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시성 (기독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시성(諡聖)은 기독교에서 신앙과 덕행이 뛰어난 인물을 공식적으로 성인으로 선포하는 행위를 의미한다. 초기 기독교에서는 순교자들이 공경받았으며, 4세기 이후에는 고해자들도 포함되었다. 가톨릭교회는 교황청의 주도하에 시성 절차를 진행하며, 정교회는 자치 교회의 회의를 통해 성인을 결정한다. 개신교는 성인 제도를 제한적으로 운영하거나 인정하지 않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사후 인정 - 시복
    시복은 로마 가톨릭교회에서 교황이 죽은 이의 덕과 기적을 인정하여 복자로 선포하는 절차로, 초기에는 지역 주교가 권한을 가졌으나 현재는 교황청 시성성에서 엄격한 심사를 거쳐 진행되며, 시복된 이는 특정 지역이나 공동체에서 기념된다.
  • 사후 인정 - 묘호
    묘호는 동아시아 왕조에서 군주가 사망 후 종묘에 올리는 칭호로, 시호와 달리 선조의 반열에 올리는 의미를 가지며, '조' 또는 '종'으로 구성되나 시대에 따라 그 의미가 변질되기도 했다.
  • 기독교의 연중행사 - 모든 성인 대축일
    모든 성인 대축일은 기독교 축일로, 모든 성인과 순교자를 기념하며, 서방 교회에서는 11월 1일에, 동방 교회에서는 오순절 다음 주일에 기념하고, 많은 국가에서 공휴일로 지정되어 묘지를 방문하여 고인을 기리는 풍습이 있다.
  • 기독교의 연중행사 - 예수의 변모
    예수의 변모는 공관복음서에 기록된 사건으로, 예수의 모습이 변화하고 모세와 엘리야가 나타나 예수와 대화하며 예수의 신성을 드러내는 사건이다.
  • 종교 활동 - 선교사
    선교사는 기독교, 이슬람교, 불교, 힌두교 등 다양한 종교에서 교리 전파나 지역 주민 지원을 위해 파견하는 사람으로, 기독교 선교사는 타문화권에 복음을 전파하고 토착 교회 설립을 추구하며, 역사적으로 서구에서 비서구 지역으로 확장되었으나 식민주의 연관, 문화적 존중 부족 등으로 비판받기도 한다.
  • 종교 활동 - 탁발
    탁발은 불교, 힌두교, 자이나교 등 여러 종교에서 수행 또는 생계 방식으로 여겨져 왔으며, 가톨릭의 탁발 수도회, 개신교의 순회 설교자 파송, 이슬람의 구걸 전통 등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 현대 사회의 사회적 약자 지원 활동에도 영향을 주고 있다.
시성 (기독교)
정의
설명시성(諡聖, 영어: canonization, 라틴어: canonizatio)은 어떤 사람이 죽은 후에 기독교의 특정 교단에서 공식적으로 성인으로 선포되는 절차이다.
기독교 교단별 시성
가톨릭 교회가톨릭 교회에서는 시성이 해당 인물이 천국에 있으며, 숭배할 가치가 있다는 선언이다.
동방 정교회동방 정교회에서는 시성이 해당 인물이 하느님에 의해 영화롭게 되었으며, 신자들의 영적 유익을 위해 숭배하도록 공표하는 것이다.
성공회성공회에서는 역사적으로 가톨릭 교회의 시성을 인정해 왔지만, 종교 개혁 이후에는 자체적인 시성 절차를 따르고 있다.
시성 절차
조사후보자의 삶과 업적, 그리고 기적에 대한 조사가 이루어진다.
증거후보자의 성덕을 입증하는 증거가 수집된다.
심사신학자와 역사가로 구성된 위원회가 증거를 심사한다.
승인교황 또는 해당 교단의 수장이 시성을 승인한다.
발표공식적인 시성 선언이 발표된다.
역사적 배경
초기 기독교초기 기독교 시대에는 순교자들이 성인으로 여겨졌다.
중세 시대중세 시대에는 교황이 시성 절차를 주관하기 시작했다.
종교 개혁종교 개혁 이후, 개신교에서는 성인 숭배를 거부하고 시성 제도를 폐지했다.
시성의 의미
신앙적 의미시성은 신자들이 본받을 만한 모범을 제시하고, 신앙을 강화하는 데 기여한다.
문화적 의미시성은 문화적 유산을 보존하고, 사회적 가치를 고양하는 데 영향을 미친다.
시성 관련 논쟁
기준의 모호성시성 기준이 모호하다는 비판이 있다.
정치적 영향력시성 과정에 정치적 영향력이 작용한다는 논란이 있다.
비용 문제시성 절차에 많은 비용이 소요된다는 지적이 있다.

2. 역사적 발전 단계

초기 기독교에서 순교자들은 자신의 신앙을 증거하고 그리스도와 일치된 삶을 산 인물로 여겨져 공경의 대상이 되었다. 라틴 전례 양식 미사 경문에는 성모 마리아와 순교자들의 이름만이 언급되며, 1962년 이후부터는 성 요셉도 언급되기 시작했다.[42]

4세기 이후에는 순교자뿐만 아니라 '고해자'라고 불리는, 말과 행동으로 신앙을 드러낸 인물들도 공경받기 시작했다. 동방의 성 힐라리온과 성 에프렘, 서방의 성 마르티노와 성 힐라리오 등이 대표적이다. 이들의 이름은 디프티카(2연판)에 목록으로 기록되었고, 공개적인 전례에서 공경받았다.[42]

지역 주교의 승인을 받아야만 공적으로 공경받을 수 있었다. 성 치프리아노는 순교했다고 전해지는 이들에 대한 철저한 조사를 권고했으며, 성 아우구스티노는 순교 인정 절차에 대해 다음과 같이 증언했다. 순교가 일어난 지역을 관할하는 주교는 조사를 위한 절차를 결정하고, 순교자의 행적은 수도대주교나 수석주교에게 보고되었다. 해당 주교는 조사를 실시하고, 보좌 주교들과 협의하여 사망 인물이 순교자로 공경받을 자격이 있는지 최종 판단을 내렸다.

2. 1. 가톨릭교회

로마 가톨릭교회에서는 교황청에서 시성 작업을 주관하며, 이는 전 세계 모든 교회의 전례에서 해당 성인을 공경할 수 있도록 허용하는 것을 의미한다.[43] 중세 서유럽에서는 교황청이 시성 결정에 적극적으로 개입하기 시작했다. 993년 교황 요한 15세에 의해 주재된 성 우달리코의 시성이 교황 주재 최초의 시성으로 알려져 있다.[11] 이후 성인 시성 문제는 교황의 판결에 전적으로 의존하게 되었다. 1153년 루앙의 대주교 위그 드 보베에 의해 시성된 성 발테르는 서유럽에서 교황이 아닌 인물에 의해 시성된 마지막 성인이다.[44][45][1]

1235년 헝가리의 엘리자베스의 시성. ''샨도르 리에젠-마이에르''(1863).


1173년 교황 알렉산데르 3세는 시성 권한을 교황에게 유보하는 교령을 발표했다.[14] 1634년 교황 우르바노 8세는 시성 및 시복 권한을 교황청에 독점적으로 유보하는 사도 서한 ''Caelestis Hierusalem cives''를 발표했다.

1983년 교황 요한 바오로 2세는 시성 절차를 간소화하는 사도헌장 ''Divinus Perfectionis Magister''를 발표했다.[17] 현대 가톨릭교회에서 시성 후보자는 다음 단계를 거친다.

# 하느님의 종: 시성 절차는 교구 차원에서 시작되며, 후보자의 저술, 연설, 설교에 대한 조사와 증언 수집이 이루어진다.

# 존경자: 성인 시성성에서 영웅적 덕행을 심사하여 '존경자' 칭호를 부여한다.

# 시복: 순교자는 순교 선언으로, 비순교자는 기적 심사를 통해 복자가 된다.

# 성인: 복자 이후 추가 기적 심사를 통해 성인으로 선포된다.

시성은 성인이 확실히 천국에 있다는 교회의 선언이며,[24][25] 성인에게는 축일이 지정되고, 본당 교회는 그들을 기리기 위해 세워질 수 있다.

2. 2. 정교회

동방 정교회에서 시성에 사용되는 용어는 다양하다. 러시아 정교회에서는 "영광" 또는 канонизация[33], 조지아 정교회에서는 კანონიზაცია (''kanonizats’ia''), 세르비아 정교회에서는 канонизација, 루마니아 정교회에서는 ''canonizare'', 불가리아 정교회에서는 Канонизация라고 한다. 콘스탄티노폴리스 세계 총대주교청, 키프로스 교회, 그리스 교회에서는 αγιοκατάταξηel[36] (ἁγιοκατάταξιςel ''agiokatataxi/agiokatataxis'', "성인 중 서열 부여")라고 하며, 알바니아 정교회에서는 ''kanonizim'', 폴란드 정교회에서는 ''kanonizacja'', 체코와 슬로바키아 정교회에서는 ''kanonizace/kanonizácia''라고 한다. 미국 정교회는 성인을 공식적으로 인정할 때 "영광"이라는 용어를 사용한다.[37]

자치 교회 이상의 교회 회의에서 시성이 선언되면, 그 교회의 성인록에 등재되고 자동적으로 세계적으로 축하받게 된다. 다만 일원적인 관리가 이루어지는 것은 아니므로, 숭경에는 지방마다 특색이 있으며, 각 지방에서 잘 알려지지 않은 성인의 축일은 거행되지 않는 경우도 있다. 또한 성찬예배에 사용하는 성인의 칭호도, 지방에 따라 다를 수 있다.

일본 정교회러시아 정교회의 보호 아래에 있기 때문에, 러시아로부터 전해진 성인록에 그 후 추가된 성인을 수시로 추가하여 공기도(예배) 등에 사용하고 있다. 2004년 현재 일본인 성인은 없으며, 일본 정교회와 관계있는 성인으로는 일본에 정교회를 전파한 초대 일본 대주교 니콜라이 카사트킨과 초대 교토 주교로 후에 러시아로 돌아가 러시아 혁명순교한 안드로니크 니콜리스키 두 사람이 있다. 안드로니크의 시성 당시 정식 칭호는 "신품 순교자·페름 대주교·성 안드로니크"이지만, 일본에서는 "교토의 주교·성 안드로니크"라고도 부른다.

2. 3. 개신교

개신교에서는 성인의 범위가 매우 제한적이며, 새로운 성인을 선언하지도 않는다.

대다수의 개신교 교단은 성경에서 모든 기독교인을 성도로 지칭하는 방식을 사용하기 때문에 성인을 공식적으로 인정하지 않는다. 하지만 일부 교단에서는 성인을 인정한다.

성공회의 모교회인 잉글랜드 교회는 1660년 캔터베리 및 요크 총회에서 찰스 1세를 성인으로 시성했다.

연합감리교회 총회는 디트리히 본회퍼(2008년)와 마틴 루터 킹 주니어(2012년)를 포함하여 개인을 공식적으로 순교자로 선포했다.[29][30]

참조

[1] 웹사이트 canonize https://www.merriam-[...] Merriam-Webster 2020-07-06
[2] 서적 The Imperial Dictionary of the English Language https://archive.org/[...] 1905
[3] 간행물 CANON https://commons.wiki[...] Catholic Encyclopedia 1913
[4] 백과사전 Canonization https://www.britanni[...] 2020-07-06
[5] 논문 Saints, Devotions and Canonisation in Early Modern Italy 2012
[6] 웹사이트 Laudate Dominum – Roman Martyrology – March http://laudatedominu[...]
[7] 웹사이트 Canonized from the Cross: How St Dismas Shows it's Never Too Late... https://www.setonmag[...] 2020-03-01
[8] 문서 Beatification and Canonization http://www.newadvent[...] The Catholic Encyclopedia 1907
[9] 문서 Brevic. Collat. cum Donatistis PL
[10] 문서 Comm. Perpet. in singulos textus libr. Decr.
[11] 논문 Pope Alexander III and the Canonization of Saints: The Alexander Prize Essay 1945
[12] 웹사이트 William Smith and Samuel Cheetham, A Dictionary of Christian Antiquities (Murray, 1875) https://archive.org/[...] Boston: Little 2014-10-04
[13] 웹사이트 Pope Alexander III https://web.archive.[...] 2014-10-04
[14] 문서 Decretales
[15] 문서 De Eccles. Triumph.
[16] 웹사이트 Aimable Musoni, 'Saints without Borders' https://web.archive.[...] 2013-10-12
[17] 웹사이트 Divinus Perfectionis Magister https://www.vatican.[...] 2014-10-04
[18] 뉴스 Devil's Advocate Is Puglia: 'It will test the virtues of aspiring saints{{'}} https://translate.go[...] la Republica 2012-11-05
[19] 문서 Divinus Perfectionis Magister https://www.vatican.[...] 1983-01-25
[20] 문서 Norms to be observed in inquiries made by bishops in the causes of saints' 1983
[21] 문서 Mother Teresa of Calcutta (1910–1997), Biography https://www.vatican.[...] Office of Papal Liturgical Celebrations, Internet Office of the Holy See
[22] 웹사이트 Sister Lucia's Beatification Process to Begin https://web.archive.[...] 2014-10-04
[23] 문서 Response of His Holiness Benedict XVI for the Examination of the Cause for Beatification and Canonization of the Servant of God John Paul II' 2005
[24] 문서 Doctrinal Commentary on the Concluding Formula of the Professio Fidei http://www.ewtn.com/[...] Congregation for the Doctrine of the Faith
[25] 웹사이트 "Beatification and Canonization" http://www.newadvent[...] The Catholic Encyclopedia 1907
[26] 웹사이트 Pope Francis declares blind 14th-century lay Dominican a saint https://www.catholic[...] 2021-04-24
[27] 웹사이트 Catholic Encyclopedia: Beatification and Canonization https://www.newadven[...] 2021-04-24
[28] 서적 Martyrdom: A Very Short Introduction Oxford University Press 2012-11-29
[29] 뉴스 Dietrich Bonhoeffer first martyr officially recognized by United Methodists https://www.dallasne[...] 2018-05-04
[30] 웹사이트 United Methodists declare MLK Jr. a modern-day martyr https://web.archive.[...] United Methodist Church 2018-05-04
[31] 웹사이트 Αγ. Χρυσόστομος Σμύρνης http://www.triglia.g[...] Municipality of Triglia
[32] 웹사이트 Ο μαρτυρικός θάνατος του Μητροπολίτου Σμύρνης http://www.serrelib.[...] Δημοσια Κεντρικη Βιβλιοθηκη Σερρων 2006-09-13
[33] 웹사이트 "Почему был канонизирован Николай Второй?" http://www.pravmir.r[...] Pravmir.ru 2009-07-17
[34] 웹사이트 "Прославление святых – это не дело узкого круга специалистов, это дело всей Церкви" http://www.pravmir.r[...] Pravmir.ru 2013-12-09
[35] 웹사이트 "On the Glorification of Saints" http://www.fatherale[...]
[36] 서적 Dictionary of Modern Greek Lexicology Centre 1998
[37] 웹사이트 The Glorification of Saints in the Orthodox Church http://www.oca.org/F[...] 2016-04-08
[38] 서적 Worship Traditions in Armenia and the Neighboring Christian East St Vladimir's Seminary Press 2006
[39] 웹사이트 Armenian Church makes saints of 1.5 million genocide victims https://news.yahoo.c[...] Yahoo News 2015-04-23
[40] 웹사이트 Armenian Genocide victims canonized in Holy Etchmiadzin http://www.panarmeni[...] Panarmenian.Net 2015-04-23
[41] 웹사이트 Canonized: Armenian Church proclaims collective martyrdom of Genocide victims – Genocide https://web.archive.[...] ArmeniaNow.com 2015-04-23
[42] 문서 For the history of canonization, see Kemp, Canonization and Authority in the Western Church
[43] 웹사이트 Beatification and Canonization http://www.newadvent[...] Robert Appleton Company 1907
[44] 서적 A Dictionary of Christian Antiquities http://www.archive.o[...] Murray 1875
[45] 웹인용 Alexander III https://web.archive.[...] 2013-08-2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