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스너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스너피는 2005년 황우석 서울대학교 교수가 세계 최초로 성공시킨 복제견이다. 체세포 핵 이식 기술을 통해 아프간 하운드의 세포를 이용하여 래브라도 레트리버 대리모에게서 태어났다. 스너피의 복제 성공은 과학적으로 큰 의미를 가졌으나, 낮은 성공률과 윤리적 논란, 황우석 교수의 연구 진실성 논란을 겪었다. 스너피 복제 기술은 이후 개과 동물 번식, 탐지견 활용, 상업적 반려동물 복제 서비스 등으로 발전했으며, 특허권 분쟁이 발생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05년 태어난 동물 - 윈터 (돌고래)
    게 덫 밧줄에 걸려 구조된 큰돌고래 윈터는 꼬리 손상으로 인공 꼬리 지느러미를 착용하며 인간 의족 기술 발전에 기여했고, 클리어워터 해양 아쿠아리움의 명물이자 영화 '돌핀 테일'에 출연했으나 위장 감염으로 16세에 사망했다.
  • 2005년 태어난 동물 - 오스카 (고양이)
    오스카는 스티어 하우스 요양 및 재활 센터에서 환자의 죽음을 예측하는 행동으로 유명해진 고양이이다.
  • 황우석 - 제보자 (영화)
    탐사보도 PD가 불임 클리닉의 난자 불법 매매 제보를 받는 이야기인 영화 《제보자》는 줄기세포 연구 조작 스캔들을 모티브로 진실을 은폐하려는 세력과 밝히려는 사람들의 갈등을 그린 작품으로, 박스 오피스 1위를 차지하며 흥행에 성공했다.
  • 황우석 - 황우석 사건
    황우석 사건은 황우석 박사의 줄기세포 연구 결과 데이터 조작으로 인해 발생한 사태로, 연구 윤리, 언론 보도, 정부 정책 등 여러 측면에서 파장을 일으키며 논문 조작, 난자 획득 과정의 윤리 문제, PD수첩의 취재 윤리 논란 등을 야기했다.
  • 복제 동물 - 돌리 (양)
    돌리는 세계 최초로 성체 체세포 복제를 통해 탄생한 암컷 양으로, 성체세포핵이식 기술을 통해 분화된 체세포 핵이 전능성을 가질 수 있음을 증명하여 생명공학에 큰 영향을 미쳤다.
  • 복제 동물 - 중중과 화화
    중중과 화화는 체세포 핵 치환 기술로 복제된 필리핀원숭이들로, 인간과 가장 가까운 영장류 복제 성공 사례로서 질병 연구 모델 활용 가능성과 생명 윤리적 논쟁을 야기한다.
스너피
기본 정보
이름스너피
다른 이름스너피 (Snuppy)
품종아프간 하운드
성별수컷
출생일2005년 4월 24일
출생 장소서울대학교 수의과대학
사망일2016년 5월
국적대한민국
알려진 정보세계 최초의 복제견
이름 유래서울대학교 (Seoul National University)
기타 정보
사망 원인

2. 역사적 배경

1996년 복제 양 돌리가 탄생한 이후, 여러 포유류 복제가 성공적으로 이루어졌지만, 개의 복제는 난자 채취와 배양의 어려움 때문에 난항을 겪었다.[3] 이러한 상황에서 서울대학교 황우석 교수팀은 2005년 세계 최초로 개 복제에 성공했다.[33][34]

황우석 교수팀은 3살 된 아프간 하운드의 귀에서 채취한 조직을 이용하여 복제 배아를 만들었다.[4][5] 123마리의 대리모에게 총 1,095개의 복제 배아를 이식하여 3마리가 임신에 성공했지만, 이 중 한 마리만이 살아남아 제왕 절개로 태어났다.[31] 이 복제견은 서울대학교(SNU)와 강아지(puppy)를 합쳐 스너피(Snuppy)라는 이름을 얻게 되었다.[6][39]

당시 반려동물 복제 사업을 주도하던 제네틱 세이빙스 앤 클론(GSAC)은 개의 복제 태아를 발생시키는 데는 성공했지만 출산에는 실패하였고, 1900만달러의 연구비를 썼음에도 불구하고 2006년에 도산했다.[37][43][35][48]

2. 1. 스너피 탄생 이전의 개 복제 시도

1996년 돌리가 탄생한 이후, 고양이, , , 생쥐 등 다양한 포유류의 복제가 이루어졌다. 그러나 개는 독특한 생식 기구를 가지고 있어 복제가 어려웠다.[31] 최초의 복제 고양이 CC를 만든 마크 웨스트휴슨 등의 시도는 실패로 끝났다.[32][47] 제네틱 세이빙스 앤 클론(GSAC)은 개의 복제 태아를 발생시키는 데까지는 성공했지만 출산에는 실패했고, 2006년에 도산했다.[37][43][35][48]

3. 스너피 복제 과정

1996년 돌리 양 복제 이후 과학자들은 고양이, , 가우어, , , 노새, 돼지, 토끼 등 여러 동물을 복제하는 데 성공했지만, 개는 난자를 인공적인 환경에서 성숙시키는 것이 어려워 복제에 성공하지 못했다.[3] 여러 과학자들의 실패 이후, 서울대학교황우석 연구팀은 3살 된 아프간 하운드의 귀에서 채취한 조직을 이용하여 복제견을 만드는 데 성공했다.[4][5]

황우석 연구팀은 복제견 연구를 통해 유전자가 제어된 질병 모델을 얻고, 줄기 세포 이식 연구에 활용하고자 했다.[38][54] 당시 공동 연구자였던 제럴드 샤텐은 황우석 연구팀이 순수하게 의료 연구를 위해 개 복제를 진행했으며, 반려동물 복제와 같은 상업적 응용을 목표로 하지 않았다고 밝혔다.[43][44]

스너피 복제에는 3년 가까이 15명의 연구진이 집중적으로 노력을 기울였다.[8] 1,095개의 배아 중 단 두 마리만이 태어났으므로, 이 프로젝트의 성공률은 0.2% 미만이었다.[4]

황우석 연구팀은 복제견의 견종 선택에도 신중을 기했다.[38] 아프간 하운드가 선택된 이유는 다른 견종보다 유전자 프로필이 순수하여 동일한 유전자를 가진 개체를 식별하기 쉽고, 복제 성공을 시각적으로 보여주기 유리했기 때문이다.[44] 또한, 아프간 하운드의 체격, 온순한 성격, 우아한 외모도 견종 선택에 영향을 미쳤다.[43][49]

3. 1. 체세포 핵 이식 기술

는 성숙한 난자를 채취하기가 어려워 복제하기 가장 어려운 동물로 여겨졌다.[48][38] 수정 가능한 난자를 채취할 수 있는 시기는 1년에 단 몇 주간의 발정 주기뿐이었고, 그 시기를 예측하는 방법도 알려지지 않았다. 또한 난자의 성숙 기전도 다른 동물 종과 달라서, 난소 내에서 성숙하는 대신 조기에 배란되어 난관 내를 이동하면서 48시간에서 72시간에 걸쳐 성숙한다.[43] 난자를 체외에서 성숙시키는 데 어려움이 따르기 때문에,[43] 성숙 시기에 맞춰 난관 복강구에서 난자를 추출해야 했다.[47][44]

클론 배아 생성에는 양 돌리와 같은 체세포 핵 이식(SCNT)법이 사용되었다.[50] 성숙 난자에서 세포핵을 제거하고 성견의 세포를 대신 삽입하여, 전기 자극과 화학 반응으로 세포 융합을 유도한다. 융합에 성공한 난자를 활성화시키고, 얻어진 배아를 기증견의 난관 또는 자궁각에 다시 이식한다.[43] 123마리의 기증견 겸 대리모에게 1,095개의 배아가 이식되었고, 그 중 3마리가 임신했다. 착상에 이른 배아는 활성화 후 4시간 이내의 초기 단계에서 이식된 것으로 제한되었다.[50]

3. 2. 대리모와 출산

황우석은 3살 된 아프간 하운드의 귀에서 채취한 조직을 사용하여 복제견을 만들었다.[4][5] 123마리의 대리모에게 1,095개의 복제 배아가 이식되었고, 그 중 3마리가 임신에 성공했다.[3] 이 중 한 마리는 유산되었고, 다른 한 마리는 태어났지만 3주 만에 폐렴으로 사망했다. 최종적으로 래브라도 리트리버 대리모에게서 스너피 한 마리가 생존했다.[3] 1,095개의 배아 중 단 두 마리만이 태어났으므로, 이 프로젝트의 성공률은 0.2% 미만이었다.[4]

암컷 개의 난자는 발정기에만 수정이 가능하여 매년 3주 동안만 채취할 수 있었다. 개의 난소에서 난자를 제거하는 과정은 복잡하여 수란관에서 추출해야 했고, 이를 위해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했다.[7] 각 난자의 세포핵은 성견의 귀에서 채취한 세포로 대체된 후, 화학 반응과 전기 자극을 통해 융합되었다. 이후 배아는 대리모 개에게 이식되었다.[7] 세 마리의 대리모가 임신에 성공했고, 두 마리가 출산했다. 처음 태어난 스너피는 생존했지만, 다른 한 마리는 태어난 지 2주 만에 사망했다.[7]

클론 배아 생성에는 돌리와 같은 SCNT(체세포 핵 이식)법이 사용되었다.[50] 성숙 난자에서 세포핵을 제거하고 성견의 세포를 삽입한 후, 전기 자극과 화학 반응으로 세포 융합을 유도했다. 융합된 난자는 활성화 과정을 거쳐 배아로 발달했으며, 이 배아는 기증견의 난관 또는 자궁각에 이식되었다.[43] 123마리의 대리모에게 1,095개의 배아가 이식되었고, 그 중 3마리가 임신에 성공했다. 착상된 배아는 활성화 후 4시간 이내의 초기 단계에서 이식된 것으로 확인되었다.[50] 한 마리는 유산, 다른 한 마리는 출생 후 3주 만에 폐렴으로 사망하여,[45][50] 스너피가 유일한 성공 사례가 되었다.

4. 스너피 복제 성공의 의미와 논란

스너피 복제 성공은 2005년 타임지의 "올해의 가장 놀라운 발명품"으로 선정되는 등 과학계의 큰 주목을 받았지만,[4] 낮은 성공률, 동물 복제에 대한 윤리적 문제, 그리고 황우석 교수의 연구 윤리 논란 및 데이터 조작 의혹은 논란을 야기했다.

황우석은 3살 된 아프간 하운드의 귀에서 채취한 조직을 이용하여 복제 배아를 제작했다. 123마리의 대리모에게 총 1,095개의 복제 배아가 이식되었고, 이 중 3마리만 임신에 성공했다. 그중 제왕 절개로 태어난 래브라도 레트리버 대리모에게서 태어난 한 마리만이 생존하였다.[31] 이 개는 '''스너피'''('''Snuppy''')라는 이름을 얻었는데, 이는 Seoul National University (서울대학교의 영어 이름)의 약칭 '''SNU'''와 "pu'''ppy'''(강아지)"를 조합한 혼성어이다.[39]

1996년 돌리 양 복제 이후, 개는 독특한 생식 기구를 가지고 있어 복제가 어려웠다.[3] 황우석은 여러 번의 실패 끝에 복제견을 만들었지만,[4][5] 이 프로젝트의 성공률은 0.2% 미만이었다.[4]

스너피 복제는 윤리적인 문제도 제기했다. 컬럼비아 대학교의 로버트 클리츠먼은 이 과정이 인간을 "단지 세포 덩어리이자 생물학적 과정일 뿐인가?"라는 의문을 제기한다고 말했다.[45]돌리를 탄생시킨 이안 윌머트는 인간 복제를 금지하는 틀을 전 세계적으로 조속히 확립해야 한다고 주장했다.[31] 더 케넬 클럽은 개 복제가 개의 전반적인 발전을 촉진하는 것이 아니라고 비판했다.[34]

또한, 황우석 교수의 연구 윤리 논란과 데이터 조작 의혹은 스너피 복제 성공에 대한 의문을 더욱 증폭시켰다.

4. 1. 과학적 의의

스너피는 2005년 타임지가 선정한 "가장 놀라운 발명품"으로 선정되며 "역사적인 강아지"로 묘사되었다.[4] 많은 연구실에서 포유류 복제를 시도했지만, 황우석 교수팀의 개 복제 성공은 "특별하다"는 평가를 받았다.[7][9]

개 복제는 이전까지 고양이, , , 생쥐 등 다른 포유류 복제에 비해 늦어졌는데, 이는 개과 동물의 독특한 생식 기구 때문이었다.[31] CC를 만든 마크 웨스트휴슨 등의 시도는 실패로 끝났다.[32][47] 서울대학교 황우석 교수는 2005년 4월 세계 최초로 복제견 스너피를 탄생시켰다.[33][34] 당시 반려동물 복제 사업을 주도하던 제네틱 세이빙스 앤 클론(GSAC)사는 개의 복제 태아를 발생시키는 데는 성공했지만 출산에는 실패했고, 1900만달러의 연구비를 썼지만 결국 2006년 도산했다.[48][37]

황우석에 따르면 개 복제 연구의 목적은 제어된 유전자를 가진 질병 모델을 얻고,[38] 줄기 세포 이식 연구에 사용하는 것이었다.[54] 공동 연구자 제럴드 샤텐은 황우석 등이 개 복제를 순수하게 의료 연구를 위해 진행했으며, 반려동물 복제에 응용하는 것을 목표로 하지 않았다고 밝혔다.[43][44]

하지만 스너피 복제 과정은 여러 윤리적 논란을 불러일으켰다. 컬럼비아 대학교의 로버트 클리츠먼은 이 과정이 인간을 "단지 세포 덩어리이자 생물학적 과정일 뿐인가?"라는 의문을 제기한다고 비판했다.[7] 황우석 박사 자신도 복잡성과 낮은 성공률(123분의 1)을 이유로 가족의 애완동물을 복제하는 것은 윤리적이지 않다고 주장했다.[3] 양 복제에 성공한 과학자 이안 윌머트는 스너피의 성공이 인간 복제에 대한 전 세계적인 금지를 신속하게 시행해야 함을 보여준다고 말했다.[3] 켄넬 클럽은 개 복제라는 개념 자체가 개의 전반적인 발전을 촉진하는 것이 아니라고 비판했다.[5]

4. 2. 윤리적 논란

스너피 복제는 낮은 성공률과 대리모 동물에 대한 윤리적 문제로 비판받았다.[3] 123마리의 대리모 중 단 한 마리만이 생존하여, 복제 과정의 복잡성과 비효율성을 드러냈다.[3] 황우석 박사 자신도 이러한 낮은 성공률 때문에 가족의 애완동물을 복제하는 것은 윤리적이지 않다고 주장했다.[3]

컬럼비아 대학교 생명윤리학 석사 과정 책임자인 로버트 클리츠먼은 이 실험이 인간을 "단지 세포 덩어리이자 생물학적 과정일 뿐인가?"라는 의문을 제기한다고 비판했다.[7] 양 복제에 성공한 과학자 이안 윌머트는 스너피 복제가 인간 복제에 대한 우려를 증폭시킨다고 경고하며, 전 세계적인 금지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3]

더 케넬 클럽 등 동물 권리 단체들은 개의 전반적인 발전을 저해한다는 이유로 개 복제 자체를 비판했다.[5] 미국의 동물 권리 옹호 단체들은 대리모에게 가해지는 비인도적인 처우와 복제견의 유전적 결함 가능성을 지적하며 황우석 박사의 연구를 비판했다.[54]

4. 3. 황우석 교수 논란과 스너피의 진위 여부

2005년 말부터 2006년 사이에 황우석 교수가 저지른 여러 비윤리적인 행위에 대한 고발이 이어졌다. 처음에는 스너피 이전의 인간 배아 복제 연구에 대한 문제점이 제기되었다. 황우석 교수가 난자 제공자에게 돈을 지급하고, 부하 연구원으로부터 난자를 제공받은 사실이 밝혀졌는데, 이는 생명 윤리 규정을 크게 위반한 것이었다. 또한, 논문에 첨부된 사진 설명에 거짓이 있었고, 줄기세포라고 알려졌던 세포 대부분이 실제로는 복제 세포가 아니었던 것으로 드러났다.[10][55][84]

이러한 문제들로 인해 스너피가 진짜 복제견인지에 대한 의혹이 제기되었지만, 황우석 교수는 스너피가 진짜 복제견이라는 주장을 굽히지 않았다. 황우석 교수는 한국의 DNA 연구소인 휴먼패스(HumanPass Inc.)에 의뢰하여 스너피가 복제견임을 확인하려 했지만, 서울대학교 조사단은 이 결과를 인정하지 않고 자체 조사를 실시했다.[11][56] 네이처지 또한 미국 국립 보건원에 검증을 의뢰하는 한편, 서울대학교 조사단에 조사 결과의 발표를 요구했다.[57] 조사 결과, 인간 복제 배아 줄기세포와 관련해서는 부정이 있었지만, 개 복제 연구는 정당했으며, 스너피는 실제로 아프간 하운드 성견의 복제견임이 확인되었다.[12][58][59] 그러나 황우석 교수는 연구 조작으로 인해 사기 혐의로 기소되었고, 서울대학교에서 해임되었다.[13][60]

5. 스너피 이후의 발전

황우석 교수가 서울대학교에서 퇴출된 이후, 그의 제자인 이병천 교수가 스너피 복제 연구를 이어받았다. 서울대학교는 스너피 복제 기술 특허를 소유하고 있다고 주장하며 RNL 바이오와 상업적 애완동물 복제 계약을 체결했다. 그러나 황 교수는 RNL 바이오의 경쟁사인 바이오아트 인터내셔널과 협력하면서 특허권 분쟁이 발생했다.[13][18] 바이오아트는 2009년에 개 복제 사업에서 철수했고,[19] RNL은 2008년에 첫 상업적 복제를 완료했지만 2013년에 재정난을 겪었다.[21]

황 교수는 수암생명공학연구원을 설립, ViaGen의 자회사 Start Licensing의 라이선스를 기반으로 독자적인 기술을 개발하여 복제견을 제작하며 한 번에 10만달러를 청구했다.[25] 수암생명공학연구원은 2015년까지 700마리의 개를 복제했고,[25] 2016년에는 하루에 500개의 다양한 종의 복제 배아를 생산하고 있다고 보고되었다.[26]

5. 1. 복제 기술의 발전

이병천 교수팀은 2008년 스너피의 정자를 사용하여 두 마리의 복제 암컷에게 인공 수정을 시도, 10마리의 강아지를 얻는 데 성공했다.[15] 이 중 9마리가 생존했으며,[16] 이는 복제된 개들 사이의 첫 번째 성공적인 번식 사례였다.[15] 이병천 교수팀은 30마리가 넘는 개와 5마리의 늑대를 복제하기도 했다.[17]

5. 2. 다양한 분야로의 응용

2009년 7월, 대한민국 관세청은 황우석 박사가 제작한 복제견들을 세계 최초로 탐지견 임무에 투입했다. 래브라도 레트리버로부터 유전자를 제공받은 6마리의 복제견들은 "토피"('To'morrow + pu'ppy')라는 애칭으로 불렸으며, 인천국제공항에서 근무하는 탐지견 훈련 성공률(30%)과 달리 모두 훈련을 통과했다.[74][75] 훈련 비용은 한 마리당 4만달러인 반면, 복제견 제작 비용은 한 마리당 10만달러에서 15만달러였기 때문에, 장기적으로 복제견 사용을 통해 비용 절감을 기대할 수 있다.[75]

황 박사는 개과 복제견의 번식 기술을 응용하면, 훈련 시작 전에 불임 수술을 받는 것이 일반적인 군견이나 안내견 등에게 자손을 남길 수 있다고 주장했다.[73]

2008년에는 일본에서 활약한 Canine cancer detection영어 마린의 복제견이 황 박사 및 RNL 바이오에 의해 제작되었다.[76]

6. 상업화를 둘러싼 분쟁

이병천 수의학 교수가 스너피 복제 팀을 이끌었다.[14] 서울대학교는 스너피 복제 기술 특허권을 주장하며 RNL 바이오와 상업적 애완동물 복제 라이선스 계약을 체결했다. 황우석 박사는 RNL 바이오의 경쟁사인 바이오아트 인터내셔널과 제휴하여 특허권 분쟁을 일으켰다.[13][18] 바이오아트는 2009년에 개 복제 사업에서 철수했고,[19] RNL 바이오는 2008년 8월에 최초로 상업적 복제를 완료했지만, 2013년에 경영난을 겪었다.[21]

6. 1. 특허권 분쟁

서울대학교는 스너피 복제 기술의 특허권을 주장하며 RNL 바이오와 계약을 체결했다.[13][18][77] 황우석 박사는 바이오아츠 인터내셔널과 제휴하여 특허권 소유를 주장했다.[60][78] 바이오아츠는 양 돌리 복제 기술 특허를 가진 스타트 라이센싱 사로부터 개 복제 독점권을 얻었다고 주장했으나,[70] 서울대학교는 체세포가 아닌 성체 줄기 세포에 기반한 복제 기술을 확립했으며, 돌리의 기술과는 다른 독자적인 기술이라고 주장하며 스타트 사와 대립했다.[79][80] 스타트 사는 RNL 바이오를 권리 침해로 고소했지만, 판결을 기다릴 필요도 없이 바이오아츠는 2009년 9월에 개 복제 사업에서 철수했으며, 그 이유 중 하나로 라이선스 문제를 들었다.[81] RNL은 2008년 8월부터 상업용 복제를 시작했지만,[82] 2013년에 경영 부진에 빠졌다.[83]

6. 2. 현재 상황

이병천 수의학 교수가 스너피를 만든 팀의 리더십을 이어받았다.[14] 서울대학교(SNU)는 스너피 복제 기술 특허를 소유하고 있다고 주장하며 RNL 바이오와 상업적 애완동물 복제 라이선스 계약을 체결했다. 황우석 박사는 RNL 바이오의 경쟁사인 바이오아트 인터내셔널과 협력하여 특허권 소유를 둘러싼 법적 분쟁이 발생했다.[13][18] 바이오아트는 2009년에 개 복제 사업에서 철수했고,[19] RNL은 2013년에 재정적 어려움을 겪었다.[21]

황우석 박사는 수암생명공학연구원을 설립하고, ViaGen의 자회사인 Start Licensing의 라이선스를 기반으로 독점적인 기술을 개발하여 복제견을 만들어주며, 한 번에 10만달러를 청구했다.[25] 수암생명공학연구원은 2015년까지 700마리의 개를 복제했고,[25] 2016년에는 하루에 500개의 다양한 종의 복제 배아를 생산하고 있다고 보고되었다.[26]

참조

[1] 웹사이트 First Dog Clone https://web.archive.[...] National Geographic 2008-10-11
[2] 논문 Birth of clones of the world’s first cloned dog https://www.ncbi.nlm[...] 2017
[3] 웹사이트 First cloned dog is born http://www.nzherald.[...] New Zealand Herald 2008-10-11
[4] 서적 The Stem Cell Divide: The Facts, the Fiction, and the Fear Driving the Greatest Scientific, Political, and Religious Debate of Our Time AMACOM 2006-08
[5] 웹사이트 S Korea unveils first dog clone http://news.bbc.co.u[...] BBC News 2008-10-11
[6] 웹사이트 Snuppy the dog caught in stem cell snafu https://www.nbcnews.[...] NBC News 2008-10-11
[7] 웹사이트 Dogged Pursuit https://web.archive.[...] TIME Magazine 2008-10-13
[8] 뉴스 South Korean Scientists Clone Man's Best Friend, a First https://www.nytimes.[...] The New York Times 2010-08-31
[9] 웹사이트 Time picks cloned dog as top invention in 2005 http://www.nzherald.[...] New Zealand Herald 2008-10-13
[10] 간행물 The Rise and Fall of the Cloning King https://web.archive.[...] Time Magazine 2008-10-13
[11] 웹사이트 Is Snuppy the Puppy for Real? https://web.archive.[...] Time Magazine 2008-10-13
[12] 서적 Cloning Rosen Publishing Group 2009-01
[13] 웹사이트 South Korea's Clone Wars https://foreignpolic[...] Foreign Policy 2018-08-06
[14] 웹사이트 Cloned Dog Snuppy to Become Father https://www.koreatim[...] The Korea Times 2009-03-08
[15] 웹사이트 Cloned dog a father http://www.nzherald.[...] New Zealand Herald 2008-10-13
[16] 웹사이트 First Cloned Dog Becomes A Father http://www.impactlab[...] Impact Lab 2008-10-13
[17] 웹사이트 Snuppy's puppies: 1st cloned dog is a father http://www.blnz.com/[...] Bay Ledger News Zone 2009-03-10
[18] 웹사이트 International Dog-Fight over cloning rights between BioArts International & RNL Bio https://www.financia[...] Financial Express 2018-08-06
[19] 웹사이트 Six Reasons We're No Longer Cloning Dogs http://library.wur.n[...] 2018-08-06
[20] 웹사이트 Women replaces dead dog with first commercially cloned puppies http://www.nydailyne[...] New York Daily News 2009-03-10
[21] 뉴스 The Rise and Demise of RNL Bio https://web.archive.[...] Telegraft 2016-02-26
[22] 웹사이트 Cloned sniffer dogs begin duties http://news.bbc.co.u[...] BBC News 2009-07-21
[23] 뉴스 South Korea scientist wins dog cloning court battle http://www.chinapost[...] The China Post 2009-09-20
[24] 뉴스 For $100,000, You Can Clone Your Dog https://www.bloomber[...] Bloomberg business 2016-02-26
[25] 뉴스 UK couple have dead dog cloned in South Korea https://www.theguard[...] The Guardian 2016-02-24
[26] 뉴스 Inside the cloning factory that creates 500 new animals a day https://www.newscien[...] New Scientist 2016-02-23
[27] 간행물 Birth of clones of the world's first cloned dog 2017-11-10
[28] 웹사이트 World's First Cloned Dog Snuppy Dies at Age 10 http://www.useoul.ed[...] Seoul National University 2017-11-14
[29] 웹사이트 First Dog Clone http://news.national[...] National Geographic 2008-10-11
[30] 웹사이트 3年近くかかった研究…「一等功臣」李柄千教授 https://web.archive.[...] 중앙일보 2016-12-02
[31] 웹사이트 First cloned dog is born http://www.nzherald.[...] New Zealand Herald 2005-08-04
[32] 간행물 Potential for cloning dogs
[33] 서적 The Stem Cell Divide: The Facts, the Fiction, and the Fear Driving the Greatest Scientific, Political, and Religious Debate of Our Time AMACOM 2006-08
[34] 웹사이트 S Korea unveils first dog clone http://news.bbc.co.u[...] BBC News 2008-10-11
[35] 웹사이트 First cloned pet revives ethical debate https://www.newscien[...] New Scientist 2016-11-30
[36] 논문 ソウル大学で誕生した世界初のクローン犬
[37] 웹사이트 Dead Cats to Remain a Memory http://www.wired.com[...] WIRED 2016-12-06
[38] 웹사이트 "クローン猿」も遠くない" http://japanese.dong[...] 東亜日報 2005-08-04
[39] 웹사이트 Snuppy the dog caught in stem cell snafu http://www.msnbc.msn[...] msnbc 2005-12-23
[40] 웹사이트 クローン犬など一般公開、国立科学館で来月から http://www.wowkorea.[...] WoW!Korea 2016-12-03
[41] 웹사이트 国際バイオ産業エキスポ 韓国・五松で9月開幕 http://www.wowkorea.[...] WoW!Korea 2016-12-03
[42] 웹사이트 World’s first cloned dog dies at 10 https://web.archive.[...] Korea Joongang Daily 2016-11-20
[43] 논문 First dog cloned BioMed Central 2005
[44] 웹사이트 South Korean Scientists Clone Dog http://www.cbsnews.c[...] CBS News 2016-11-29
[45] 웹사이트 Dogged Pursuit http://content.time.[...] TIME Magazine 2005-11-10
[46] 논문 Editorial: A dog's life 2005
[47] 웹사이트 Snuppy rewards dogged approach http://www.nature.co[...] Nature 2016-11-29
[48] 뉴스 South Korean Scientists Clone Man's Best Friend, a First http://www.nytimes.c[...] Teh Kellionz 2010-08-31
[49] 웹사이트 World's first cloned dog takes a bow-wow http://www.abc.net.a[...] ABC Science 2016-11-30
[50] 논문 Dogs cloned from adult somatic cells 2005
[51] 웹사이트 【社説】犬の複製と生命倫理 https://web.archive.[...] 中央日報 2005-08-04
[52] 웹사이트 Snuppy the cloned puppy tops poll of amazing inventions https://www.theguard[...] 2005-11-15
[53] 웹사이트 Time picks cloned dog as top invention in 2005 http://www.nzherald.[...] New Zealand Herald 2005-11-14
[54] 웹사이트 In South Korea, Scientists Clone First Canine -- 'Snuppy' http://www.wsj.com/a[...] ウォール・ストリート・ジャーナル 2016-12-03
[55] 웹사이트 The Rise and Fall of the Cloning King http://www.time.com/[...] Time Magazine 2006-01-01
[56] 웹사이트 Is Snuppy the Puppy for Real? http://www.time.com/[...] Time Magazine 2006-01-03
[57] 웹사이트 "スナッピーはクローン犬」 英「ネイチャー」が論文掲載" http://japanese.dong[...] 東亜日報 2016-11-29
[58] 웹사이트 Editor's Summary: Snuppy verdict http://www.nature.co[...] Nature 2016-11-29
[59] 서적 Cloning Rosen Publishing Group 2009-01
[60] 웹사이트 South Korea's Clone Wars http://www.foreignpo[...] Foreign Policy 2009-02
[61] 웹사이트 Cloned Dog Snuppy to Become Father http://www.koreatime[...] The Korea Times 2008-04-24
[62] 웹사이트 Snuppy's puppies: 1st cloned dog is a father http://www.blnz.com/[...] Bay Ledger News Zone 2008-09-09
[63] 웹사이트 【取材日記】黄禹錫事件、もう忘れたか https://web.archive.[...] 中央日報 2006-07-25
[64] 웹사이트 <韓国経済>世界初快挙・クローンオオカミ誕生 http://www.toyo-keiz[...] 東洋経済日報 2007-03-03
[65] 웹사이트 Wolf clones confirmed http://www.nature.co[...] Nature 2007-05-01
[66] 웹사이트 "「めすクローン犬2匹出産」ソウル大学" https://web.archive.[...] 中央日報 2006-07-13
[67] 웹사이트 First Cloned Dog Becomes A Father http://www.impactlab[...] Impact Lab 2008-10-13
[68] 웹사이트 世界初のクローン犬「スナッピー」が父親に、ソウル大 https://www.afpbb.co[...] AFPBB News 2008-09-04
[69] 웹사이트 Cloned dog a father http://www.nzherald.[...] New Zealand Herald 2008-10-13
[70] 웹사이트 The dog cloner http://www.nature.co[...] Nature 2016-12-01
[71] 웹사이트 クローン犬2世報道は指針違反、大学が研究陣を注意 http://www.wowkorea.[...] WoW!Korea 2008-04-05
[72] 웹사이트 世界初のクローン犬「スナッピー」、子どもの里親を募集へ 韓国 https://www.afpbb.co[...] AFPBB news 2009-09-03
[73] 웹사이트 World's first cloned dog fathers puppies: researchers https://www.smh.com.[...] The Sydney Morning Herald 2008-09-04
[74] 웹사이트 Cloned sniffer dogs begin duties http://news.bbc.co.u[...] BBC News 2009-07-19
[75] 웹사이트 Four Years After Cloning, Drug-Sniffing Dogs Celebrate Remarkable Success in South Korean Airport http://singularityhu[...] 2011-10-04
[76] 웹사이트 韓国でがん探知犬「マリーン」のクローン犬、誕生 https://www.afpbb.co[...] AFPBB News 2008-06-17
[77] 웹사이트 黄禹錫氏、外部と接触せずに研究活動…これまでどんな http://japanese.dong[...] 東亜日報 2009-10-27
[78] 웹사이트 International Dog-Fight over cloning rights between BioArts International & RNL Bio http://www.financial[...] Financial Express 2008-06-09
[79] 웹사이트 子犬の複製に成功…脂肪から採取した幹細胞利用 https://web.archive.[...] 중앙일보 2009-01-30
[80] 웹사이트 ソウル大「世界初クローン犬」スナッピー商業化の危機 https://web.archive.[...] 중앙일보 2008-05-20
[81] 웹사이트 Six Reasons We’re No Longer Cloning Dogs http://www.bioartsin[...] 2009-09-10
[82] 웹사이트 Women replaces dead dog with first commercially cloned puppies http://www.nydailyne[...] New York Daily News 2008-08-05
[83] 뉴스 The Rise and Demise of RNL Bio http://c.ymcdn.com/s[...] Telegraft 2013-10
[84] 뉴스 For $100,000, You Can Clone Your Dog http://www.bloomberg[...] Bloomberg business 2014-10-22
[85] 웹사이트 This Korean lab has nearly perfected dog cloning, and that’s just the start http://www.businessi[...] ビジネスインサイダー 2015-09-12
[86] 간행물 S.Korea scientist wins dog cloning court battle http://phys.org/news[...] 2009-09-19
[87] 웹사이트 韓国、「世界初の産業用クローン犬を生産…仏英からも技術研修に来る」(2) https://web.archive.[...] 중앙일보 2015-03-11
[88] 뉴스 UK couple have dead dog cloned in South Korea https://www.theguard[...] The Guardian 2015-12-24
[89] 뉴스 Inside the cloning factory that creates 500 new animals a day https://www.newscien[...] New Scientist 2016-02-08
[90] 웹인용 Time picks cloned dog as top invention in 2005 http://www.nzherald.[...] New Zealand Herald 2005-11-14
[91] 뉴스 한국일보 2009년 9월 4일자 한국일보 2009-09-04
[92] 뉴스 노컷뉴스 2005년 12월 28일자 노컷뉴스 2005-12-28
[93] 뉴스 https://news.naver.c[...]
[94] 뉴스 https://news.naver.c[...]
[95] 뉴스 https://news.naver.c[...]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