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슈어 직교 관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슈어 직교 관계는 콤팩트 위상군 또는 유한군의 기약 표현에 대한 직교 관계를 설명하는 정리이다. 콤팩트 군의 경우, 기약 표현의 행렬 요소에 대한 적분을 통해 직교 관계가 성립하며, 유한군의 경우, 행렬 요소에 대한 합을 통해 정의된다. 이 정리는 지표 이론, 군의 구조 연구, 대칭군 및 점군 표현 등 다양한 분야에 응용되며, 알 수 없는 지표 계산, 지표표 구성, 군의 켤레류와 차수 결정 등에 활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표현론 - 매케이 화살집
    매케이 화살집은 유한군 G의 기약 표현을 꼭짓점으로, 텐서곱 분해를 통해 변을 정의하여 군의 표현론적 구조를 시각적으로 나타내는 도구이다.
  • 표현론 - 보렐-베유-보트 정리
    보렐-베유-보트 정리는 복소수 반단순 리 군의 표현론에서 층 코호몰로지를 사용하여 리 군의 기약 표현을 설명하며, 보렐-베유 정리와 보트의 일반화를 포함한다.
  • 군론 - 점군
    점군은 도형의 병진 조작을 제외한 대칭 조작들의 집합으로 군론의 공리를 만족하며, 쉐인플리스 기호나 허먼-모건 기호로 표기되고, 대칭 조작에 대응하는 행렬 표현은 가약 표현과 기약 표현으로 분해될 수 있다.
  • 군론 - 파울리 행렬
    파울리 행렬은 양자역학에서 스핀을 나타내는 데 사용되는 에르미트 행렬이자 유니타리 행렬로, 행렬식은 -1이고 대각합은 0이며, 리 대수의 생성원이자 파울리 벡터로 정의되어 다양한 물리학 분야에서 활용된다.
슈어 직교 관계
슈어 직교 관계
개요
분야표현론
내용행렬 요소는 직교성을 만족한다.
기약 표현에 대한 성질이다.
관련 항목표현론, 대표현, 직교성
상세 내용
정의G를 유한군이라 하자.
ρ, ρ'을 G의 기약 선형 표현이라 하자.
ρ: G → GL(V), ρ': G → GL(V')
여기서 V, V'은 유한차원 복소 벡터 공간이다.
<ρij, ρ'kl> = (1/|G|) Σx∈G ρij(x)ρ'kl(x⁻¹) = δρ,ρ' δik δjl (슈어 직교 관계)
설명여기서 δρ,ρ'은 표현 ρ와 ρ'이 동형일 때 1이고, 그렇지 않으면 0이다.
δik는 i = k일 때 1이고, 그렇지 않으면 0이다 (크로네커 델타).
유사하게 δjl은 j = l일 때 1이고, 그렇지 않으면 0이다.
슈어 직교 관계는 기약 표현의 행렬 요소들이 서로 직교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표현론에서 중요한 결과이며, 기약 표현을 분류하고 분석하는 데 사용된다.

2. 정의

G콤팩트 위상군이라고 하자. 이러한 군은 좌·우 하르 측도가 일치하며, 군의 총 측도가 1이 되게 (즉, 확률 공간이 되게) 규격화할 수 있다.

그렇다면, G의 복소수 연속 기약 표현들의 (동형류의) 집합을 \{\pi_\alpha\}_{a\in I}라고 하자. 이들은 연속 군 준동형

:\pi_\alpha\colon G\to\operatorname{GL}(V_\alpha)

이며, V_\alpha는 모두 유한 차원 복소 벡터 공간이다. 또한, 각 V_\alpha에 기저를 주어, 유한 차원 복소 힐베르트 공간으로 만들자. V_i정규 직교 기저\

\sum_{g \in G} \alpha(g) \overline{\beta(g)}

여기서 \overline{\beta(g)}는 ''g''에 대한 \beta의 값의 복소 켤레를 나타낸다. 이 내적과 관련하여, 기약 지표는 함수류 공간에 대한 정규 직교 기저를 형성하며, 이는 지표표의 행에 대한 직교 관계를 생성한다.

:\left\langle \chi_i, \chi_j \right\rangle = \begin{cases} 0& \mbox{ if } i \ne j, \\ 1& \mbox{ if } i=j. \end{cases}

g, h \in G에 대해 지표표의 열에 동일한 내적을 적용하면 다음과 같다.

:\sum_{\chi_i} \chi_i(g) \overline{\chi_i(h)} = \begin{cases} \left| C_G(g) \right| & \mbox{ if } g, h \mbox{ are conjugate } \\ 0& \mbox{ otherwise.}\end{cases}

여기서 합은 G의 모든 기약 지표 \chi_i에 대한 것이며, \left | C_G(g) \right |g의 중앙화 부분군의 차수를 나타낸다. 지표표의 동일한 열에 gh가 있을 때만 gh켤레류이므로, 이는 지표표의 열이 직교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직교 관계는 다음을 포함한 많은 계산을 돕는다.

  • 알 수 없는 지표를 기약 지표의 선형 결합으로 분해하기
  • 일부 기약 지표만 알려져 있을 때 완전한 지표표 구성하기
  • 군의 켤레류의 대표자의 중앙화 부분군의 차수 찾기
  • 군의 차수 찾기

\Gamma^{(\lambda)} (R)_{mn}을 차수가 |''G''|인 유한군 G = \{R\}의 행렬 요소 중 기약 행렬 표현 \Gamma^{(\lambda)}이라고 하자. 임의의 유한군의 모든 행렬 표현은 유니타리 표현과 동치임을 증명할 수 있으므로, \Gamma^{(\lambda)}가 유니타리라고 가정한다.

:

\sum_{n=1}^{l_\lambda} \; \Gamma^{(\lambda)} (R)_{nm}^*\;\Gamma^{(\lambda)} (R)_{nk} = \delta_{mk} \quad \hbox{for all}\quad R \in G,



여기서 l_\lambda는 기약 표현 \Gamma^{(\lambda)}의 (유한) 차원이다.[1]

'''직교 관계'''는 ''기약'' 표현의 행렬 요소에 대해서만 유효하며, 다음과 같다.

:

\sum_{R\in G}^

\; \Gamma^{(\lambda)} (R)_{nm}^*\;\Gamma^{(\mu)} (R)_{n'm'} =

\delta_{\lambda\mu} \delta_{nn'}\delta_{mm'} \frac

{l_\lambda}.



여기서 \Gamma^{(\lambda)} (R)_{nm}^*\Gamma^{(\lambda)} (R)_{nm}\,의 켤레 복소수이며, 합은 ''G''의 모든 원소에 대한 것이다.

크로네커 델타\delta_{\lambda\mu}는 행렬이 동일한 기약 표현 \Gamma^{(\lambda)} = \Gamma^{(\mu)}에 있으면 1이다. \Gamma^{(\lambda)}\Gamma^{(\mu)}가 동치이지 않으면 0이다. 나머지 두 크로네커 델타는 0이 아닌 결과를 얻으려면 행과 열의 인덱스가 같아야 함(n=n'm=m')을 나타낸다. 이 정리는 대(Great) 직교 정리(Grand Orthogonality Theorem)라고도 알려져 있다.

모든 군은 항등 표현(모든 군 원소가 1에 매핑됨)을 갖는다.

이것은 기약 표현이다. 대 직교 관계는 즉시 다음을 의미한다.

:

\sum_{R\in G}^

\; \Gamma^{(\mu)} (R)_{nm} = 0



n,m=1,\ldots,l_\mu이고 항등 표현과 같지 않은 임의의 기약 표현 \Gamma^{(\mu)}\,에 대해.

대직교성 정리를 구체적인 예에 응용함으로써, 다음과 같은 중요한 결론이 도출된다.

# 어떤 점군에 가능한 기약 표현이 전부 ''n''개 있었다고 가정하자. 이 각 기약 표현의 차원의 제곱을 기약 표현 전체에 걸쳐 더한 것은, 그 점군의 차수(즉, 원소의 수, 대칭 조작의 수)와 같다.

# 어떤 기약 표현에 대해, 그 대상 조작에 해당하는 각 표현 행렬의 지표의 제곱을 모든 대칭 조작에 대해 더한 것은, 그 점군의 차수와 같다.

# 1개의 점군의 2개의 기약 표현에 대해, 같은 대칭 조작에 해당하는 각각의 표현 행렬의 지표를 만들었을 때, 그 곱을 모든 대칭 조작에 대해 더한 것은 0이 된다. 다시 말해, 기약 표현의 모든 대칭 조작의 표현 행렬의 지표를 성분으로 하는 벡터는, 다른 기약 표현 간에 직교한다(단순 지표의 직교성).

# 어떤 점군에 가능한 기약 표현의 수는, 그 류의 수와 같다.

# 같은 류에 속하는 표현 행렬의 지표는 같다(닮음 변환의 성질).

2. 1. 유한군에 대한 슈어 직교성

G가 (이산 위상의) 유한군이라고 하자. 이 경우, 하르 측도는 셈측도에 비례한다.

이 경우, 다음이 추가로 성립한다. 임의의 g,h\in G에 대하여,

:\sum_{\alpha\in I}\overline{\operatorname{tr}\pi_\alpha(h)} \operatorname{tr}\pi_\alpha(g) = |C_G(g)|\delta_{[g],[h]}

여기서 [g],[h]\in\operatorname{Cl}(G)는 군의 원소의 공액류이며, |C_G(g)|g의 중심화 부분군 C_G(g)크기이다.

복소수 값을 갖는 유한 ''G''의 함수류의 공간은 다음과 같은 자연스러운 내적을 갖는다.

:\left\langle \alpha, \beta \right\rangle := \frac{1}{\left| G \right|}\sum_{g \in G} \alpha(g) \overline{\beta(g)}

여기서 \overline{\beta(g)}는 ''g''에 대한 \beta의 값의 복소 켤레를 나타낸다. 이 내적과 관련하여, 기약 지표는 함수류 공간에 대한 정규 직교 기저를 형성하며, 이는 지표표의 행에 대한 직교 관계를 생성한다.

:\left\langle \chi_i, \chi_j \right\rangle = \begin{cases} 0& \mbox{ if } i \ne j, \\ 1& \mbox{ if } i=j. \end{cases}

g, h \in G에 대해 지표표의 열에 동일한 내적을 적용하면 다음과 같다.

:\sum_{\chi_i} \chi_i(g) \overline{\chi_i(h)} = \begin{cases} \left| C_G(g) \right| & \mbox{ if } g, h \mbox{ are conjugate } \\ 0& \mbox{ otherwise.}\end{cases}

여기서 합은 G의 모든 기약 지표 \chi_i에 대한 것이며, \left | C_G(g) \right |g의 중앙화 부분군의 차수를 나타낸다. 지표표의 동일한 열에 gh가 있을 때만 gh켤레류이므로, 이는 지표표의 열이 직교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직교 관계는 다음을 포함한 많은 계산을 돕는다.

  • 알 수 없는 지표를 기약 지표의 선형 결합으로 분해하기
  • 일부 기약 지표만 알려져 있을 때 완전한 지표표 구성하기
  • 군의 켤레류의 대표자의 중앙화 부분군의 차수 찾기
  • 군의 차수 찾기

\Gamma^{(\lambda)} (R)_{mn}을 차수가 |''G''|인 유한군 G = \{R\}의 행렬 요소 중 기약 행렬 표현 \Gamma^{(\lambda)}이라고 하자. 임의의 유한군의 모든 행렬 표현은 유니타리 표현과 동치임을 증명할 수 있으므로, \Gamma^{(\lambda)}가 유니타리라고 가정한다.

:

\sum_{n=1}^{l_\lambda} \; \Gamma^{(\lambda)} (R)_{nm}^*\;\Gamma^{(\lambda)} (R)_{nk} = \delta_{mk} \quad \hbox{for all}\quad R \in G,



여기서 l_\lambda는 기약 표현 \Gamma^{(\lambda)}의 (유한) 차원이다.[1]

'''직교 관계'''는 ''기약'' 표현의 행렬 요소에 대해서만 유효하며, 다음과 같다.

:

\sum_{R\in G}^

\; \Gamma^{(\lambda)} (R)_{nm}^*\;\Gamma^{(\mu)} (R)_{n'm'} =

\delta_{\lambda\mu} \delta_{nn'}\delta_{mm'} \frac

{l_\lambda}.



여기서 \Gamma^{(\lambda)} (R)_{nm}^*\Gamma^{(\lambda)} (R)_{nm}\,의 켤레 복소수이며, 합은 ''G''의 모든 원소에 대한 것이다.

크로네커 델타\delta_{\lambda\mu}는 행렬이 동일한 기약 표현 \Gamma^{(\lambda)} = \Gamma^{(\mu)}에 있으면 1이다. \Gamma^{(\lambda)}\Gamma^{(\mu)}가 동치이지 않으면 0이다. 나머지 두 크로네커 델타는

0이 아닌 결과를 얻으려면 행과 열의 인덱스가 같아야 함(n=n'm=m')을 나타낸다. 이 정리는 대(Great) 직교 정리(Grand Orthogonality Theorem)라고도 알려져 있다.

모든 군은 항등 표현(모든 군 원소가 1에 매핑됨)을 갖는다.

이것은 기약 표현이다. 대 직교 관계는 즉시 다음을 의미한다.

:

\sum_{R\in G}^

\; \Gamma^{(\mu)} (R)_{nm} = 0



n,m=1,\ldots,l_\mu이고 항등 표현과 같지 않은 임의의 기약 표현 \Gamma^{(\mu)}\,에 대해.

대직교성 정리를 구체적인 예에 응용함으로써, 다음과 같은 중요한 결론이 도출된다.

# 어떤 점군에 가능한 기약 표현이 전부 ''n''개 있었다고 가정하자. 이 각 기약 표현의 차원의 제곱을 기약 표현 전체에 걸쳐 더한 것은, 그 점군의 차수(즉, 원소의 수, 대칭 조작의 수)와 같다.

# 어떤 기약 표현에 대해, 그 대상 조작에 해당하는 각 표현 행렬의 지표의 제곱을 모든 대칭 조작에 대해 더한 것은, 그 점군의 차수와 같다.

# 1개의 점군의 2개의 기약 표현에 대해, 같은 대칭 조작에 해당하는 각각의 표현 행렬의 지표를 만들었을 때, 그 곱을 모든 대칭 조작에 대해 더한 것은 0이 된다. 다시 말해, 기약 표현의 모든 대칭 조작의 표현 행렬의 지표를 성분으로 하는 벡터는, 다른 기약 표현 간에 직교한다(단순 지표의 직교성).

# 어떤 점군에 가능한 기약 표현의 수는, 그 류의 수와 같다.

# 같은 류에 속하는 표현 행렬의 지표는 같다(닮음 변환의 성질).

2. 1. 1. 내적을 이용한 표현

복소수 값을 갖는 유한 ''G''의 함수류의 공간은 다음과 같은 자연스러운 내적을 갖는다.

:\left\langle \alpha, \beta \right\rangle := \frac{1}{\left| G \right|}\sum_{g \in G} \alpha(g) \overline{\beta(g)}

여기서 \overline{\beta(g)}는 ''g''에 대한 \beta의 값의 복소 켤레를 나타낸다. 이 내적과 관련하여, 기약 지표는 함수류 공간에 대한 정규 직교 기저를 형성하며, 이는 지표표의 행에 대한 직교 관계를 생성한다.

:\left\langle \chi_i, \chi_j \right\rangle = \begin{cases} 0& \mbox{ if } i \ne j, \\ 1& \mbox{ if } i=j. \end{cases}

g, h \in G에 대해 지표표의 열에 동일한 내적을 적용하면 다음과 같다.

:\sum_{\chi_i} \chi_i(g) \overline{\chi_i(h)} = \begin{cases} \left| C_G(g) \right| & \mbox{ if } g, h \mbox{ are conjugate } \\ 0& \mbox{ otherwise.}\end{cases}

여기서 합은 G의 모든 기약 지표 \chi_i에 대한 것이며, \left | C_G(g) \right |g의 중앙화 부분군의 차수를 나타낸다. 지표표의 동일한 열에 gh가 있을 때만 gh켤레류이므로, 이는 지표표의 열이 직교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2. 1. 2. 행렬 표현을 이용한 표현

G가 (이산 위상의) 유한군이라고 하자. \Gamma^{(\lambda)} (R)_{mn}을 차수가 |''G''|인 유한군 G = \{R\}의 행렬 요소 중 기약 행렬 표현 \Gamma^{(\lambda)}이라고 하자. 임의의 유한군의 모든 행렬 표현은 유니타리 표현과 동치임을 증명할 수 있으므로, \Gamma^{(\lambda)}가 유니타리라고 가정한다.

:

\sum_{n=1}^{l_\lambda} \; \Gamma^{(\lambda)} (R)_{nm}^*\;\Gamma^{(\lambda)} (R)_{nk} = \delta_{mk} \quad \hbox{for all}\quad R \in G,



여기서 l_\lambda는 기약 표현 \Gamma^{(\lambda)}의 (유한) 차원이다.[1]

'''직교 관계'''는 ''기약'' 표현의 행렬 요소에 대해서만 유효하며, 다음과 같다.

:

\sum_{R\in G}^

\; \Gamma^{(\lambda)} (R)_{nm}^*\;\Gamma^{(\mu)} (R)_{n'm'} =

\delta_{\lambda\mu} \delta_{nn'}\delta_{mm'} \frac

{l_\lambda}.



여기서 \Gamma^{(\lambda)} (R)_{nm}^*\Gamma^{(\lambda)} (R)_{nm}\,의 켤레 복소수이며, 합은 ''G''의 모든 원소에 대한 것이다.

크로네커 델타\delta_{\lambda\mu}는 행렬이 동일한 기약 표현 \Gamma^{(\lambda)} = \Gamma^{(\mu)}에 있으면 1이다. \Gamma^{(\lambda)}\Gamma^{(\mu)}가 동치이지 않으면 0이다. 나머지 두 크로네커 델타는 0이 아닌 결과를 얻으려면 행과 열의 인덱스가 같아야 함(n=n'm=m')을 나타낸다. 이 정리는 대(Great) 직교 정리(Grand Orthogonality Theorem)라고도 알려져 있다.

모든 군은 항등 표현(모든 군 원소가 1에 매핑됨)을 갖는다. 이것은 기약 표현이다. 대 직교 관계는 즉시 다음을 의미한다.

:

\sum_{R\in G}^

\; \Gamma^{(\mu)} (R)_{nm} = 0



n,m=1,\ldots,l_\mu이고 항등 표현과 같지 않은 임의의 기약 표현 \Gamma^{(\mu)}\,에 대해.

대직교성 정리를 구체적인 예에 응용함으로써, 다음과 같은 중요한 결론이 도출된다.

# 어떤 점군에 가능한 기약 표현이 전부 ''n''개 있었다고 가정하자. 이 각 기약 표현의 차원의 제곱을 기약 표현 전체에 걸쳐 더한 것은, 그 점군의 차수(즉, 원소의 수, 대칭 조작의 수)와 같다.

# 어떤 기약 표현에 대해, 그 대상 조작에 해당하는 각 표현 행렬의 지표의 제곱을 모든 대칭 조작에 대해 더한 것은, 그 점군의 차수와 같다.

# 1개의 점군의 2개의 기약 표현에 대해, 같은 대칭 조작에 해당하는 각각의 표현 행렬의 지표를 만들었을 때, 그 곱을 모든 대칭 조작에 대해 더한 것은 0이 된다. 다시 말해, 기약 표현의 모든 대칭 조작의 표현 행렬의 지표를 성분으로 하는 벡터는, 다른 기약 표현 간에 직교한다(단순 지표의 직교성).

# 어떤 점군에 가능한 기약 표현의 수는, 그 류의 수와 같다.

# 같은 류에 속하는 표현 행렬의 지표는 같다(닮음 변환의 성질).

2. 2. 콤팩트 군에 대한 슈어 직교성

G콤팩트위상군이면 좌·우 하르 측도가 일치하며, 군의 총 측도가 1이 되게 규격화할 수 있다.

G의 복소수 연속 기약 표현들의 (동형류의) 집합을 \{\pi_\alpha\}_{a\in I}라고 하면, 이들은 연속 군 준동형이다.

:\pi_\alpha\colon G\to\operatorname{GL}(V_\alpha)

이며, V_\alpha는 모두 유한 차원 복소 벡터 공간이다. V_i정규 직교 기저\{|e_i\rangle\}_{i=1,\dots,\dim V_\alpha}라고 하면, 다음이 성립한다.

:\int_G\overline{\langle e_{i'}|\pi_{\alpha'}(g)|e_{j'}\rangle}\langle e_i|\pi_\alpha(g)|e_j\rangle\,dg=\frac1{\dim V_\alpha}\delta_{\alpha,\alpha'}\delta_{i,i'}\delta_{j,j'}

따라서, 지표에 대해서는 다음이 성립한다.

:\int_G\overline{\operatorname{tr}\pi_{\alpha'}(g)}\operatorname{tr}\pi_\alpha(g)\,dg=\delta_{\alpha,\alpha'}

유한군에서 콤팩트군으로의 직교 관계의 일반화(SO(3)과 같은 콤팩트 리 군 포함)는 기본적으로 간단하며, 그룹에 대한 합산을 그룹에 대한 적분으로 바꾼다.

모든 콤팩트군 G는 고유한 양쪽 불변 하르 측도를 가지므로 그룹의 부피는 1이다. 이 측도를 dg로 나타낸다. (\pi^\alpha)G의 기약 표현의 완전한 집합이라고 하고, \phi^\alpha_{v,w}(g)=\langle v,\pi^\alpha(g)w\rangle 를 표현 \pi^\alpha의 행렬 계수라고 하면 직교 관계는 두 부분으로 나눌 수 있다.

1) \pi^\alpha \ncong \pi^\beta 이면

:

\int_G \phi^\alpha_{v,w}(g)\phi^\beta_{v',w'}(g)dg=0



2) \{e_i\}가 표현 공간 \pi^\alpha의 정규 직교 기저이면

:

\int_G \phi^\alpha_{e_i,e_j}(g)\overline{\phi^\alpha_{e_m,e_n}(g)}dg=\delta_{i,m}\delta_{j,n}\frac{1}{d^\alpha}



여기서 d^\alpha\pi^\alpha의 차원이다. 이러한 직교 관계와 모든 표현이 유한 차원을 갖는다는 사실은 페터-바일 정리의 결과이다.

콤팩트 리 군의 기약 행렬 표현은 유한 차원이며 유니터리하게 선택할 수 있다.

:

\Gamma^{(\lambda)}(R^{-1}) =\Gamma^{(\lambda)}(R)^{-1}=\Gamma^{(\lambda)}(R)^\dagger\quad \hbox{with}\quad \Gamma^{(\lambda)}(R)^\dagger_{mn} \equiv \Gamma^{(\lambda)}(R)^*_{nm}.



약식 표기법

:

\Gamma^{(\lambda)}(\mathbf{x})= \Gamma^{(\lambda)}\Big(R(\mathbf{x})\Big)



을 사용하면 직교 관계는 다음과 같은 형식을 취한다.

:

\int_{x_1^0}^{x_1^1} \cdots \int_{x_r^0}^{x_r^1}\; \Gamma^{(\lambda)}(\mathbf{x})^*_{nm} \Gamma^{(\mu)}(\mathbf{x})_{n'm'}\; \omega(\mathbf{x}) dx_1\cdots dx_r \; = \delta_{\lambda \mu} \delta_{n n'} \delta_{m m'} \frac

{l_\lambda},



여기서 그룹의 부피는 다음과 같다.

:

|G| = \int_{x_1^0}^{x_1^1} \cdots \int_{x_r^0}^{x_r^1} \omega(\mathbf{x}) dx_1\cdots dx_r .


3. 역사

이사이 슈어가 유한군에 대하여 증명하였다.

4. 응용

대직교성 정리를 구체적인 예에 응용함으로써, 다음과 같은 중요한 결론이 도출된다.

# 어떤 점군에 가능한 기약 표현이 전부 ''n''개 있었다고 가정하자. 이 각 기약 표현의 차원의 제곱을 기약 표현 전체에 걸쳐 더한 것은, 그 점군의 차수(즉, 원소의 수, 대칭 조작의 수)와 같다.

# 어떤 기약 표현에 대해, 그 대상 조작에 해당하는 각 표현 행렬의 지표의 제곱을 모든 대칭 조작에 대해 더한 것은, 그 점군의 차수와 같다.

# 1개의 점군의 2개의 기약 표현에 대해, 같은 대칭 조작에 해당하는 각각의 표현 행렬의 지표를 만들었을 때, 그 곱을 모든 대칭 조작에 대해 더한 것은 0이 된다.
다시 말해, 기약 표현의 모든 대칭 조작의 표현 행렬의 지표를 성분으로 하는 벡터는, 다른 기약 표현 간에 직교한다(단순 지표의 직교성).

# 어떤 점군에 가능한 기약 표현의 수는, 그 류의 수와 같다.

# 같은 류에 속하는 표현 행렬의 지표는 같다(닮음 변환의 성질).

4. 1. 지표 이론

대각합의 모음은 표현의 ''문자'' \chi \equiv \{\operatorname{Tr}\big(\Gamma(R)\big)\;|\; R \in G\} 이다. 종종 문자 \chi^{(\lambda)}를 갖는 기약 표현에서 행렬의 대각합에 대해 다음과 같이 쓴다.

:\chi^{(\lambda)} (R)\equiv \operatorname{Tr}\left(\Gamma^{(\lambda)}(R)\right).

이 표기법에서 여러 문자 공식을 쓸 수 있다.

:\sum_{R\in G}^

\chi^{(\lambda)}(R)^* \, \chi^{(\mu)}(R)= \delta_{\lambda\mu} |G|,

이것은 표현이 기약적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데 사용할 수 있다. (이 공식은 모든 문자표의 줄이 직교 벡터여야 함을 의미한다.)

그리고

:\sum_{R\in G}^

\chi^{(\lambda)}(R)^* \, \chi(R) = n^{(\lambda)} |G|,

이것은 기약 표현 \Gamma^{(\lambda)}이 문자 \chi(R)를 갖는 가약 표현 \Gamma \, 내에 얼마나 자주 포함되어 있는지 결정하는 데 도움이 된다.

예를 들어, 만약

:n^{(\lambda)}\, |G| = 96

이고, 군의 차수가

:|G| = 24\,

이라면, \Gamma^{(\lambda)}\,이 주어진

''가약'' 표현 \Gamma \, 내에 포함되는 횟수는

:n^{(\lambda)} = 4\, .

군 문자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문자 이론을 참조하십시오.

대직교성 정리를 구체적인 예에 응용함으로써, 다음과 같은 중요한 결론이 도출된다.

# 어떤 점군에 가능한 기약 표현이 전부 ''n''개 있었다고 가정하자. 이 각 기약 표현의 차원의 제곱을 기약 표현 전체에 걸쳐 더한 것은, 그 점군의 차수(즉, 원소의 수, 대칭 조작의 수)와 같다.

# 어떤 기약 표현에 대해, 그 대상 조작에 해당하는 각 표현 행렬의 지표의 제곱을 모든 대칭 조작에 대해 더한 것은, 그 점군의 차수와 같다.

# 1개의 점군의 2개의 기약 표현에 대해, 같은 대칭 조작에 해당하는 각각의 표현 행렬의 지표를 만들었을 때, 그 곱을 모든 대칭 조작에 대해 더한 것은 0이 된다.
다시 말해, 기약 표현의 모든 대칭 조작의 표현 행렬의 지표를 성분으로 하는 벡터는, 다른 기약 표현 간에 직교한다(단순 지표의 직교성).

# 어떤 점군에 가능한 기약 표현의 수는, 그 류의 수와 같다.

# 같은 류에 속하는 표현 행렬의 지표는 같다(닮음 변환의 성질).

4. 2. 군의 구조 연구

행렬의 대각합은 대각선 행렬 요소의 합이며, 표현의 ''문자'' \chi \equiv \{\operatorname{Tr}\big(\Gamma(R)\big)\;|\; R \in G\}는 대각합의 모음이다. 문자 \chi^{(\lambda)}를 갖는 기약 표현에서 행렬의 대각합은 다음과 같이 쓸 수 있다.

:\chi^{(\lambda)} (R)\equiv \operatorname{Tr}\left(\Gamma^{(\lambda)}(R)\right).

이 표기법에서 여러 문자 공식을 쓸 수 있다.

:\sum_{R\in G}^

\chi^{(\lambda)}(R)^* \, \chi^{(\mu)}(R)= \delta_{\lambda\mu} |G|,

이것은 표현이 기약적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데 사용할 수 있다. (이 공식은 모든 문자표의 줄이 직교 벡터여야 함을 의미한다.)

그리고

:\sum_{R\in G}^

\chi^{(\lambda)}(R)^* \, \chi(R) = n^{(\lambda)} |G|,

이것은 기약 표현 \Gamma^{(\lambda)}이 문자 \chi(R)를 갖는 가약 표현 \Gamma \, 내에 얼마나 자주 포함되어 있는지 결정하는 데 도움이 된다.

예를 들어, 만약

:n^{(\lambda)}\, |G| = 96

이고, 군의 차수가

:|G| = 24\,

이라면, \Gamma^{(\lambda)}\,이 주어진

''가약'' 표현 \Gamma \, 내에 포함되는 횟수는

:n^{(\lambda)} = 4\, .이다.

군 문자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문자 이론을 참조하십시오.

대직교성 정리를 구체적인 예에 응용함으로써, 다음과 같은 중요한 결론이 도출된다.

# 어떤 점군에 가능한 기약 표현이 전부 ''n''개 있었다고 가정하자. 이 각 기약 표현의 차원의 제곱을 기약 표현 전체에 걸쳐 더한 것은, 그 점군의 차수(즉, 원소의 수, 대칭 조작의 수)와 같다.

# 어떤 기약 표현에 대해, 그 대상 조작에 해당하는 각 표현 행렬의 지표의 제곱을 모든 대칭 조작에 대해 더한 것은, 그 점군의 차수와 같다.

# 1개의 점군의 2개의 기약 표현에 대해, 같은 대칭 조작에 해당하는 각각의 표현 행렬의 지표를 만들었을 때, 그 곱을 모든 대칭 조작에 대해 더한 것은 0이 된다.
다시 말해, 기약 표현의 모든 대칭 조작의 표현 행렬의 지표를 성분으로 하는 벡터는, 다른 기약 표현 간에 직교한다(단순 지표의 직교성).

# 어떤 점군에 가능한 기약 표현의 수는, 그 류의 수와 같다.

# 같은 류에 속하는 표현 행렬의 지표는 같다(닮음 변환의 성질).

4. 3. 대칭군(Symmetric group)의 표현

대칭군의 표현은 조합론, 표현론, 양자역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진다. 세 개의 객체의 3! 순열은 차수가 6인 군을 형성하며, 일반적으로 (3차 대칭군)로 표시된다. 이 군은 삼중 회전 축과 세 개의 수직 거울면으로 구성된 점군 C_{3v} 와 동형이다. 이 군들은 2차원 기약 표현(''l'' = 2)을 갖는다. 의 경우, 일반적으로 이 표현을 영 도표 \lambda = [2,1]로 표시하고, C_{3v}의 경우 \lambda = E로 쓴다. 두 경우 모두 표현은 각 그룹 요소를 나타내는 다음 여섯 개의 실수 행렬로 구성된다.

:\begin{pmatrix}

1 & 0 \\

0 & 1

\end{pmatrix}\quad\begin{pmatrix}

1 & 0 \\

0 & -1

\end{pmatrix}\quad\begin{pmatrix}

  • \frac{1}{2} & \frac{\sqrt{3}}{2} \\

\frac{\sqrt{3}}{2}& \frac{1}{2}

\end{pmatrix}\quad\begin{pmatrix}

  • \frac{1}{2} & -\frac{\sqrt{3}}{2} \\
  • \frac{\sqrt{3}}{2}& \frac{1}{2}

\end{pmatrix}\quad\begin{pmatrix}

  • \frac{1}{2} & \frac{\sqrt{3}}{2} \\
  • \frac{\sqrt{3}}{2}& -\frac{1}{2}

\end{pmatrix}\quad\begin{pmatrix}

  • \frac{1}{2} & -\frac{\sqrt{3}}{2} \\

\frac{\sqrt{3}}{2}& -\frac{1}{2}

\end{pmatrix}

(1,1) 요소의 정규화를 보면 다음과 같다.

:\sum_{R \in G}^{6} \; \Gamma(R)_{11}^*\;\Gamma(R)_{11} = 1^2 + 1^2 + \left(-\tfrac{1}{2}\right)^2 + \left(-\tfrac{1}{2}\right)^2 + \left(-\tfrac{1}{2}\right)^2 + \left(-\tfrac{1}{2}\right)^2

= 3.

같은 방식으로 다른 행렬 요소 (2,2), (1,2) 및 (2,1)의 정규화를 보일 수 있다. (1,1)과 (2,2) 요소의 직교성을 보면 다음과 같다.

: \sum_{R\in G}^{6} \; \Gamma(R)_{11}^*\;\Gamma(R)_{22} = 1^2+(1)(-1)+\left(-\tfrac{1}{2}\right)\left(\tfrac{1}{2}\right)

+\left(-\tfrac{1}{2}\right)\left(\tfrac{1}{2}\right)

+\left(-\tfrac{1}{2}\right)^2 +\left(-\tfrac{1}{2}\right)^2

= 0 .



유사한 관계가 (1,1)과 (1,2) 요소의 직교성 등에도 적용된다.

예제에서 주어진 기약 표현이 항등 표현에 직교하기 때문에 대응되는 모든 행렬 요소의 합이 사라진다는 것을 쉽게 확인할 수 있다.

4. 4. 점군(Point group)의 표현

점군은 결정학, 분자 구조 연구, 양자화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는 중요한 개념이다. 점군 C₂v의 예를 통해 슈어 직교성의 적용 사례를 살펴볼 수 있다.

어떤 점군에 가능한 기약 표현이 전부 ''n''개 있다고 가정할 때, 각 기약 표현 차원의 제곱을 기약 표현 전체에 걸쳐 더한 것은 그 점군의 차수(원소의 수, 대칭 조작의 수)와 같다. 어떤 기약 표현에 대해, 그 대상 조작에 해당하는 각 표현 행렬의 지표의 제곱을 모든 대칭 조작에 대해 더한 것은 그 점군의 차수와 같다.

1개의 점군의 2개의 기약 표현에 대해, 같은 대칭 조작에 해당하는 각각의 표현 행렬의 지표를 만들었을 때, 그 곱을 모든 대칭 조작에 대해 더한 것은 0이 된다. 다시 말해, 기약 표현의 모든 대칭 조작의 표현 행렬의 지표를 성분으로 하는 벡터는 다른 기약 표현 간에 직교한다(단순 지표의 직교성).

어떤 점군에 가능한 기약 표현의 수는 그 류의 수와 같다. 같은 류에 속하는 표현 행렬의 지표는 같다(닮음 변환의 성질).

점군 ''C2v''의 대칭 조작의 수는 ''E'', ''C2'', ''σv'', ''σv' ''의 4개이다. 이 군을 구성하는 4개의 기약 표현 ''A1'', ''A2'', ''B1'', ''B2''의 차수는 모두 1이므로, 그 제곱을 더한 것은 4이다. 점군 ''C2v''의 하나의 기약 표현 ''B1''을 생각하면, 지표의 제곱을 더하면 (1)²+(-1)²+(1)²+(-1)²=4가 된다. 이것은 점군 ''C2v''의 대칭 조작의 수 4와 같다. 점군 ''C2v''의 기약 표현 ''A2''와 ''B1''을 생각하면, (1)(1)+(1)(-1)+(-1)(1)+(-1)(-1)=0 이 된다. 점군 ''C2v''에는 {''E'', ''C2'', ''σv'', ''σv' ''}라는 요소가 존재하지만, 각각의 요소 자신이 류를 형성한다. 따라서 4개의 류가 존재하며, 기약 표현도 4종류가 있다.

5. 더불어민주당 관점에서의 추가 설명 (선택 사항)

5. 1. 인물 관련

이사이 슈어가 유한군에 대하여 슈어 직교성 정리를 증명하였다.

5. 2. 사건 관련

5. 3. 국제 관계 관련

참조

[1] 문서 The finiteness of l_\lambda follows from the fact that any irreducible representation of a finite group ''G'' is contained in the [[regular representation]].
[2] 문서 This choice is not unique; any orthogonal similarity transformation applied to the matrices gives a valid irreducible representation.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