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교 음악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종교 음악은 불교, 기독교, 이슬람교, 유교, 신도, 시크교, 힌두교, 조로아스터교, 네오페이건, 라스타파리안 등 다양한 종교에서 나타나는 음악 형태를 포괄한다. 불교 음악에는 염불, 영가, 불교찬가 등이 있으며, 기독교 음악은 찬송가, 성가, 미사곡, 칸타타 등 다양한 장르로 구성된다. 이슬람 음악은 기도, 수피 음악, 나아트 등 여러 형태로 나타나며, 악기와 선율 구성에 특징이 있다. 유교와 신도에서는 신가악, 아악, 신토 음악 등이 존재하며, 한국의 무속 음악은 굿, 시나위, 산조 등 다양한 형태로 나타난다. 또한, 조로아스터교, 시크교, 라스타파리안, 힌두교, 네오페이건 등 각 종교의 고유한 음악 형태가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종교 음악 - 스타바트 마테르 (비발디)
안토니오 비발디가 작곡한 스타바트 마테르는 알토 독창과 현악 오케스트라를 위한 종교 음악으로, 성모 마리아의 고통을 묘사한 시에 곡을 붙여 1712년 초연되었으며 20분 길이의 9악장으로 구성되어 1920년대 재발견 후 복원되었다. - 음악에 관한 - 음악가
음악가는 작곡, 편곡, 연주, 지휘 등 음악 관련 활동을 하는 사람을 통칭하며, 작곡가, 연주자, 가수, 지휘자, 음반 프로듀서 등으로 분류된다. - 음악에 관한 - 합창
합창은 여러 명이 함께 노래하는 음악 형식으로, 작곡가가 가사와 인간 목소리를 고려하여 작곡하며, 서양 음악사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지휘자의 지휘 아래 여러 성부로 구성되어 악기 반주 또는 아카펠라로 노래하며, 종교 음악과 세속 음악 등 다양한 장르에서 활용된다.
종교 음악 | |
---|---|
종교 음악의 개요 | |
정의 | 종교적인 목적으로 사용되는 음악 |
목적 | 예배 기도 의례 영적 경험 고양 |
종교별 음악 | |
기독교 음악 | 찬송가 복음성가 미사곡 오라토리오 |
이슬람 음악 | 아잔 나시드 코란 암송 |
유대교 음악 | 유대교 성가 |
힌두교 음악 | 바잔 |
불교 음악 | 불교 의식 음악 |
도교 음악 | 도교 의식 음악 |
샤머니즘 음악 | 샤머니즘 의례 음악 |
라스타파리 음악 | 라스타파리 집회 음악 |
종교 음악의 기능 | |
기도 및 명상 | 신과 소통하고 영적 깊이를 추구 |
예배 | 종교적 의식과 신앙 고백 |
공동체 결속 | 신앙 공동체 강화 및 유대감 형성 |
문화적 표현 | 각 종교의 독특한 문화적 특징 반영 |
종교 음악의 특징 | |
가사 | 종교적 가르침, 신화, 역사적 사건, 찬양 등을 담음 |
멜로디 | 종교적 분위기, 감정, 전통 등을 표현 |
리듬 | 다양한 리듬 패턴 사용, 명상적 분위기 조성 |
악기 | 다양한 악기 사용, 종교 전통 및 문화 반영 |
성격 | 신성함, 영적 고양, 찬양, 경건함, 숭고함 |
기타 | |
중요성 | 종교 경험의 핵심적 요소 |
2. 불교 음악
불교 음악은 불교를 위해 만들어졌거나 불교에서 영감을 받은 음악을 의미하며, 불교 미술의 한 분야로 여겨진다. 대표적인 예로는 염불( 声明|쇼묘일본어), 영가( 御詠歌|고에이카일본어), 불교찬가( 仏教讃歌|붓쿄산카일본어) 등이 있다. 현대 음악가 중 존 케이지는 선종 사상에 영향을 받아 우연성 음악이라는 독특한 형태의 음악을 만들기도 했다.
2. 1. 불교 성가 (Chanting)
불교의 독경(chanting)은 다른 종교의 종교적 낭송과 유사한 형태의 음악적 운문이나 주문이다. 불교 독경은 특히 형식적인 수행(재가 또는 승려의 맥락 모두에서)의 일환으로 마음을 명상에 준비시키는 전통적인 수단이다. 일부 불교 전통에서는 독경을 신앙 행위의 한 형태로 사용하기도 한다.[8]특정 불교 전통에서는 독경 외에도 전문가가 연주하는 전통 음악이나 독경에 수반되는 의례 음악의 형태로 삼보에 대한 음악 공양을 올린다. 중요한 예로 스리랑카 전통에서는 전통적인 의식에서 북 연주자들이 음악 공양으로 의식을 행하는데, 이는 Sabda-Puja|사브다 푸자sin로도 널리 알려져 있다.
불교에서 종교 음악으로는 염불이나 영가, 불교찬가 등이 있다. 존 케이지의 우연성 음악은 선종의 사상에 따른 종교적 기법에 의한 음악이다.
2. 2. 염불과 영가
불교에서 종교 음악으로는 염불( 声明|쇼묘일본어), 영가( 御詠歌|고에이카일본어), 불교찬가( 仏教讃歌|붓쿄산카일본어) 등이 있다. 불교의 독경(chanting)은 다른 종교의 종교적 낭송과 유사한 형태의 음악적 운문이나 주문으로, 마음을 명상에 준비시키거나 신앙 행위의 한 형태로 사용되기도 한다.[8] 한편, 존 케이지의 우연성 음악은 선종 사상의 영향을 받아 종교적 기법을 활용한 음악으로 볼 수 있다.2. 3. 현대의 불교 음악
불교의 종교 음악으로는 염불, 영가, 찬불가 등이 있다. 현대 음악의 예시로는 존 케이지의 우연성 음악을 들 수 있는데, 이는 선종 사상에 영향을 받아 종교적 기법을 활용한 음악으로 평가받는다.3. 기독교 음악
일부 학자들에 따르면 초기 기독교 음악은 유대교 예배 음악에서 유래했으며, 일부 시리아의 영향을 받았다고 한다. 이 음악은 노래와 말 사이, 또는 이해할 수 있는 의식적인 리듬으로 말하는 것 사이에 있었던 것으로 여겨진다.[9] 그러나 초기 크리스천 음악의 뿌리가 초기 금욕적인 수도원에서 유래했다는 또 다른 견해도 있다.[10]
구체적으로는 찬송가, 성가, 미사곡, 모테트, 칸타타, 코랄, 오라토리오, 레퀴엠 등이 있으며, 이들은 미사 예문이나 성경을 기반으로 한 텍스트로 구성되어 있다. 옛날에는 작곡가가 텍스트에 기반하여 제한된 음형 속에서 곡을 창작했지만 르네상스, 종교 개혁을 거치면서 곡이 급격히 풍부해졌다. 현재의 서양 음악은 기독교 음악에서 발전했다고 할 수 있다.
기독교 (서방 교회)의 대표적인 종교 음악으로는 그레고리오 성가, 바흐의 「미사곡 사단조」, 「마태 수난곡」, 헨델의 「메시아」, 모차르트의 「레퀴엠」 등이 있다.
동유럽에 퍼져 있는 정교회의 성가는 서구의 영향을 받으면서도 독자적인 교회 문화의 기반 위에 발전한 부분도 적지 않다. 특히 정교회에서는 현재까지 악기 반주가 원칙적으로 금지되어 있어 무반주 성가가 발전하게 되었다. 정교회 성가의 저명한 작곡가로는 보르탸닌스키, 차이콥스키, 아르항겔스키, 라흐마니노프 등이 있다.
3. 1. 찬송가 (Hymns)
찬송가는 기독교에서 신을 찬양하거나 예배할 때 부르는 전통적인 노래를 의미하며, '찬양의 노래'를 뜻하는 그리스어 hymnos|휨노스grc에서 유래했다. 수백 년에 걸쳐 수천 곡의 찬송가가 만들어졌고, 이 노래들을 모아 "찬송가집"이라는 책으로 편찬하였다. 목사와 신도들은 기독교 예배 중에 이 찬송가집을 보고 노래를 불렀으며, 이러한 관행은 오늘날 많은 교회에서 계속되고 있다.18세기 이전까지 기독교 찬송가집은 악보 없이 가사만 실린 형태로 출판되었다. 가사와 악보가 함께 실린 최초의 미국 찬송가집은 1831년에 출판되었다. 유럽에서는 잉글랜드 성공회가 1820년이 되어서야 공식적으로 찬송가를 부르는 것을 허용했다. 과거에는 찬송가를 줄맞춰 부르기 방식으로 불렀는데, 이는 목사가 먼저 한 줄을 부르면 회중이 따라서 반복하는 방식이었다. 당시에는 책이 귀하고 비쌌기 때문에, 목사 한 명에게만 찬송가집을 제공하고 모든 사람이 함께 따라 부를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경제적인 방법이었다.[11]
3. 2. 현대 기독교 음악 (Christian Music in the Modern Era)
현대적인 출판 기술의 발달 덕분에 오늘날 찬송가는 과거보다 대중에게 훨씬 쉽게 다가갈 수 있게 되었다. 이로 인해 예전처럼 찬송가 가사를 한 줄씩 읽어주며 따라 부르게 하던 '줄 맞추기'(lining out) 방식은 대부분 사라졌지만, 일부 전통적인 교회에서는 여전히 이 방식을 사용하기도 한다.[1]
20세기에 들어 기독교 음악은 다양한 음악 장르의 영향을 받아 크게 발전했다. 록, 메탈, 팝, 재즈, 현대 기독교 음악, 랩, 영적 음악, 컨트리, 블루스, 그리고 복음 음악 등 여러 장르가 기독교 음악에 접목되었다.[1] 오늘날 교회 예배에서 어떤 장르와 스타일의 음악을 사용하는지는 기독교 교파나 목사와 교인들의 개인적인 선호도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난다.[1]
특히 20세기 후반부터는 전통적인 형식에서 벗어난 교회들을 중심으로 현대적인 음악을 선호하는 경향이 뚜렷해졌다. 이들은 찬양과 경배 음악과 같은 현대적인 곡들이나 복음 음악, 영적 음악을 예배에 적극적으로 활용한다. 이러한 곡들은 찬송가처럼 종교적인 메시지를 전달하려는 목적은 유지하면서도, 가사나 음악적인 면에서는 더욱 현대적인 감각을 반영하고 있다.[1]
4. 이슬람 음악
이슬람 음악은 여러 형태로 존재한다. 각 형태는 서로 다른 목적으로 사용되는데, 하나는 기도와 알라(신)에 대한 완전한 집중을 위한 것이고 다른 하나는 오락을 위한 것이지만 여전히 종교적인 측면을 포함하고 있다.
4. 1. 기도 (Prayer)
이슬람 기도(Salah)는 무슬림들이 기도하고 알라(Allah)를 숭배할 때 사용하는 종교 음악의 한 유형이다. 이 기도는 하루에 다섯 번 아랍어로(기도는 ''살라'') 행해진다. 기도는 메카(Mecca)를 향해 서서, 무릎을 꿇고, 절을 하면서 진행하며, 기도 중에는 일반적으로 이슬람교의 성서인 꾸란을 낭송한다.[1] 메카에서는 하루 종일 이러한 기도들이 도시 전체에 증폭되어 울려 퍼지는 멜로디 기도의 연속을 통해 무슬림들을 하나로 연결한다.이슬람에서 기도, 이 경우 ''살라''의 의미는 의례적인 것으로, 그것은 신의 직접적인 말씀으로 여겨지며 집단적으로 그리고 개인적으로 행해져야 한다.[1] 13세기 여행가 리콜드 드 몽테(Riccold De Monte)는 무슬림들의 기도에 대해 "그들은 너무나도 집중하고 헌신적으로 기도하여 내가 직접 보고 관찰할 수 있었을 때 놀라움을 금치 못했다"고 기록했다.[1] 모든 아브라함계 종교에서 기도 예술의 기원은 신을 찬양하는 것이며, 이슬람교도 마찬가지이다. ''알 살라트(Al Salat)''는 제도화된 기도를 의미하는 가장 널리 사용되는 단어이며, 이슬람에서 가장 오래된 기도 형태 중 하나이다.[17] 이슬람 기도, 전통 및 이상은 이러한 아브라함계 종교의 영향을 받았다.[18] 살라트(Salah)의 기원은 무함마드(Muhammad)가 동굴에서 알라(Allah, 신)를 경배하기 시작한 것에서 찾을 수 있다. 이러한 예배 행위를 통해 무함마드가 아브라함계 예언자 모세와 교류했다고 여겨진다.[1] 현재 이러한 "기도"는 꾸란의 암송과 신앙의 예언자들이 쓴 시의 형태로 이루어진다.
예언자를 통한 아라비아 지역으로의 이슬람 전파 외에도, 실크로드와 같은 무역로와 전쟁을 통한 분쟁을 통해 이슬람이 전파되었다. 실크로드 무역상들과 초기 무슬림 신자들은 627년경 중국과 같은 국가로 가서 모스크를 건설하기도 했다.[19] 중동 출신 남성들이 중국으로 가면서 아시아 여성들과 결혼하여 이슬람의 신앙과 전통이 다양하게 전파되기도 했다.[19] 9세기와 10세기의 십자군 전쟁은 라틴계 기독교 군인들과 무슬림 군인들의 상호 침략을 통해 이슬람의 확산을 촉진하기도 했다. 이러한 갈등은 성지를 둘러싸고 어떤 집단이 이 땅을 소유해야 하는지를 놓고 벌어진 분쟁에서 비롯되어 서로의 땅을 침략하는 결과를 낳았다.[20] 종교 자체가 확산됨에 따라 기도와 같은 의례의 의미 또한 함께 확산되었다.
4. 2. 수피 음악 (Sufi Music)
수피즘은 이슬람의 신비주의적 측면으로, 평화, 관용, 다원주의를 옹호하며, 신과의 관계를 개선하는 수단으로서 음악을 지지한다. 수피 음악은 듣는 사람이 신에게 더 가까이 다가가도록 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음악 감상, 찬송, 선회(旋回) 등을 통해 물질계를 벗어나 영적인 세계로 초월하려는 깊은 열망이 수피 가사의 핵심이며, 이는 영적인 황홀경으로 이어진다.[13] 수피즘에서는 신앙인이 신성에 더 가까워지는 도구로 음악을 여기기 때문에 소리와 음악은 기본적인 경험에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수피 음악은 영혼을 위해, 영혼에 의해 만들어진 음악이라고 할 수 있다.[13]4. 3. 나아트 (Naat)
이슬람 음악의 또 다른 형태는 나아트이다.[14] 나아트(Naat)라는 단어는 아랍어에서 유래했으며, "찬양"으로 번역된다. 이슬람의 예언자 무함마드를 찬양하는 시를 우르두어로 나아트(نعتur)라고 한다. 최초의 나아트는 무함마드 시대로 거슬러 올라가며 아랍어로 쓰였다. 이후 전 세계로 퍼져나가 우르두어, 펀자브어, 신드어, 파슈토어(Pashto), 터키어, 세라이키어 등 다양한 언어로 쓰이게 되었다. 나아트를 낭송하는 사람은 나아트쿠완(Naat-Khuwan) 또는 사나쿠완(Sana-Khuwan)이라고 부른다.[15]4. 4. 악기 (Instruments)
- 현악기
- 관악기인 조르나(Zornā|조르나ara)와 가이타(gayta|가이타ara)
- 뿔피리 (Būq|부크ara)
- 나피르(Nafīr|나피르ara), 또는 긴 나팔
- 쇠북(Idiophones|이디오폰eng), 막대북(membranophones|멤브라노폰eng), 탬버린, 또는 프레임 드럼(frame drums|프레임 드럼eng)
4. 5. 선율 구성 (Melodic Organization)
이슬람 음악은 하나의 멜로디 선율만을 사용하는 단선율(monophonic) 음악이다.[16] 연주에서는 멜로디 선율의 섬세함과 리듬의 복잡성이 가장 중요하게 여겨진다. 멜로디 음표 아래에 옥타브, 5도, 4도와 같은 단순한 음표 배열을 장식으로 사용할 수는 있지만, 서양 음악에서 발전한 화성의 개념은 존재하지 않는다.[16]이슬람 음악은 미세한 음정 변화와 다양한 음정 간격을 사용하여 멜로디를 풍부하게 만드는 특징이 있다. 예를 들어, 9세기 또는 10세기에 이슬람 음악에서 처음 사용된 것으로 알려진 3/4 음정은 더 크고 작은 다른 음정들과 함께 사용된다. 음악가들은 음높이 변화에 대한 예민한 감각을 가지고 있으며, 때로는 완전한 화음으로 여겨지는 4도나 5도 음정조차 약간씩 변화시켜 연주하기도 한다.[16]
5. 유교 음악
6. 신도 및 기타 종교 음악
유교(儒教)의 종교 음악으로는 중국의 아악(雅楽) 등이 있다.
6. 1. 신도 음악
신토 음악(神楽, 신가악)은 일본의 토착 종교인 신토(神道)의 의례 음악이다.6. 2. 무속 음악 (Sinism (Korean shamanism) music)
무악은 무속 의례인 굿에서 연주되는 한국 전통 음악이다. 지리적으로 한국의 반도는 음악적 특징과 악기 연주법에 따라 중부, 북서부, 동부, 남서부, 제주도 지역 등 다섯 개의 무속 음악 지역으로 나눌 수 있다.[45]대표적인 무속 음악 관련 장르로는 시나위와 산조가 있다. 시나위는 한국 남서부 전라도 지역에서 발전한 것으로 여겨지는 즉흥 연주 음악의 한 형태이며, 산조는 즉흥적인 기악 독주로 연주되는 한국 전통 음악의 한 형태이다.
굿은 무속 의례를 일컫는 말이다. 굿에는 신들에게 바치는 제물인 굿상이 차려지며,[46] 의례 내내 음악, 노래, 춤과 함께 극적인 공연인 굿놀이가 진행된다. 굿은 개인적인 목적의 사적 의례와 마을 공동체를 위한 마을 의례로 나눌 수 있다. 사적 의례에는 복을 기원하는 축원굿, 병을 치료하기 위한 치유굿, 죽은 이의 넋을 달래는 저승굿, 무당이 되기 위한 내림굿 등이 있다. 마을 의례는 마을의 평화와 공동체의 단결을 증진하기 위한 것으로, 지역에 따라 다양한 이름으로 불린다.[46] 현대 한국 사회에서 가장 흔하게 볼 수 있는 굿은 무당이 되기 위한 내림굿과 죽은 이를 위한 굿이다.
현대 한국에서 무당은 신이나 영혼과 인간 사이의 매개체 역할을 하는 사람을 의미하며, 보통 여성이 많다.[3] 무당은 직업을 세습으로 이어받은 세습무와 신내림굿을 통해 무당이 된 강신무로 나눌 수 있다.[3]
한국 무속 의례에 사용되는 악기를 무악기(Muakgi)라고 부른다.[47] 여기에는 다음과 같은 악기들이 포함된다.
악기 | 설명 |
---|---|
장구 | 허리가 잘록한 북 |
바라 | 작은 징 |
피리 | 세로로 부는 관악기 |
젓대/대금 | 큰 대나무 피리 |
해금 | 두 줄로 된 현악기 |
꽹과리 | 작고 놋쇠로 만든 타악기 |
북 | 통나무 속을 파내거나 나무 쪽을 붙여 만든 타악기 |
한국 현대 무용계에서는 한국 전통 무속 문화의 중요한 요소들을 묘사한 작품들이 많이 창작되고 있다.[48]
6. 3. 조로아스터교 음악 (Zoroastrian music)
조로아스터교 음악은 조로아스터교 전통과 의례를 수행할 때 함께 연주되는 음악 장르이다.6. 4. 시크교 음악 (Sikh music)
시크교 음악 또는 샤바드 키르탄은 시크교의 중심 경전인 구루 그란트 사히브에 담긴 찬송가, 즉 샤바드를 키르탄 형식으로 부르는 것을 말한다. 이는 신비주의 시를 음악적으로 표현한 것으로, 16세기 후반 현악기인 라바비 반주와 함께 발전하기 시작했다.[36] 모든 시크교 구루들은 당시에 유행하던 고전 음악 및 민속 음악 스타일로 노래했으며, 현악기와 타악기가 반주를 맡았다. 구루들은 시크교 성경인 구루 그란트 사히브에 있는 각 찬송가마다 연주해야 할 라가를 지정해두었다.[36]구루 그란트 사히브는 시크교 구루들과 여러 성인, 성직자들이 쓴 샤바드(찬송가)로 구성되어 있다. 각 샤바드 앞에는 라가가 명시되어 있는데, 이는 샤바드를 어떻게 불러야 하는지에 대한 지침 역할을 한다. 구루 그란트 사히브에는 총 31개의 라가가 있다.[37] 라가는 특정 선율을 구성하는 방법에 대한 규칙들의 집합이다. 즉, 구루 그란트 사히브는 시크교 구루들과 성인들의 샤바드와 가르침에 맞춰 다양한 라가로 작곡된 경전이라 할 수 있다.[38]
구루들은 또한 딜루바, 사랑기, 에스라지, 그리고 조리를 포함한 여러 악기를 만들었다.[39][40]
가장 초기의 시크교 악기 중 하나는 르밥이었다. 시크교의 초대 구루인 구루 나낙이 여러 지역을 여행할 때, 그의 동반자 바이 마르다나는 항상 르밥을 가지고 다녔다. 그들은 마을 주민들에게 시크교 샤바드를 노래했고, 바이 마르다나는 르밥을 연주했다. 이러한 방식으로 구루 나낙은 시크교 키르탄의 전통을 시작했다.[41]
또 다른 시크교 악기인 조리는 '쌍'을 의미하는 단어에서 유래했으며, 이름처럼 두 개의 북으로 이루어져 있다. 연주자는 양손으로 각각의 북을 연주한다. 이 악기는 5대 시크교 구루인 구루 아르준 데브 시대에 만들어졌다. 원래 16세기 남아시아에서 인기 있던 북은 양면을 동시에 연주하는 마르당(Mardang)이었다. 구루 아르준 데브의 궁정 음악가였던 사타와 발완드는 마르당을 반으로 나누어 새로운 악기를 만들기로 했고, 그 결과 두 개의 분리된 북으로 구성되어 각각 조율이 가능한 조리가 탄생했다.[42]

시크교의 독특한 악기 중 하나는 타우스이다. 이 악기는 머리 부분이 공작새 모양으로 만들어졌다. 시크교의 10대 구루인 구루 고빈드 싱이 페르시아어로 공작새를 뜻하는 '타우스'라는 이름을 붙였다.[43] 이 악기는 원래 구루 하르고빈드가 만들었으며, 다른 시크교 악기들보다 크기가 훨씬 크다. 활로 연주하며 28개에서 30개의 현을 가지고 있어 다양한 감정을 표현하고 구루 그란트 사히브의 라가를 제대로 연주하는 데 적합하다.[44]
19세기 영국이 인도를 식민지화한 후, 영국인들은 하모늄과 타블라 같은 악기를 시크교 공동체에 소개했다. 하모늄은 노래 반주에 사용되었고, 타블라는 시크교 키르탄에서 가수와 하모늄을 보조하는 리듬 악기로 자리 잡게 되었다.
6. 5. 라스타파리안 음악 (Rastafarian music)
라스타파리 운동은 1930년대 자메이카에서 활기차고 정열적인 운동으로 등장했다. 외부에서는 이 운동의 기본 원칙 때문에 라스타파리즘을 종교로 분류하기도 하지만, 일부 라스타파리안들은 자신들의 운동을 지지자들을 위한 삶의 방식으로 여겼다. 라스타파리안의 삶의 방식은 아프리카인으로서의 정체성을 재규정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 운동이 남아프리카와 자메이카로 확산됨에 따라 다른 이데올로기와 종교가 결합되면서 라스타파리안 신앙에 대한 혼란이 생기기도 했다. 그러나 기독교가 이 종교의 기본 구조를 이루면서도 성경의 일부를 독자적으로 해석했다.라스타파리안 음악은 초기 자메이카 음악의 한 형태인 레게(reggae) 음악과 깊은 관련을 맺고 있다. 레게가 전 세계로 퍼져나가면서, 창작자들은 원래 레게 사운드에 통합된 라스타파리안 이데올로기를 변형시키기도 했다.[31] 많은 레게 노래는 가사, 주제, 상징을 통해 라스타파리안 문화를 보여준다.[32]
라스타파리안 음악의 초기 기원은 북을 광범위하게 사용한 것과 관련이 깊다. 북 연주는 라스타파리안의 신들과 지지자들 사이의 소통 방식으로 여겨졌다. 북 연주는 주로 '레즈닝 세션(reasoning session)'이라 불리는 모임에서 이루어졌는데, 이곳은 라스타파리안들이 라스타의 집이나 지역 사회 센터에 모여 찬송가를 부르고 기도하며 노래하는 자리였다. 라스타파리안 드러머인 카운트 오시(Count Ossie)는 기도 중 북 연주에서 고조되는 감각에 주목하여 다양한 리듬 패턴을 발견했다.[5] 영적 세션에서 북을 사용하는 것은 아프리카 북 연주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아프리카인들과 라스타파리안들은 이를 통해 문화적 정체성을 추구했다. 종교적 신앙이 없던 다수의 노예들과 음악적 전통이 필요했던 라스타파리안들이 만나면서 이러한 문화적 정체성 추구는 더욱 강화되었다. 노예들이 새로운 종교를 받아들이면서 라스타파리 종교의 확산이 촉진되었고, 라스타파리안들은 부루 음악과 아프로-자메이카인의 리듬 음악을 받아들여 즐겼다.[33]
레게 음악은 라스타파리안 운동이 세계적으로 확산되는 데 크게 기여하여 전 세계적으로 다양한 추종자들을 확보하게 했다. 특히 사회적, 경제적 어려움을 겪는 공동체들에게 큰 공감을 얻었으며, 그들에게 정체성, 자긍심, 그리고 억압적인 시스템에 대한 저항의 메시지를 전달했다.[34]
라스타파리안인 밥 말리(Bob Marley)는 라스타파리안 음악을 전 세계에 알리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 그의 노래 가사에 담긴 종교적 메시지를 통해 라스타파리 신앙은 점차 대중적인 인기를 얻기 시작했다. 말리가 정치 문제, 정의, 평화에 대한 자신의 견해를 음악을 통해 표현하면서 라스타파리의 독특한 신앙에 대한 인식이 높아졌다. 북아메리카 사람들은 드레드록스(dreadlocks), 특유의 말투, 마리화나(marijuana) 흡연과 같은 라스타파리안들의 독특한 문화적 특징들을 알게 되었다. 밥 말리는 오늘날에도 라스타파리안 음악에서 중요한 인물로 여겨지며, 그의 박물관에서는 여전히 냐빙기 리듬(Nyabinghi rhythm)의 드럼 연주가 이어진다.[35]
6. 6. 힌두교 음악 (Hindu music)
힌두교 음악은 힌두교를 위해 만들어졌거나 힌두교의 영향을 받은 음악을 말한다. 여기에는 카르나틱 음악, 인도 고전 음악, 힌두스타니 고전 음악, 키르탄, 바잔 등 다양한 음악 장르가 포함된다. 베다 또한 힌두교 음악의 일부로 여겨진다.'''바잔'''은 종종 고대에서 유래한 힌두교의 헌신적인 노래이다. 바잔은 보통 특정 신이나 여신, 또는 여러 신들에 대한 사랑의 감정을 표현하는 서정적인 가사를 가진 간단한 노래 형식이다. 많은 바잔은 신의 여러 이름과 다양한 측면을 노래하는데, 특히 힌두교의 사하스라나마처럼 신의 1008가지 이름을 나열하는 경우도 있다. 박티, 즉 신에 대한 사랑과 헌신의 마음으로 바잔을 부르는 것이 매우 중요하게 여겨진다. "Rasanam Lakshanam Bhajanam"이라는 말은 우리가 내면의 자아 또는 신에게 더 가까이 다가가는 행위 자체가 바잔이라는 의미를 담고 있으며, 신을 위해 행하는 모든 행위를 바잔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라가'''[12] 또는 '''라아그'''(rāga|라가sa; 문자 그대로 "색칠, 착색, 염색"을 의미)는 인도 고전 음악에서 즉흥 연주를 위한 선율적 틀이다. 이는 서양 음악의 음계와 유사한 개념으로, 즉흥 연주를 위한 기초를 제공한다. 라가는 고전 인도에서 힌두교 음악의 일반적인 형태로 널리 사용되었다.
6. 7. 네오페이건 음악 (Neopagan music)
네오페이건 음악은 현대 이교를 위해 만들어졌거나 현대 이교의 영향을 받은 음악이다. 이는 민속 음악, 클래식 음악, 싱어송라이터, 포스트 펑크, 헤비 메탈 및 앰비언트 음악을 포함한 여러 스타일과 장르에서 나타났다.참조
[1]
논문
Muslim Prayer and Public Spheres: An Interpretation of the Quranic Verse 29:45
[2]
웹사이트
Jewish Sacred Music Sacred Music Radio
https://sacredmusicr[...]
2013-08-28
[3]
웹사이트
InKAS – Korean shamanism
http://inkas.org/en/[...]
[4]
웹사이트
Instruments Hong Kong Quanzhen Temples Taoist Ritual Music
https://daoistmusich[...]
[5]
웹사이트
BBC – Religions – Rastafari: Worship and customs
https://www.bbc.co.u[...]
[6]
웹사이트
Muslim Call to Prayer Smithsonian Folkways Magazine
https://folkways.si.[...]
[7]
논문
Rastafari and Reggae Music as Tools for Critical Pedagogy in the African Academe
https://www.tandfonl[...]
2021-07-03
[8]
서적
Buddhist Ceremonies and Rituals of Sri Lanka
http://www.accesstoi[...]
Buddhist Publication Society
2021-06-09
[9]
문서
Foley 2008
[10]
문서
Taruskin and Gibbs 2013
[11]
간행물
The Golden Age of Hymns: Did You Know?
https://www.christia[...]
2019-02-19
[12]
문서
Raaga
[13]
뉴스
Sufi music: The song of the soul
https://economictime[...]
[14]
논문
اردو نعت کا تعظیمی بیانیہ
http://tasdeeq.ripha[...]
2019-12-30
[15]
웹사이트
Naat a tradition of praise of prophet and an Art of melody
https://blog.travel-[...]
2010-02-21
[16]
웹사이트
Islamic arts – Music Britannica
https://www.britanni[...]
[17]
논문
The Foundation of Muslim Prayer
1999
[18]
논문
SIXTH AND SEVENTH CENTURY RELIGIOUS INFLUENCES ON THE SALĀT RITUAL
2008-08
[19]
웹사이트
Islam Enters the Far East – The Religion of Islam
https://www.islamrel[...]
[20]
뉴스
Why Muslims See the Crusades So Differently from Christians
https://www.history.[...]
[21]
웹사이트
Islamic arts – Musical forms Britannica
https://www.britanni[...]
[22]
웹사이트
An Overview of Jewish Music
https://www.jewishvi[...]
[23]
서적
Book of Klezmer : The History, the Music, the Folklore
Chicago Review Press
[24]
서적
Old Jewish Folk Music: The Collections and Writings of Moshe Beregovski
University of Pennsylvania Press
[25]
서적
Old Jewish Folk Music: The Collections and Writings of Moshe Beregovski
University of Pennsylvania Press
[26]
웹사이트
Klezmer Music
https://www.bpl.org/[...]
2019-10-31
[27]
웹사이트
An Overview of Jewish Music
https://www.jewishvi[...]
[28]
웹사이트
Women and Sephardic Music
https://jwa.org/ency[...]
2021-06-23
[29]
웹사이트
Mizrahi Jew Meaning, History, & Facts Britannica
https://www.britanni[...]
[30]
웹사이트
Mizrachi Music The Jewish Educator Portal
https://educator.jew[...]
[31]
논문
Protestant Vibrations? Reggae, Rastafari, and Conscious Evangelicals
https://www.jstor.or[...]
2006
[32]
논문
Transnational Popular Culture and the Global Spread of the Jamaican Rastafarian Movement
1994
[33]
논문
An Annotated Bibliography of Selected Sources on Jamaican Music
https://www.jstor.or[...]
1980
[34]
논문
Rastafari in the Promised Land: The Spread of a Jamaican Socioreligious Movement among the Youth of West Africa
https://www.jstor.or[...]
1994
[35]
Youtube
Nyabinghi Drumming and on Bob Marley Day 2013
https://www.youtube.[...]
[36]
서적
Teachings of the Sikh Gurus: Selections from the Sikh Scriptures
https://books.google[...]
Routledge
[37]
서적
Guru Granth Sahib an Advance Study, Volume 2
Hemkunt Publishers
[38]
웹사이트
Sikh Ragas – SikhiWiki, free Sikh encyclopedia.
https://www.sikhiwik[...]
2022-05-26
[39]
서적
Sikh sacred music
Sikh Sacred Music Society
1967
[40]
서적
Culture and Emotional Economy of Migration
Routledge
2017
[41]
웹사이트
Rabab {{!}} Discover Sikhism
http://www.discovers[...]
2022-05-02
[42]
웹사이트
Jori {{!}} Discover Sikhism
http://www.discovers[...]
2022-05-04
[43]
웹사이트
Taus {{!}} Discover Sikhism
http://www.discovers[...]
2022-05-26
[44]
웹사이트
Taus – SikhiWiki, free Sikh encyclopedia.
https://www.sikhiwik[...]
2022-05-26
[45]
학술지
The Origin of Korean Music
https://www.jstor.or[...]
2022-05-26
[46]
웹사이트
Shamanic Ritual
https://folkency.nfm[...]
2022-05-04
[47]
웹사이트
Shamanic Instruments
https://folkency.nfm[...]
2022-05-04
[48]
웹사이트
Korean Choreography Inspired by Shamanist Rituals and Dance
https://www.critical[...]
2022-05-11
[49]
웹사이트
Classification and Forms of Daoist Music – FYSK: Daoist Culture Centre – Database
https://en.daoinfo.o[...]
2022-04-25
[50]
웹사이트
Taoist Music
https://www.webpages[...]
2022-04-2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