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파구의 행정 구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송파구의 행정 구역은 27개의 행정동(풍납1·2동, 거여1·2동, 마천1·2동, 방이1·2동, 오륜동, 오금동, 송파1·2동, 석촌동, 삼전동, 가락본·1·2동, 문정1·2동, 장지동, 위례동, 잠실본·2·3·4·6·7동)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법정동은 풍납동, 거여동, 마천동, 방이동, 오금동, 송파동, 석촌동, 삼전동, 가락동, 문정동, 장지동, 잠실동, 신천동이 있다. 송파구는 1963년 서울특별시 성동구에 편입되기 전에는 경기도 광주군에 속했으며, 이후 강남구, 강동구를 거쳐 1988년 송파구로 분리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행정 구역 목록 - 도도부현
도도부현은 일본의 광역 지방 자치 단체로, 1도, 1도, 2부, 43현으로 구성되어 메이지 유신 이후 설치되었으며 지방자치법 시행으로 현재 체제가 완성되어 자체적인 행정 기능을 수행하고 중앙 정부 정책을 집행하며 시정촌을 지원한다. - 서울 송파구의 행정 구역 - 잠실동
잠실동은 서울 송파구의 법정동으로, 조선시대 양잠소에서 유래한 이름이며, 한강 개발과 대규모 시설 건설로 도시화되었고, 지하철 2, 8, 9호선이 지나 교통이 편리하며, 주거, 상업, 교육 시설이 집중된 송파구의 중심 지역이다. - 서울 송파구의 행정 구역 - 송파동
송파동은 서울 송파구에 위치한 동으로, 소나무 언덕이 많았던 지형 또는 탄천의 나루터였던 송파진에서 유래했다는 설이 있으며, 다양한 교육기관과 공공시설, 지하철역이 위치하여 교통이 편리하다. - 서울특별시의 구별 행정 구역 - 마포구의 행정 구역
마포구는 조선 시대부터 변화를 거쳐 1944년 신설, 여러 차례 행정 구역 개편을 통해 현재 16개 행정동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동은 고유의 역사와 특징을 지닌다. - 서울특별시의 구별 행정 구역 - 관악구의 행정 구역
관악구는 13개의 행정동으로 구성되어 있고 2024년 5월 기준 면적 29.57km², 인구 500,563명, 세대수 240,563세대를 가지며, 1973년 신설, 1980년 동작구 분리, 2008년 행정동 통폐합을 거쳤다.
| 송파구의 행정 구역 | |
|---|---|
| 지도 | |
| 기본 정보 | |
| 면적 | 33.87㎢ |
| 행정 구역 | |
| 개수 | 27개 행정동 |
| 구성 | 풍납동 삼전동 가락동 문정동 장지동 방이동 오금동 거여동 마천동 석촌동 송파동 잠실동 |
2. 행정 구역
송파구는 1988년 강동구에서 분구되어 신설되었으며, 풍납동, 거여동, 마천동, 방이동, 오금동, 송파동, 석촌동, 삼전동, 가락동, 문정동, 장지동, 잠실동, 신천동 등 13개의 법정동을 관할한다.
송파구의 행정동과 법정동 현황, 각 행정동별 면적, 세대, 인구 정보는 하위 섹션인 "법정동과 행정동"에 상세히 기술되어 있다.
각 행정동 및 법정동의 유래는 다음과 같다.
- '''풍납동''': 풍납토성에서 유래했다.
- '''거여동''': 거암(巨岩)이라는 사람이 살았던 것에서 유래했다.
- '''마천동''': 천마산 또는 임경업 장군이 말에게 물을 먹인 고사에서 유래했다.
- '''방이동''': 지형이 아늑하고 개나리꽃이 많이 피어 '방잇골'로 불리던 것에서 유래했다.
- '''오금동''': 오동나무와 가야금 장인이 많이 살았던 것 또는 인조가 남한산성으로 피난 시 오금이 아프다고 한 것에서 유래했다.
- '''송파동''': 송파 나루터가 있던 것에서 유래했다.
- '''석촌동''': 돌이 많았던 것에서 유래했다.
- '''삼전동''': 삼밭(麻田)이 있었던 것 또는 삼전도가 있던 것에서 유래했다. 병자호란 당시 '''삼전도의 굴욕'''이 일어난 장소이기도 하다.
- '''가락동''': 가락골이라는 지명에서 유래했다.
- '''문정동''': 병자호란 때 인조가 마신 물맛이 좋아 문씨 성을 따서 문정이라고 부른 것에서 유래했다.
- '''장지동''': 마을 모습이 길게 형성되었거나 잔 버들이 많아서 유래했다.
- '''잠실동''': 조선 초기 양잠 정책으로 잠실도회를 설치한 데서 유래했다.
- '''신천동''': 한강 범람 시 새로운 강이 생기는 것에서 유래했다.
2. 1. 행정 구역 변천사
1949년 고양군 뚝도면 잠실리와 신천리는 서울특별시 성동구로 편입되었다. 1963년 1월 1일 서울특별시의 행정구역 확장에 따라 경기도 광주군 중대면이었던 거여동, 마천동, 방이동, 오금동, 송파동, 석촌동, 삼전동, 가락동, 문정동, 장지동이 서울특별시 성동구에 편입되었다.[2]1975년 10월 1일 성동구에서 강남구가 분구되면서 위에 언급된 지역들은 강남구 관할이 되었다.[3] 1979년 10월 1일 강남구에서 강동구가 분구되면서 다시 이 지역들은 강동구 관할이 되었다.[4] 1988년 1월 1일 강동구에서 송파구가 분구되면서 이 지역들은 송파구 관할이 되었다.[5]
1985년 9월 1일 방이동에 통합되어 동명칭은 사라졌다. 한편 오륜동은 올림픽선수기자촌과 올림픽공원이 위치한 방이동 88번지와 89번지 일대로 1989년에 방이2동에서 분동되었다.[6]
2. 2. 법정동과 행정동

| 행정동 | 한자 | 면적 (km2) | 세대 | 인구 (명) |
|---|---|---|---|---|
| 풍납1동 | 風納1洞 | 0.77 | 6,555 | 14,650 |
| 풍납2동 | 風納2洞 | 1.59 | 10,802 | 25,390 |
| 거여1동 | 巨餘1洞 | 0.67 | 5,506 | 13,137 |
| 거여2동 | 巨餘2洞 | 1.69 | 7,177 | 16,824 |
| 마천1동 | 馬川1洞 | 0.58 | 9,049 | 20,492 |
| 마천2동 | 馬川2洞 | 0.89 | 8,702 | 20,039 |
| 방이1동 | 芳荑1洞 | 0.50 | 6,286 | 16,410 |
| 방이2동 | 芳荑2洞 | 0.80 | 13,693 | 25,725 |
| 오륜동 | 五輪洞 | 3.17 | 5,976 | 18,912 |
| 오금동 | 梧琴洞 | 1.65 | 15,843 | 40,827 |
| 송파1동 | 松坡1洞 | 0.79 | 12,444 | 25,501 |
| 송파2동 | 松坡2洞 | 0.53 | 7,451 | 20,748 |
| 석촌동 | 石村洞 | 0.95 | 17,014 | 33,531 |
| 삼전동 | 三田洞 | 0.95 | 16,292 | 32,167 |
| 가락본동 | 可樂本洞 | 1.13 | 11,917 | 27,532 |
| 가락1동 | 可樂1洞 | 1.34 | 9,841 | 27,783 |
| 가락2동 | 可樂2洞 | 0.96 | 12,339 | 33,689 |
| 문정1동 | 文井1洞 | 0.56 | 8,569 | 21,136 |
| 문정2동 | 文井2洞 | 2.20 | 15,521 | 29,825 |
| 장지동 | 長旨洞 | 2.79 | 12,847 | 32,534 |
| 위례동 | 慰禮洞 | 2.55 | 9,013 | 28,263 |
| 잠실본동 | 蠶室本洞 | 0.94 | 15,219 | 29,023 |
| 잠실2동 | 蠶室2洞 | 2.18 | 11,996 | 36,746 |
| 잠실3동 | 蠶室3洞 | 1.49 | 12,204 | 35,865 |
| 잠실4동 | 蠶室4洞 | 1.56 | 7,477 | 22,167 |
| 잠실6동 | 蠶室6洞 | 1.37 | 5,924 | 17,260 |
| 잠실7동 | 蠶室7洞 | 0.60 | 3,480 | 10,165 |
| 송파구 | 松坡區 | 33.87 | 279,137 | 676,341 |
| 행정동 | 법정동 | 설명 |
|---|---|---|
| 풍납1동 | 풍납동(風納洞) | 1963년 1월 1일 서울특별시 성동구에 편입되면서 풍납동으로 바뀌었고,[2] 1975년 10월 1일 강남구를 거쳐,[3] 1979년 10월 1일 강동구 관할이 되었다가,[4] 1988년 1월 1일 송파구 관할로 바뀌었다.[5] 동 이름은 이 지역에 있던 풍납토성에서 유래한다.[6] |
| 풍납2동 | ||
| 거여1동 | 거여동(巨餘洞) | 1963년 1월 1일 서울특별시 성동구에 편입되면서 거여동으로 바뀌었고,[2] 1975년 10월 1일 강남구를 거쳐,[3] 1979년 10월 1일 강동구 관할이 되었다가,[4] 1988년 1월 1일 송파구 관할로 바뀌었다.[5] 동 이름은 마을에 거암(巨岩)이라는 사람이 살았으므로 거암리라고 하던 것이 변하여 지금의 거여동이 된 것이다.[6] |
| 거여2동 | ||
| 마천1동 | 마천동(馬川洞) | 1963년 1월 1일 서울특별시 성동구에 편입되면서 마천동으로 바뀌었고,[2] 1975년 10월 1일 강남구를 거쳐,[3] 1979년 10월 1일 강동구 관할이 되었다가,[4] 1988년 1월 1일 송파구 관할로 바뀌었다.[5] 동 이름은 이 지역에 존재한 천마산에서 유래했다는 설과, 조선 시대 임경업 장군이 이 곳에서 말에게 물을 먹였다는 고사에서 유래했다는 설이 있다.[6] |
| 마천2동 | ||
| 방이1동 | 방이동(芳荑洞) | 1963년 1월 1일 서울특별시 성동구에 편입되면서 방이동으로 바뀌었고,[2] 1975년 10월 1일 강남구를 거쳐,[3] 1979년 10월 1일 강동구 관할이 되었다가,[4] 1988년 1월 1일 송파구 관할로 바뀌었다.[5] 동 이름은 과거 방이군이 있어서 방이리(防夷里)로 하였다가 마을의 학자들이 모여 글자 뜻이 아름답지 못하다고 하여 방(防) 자는 방(芳) 자로, 이(夷) 자는 이(荑) 자로 바꾸어 방이동이 되었다는 설도 있으나, 실제로는 마을의 지형이 아늑하고 개나리꽃이 많이 피었으므로 방잇골로 불리다가 한자음으로 방이동이 된 것이다. 1985년 9월 1일 방이동에 통합되었던 이리(二里)는 1963년 1월 1일 이동(二洞)으로 바뀌었고, 1975년 10월 1일 강남구를 거쳐 1979년 10월 1일 강동구 관할이 되었다.[4] 한편 오륜동은 1989년에 방이2동에서 분동되었으며, 올림픽공원이 위치한 방이동 88번지와 89번지 일대이다. 오륜동에서는 행정동명인 오륜동(五輪洞)과 법정동명인 방이동(芳荑洞)을 병행하여 사용한다.[6] |
| 방이2동 | ||
| 오륜동 | ||
| 오금동 | 오금동(梧琴洞) | 1963년 1월 1일 서울특별시 성동구에 편입되면서 오금동으로 바뀌었고,[2] 1975년 10월 1일 강남구를 거쳐,[3] 1979년 10월 1일 강동구 관할이 되었다가,[4] 1988년 1월 1일 송파구 관할로 바뀌었다.[5] 동 이름은 이 곳에 오동나무와 가야금 장인이 많이 살았던 데서 유래했다는 설[6] 과 인조가 남한산성으로 피난갈 때 백토고개에서 쉬면서 무릎 안쪽의 오금이 아프다고 말하여 그 후 오금골이라 불렸다는 설[7] 이 있다. |
| 송파1동 | 송파동(松坡洞) | 1963년 1월 1일 서울특별시 성동구에 편입되면서 송파동으로 바뀌었고,[2] 1975년 10월 1일 강남구를 거쳐,[3] 1979년 10월 1일 강동구 관할이 되었다가,[4] 1988년 1월 1일 송파구 관할로 바뀌었다.[5] 동 이름은 송파 나루터가 이 지역에 있었던 데서 유래한다.[6] |
| 송파2동 | ||
| 석촌동 | 석촌동(石村洞) | 1963년 1월 1일 서울특별시 성동구에 편입되면서 석촌동으로 바뀌었고,[2] 1975년 10월 1일 강남구를 거쳐,[3] 1979년 10월 1일 강동구 관할이 되었다가,[4] 1988년 1월 1일 송파구 관할로 바뀌었다.[5] 동 이름은 이 곳에 돌이 많았던 것에서 유래한다고 한다.[6] |
| 삼전동 | 삼전동(三田洞) | 1963년 1월 1일 서울특별시 성동구에 편입되면서 삼전동으로 바뀌었고,[2] 1975년 10월 1일 강남구를 거쳐,[3] 1979년 10월 1일 강동구 관할이 되었다가,[4] 1988년 1월 1일 송파구 관할로 바뀌었다.[5] 동 이름에 대해서는 이 곳에 삼밭(麻田)이 있었던 것을 삼을 음역하여 표기한 데서 유래한다는 설과, 서울의 5진 중 하나인 삼전도(三田渡)가 이 곳에 위치하고 있었기 때문이라는 설이 있다.[6] 이 지역은 병자호란 당시 삼전도의 굴욕이 일어난 장소이기도 하다. |
| 가락본동 | 가락동(可樂洞) | 1963년 1월 1일 서울특별시 성동구에 편입되면서 가락동으로 바뀌었고,[2] 1975년 10월 1일 강남구를 거쳐,[3] 1979년 10월 1일 강동구 관할이 되었다가,[4] 1988년 1월 1일 송파구 관할로 바뀌었다.[5] 동 이름은 옛날 이 지역에 있었던 가락골이란 지명에서 유래한다.[6] |
| 가락1동 | ||
| 가락2동 | ||
| 문정1동 | 문정동(文井洞) | 1963년 1월 1일 서울특별시 성동구에 편입되면서 문정동으로 바뀌었고,[2] 1975년 10월 1일 강남구를 거쳐,[3] 1979년 10월 1일 강동구 관할이 되었다가,[4] 1988년 1월 1일 송파구 관할로 바뀌었다.[5] 동 이름은 병자호란 때 인조가 남한산성으로 피난가다가 이곳에 쉬면서 물을 마셨는데, 그 물맛이 매우 좋아 이 마을에 사는 문씨 성을 따서 문정이라고 마을 이름을 부른 데서 유래한다.[6] |
| 문정2동 | ||
| 장지동 | 장지동(長旨洞) | 1963년 1월 1일 서울특별시 성동구에 편입되면서 장지동으로 바뀌었고,[2] 1975년 10월 1일 강남구를 거쳐,[3] 1979년 10월 1일 강동구 관할이 되었다가,[4] 1988년 1월 1일 송파구 관할로 바뀌었다.[5] 동 이름은 마을 모습이 길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라는 설과 마을에 잔 버들이 많아서 붙여진 이름이라는 설이 존재한다.[6] |
| 잠실본동 | 잠실동(蠶室洞) | 1949년 성동구에 편입되었고, 1975년 10월 1일 강남구를 거쳐,[3] 1979년 10월 1일 강동구 관할이 되었다가,[4] 1988년 1월 1일 송파구 관할로 바뀌었다.[5] 동 이름은 조선 초기 양잠 정책을 시행하여 이 지역에 잠실도회(蠶室都會)를 설치한 데서 유래한다.[6] |
| 잠실2동 | ||
| 잠실3동 | ||
| 잠실7동 | ||
| 잠실4동 | 신천동(新川洞) | 1949년 성동구에 편입되었고, 1975년 10월 1일 강남구를 거쳐,[3] 1979년 10월 1일 강동구 관할이 되었다가,[4] 1988년 1월 1일 송파구 관할로 바뀌었다.[5] 동 이름은 한강이 범람할 때 이 지역에 새로운 강이 생기는 데서 유래했다.[6] |
| 잠실6동 |
참조
[1]
웹사이트
송파구 주민등록인구통계
http://www.songpa.go[...]
2012-06-21
[2]
법률
법률 제1172호 서울특별시·도·군·구의관할구역변경에관한법률
1962-11-21
[3]
법령
대통령령 제7816호 구의증설및관할구역변경에관한규정
1975-09-23
[4]
법령
대통령령 제9630호 서울특별시은평구등7개구설치및구관할구역조정에관한규정
1979-09-26
[5]
법령
대통령령 제12367호 서울특별시송파구등13개구설치와구의관할구역변경에관한규정
1987-12-31
[6]
백과사전
네이버 백과사전
http://100.naver.com
[7]
웹사이트
오금동주민센터
http://www.songpa.go[...]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