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티븐 오스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스티븐 오스틴은 1793년 버지니아에서 태어난 텍사스의 개척자이자 정치가이다. 그는 멕시코로부터 텍사스 독립을 이끌었으며, 텍사스 공화국의 초대 국무장관을 역임했다. 아칸소와 루이지애나에서 법률을 공부하고 정치 활동을 시작했으며, 멕시코 정부와의 협상을 통해 미국인 정착민들을 텍사스로 이주시키는 데 기여했다. 그는 노예 제도를 옹호하고 텍사스 원주민들을 탄압했다는 비판을 받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트랜실베이니아 대학교 동문 - 존 C. 브레킨리지
존 C. 브레킨리지는 켄터키주 출신의 정치인이자 군인으로, 미국 역사상 최연소 부통령을 지냈으며, 남북전쟁에서 남부 연합군 장군으로 활동하고 남부 연합의 마지막 전쟁 장관을 역임한 인물이다. - 트랜실베이니아 대학교 동문 - 제퍼슨 데이비스
미국의 군인이자 정치인인 제퍼슨 데이비스는 아메리카 연합국의 초대 대통령으로서 남북 전쟁 당시 남부 연합을 이끌었으며, 노예제 옹호와 남부 연합 지도자로서의 역할로 인해 논란의 대상이 되고 있다. - 미국에서 멕시코로 이민간 사람 - 기예르모 아이덴 리그트
기예르모 아이덴 리그트에 대한 정보는 문서에서 제공되지 않아, 개요를 요약할 수 없다. - 미국에서 멕시코로 이민간 사람 - 샘 휴스턴
샘 휴스턴은 텍사스 혁명의 지도자이자 텍사스 공화국의 초대 대통령을 역임했으며, 텍사스 주지사와 미국 상원 의원을 지내며 텍사스 독립과 발전에 크게 기여한 인물이다. - 텍사스 혁명 관련자 - 마리아노 아리스타
마리아노 아리스타는 멕시코 독립 전쟁 등에 참전한 군인이자 정치인으로, 1851년 멕시코 대통령이 되었으나 재정 문제와 반란으로 사임하고 망명 생활을 하다 사망했다. - 텍사스 혁명 관련자 - 호세 데 우레아
호세 데 우레아는 멕시코 군인으로, 멕시코 독립 전쟁, 텍사스 혁명, 멕시코-미국 전쟁 등 19세기 멕시코의 주요 분쟁에 참여했으며, 특히 텍사스 혁명 당시 멕시코군 지휘관으로서 활약했지만 '골리아드 학살'과 관련되어 논란이 되었고, 산타 안나에 반기를 들었다가 실패한 후 멕시코-미국 전쟁에 참전하여 콜레라로 사망했다.
스티븐 오스틴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본명 | 스티븐 풀러 오스틴 |
출생일 | 1793년 11월 3일 |
출생지 | 미국 버지니아주 위스군 (현재의 버지니아주 오스틴빌) |
사망일 | 1836년 12월 27일 |
사망지 | 텍사스 공화국 브라조리아군 웨스트 컬럼비아 |
국적 | 미국, 스페인, 멕시코, 텍사스인 |
직업 | 정치인, 기업가 |
부모 | 모세스 오스틴, 메리 브라운 오스틴 |
친척 | 리처드 오스틴 (식민지 개척자), 내니 웹 커티스, 메리 오스틴 홀리 (사촌), 헨리 오스틴 (텍사스 정착민) (사촌) |
알려진 이유 | "텍사스의 아버지"로 알려짐 |
공직 | |
직책 | 제4대 텍사스 국무장관 |
대통령 | 샘 휴스턴 |
임기 시작 | 1836년 10월 22일 |
임기 종료 | 1836년 12월 27일 |
이전 | 윌리엄 휴스턴 잭 |
이후 | 제임스 핑크니 헨더슨 |
2. 어린 시절과 교육
스티븐 오스틴은 버지니아주 위스군에서 태어나, 1798년 가족과 함께 미주리주로 이주했다. 코네티컷주 콜체스터에 있는 베이컨 아카데미에서 영어, 문법, 저술, 논리학, 기하학, 지리, 라틴어, 그리스어를 공부하고 1807년 졸업했다. 이후 켄터키주 렉싱턴에 있는 트랜실베이니아 대학교에서 지리, 수학, 천문학을 전공하고 1810년 졸업 증서를 받았다.[5] 졸업 후에는 법률가가 되기 위해 공부하며, 기존 법률 회사에서 법을 공부했다.[6]
켄터키에서 포토시로 돌아온 직후, 스티븐은 가족이 운영하는 잡화점에서 일했지만, 결국 아버지로부터 가족의 광산 사업 대부분을 물려받았다. 1813년 5월 24일에는 미주리 민병 기수로 임명되었고, 9월 말에는 알렉산더 맥네어 대령이 이끄는 제1연대 신병으로 입대했다. 1813년 10월 21일에는 보급 장교 부관으로 제대했다. 1815년에는 미시시피강 서안에서 최초의 로지인 미주리주 세인트 제누비에브에 있는 루이지애나 제109로지에서 프리메이슨이 되었다. 그 후 세인트루이스 제111로지로 멤버십을 옮겼다. 1815년부터 1819년까지 미주리 지방의 대의원을 역임했으며, 세인트루이스 은행의 위기 구제에 영향력을 행사했다.
2. 1. 초기 생애
스티븐 오스틴은 1793년 11월 3일 버지니아주 남서부의 광산 지역에서 태어났다. 그의 부모는 메리 브라운 오스틴과 모세스 오스틴이었다. 그의 증조부 앤서니 오스틴(1636년 출생)은 리처드 오스틴(1598년 잉글랜드 햄프셔 비숍스토크 출생)의 아들이었다. 이민 조상인 리처드 오스틴과 그의 아내 에스더는 1749년 코네티컷이 된 매사추세츠주 서필드의 초기 정착민이었다.[3]
오스틴의 아버지 모세스 오스틴은 기업인이자 납 광산 소유주였으며, 1784년 필라델피아에서 메리 브라운을 만나 결혼했다. 1798년, 오스틴의 가족은 현재의 미주리주 포토시의 납광산 지역으로 서쪽으로 이주했다.[3] 모세스 오스틴은 프랑스 식민지 개척자들이 세운 ''Mine à Breton'' 광산 부지에 대해 스페인 정부로부터 ''sitio''[4]를 받았다.
오스틴이 11살이 되자, 그의 가족은 그를 교육시키기 위해 동부로 보냈고, 처음에는 코네티컷주 콜체스터의 베이컨 아카데미 예비 학교에 다녔다. 그는 1810년에 졸업한 켄터키주 렉싱턴의 트랜실베이니아 대학교에서 공부했다.[5] 졸업 후 오스틴은 법률가가 되기 위해 공부를 시작하여, 기존의 법률 회사에서 법을 공부했다.[6]
21세에 그는 미주리 준주 의회에 선출되어 활동했다. 그곳에서 그는 "고전 분투하는 세인트루이스 은행의 설립 허가를 받는 데 영향력을 행사했다".[6] 1819년 공황 이후 무일푼이 된 오스틴은 새로운 아칸소 준주로 남쪽으로 이주하기로 결정했다.[5]
그는 나중에 리틀록이 될 지역의 아칸소강 남쪽 기슭에 부동산을 매입했다. 부동산을 구매한 후 그는 그 지역이 새로운 준주 수도의 위치로 고려되고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고, 이는 그의 토지 가치를 훨씬 높일 수 있었다.[7] 그는 아칸소주 헴프스테드 카운티에 정착했다. 오스틴은 1820년 아칸소 준주 최초의 선거를 2주 앞두고 의원 후보로 나섰다. 그의 늦은 참여로 그의 이름은 5개 카운티 중 2개의 투표 용지에 나타나지 않았지만, 그는 6명의 후보 중 2위를 차지했다. 나중에 그는 제1 순회 법원 판사로 임명되었다.[7] 리틀록은 다음 몇 달 동안 준주 수도로 지정되었다. 그러나 오스틴의 토지 소유권 주장은 논란이 되었고, 법원은 그에게 불리한 판결을 내렸다. 준주 의회는 정부를 개편하고 오스틴의 판사직을 폐지했다.[7]
오스틴은 준주를 떠나 루이지애나로 이주했다. 그는 1820년 11월 루이지애나주 뉴올리언스에 도착했다. 그는 조셉 H. 호킨스, 뉴올리언스 변호사이자 전 켄터키 의원과 만나 함께 머물렀고 그와 함께 법을 공부할 준비를 했다.
2. 2. 미주리와 아칸소에서의 활동
1819년 공황 이후 오스틴은 새로운 아칸소 준주로 이주하여 부동산을 매입하고 정치 활동을 시작했다.[5]그는 이후 리틀록이 될 지역의 아칸소강 남쪽 기슭에 부동산을 매입했다. 부동산을 구매한 후, 그는 그 지역이 새로운 준주 수도의 위치로 고려되고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고, 이는 그의 토지 가치를 훨씬 높일 수 있었다.[7] 그는 아칸소주 헴프스테드 카운티에 정착했다. 1820년 아칸소 준주 최초의 선거를 2주 앞두고 의원 후보로 나섰으나, 늦은 참여로 그의 이름은 5개 카운티 중 2개의 투표 용지에만 나타났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는 6명의 후보 중 2위를 차지했다. 이후 그는 제1 순회 법원 판사로 임명되었다.[7] 몇 달 후, 리틀록은 준주 수도로 지정되었다. 그러나 오스틴의 토지 소유권 주장은 논란이 되었고, 법원은 그에게 불리한 판결을 내렸다. 준주 의회는 정부를 개편하고 오스틴의 판사직을 폐지했다.[7]
오스틴은 준주를 떠나 루이지애나주로 이주했다.
3. 텍사스 이주
스티븐 오스틴의 아버지 모세스 오스틴은 1820년 스페인령 텍사스에서 300가구의 미국인 가족을 정착시킬 수 있는 토지 위임권을 받았다.[5] 그러나 모세스 오스틴은 1821년 폐렴으로 사망하면서, 아들 스티븐에게 텍사스 사업을 넘겨주도록 지시했다.[5] 오스틴은 아버지의 사업을 이어받는 것을 망설였으나, 모세스가 사망하기 이틀 전 어머니가 보낸 편지를 받고 마음을 바꾸었다.[8]
오스틴은 증기선 ''비버''호를 타고 뉴올리언스로 가서 에라스모 세귄이 이끄는 스페인 관리들을 만났다. 그는 1821년 루이지애나주, 나키토시스에서 아버지의 사망 소식을 접했다.[9]
3. 1. 멕시코로부터의 독립
오스틴이 텍사스에 도착했을 때, 멕시코는 스페인으로부터 독립을 선언했다.[7] 오스틴은 샌안토니오까지 약 482.80km를 이동하여 아버지의 토지 위임 계약을 재승인받으려 했고, 8월 12일에 도착했다.[7] 이동 중 멕시코가 스페인으로부터 독립하여 텍사스가 스페인 영토가 아닌 멕시코의 주로 바뀌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7] 호세 안토니오 나바로는 스페인어와 멕시코 법에 능통하여 오스틴이 토지 위임 계약을 얻는 데 도움을 주었다.[10] 샌안토니오에서 위임권은 안토니오 마리아 마르티네스 주지사에 의해 재승인되었고, 오스틴이 식민지를 위한 적절한 위치를 찾기 위해 샌안토니오와 브라조스 강 사이의 걸프 해안을 탐험하도록 허락했다.[7]오스틴은 뉴올리언스에서 텍사스 기회를 광고하며 브라조스 강과 콜로라도 강을 따라 토지를 사용할 수 있다고 발표했다.[11] 남편, 아내, 두 자녀로 구성된 가족은 에이커당 12.5센트에 1280acre를 받을 수 있었다. 농부는 177acre를, 목장주는 4428acre를 얻을 수 있었다.[11] 1821년 12월, 최초의 미국 식민지 개척자들이 현재의 브라조리아 카운티에 있는 브라조스 강을 통해 육지와 바다로 위임된 영토에 진입했다.
4. 엠프레사리오
1821년 멕시코가 스페인으로부터 독립하면서 오스틴의 식민지 계획은 혼란에 빠졌다. 마르티네스 주지사는 오스틴에게 아구스틴 데 이투르비데 정부의 잔여 의회인 ''훈타 인스티투옌테''가 스페인이 승인한 토지 보조금을 인정하지 않았다고 알렸다. 멕시코 정부는 새로운 정착지를 규제하기 위해 일반적인 이민법을 사용할 예정이었다. 오스틴은 멕시코 시티로 가서 ''훈타 인스티투옌테''가 부친의 보조금을 승인하고 1823년 1월 3일 멕시코 황제가 서명한 법을 승인하도록 설득했다.
구 제국법은 가족에게 1리게와 1노동의 토지를 제공하고, 이민 장려를 위해 ''엠프레사리오''를 고용하도록 규정했다. 오스틴은 ''엠프레사리오''로서 텍사스로 데려온 200가구당 67,000에이커의 토지를 받게 되었다. 법에 따르면 이민자들은 정부에 수수료를 낼 필요가 없었으나, 일부는 오스틴이 에이커당 12.5센트(헥타르당 31센트)의 요금을 부과할 권리를 부인했다.[6]
아구스틴 데 이투르비데가 1823년 3월에 퇴위하자 법은 다시 무효가 되었다.[12] 1823년 4월, 오스틴은 의회를 설득해 300가구를 텍사스로 데려오는 계약을 체결했다. 1824년, 의회는 멕시코의 개별 주가 공공 토지를 관리하고 특정 조건 하에 정착을 허용하는 새로운 이민법을 통과시켰다. 1825년 3월, 코아우일라 이 테하스 멕시코 주의 입법부는 이투르비데가 승인한 법과 유사한 법을 통과시켰다. 이 법은 ''엠프레사리오'' 제도를 유지하고 각 기혼 남성에게 1리게의 토지를 부여했으며, 6년 이내에 주에 30달러를 지불해야 한다고 규정했다.
오스틴은 1825년 말까지 첫 300가구를 오스틴 식민지로 데려왔고, 이들은 현재 텍사스 역사에서 올드 쓰리 헌드레드로 알려져 있다. 오스틴은 1825년부터 1829년 사이에 900가구를 더 정착시키기 위한 추가 계약을 확보했다.
4. 1. 초기 정착과 인디언과의 관계
오스틴의 텍사스 정착 계획은 여러 난관을 겪었다. 1821년 멕시코 독립으로 오스틴은 부친의 교부금을 재협상해야 했다. 멕시코 황제 아구스틴 데 이투르비데의 즉위와 퇴위는 혼란을 가중시켰다. 코만치족과 같은 인디언 부족들의 공격은 끊이지 않았고, 오스틴은 의무를 다하기 어려울 정도로 파산 직전에 이르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오스틴은 인내했고, 1830년까지 멕시코 시민권을 받아들이고 로마 가톨릭교회로 개종한 정착민들이 대부분인 번성하는 식민지를 담당하게 되었다.5. 노예 제도에 대한 입장
스티븐 오스틴은 노예 제도에 대해 복잡한 입장을 보였다. 그는 노예 제도가 이론적으로는 잘못되었고 미국의 자유 이념에 어긋난다고 믿었지만, 현실적으로는 노예 제도의 사회적, 경제적, 정치적 정당성을 옹호했다.[27] 오스틴은 텍사스의 경제 발전을 위해 노예 제도가 필수적이라고 생각했다.[32][33][34] 그는 텍사스가 면화와 설탕 등 단일 경작에 의존했기 때문에 노예 노동력이 필요하다고 여겼다.[32][33][34]
오스틴은 노예 제도의 장기적인 영향이 미국 사회를 파괴할 것이라는 우려를 표명하기도 했다.[28][29][30] 1831년 냇 터너의 반란 이후, 그는 이러한 우려를 더욱 강하게 느꼈다.
그는 텍사스가 언젠가는 노예 제도를 단계적으로 폐지해야 한다고 생각했지만, 텍사스 혁명 전까지는 멕시코 정부의 노예 제도 폐지 시도에 맞서 텍사스 이민자들을 지원했다.[31] 1826년, 멕시코 주 위원회가 노예 제도 완전 폐지를 제안했을 때, 오스틴은 식민지의 성공이 노예 제도에 달려 있다고 주장하며 반대했다.[23][36][38] 그는 노예가 없으면 식민지 개척자들이 토지를 경작할 노동력이 부족해져 경제가 위축될 것이라고 경고했다.[36][39][40]
1829년, 오스틴은 멕시코 대통령의 노예 해방령에 대해 "이 조치가 채택되면 우리는 영원히 파멸될 것"이라는 존 더스트의 말에 동의하며, "나는 단 하나의 노예 ... 를 소유하고 있지만, ... 멕시코인으로서의 나의 헌법적 권리가 ... 침해받는다고 느낄 것"이라고 답했다.[50] 1830년, 그는 텍사스가 "영구적으로 노예 제도를 배제할 것을 주장"한다는 보장 없이는 미국 가입에 반대할 것이라고 썼다.[49] 1833년에는 "텍사스는 노예 국가가 되어야 한다"고 주장하며, 이를 위해 노력하겠다고 밝혔다.[36]
5. 1. 멕시코 정부와의 갈등
1821년부터 1830년까지 스티븐 오스틴이 계획한 텍사스 정착은 여러 난관을 겪었다. 1821년 멕시코 독립으로 인해 오스틴은 부친의 교부금을 재협상해야 했다. 멕시코 황제 아구스틴 데 이투르비데의 퇴위는 상황을 더욱 혼란스럽게 만들었다. 코만치족과 같은 인디언 부족들의 공격은 끊이지 않았고, 오스틴은 파산 직전에 이르렀다. 그럼에도 그는 인내했고, 1830년까지 멕시코 시민권을 받아들이고 로마 가톨릭으로 개종한 정착민들의 번성하는 식민지를 담당하게 되었다.오스틴은 친멕시코적인 입장을 유지했지만, 텍사스는 점차 미국화되었다. 1830년경에는 잉글랜드계 미국인 정착민들이 텍사스 영토에서 멕시코인들보다 거의 10배나 많았다. 비옥한 토지는 오스틴의 식민지와 같은 합법적인 정착민들뿐만 아니라 무단 입주자 및 기타 승인되지 않은 정착자들도 끌어들였다. 이들은 토지를 점유하고 농가를 세웠다. 오스틴의 식민지는 가장 중요한 정착지였으며, 가족들은 목화, 노새 등 뉴올리언스를 통해 수출할 상품을 재배하기 시작했다. 이러한 차이점들로 인해 많은 사람들은 텍사스가 멕시코에서 독립하거나 미국의 일부가 되어야 한다고 믿게 되었다.
6. 멕시코와의 관계
1830년경 텍사스에는 멕시코인보다 잉글랜드계 미국인 정착민이 거의 10배나 많았다. 비옥한 땅은 오스틴의 식민지와 같은 합법적인 정착민뿐만 아니라 무단 입주자 등도 끌어들였다. 이들은 목화, 노새 등을 재배하여 뉴올리언스를 통해 수출했다. 이러한 상황은 많은 이들에게 텍사스가 멕시코에서 독립하거나 미국의 일부가 되어야 한다는 생각을 갖게 했다.[1]
이민 통제와 관세법 도입은 식민지 주민들의 불만을 샀고, 이는 아나와크 소요에서 절정에 달했다. 오스틴은 안토니오 로페스 데 산타 안나를 지지하며 멕시코 정치에 관여했다. 산타 안나의 집권 이후, 식민지 주민들은 1832년 협약에서 이민 재개, 관세 면제, 코아우일라로부터의 분리, 텍사스의 주 승격을 요구했다. 오스틴은 시기상조라 여겨 이를 완화하려 했으나, 1833년 협약에서 요구는 반복되었다. 결국 오스틴은 1833년 7월 18일 멕시코시티로 가 발렌틴 고메스 파리아스 부통령을 만나 이민 금지 조치 해제 등은 얻어냈지만, 텍사스의 주 승격은 인구 부족(3만 명)으로 좌절되었다.[1]
6. 1. 체포와 투옥
1833년 오스틴은 멕시코 연방 정부와 사업을 정리하기 위해 멕시코시티로 갔다. 그는 코아우일라로부터의 분리와 세금 감면을 포함한 텍사스 정착자들의 새로운 요구들을 가져갔다. 그동안 그는 멕시코로부터의 완전한 분리에 찬성하는 텍사스 주민들을 달래기 위한 편지를 보냈다. 텍사스 주민들에게 연방 정부의 승인 전에 주 지위 선언을 시작하라고 말한 오스틴의 편지 중 일부는 멕시코시티의 공무원들에게 전달되었다. 텍사스로 돌아오던 중 오스틴은 체포되어 멕시코시티로 다시 압송되어 투옥되었다.[1]오스틴은 1년 반 동안 멕시코시티에서 감옥에 있었으며 재판이나 공식적인 기소도 받지 않았다. 아이러니하게도, 멕시코는 텍사스를 멕시코의 일부로 유지하려는 텍사스인을 투옥한 것이다. 오스틴의 투옥은 텍사스의 운명을 결정지었다. 1835년 8월 석방된 오스틴은 멕시코에 대한 충성심이 사라진 채 텍사스로 돌아왔다. 그는 멕시코가 국민들이 원하는 권리를 부여하지 않을 것이라는 것을 깨달았다. 1835년 후반, 그가 귀국했을 당시 텍사스는 멕시코와 갈등을 겪을 예정이었고, 평화적인 해결책을 찾기에는 너무 늦었다는 것이 명확해졌다. 결국 오스틴은 멕시코보다 텍사스를 선택했다.[1]
오스틴은 멕시코 의회와 9월까지 만날 수 없다는 통보를 받는 등, 사태 진행이 늦어지는 것에 불만을 가졌다. 그는 샌안토니오 시청(ayuntamient)에 코아우일라 주에서 분리하기 위해 텍사스의 모든 지방 행정청이 단결할 것을 촉구하는 내용의 편지를 썼다. 1833년 12월 10일, 루이스 데 라 로사와 함께 마차를 타고 멕시코 시티를 떠나 북쪽으로 향했다. 이듬해 1월 2일, 살티요에서 체포되었는데, 이전 편지의 내용이 반란죄에 해당한다는 이유였다. 오스틴은 멕시코 시티로 송환되어 이단 심문 감옥의 독방에 갇혔다. 이후 몇 달 동안 감옥을 드나들었지만, 텍사스 출신 변호사 피터 그레이슨과 스펜서 잭의 노력으로 석방되었다. 오스틴이 텍사스로 돌아온 것은 1835년이었다.[1]
7. 텍사스 혁명
오스틴이 텍사스로 돌아온 직후, 텍사스 반란군이 곤잘레스에서 멕시코군에 발포한 곤살레스 전투는 텍사스 혁명의 군사적 단계의 시작을 알렸다. 오스틴은 텍사스 군대의 사령관으로 임명되었다. 제임스 부이, 제임스 패닌과 함께 샌안토니오로 진군하여 콘셉시온 전투에서 승리하였다. 이후 오스틴은 산펠리페로 돌아와 텍사스 각지에서 온 대표들과 회의를 가졌다.[1]
이 회의에서 오스틴은 샘 휴스턴에게 군사 지휘권을 넘겨주었다. 1812년 말라리아 발병 이후 건강이 좋지 않았던 오스틴은 이러한 변화에 찬성했으며, 군인으로서의 짧은 복무는 그가 군인이 아니라는 것을 명확히 보여주었다. 대신 그는 자신의 능력에 더 적합한 임무를 받았다. 그는 텍사스가 독립을 선언할 경우 공식적인 인정을 구하고, 무기를 구매하고, 자원 봉사자들을 격려하여 텍사스로 향하게 하는 등의 중요한 임무를 수행할 미국으로 가는 텍사스 특별 교섭인이 되었다.[1]
오스틴이 부재한 동안, 텍사스 정착민들과 산타 안나의 중앙 집권 정부 간의 갈등은 더욱 심화되었다. 오스틴은 1835년 10월 12일부터 12월 11일까지 베하르 포위전에서 잠시 텍사스 군대를 지휘했다. 1835년 여름 아나와크 소동과 벨라스코에서의 소란을 겪은 산타 안나는 멕시코 군대가 텍사스에서 앵글로 정착민들을 쓸어버릴 준비를 신속하게 했다. 1835년 10월 곤잘레스에서 전쟁이 시작되었다. 1836년 3월 2일에 새로운 헌법으로 창설된 텍사스 공화국은 1836년 4월 21일 산 자시토 전투에서의 극적인 승리와 다음 날 아침 산타 안나를 포로로 잡으면서 일련의 패배 이후 독립을 쟁취했다.[1]
8. 사망
오스틴은 1836년 12월 27일 정오, 43세의 나이로 웨스트 콜롬비아에 있는 조지 B. 맥킨스트리의 집에서 폐렴으로 사망했다.[54] 그는 새로운 수도인 콜롬비아(현재의 웨스트 콜롬비아)에 머물다가 심한 감기에 걸렸고, 의사들이 그를 치료하려 했으나 상태가 악화되어 결국 사망에 이르렀다. 오스틴의 마지막 말은 "텍사스의 독립이 인정되었다! 신문에서 보이지 않습니까?..."였다.[54] 오스틴의 사망 소식을 들은 샘 휴스턴은 "텍사스의 아버지께서 더 이상 세상에 안 계십니다. 황무지의 첫 번째 개척자가 떠났습니다."라고 공식 성명을 발표하며 애도했다.[55] 오스틴은 원래 텍사스주 브래조리아 군의 걸프 프레리 묘지에 묻혔으나, 1910년 그의 시신은 오스틴에 있는 텍사스 주립 묘지로 이장되었다. 오스틴은 결혼하지 않았고 자녀도 없었으며, 자신의 모든 재산을 여동생 에밀리 오스틴 페리에게 유증했다.
9. 유산
스티븐 오스틴은 텍사스 혁명에 큰 영향을 준 인물로, 텍사스 주민들은 그를 위대한 영웅 중 한 명으로 여긴다.[58] 텍사스 주의 주도인 오스틴과 오스틴 카운티는 그의 이름을 따서 지어졌다.[58] 셔먼에는 오스틴 칼리지가,[56] 내코그도치스에는 스티븐 F. 오스틴 주립 대학교가 설립되어 그의 업적을 기리고 있다.[57]
앵글턴에는 데이비드 아디케스가 제작하고 스티븐 F. 오스틴 500이 후원한 오스틴 조각상이 있다. 기단 높이는 12피트, 조각상 전체 높이는 72피트이다. 헌츠빌에 있는 샘 휴스턴 조각상의 기단보다 2피트 높지만, 조각상은 7피트 짧다. 미국 국립 조각상 전당에는 텍사스 주를 대표하여 샘 휴스턴과 스티븐 F. 오스틴 조각상이 전시되어 있으며, 엘리자베트 네이가 제작했다.[60]
오스틴의 원래 매장지는 걸프 프레리 묘지이다.[61] 1959년, 사후 추대되어 오클라호마 시티에 있는 국립 카우보이 명예의 전당의 위대한 서부인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다. 버지니아주 오스틴빌에는 뉴 리버와 뉴 리버 트레일 주립 공원 교차로 근처에 기념비가 있다. 벨빌에는 데이비드 아디케스가 제작한 오스틴의 대형 흉상이 주도 36번과 159번 교차로에 있다. 포토시에도 그의 흔적이 남아있다.[62]
9. 1. 비판적 시각 (한국의 관점)
한국에서는 스티븐 오스틴의 행적이 일제강점기 조선총독부의 식민 통치에 협력한 일부 친일파들의 행적과 유사하다는 비판적인 시각이 존재한다. 특히, 오스틴이 멕시코 정부와의 협력을 통해 텍사스 정착민들의 권익을 보호하려 했던 점은, 일제강점기 조선인들의 자치권을 주장하며 일본 제국에 협력했던 일부 친일파들의 주장과 유사하다는 지적이 있다. 또한, 오스틴이 노예 제도를 옹호하고 텍사스 원주민들을 탄압한 점은, 일본 제국의 식민 지배와 인종 차별 정책을 연상시킨다는 비판도 있다.[1]참조
[1]
서적
Stephen F. Austin: Empresario of Texas
https://books.google[...]
Yale University Press
2001-08-01
[2]
문서
Hatch (1999), p. 43.
[3]
웹사이트
Stephen Fuller Austin
https://www.tshaonli[...]
Texas State Historical Association
2022-02-21
[4]
문서
Lonestar Text book
[5]
문서
Edmondson (2000), p. 59.
[6]
웹사이트
Austin, Stephen F.
https://tshaonline.o[...]
Texas State Historical Association
2020-03-14
[7]
문서
Edmondson (2000), p. 60.
[8]
웹사이트
Austin, Mary Brown
https://tshaonline.o[...]
Texas State Historical Association
2020-03-14
[9]
문서
Letter from Stephen F. Austin to Maria Austin, July 13, 1821
https://books.google[...]
[10]
문서
Todish (1998), p. 107.
[11]
문서
Edmondson (2000), p. 61.
[12]
웹사이트
Iturbide, Agustín de
https://tshaonline.o[...]
Texas State Historical Association
2020-03-14
[13]
문서
Harvnb|Smith|2006|p=127
[14]
문서
Harvnb|Dewees|1852|p=38
[15]
문서
Harvnb|Himmel|1999|p=46
[16]
문서
Harvnb|Newcomb|1961|pp=77–78, 327
[17]
문서
Harvnb|Himmel|1999|pp=46–47, 48=49
[18]
문서
Harvnb|Himmel|1999|p=50
[19]
서적
The Texas Masons: The Fraternity of Ancient Free & Accepted Masons in the History of Texas
Brazos Valley Masonic Library & Museum Assn
1986
[20]
서적
Masonry in Texas: Background, History, and Influence to 1846.
Committee on Masonic Education and Service, Grand Lodge of Texas, A.F. & A.M.
1955
[21]
문서
Bates (1956), p. 794.
[22]
간행물
1826-08-07
[23]
서적
Stephen F. Austin: Empresario of Texas
Yale University Press
[24]
간행물
1833-05-30
[25]
서적
Historic Missourians: Moses Austin (1761–1821)
http://shsmo.org/his[...]
State Historical Society of Missouri
[26]
문서
Cantrell 2001, pp. 85, 204
[27]
문서
Cantrell 2001, pp. 9, 204.
[28]
서적
The Life of Stephen F. Austin, Founder of Texas, 1793–1836: A Chapter in the Westward Movement of the Anglo-American People
University of Texas Press
[29]
문서
Cantrell 2001, pp. 189–190
[30]
논문
Slavery and the Texas Revolution
1985-10
[31]
문서
Cantrell 2001, p. 190.
[32]
문서
Barker 1926, p. 204.
[33]
문서
Cantrell 2001, p. 191.
[34]
뉴스
Stephen Fuller Austin
Texas State Historical Association
[35]
문서
Barker 1926, pp. 203–204.
[36]
논문
The Influence of Slavery in the Colonization of Texas
1924-07
[37]
뉴스
Juneteenth—the Day Slavery was Abolished in Texas
https://medium.com/s[...]
2016-06-16
[38]
문서
Barker 1926, p. 206
[39]
뉴스
Lure of Texas
Cambridge Scholars Publishing
[40]
서적
An Empire for Slavery: The Peculiar Institution in Texas, 1821—1865
LSU Press
[41]
문서
Barker 1926, pp. 204–206, 208
[42]
문서
Barker 1926, p. 208
[43]
문서
Cantrell 2001, pp. 192, 203
[44]
논문
Slavery in Early Texas. I
1898-09
[45]
뉴스
Constitution of the State of Coahuila and Texas (1827)
University of Texas School of Law|University of Texas at Austin, Tarlton Law Library
[46]
간행물
1826-10-10
[47]
문서
Cantrell 2001, p. 204
[48]
문서
Cantrell 2001, pp. 85, 204
[49]
논문
Stephen F. Austin
1918-07
[50]
웹사이트
How Leaders of the Texas Revolution Fought to Preserve Slavery
https://www.texasmon[...]
2020-10-29
[51]
간행물
1835-05-21
[52]
서적
An Empire for Slavery: The Peculiar Institution in Texas, 1821—1865
LSU Press
[53]
간행물
1836-05-04
[54]
문서
Cantrell 2001, p. 364
[55]
문서
Hatch (1999), p. 49
[56]
웹사이트
Austin College: Sherman, Texas
http://www.austincol[...]
Austincollege.edu
2011-12-11
[57]
웹사이트
Stephen F. Austin State University | College, University in Texas
http://www.sfasu.edu
Sfasu.edu
2011-12-11
[58]
웹사이트
The Official Web Site of Travis County, USA
http://www.co.travis[...]
Co.travis.tx.us
2011-12-11
[59]
웹사이트
Stephen F Austin statue Clute 02 photo – Artichoke Vinaigrette photos at
http://www.pbase.com[...]
Pbase.com
2011-12-11
[60]
웹사이트
Texas and the U.S. Capitol Building
http://www.texasbob.[...]
Texasbob.com
2011-12-11
[61]
웹사이트
Area Museums and Landmarks
http://www.gulf-prai[...]
Gulf-prairie.org
2011-12-11
[62]
웹사이트
Potosi
https://www.hmdb.org[...]
2018-06-24
[63]
서적
Moses Austin: his life
Trinity University Press
[64]
서적
Dublin's merchant-Quaker: Anthony Sharp and the Community of Friends, 1643–1707
Stanford University Press
[65]
웹사이트
반미대륙
https://1000ya.isis.[...]
松岡正剛の千夜一夜・遊蕩篇
2012-04-0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