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세방전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세방전지는 1952년 재단법인 해군기술연구소로 설립되어, 1978년 현재의 상호로 변경된 대한민국의 축전지 제조 기업이다. 국내 시장 점유율 1위(42.9%)를 차지하며, 세계 10대 축전지 메이커 중 하나이다. 주요 제품으로는 로케트 배터리가 있으며, 현대자동차, 기아자동차, 삼성전자, LG전자 등 국내외 유수의 기업에 납품하고 있다. 2021년 말 기준 국내 연 축전지 시장은 약 3조 원 규모이며, 세방전자를 포함한 4대 메이커가 시장의 98%를 점유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중견기업 - 메디톡스
    메디톡스는 보툴리눔 톡신 제제, 히알루론산 필러, 더마코스메틱을 주력으로 생산하는 기업이며, 2006년 국내 최초로 보툴리눔 톡신 제제인 메디톡신®주를 개발하고, 뉴라미스® 필러와 뉴라덤® 더마코스메틱 브랜드를 출시했다.
  • 전지 제조 기업 - 삼성SDI
    삼성SDI는 1970년 삼성NEC로 설립되어 1999년 현재 사명으로 변경된 대한민국의 기업으로, 2차전지 사업 진출 후 전기차 배터리, ESS용 전지, 전자재료 등으로 사업 영역을 확장했으며, 본사는 경기도 용인시에 위치한다.
  • 전지 제조 기업 - CATL
    CATL은 2011년 쩡위췬이 설립한 중국 배터리 제조 기업으로, 전기차 시장 성장과 중국 정부 보조금 정책에 힘입어 세계 시장 점유율 1위를 차지하며 BMW, 테슬라 등에 배터리를 공급하고 나트륨 이온 배터리 개발 및 배터리 재활용 시설 구축 등 기술 혁신과 사업 확장을 지속하고 있다.
  • 한국거래소 상장 기업 - HDC현대산업개발
    HDC현대산업개발은 1976년 현대그룹의 자회사로 설립되어 주택, 토목, 플랜트 등 다양한 사업을 영위하며, 2001년 IPARK 아파트 브랜드를 론칭하고 HDC그룹의 모회사로 성장했으나, 2021년과 2022년 건물 붕괴 사고로 사회적 비판을 받았다.
  • 한국거래소 상장 기업 - 제일기획
    제일기획은 1973년 설립된 삼성그룹의 광고회사로, 하쿠호도와의 제휴를 시작으로 칸 국제광고제 수상 등 여러 국제적 광고상을 통해 글로벌 경쟁력을 확보하고 있으며, 해외 유수 광고대행사 인수를 통해 글로벌 네트워크를 확장하고 있다.
세방전지 - [회사]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세방전지 주식회사
원어SEBANG GLOBAL BATTERY CO., LTD.
형태주식회사
창립1952년 9월 13일 (해군기술연구소)
이후 회사세방전지(주) (1978년 9월)
창립자이의순
이전 회사해군기술연구소 (1952년 9월)
대양기술연구소 (1959년 3월)
진해전지공업소 (1961년 7월)
진해전지(주) (1966년 2월)
장소서울 강남구 선릉로 433 세방빌딩
지사수해외 현지 법인 5개, 국내 지사 4개, 공장 2개, 물류센터 6개 등
상장일1987년 11월
국가대한민국
사업 지역전 세계 (미국, 독일, 두바이, 말레이시아, 베트남 등)
인물이상웅 (회장), 김대웅 (대표이사)
산업축전지
서비스축전지 제조
제품로케트 배터리
자본금7,000,000,000원 (2022년 3월)
매출액1,352,007,672,000원 (2021년)
영업이익99,704,952,000원 (2021년)
순이익118,648,457,000원 (2021년)
자산총액1,712,896,064,000원 (2022년 3월)
주주세방(주) : 37.95%
GS Yuasa International : 16%
모기업세방그룹
종업원1,138명 (2022년 3월)
웹사이트세방전지 공식 웹사이트
자회사
계열사

2. 역사

세방전지는 대표 브랜드 '로케트 배터리'로 잘 알려진 축전지 전문 기업으로, 주로 차량용 및 산업용 연 축전지를 제조하고 판매한다. 오랜 기간 축전지 개발에 집중해 왔다.

소형 건전지 브랜드인 '로케트전기'와는 다른 회사이다.[1]

2. 1. 설립 초기 (1952년 ~ 1970년대)

로케트 배터리로 알려진 세방전지(주)의 시작은 1952년 9월 세워진 재단법인 해군기술연구소였다. 이후 1959년 3월 재단법인 대양기술연구소로 이름을 바꾸었고, 1961년 7월에는 진해전지공업소로 다시 개칭했다. 1966년 2월에는 주식회사 형태인 진해전지(주)로 법인 전환을 마쳤다.

1975년 4월, 일본의 유아사전지(주)와 기술 및 자본 제휴를 맺으며 기술 발전의 기반을 마련했다. 이듬해인 1976년 4월에는 외국인 투자 기업으로 등록되었다. 1978년 9월, 상호를 진해전지(주)에서 현재의 세방전지(주)로 변경하며 새로운 도약을 준비했다.

2. 2. 성장 및 발전 (1980년대 ~ 2000년대)

1979년 11월 창원공장 제2공장을 증설하고 가동을 시작했다. 1983년 3월에는 품질관리사정 1등급 공장으로 지정되었다. 이후 창원공장은 1985년 10월 제3공장 1차 증설, 1987년 6월 제3공장 2차 증설을 통해 생산 능력을 지속적으로 확대했다.

1987년 11월에는 유가증권시장에 주식을 상장하며 자본 시장에 진출했다. 기술력 확보를 위해 1988년 7월 독일 HAGEN사와, 1992년 10월 프랑스 SAFT사와 각각 기술 제휴를 맺었다. 1989년 11월에는 광주공장을 준공하고 가동을 시작하여 생산 거점을 다변화했다.

수출 성과도 꾸준히 달성하여 1991년 11월 5000만달러 수출의 탑을, 1997년 11월에는 1억달러 수출의 탑을 수상했다. 1993년 5월에는 본사 사옥을 서울특별시 강남구로 이전했다. 품질 경영 노력을 인정받아 1994년 11월 산업표준화대상 대통령상을, 1995년 11월 품질경영 철탑산업훈장을 받았다.

2000년대 들어서도 성장을 지속하여 2003년 12월 광주공장이 ISO/TS 16949 인증을 획득했다. 2006년 3월에는 니켈수소(Ni-MH) 전지 생산을 위해 광주공장을 추가로 준공하며 사업 영역을 확장했다.

2. 3. 최근 동향 (2008년 ~ 현재)

wikitext

연도내용
2008년12월3억불 수출탑 수상
2010년2월제1회 국가녹색기술대상 수상
2010년11월4억불 수출탑 수상
2013년11월국가품질유공자부문 대통령표창 수상
2013년12월광주 및 창원생산본부 OHSAS 18001 (안전보건경영시스템) 인증 취득
2014년12월6억불 수출탑 수상
2015년10월사회적 책임경영 경영품질 종합대상 수상
2020년-연간 수출액 6.7174000000000005억달러 달성
2021년-연간 수출액 6.8461억달러 달성


3. 사업

세방전지는 자동차용 및 산업용 연축전지 등을 제조하고 판매하는 기업으로, 대표 브랜드는 '로케트 배터리'이다. 소형 건전지 브랜드 '로케트전기'와는 다른 회사이며[1], 세방전지는 자동차 및 산업용 축전지 생산에 주력한다.

1952년 창립 이후 70년 이상 축전지 개발에 집중해 왔으며, 세계 130여 개국에 제품을 수출하는 등 글로벌 시장에서도 입지를 다지고 있다. 2021년에는 6.8461억달러의 수출 실적을 기록했다. 국내 연축전지 시장에서 높은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으며, 세계적으로도 주요 축전지 제조사 중 하나로 평가받는다.

3. 1. 제품

축전지는 크게 충전이 불가능한 1차 전지와 충전이 가능한 2차 전지로 구분되며, 2차 전지는 다시 연 축전지와 비 연축전지로 나뉜다.

축전지 시장은 완성차에 납품하는 OEM(주문자 상표 부착 생산) 시장과 보수용인 A/S(애프터 서비스) 시장으로 구성된다. 용도별로는 자동차용, 산업용, 이륜용, 특수용 등으로 다양하게 분류된다.

국내 연 축전지 시장은 10여 개 업체가 경쟁하고 있으며, 2021년 말 기준으로 연간 약 3조 규모에 달한다. 이 중 세방전지를 포함한 상위 4개 업체가 2.9504조의 매출로 전체 시장의 98%를 점유하는 과점 체제를 형성하고 있다. 세방전지는 국내 시장 점유율 42.9%로 압도적인 1위를 차지하고 있으며, 세계적으로도 10대 축전지 제조사 중 하나로 꼽힌다. 매출 비중은 내수 32.9%, 수출 67.1%이다.

세방전지의 주요 파트너는 다음과 같다.

주요 파트너
구분주요 파트너
차량용현대자동차, 기아자동차, 쌍용자동차, 폭스바겐, BMW
산업용삼성전자, LG전자, LG디스플레이, KT, SK텔레콤, LG U+, SK브로드밴드, 삼성SDS, SK하이닉스, UNITEL, 한화시스템



세방전지의 대표 브랜드인 로케트배터리는 국내외 주요 자동차 제조사뿐만 아니라 전국의 유명 프랜차이즈 정비점, 부품 전문점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또한, 국내 주요 보험사들도 긴급 출동 서비스에 로케트배터리를 이용하고 있다. 이 외에도 국내 주요 전자, 통신, 금융 분야는 물론 전력, 국방 등 국가 기간산업 분야에서도 세방전지의 제품이 활용되고 있다.

3. 2. 시장 현황 및 경쟁

축전지는 충전 가능 여부에 따라 1차 전지(충전 불가능)와 2차 전지(충전 가능)로 나뉘며, 2차 전지는 다시 연축전지와 비 연축전지로 구분된다.[1] 축전지 시장은 완성차에 납품하는 OEM 시장과 보수용인 A/S 시장으로 구성되며, 용도별로는 자동차용, 산업용, 이륜용, 특수용 등으로 분류된다.[1]

2021년 말 기준으로 국내 연 축전지 시장에는 약 10여 개 업체가 있으며, 시장 규모는 연간 약 3조에 달한다.[1] 이 중 세방전지를 포함한 상위 4개 업체가 매출 2.95조을 기록하며 전체 시장의 98%를 점유하는 과점 체제를 형성하고 있다.[1]

세방전지는 국내 연 축전지 시장에서 42.9%의 점유율로 1위를 차지하고 있으며, 세계적으로도 10대 축전지 제조사 중 하나로 꼽힌다.[1] 매출 구조는 내수 32.9%, 수출 67.1%로 구성되어 있다.[1]

주요 파트너사는 다음과 같다.[1]

주요 파트너사
구분주요 파트너
차량용현대자동차, 기아, 쌍용자동차, Volkswagen, BMW
산업용삼성전자, LG전자, LG디스플레이, KT, SK텔레콤, LG U+, SK브로드밴드, 삼성SDS, SK하이닉스, UNITEL, 한화시스템



이 외에도 세방전지의 제품(로케트 배터리)은 전국의 유명 프랜차이즈 정비점 및 부품 전문점에서 사용되고 있으며, 국내 주요 보험사의 긴급출동 서비스에도 활용된다.[1] 또한, 국내 주요 전자, 통신, 금융 분야는 물론 전력, 국방 등 국가 기간산업에서도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1]

3. 3. 주요 파트너

세방전지는 국내외 다양한 분야의 기업 및 기관과 파트너십을 맺고 있다. 주요 파트너는 다음과 같다.

주요 파트너 목록
구분주요 파트너사
차량용현대자동차, 기아, 쌍용자동차, 폭스바겐, BMW
산업용삼성전자, LG전자, LG디스플레이, KT, SK텔레콤, LG U+, SK브로드밴드, 삼성SDS, SK하이닉스, UNITEL, 한화시스템



차량용 배터리는 현대자동차, 기아, 쌍용자동차와 같은 국내 주요 완성차 업체뿐만 아니라, 폭스바겐(Volkswagen), BMW 등 세계적인 자동차 제조사에도 공급되고 있다. 산업용 배터리는 삼성전자, LG전자, LG디스플레이 등 국내 대표 전자 기업들을 비롯하여 KT, SK텔레콤, LG U+, SK브로드밴드와 같은 주요 통신 사업자, 그리고 삼성SDS, SK하이닉스, 한화시스템 등 IT 및 방산 분야의 핵심 기업들에게 납품된다. 이를 통해 세방전지는 국내 주요 전자, 통신, 금융 분야는 물론, 전력 및 국방과 같은 국가 기간산업의 안정적인 운영에 기여하고 있다.

이 외에도 전국의 주요 자동차 정비 프랜차이즈와 부품 전문점에서 세방전지의 대표 브랜드인 '로케트 배터리'를 취급하고 있으며, 국내 주요 보험사들 역시 긴급 출동 서비스에 로케트 배터리를 사용하고 있다.

3. 4. 매출

세방전지는 2021년 기준으로 세계 130여개국에 6.8461억달러 상당의 제품을 수출하였으며, 이는 2020년의 6.7174000000000005억달러보다 증가한 수치이다. 꾸준한 수출 성장을 통해 여러 차례 수출의 탑을 수상하였다.

연도수상 내역
1991년 11월5천만불 수출의 탑
1997년 11월1억불 수출의 탑
2008년 12월3억불 수출의 탑
2010년 11월4억불 수출의 탑
2014년 12월6억불 수출의 탑



2021년 말 기준 국내 연 축전지 시장 규모는 연간 약 3조에 달하며, 세방전지를 포함한 상위 4개 제조사가 전체 시장의 98% (약 2.9504조)를 차지하는 과점 형태를 띠고 있다. 이 중 세방전지의 국내 시장 점유율은 42.9%로 대한민국 내에서 압도적인 1위를 차지하고 있으며, 세계적으로도 10대 축전지 제조사 중 하나로 꼽힌다.

매출 구성은 내수 32.9%, 수출 67.1%로 수출 비중이 더 높다.

주요 파트너는 다음과 같다.



이 외에도 전국의 유명 프랜차이즈 정비점, 부품 전문점 등에서 세방전지의 제품을 사용하고 있으며, 국내 주요 보험사들도 긴급출동 서비스에 로케트 배터리를 이용하고 있다. 또한 국내 주요 전자, 통신, 금융 분야는 물론 전력, 국방 등 국가 기간산업에도 제품을 공급하고 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