슬라이 앤 더 패밀리 스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슬라이 앤 더 패밀리 스톤은 1966년 결성된 미국의 펑크, 소울, 록 밴드이다. 실베스터 스튜어트(슬라이 스톤)를 중심으로, 흑인과 백인, 남성과 여성을 아우르는 다인종, 다성별의 멤버 구성으로 인종 통합을 음악적으로 실현했다. 1960년대 후반부터 1970년대 초까지 "Dance to the Music", "Everyday People", "Stand!", "Thank You (Falettinme Be Mice Elf Agin)" 등의 히트곡을 발표하며 전성기를 누렸다. 밴드는 독창적인 음악 스타일과 사회적 메시지로 펑크, 소울, 사이키델릭 음악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1970년대 초반 멤버 간의 갈등과 슬라이 스톤의 약물 중독으로 쇠퇴의 길을 걷게 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미국의 펑크 음악 그룹 - 어스, 윈드 & 파이어
어스, 윈드 & 파이어는 모리스 화이트가 이끄는 미국의 펑크, 소울, R&B, 재즈 퓨전 밴드로서, 1970년대 중후반 전성기를 누리며 "샤이닝 스타" 등의 히트곡으로 빌보드 차트를 석권하고 긍정적 메시지와 사회 비판적 시각을 담은 가사, 독특한 보컬, 풍성한 악기 구성으로 많은 후대 음악가들에게 영향을 미쳤다. - 미국의 펑크 음악 그룹 - 아이크 & 티나 터너
아이크 & 티나 터너는 1960년대와 1970년대에 R&B, 록, 소울 음악으로 활동하며 "A Fool in Love", "River Deep – Mountain High", "Proud Mary" 등의 대표곡을 남기고 그래미상을 수상, 로큰롤 명예의 전당에 헌액된 미국의 부부 듀오이자 음악 그룹이다. - 1983년 해체된 음악 그룹 - 사이먼 & 가펑클
사이먼 & 가펑클은 폴 사이먼과 아트 가펑클로 이루어진 미국의 남성 듀오로, 1960년대에 "The Sound of Silence", "Mrs. Robinson", "Bridge over Troubled Water" 등의 히트곡으로 큰 성공을 거두었으며, 포크 록 기반의 실험적인 음악 스타일로 1990년 로큰롤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다. - 1983년 해체된 음악 그룹 - 카펜터스
카펜터스는 리처드 카펜터와 캐런 카펜터 남매로 구성된 미국의 팝 음악 듀오로, 1960년대 후반부터 1980년대 초반까지 활동하며 부드러운 팝 발라드로 큰 인기를 얻었고, 캐런의 독특한 보컬과 리처드의 편곡 능력을 통해 독자적인 음악 스타일을 구축했다. - 1967년 결성된 음악 그룹 - 파리 관현악단
파리 관현악단은 1967년 파리 음악원 관현악단 해체 후 샤를 뮌슈를 초대 음악감독으로 창단되어 세계적인 지휘자들을 거쳐 현재 클라우스 맥켈라가 음악 감독을 맡고 있는 프랑스의 대표적인 관현악단으로, 파리 필하모니를 주요 공연장으로 사용하며 다양한 레퍼토리를 선보이고 세계적인 명성을 얻었으나 독일계 지휘자 비중이 높았던 점에 대한 논란도 있다. - 1967년 결성된 음악 그룹 - 트래픽 (밴드)
트래픽은 스티브 윈우드, 짐 카팔디, 크리스 우드, 데이브 메이슨을 주축으로 1967년 영국 버밍엄에서 결성되어 사이키델릭 록, 블루스 록, 재즈 록을 융합한 실험적인 음악을 선보인 록 밴드이며, 멤버 구성 변화와 해체 후 1994년 재결합, 2004년 로큰롤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다.
슬라이 앤 더 패밀리 스톤 - [음악 그룹]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결성지 | 미국 캘리포니아주 샌프란시스코/발레호 |
활동 기간 | 1966년–1983년 |
레이블 | 에픽 레코드, 스톤 플라워 |
스핀오프 | Graham Central Station Little Sister |
음악 스타일 | |
장르 | 사이키델릭 소울 펑크 록 프로그레시브 소울 |
구성원 | |
이전 구성원 | 슬라이 스톤 프레디 스톤 신시아 로빈슨 제리 마티니 래리 그레이엄 그레그 에리코 로즈 스톤 벳 스튜어트 메리 매크리어리 엘바 무턴 제리 깁슨 팻 리조 러스티 앨런 앤디 뉴마크 빌 로던 시드 페이지 비비안 캠벨 비키 블랙웰 짐 스트라스버그 데니스 마르첼리노 |
관련 웹사이트 | |
공식 웹사이트 | The Official Sly Stone Site |
2. 역사
1966년 슬라이 스톤은 신시아 로빈슨을 트럼펫 연주자로 영입하여 슬라이 앤 더 스토너스를 결성했다. 비슷한 시기에 그의 동생 프레디는 그레그 에리코를 드럼 연주자로, 제리 마티니를 색소폰 연주자로 하는 프레디 앤 더 스톤 소울스를 결성했다.[87] 제리 마티니의 제안으로 1966년 11월, 두 밴드는 슬라이 앤 더 패밀리 스톤으로 합쳐졌다. 캘리포니아주 레드우드 시티의 윈체스터 대성당에서 첫 공연을 가졌고, 이후 밴드 이름을 슬라이 앤 더 패밀리 스톤으로 변경했다. 슬라이와 프레디는 모두 기타리스트였기 때문에, 슬라이는 프레디를 밴드의 공식 기타리스트로 임명하고 자신은 전자 오르간을 연주하기 시작했다. 또한 슬라이는 로빈슨의 사촌인 래리 그레이엄을 베이스 기타 연주자로 영입했다.[87]
윈체스터 대성당에서의 공연 후, 소니 뮤직 엔터테인먼트의 임원 데이비드 카프라릭은 슬라이 앤 더 패밀리 스톤과 CBS의 에픽 레코드 계약을 체결했다. 1967년 발매된 밴드의 첫 앨범 ''A Whole New Thing''은 모스 앨리슨, 토니 베넷 등에게 호평을 받았지만, 판매 부진으로 작은 클럽 공연에 머물렀고, 클라이브 데이비스와 레이블의 개입을 불러왔다.[87]
데이비스는 슬라이에게 음반을 쓰고 녹음하도록 설득했고, 슬라이와 밴드는 "Dance to the Music" 싱글을 제공했다. 1968년 2월 발매된 "Dance to the Music"은 빌보드 핫 100에서 8위를 기록하며 밴드의 첫 히트 싱글이 되었다.[90] "Dance to the Music" 발매 직전, 로즈 스톤이 보컬과 키보드를 맡으며 밴드에 합류했다. 로즈의 형제들은 밴드 합류를 제안했지만, 로즈는 지역 레코드 가게의 안정적인 직업 때문에 처음에는 망설였다.[87]
1969년 5월, 앨범 ''Stand!''를 발매하여 300만 장 이상 판매되며 1960년대 가장 성공적인 앨범 중 하나가 되었다. 8월에는 우드스톡 페스티벌에 출연, 사랑과 평화, 인종 통합의 이상을 대변하며 시대의 아이콘으로 떠올랐다. 같은 달 발매한 싱글 "Hot Fun in the Summertime"은 미국 차트 2위를 기록했고,[20] 12월에 발매한 싱글 "땡큐"는 1위를 차지하며 밴드의 인기는 절정에 달했다.[92]
''Stand!''의 성공으로 슬라이 앤 더 패밀리 스톤은 우드스톡 페스티벌에서 공연 기회를 얻었다. 1969년 8월 17일 이른 아침에 펼쳐진 공연은 축제 최고의 공연 중 하나로 꼽힌다.[16]
1970년대 초, 슬라이 스톤의 마약 중독, 멤버 간 불화, 흑표당의 압력 등으로 밴드 활동은 어려움을 겪었다.[27][28][29][30][31] 1971년 초, 드러머 그렉 에리코가 밴드를 떠났고, 앤디 뉴마크가 합류하기 전까지 여러 드러머가 교체되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1971년, 슬라이 앤 더 패밀리 스톤은 싱글 "패밀리 어페어"를 발매해 빌보드 핫 100 1위를 차지했다.[20] 이 곡은 앨범 ''There's a Riot Goin' On''의 리드 싱글이었다. 앨범은 이전의 밝은 분위기와 달리 어둡고 펑키한 사운드를 담고 있으며, 슬라이의 재녹음과 오버더빙으로 테이프 노이즈가 섞인 독특한 음색을 냈다.[39][40][41]
1972년, 팻 리조가 잠시 밴드에 합류했고, 베이시스트 래리 그레이엄이 슬라이와 갈등 끝에 밴드를 탈퇴했다.[43][44][63] 러스티 앨런이 새 베이시스트로 합류했다.[44]
1980년대 초, 슬라이는 조지 클린턴과 바비 워맥의 도움으로 음악계 복귀를 시도했다. 슬라이는 펑카델릭의 1981년 앨범에 참여했고, 1980년대 후반 마약 중독에서 회복된 후 제시 존슨의 앨범 『쇼카델리카』(1986)에도 참여했다.[96]
2. 1. 결성 이전 (1943-1966)
1943년 텍사스주 댈러스에서 슬라이 스톤(본명 실베스터 스튜어트)은 독실한 개신교 신자 가정에서 태어났다.[11] 어린 시절 가족과 함께 캘리포니아주 발레호로 이주한 후, 형제자매들과 "스튜어트 포"라는 가스펠 그룹을 결성하여 78 RPM 싱글 "On the Battlefield of the Lord"를 발매했다.고등학교 시절 슬라이 스톤은 더 비스케인스라는 두왑 밴드에서 활동하며 지역 싱글을 발매하고, "대니 스튜어트"라는 이름으로 솔로 싱글도 녹음했다.
1964년 슬라이 스톤은 샌프란시스코의 R&B 라디오 방송국 KSOL에서 DJ로 활동하며 비틀즈, 롤링 스톤스 등 백인 연주자들의 음악도 소개했다. Autumn Records에서 레코드 프로듀서로 보 브럼멜스, 바비 프리먼 등의 음반 제작에 참여했고, 바비 프리먼의 "C'mon and Swim"은 전국적인 히트를 기록했다.[12] 슬라이 스톤은 Autumn에서 솔로 싱글을 냈지만 실패했다.[13]
1966년 슬라이 스톤은 신시아 로빈슨(트럼펫)과 함께 슬라이 앤 더 스토너스를 결성했다. 동생 프레디는 그레그 에리코(드럼), 로니 크로포드(색소폰)와 프레디 앤 더 스톤 소울스를 결성했다. 1966년 11월, 제리 마티니(색소폰)의 제안으로 두 밴드는 슬라이 앤 더 패밀리 스톤으로 합쳐졌다.
2. 2. 결성과 초기 활동 (1966-1968)
1966년, 슬라이 스톤은 지인 신시아 로빈슨을 트럼펫 연주자로 포함한 슬라이 앤 더 스토너스라는 밴드를 결성했다. 거의 같은 시기에 그의 동생 프레디는 그레그 에리코를 드럼 연주자로, 제리 마티니를 색소폰 연주자로 하는 프레디 앤 더 스톤 소울스라는 밴드를 결성했다.[87] 스톤의 친구이자 색소폰 연주자인 제리 마티니의 제안으로 슬라이와 프레디는 1966년 11월에 밴드를 합쳐 슬라이 앤 더 패밀리 스톤을 결성했다. 처음에는 슬라이 브라더스 앤 시스터스라고 불렸지만, 캘리포니아주 레드우드 시티의 나이트클럽인 윈체스터 대성당에서 첫 공연을 가진 후, 밴드 이름을 슬라이 앤 더 패밀리 스톤으로 변경했다. 슬라이와 프레디 모두 기타리스트였기 때문에 슬라이는 프레디를 패밀리 스톤의 공식 기타리스트로 임명하고, 스스로 전자 오르간을 연주하는 법을 배웠다. 슬라이는 또한 로빈슨의 사촌인 래리 그레이엄을 베이스 기타 연주자로 영입했다.[87]슬라이의 여동생 배에타 스튜어트 역시 밴드에 합류하고 싶어했다. 그녀와 그녀의 친구들인 메리 맥크레리와 엘바 무턴은 ''더 헤븐리 톤스''라는 가스펠 음악 그룹을 결성했다. 슬라이는 고등학교를 갓 졸업한 이 십 대들을 직접 영입하여 슬라이 앤 더 패밀리 스톤의 백 보컬리스트인 리틀 시스터가 되게 했다.[87]
윈체스터 대성당에서의 공연 후, 소니 뮤직 엔터테인먼트의 임원인 데이비드 카프라릭은 그룹과 CBS의 에픽 레코드 레이블 계약을 체결했다. 패밀리 스톤의 첫 번째 앨범인 ''A Whole New Thing''은 1967년에 발매되어 모스 앨리슨과 토니 베넷과 같은 음악가들로부터 특히 호평을 받았다. 그러나 앨범 판매 부진으로 인해 작은 클럽에서만 공연하게 되었고, 클라이브 데이비스와 레코드 레이블의 개입을 초래했다.[87]
데이비스는 슬라이에게 음반을 쓰고 녹음하도록 설득했고, 그와 밴드는 마지못해 "Dance to the Music" 싱글을 제공했다. 1968년 2월 발매와 함께 "Dance to the Music"은 획기적인 히트를 기록하며 밴드의 첫 차트 싱글이 되었고, 빌보드 핫 100에서 8위에 올랐다.[90] "Dance to the Music" 발매 직전, 로즈 스톤이 보컬리스트이자 키보디스트로 그룹에 합류했다. 로즈의 형제들은 처음부터 그녀에게 밴드에 합류하라고 제안했지만, 그녀는 처음에 지역 레코드 가게에서 안정적인 직업을 그만두는 것을 꺼렸다.[87]
2. 3. 전성기 (1968-1971)
1968년, 슬라이 앤 더 패밀리 스톤은 빌보드 핫 100에서 8위를 기록한 싱글 "Dance to the Music"을 발매하여 처음으로 대중에게 이름을 알렸다.[90] 같은 해 11월, 싱글 "Everyday People"을 발매하여 밴드의 첫 번째 1위 히트곡이 되었다.[20] 이 곡은 인종차별을 포함한 모든 편견에 반대하는 내용을 담고 있으며, 전성기 슬라이 앤 더 패밀리 스톤의 사상을 대표한다.[91]1969년 5월, 앨범 ''Stand!''를 발매하여 300만 장 이상의 판매고를 올리며 1960년대 가장 성공한 앨범 중 하나가 되었다. 8월에는 우드스톡 페스티벌에 출연하여 사랑과 평화, 인종 통합의 이상을 대변하며 시대의 아이콘으로 떠올랐다. 같은 달 발매한 싱글 "Hot Fun in the Summertime"은 미국 차트 2위를 기록했고,[20] 12월에 발매한 싱글 "땡큐"는 1위를 차지하는 등 밴드의 인기는 절정에 달했다.[92]
''Stand!''의 성공에 힘입어 슬라이 앤 더 패밀리 스톤은 우드스톡 페스티벌에서 공연할 기회를 얻었다. 1969년 8월 17일 이른 아침에 펼쳐진 그들의 공연은 축제 최고의 공연 중 하나로 꼽힌다.[16]
2. 4. 변화와 쇠퇴 (1971-1983)
1970년대 초, 슬라이 스톤의 마약 중독, 멤버 간의 불화, 흑표당의 압력 등으로 밴드 활동은 어려움을 겪었다.[27][28][29][30][31] 1969년 가을부터 슬라이 스톤과 멤버들은 코카인과 PCP 등 마약을 심하게 사용했고, 녹음 작업은 더뎌졌다.[31] 1969년 12월, 밴드는 싱글 "Thank You (Falettinme Be Mice Elf Agin)"/"Everybody Is a Star"를 발매했고, "Thank You"는 1970년 2월 빌보드 핫 100 차트 1위에 올랐다.[20]1970년, 슬라이 스톤은 대부분 시간을 마약에 취해 보냈고, 변덕스럽고 침울해져 밴드 콘서트의 3분의 1을 불참했다.[33][34] 1971년 초, 드러머 그렉 에리코가 밴드를 떠났고, 앤디 뉴마크가 합류하기 전까지 여러 드러머가 교체되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1971년, 슬라이 앤 더 패밀리 스톤은 싱글 "패밀리 어페어"를 발매해 빌보드 핫 100 1위를 차지했다.[20] 이 곡은 앨범 ''There's a Riot Goin' On''의 리드 싱글이었다. 이 앨범은 이전의 밝은 분위기와 달리 어둡고 펑키한 사운드로, 슬라이의 재녹음과 오버더빙으로 테이프 노이즈가 섞인 독특한 음색을 냈다.[39][40][41] 앨범 대부분 악기는 슬라이 혼자 연주했고, 빌리 프레스턴, 아이크 터너, 바비 워맥 등이 참여했다.[42] "(You Caught Me) Smilin'"과 "Runnin' Away"도 싱글로 발매되어 좋은 성적을 거두었다.
1972년, 팻 리조가 잠시 밴드에 합류했고, 베이시스트 래리 그레이엄이 슬라이와 갈등 끝에 밴드를 탈퇴했다.[43][44][63] 러스티 앨런이 새 베이시스트로 합류했다.[44]
1980년대 초, 슬라이는 조지 클린턴과 바비 워맥의 도움으로 음악계 복귀를 시도했다. 슬라이는 펑카델릭의 1981년 앨범에 참여했다. 1980년대 후반 마약 중독에서 회복되었고, 제시 존슨의 앨범 『쇼카델리카』(1986)에도 참여했다.[96]
2. 5. 슬라이 스톤의 솔로 활동 및 이후 (1975-현재)
1975년, 슬라이 스톤은 솔로 앨범 ''High on You''를 발매했고, 1976년에는 ''Heard Ya Missed Me, Well I'm Back''을 발매했지만 큰 성공을 거두지는 못했다. 1979년에는 ''Back on the Right Track'' 앨범을 발매했지만, 이전의 인기를 회복하지는 못했다. 1980년대 초, 조지 클린턴과 함께 작업하기도 했지만, 슬라이 스톤의 마약 중독 문제로 인해 활동이 중단되었다. 1982년, 앨범 ''Ain't but the One Way''를 발매했지만, 상업적으로 실패했다. 이후 슬라이 스톤은 마약 문제와 법적 문제 등으로 인해 음악 활동을 거의 중단했다.2006년 2006년 그래미상에서 슬라이 앤 더 패밀리 스톤 트리뷰트 공연이 열렸다. 이 공연은 슬라이 앤 더 패밀리 스톤의 오리지널 라인업이 함께하는 깜짝 무대로 기획되었다. 하지만, 그래미 시상식 제작진은 슬라이 스톤이 리허설에 불참하거나 늦게 도착하는 등 불안정한 모습을 보여 쇼에 불참할 것을 우려했다.[80]
트리뷰트 공연에는 나일 로저스, 조스 스톤, 존 레전드, 판타지아 등 여러 아티스트들이 참여하여 슬라이 앤 더 패밀리 스톤의 곡들을 불렀다.[81] "I Want to Take You Higher" 공연 후반부에 금발 모호크 헤어스타일과 선글라스, 은색 라메 수트를 입은 슬라이 스톤이 깜짝 등장하여 보컬과 키보드를 연주했다. 그러나 공연 3분 만에 슬라이 스톤은 관객들에게 손을 흔들며 무대에서 퇴장했고, 나머지 패밀리 스톤 멤버들과 게스트 연주자들이 곡을 마무리했다.[80]
슬라이 스톤의 짧은 공연은 언론에서 엇갈린 평가를 받았다. AP 통신은 슬라이 스톤을 "펑크의 J. D. 샐린저"라고 칭하며 공연을 "기괴하다"라고 표현한 반면,[80] 다른 AP 통신 보도는 "19년 만의 라이브 공연에서 슬라이 스톤은 여전히 쇼를 훔칠 수 있다는 것을 증명했다"고 보도했다.[82] MTV 뉴스는 "1971년 이후 오리지널 패밀리 스톤과 함께한 슬라이의 첫 그래미 공연은 중단되었고 혼란스러웠으며 그의 음악에 대한 완전한 모독이었다."라며 부정적인 평가를 내렸다.[34]
3. 음악 스타일 및 영향
슬라이 앤 더 패밀리 스톤은 펑크, 소울, 록, 사이키델릭 등 다양한 장르를 혼합한 독창적인 음악 스타일을 선보였다. 제임스 브라운의 펑크, 모타운 팝, 스택스 소울, 브로드웨이 쇼 튠, 사이키델릭 록 음악 등 다양한 요소들을 결합했다.[56] 와와 기타, 왜곡된 퍼즈 베이스라인, 교회 스타일의 오르간, 혼 리프 등이 사용되었고, 슬라이 스톤, 프레디 스톤, 래리 그레이엄, 로즈 스톤이 번갈아 가며 리드 보컬을 맡는 독특한 보컬 편곡을 선보였다.[21][57][58]
밴드의 노래 가사는 평화, 사랑, 이해를 호소했으며, 인종 통합적인 밴드 구성으로도 주목받았다. 백인 멤버 그레그 에리코와 제리 마티니, 여성 멤버 신시아 로빈슨과 로지 스톤은 당시로서는 드문 통합된 밴드의 일원이었다.[60]
"Dance to the Music"과 ''Dance to the Music'', ''Life'' 앨범은 음악 산업 전반에 큰 영향을 미쳤다.[58] "사이키델릭 소울"이라는 새로운 사운드를 제시했으며,[58] 아이슬리 형제, 다이애나 로스 & 슈프림스 등 많은 아티스트들에게 영향을 주었다.[64] 래리 그레이엄은 슬래핑 테크닉을 발명하여 펑크 음악에 큰 영향을 미쳤다.[63]
슬라이 앤 더 패밀리 스톤의 후기 작품, 특히 ''There's a Riot Goin' On'', ''Fresh'', ''Small Talk'' 앨범은 성숙한 펑크 음악의 선구적인 예시로 평가받는다.[56][66] 허비 행콕, 마일스 데이비스, 브라이언 이노 등 많은 음악가들이 이들의 음악에 영향을 받았다고 언급했다.[70][71][72][73] 마이클 잭슨, 스티비 원더, 프린스, 아웃캐스트, 척 D, 레드 핫 칠리 페퍼스, 존 메이어 등도 슬라이 앤 더 패밀리 스톤에게서 영감을 받았다고 밝혔다.[74][75]
4. 구성원
이름 | 역할 | 활동 기간 | 비고 |
---|---|---|---|
슬라이 스톤 | 보컬, 오르간, 기타, 베이스 기타, 피아노, 하모니카 | 1966년 ~ 1975년 | |
프레디 스톤 | 보컬, 기타 | 1966년 ~ 1975년 | |
신시아 로빈슨 | 트럼펫, 보컬 애드립 | 1966년 ~ 1975년 | 2015년 사망 |
제리 마티니 | 색소폰 | 1966년 ~ 1975년 | |
리틀 시스터 (벳 스톤, 메리 맥크레리, 엘바 모튼) | 백 보컬 | 1966년 ~ 1975년 | |
래리 그레이엄 | 보컬, 베이스 기타 | 1966년 ~ 1972년 | |
그레그 에리코 | 드럼 | 1966년 ~ 1971년 | |
로즈 스톤 | 보컬, 피아노, 전기 피아노 | 1968년 ~ 1975년 | |
제리 깁슨 | 드럼 | 1971년 ~ 1972년 | 그레그 에리코 교체 |
팻 리조 | 색소폰 | 1972년 ~ 1975년 | 2021년 사망 |
러스티 앨런 | 베이스 | 1972년 ~ 1975년 | 래리 그레이엄 교체 |
앤디 뉴마크 | 드럼 | 1973년 ~ 1974년 | 제리 깁슨 교체 |
빌 로던 | 드럼 | 1974년 | 앤디 뉴마크 교체 |
시드 페이지 | 바이올린 | 1973년 ~ 1974년 | |
비키 블랙웰 | 바이올린 | 1974년 ~ 1975년 | |
짐 스트라스버그 | 드럼 | 1974년 | 빌 로던 교체 |
아담 비너 | 드럼 | 1975년 | 짐 스트라스버그 교체 |
데니스 마르셀리노 | 색소폰 | 1975년 | 팻 리조 교체 |
오리지널 멤버 중, 이탈리아계 백인인 마티니와 엘리코를 제외한 5명이 흑인이다. 중간 합류 멤버는 흑인(알렌)과 백인(뉴마크)이 1명씩이다. 1972년부터 예비 색소폰 연주자로 팻 리조(백인, 이탈리아계)가 합류했다.[45]
5. 음반 목록
- A Whole New Thing (1967)
- Dance to the Music (1968)
- Life (1968)
- Stand! (1969)
- There's a Riot Goin' On (1971)
- Fresh (1973)
- Small Talk (1974)
- High on You (1975, 슬라이 스톤 명의)
- Heard Ya Missed Me, Well I'm Back (1976)
- Back on the Right Track (1979)
- Ain't but the One Way (1982)
참조
[1]
웹사이트
Sly & the Family Stone | Biography & History
https://www.allmusic[...]
[2]
웹사이트
Sly & the Family Stone | Biography & History
https://www.allmusic[...]
[3]
서적
Black Radio/Black Resistance: The Life & Times of the Tom Joyner Morning Show
Oxford University Press
[4]
웹사이트
Sly & the Family Stone | Biography & History
https://www.allmusic[...]
[5]
웹사이트
Psychedelic Soul Music Genre Overview
https://www.allmusic[...]
[6]
간행물
Fresh
https://www.rollings[...]
1999-11-25
[7]
AllMusic
2005-01-18
[8]
문서
Selvin, Joel (1998), pp. xi–xix.
[9]
문서
Selvin, Joel (1998), p. xi.
[10]
간행물
100 Greatest Artists
https://www.rollings[...]
2010-12-03
[11]
문서
Selvin, Joel (1998), pp. 1–4.
[12]
문서
Selvin, Joel (1998), p. 12.
[13]
문서
Selvin, Joel (1998), pp. 8–9.
[14]
문서
'Selvin, Joel (1998), p. 88; interview with Elva "Tiny" Moulton.'
[15]
문서
'Selvin, Joel (1998), pp. 59–60; interviews with David Kapralik and Jerry Martini.'
[16]
웹사이트
Profile: Sly and the Family Stone
http://oldies.about.[...]
2007-01-18
[17]
서적
Top Pop Singles 1955–1999
Record Research Inc.
[18]
서적
Sly: The Lives of Sylvester Stewart and Sly Stone
[19]
문서
'Selvin, Joel (1998), p. 60; interview with Jerry Martini.'
[20]
웹사이트
Sly and the Family Stone: Billboard Singles
"{{AllMusic|class=ar[...]
All Media Guide, LLC.
2007-01-26
[21]
AllMusic
Review for ''Life'' by Sly and the Family Stone
"{{AllMusic|class=al[...]
2007-01-17
[22]
문서
'Selvin, Joel (1998), p. 68; interview with Jerry Martini.'
[23]
웹사이트
Review of "Everyday People" by Sly and the Family Stone
"{{AllMusic|class=so[...]
2007-02-03
[24]
문서
Lewis, Miles (2006), p. 57.
[25]
웹사이트
This Green and Pleasant Land
https://greenpleasan[...]
Poverty and Race Research Action Council
2017-06-00
[26]
뉴스
Hal Tulchin, Who Documented a 'Black Woodstock,' Dies at 90
https://www.nytimes.[...]
2018-01-23
[27]
문서
Selvin, Joel (1998), pp. 107, 146–152.
[28]
문서
Lewis, Miles (2006), pp. 24–25.
[29]
문서
Lewis, Miles (2006), p. 85.
[30]
문서
'Selvin, Joel (1998), p. 89; interview with David Kapralik.'
[31]
문서
Selvin, Joel (1998), pp. 94–98.
[32]
문서
Selvin, Joel (1998), p. 122.
[33]
문서
Selvin, Joel (1998), pp. 113–115.
[34]
뉴스
Who, Exactly, Is Sly Stone? (That Weird Guy with the Mohawk at the Grammys)
http://www.mtv.com/n[...]
2006-02-11
[35]
문서
Selvin, Joel (1998), pp. 120–122.
[36]
서적
[37]
서적
[38]
서적
[39]
서적
[40]
서적
Mystery Train: Images of America in Rock'n'Roll Music
Plume
[41]
서적
[42]
서적
[43]
서적
[44]
서적
[45]
웹사이트
Review for ''Fresh'' by Sly and the Family Stone
"{{AllMusic|class=al[...]
2007-01-18
[46]
서적
[47]
서적
[48]
웹사이트
Sly and the Family Stone: Billboard Singles
"{{AllMusic|class=ar[...]
2007-02-04
[49]
서적
[50]
서적
[51]
서적
[52]
웹사이트
Leon Russell
"{{AllMusic|class=ar[...]
2007-02-05
[53]
웹사이트
Credits for Andy Newmark
"{{AllMusic|class=ar[...]
2007-02-05
[54]
웹사이트
Review of ''Ain't But the One Way'' by Sly and the Family Stone
"{{AllMusic|class=al[...]
2007-02-04
[55]
웹사이트
Funk legend Sly Stone homeless and living in a van in LA
http://www.nypost.co[...]
2011-09-25
[56]
웹사이트
Sly and the Family Stone
"{{AllMusic|class=ar[...]
2007-01-18
[57]
웹사이트
Review for ''Stand!'' by Sly and the Family Stone
"{{AllMusic|class=al[...]
2007-02-05
[58]
서적
[59]
간행물
Dance to the Music
Epic/CBS Records
[60]
서적
Funk: The Music, the People, and the Rhythm of the One
https://archive.org/[...]
St. Martin's Press
[61]
웹사이트
Sly and the Family Stone: 'Different strokes for different folks.'
http://www.there1.co[...]
2007-01-18
[62]
서적
Encyclopedia of Music in the 20th Century
Routledge
[63]
웹사이트
Larry Graham
"{{AllMusic|class=ar[...]
2007-02-01
[64]
웹사이트
The Temptations
http://www.rockhall.[...]
Rock and Roll Hall of Fame
2007-01-23
[65]
기타
2007-01-18
[66]
웹사이트
Review for ''There's a Riot Goin' On''
http://www.inkblotma[...]
2007-01-18
[67]
잡지
Music News
https://www.rollings[...]
[68]
웹사이트
Review: ''There's a Riot Goin' On''
2007-04-02
[69]
서적
Guinness Book of Top 1000 Albums
Gullane Children's Books
[70]
웹사이트
Review for ''Head Hunters'' by Herbie Hancock
"{{AllMusic|class=al[...]
2007-01-18
[71]
서적
'Selvin, Joel (1998), p. 163.'
[72]
웹사이트
Drummerworld: Andy Newmark
http://www.drummerwo[...]
Drummerworld
[73]
간행물
Brian Eno: "The Studio as Compositional Tool"
http://beatpatrol.wo[...]
[74]
웹사이트
Sly and the Family Stone: 'Different strokes for different folks.'
http://www.there1.co[...]
[75]
간행물
Outkast
https://www.rollings[...]
[76]
간행물
Sly Stone Joins Family
2005-08-18
[77]
간행물
The Immortals: The First Fifty
https://www.rollings[...]
[78]
웹사이트
49th Annual Grammy Awards Winners List.
http://www.grammy.co[...]
2009-11-08
[79]
웹사이트
Sly & The Family Stone – Inductees – The Vocal Group Hall of Fame Foundation
http://vocalgroup.or[...]
2009-04-02
[80]
뉴스
Reclusive Sly Stone Steps Out at Grammys
http://movies.msn.co[...]
MSN.com
2006-02-08
[81]
웹사이트
Review of the Sly and the Family Stone compilation tribute album Different Strokes by Different Folks
"{{AllMusic|class=al[...]
Allmusic.com
2006
[82]
뉴스
Sly Stone Steals Show at Grammys
http://cbs5.com/ente[...]
CBS5.com
2006-02-09
[83]
웹사이트
Sly & the Family Stone {{!}} Biography & History
"{{AllMusic|artist|m[...]
All Media Network
2021-06-11
[84]
문서
レコード・コレクターズ増刊「ソウル&ファンク」p.228。ミュージック・マガジン
[85]
문서
後にヴェット。
[86]
문서
レコード・コレクターズ増刊「ソウル&ファンク」p.229。ミュージック・マガジン
[87]
문서
レコード・コレクターズ増刊「ソウル&ファンク」p.230。ミュージック・マガジン
[88]
url
http://www.allmusic.com/cmon-and-s-w-i-m-with-bobby-freeman
[89]
문서
1975年に[[レオン・ラッセル]]と結婚。
[90]
url
http://www.songfacts.com/detail.php?id=18167
[91]
웹사이트
Sly and the Family Stone
http://rockhall.com/[...]
The Rock and Roll Hall of Fame and Museum, Inc
2019-12-12
[92]
문서
レコード・コレクターズ増刊「ソウル&ファンク」p.232。ミュージック・マガジン
[93]
문서
レコード・コレクターズ増刊「ソウル&ファンク」p.233。ミュージック・マガジン
[94]
문서
僅か8分の1の客席しか埋まらなかった。
[95]
문서
ビルボード12位、年間70位。
[96]
문서
レコード・コレクターズ増刊「ソウル&ファンク」p.228。ミュージック・マガジン
[97]
url
厳選歴代のお気に入り楽曲
https://web.archiv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