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신증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신증은 불교 용어로서, 8해탈을 몸으로 체험하여 성취하는 것을 의미한다. 8해탈은 탐욕을 버리는 단계, 물질, 공간, 마음에 대한 집착을 버리는 단계, 멸진정에 이르는 단계로 구분되며, 각 단계는 수행을 통해 도달할 수 있는 해탈의 경지를 설명한다. 《중아함경》, 《아비달마대비바사론》, 《아비달마구사론》 등 다양한 경론에서 신증에 대한 설명이 나타나며, 수행의 깊이에 따라 신증의 의미가 다르게 해석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불교 용어 - 불멸기원
    불멸기원은 석가모니의 입멸을 기원으로 하는 불교력의 연호로, 기원전 544년 설과 기원전 543년 설에 따라 계산에 차이가 있으며, 태음태양력을 기반으로 윤년과 윤달을 통해 태양력과의 차이를 조정하고, 동남아시아 여러 국가에서 불교 관련 행사 및 휴일 표기에 사용된다.
  • 불교 용어 - 마음챙김
    마음챙김은 불교 용어인 '사띠'와 '스므르티'에서 유래하여 현재 순간에 대한 자각과 수용을 의미하며, 스트레스 감소 및 정신 건강 증진을 위해 심리학, 의학 분야에서 활용되고 다양한 분야에서 유사한 개념이 존재하나 상업화 및 윤리적 문제에 대한 비판도 있다.
신증
기본 정보
대한민국의 행정 구역
대한민국의 행정 구역
국토 면적 순위107위
인구 순위28위
수도서울
공용어한국어
역사
기원고조선 (기원전 2333년)
현재 국가 성립1948년 8월 15일
정치
정치 체제대통령 중심제 공화국
대통령윤석열
국무총리한덕수
국회 의장김진표
지리
면적100,363 km²
물 면적 비율0.3%
인구
총인구 (2023년)51,628,117명
인구 밀도514명/km²
경제
명목 GDP (2023년)1조 7,090억 달러
1인당 명목 GDP (2023년)33,147 달러
GDP (PPP) (2023년)2조 7,360억 달러
1인당 GDP (PPP) (2023년)53,042 달러
화폐원 (₩, KRW)
기타
시간대UTC+9
차량 통행 방향우측 통행
ISO 3166-1KR
국가 코드410
인터넷 최상위 도메인.kr
국제전화 코드+82

2. 8해탈의 종류

8해탈은 크게 세 가지 단계로 나눌 수 있다. 첫 번째는 초선과 제2선(第二禪)에 의지하여 부정관(不淨觀)을 수행하여 현색탐(顯色貪)을 다스려 탐욕을 버리는 단계이다.[18][19][20][21] 두 번째는 4무색정(四無色定)에 의지하여 물질, 공간, 마음에 대한 생각을 완전히 버리는 단계이다.[18][19][20][21] 이 단계에서 공무변처해탈(空無邊處解脫)은 물질, 식무변처해탈(識無邊處解脫)은 허공, 무소유처해탈(無所有處解脫)은 마음, 비상비비상처해탈(非想非非想處解脫)은 '마음에 대한 생각을 완전히 버린 상태'를 다시 완전히 버리는 것이다. 세 번째는 멸진정(滅盡定)에 의지하여 '일체의 마음[心]과 마음작용[心所]'이 소멸된 적정(寂靜)의 상태에 들어가는 멸수상정해탈(滅受想定解脫)이다.[18][19][20][21]

2. 1. 탐욕을 버리는 단계

이 단계는 초선(初禪)과 제2선(第二禪)에 의지하여 부정관(不淨觀)을 수행하여 현색탐(顯色貪)을 다스리는 것을 목표로 한다.[18][19][20][21]

2. 1. 1. (1) 내유색상관외색해탈(內有色想觀外色解脫)

4선초선(初禪)과 제2선(第二禪)에 의지하여 부정관(不淨觀)을 수행하여 현색탐(顯色貪)을 대치하는 것으로, 바깥 대상의 색깔에 대하여 퍼렇게 어혈든[靑瘀] 색깔 등을 관하는 부정관을 닦아 마음 속에 있는 빛깔에 대한 탐욕을 버리는 것을 뜻한다.[18][19][20][21] 탐욕을 떠난 것이므로 해탈이라 이름한다.

2. 1. 2. (2) 내무색상관외색해탈(內無色想觀外色解脫)

4선초선과 제2선에 의지하여 부정관(不淨觀)을 수행하여 현색탐(顯色貪)을 대치하는 것이다. 마음 속에 있는 색깔에 대한 탐욕은 이미 없어졌지만 이 상태를 더욱 견고히 유지하기 위해 바깥 대상의 색깔에 대하여 퍼렇게 어혈든[靑瘀] 색깔 등을 관하는 부정관을 계속 닦는 것을 말한다. 탐욕을 다시 일으키지 않게 하는 것이므로 해탈이라 이름한다.[18][19][20][21]

2. 1. 3. (3) 정해탈신작증구족주(淨解脫身作證具足住)

4선 중 제4선(第四禪)에 의지하여 정관(淨觀)을 수행하여 탐욕을 일으키지 않는 상태를 체득하는 것이다. 부정관(不淨觀)을 버리고 바깥 대상의 아름다운 색깔을 주시하여도 탐욕이 일어나지 않고 그 상태를 '몸으로 완전히 체득하여 안주하는 것'을 말한다. 탐욕을 일으키지 않게 하는 것이므로 해탈이라 이름한다.[18][19][20][21]

2. 2. 물질, 공간, 마음에 대한 집착을 버리는 단계

이 단계는 4무색정(四無色定)에 의지하여 물질, 공간, 마음에 대한 생각을 완전히 버리는 것을 목표로 한다. 공무변처해탈(空無邊處解脫)은 물질, 식무변처해탈(識無邊處解脫)은 허공, 무소유처해탈(無所有處解脫)은 마음, 비상비비상처해탈(非想非非想處解脫)은 '마음에 대한 생각을 완전히 버린 상태'를 다시 완전히 버리는 것이다. 각 단계는 이전 단계의 대상에 대한 마음의 한계를 벗어나므로 해탈이라 불린다.[18][19][20][21]

2. 2. 1. (4) 공무변처해탈(空無邊處解脫)

공무변처해탈(空無邊處解脫)은 4무색정 중 공무변처정에 의지하여 물질(색깔과 모양)에 대한 생각을 완전히 버리는 것을 말한다. 물질의 속박, 즉 물질에 대한 마음의 한계를 벗어나는 것이므로 해탈이라 이름한다.[18][19][20][21]

2. 2. 2. (5) 식무변처해탈(識無邊處解脫)

4무색정 중 식무변처정에 의지하여 허공(공간)에 대한 생각을 완전히 버리는 것을 말한다. 허공의 속박, 즉 허공에 대한 마음의 한계를 벗어나는 것이므로 해탈이라 이름한다.[18][19][20][21]

2. 2. 3. (6) 무소유처해탈(無所有處解脫)

무소유처해탈(無所有處解脫)은 4무색정 중 무소유처정에 의지하여 마음[識]에 대한 생각을 완전히 버리는 것을 말한다. 마음[識]의 속박, 즉, 마음에 대한 마음의 한계를 벗어나는 것이므로 해탈이라 이름한다.[18][19][20][21]

2. 2. 4. (7) 비상비비상처해탈(非想非非想處解脫)

4무색정 중 비상비비상처정에 의지하여, '마음[識]에 대한 생각을 완전히 버린 상태' 즉 무소유심(無所有心)을 다시 완전히 버리는 것을 말한다. 있음과 없음에 대한 마음의 한계를 벗어나는 것이므로 해탈이라 이름한다.[18][19][20][21]

2. 3. 멸진정에 이르는 단계

멸수상정해탈(滅受想定解脫)은 멸진정(滅盡定)에 의지하여 '일체의 마음[心]과 마음작용[心所]'이 소멸된 적정(寂靜)의 상태에 들어가는 것을 말한다. 마음과 수(受) '''·''' (想) 등의 마음작용의 한계 또는 시끄러움을 벗어난 고요한 상태이므로 해탈이라 이름한다.[18][19][20][21] '일체의 마음과 마음작용'이란 부파불교의 교학에 따르면 6식과 6식과 상응하는 모든 마음작용을 뜻하며, 대승불교의 교학에 따르면 6식 모두와 제7 말나식의 염오한 부분 및 이 마음들과 상응하는 모든 마음작용을 뜻한다.

2. 3. 1. (8) 멸수상정해탈(滅受想定解脫)

멸진정(滅盡定)에 의지하여 '일체의 마음[心]과 마음작용[心所]'이 소멸된 적정(寂靜)의 상태에 들어가는 것을 말한다. 마음(受) '''·''' (想) 등의 마음작용의 한계 또는 시끄러움을 벗어난 고요한 상태이므로 해탈이라 이름한다.[18][19][20][21] '일체의 마음과 마음작용'이란 부파불교의 교학에 따르면 6식과 6식과 상응하는 모든 마음작용을 뜻한다. 대승불교의 교학에 따르면 6식 모두와 제7 말나식의 염오한 부분 및 이 마음들과 상응하는 모든 마음작용을 뜻한다.

3. 경론별 설명

8해탈은 초기 경전인 《중아함경》과 부파불교의 대표적인 논서인 《아비달마대비바사론》, 《아비달마구사론》 등 다양한 경론에서 설명되고 있다.

3. 1. 중아함경

《중아함경》에서는 8해탈을 몸으로 체험하여 성취하는 신증(身證)에 대해 언급한다. 이러한 경지에 이른 비구는 지혜로써 번뇌가 다했음을 알지는 못하지만, 방일하지 않고 수행하면 번뇌가 다하고 마음이 해탈하는 경지에 이를 수 있다고 설명한다.

3. 2. 아비달마대비바사론

아비달마대비바사론》 제54권에서는 신증(身證)을 다음과 같이 정의하고 있다.[22][23]

신증(身證)의 보특가라는 신승해나 견지로서 몸으로써 8해탈(解脫)을 빠짐없이 증득하면서도 아직 지혜로써 모든 번뇌를 다하지 못한 이를 말하며, 그는 신승해나 견지를 버리고 신증을 얻는 자이다.

그럴 때에 무엇을 버리고 무엇을 얻는가에 대한 질문에 대해 외국(外國)의 여러 논사들은 “이름과 도를 버리고 얻는다. 신승해견지의 이름을 버리고 신증의 이름을 얻으며, 신승해나 견지의 도를 버리고 신증의 도를 얻는 것이다”라고 말한다.

가습미라국(迦濕彌羅國)의 여러 논사들은 “이름을 버리고 이름을 얻는 것이지 도를 버리고 도를 얻는 것은 아니다. 신승해 등은 멸정(滅定)을 얻을 때에는 무루의 도를 버리지도 않고 얻지도 않기 때문이다”라고 말한다.

또한 《아비달마대비바사론》제54권에서는 신증에 대해, 몸으로 8해탈(解脫)을 증득했지만 아직 지혜로써 모든 번뇌를 다하지는 못했기 때문에 신증이라고 설명한다.[24][25]

3. 3. 아비달마구사론

아비달마구사론에 따르면, 불환(不還)의 성자멸진정(滅盡定)을 획득하면 신증(身證)이라 칭한다.[26][27] 이는 소의신(所依身)에 의지하여 멸진정을 증득했기 때문이다.[28][29]

아비달마구사론 제24권에서는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멸정(滅定)을 획득한 불환은 이름을 바꾸어 '신증'이라고 한다." 즉, 불환의 성자가 소의신 중에 멸진정의 이 생겨난 경우, 그 명칭을 신증이라고 한다. 불환의 성자가 소의신에 의거하여 열반과 유사한 법(멸진정)을 증득하였기 때문에 '신증'이라고 한다.

아비달마구사론에서는 마음이 존재하지 않고 소의신에 의지하여 멸진정이 생겨났기 때문에 신증이라고 이름한다고 설명한다. 또한, 멸진정으로부터 일어나 이전에 획득하지 않은 유식신(有識身)의 적정(寂靜)을 획득하고 '이 멸진정이야말로 최고의 적으로 열반과 지극히 유사하다'고 생각하며, 이와 같이 소의신의 적정을 증득하였기 때문에 '신증'이라 이름하게 되었다고 설명한다. 즉, [멸진정의] 과 [출정 후 멸진정을 연으로 하여 일어난] 지(智)가 현전함으로 말미암아 소의신의 적정을 증득하였기 때문이다.

참조

[1] 간행물 아비달마대비바사론 http://tripitaka.cbe[...] 대정신수대장경, CBETA 2022-08-20
[2] 간행물 아비달마대비바사론 https://kabc.dongguk[...] 2022-08-20
[3] 간행물 아비달마대비바사론 http://tripitaka.cbe[...] 대정신수대장경, CBETA 2022-08-20
[4] 간행물 아비달마대비바사론 https://kabc.dongguk[...] 2022-08-20
[5] 사전 신증 시공 불교사전 2022-08-20
[6] 사전 身證 佛光大辭典 2022-08-20
[7] 사전 身證 Digital Dictionary of Buddhism 2022-08-20
[8] 간행물 중아함경 http://tripitaka.cbe[...] 대정신수대장경, CBETA 2022-08-20
[9] 간행물 중아함경 https://kabc.dongguk[...] 2022-08-20
[10] 사전 八解脫 Digital Dictionary of Buddhism 2022-08-20
[11] 사전 九次第定 Digital Dictionary of Buddhism 2022-08-20
[12] 사전 身證(신증) 불교사전 2022-08-20
[13] 사전 身證補特伽羅 불학사전 2022-08-20
[14] 간행물 아비달마구사론 http://tripitaka.cbe[...] 대정신수대장경, CBETA 2022-08-20
[15] 간행물 아비달마구사론 https://kabc.dongguk[...] 2022-08-20
[16] 간행물 아비달마구사론 http://tripitaka.cbe[...] 대정신수대장경, CBETA 2022-08-20
[17] 간행물 아비달마구사론 https://kabc.dongguk[...] 2022-08-20
[18] 사전 八解脫(팔해탈) 불교사전 2022-08-19
[19] 사전 팔해탈[八解脫] 시공 불교사전 2022-08-19
[20] 사전 八解脫 佛光大辭典 2022-08-19
[21] 사전 八解脫 불학사전 2022-08-19
[22] 간행물 아비달마대비바사론 http://tripitaka.cbe[...] 대정신수대장경, CBETA 2022-08-20
[23] 간행물 아비달마대비바사론 https://kabc.dongguk[...] 2022-08-20
[24] 간행물 아비달마대비바사론 http://tripitaka.cbe[...] 대정신수대장경, CBETA 2022-08-20
[25] 간행물 아비달마대비바사론 https://kabc.dongguk[...] 2022-08-20
[26] 간행물 아비달마구사론 http://tripitaka.cbe[...] 대정신수대장경, CBETA 2022-08-20
[27] 간행물 아비달마구사론 https://kabc.dongguk[...] 2022-08-20
[28] 간행물 아비달마구사론 http://tripitaka.cbe[...] 대정신수대장경, CBETA 2022-08-20
[29] 간행물 아비달마구사론 https://kabc.dongguk[...] 2022-08-2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