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소리쟁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소리쟁이는 마디풀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풀로, 잎은 식용 및 약용으로 사용된다. 전 세계 온대 지역에 널리 분포하며, 일부 지역에서는 침입종으로 간주된다. 잎은 비타민과 미네랄이 풍부하지만 옥살산 함량이 높아 과다 섭취 시 요로결석의 위험이 있다. 어린 잎은 나물이나 장아찌로 먹으며, 아르메니아에서는 Aveluk이라는 음식으로 만들어 먹는다. 뿌리는 빈혈 치료에 사용되기도 하며, 주니족은 피부 질환 치료에 활용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마디풀과 - 메밀
    마디풀과에 속하는 한해살이풀인 메밀은 5세기 무렵부터 재배된 구황작물로, 초가을에 흰 꽃이 피고 세모진 열매는 가루를 내어 다양한 음식 재료로 쓰이며 탄수화물, 단백질, 지방, 철분, 비타민 B 복합체 등을 함유하고 있다.
  • 마디풀과 - 싱아
    싱아는 6~8월에 흰색 꽃을 피우는 높이 1m 내외의 여러해살이풀로, 어린 잎과 줄기는 나물로 먹고 어린 대는 신맛이 있어 생으로 먹으며, 한방에서는 수렴제, 폐렴, 기침 치료제로 사용되고 소설에도 등장한다.
  • 초본식물 - 시금치
    시금치는 서아시아 등지에서 기원한 녹색 잎채소로, 고대 페르시아에서 시작하여 세계 각지로 전파되었고, 잎 형태에 따라 동양종과 서양종으로 나뉘며, 비타민과 미네랄이 풍부하지만 옥살산 함량에 주의해야 하며, 중국이 주요 생산국이다.
  • 초본식물 - 앵초
    앵초는 얕은 뿌리줄기로 번식하는 다년생 초본식물로, 4~5월에 홍자색 꽃을 피우며 긴암술대꽃과 짧은암술대꽃의 이형화주성을 가지고, 동아시아 지역의 습지와 숲에서 자생하며 다양한 원예품종이 개발되었다.
  • 약용식물 - 인삼
    인삼은 두릅나무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풀로, 동아시아에서 약재로 사용되며, 뿌리가 사람의 모습을 닮아 이름 붙여졌고, 강장, 강심 등의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 약용식물 - 아스파라거스
    아스파라거스는 유럽, 서아시아, 북아프리카 등지에서 자생하며 전 세계적으로 재배되는 여러해살이풀로, 어린 순은 채소로, 고대부터는 식재료와 약재로 사용되었고, 아스파라긴산, 루틴, 비타민 등이 풍부하며, 화이트, 그린, 보라색 등 다양한 종류가 있고 볶음, 구이, 샐러드 등 여러 요리에 쓰인다.
소리쟁이 - [생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소리쟁이 식물, 잎 가장자리가 말려 있음
잎 가장자리가 말린 소리쟁이 식물
학명Rumex crispus
명명자L.
문화어송구지
생물 분류
식물계
미분류 군속씨식물군
미분류 강진정쌍떡잎식물군
석죽목
마디풀과
소리쟁이속
소리쟁이

2. 생태

심어서 기르기도 하고 심어 기르던 것이 야생하기도 한다. 줄기 높이는 30cm에서 80cm이고 곧게 자라며 진한 녹색인데 가끔 자줏빛을 띤다. 뿌리에서 나는 잎은 뭉쳐나며 길이 13cm에서 30cm, 너비 4cm에서 6cm쯤 되는 피침 또는 긴 타원 모양이다. 줄기잎은 어긋나며 긴 피침 모양인데 양끝이 좁고 가장자리에 주름이 많다.

곱슬소리쟁이는 밤나방을 포함한 특정 나비목 종에게 최적의 기주 식물이다.[10]

2. 1. 꽃과 열매

꽃은 6~7월에 원추꽃차례에 20~30개가 돌려나며 피며 녹색이다.[3] 열매는 수과로 세 모서리가 지고 길이는 5mm쯤이며 단단하다. 밤색으로 익는다. 소리쟁이는 1.5m 높이까지 자라는 꽃자루 또는 꽃차례를 생성한다.[3] 잎은 부드럽고 큰 근생 로제트에서 돋아나며, 가장자리가 물결 모양 또는 말려 있는 것이 특징이며, 14cm에서 24cm까지 자랄 수 있다.[3] 줄기에는 가지가 뻗은 줄기에 꽃과 씨앗이 무리 지어 달리는데, 가장 큰 무리는 꼭대기에서 발견된다. 씨앗은 반짝이는 갈색이며, 씨앗을 생성한 꽃의 꽃받침에 싸여 있다. 이 껍질은 씨앗이 물에 뜨고 양털과 동물의 털에 걸리게 하여 씨앗이 새로운 장소로 퍼지는 데 도움이 된다.[4]

2. 2. 분포

소리쟁이는 온대 유라시아 지역이 원산지이며, 북아메리카 및 기타 온대 지역에서 귀화종으로 널리 분포한다.[6]

곱슬소리쟁이는 교란된 토양, 폐기물 지역, 길가, 들판/초원, 해안선 및 숲 가장자리 등 다양한 서식지에서 자란다.[7] 온대 지역 전역에서 널리 귀화했으며, 북아메리카, 남부 남아메리카, 뉴질랜드오스트레일리아 일부 지역을 포함한 많은 지역에서 심각한 침입종이 되었다. 종자 오염, 옷에 달라붙는 방식으로 퍼진다. 영국 잡초법 1959에 따라 "유해 잡초"로 분류된다.[8] 미국에서는 아칸소주아이오와주에서 유해 잡초로 분류된다.[9] 길가, 철로 부지, 주차장 가장자리의 교란된 토양에서 자주 발견된다.

곱슬소리쟁이(Rumex crispus)의 열매

3. 비슷한 종

참소리쟁이와 매우 비슷하다. 소리쟁이는 참소리쟁이에 비해 잎 가장자리에 주름이 더 많고, 열매의 안쪽 꽃덮개가 둥글며 톱니가 없는 점에서 구별된다.

3. 1. 관련 종

4. 쓰임새

소리쟁이는 식용 및 약용으로 널리 쓰인다. 《동의보감》에는 패독채(敗毒菜)로 소개되어 있으며, 민간 약재로도 긴요하게 쓰였다.

4. 1. 식용

어린잎은 신맛이 나고 나물이나 장아찌로 먹는다. 단, 너무 많이 먹으면 요로결석이 생길 수 있다.[11] 소리쟁이 잎은 비타민 A비타민 C의 훌륭한 공급원이며, 철분과 칼륨의 공급원이기도 하다.[12] 옥살산이 많이 함유되어 있어 약간 시큼한 맛이 나며, 요로를 자극하고 신장 결석 발병 위험을 증가시킬 수 있으므로 적당량만 섭취해야 한다. 수유 중에는 유아에게 완하 작용을 일으킬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아르메니아에서는 어린 식물을 수확하여 건조시켜 Aveluk(ավելուկhy)이라는 제품을 만든다. 건조 과정에서 발효가 일어나 쓴맛이 줄어든다. 건조된 식물은 둥글게 땋아 판매된다. Aveluk은 아르메니아 요리에서 샐러드와 수프의 기본 재료로 광범위하게 사용되며, 물에 삶아 다시 복원한다.[13][14]

노란소리쟁이의 씨앗은 완전히 건조되면 식용으로도 사용할 수 있다.[15] 짙은 갈색에서 검은색 씨앗 열매 꼬투리는 잎이 다시 자라기 시작하는 봄까지 줄기에 남아 있다. 많은 야생 채집 곡물은 키질을 해야 하지만, ''Rumex crispus''의 열매 꼬투리는 너무 작아서 곡물과 함께 갈아 버리는 것이 더 효율적이다. 그 결과로 얻은 가루[3]는 맛이 메밀과 매우 비슷하며, 어떤 사람들은 너무 쓰다고 느낄 수 있지만, 많은 사람들이 잎의 신맛보다 씨앗을 선호한다.

4. 2. 약용

어린잎은 신맛이 나며 나물이나 장아찌로 먹는다. 하지만 너무 많이 먹으면 요로결석이 생길 수 있다.[11]동의보감》에는 패독채(敗毒菜)로 소개되어 있으며, 민간약으로 널리 쓰인다. 소리쟁이 잎은 비타민 A비타민 C가 풍부하고, 철분과 칼륨도 많이 들어 있다.[12]

서양 약초학에서는 소리쟁이 뿌리가 철분 함량이 높아 빈혈 치료에 자주 사용된다.[16] 잎과 뿌리는 일부 사람에게 변비약 작용을 할 수 있지만, 모든 사람에게 그런 것은 아니며 대개 약한 편이다. 이는 안트라퀴논 배당체 때문인데,[17] 의존해야 할 작용이라기보다는 섭취 시 나타날 수 있는 효과로 보아야 한다. 소리쟁이는 일부 사람에게 장 불편을 유발할 수도 있다. 가려움, 악창, 궤양 같은 질환에 섭취하거나 바르면 피부 질환에 도움이 된다.

노란소리쟁이는 동종 요법 약전의 일부이다. 주로 호흡기 질환, 특히 찬 공기에 노출될 때 심해지는 기침을 동반하는 질환에 사용된다. 통증 전달, 과도한 가려움증, 림프절 비대에도 도움이 된다고 알려져 있다.[18]

주니족은 가루로 만든 뿌리를 환부나 발진, 피부 감염에 습포로 사용하고, 뿌리 달임물을 무좀에 사용한다.[19]

4. 2. 1. 민간요법

어린잎은 신맛이 나며 나물이나 장아찌로 먹는다. 하지만 너무 많이 먹으면 요로결석이 생길 수 있다. 《동의보감》에는 패독채(敗毒菜)로 소개되어 있으며, 민간약으로 널리 쓰인다.

소리쟁이 잎은 비타민 A비타민 C가 풍부하고, 철분과 칼륨도 많이 들어 있다.[12] 곱슬소리쟁이 잎에는 옥살산이 많아 약간 신맛이 나는데, 적당량 섭취하는 것은 괜찮지만 요로를 자극하고 신장 결석 발생 위험을 높일 수 있다. 수유 중에는 유아에게 완하 작용을 일으킬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서양 약초학에서는 소리쟁이 뿌리가 철분 함량이 높아 빈혈 치료에 자주 사용된다.[16] 잎과 뿌리는 일부 사람에게 변비약 작용을 할 수 있지만, 모든 사람에게 그런 것은 아니며 대개 약한 편이다. 이는 안트라퀴논 배당체 때문인데,[17] 의존해야 할 작용이라기보다는 섭취 시 나타날 수 있는 효과로 보아야 한다. 소리쟁이는 일부 사람에게 장 불편을 유발할 수도 있다. 가려움, 악창, 궤양 같은 질환에 섭취하거나 바르면 피부 질환에 도움이 된다.

노란소리쟁이는 동종 요법 약전의 일부이다. 주로 호흡기 질환, 특히 찬 공기에 노출될 때 심해지는 기침을 동반하는 질환에 사용된다. 통증 전달, 과도한 가려움증, 림프절 비대에도 도움이 된다고 알려져 있다.[18]

주니족은 가루로 만든 뿌리를 환부나 발진, 피부 감염에 습포로 사용하고, 뿌리 달임물을 무좀에 사용한다.[19]

5. 독성

소리쟁이 잎은 옥살산이 많이 함유되어 있어 약간 시큼한 맛이 나며, 적당량만 섭취해야 한다. 신장 결석 발병 위험을 증가시키고 요로를 자극할 수 있기 때문이다.[11] 수유 중에는 유아에게 완하 작용을 일으킬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11]

참조

[1] PLANTS 2015-10-26
[2] 서적 Flora of North America: Magnoliophyta: Caryophyllidae, pt. 2 Oxford University Press
[3] 서적 Edible Wild Plants: A North American Field Guide to Over 200 Natural Foods https://www.worldcat[...] Sterling
[4] 서적 Weeds of The Northeast Cornell University Press
[5] 서적 New Flora of the British Isles Cambridge University Press
[6] 간행물 Rumex crispus (Curled dock)
[7] 서적 Flora of North America: Magnoliophyta: Caryophyllidae, pt. 2 Oxford University Press
[8] 웹사이트 '[Withdrawn] Wild plants: dangerous, invasive and protected species – Detailed guidance – GOV.UK' https://www.gov.uk/w[...] 2014-12-11
[9] 웹사이트 Rumex Crispus https://plants.usda.[...] United States Department of Agriculture 2019-11-11
[10] 논문 "Oviposition Preferences of Black Cutworm Moths Among Various Crop Plants, Weeds, and Plant Debris12.” Journal of Economic Entomology" 1976-01
[11] 서적 Edible Wild Plants Houghton Mifflin Company
[12] 웹사이트 Nutritional Facts and Analysis of Dock, raw http://nutritiondata[...]
[13] 웹사이트 Food on the Move: Aveluk: Wild Sorrel https://www.jidlonac[...]
[14] 웹사이트 ForagerChef: Aveluk: Armenian Dried Wild Sorrel (Dock) https://foragerchef.[...]
[15] 서적 Nature's Garden: A Guide to Identifying, Harvesting, and Preparing Wild Plants Forager's Harvest Press 2010-03-01
[16] 서적 The herb book B. Lust Publications
[17] 웹사이트 A Modern Herbal - Docks http://www.botanical[...]
[18] 웹사이트 Rumex Crispus http://abchomeopathy[...]
[19] 논문 A Study Of The Medical Ethnobotany Of The Zuni Indians of New Mexico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