍무 3년(1370년)장쑤성문물보호단위南昌城隍廟|난창성황묘중국어장시성난창시시후구명 홍무 3년(1370년)宁波府城隍庙|닝보부성황묘중국어저장성닝보시하이슈구명 홍무 4년(1371년)닝보시문물보호단위西安城隍庙|시안성황묘중국어산시성시안시리엔후구명 홍무 20년(1387년)전국중점문물보호단위상하이성황묘상하이시황푸구명 영락 연간(1403년-1424년)상하이시문물보호단위


3. 2. 대만

이름위치창건비고
대만부성황묘타이난시중서구정씨정권 영력 23년(1669년)국정고적. 당시 승천부 성(현재 타이난) 동안방 군서의 오른쪽에 위치.[1]
봉읍구성성황묘가오슝시좌영구 강희 43년(1704년)당시 봉산현(현재 좌영구)에 위치.[1]
전대수읍현성황묘타이난시북구청나라 강희 50년(1711년)[1]
가의성황묘(가읍성황묘)자이시동구청나라 강희 54년(1715년)시정고적(3급 고적).[1]
조주성황묘핑둥현조주진청나라 옹정 4년(1726년)[1]
문오성황묘펑후현마공시청나라 옹정 5년(1727년)현정고적(3급 고적).[1]
장읍성황묘장화현장화시청나라 옹정 11년(1733년)[1]
신죽도성황묘신죽시북구청나라 건륭 13년(1748년)시정고적(3급 고적).[1]
록항성황묘장화현 록항진청나라 건륭 19년(1754년)현정고적(3급 고적).[1]
록초중료안계성황묘자이현록초향청나라 건륭 40년(1775년)[1]
마성성황묘(마공성황묘)펑후현 마공시청나라 건륭 42년(1777년)현정고적(3급 고적).[1]
봉산성황묘가오슝시봉산구청나라 가경 5년(1800년)[1]
기륭호국성황묘기륭시인애구청나라 가경 23년(1818년)[1]
대북하해성황묘(대도정하해성황묘)대북시대동구청나라 함풍 9년(1859년)시정고적(3급 고적).[1]
대만성성황묘대북시중정구청나라 광서 7년(1881년)창건 당시에는 "대북부성황묘"라는 명칭이었으나, 일제강점기1907년(메이지 40년)에 폐쇄. 이후 1945년(민국 34년) 10월 25일에 제사가 재개되었고, 1947년(민국 36년) 11월에 현재 위치로 이전.[1]
대북부성황묘대북시송산구1921년(다이쇼 10년)구 송산소명묘. 1921년(다이쇼 10년)에 "대북부성황묘" 신도들이 신상을 송산에 봉안하고 송산소명묘 건립. 2002년(민국 91년) 8월 8일에 현재 명칭으로 개칭.[1]
가오슝시하해성황묘가오슝시 염정구1936년(쇼와 11년)대북하해성황묘에서 분사.[1]
타이중시진봉위령공도성황묘타이중시동구1966년(민국 55년)신죽도성황묘에서 분사.[1]


3. 3. 기타 지역

참조

[1] 서적 台灣的城隍廟
[2] 웹사이트 觀音仔廟與城隍廟 http://www.macauheri[...] 澳門特別行政區政府文化局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