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단의 민주주의 전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수단의 민주주의 전환은 수단 독립 이후 1989년 오마르 알 바시르 정권의 쿠데타로 중단되었다가, 2019년 혁명으로 과도 정부가 수립되면서 새로운 국면을 맞았다. 과도 정부는 2019년 7월에 군부와 시민 세력 간의 협정을 통해 구성되었으며, 법 개혁, 인권 개선, 하르툼 학살 조사 등을 추진했다. 그러나 2021년 10월 군부 쿠데타로 과도 정부가 붕괴되었고, 2022년 12월 새로운 기본 협정이 체결되었지만, 2023년 4월 신속지원군의 공격으로 민주주의 전환 과정은 다시 중단되었다. 국제 사회는 수단의 민주주의 전환을 지원하기 위해 다양한 노력을 기울였으며, 2023년 현재 수단에서는 군부 간의 무력 충돌이 지속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수단 혁명 - 신속지원군
신속지원군은 수단 정부가 다르푸르 전쟁 당시 반정부 봉기에 대응하기 위해 동원한 잔자위드 민병대에 뿌리를 둔 준군사조직으로, 2013년 공식 창설되어 모하메드 함단 다갈로("헤메티")가 지휘하며, 인권 침해, 금광 장악, 국제 내전 개입 등 여러 논란에 연루되어 2023년 수단 내전에서 수단군과 교전하며 반군으로 지정되었다. - 수단의 정치사 - 수단 혁명
수단 혁명은 2018년 12월부터 2019년 8월까지 수단에서 일어난 민주화 운동으로, 오마르 알 바시르의 독재와 경제난에 반대하며 시작되었고, 그의 축출 이후 민간 정부 수립을 목표로 하였으나 군사 쿠데타로 중단되었다. - 수단의 정치사 - 국민혁명사령부
국민혁명사령부는 1969년 수단 쿠데타 이후 국회와 대통령직을 대체하기 위해 설립된 반제국주의 기구였으나, 1971년 수단 쿠데타로 해산되었다. - 2019년 수단 - 수단 혁명
수단 혁명은 2018년 12월부터 2019년 8월까지 수단에서 일어난 민주화 운동으로, 오마르 알 바시르의 독재와 경제난에 반대하며 시작되었고, 그의 축출 이후 민간 정부 수립을 목표로 하였으나 군사 쿠데타로 중단되었다. - 2019년 수단 - 2019년 수단 쿠데타
2019년 수단 쿠데타는 경제난과 알바시르 대통령의 장기 집권에 반대하는 시위로 인해 군부가 대통령을 축출하고 정부를 해산하면서 발생했으며, 민간 정부로의 권력 이양 과정에서 갈등이 지속되었다.
| 수단의 민주주의 전환 | |
|---|---|
| 개요 | |
![]() | |
| 위치 | 수단 |
| 목표 | 민주주의로의 전환 시민 정부 수립 |
| 기간 | 2019년 4월 11일 ~ 2021년 10월 25일 |
| 관련 사건 | 2019년 수단 쿠데타 2019년 6월 하르툼 학살 2021년 수단 쿠데타 |
| 주요 참여 세력 | |
| 관련 단체 | 자유와 변화의 힘 수단 군부 |
| 주요 인물 | 오마르 알-바시르 아흐메드 아와드 이븐 아우프 압델 파타 알 부르한 압달라 함독 |
| 배경 | |
| 원인 | 오마르 알-바시르의 장기 독재 경제난 시민들의 민주화 요구 |
| 주요 사건 | |
| 2019년 4월 11일 | 쿠데타로 오마르 알-바시르 축출 |
| 2019년 6월 3일 | 하르툼 학살 발생 |
| 2019년 8월 17일 | 군부와 시민 세력 간 권력 공유 합의 서명 |
| 2019년 8월 21일 | 압달라 함독 총리 취임, 과도 정부 출범 |
| 2021년 10월 25일 | 쿠데타로 과도 정부 해산 |
| 결과 | |
| 정치적 영향 | 민주주의 전환 중단 군부의 권력 강화 시민들의 저항 지속 |
| 관련 문서 | |
| 관련 문서 | 수단 혁명 (2018-2019) 2019년 수단 쿠데타 2019년 6월 하르툼 학살 2021년 수단 쿠데타 수단의 정치 |
2. 역사적 배경
수단은 민주주의와 군부 통치 사이를 반복적으로 전환해왔다.
2. 1. 독립 이전의 민주적 경험 (1948-1956)
수단은 영국-이집트 공동 통치 하에 있던 1948년에 선거가 치러졌으며, 이집트와의 통합 또는 분리 문제가 주요 선거 쟁점이었다.2. 2. 독립 이후의 혼란 (1956-1989)
1956년 독립 이후, 그 이후 반세기 동안 국가 선거, 헌법, 연립 정부, 쿠데타, 차드 내전 개입, 하산 알 투라비 (1989–1999)의 영향 아래 이슬람화, 그리고 남수단 분리 (2011년) 등 다양한 사건들이 혼재되었다.2. 3. 알 바시르 정권 (1989-2019)
오마르 알 바시르의 통치는 1989년 수단 쿠데타로 시작하여 2019년 4월 수단 쿠데타로 끝났으며, 이는 수단 혁명 (2018년 12월 – 2019년 9월) 기간에 일어났다.3. 2019년 수단 혁명과 과도 정부 수립
2019년 7월 5일, 아프리카 연합 중재로 과도 군사 위원회(TMC)와 자유와 변화 세력(FFC) 간의 구두 합의가 이루어졌다. 이후 변호사 위원회가 작성한 서면 합의 초안이 마련될 예정이었으나, 7월 9일 초안 위원회는 텍스트 미완성을 이유로 연기를 발표했다. 7월 13일, FFC의 하르툼 학살 책임자 조사 제외 요구, 입법 위원회 임명 기한 제한 요구, TMC의 지명자 승인 여부에 대한 이견으로 합의가 다시 지연되었다.
결국 2019년 7월 17일, TMC와 FFC는 "정치적 합의" 형태의 서면 합의에 서명했다. 이는 아프리카 연합, 에티오피아 등 국제기구 대표들이 증인으로 참석한 가운데 이루어졌다.
합의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 합의 내용 |
|---|
| 11인으로 구성된 주권 위원회 창설 (군인 5명, 민간인 5명, 상호 합의된 민간인 1명) |
| 3년 3개월(총 39개월)의 과도 기간 (처음 21개월은 TMC 위원, 이후 18개월은 민간 위원이 주도) |
| 과도 기간 헌법 문서 작성 (2019년 8월 4일 헌법 선언 초안에서 주권 위원회가 국가 원수로 정의됨) |
| FFC가 임명하는 각료 회의 (주권 위원회와 군사 위원은 부분적 역할 담당) |
| 과도 기간 구성원의 선거 출마 금지 |
| 주권 위원회 창설 후 3개월 내 입법 의회 창설 |
| 하르툼 학살 및 관련 인권 침해 사건에 대한 독립적 조사 |
| 다르푸르, 청나일, 남코르도판 평화 프로그램 (6개월) |
| 새 헌법 준비 절차 시작 |
| 과도기적 정의 메커니즘 확립 |
39개월 과도 기간 이후 민주적 선거를 통해 지도부를 결정할 예정이었다. 헌법 선언 초안 제19조는 과도 기간 구성원의 선거 출마를 금지하며, 제38조 (c)(iv)항은 선거 위원회 의장과 위원을 주권 위원회가 임명하도록 규정한다.
3. 1. 2019-2020년의 협상과 합의

2019년 5월 7일, 아프리카 연합 중재자 모하메드 엘 하센 레바트와 에티오피아 중재자 마흐무드 드리르의 도움으로 과도 군사 위원회(TMC)와 자유와 변화 세력 (FFC) 동맹은 과도 정부의 수장이 군과 민간인 간에 교대로 돌아가는 것을 골자로 하는 정부 기관 구성에 관한 구두 합의에 도달했다. 초기 구두 합의에는 "주권 위원회" 창설, 선거를 위한 39개월의 과도 기간, 각료 회의, 입법 위원회 및 하르툼 학살에 대한 조사가 포함되었다.
여성 억압 반대의 공동 설립자인 타하니 아바스는 여성이 과도 기관에서 배제될 수 있다는 우려를 표명하며, 여성들이 시위를 조직하는 데 적극적으로 참여했다고 주장했다. 다르푸르 무장 반군인 수단 해방 운동/군대는 이 합의가 "평등 시민권 국가"를 달성하지 못할 것이라고 주장하며 합의를 거부했다. 신속지원군은 합의를 축하하는 사람들을 공격하기도 했다.
7월 5일 구두 합의에 따라, 서면 합의 초안은 "48시간 이내"에 이루어질 것으로 약속되었다. 그러나 7월 9일, 초안 위원회는 텍스트가 아직 완성되지 않았다고 밝혔다. 7월 13일, 합의 서명을 지연시키는 세 가지 쟁점은 FFC가 인권 조사 위원회에 6월 3일 하르툼 학살 책임자를 제외할 것을 요구하는 것, FFC가 입법 위원회 임명 기한 제한을 요구하는 것, 그리고 TMC가 지명자를 "승인"해야 하는지에 대한 이견이었다.
결국 "정치적 합의" 형태의 서면 합의는 2019년 7월 17일 TMC와 FFC에 의해 서명되었다.
다르푸르 난민 일반 조정 위원회는 5월 5일의 구두 합의에 대해 오마르 알 바시르 통치 기간 동안 지배 정당이었던 국민의회당의 통치를 유지하려는 시도라고 비판했다.
7월 17일 서면 합의 이후, 수단 혁명 전선 (SRF)이 대표하는 반군 단체, 국민 합의 세력 (NCF), 수단 언론인 네트워크는 서명된 서면 합의에 반대했다. NCF와 SRF는 FFC가 아디스아바바에서 제안된 거래를 논의하고 있었던 다른 야당 세력들을 기다리지 않고 하르툼에서 거래에 서명했다고 비판했다. NCF는 해당 거래가 "군사 정권에 권력을 부여하는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다"고 밝혔으며, 알 바시르 통치 기간 동안 저질러진 범죄에 대한 국제 조사를 제공하지 않는다고 밝혔다. 수단 언론인 네트워크는 서면 합의가 "군사 정권의 권력을 강화"한다고 말했다.
2019년 8월 4일, 임시 헌법 선언이 FFC와 TMC에 의해 서명되었다. 이 문서는 임시 국가 기구 및 절차를 설명하는 70개의 법률 조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2019년 8월 17일, 이 문서는 더욱 공식적으로 서명되었다.
다르푸르 난민 총괄 조정 위원회는 2019년 8월 4일 헌법 선언 초안에 반대하며 평화를 위해서는 민병대 무장 해제, 다르푸르 국제형사재판소 수사에서 지명 수배된 5명 전원의 인도 등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미니 미나위는 수단 혁명 전선(SRF)이 헌법 선언 초안에 반대한다고 밝혔다.
TMC와 FFC는 2019년 7월 17일 정치 합의서에 서명했다. 합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 11명의 주권 위원회 창설
- 3년 3개월의 과도 기간
- 과도 기간 헌법 문서 작성
- 각료 회의
- 과도 기간 주권 위원회, 각료 회의 및 주지사 구성원의 선거 출마 금지
- 입법 의회 창설
- 하르툼 학살 및 관련 인권 침해 사건 조사
- 다르푸르, 청나일 및 남코르도판을 위한 6개월 평화 프로그램
- 새 헌법 준비 절차 시작
- 과도기적 정의 메커니즘 확립.
39개월의 과도 기간 이후 지도부 결정을 위한 민주적 선거가 언급되었다.
7월 17일 서면 합의는 과도 기간 헌법 협정 계획과 새 헌법 준비를 명시했다. 이전 헌법은 2005년 임시 국가 헌법이었다.
7월 25일, FFC 법률 위원회는 헌법 선언 초안 변경 요청 사항을 발표했다. FFC는 TMC 및 주권 위원회 지도자 기소 면제 조항 삭제, 보안군 개혁의 민간 당국 수행을 요구했다.
헌법 선언은 2019년 8월 4일에 서명되었다. 완전한 비준은 2019년 8월 17일로 계획되었다.
3. 2. 과도 정부의 개혁 노력
2019년 7월 17일 체결된 정치 합의 제20조는 법 개혁, 사법 및 권리 시스템 재건, 사법부 독립 보장, 법치주의 확립을 명시했다.[2] 많은 개혁이 1991년 수단 형법에 영향을 미쳤다.[3] 2019년 8월 합의된 임시 헌장 초안은 39개월의 과도 기간 동안 개혁이 어떻게 이루어질지, 어떤 법률 분야에 집중할지 상세히 설명했다.[5]임시 헌장 제2조는 2005년 수단 임시 헌법과 지방 헌법 폐지를 명시하고, 2019년 4월 11일부터 헌장 서명일까지 발효된 법령은 폐지 또는 개정 전까지 유효하다고 밝혔다. 제3조와 제5조는 모든 국민에게 평등한 시민권을 보장하는 의회 민주주의, 정의, 평등, 다양성에 기반하고 인권과 기본적 자유를 보장하는 사회, 법치주의가 우선하는 사회를 명시했다. 제4조는 국민 주권 원칙을 확립하고, 기존 법률 조항이 헌장과 모순될 경우 폐지 또는 개정되어야 한다고 규정했다.[5]
제6조와 제7조는 수단 사회 전환 과정을 설명했다. 제7.2조는 자유 제한 및 성차별 법률 폐지, 제7.7조는 여성 권리 보장 및 증진, 제7.15조는 1989년 6월 정권의 권력 통합 구조(탐킨) 해체 및 법과 제도 국가 건설을 명시했다.[5] 제41조에서 제66조는 수단 시민의 기본적 인권과 자유를 규정했다. 제50조는 고문, 비인도적 대우, 인간 존엄성 훼손 금지, 제53조는 사형을 극도로 심각한 범죄로 제한하고, 18세 미만, 70세 이상, 임산부 등의 사형을 면제 또는 연기했다.[5]
2019년 11월 29일, 공공 질서법(형법 제152조)이 폐지되었다.[6][8] 이는 공공장소에서 바지를 입은 여성을 채찍질하는 등 여성 억압에 사용되었기 때문에 논란이 많았다.[8] 폐지된 다른 여성 관련 규제는 복장, 이동, 결사, 일과 학습의 자유 제한이었다.[7] 2016년 한 해에만 약 4만 5천 명의 여성이 공공 질서법으로 기소되었다.[8]
같은 날, 구원 정권 해체법이 채택되어 오마르 알 바시르 전 국민회의당을 해산하고, 당 자산 몰수, "정권 또는 당 상징"의 10년간 정치 활동 금지를 규정했다.[9]
2020년 4월 22일, 수단 과도 입법 위원회는 1991년 형법 개정 법안을 통과시켰다. 여성 할례 (FGM)가 범죄화되어 벌금과 3년 징역형에 처해졌다.[10] '기타 수정 법'(또는 '기본 권리와 자유 법')[18][11]은 압델 파타 알부르한 주권 위원회 의장이 서명하고 2020년 7월 9일 ''관보''에 게재되어 법으로 제정되었다.[13]
기타 수정 법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 여성 할례 (FGM) 범죄화, 벌금 및 3년 징역형.[10]
- 무슬림의 배교는 더 이상 사형이 아니며, ''탁피르''는 범죄화. 배교는 여전히 불법이나 처벌 불명확, 검찰은 배교 혐의자 보호 명령.[15]
- 여성은 자녀 해외여행 시 남성 친척 허가 불필요.[13][14]
- 태형 폐지.[14]
- 소돔 법 개정: 항문 성교 남성은 사형 또는 태형이 아닌 징역형.[17]
- 비무슬림(약 3%)은 알코올 판매, 수입, 소비 금지 해제(제78조 및 제79조). 무슬림은 여전히 금지, 술집 개업은 미언급.[11] 무슬림과 비무슬림 동석 음주 시 후자는 공범 기소 가능성.[12]
- 정보법 개정, 위반 처벌 완화. 검사의 "소문과 허위 혐의" 대응은 중요.[15]
법률 및 사법 시스템 개혁 법안, 사이버 범죄 방지법도 같은 날 서명되었다.[11]
2020년 9월 3일, 평화 프로세스 일환으로 종교와 국가 분리, 평등 대우, 민족 차별 금지 합의가 이루어졌다. 선언문은 "수단은 다인종, 다민족, 다종교, 다문화 사회", "국가는 공식 종교 제정 불가", "종교 기반 차별 불가"를 명시했다.[21] 세속주의는 SPLM-북부 알-힐루 반군 파벌의 요구 사항이었다.[16]
여성 인권 운동가들은 여성 억압 조치 철폐를 환영하며, 새 법률 시행과 폐지된 법률의 실제 폐기를 강조했다. 경찰, 군, 정보 기관 내부 정책 개정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간통' 혐의 강간 피해자 기소(제149.2조), 혼성 환경 여성 '매춘' 혐의 기소(제154조),[8] 여성 복장 규정, 공공 질서 경찰 및 전담 법원 해산 요구.[7] 2020년 7월, 여성 권리 보호 위한 개인 지위법 폐지 검토.[12] 여성차별철폐협약(CEDAW), 아프리카 인권 및 인민 권리에 관한 아프리카 헌장의 여성 권리에 관한 의정서(마푸토 의정서) 서명, 비준, 준수 촉구.[13] "혼인 강간", "집, 일, 거주 선택 제한, 가족 내 불평등 대우" 등 여성 폭력 취약성 유발 '법적 차별' 존재 주장.[13]
LGBT+ 활동가들은 항문 성교 사형 및 태형 폐지 환영, 동성애 성행위 완전 비범죄화 목표.[17]
휴먼 라이츠 워치(HRW)는 법률 개혁 칭찬, 법률 및 제도 개혁 가속화, 시민 사회 단체와 협의 촉구.[11]
미국 국제 종교 자유 위원회(USCIRF)는 개혁 칭찬, 신성 모독법(형법 제125조) 폐지, "혐오 발언 규제 법률의 국제 인권 기준 준수 및 종교 자유 방해 금지" 촉구.[18]
4. 과도 정부의 구조와 구성
2019년 7월 17일 군사과도위원회(TMC)와 자유와 변화를 위한 세력(FFC)은 아프리카 연합, 에티오피아 등 국제기구 대표들이 지켜보는 가운데 정치 합의서에 서명했다. 2019년 8월 4일 헌법 선언과 함께 이 합의에 따라 과도 정부는 주권 위원회, 내각, 과도 입법 위원회, 사법부 등으로 구성되었다.
- 주권 위원회: 11명의 위원으로 구성되며, 수단의 국가 원수 역할을 한다. 군인 5명, 민간인 5명, 양측 합의로 선출된 민간인 1명으로 구성된다.
- 내각: FFC가 대부분 임명하는 각료 회의로 구성되며, 국방부 장관과 내무부 장관은 주권 위원회의 군사 위원이 선출하여 총리가 임명한다.
- 과도 입법 위원회: 과도 기간 동안 입법 기능을 수행하며, 구성원의 67%는 FFC가, 33%는 FFC에 참여하지 않은 다른 세력이 선택한다. 여성 구성원 비율은 최소 40%이다.
- 사법부: 최고 사법 위원회와 헌법 재판소로 구성된다. 네마트 압둘라 카이르가 2019년 10월 10일 대법원장으로 임명되었다.
이 기관들은 3년 3개월(39개월)의 과도 기간 동안 권력을 분담하고, 민주적 선거를 통해 새 정부를 구성하기 위한 기반을 마련한다.
4. 1. 주권 위원회
2019년 7월 17일, 군사과도위원회(TMC)와 자유와 변화를 위한 세력(FFC)은 아프리카 연합, 에티오피아 등 국제기구 대표들이 지켜보는 가운데 정치 합의서에 서명했다.이 합의에 따라 양측은 군인 5명, 민간인 5명, 그리고 상호 합의한 민간인 1명 등 총 11명으로 구성된 주권 위원회를 설치하기로 했다. 3년 3개월(39개월)의 과도 기간 동안 처음 21개월은 TMC 측 위원이, 이후 18개월은 민간인 위원이 주권 위원회를 이끌기로 합의했다. 2019년 8월 4일 헌법 선언 초안 제9조 (a)항은 주권 위원회를 수단의 국가 원수로 명시했다.
2019년 8월 4일 헌법 선언 초안에 따르면, 11명의 위원으로 구성된 주권 위원회는 수단의 국가 원수이다. 주권 위원회는 압델 파타 부르한, 모하메드 함단 다갈로(헤메티), 야세르 알-아타 중장 등 TMC가 선출한 군인들과, 아이샤 무사 엘-사이드, 시디그 타워, 모하메드 엘파키 술레이만, 하산 셰이크 이드리스, 모하메드 하산 알-타이시 등 FFC가 선출한 민간인 5명, 그리고 양측 합의로 선출된 민간인 라자 니콜라로 구성되었다. 주권 위원회는 대부분 남성이었고, 여성 위원은 아이샤 무사와 라자 니콜라 두 명뿐이었다.
4. 2. 내각
정치 합의에 따라 과도 정부의 장관은 FFC가 대부분 선택하고, 국방부 장관과 내무부 장관은 주권 위원회의 군사 위원들이 선출하여 총리가 임명한다. 총리는 예외적으로 두 명의 자격을 갖춘 당원을 장관직에 임명할 수 있다.헌법 선언 초안 제5장(제14조)은 과도 내각을 유사하게 정의하며, 총리에게 FFC가 제공한 명단에서 내각 구성원을 선택할 권한을 부여하고, 내각 구성원은 주권 위원회의 승인을 받는다.
헌법 선언 초안 제16조 (a)는 총리와 내각 구성원이 출생에 의한 수단인이어야 하며, 최소 25세 이상이고, 명예훼손에 대한 깨끗한 기록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고 규정한다. 제16조 (b)는 이중 국적자를 국방, 내무, 외무 또는 법무부 장관으로 임명하는 것을 금지하지만, 총리직에 대해 주권 위원회와 FFC가, 장관직에 대해 주권 위원회와 총리가 면제에 동의하는 경우 예외를 둔다.
20세기 후반과 21세기 초에 여러 국제 행정직을 역임한 수단 공무원 압달라 함독이 FFC에 의해 총리로 지명되었으며, 2019년 8월 20일에 공식 임명되었다.
4. 3. 과도 입법 위원회
2019년 8월 4일 헌법 선언 초안 제7장은 과도 입법 의회에 대한 계획을 정의한다. 과도 협정(헌법 선언 초안 23.(4)항)은 과도 기간이 시작된 지 3개월 후에 과도 입법 의회를 구성하도록 규정하고 있으며, 주권 평의회와 내각이 결정된 후에 구성된다.2019년 7월 17일 협정에서 FFC와 TMC는 입법 의회 구성원의 비율에 대해 의견 불일치를 보였다. FFC는 의회 구성원의 3분의 2를 선택하는 것을 확인했고, TMC는 입법 의회 구성원 비율을 검토하는 입장을 확인했다. FFC와 TMC는 주권 평의회의 각 구성원이 이 문제에 대해 계속 논의하기로 합의했다. 2019년 8월 4일 헌법 선언 초안 23.(3)항에 따르면, 구성원의 67%는 FFC가, 33%는 2019년 1월 FFC 선언에 서명하지 않은 "다른 세력"이 선택한다.
2019년 8월 4일 헌법 선언 초안 제23.(3)조는 과도 입법 의회 여성 구성원의 최소 40% 할당제를 규정한다. 제23.(1)조는 구성원 수를 최대 300명으로 정하고, 알바시르 통치 하에서 지배했던 국민회의당 구성원과 알바시르 정부에 참여한 정치 세력의 구성원 자격을 배제한다. 제25조에 따르면 구성 자격은 21세 이상인 수단 국민으로, "정직성과 능력을 갖추고", "명예, 신뢰성 또는 재정적 책임"과 관련하여 형사 유죄 판결을 받은 적이 없으며, 읽고 쓸 수 있는 사람에게 열려 있다.
4. 4. 사법부
2019년 8월 4일자 헌법 선언 초안 제8장은 기존 사법 기관을 새로운 최고 사법 위원회와 헌법 재판소로 대체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이 조항의 제29조 2항은 "사법 권한"이 주권 위원회, 과도 입법 위원회 및 "행정부"로부터 독립되어야 하며, 독립을 위한 충분한 재정 및 행정 자원을 갖추어야 한다고 명시하고 있다. 제30조 1항에서는 헌법 재판소가 사법 권한으로부터 독립되어 분리되어야 한다고 정의한다.하르툼 스타와 수단 데일리는 네마트 압둘라 카이르가 2019년 8월 20일 또는 8월 21일에 대법원장으로 선서할 것이라고 보도했다. 이후 2019년 10월 10일, 그녀의 임명은 법령으로 확정되었다. 헌법 선언 초안 제29조 3항은 사법부 수장이 대법원의 수장을 겸하며, "최고 사법 위원회 앞에서 사법 권한을 관리할 책임"이 있다고 명시하고 있다.
5. 인권 및 정의 실현 노력
2019년 7월 17일, 정치 합의에 따라 정부의 법 개혁이 시작되었다. 이 합의 제20조는 "법 개혁 프로그램, 사법 및 권리 시스템 재건 및 개발, 사법부의 독립 보장 및 법치주의 확립"을 의무화했다.[2] 많은 개혁이 1991년 수단 형법에 영향을 미쳤다.[3]
알 바시르 정권 하에서는 2015년 2월 형법 제149.1조를 수정하여 강간의 정의를 바꾸려는 시도가 있었다. 그러나 이 수정안은 강간 피해자 비난과 부부 강간에 대한 면책 등 여러 문제점이 있다는 비판을 받았다. 수정안은 간통 언급을 삭제해 부부 강간 기소를 가능하게 했지만, 부부 강간에 대한 구체적인 금지 조항은 없었고 구강 강간은 범죄로 규정되지 않았다. 또한 피해자가 동의 없이 성행위를 당했음을 증명하지 못하면 간통 또는 수간 혐의로 기소될 위험이 있었다. 동의 중요성은 강압에 유리하게 감소되었고, 이는 동의 부재로 성폭력을 정의하는 국제법 추세에 어긋났다.[4]
2019년 8월 합의된 임시 헌장 초안은 39개월 과도 기간 동안 개혁 방향과 법률 분야를 구체적으로 명시했다. 헌장 제2조는 2005년 수단 임시 헌법과 지방 헌법을 폐지하고, 관련 법률은 폐지 또는 개정 전까지 유효하다고 밝혔다. 제3조와 제5조는 수단이 모든 국민에게 평등한 시민권을 보장하는 의회 민주주의, 즉 "정의, 평등, 다양성을 기반으로 인권과 기본적 자유를 보장"하며, 법치주의가 우선하고 1989~2019년 정권 범죄를 포함, "인권 및 국제 인도법 위반" 등 위반 행위가 처벌받는 사회가 되어야 한다고 설명한다(제7.3조). 제4조는 국민 주권 원칙을 확립하고, 기존 법률 조항이 "헌법 헌장 조항과 모순될 경우, 모순 제거를 위해 필요한 범위 내에서 폐지 또는 개정되어야 한다"고 규정한다.[5]
제6조와 제7조는 수단 사회 전환 과도 과정을 설명한다. 제7.5조는 정치 합의 제20조를 거의 그대로 복사해 법률 개혁 약속을 재확인한다. 추가 세부 사항은 다음과 같다.
- 7.2 "자유 제한 또는 성별에 따른 시민 차별 법률 및 조항 폐지."
- 7.7 "수단 모든 사회, 정치, 경제 분야에서 여성 권리 보장 및 증진, 전쟁과 평화 모두에서 임시적 우대 조치 고려, 여성 대상 모든 형태 차별에 맞서 싸운다."
- 7.15 "1989년 6월 정권 권력 통합 구조(탐킨) 해체, 법과 제도 국가 건설."[5]
제41조부터 제66조는 모든 수단 시민이 누릴 기본적 인권과 시민 자유를 규정한다. 제50조는 "고문 또는 가혹하고 비인도적이며 굴욕적인 대우 또는 처벌, 인간 존엄성 훼손"을 금지했다. 제53조는 사형을 "보복(''키사스'')", ''hudud'' 처벌 또는 법에 따른 극도로 심각한 범죄 형벌로 제한하고, 18세 미만 또는 70세 이상 사형 면제, 임신 중이거나 모유 수유 중인 여성 사형 연기를 예상했다.[5]
2019년 11월 29일, 형법 제152조(일명 공공 질서법)가 폐지되었다.[6][8] 이는 공공장소에서 바지를 입은 여성을 채찍질 40회 형벌로 처벌하는 데 사용되는 등 논란이 많았다.[8] 폐지된 여성 관련 규제에는 복장 자유 제한(의무적 히잡 등), 이동 자유, 결사 자유, 일과 학습 자유가 포함됐다. 활동가들이 '임의적'이라 여긴 혐의 위반에 대해 체포, 구타, 결사 자유와 표현 자유 등 시민권 박탈로 처벌했다.[7] 여성 억압 반대 운동 지도자 이산 파기리에 따르면, 2016년 한 해에만 약 4만 5천 명 여성이 공공 질서법에 따라 기소되었다.[8]
같은 날, 구원 정권 해체법이 채택되어 오마르 알 바시르 전 집권 국민회의당을 해산하고, 당 자산 몰수 위원회를 설치, "정권 또는 당 상징"의 "10년간 정치 활동 참여"를 금지했다.[9]
2020년 4월 22일, 수단 과도 입법 위원회는 1991년 형법 일부 개정 법안을 통과시켰다. 여성 할례 (FGM)가 범죄화, 벌금과 3년 징역형으로 처벌받게 되었다.[10] 법적 변화는 '기타 수정 법'(일부 언론은 '기본 권리와 자유 법'[18][11])으로 묶여 수단 주권 위원회 승인을 위해 보내졌다. 나스렐딘 압델바리 법무부 장관에 따르면, 주권 위원회 의견에 따라 법무부가 법에 "지장을 주지 않는 방식"으로 세부 사항을 추가했다.[12] 기타 수정 법은 압델 파타 알부르한 주권 위원회 의장이 서명,[11] 2020년 7월 9일 ''관보'' 게재로 법으로 제정되었다.[13]
기타 수정 법 (또는 '기본 권리와 자유 법'[11])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 여성 할례 (FGM) 범죄화, 벌금 및 3년 징역형.[10]
- 무슬림 배교는 더 이상 사형으로 처벌받지 않으며, ''탁피르''는 범죄화. 1991년 형법 제126조는 이슬람교 포기에 대해 사형 또는 종신형을 규정했다.[14]
- 여성은 자녀 해외여행 시 남성 친척 허가 불필요.[13][14]
- 처벌 형태로서 태형 폐지.[14]
- 소돔 법 개정: 항문 성교 남성은 더 이상 사형 또는 태형으로 처벌받지 않지만, 여전히 징역형.[17]
- 비무슬림(수단 인구 약 3%)은 알코올 판매, 수입, 소비 금지 해제(제78조 및 제79조).[11]
- 정보법 개정, 위반 처벌 완화.[15]
법률 및 사법 시스템 개혁 법안, 사이버 범죄 방지법도 같은 날 법으로 서명되었다.[11]
2020년 9월 3일, 종교와 국가 분리, 수단 모든 시민 평등 대우 확보, 민족 차별 금지 합의가 이루어졌다. 선언문에는 "수단은 다인종, 다민족, 다종교, 다문화 사회. 다양성 완전 인정 및 수용. (...) 국가 공식 종교 제정 불가. 시민 종교 기반 차별 불가."라고 명시.[21]
여성 인권 운동가들은 여성 억압 조치 및 규제 철폐를 "훌륭한 첫걸음"으로 환영했다. 새 법률 시행, 폐지 법률 실제 폐기 위해 경찰, 군, 정보 기관 등 정부 기관 내부 정책 개정 필요성 강조. 활동가들은 '간통' 혐의 강간 피해자 기소(제149.2조), 혼성 환경 여성 '매춘' 혐의 기소(제154조),[8] 여성 복장 규정 강제 조항, '공공 질서 정권' 일부였던 공공 질서 경찰 및 전담 법원 해산 요구.[7] 아브델바리 법무부 장관은 2020년 7월, 여성 권리 보호 위해 개인 지위법 폐지 검토 중이라 밝혔다.[12]
수단 LGBT+ 활동가들은 항문 성교 사형 및 태형 폐지 "훌륭한 첫걸음" 환영, 동성애 성행위 완전 비범죄화 목표. [17]
휴먼 라이츠 워치(HRW)는 공공 질서법, 배교법 폐지, 여성 할례 범죄화 등 법률 개혁 조치 칭찬, 법률 및 제도 개혁 가속화, 시민 사회 단체와 협의 촉구.[11]
미국 국제 종교 자유 위원회(USCIRF)는 초기 개혁으로 수단 '특별 우려 국가' 목록 삭제 후, 여성 권리, 배교법 관련 새 개혁 칭찬(2020년 7월 15일). 수단 의원들에게 신성 모독법(수단 형법 제125조) 폐지, "혐오 발언 규제 법률 국제 인권 기준 준수, 종교 또는 신념 자유 방해 금지" 촉구.[18]
4월 8일 헌법 선언 초안 제14장 "권리와 자유" 정의. 제41조 (2)항은 수단 공화국 비준 국제 인권 협정, 협약, 헌장을 헌법 선언 초안 "불가분 일부"로 간주.
5. 1. 하르툼 학살 조사
2019년 7월 5일, 2019년 수단 쿠데타 이후 발생한 사건, 특히 하르툼 학살에 대한 "투명하고 독립적인 조사"를 실시하기로 합의하였다. 7월 17일 서면 정치 합의에서는 조사 위원회가 "필요한 경우 아프리카의 지원을 요청할 수 있다"고 명시했다.2019년 8월 4일 헌법 초안 제7조 16항에서는 조사를 "과도기의 임무" 중 하나로 언급하며, 그 범위를 "2019년 6월 3일에 저질러진 위반 행위, 그리고 민간인 및 군인 시민의 권리와 존엄성이 침해된 사건 및 사고"로 정의했다. 조사 위원회는 총리 지명 후 한 달 이내에 "독립적이며 조사를 수행하고 활동 기한을 결정할 수 있는 모든 권한을 갖는 것을 보장하는" "명령"에 따라 설립될 예정이었다.
; 면책 특권
2019년 7월 5일 이전 협상에 참석했던 미국의 협상 대표인 도널드 E. 부스는 과도군사위원회(TMC) 위원들에게 조사에서 기소를 면제할 것을 제안했다는 주장이 제기되었다. 7월 13일, 자유와 변화 세력(FFC)은 6월 3일 하르툼 학살 용의자가 조사 위원회 위원이 되는 것에 반대했다.
2019년 7월 17일 서면 합의에는 TMC 위원들의 면책 특권에 대한 언급이 없었다. 7월 25일, FFC 법률 위원회는 TMC 및 주권 위원회 지도자에게 기소 면제를 부여하는 조항을 삭제할 것을 요청하며, 어떤 지도자에게도 절대적인 면책 특권이나 절차적 면책 특권을 허용하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7월 31일, TMC 지도자 알 부르한은 "군사 정부 위원들이 면책 특권을 원하지 않는다"는 것을 확인했다. 8월 1일, FFC는 주권 위원회 위원이 "절차적 면책 특권"을 가질 수 있다는 데 동의했는데, 이는 주권 위원회 위원이 입법 위원회의 3분의 2 이상 찬성으로 면책 특권을 해제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2019년 8월 4일 헌법 초안 제21조는 주권 위원회, 내각, 과도 입법 위원회, 지방 총독 및 지역 수장의 구성원에게 절차적 면책 특권을 부여하며, 제21조 2항은 과도 입법 위원회에 과반수 찬성으로 해당 면책 특권을 해제할 권한을 부여한다.
; 설립
하르툼 학살 조사 위원회는 인권 변호사 나빌 아디브가 위원장을 맡았으며, 2019년 10월 20일 함독 총리에 의해 임명되었다.
5. 2. 포괄적 평화 협상
2019년 7월 5일, 아프리카 연합 변호사를 포함한 변호사 위원회가 작성한 서면 합의 초안이 구두 합의 후 "48시간 이내"에 나올 예정이었다. 그러나 7월 9일, 야히아 알-후세인을 포함한 4인 초안 위원회는 텍스트가 아직 완성되지 않았다고 밝혔다. 새로운 일정은 지역 지도자들이 참여하는 행사에서 "10일 이내"에 합의에 서명하는 것이었다. 7월 13일, 합의 서명을 지연시키는 세 가지 쟁점은 다음과 같았다.- FFC(자유와 변화 세력)가 인권 조사 위원회에 6월 3일 하르툼 학살의 책임 또는 실행 혐의자를 제외할 것을 요구
- FFC가 입법 위원회 임명 기한 제한을 요구
- TMC(군사과도위원회)가 지명자를 "승인"해야 하는지에 대한 FFC와 TMC 간의 이견
결국 헌법 선언에 앞서 "정치적 합의" 형태의 서면 합의가 7월 17일 TMC와 FFC에 의해 서명되었다.
다르푸르 난민 일반 조정 위원회는 다르푸르 학살과 관련된 다르푸르 출신 난민들을 대표하며, 7월 5일의 구두 합의에 대해 "형식과 내용 모두 결함이 있다"고 묘사하며, 오마르 알 바시르의 30년 수단 통치 기간 동안 지배 정당이었던 국민의회당의 통치를 유지하려는 "필사적인 시도"라고 비판했다.
7월 17일 서면 합의 이후, 수단 혁명 전선 (SRF)이 대표하는 반군 단체, 알 바시르의 국민 의회에 반대하는 정당 연합인 국민 합의 세력 (NCF), 그리고 수단 언론인 네트워크는 서명된 서면 합의에 반대했다. NCF와 SRF는 FFC가 아디스아바바에서 제안된 거래를 논의하고 있었던 NCF와 다른 야당 세력들을 기다리지 않고 하르툼에서 거래에 서명했다고 비판했다. NCF는 해당 거래가 "군사 정권에 권력을 부여하는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다"고 밝혔으며, 알 바시르 통치 기간 동안 저질러진 범죄에 대한 국제 조사를 제공하지 않는다고 지적했다. 수단 언론인 네트워크는 서면 합의가 "군사 정권의 권력을 강화하고... 혁명의 노력, 땀, 피를 훔쳐 권력을 찬탈하려 한다"고 주장했다. NCF는 서명을 하기 전에 초안 헌법 선언문을 배포하여 NCF의 우려 사항을 고려해야 한다고 요구했다.
다르푸르 난민 총괄 조정 위원회는 2019년 8월 4일 헌법 선언 초안에 반대하며 평화를 위해서는 민병대 무장 해제, 다르푸르 국제형사재판소 수사에서 지명 수배된 5명 전원의 인도, 다르푸르의 전통적인 소유 토지에서 새로운 정착민 추방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미니 미나위는 SRF가 아디스아바바에서 FFC 구성 그룹 간에 체결된 수단 내 전국적 평화 프로세스 메커니즘에 관한 합의가 선언에서 제외되었고, 선언이 FFC와 TMC 간의 권력 분배 협정이기 때문에 헌법 선언 초안에 반대한다고 밝혔다.
2019년 8월 합의된 임시 헌장 초안(임시 헌법 선언 초안)은 39개월의 과도 기간 동안 개혁이 어떻게 이루어질 것이며, 어떤 법률 분야에 집중될 것인지를 더 자세히 설명했다. 헌장 제2조는 다음과 같이 명시했다.[5]
> 2005년 수단 임시 헌법과 지방 헌법은 폐지되며, 그에 따라 발효된 법률은 폐지되거나 개정되지 않는 한 유효하다. 2019년 4월 11일부터 이 헌법 헌장 서명일까지 발효된 법령은 임시 군사 위원회에 의해 폐지되거나 개정되지 않는 한 유효하다. 이 헌법 헌장의 조항과 모순되는 경우, 이 선언의 조항이 우선한다.
제3조와 제5조는 수단이 모든 국민에게 평등한 시민권을 보장하는 의회 민주주의, 즉 "정의, 평등, 다양성을 기반으로 하고 인권과 기본적 자유를 보장"하며, 법치주의가 우선하고 1989~2019년 정권에 의해 저질러진 범죄를 포함하여 "인권 및 국제 인도법 위반" 및 기타 위반 행위가 처벌받는 사회가 되어야 한다고 설명한다(제7.3조). 제4조는 국민 주권의 원칙을 확립하고, 기존 법률의 조항이 "이 헌법 헌장의 조항과 모순되는 경우, 그 모순을 제거하기 위해 필요한 범위 내에서 폐지되거나 개정되어야 한다"고 규정한다.[5]
제6조와 제7조는 수단이 어떤 종류의 사회로 전환될 것인지에 대한 과도 과정을 설명한다.
8월 4일 초안 헌법 선언은 "정의롭고 포괄적인 평화 달성, 수단 문제의 근본 원인을 해결하여 전쟁 종식"을 "과도 기간의 임무" 중 첫 번째 항목(제7.(1)조)으로 명시하고, 문서의 15장, 조항 67 및 58에서 세부 사항을 제공한다. 조항 67.(b)는 평화 협정이 초안 헌법 선언 서명 후 6개월 이내에 완료되어야 한다고 명시한다. 조항 67.(c)는 여성의 평화 절차 모든 단계 참여와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 결의안 1325 적용을 요구하며, 여성의 권리 법적 확립은 조항 67.(d)에서 다룬다. 포괄적 평화 프로세스 이행을 위한 다른 메커니즘은 다음과 같다.
- 조항 67.(e): 적대 행위 중단, 인도적 지원 통로 개방, 포로 석방 및 교환
- 조항 67.(f): 정치 지도자 및 무장 반대 운동 회원에 대한 사면
- 조항 67.(g): 반인도적 범죄 및 전쟁 범죄에 대한 책임, 국내 및 국제 법원에서의 재판
- 조항 68: 13가지 "평화 협상을 위한 필수 문제" 열거
2020년 8월 31일, 수단 당국과 반군 세력 간의 무장 적대 행위를 종식하기 위한 평화 협정이 주바에서 체결되었다.[19] 협약 조건에 따라 서명한 세력은 과도 내각에서 5명의 장관을, 과도 입법부에서 4분의 1의 의석을 가질 자격이 있다. 지역 수준에서 서명자는 출신 주의 과도 입법부 의석의 40%를 가질 자격이 있다.[20] 9월 초 체결된 최종 협정은 '수단은 다인종, 다민족, 다종교, 다문화 사회이다. 이러한 다양성에 대한 완전한 인정과 수용이 확인되어야 한다. (...) 국가는 공식 종교를 설정하지 않아야 한다. 어떠한 시민도 그들의 종교에 근거하여 차별받지 않아야 한다.'라고 명시했다.[21]
6. 2019-2021년의 시위
과도 정부 기구 설립 과정에서도 시위는 계속되었다. 새로운 수단 대법원장 및 검찰총장 임명을 요구하는 시위, 신속지원군(RSF)의 민간인 살해에 항의하는 시위, 수단 북부주와 남코르도판주에서 금광 채굴로 인한 시안화물 및 수은 유출 환경 문제에 대한 시위, 엘-가다레프주 주지사에 대한 시위, 수단 전문직 연합(SPA) 조정자들에 대한 선전 재판에 항의하는 시위가 있었다. 홍해주와 백나일주에서는 이전 정부 관계자들의 해임을 요구하는 시위가 벌어졌다.
7. 국제사회의 개입
아프리카 연합과 에티오피아는 수단의 민주화 이행 과정에서 중요한 중재자 역할을 수행했다. 2019년 7월과 8월, 과도군사위원회(TMC)와 자유와 변화 세력(FFC) 간의 협상을 중재하여 정치적 합의와 임시 헌법 선언 서명을 이끌어냈다. 특히, 2019년 8월 4일에는 에티오피아와 아프리카 연합 중재자들이 입회한 가운데 FFC 대표 아흐메드 라비와 TMC 부대표 모하메드 함단 다갈로가 임시 헌법 선언에 서명했다. 8월 17일에는 아비 아흐메드 에티오피아 총리와 살바 키르 남수단 대통령 등 여러 국가 원수 및 정부 수반들이 지켜보는 가운데 이 문서가 공식적으로 비준되었다.
2023년 7월 23일, 수단 내전 발발 100일째를 맞아 주요 민간 연합인 자유와 변화의 세력은 이집트에서 회담을 통해 분쟁 해결책을 모색하고 있다.
7. 1. 쿼드(QUAD) 그룹의 역할
사우디 아라비아, 아랍에미리트, 영국, 미국은 2021년 '수단을 위한 쿼드(QUAD)'라는 그룹을 결성했다. 이들은 국제 연합 및 아프리카 연합과 함께 중재와 회담을 촉진하는 역할을 맡았다.[22] 쿼드는 민주주의적인 민간 정부로의 전환을 지원한다고 주장했다.[25][26] 사우디 아라비아와 아랍에미리트는 이슬람주의의 영향력 제한을, 영국과 미국은 러시아의 영향력 제한을 원했다.[23][24]
7. 2. 미국의 대 수단 정책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는 수단 과도 정부가 이스라엘-수단 관계를 정상화하는 공식적인 평화 협정을 체결하도록 설득하려 했다. 또한 1998년 미국 대사관 폭탄 테러 희생자 가족에게 3.35억달러의 보상금을 지급하는 대가로 수단을 테러 지원국 목록에서 제외할 것을 제안했는데, 미국 정부는 이전 수단 정권이 이 사건에 연루되었다고 주장했다.[27] 수단 과도 정부는 바시르 정권 하의 수십 년간의 경제적 부실, 미완료된 내부 평화 과정, 최근의 정치적 격변, 그리고 코로나19 팬데믹 등 여러 위기 속에서 재정 지원을 받고 무역 기회를 여는 것이 중요했다. 이로 인해 수백만 명의 수단인들이 식량과 연료 가격이 폭등하면서 어려움을 겪었다. 따라서 2020년 10월 중순, 수단은 보상금 지급에 동의하고 1993년에 부과된 대테러 제재를 해제받았으며, 해외 대출에 접근하여 경제를 회복하기 위해 바시르 정권의 친테러 활동에서 거리를 두었다. 이와는 별도로, 수단은 이미 이스라엘과의 평화를 위한 협상을 진행해 왔으며, 10월 중순까지 이스라엘행 항공기의 영공 통과를 허용하기로 합의했다.[28]
7. 3. 아프리카 연합과 유엔의 역할
아프리카 연합과 국제 연합은 수단의 민주주의 전환 과정에서 중재자 역할을 수행했다. 2019년 7월 17일, 과도군사위원회(TMC)와 자유와 변화 세력(FFC)은 아프리카 연합, 에티오피아 및 기타 국제기구 대표들이 참석한 가운데 정치 합의서에 서명했다.
합의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 내용 |
|---|
| 양측이 각각 5명의 군인과 민간인을 선출하고, 상호 합의로 1명의 민간인을 추가하여 총 11명으로 구성된 주권 위원회 설치. |
| 3년 3개월의 과도 기간 설정. 처음 21개월은 TMC 위원이, 이후 18개월은 민간 위원이 주권 위원회를 이끈다. |
| FFC가 대부분 임명하는 각료 회의 구성. 주권 위원회와 군부는 결정에 부분적 역할 담당. |
| 주권 위원회 창설 후 3개월 내 입법 의회 설치. |
| 하르툼 학살 및 관련 인권 침해에 대한 독립적 조사 실시. |
| 다르푸르, 청나일, 남코르도판 지역을 위한 6개월 평화 프로그램 진행. |
2021년, 사우디 아라비아, 아랍에미리트, 영국, 미국으로 구성된 쿼드(QUAD)는 국제 연합 및 아프리카 연합과 함께 중재 및 회담을 촉진했다.[22] 이들은 민주적인 민간 정부로의 전환을 지원한다고 밝혔다.[25][26]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는 과도 정부가 이스라엘-수단 관계를 정상화하도록 설득하려 했다. 또한 1998년 미국 대사관 폭탄 테러 희생자 가족에게 3.35억달러의 보상금을 지급하는 대가로 수단을 테러 지원국 목록에서 제외할 것을 제안했다. 2020년 10월 중순, 수단은 보상금 지급에 동의하여 대테러 제재가 해제되고 해외 대출 접근이 가능해졌다.[27]
2023년 7월 23일, 자유와 변화 세력은 이집트에서 회담을 통해 분쟁 해결을 모색하고 있다.
8. 2021년 쿠데타와 그 이후
2021년 10월 25일, 압델 파타 알부르한 장군이 이끄는 수단군이 군사 쿠데타를 일으켜 정부를 장악했다. 민간인 출신 총리 압달라 함독은 쿠데타에 반대하며 민중 저항을 촉구했고, 이후 가택 연금되었다.[30] 수단 전문직 협회를 비롯한 시민 단체들은 시민 불복종을 선언했다. 2021년 11월 21일, 알부르한은 함독 총리를 복귀시키고 정치범 석방을 약속하는 협정을 체결했으나,[31] 함독은 2022년 1월 2일 사임했다.
아프리카 연합은 수단의 회원 자격을 정지시켰고, 미국과 유럽 연합은 개발 지원을 동결했다. 국제 통화 기금과 세계 은행의 지원도 중단되면서 수단의 경제는 계속 악화되었다.[32]
2022년 4월, 군사 정부는 러시아와의 관계를 강화했다.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에도 이러한 관계는 지속되었다. 쿠데타 이후 6개월 동안 수단 시민들은 매일 시위를 벌였지만, 볼커 페르테스가 이끄는 유엔 수단 통합 전환 지원단(UNITAMS)과 군 지도부 간의 협상은 난항을 겪었다.[33]
8. 1. 2021년 쿠데타 발발
2021년 10월 25일, 압델 파타 알부르한 장군이 이끄는 수단군이 군사 쿠데타를 일으켜 정부를 장악했다.[30] 이 과정에서 최소 5명의 고위 정부 관계자가 체포되었고, 민간인 출신 총리 압달라 함독은 쿠데타 지지를 거부하며 10월 25일 민중 저항을 촉구하다가 10월 26일 가택 연금되었다.[30]수단 전문직 협회와 자유와 변화 세력 등 주요 시민 단체들은 시민 불복종과 쿠데타 주도 세력과의 협력 거부를 촉구했다.
국제 사회는 쿠데타에 대해 강력하게 비판했다. 아프리카 연합은 수단의 회원 자격을 정지시켰고, 미국과 유럽 연합은 수단의 민주주의 전환에 대한 개발 지원을 동결했다. 국제 통화 기금과 세계 은행의 지원도 중단되면서 수단의 경제는 계속 악화되었다.[32]
이후 2021년 11월 21일, 알부르한은 함독 총리를 가택 연금에서 해제하고, 함독을 총리로 복귀시키고 정치범을 석방하기로 합의했다.[31] 그러나 함독 총리는 계속되는 시위 속에서 2022년 1월 2일 사임했다.
8. 2. 쿠데타 이후의 상황
2021년 10월 25일, 압델 파타 알부르한 장군이 이끄는 수단군이 군사 쿠데타를 일으켜 정부를 장악했다. 이로 인해 최소 5명의 고위 정부 관계자가 구금되었고,[30] 민간인 출신 총리 압달라 함독은 쿠데타 지지를 거부하며 10월 25일 민중 저항을 촉구했다. 이후 10월 26일 함독 총리는 가택 연금되었다.[30] 수단 전문직 협회와 자유와 변화 세력 등 시민 단체들은 시민 불복종과 쿠데타 주최 측과의 협력 거부를 촉구했다.2021년 11월 21일, 알부르한은 함독 총리를 가택 연금에서 해제하고, 함독을 총리로 복귀시키고 정치범을 석방하는 협정을 체결했다.[31] 그러나 함독 총리는 계속되는 시위 속에서 2022년 1월 2일 사임했다.
쿠데타 이후, 아프리카 연합은 수단의 회원 자격을 정지시켰고, 미국과 유럽 연합은 수단의 민주주의 전환에 대한 개발 지원을 동결했다. 국제 통화 기금과 세계 은행의 지원도 중단되면서 수단의 경제는 계속 하락했다.[32]
2022년 4월, 군사 정부는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이 시작된 2022년 2월 24일 이후를 포함하여 러시아와의 관계를 강화했다. 이로 인해 수단의 민주주의 전환이 계속될지는 불분명해졌다. 쿠데타 이후 6개월 동안 수단 시민들은 매일 시위에 참여하여 민간 정부를 요구하며 "군대는 병영으로 돌아가라"라고 외쳤지만, 볼커 페르테스가 이끄는 유엔 수단 통합 전환 지원단(UNITAMS)과 군 지도부 간의 협상은 긴장된 상태였다.[33]
8. 3. 2022년 12월 기본 협정
2022년 12월 5일, 자유변화 세력(FFC)을 비롯한 40여 개의 시민 단체 대표들과 알-부르한, 헤메티 등 군부 지도자들은 민간 정부로의 전환을 위한 새로운 기본 협정에 서명했다.[34][35][36] 이 협정은 2020년 주바 평화 협정의 내용을 대부분 포함하며, 군부는 민간 총리를 포함한 민간 정부를 임명하기로 약속했다.[37] 과도 정부 임명 후에는 선거를 통해 2년간의 새로운 전환기가 시작될 예정이었다.그러나 이 협정은 최종 협정일을 명시하지 않았고, 일부 논쟁적인 문제는 추후 협상으로 미뤄 수단 저항 위원회의 반발을 샀다.[38][34] 수단 저항 위원회는 군부의 진정성에 의문을 제기하며 협상 참여를 거부했다.
2023년 3월, 외교관 로잘린드 마스덴은 2022년 12월의 기본 협정을 2021년 10월 쿠데타의 "피해를 되돌리는 중요한 단계"라고 평가했다. 마스덴은 수단 저항 위원회의 역할이 군부가 쿠데타 실패를 확신하게 된 주요 요인이라고 설명했다.
9. 2023년 군사 충돌
신속지원군이 정부 시설에 대한 공격을 시작하면서 2023년 4월 15일, 과도정부는 다시 한번 중단되었다. 신속지원군과 알부르한 군부 양측은 모두 정부 시설에 대한 통제권을 주장했으며, 교전은 계속되었다.[40]
참조
[1]
뉴스
At least 25 killed, 183 injured in ongoing clashes across Sudan as paramilitary group claims control of presidential palace
https://www.cnn.com/[...]
2023-04-15
[2]
서적
Political Agreement on establishing the structures and institutions of the transitional period between the Transitional Military Council and the Declaration of Freedom and Change Forces
https://en.wikisourc[...]
Transitional Military Council & Forces of Freedom and Change
2020-07-20
[3]
웹사이트
In The Name of God The Compassionate the Merciful. The Penal Code 1991
https://www.ecoi.net[...]
Austrian Centre for Country of Origin and Asylum Research and Documentation (ACCORD)
2020-07-21
[4]
웹사이트
Sudan's new law on rape and sexual harassment One step forward, two steps back?
http://www.acjps.org[...]
African Centre for Justice and Peace Studies
2020-07-20
[5]
웹사이트
Draft Constitutional Charterfor the 2019 Transitional Period
https://cyrilla.org/[...]
Transitional Military Council & Forces of Freedom and Change
2020-07-20
[6]
뉴스
Sudan crisis: Women praise end of strict public order law
https://www.bbc.com/[...]
2020-07-20
[7]
뉴스
Sudan 'on path to democracy' as ex-ruling party is dissolved
https://www.theguard[...]
2020-07-17
[8]
뉴스
'Thank you, our glorious revolution': activists react as Sudan ditches Islamist laws
https://www.theguard[...]
2020-07-17
[9]
뉴스
Sudan dissolves National Congress Party, repeals Public Order Bill
https://www.dabangas[...]
2020-07-20
[10]
뉴스
In a Victory for Women in Sudan, Female Genital Mutilation Is Outlawed
https://www.nytimes.[...]
2020-05-05
[11]
뉴스
Sudan abolishes strict Islamic legislation
https://www.dabangas[...]
2020-07-20
[12]
뉴스
New law abolishes apostasy, allows alcohol drinking for non-Muslim
https://www.sudantri[...]
2020-07-20
[13]
뉴스
Sudan officially promulgates law ensuring women freedom
https://www.sudantri[...]
2020-07-20
[14]
뉴스
Sudan scraps apostasy law and alcohol ban for non-Muslims
https://www.bbc.com/[...]
2020-07-12
[15]
뉴스
Sudan Justice Minister clarifies repeal of strict laws
https://www.dabangas[...]
2020-07-20
[16]
뉴스
Sudan Holdout Group: Peace Deal Fails to Address Conflict's Root Causes
https://www.voanews.[...]
2020-09-08
[17]
뉴스
'Great first step' as Sudan lifts death penalty and flogging for gay sex
https://www.reuters.[...]
Reuters
2020-07-17
[18]
웹사이트
USCIRF Applauds Sudan's Repeal of Apostasy Law through Passage of New Fundamental Rights and Freedoms Act
https://www.uscirf.g[...]
United States Commission on International Religious Freedom
2020-07-17
[19]
웹사이트
Sudan signs peace deal with rebel groups from Darfur
https://www.aljazeer[...]
2020-08-31
[20]
뉴스
Sudan signs peace deal with key rebel groups, some hold out
https://www.reuters.[...]
2020-08-31
[21]
뉴스
Sudan's Government Agrees to Separate Religion and State
https://www.voanews.[...]
2020-09-08
[22]
뉴스
'Quad for Sudan' Calls for Peace, Democracy After Coup, Protests
https://www.voanews.[...]
Voice of America
2023-04-27
[23]
뉴스
Sudan conflict: why is there fighting and what is at stake in the region?
https://www.theguard[...]
2023-04-27
[24]
웹사이트
UK response to unrest in Sudan
https://researchbrie[...]
UK Parliament
2023-04-27
[25]
웹사이트
Joint statement by the QUAD for Sudan, the Kingdom of Saudi Arabia, the United Arab Emirates,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nd the United Kingdom, on the developments in Sudan
https://www.state.go[...]
U.S. Department of State
2023-04-27
[26]
웹사이트
Quad and Troika Statement at Start of National/Federal Workshop on Transitional Justice
https://sd.usembassy[...]
U.S. Department of State
2023-04-27
[27]
뉴스
Sudan discusses Arab-Israeli peace and terrorism list with U.S.: statement
https://www.reuters.[...]
2020-10-20
[28]
뉴스
US removes Sudan from terrorism blacklist in return for $335m
https://www.theguard[...]
2020-10-20
[29]
뉴스
Sudan war enters 100th day as mediation attempts fail
https://www.reuters.[...]
2023-07-24
[30]
간행물
Sudan's PM and other leaders detained in apparent coup attempt
https://www.theguard[...]
2021-10-25
[31]
웹사이트
Sudan's Hamdok reinstated as PM after political agreement signed
https://www.aljazeer[...]
2021-11-21
[32]
웹사이트
A Critical Window to Bolster Sudan's Next Government
https://www.crisisgr[...]
International Crisis Group
2023-04-27
[33]
웹사이트
Sudan: Cold shoulder for UN, warm embrace for Russia {{!}} DW {{!}} 21.04.2022
https://www.dw.com/e[...]
2022-04-22
[34]
Q인용
Q117787748
[35]
Q인용
Q117788038
[36]
웹사이트
Sudan's generals, pro-democracy group ink deal to end crisis
https://apnews.com/a[...]
2023-02-24
[37]
웹사이트
Skepticism as Sudan's military and pro-democracy group ink deal
https://www.axios.co[...]
2023-02-24
[38]
뉴스
Sudan generals and parties sign outline deal, protesters cry foul
https://www.reuters.[...]
2023-02-24
[39]
Q
Q117787817
[40]
뉴스
At least 25 killed, 183 injured in ongoing clashes across Sudan as paramilitary group claims control of presidential palace
https://www.cnn.com/[...]
2023-04-15
[41]
서적
Die Wahl der Parlamente: Band II: Afrika, Zweiter Halbband
1978
[42]
뉴스
The Sudan Elections
http://archive.spect[...]
2019-07-13
[43]
뉴스
FACTBOX – Sudan's President Omar Hassan al-Bashir
https://www.reuters.[...]
2008-07-14
[44]
뉴스
Sudan's Ibn Auf steps down as head of military council
https://www.aljazeer[...]
2019-04-15
[45]
뉴스
Sudan’s military and civilian opposition have reached a power-sharing deal
https://www.vox.com/[...]
2019-07-06
[46]
뉴스
Int'l community applauds Sudan political agreement
https://www.dabangas[...]
2019-07-18
[47]
웹인용
Political Agreement on establishing the structures and institutions of the transitional period between the Transitional Military Council and the Declaration of Freedom and Change Forces
https://www.dabangas[...]
2019-07-18
[48]
뉴스
Darfur displaced reject opposition - junta agreement
https://www.dabangas[...]
2019-07-20
[49]
뉴스
Sudan rebels reject junta-opposition political agreement
https://www.dabangas[...]
2019-07-20
[50]
뉴스
Sudan opposition: Political accord gives all power to junta
https://www.dabangas[...]
2019-07-20
[51]
뉴스
Sudanese Journalists Network criticises junta-opposition deal
https://www.dabangas[...]
2019-07-20
[52]
웹인용
(الدستوري Declaration (العربية))
http://raisethevoice[...]
2019-08-05
[53]
웹인용
Sudan: Draft Constitutional Charter for the 2019 Transitional Period
https://sudanreeves.[...]
2019-08-10
[54]
뉴스
Sudan Constitutional Declaration signed – Sovereign Council to be announced in two weeks
https://www.dabangas[...]
2019-08-04
[55]
뉴스
Sudan protest leaders, military sign transitional government deal
https://www.aljazeer[...]
2019-08-1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