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참소리쟁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참소리쟁이는 마디풀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풀로, 한국, 일본, 중국 등지에 분포한다. 이름의 유래는 여러 설이 있으며, 지역에 따라 다양한 방언으로 불린다. 뿌리는 약용으로, 어린 싹은 식용으로 사용된다. 뿌리와 뿌리줄기에는 완하 작용을 하는 성분이 있어 변비 치료에 사용되며, 어린 싹은 나물이나 쌈으로 먹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마디풀과 - 메밀
    마디풀과에 속하는 한해살이풀인 메밀은 5세기 무렵부터 재배된 구황작물로, 초가을에 흰 꽃이 피고 세모진 열매는 가루를 내어 다양한 음식 재료로 쓰이며 탄수화물, 단백질, 지방, 철분, 비타민 B 복합체 등을 함유하고 있다.
  • 마디풀과 - 싱아
    싱아는 6~8월에 흰색 꽃을 피우는 높이 1m 내외의 여러해살이풀로, 어린 잎과 줄기는 나물로 먹고 어린 대는 신맛이 있어 생으로 먹으며, 한방에서는 수렴제, 폐렴, 기침 치료제로 사용되고 소설에도 등장한다.
  • 글로벌세계대백과를 인용한 문서/{{{분류 - 공 (악기)
    공은 금속으로 제작된 타악기로, 다양한 문화권에서 의식, 신호, 음악 연주 등에 사용되며, 형태와 용도에 따라 여러 종류로 나뉜다.
  • 글로벌세계대백과를 인용한 문서/{{{분류 - 국무회의
    국무회의는 대한민국 대통령을 의장으로, 예산, 법률안, 외교, 군사 등 국정 현안을 심의하는 중요한 기관이며, 대통령, 국무총리, 국무위원으로 구성되고, 정례회의는 매주 1회, 임시회의는 필요에 따라 소집된다.
  • 글로벌세계대백과를 인용한 문서/{{{분류2 - 공 (악기)
    공은 금속으로 제작된 타악기로, 다양한 문화권에서 의식, 신호, 음악 연주 등에 사용되며, 형태와 용도에 따라 여러 종류로 나뉜다.
  • 글로벌세계대백과를 인용한 문서/{{{분류2 - 국무회의
    국무회의는 대한민국 대통령을 의장으로, 예산, 법률안, 외교, 군사 등 국정 현안을 심의하는 중요한 기관이며, 대통령, 국무총리, 국무위원으로 구성되고, 정례회의는 매주 1회, 임시회의는 필요에 따라 소집된다.
참소리쟁이 - [생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학명Rumex japonicus
학명_명명Houtt. (1777)
한국어 이름ギシギシ (기시기시)
영어 이름Japanese dock (재패니즈 독)
중국어 이름 (병음)yángtí (양티)
분류 체계
식물계 Plantae
문 계급 없음속씨식물 Angiosperms
강 계급 없음진정쌍떡잎식물 Eudicots
아강 계급 없음코어 진정쌍떡잎식물 Core eudicots
나데시코목 Caryophyllales
타데과 Polygonaceae
스이바속 Rumex
ギシギシ (기시기시) Rumex japonicus
동의어
생물 분류 (참소리쟁이)
이름참소리쟁이
식물계
미분류_문속씨식물군
미분류_강진정쌍떡잎식물군
석죽목
마디풀과
소리쟁이속
참소리쟁이
학명Rumex japonicus
학명_명명Houtt.

2. 명칭

참소리쟁이라는 이름의 정확한 어원은 밝혀지지 않았으나, 여러 가지 설이 전해진다. 교토 방언에서 유래했다는 설, 아이들의 놀이에서 줄기를 비벼 끽끽 소리를 내던 것에서 유래했다는 설 등이 있다. 열매가 빽빽하게 달려 있고 이삭을 흔들면 끽끽 소리가 난다고도 한다. 옛 이름은 (之)였으며, 뿌리를 약용으로 사용했기 때문에 "지의 뿌리"(시노네)라는 별명이 생겼다.

일본에서는 이누스이바, 우마스칸포, 우마스이코, 우마스이바, 우마스이베, 오카준사이, 오스시구사, 이치시, 우시구사, 우시시시, 우마스카나, 우마즈이코, 우마노스칸코, 시부쿠사(しぶ草), 시노네 등 다양한 지방 이름으로 불린다. 꽃말은 "인내", "숨겨진 이야기", "빈틈없음", "쾌활함"이다.

한자 이름(중국 이름)은 "양제"(羊蹄)인데, 이는 꽃의 모양이 발굽을 닮았기 때문이라고 한다.

3. 분포 및 서식지

일본 전역(홋카이도, 혼슈, 시코쿠, 큐슈, 오키나와)[1], 한반도, 중국, 쿠릴 열도, 사할린의 시가지 주변에서 산지에 분포한다.[2][3][4] 다소 습한 길가, 들판, 산야, 둑, 공원, 물가, 습지, 논둑 등에 군생한다.[5][4] 저지대에서 해발 1000m 정도의 고지에 걸쳐 군생하는 경우가 많다.[6] 참소리쟁이는 수맥을 따라 군생하기 쉽기 때문에 지하수위를 아는 지표식물 중 하나이다.[7]

개울 둑에 자라는 참소리쟁이

4. 형태 및 생태

높이 40cm~130cm 정도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이다. 뿌리는 노란색이며 굵고 튼튼하다. 줄기는 곧게 서며, 뿌리에서 잎이 묶여서 난다. 뿌리에서 나는 잎은 긴 타원형이며 끝이 뾰족하고 잎 가장자리는 물결 모양이다. 봄부터 여름에 걸쳐 줄기 끝에 꽃이삭이 나와 작은 꽃이 핀다. 꽃은 꽃잎이 없고 6개의 꽃받침으로 이루어져 있다. 열매는 수과로, 3개의 능선이 있고 날개 모양의 꽃받침에 싸여 있다.

5. 이용

뿌리는 완하제나 피부병 치료제로 사용되며, 어린잎은 식용으로 사용된다。

5. 1. 약용

뿌리와 뿌리줄기에는 에모딘, 크리소파놀 등의 안트라퀴논유도체, 안트론, 타닌이 포함되어 있다. 안트라퀴논 유도체는 완만하게 변통을 좋게 하는 완하 작용이 있어 완하제로서 옛날부터 알려져 있다. 또한, 타닌에는 조직 세포를 조이는 수렴 작용이 있어 종기 등의 염증을 진정시키는 소염제에 사용된다.

지상부가 말라가기 시작하는 10월경에는 뿌리를 파내어 물로 씻어 흙을 제거하고, 두께 5cm로 잘라 햇볕에 말린 것이 생약이 되며, '''양제근''' 또는 양제라고 칭한다.

변비 완하제로서 양제근 1일량 3 - 10그램을 약 400ml - 600ml의 물로 반량이 될 때까지 달여 3회로 나누어 복용하는 방법이 알려져 있다. 민간요법으로는, 생 뿌리를 으깨어 사타구니 백선, 무좀 등의 피부병이나 종기, 부스럼 등의 환부에 직접 바르는 용법이 알려져 있다. 위장이 냉하기 쉬운 사람이나 임산부에게는 복용이 금기로 되어 있다.

5. 2. 식용

이른 봄(2~3월)에 잎이 펴지기 전 잎집에 싸인 어린 싹은 일본 도호쿠 지방에서 산채로 식용되며, 투명한 점액질 액체에 덮여 있어 독특한 식감을 가지고 있어 방언으로 "오카준사이"라고 불린다.[1][2][3] 어린 싹은 둥글게 말려 있고 얇은 껍질로 덮여 투명한 점액에 싸여 있기 때문에 손으로 뜯을 수 없고 칼 등을 사용하여 채취한다.[4]

어린 싹은 봉투 모양의 잎집을 제거하고 살짝 데쳐 물에 헹궈 떫은맛을 제거하여 나물, 무침, 조림, 삼배초, 국물 등에 조리한다.[1][2][3] 약간의 독특한 맛이 있기 때문에, 생 어린 싹을 소금 절임이나 쌀겨 된장 절임으로 해서 먹기도 한다.[5][4] 옥살산을 함유하고 있으므로, 생식이나 많이 먹는 것은 피해야 한다.[4] 근연종인 수영의 어린 잎은 산미가 있지만, 소리쟁이와 마찬가지로 식용된다.[1]

6. 근연종

수영은 잎이 가늘고 긴 삼각형이며 밑부분이 화살촉 모양이지만, 참소리쟁이의 잎은 밑부분이 둥글어 구별된다. 수영 잎은 붉은빛을 띠고 윗부분이 줄기를 감싸지만, 참소리쟁이 잎은 선명한 녹색이며 줄기를 감싸지 않는다. 수영은 키가 80cm로 작고 꽃이삭이 붉은 기를 띠는 점도 다르다.

참소리쟁이 근연종으로는 긴잎소리쟁이(잎이 가늘고 길며 물결 모양), 유럽 원산으로 홋카이도에 귀화한 에조소리쟁이(잎이 크고 가운데 잎맥이 붉은 기), 메이지 시대에 유럽에서 귀화한 애기소리쟁이 등이 있다.[1]

참조

[1] 간행물 2023-03-14
[2] 간행물 2023-03-14
[3] 간행물 2023-03-14
[4] 간행물 2023-03-14
[5] 간행물 2023-03-14
[6] 간행물 2023-03-14
[7] 간행물 2023-03-1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