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아달 술탄국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달 술탄국은 13세기경에 건국되어 에티오피아 동부에 위치했던 이슬람 왕국이다. 와라슈마 왕조가 통치했으며, 초기에는 이파트 술탄국의 속국이었으나 독립하여 세력을 확장했다. 15세기에는 에티오피아와의 충돌이 빈번했으며, 16세기 초에는 아흐마드 이븐 이브라힘 알-가지가 이끄는 에티오피아-아달 전쟁을 통해 영토를 확장했다. 그러나 포르투갈의 지원을 받은 에티오피아에 패배하면서 쇠퇴하기 시작했고, 오로모족의 침입과 내부 분열로 인해 16세기 말 아우사 이맘국으로 대체되며 멸망했다. 아달 술탄국은 소말리아인, 아파르족, 아랍인 등 다양한 민족으로 구성되었으며, 하라르를 중심으로 번성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달 술탄국 - 아흐마드 이븐 이브리힘 알가지
    아흐마드 이븐 이브리힘 알가지는 16세기 아달 술탄국의 장군이자 지도자로서, 에티오피아 침공을 주도하여 파괴와 사회 변화를 일으켰으며 그의 민족성에 대한 다양한 주장이 있다.
  • 아프리카의 옛 술탄국 - 잔지바르 술탄국
    잔지바르 술탄국은 1698년 오만 지배 후 1856년 독립, 영국의 보호령을 거쳐 1963년 독립했으나 1964년 혁명으로 인민공화국이 수립된 후 탄자니아와 통합된 동아프리카의 국가이다.
  • 아프리카의 옛 술탄국 - 맘루크 술탄국
    맘루크 술탄국은 1250년부터 1517년까지 이집트와 레반트를 통치한 이슬람 왕조로, 노예 출신 군인인 맘루크들이 세웠으며, 바흐리 왕조와 부르지 왕조 시대를 거쳐 강력한 군사력과 행정 시스템을 기반으로 번성했으나, 내부 분쟁과 흑사병, 유럽의 해상 무역 확장으로 쇠퇴하여 오스만 제국에 멸망, 이슬람 문화의 중심지로서 독특한 문화유산을 남겼다.
아달 술탄국 - [옛 나라]에 관한 문서
개요
일반 명칭아달
시대중세
존속 기간1415년–1577년
주요 사건사브르 앗 딘 3세가 예멘에서 귀환 (1415년)
예샤크 1세와의 전쟁 (1415년–1429년)
계승 위기 (1518년–1526년)
에티오피아-아달 전쟁 (1529년–1543년)
이전 국가이파트 술탄국
이후 국가아우사 이맘국
아달 술탄국의 깃발
아흐마드 알 가지의 군대가 사용한 세 가지 깃발의 조합
1540년경 아달 술탄국의 지도
1540년경 아달 술탄국 지도
수도다카르 (1415년–1520년)
아바사 (1500년대 ~)
하라르 (1520년–1577년)
아우사 (1577년)
공용어아랍어
통용어하라리어
소말리어
아파르어
아르ഗോ바어
정치 체제군주제
통치자 칭호술탄
초대 술탄사브르 앗 딘 3세 (1415년–1423년)
마지막 술탄무함마드 가사 (1577년)
종교수니 이슬람 (국가 종교)
학파: 샤피이
신조: 아슈아리
통화아슈라피
현재 국가지부티
에티오피아
소말리아
소말릴란드
지리
언어별 명칭
아랍어سلطنة عدل
소말리어Adaal

2. 어원

아달(Adal)은 하윌라의 약자로 여겨진다.[14] 11세기 하라르의 에미르였던 에이달(Eidal) 또는 아브 압달(Aw Abdal)의 이름을 따서 하라르 시 외곽의 저지대가 명명되었다.[15][16] 13세기 아랍 작가 알 디마시키는 제일라를 소말리아 이름인 "아달"(so: Awdal)로 언급한다.[17][18] 현대 소말릴란드의 아달 지역은 아달 술탄국의 이름을 따서 지어졌다.

현지에서 이 제국은 사아드 앗딘 2세 술탄을 기리는 "사아드 앗딘의 국가"를 의미하는 ''바르 사아드 앗딘''(Bar Sa'ad ad-din)으로 무슬림들에게 알려졌다. 사아드 앗딘 2세는 에티오피아 황제 다윗 1세와 싸우다 제일라에서 사망했다.[19][20][21]

3. 역사

1415년, 사아드 아드-딘 2세의 장남 사브 아드-딘 3세는 아라비아에서 망명 생활을 마치고 아버지의 왕위를 되찾기 위해 아달로 돌아왔다.[37] 그는 예멘에서 하라르 고원으로 돌아온 후 스스로 "아달의 왕"이라 칭하고 다카르에 새로운 수도를 건설했다.[38] 사브 아드-딘 3세와 그의 형제들은 "잃어버린 암하라 통치"를 되찾기를 희망하는 지휘관이 이끄는 2만 명의 군대를 격파했다.[39][40][41] 에티오피아 제국 황제 테오드로스 1세는 사아드 아드-딘의 후계자들이 아프리카의 뿔로 돌아온 직후 아달 술탄국에 의해 살해되었다.[39][40][41]

사브 아드-딘 3세는 자연사했고, 그의 형제 만수르 아드-딘이 왕위를 계승하여 솔로몬 제국의 수도와 왕좌를 침략하여 황제 다윗 1세를 예다야로 몰아냈다. 알-마크리 지에 따르면 만수르 술탄은 솔로몬 군대를 파괴하고 황제를 살해했다. 그는 이후 모카 산맥으로 진격하여 3만 명의 강력한 솔로몬 군대와 마주쳤다. 아달 군인들은 적들을 포위하고 2개월 동안 갇힌 솔로몬 군인들을 공격했고, 만수르에게 유리한 휴전이 선언되었다. 이 기간 동안 아달은 확장하는 기독교 아비시니아 왕국에 대한 무슬림 저항의 중심지로 부상했다.[17] 그 후 아달은 이전 이파트 술탄국이 통치하던 모든 영토를 통치했으며,[42][43] 레오 아프리카누스에 따르면, 더 나아가 과르다푸이 곶까지 동쪽으로 뻗어 나갔다.[44]

아달 술탄(오른쪽)과 그의 군대가 야그베아-시온 왕과 그의 군대와 전투하는 모습. ''Le Livre des Merveilles'', 15세기.


이후, 아달 군대는 만수르 술탄과 그의 형제 무함마드가 솔로몬 군에 의해 전투에서 포로로 잡히면서 재앙을 맞았다. 만수르의 뒤를 이어 그의 막내 동생 자말 아드-딘 2세가 즉위했다. 자말 술탄은 군대를 재편성하여 바레, 예다야, 자즈야에서 솔로몬 군대를 격파했다. 황제 예샤크 1세는 대규모 군대를 모아 예다야와 자즈야를 침략했으나 자말의 군인들에게 격퇴되었다. 자말은 솔로몬 군대에 대한 또 다른 성공적인 공격을 조직했고, 역사상 가장 큰 아달 군대가 투입된 전투에서 막대한 사상자를 냈다. 그 결과 예샤크와 그의 부하들은 다음 5개월 동안 청나일강 지역으로 도망쳤고, 자말 아드 딘의 군대는 그들을 추격하면서 많은 금을 약탈했지만 교전은 없었다.

고향으로 돌아온 자말은 그의 형제 아흐마드를 기독교 전투 전문가 하르브 자우쉬와 함께 다와로 지방을 성공적으로 공격하도록 보냈다. 예샤크 황제는 피해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자말에 대항하여 군대를 계속 배치할 수 있었다. 자말 술탄은 아비시니아의 중심부로 더 깊숙이 진격했다. 그러나 자말은 예샤크가 아달의 세 지역(수도 포함)을 공격하기 위해 여러 대규모 군대를 보낼 계획을 들었고, 아달로 돌아와 하르자이에서 솔로몬 군과 싸웠고, 알-마크리 지에 따르면 이곳에서 예샤크 황제가 전투에서 사망했다. 자말 아드-딘 2세 술탄은 통치 말년에 전쟁터에서 그의 형제들과 조상들을 능가했고, 아달에서 가장 성공적인 통치자가 되었다. 그러나 몇 년 안에 자말은 1432년 또는 1433년경에 불충한 친구나 사촌에 의해 암살되었고, 그의 형제 바들레이 이븐 사아드 아드-딘이 왕위를 계승했다. 바들레이 술탄은 그의 동생의 캠페인을 이어가 기독교 제국에 대한 여러 차례의 성공적인 원정을 시작했다. 그는 발리를 재정복하고 에티오피아 고원으로의 아달의 대규모 공세를 준비하기 시작했다. 그는 모가디슈 술탄국에서 멀리 떨어진 주변 무슬림 왕국으로부터 자금을 성공적으로 모았다.[45] 그러나 이 야심 찬 캠페인은 황제 자라 야콥이 고미트 전투에서 바들레이 술탄을 격파하고 후퇴하는 아달 군을 아와시 강까지 추격하면서 재앙으로 끝났다.[46]

고미트 전투에서 바들레이 이븐 사아드 아드-딘의 패배와 죽음 이후, 다음 아달 술탄인 무함마드 이븐 바들레이는 황제 바에다 마리암 1세에게 복종하여 에티오피아 제국에 연례 공물을 바치기 시작했고, 이를 통해 평화를 확보했다.[47] 지방을 관리하는 아달의 에미르들은 이 협정을 독립에 대한 배신이자 아비시니아의 침략에 대한 오랜 저항 정책에서 벗어나는 것으로 해석했다. 하라르의 에미르 라데이 우스만은 그 후 다카르로 진군하여 1471년에 권력을 장악했다. 그러나 우스만은 술탄을 해임하지 않고 대신 명목상의 지위를 부여하면서 실제 권력은 자신이 유지했다. 아달은 이제 명목상의 술탄의 궁전에서 통치하는 강력한 에미르의 지도 아래 놓이게 되었다.[48] 우스만은 전투에서 바에다 마리암 황제의 군대를 격파했다.[49] 역사학자 모하메드 하센은 아달 술탄들이 하라르의 귀족들에게 국가에 대한 통제력을 잃었다고 말한다.[50][51]

이맘 아흐마드의 병사가 머스킷 총과 대포로 무장한 모습


황제 나오드와 술탄 무함마드 이븐 아자르 아드-딘은 평화를 유지하려고 노력했지만, 에미르 마흐푸즈가 기독교 영토로 끊임없이 침략하면서 그들의 노력은 무효화되었다. 이 위협을 제거하기로 결심한 나오드는 대규모 군대를 조직하여 에미르에 대항하여 이끌었고, 황제가 승리했지만 결국 아달 군과의 전투에서 사망했다. 황제 다윗 2세가 곧 왕위를 계승할 것이고, 마흐푸즈는 그의 패배에서 회복하여 국경 지방에 대한 약탈을 갱신했다. 그는 지하드(성전)를 선포하고, 예멘에서 무기와 훈련된 병사들을 데려온 아라비아의 사절들에 의해 자극을 받았다. 1516년, 에미르 마흐푸즈는 파타가르를 침략했고, 다윗 2세는 성공적인 매복을 조직했고, 아달 군은 격파되었고 마흐푸즈는 전투에서 사망했다. 다윗 2세는 그 후 아달로 이동하여 다카르 도시를 약탈했다. 거의 같은 시기에 포르투갈 함대가 마흐푸즈와 함께 주둔군이 부재중일 때 제일라를 기습했고, 포르투갈인들은 항구 도시를 불태웠다.[52][53]

다윗 2세의 승리 이후, 아달 술탄국의 내부 약점들이 곧 드러났다. 왈라마 왕조가 이끄는 무슬림 구세대들은 종교에 무관심하고 아비시니아와 화해할 준비가 되어 있었지만, 광신적인 호전적인 에미르가 이끄는 하라리족과 할라 종교 귀족들에게 강력하게 반대받았다.[54] 술탄 무함마드 이븐 아자르 아드-딘은 1518년에 암살되었고 아달은 2년 만에 5명의 술탄이 서로 계승하는 내분으로 찢어졌다. 그러나 마침내 가라드 아분 아다셰라고 불리는 성숙하고 강력한 지도자가 권력을 잡고 혼돈에서 질서를 가져왔다. 그러나 1520년에 수도를 다카르에서 하라르로 옮긴 아부 바크르 이븐 무함마드 술탄은 세습 군주국이 여전히 가지고 있는 위세를 이용하여 소말리아 유목민들을 모집하여 아분 아다셰를 제일라에서 매복하여 1525년에 그를 살해했다.[17] 많은 사람들이 아흐마드 이븐 이브라힘이라는 젊은 반란군의 군대에 합류하여 가라드 아보그의 복수를 주장했다. 아흐마드는 즉시 아부 바크르 술탄과의 결론을 시도하지 않고 후바트로 물러나 그의 세력을 구축했다. 아흐마드 이븐 이브라힘은 결국 아부 바크르 술탄을 전투에서 죽이고 그의 꼭두각시인 아부 바크르의 남동생 우마르 딘으로 그를 대체했다. 완전히 통제권을 얻은 그는 아비시니아 정복으로 전환할 수 있었다. 그는 여러 부족을 이질적인 집단으로 조직하여 강력한 군대를 만들었다.[55][56][57]

3. 1. 초기 역사

아달은 이파트 동쪽에 위치했으며, 중세 시대에는 에티오피아 제국 동쪽의 무슬림 거주 저지대를 지칭하는 모호한 용어였다. 아달은 아와시 강 북쪽에서 아베 호수까지, 그리고 셰와소말릴란드 해안의 젤라 사이의 영토를 포함했다.[23] 1288년, 아달 지역은 이파트 술탄국에 정복되었으나, 왈라스마 왕조의 통치 하에 기다야, 다와로, 사완스, 발리, 파타가르 등의 주들과 함께 어느 정도 독립성을 유지했다.[27]

14세기 하크 아드-딘 2세는 이파트의 수도를 하라르 고원으로 이전했으며, 이로 인해 그는 일부 사람들에게 아달 술탄국의 진정한 창시자로 여겨진다.[31] 14세기 말, 에티오피아 황제 다윗 1세는 대규모 군대를 모아 주변 지역의 무슬림들을 "주의 적"으로 칭하고 아달을 침략했다.[32]

3. 2. 술탄국의 성장

13세기에 건국된 에티오피아 제국은 Shewa|셰와영어를 수도로 삼았고, 그 동부에 있는 이파트를 중심으로 하는 이슬람 지역을 속국으로 삼았다. 그러나 이슬람 세력은 자주 반란을 일으켰다. 15세기 초, 에티오피아 황제는 이파트의 술탄이었던 Sa'ad ad-Din II|사아드 아드딘 2세영어를 살해했고, 와라슈마 가문은 예멘으로 도망했다.[122]

하지만 에티오피아는 홍해를 경유하는 무역을 위해 이슬람 상인의 도움을 받을 수밖에 없었다. 와라슈마 가문은 다시 돌아와 아달을 중심으로 하는 나라를 세웠는데, 이것이 '''아달 술탄국'''이다. 아달 술탄국은 강력한 중앙 집권 국가는 아니었고, 와라슈마 가문이 여러 부족을 거느린 연방제 국가와 같았다.[122]

15세기 에티오피아 황제 Zara Yaqob|자라 야코브영어는 강력한 왕권을 이용해 주변의 적대 세력을 무력으로 굴복시켰다. 1445년에는 다와로에서 아달 군대를 격파하고 당주 Badlay ibn Sa'ad ad-Din|바드레이 이븐 사아드 아딘영어을 살해한 후, 다시 속국으로 삼았다. 그러나 와라슈마 가문에 의한 통치는 Muhammad ibn Badlay|무함마드 이븐 바들레이영어를 당주로 하여 계속 인정했다.[122]

1468년 에티오피아 황제 자라 야코브가 죽자, 20세의 Baeda Maryam of Ethiopia|바에다 마리암 1세영어가 왕위를 계승했다. 바에다 마리암은 주변에 대해 회유 정책을 펼쳤기 때문에, 무력으로 억눌려 있던 주변 제국들은 오히려 반란을 일으켰다. 바에다 마리암의 통치 기간에 에티오피아 군은 아달 군에 크게 패했다. 게다가 바에다 마리암은 통치한 지 불과 10년 만에 죽었고, 후계자 다툼 끝에 7세의 Eskender|에스켄데르영어가 왕위를 계승하는 등 혼란이 있어 에티오피아의 영향력은 크게 약해졌다.[121] 하지만, 전체적으로 에티오피아와 아달의 다툼이 적었던 시기였다.[123]

3. 3. 아흐마드 이븐 이브라힘 알-가지의 시대

1527년경, 이맘(종교 지도자)이자 군인인 아흐마드 이븐 이브리힘 알 가지가 술탄을 대신하여 아달을 지배했고, 에티오피아와의 전쟁을 시작했다. 아달 측은 오스만 제국으로부터 머스킷 총을 조달했고[124], 에티오피아는 포르투갈로부터 지원을 받았다. 1529년, 다윗 2세가 이끄는 에티오피아 군을 심브라 크레 전투에서 격파하여 에티오피아 고원의 지배권을 장악하는등 초기에는 아달이 압도적으로 유리하게 진행되었다.[123]

1542년 포르투갈 원군이 도착했지만, 8월 워프라 전투에서 크리스토방 다 가마가 이끄는 포르투갈 군은 대패하고, 크리스토방 다 가마는 사로잡혀 처형되었다.[122] 그러나 1543년 2월 21일, 포르투갈·에티오피아 연합군은 타나 호 주변의 와이나 다가 전투에서 아달 군을 격파했고, 아흐메드 이브라힘 가지는 전사했다. 1559년, 아달은 오로모인 군대에도 패배하여 크게 약화되었다.[122]

이 전투 이후, 에티오피아 제국 또한 국력이 약화되었고, 에티오피아 고원에서는 오로모인의 세력이 점차 강해졌다.

3. 4. 술탄국의 쇠퇴와 멸망

아흐마드 이븐 이브라힘 알 가지가 1543년 와이나 다가 전투에서 전사한 후, 아달 술탄국은 급격히 쇠퇴하였다.[122] 1559년 오로모 군대에게도 패배하여 크게 약화되었다.[122]

1527년경, 이맘이자 군인이었던 아흐마드 이븐 이브리힘 알 가지는 술탄을 대신하여 아달을 지배했고, 에티오피아와 전쟁을 벌였다. 아달은 오스만 제국으로부터 머스킷 총을 조달받았고,[124] 에티오피아는 포르투갈의 지원을 받아 전투를 치렀다. 1529년, 아달군은 심브라 크레 전투에서 에티오피아군을 격파하고 에티오피아 고원 지배권을 장악했다.[123] 1542년 8월, 워프라 전투에서 포르투갈군은 대패했고, 사령관 크리스토방 다 가마는 처형되었다.[122] 그러나 1543년 2월 21일, 포르투갈-에티오피아 연합군은 타나 호 근처 와이나 다가 전투에서 아달군을 격파하고 아흐마드 이븐 이브라힘은 전사했다.[122]

이 전투 이후, 에티오피아 제국 역시 국력이 쇠퇴했고, 에티오피아 고원에서는 오로모인의 세력이 점차 강해졌다.

4. 민족

아달 술탄국은 소말리아인, 아파르족, 아르고바족, 하라리족 등 다양한 민족으로 구성되었다. 아르고바족, 하라리족, 소말리아인 간의 결혼 동맹도 흔했다. 15세기 후반부터 16세기 중반까지 예멘 남부 출신 아랍인(하다라미족)의 대규모 이주가 있었다.[122]

아달 술탄국에서는 아프리카아시아어족에 속하는 다양한 언어가 사용되었다. 아랍어는 공용어 역할을 했으며, 통치 가문인 왈라쉬마 왕조에서 사용했다.[94] 왈라스마 시대 귀족들은 이맘, 에미르, 술탄으로 구성되었으며 현대의 하라리어와 유사한 언어를 사용했다.[81] 왈라스마 지도자들이 수도를 이파트 지역에서 아달로 옮기면서 하라르와 그 주변 지역에서 하라리어와 아르고바어의 진화가 시작되었다.[96] 아달 술탄국의 주요 주민들은 동쿠시어족 언어를 사용했고,[97] 항구 도시인 제일라에서는 주로 소말리아어가 사용되었다.[98]

에티오피아 역사나 아랍인들의 여행기에 가끔 등장하는 아달 술탄국에 관한 기술은 어떤 민족에 의해 건국되었는지조차 정확히 알려져 있지 않다. 이븐 바투타에 따르면, 아달 술탄국의 주요 도시 중 하나가 되는 제일라 거주자들은 흑인이었으므로 주민은 소말리족일 가능성이 높다. 그러나 16세기 초 활약한 아달의 군인 아흐마드 이븐 이브라힘 알-가지는 소말리족이라고도, 오로모족이라고도 전해지며[122], 반드시 소말리족만의 나라는 아니었을 수도 있다. 사용된 언어는 현지어와 아랍어 둘 다였다. 또한 많은 이슬람교도 집단은 집단의 창시자가 성지 메카 출신이라는 전승을 가지고 있어[121], 아랍계 주민이 있었을 가능성도 높다.

5. 언어

아달 술탄국에서는 아프리카아시아어족에 속하는 다양한 언어가 사용되었다. 아랍어는 공용어 역할을 했으며, 왈라쉬마 왕조에서 사용했다.[122] 하라리어와 아르고바어는 하라르와 그 주변 지역에서 발전했다. 제일라에서는 주로 소말리아어가 사용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많은 이슬람교도 집단은 집단의 창시자가 성지 메카 출신이라는 전승을 가지고 있어[121], 아랍계 주민이 있었을 가능성도 높다.

6. 경제

아달 술탄국은 아와시 강 유역의 비옥한 농경지와 제일라, 베르베라 등 주요 항구를 통해 번성했다. 밀, 수수, 테프 등 다양한 곡물과 과일이 재배되었으며, 흥분제 식물인 카트도 예멘으로 수출되었다. 면직물, 소금 등도 중요한 무역 품목이었다.[121]

제일라는 금, 상아, 노예 등을 에티오피아 제국에서 포획하여 페르시아, 아라비아, 이집트, 인도 등으로 수출하는 주요 항구였다. 아달의 귀족들은 아라비아 반도와의 교역을 통해 사치품을 수입했다.[121]

7. 군사

아달 술탄국의 군대는 검객, 궁수, 창기병 등으로 구성된 보병기병 부대로 이루어졌다. 이들은 다양한 장군과 중위의 지휘를 받았으며, 각 부대는 독특한 깃발로 상징되었다.[104] 아비시니아 정복 기간에는 오스만 제국으로부터 머스킷총과 대포를 지원받아 화력을 강화했다.[104]

이맘 아흐메드는 군대를 세 개의 유연한 부대로 재편성하여 전략적 이점을 확보했다. 이는 경직되고 지휘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은 아비시니아 군대와 극명한 대조를 이루었다.[104] 첫 번째 부대는 아달 군대의 정예 군인 부대인 말라사이였다. 이들은 군사적 능력을 입증한 후 칭호를 얻었으며, 전투 중 신뢰할 수 있는 가치 있는 사람들이었다.[105] 두 번째 부대는 이맘의 매형인 마탄이 지휘하는 소말리족으로만 구성되었다. 세 번째 부대는 아파르, 하를라, 하라리, 아르고바 출신 병사들로 구성되었으며, 각자 세습 지도자가 이끌었다.[106]

아달 병사들은 정교한 투구강철 갑옷, 사슬 갑옷 등으로 무장했다.[107] 기병 기마병은 눈을 제외한 얼굴 전체를 덮는 보호 투구와 흉갑을 착용했으며, 말에게도 비슷한 방식으로 갑옷을 착용했다. 공성전에서는 사다리를 사용하여 건물과 언덕, 산과 같은 높은 지점으로 올라갔다.[108]

하라르의 정착 농업 인구는 지하드 전쟁에서 지도력을 제공했으며, 특히 초기에는 다수의 전사였다.[109] 소말리족 역시 이맘의 승리에 많은 기여를 했다.[110] 아달 술탄국은 주로 소말리족 중에서 군대를 모집한 것으로 보인다.[111] 아흐메드의 기병대는 하라르의 젊은이들 중에서 신중하게 선택된 개인 추종자들로 구성되었으며, 훈련을 잘 받고 경험이 풍부했다. 이들은 자일라와 아라비아 시장에서 좋은 사브르로 무장했으며, 아랍인들의 도움을 받아 사브르 사용 기술을 익혔다.[112]

8. 유산

아달 술탄국은 전성기 시절 많은 구조물과 유물을 남겼다. 이러한 역사적 건축물과 유물은 소말릴란드 북서부 아우달 주와 뿔 지역 등지에서 발견된다.[113] 고고학자 호르헤 로드리게스에 따르면, 소말리아 북서부에서 발견된 유물은 아달 술탄국 시대에 주로 전초 기지가 건설되었음을 시사하며, 이파트 또는 하라르 고원의 고대 이슬람 지역에서 발견된 유적보다 오래되지 않았다. 이는 현대 에티오피아 동부가 주요 무슬림 왕국이 등장한 곳이라는 생각을 뒷받침한다.[114]

20세기 초, 19세기 후반에 현재 소말릴란드 북서부의 보라마 인근 14개 이상의 유적지에서 진행된 고고학 발굴 조사에서는 카이트베이 (1468–89)가 발행한 것으로 확인된 은화가 발굴되었다. 카이트베이는 이집트의 18대 부르지 맘루크 술탄이었다.[113][115] 발견된 유물의 대부분은 중세 아달 술탄국과 관련이 있으며,[116] 대영 박물관으로 보내져 보존되었다.[115]

제일라에 있는 아달 술탄국 유적


1950년, 영국령 소말릴란드 보호령 정부는 현재 소말릴란드 공화국의 에티오피아 국경 근처 12개 사막 마을에서 고고학 조사를 의뢰했다. 조사팀은 이 유적지들이 중세 후기 시대의 풍요로움을 보여주는 가장 중요한 증거를 제공한다고 밝혔다. 이 유적지들은 한때 아달 술탄국에 속했던 대규모 도시의 유적을 포함하고 있었다. 아우바레, 아우부베, 아무드, 아바사 및 고게사와 같은 마을에는 200채에서 300채의 석조 가옥이 있었으며, 일부 유적지의 벽은 여전히 18미터 높이였다. 이 지역의 발굴 조사에서는 26개의 은화가 발견되었는데, 이는 뿔 지역 아래의 정치체에서 더 흔하게 발견되는 구리 조각과는 달랐다. 이 중 가장 오래된 동전은 이집트 부르지 왕조의 술탄 바르쿠크 (1382–99)가 주조했으며, 가장 최근의 동전은 다시 술탄 카이트베이의 것이었다. 모든 조각은 카이로 또는 다마스쿠스에서 주조되었다. 몇 개의 금화도 탐사 중에 발견되어 이 지역은 더 넓은 지역에서 그러한 조각을 얻을 수 있는 유일한 장소가 되었다. 화폐 외에도, 아달 유적지에서 고품질 도자기가 회수되었다. 이 훌륭한 청자는 표면에 놓여 있거나, 7.5인치 깊이에 묻혀 있거나, 4~5피트 높이의 밀집된 퇴적물 안에 묻혀 있었다. 유물 중에는 갈라진 청록색 또는 바다 녹색 유약을 칠한 회색 과립형 파편과 갈라지지 않은 녹백색 유약을 칠한 백색 결정질 조각이 있었다. 일부 명나라 시대의 도자기도 발견되었는데, 여기에는 초기 명나라의 청백색 사발 파편이 많이 포함되었다. 그들은 푸른색 바탕에 덩굴 소용돌이로 장식되었고 검은 반점으로 장식되었으며, 다른 사발에는 회색 또는 검푸른 디자인으로 윤곽이 그려진 꽃무늬가 있었다. 또한, 몇 개의 명나라 홍백색 파편과 푸른 하이라이트가 있는 백색 도자기 조각이 발견되었다. 아달 유적지는 이파트 술탄국의 술탄 사아드 아드-딘 2세의 이름을 딴 사아드 아드-딘 제도에서 인도양 종착지에 도달한 것으로 보인다.[117]

Tiya의 지석에 새겨진 칼 심볼


중앙 에티오피아의 Tiya 유적지는 현지 전통에 따라 "예그라그닌가이"(그란의 돌)로 알려져 있다. 고고학자 Joussaume (1995)에 따르면, 이 유적지는 11세기에서 13세기 사이의 것으로 추정된다. 티야에는 인간형 및 비인간형/비음경형 지석을 포함한 여러 개의 거석 기둥이 있다. 평평한 형태의 이 구조물들은 칼, 팔짱을 낀 서 있는 인간 형상, 식물과 같은 상징 등 독특하고 정교한 장식으로 특징지어진다.[118]

참조

[1] 서적 The Travels of the Jesuits in Ethiopia https://books.google[...] J. Knapton
[2] 간행물 Harari Coins: A Preliminary Survey https://www.jstor.or[...] 1991
[3] 간행물 "Bribing the Land": An Appraisal of the Farming Systems of the Maccaa Oromo in Wallagga https://www.jstor.or[...] Michigan State University Press 2021-09-07
[4] 간행물 Reflections on Historical and Contemporary Islam in Ethiopia and Somalia: A Comparative and Contrastive Overview https://www.jstor.or[...] Institute of Ethiopian Studies 2023-03-22
[5] harvnb Elrich
[6] 서적 Historic Mosques in Sub-Saharan Africa From Timbuktu to Zanzibar https://books.google[...] BRILL 2022-11-07
[7] 서적 Islamic History and Culture in Southern Ethiopia https://books.google[...] Lit
[8] 서적 BELEAGUERED MUSLIM FORTRESSES AND ETHIOPIAN IMPERIAL EXPANSION FROM THE 13TH TO THE 16TH CENTURY https://apps.dtic.mi[...] NAVAL POSTGRADUATE SCHOOL
[9] 서적 The History of Islam in Africa https://books.google[...] Ohio University Press 2000-03-31
[10] 서적 The history and description of Africa http://archive.org/d[...] London, Printed for the Hakluyt society 1896
[11] 서적 The Oromo of Ethiopia: A History, 1570-1860.
[12] 서적 The African Prester John and the Birth of Ethiopian-European Relations, 1402–1555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6
[13] 서적 E.J. Brill's First Encyclopaedia of Islam 1913-1936. A - Bābā Beg · Volume 1 https://books.google[...] Brill
[14] 간행물 Forster on Arabia https://books.google[...] 1844
[15] 서적 The Mugads of Harar https://everythingha[...] University College of Addis Abeba Ethnological Bulletin 1955-12-04
[16] 서적 History of Harar and the Hararis http://www.everythin[...] Harari People Regional State Culture, Heritage And Tourism Bureau 2015-10
[17] 서적 A Pastoral Democracy: A Study of Pastoralism and Politics Among the Northern Somali of the Horn of Africa https://books.google[...] James Currey Publishers
[18] harvnb Tamrat
[19] 문서 The "Futuh al-Habasa" : the writing of history, war and society in the "Bar Sa'ad ad-din" (Ethiopia, 16th century)
[20] 문서 Burton, ''First Footsteps in East Africa'', 1856; edited with additional material by Gordon Waterfield (New York: Praeger, 1966), p. 75.
[21] 서적 History Of Ethiopian Towns Steiner
[22]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Somalia Scarecrow Press 2003
[23] 서적 Medieval Islamic Civilization https://books.google[...] Taylor & Francis 2018-01-12
[24]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Ethiopia https://books.google[...] Scarecrow Press 2013-04-11
[25] 서적 Legende und Geschichte: der Fath Madinat Hara von Yahya Nasrallah Verlag
[26] 서적 Islam in Ethiopia https://books.google[...] Taylor & Francis 2013-09-13
[27] 서적 Muslim society's in Africa https://books.google[...] Indiana University Press 2013-06-05
[28] 서적 History Of Ethiopian Towns Steiner
[29] 서적 E.J. Brill's First Encyclopaedia of Islam, 1913–1936 https://books.google[...] BRILL
[30] 간행물 Somaliland http://www.mbali.inf[...] mbali 2012-04-27
[31] 서적 The Cambridge History of Africa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32] 서적 The Cambridge History of Africa: From c. 500 B.C. to A.D. 1050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33] 문서 Al-Maqrizi gives the former date, while the Walashma chronicle gives the latter.
[34] 문서 Pankhurst. ''Ethiopian Borderlands'', pp.57
[35] 문서 Budge, ''A History of Ethiopia: Nubia and Abyssinia'', 1928 (Oosterhout, the Netherlands: Anthropological Publications, 1970), p. 302.
[36] 서적 THE RELEVANCY OF HARARI VALUES IN SELF REGULATION AND AS A MECHANISM OF BEHAVIORAL CONTROL: HISTORICAL ASPECTS https://everythingha[...] The University of Alabama 2023-06-06
[37] 서적 Ethiopia And The Red Sea https://zelalemkibre[...] Hebrew University of Jerusalem 2023-03-22
[38] 간행물 The Genealogy of the later Walashma' Sultans of Adal and Harar https://www.jstor.or[...] Harrassowitz Verlag 2021-03-12
[39] 서적 Tewodros https://books.google[...] Encyclopedia Aethiopica 2023-03-18
[40] 간행물 Le sultan walasmaʿ Saʿd al-Dīn et ses fils https://www.cairn.in[...] Cairn Info 2020
[41] 간행물 Royal Names in Medieval Ethiopia and their Symbolism https://brill.com/vi[...] BRILL 2022-07-22
[42] 서적 Somaliland https://books.google[...] Bradt Travel Guides 2016-04-25
[43] 서적 Nation Shapes: The Story Behind the World's Borders: The Story behind the World's Borders https://books.google[...] ABC-CLIO 2013-04-23
[44] 서적 The History and Description of Africa https://archive.org/[...] Hakluyt Society 1526
[45] 서적 The Cambridge history of Africa Richard Gray
[46] 서적 Islam: Yesterday and Today translated by Emran Waber https://drive.google[...] Istituto Per L'Oriente 2021-09-07
[47] 웹사이트 The Oromo of Ethiopia 1500-1800 https://eprints.soas[...] 2021-09-07
[48] 간행물 Islam in Ethiopia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12-04-27
[49] 서적 Ethiopia, the unknown land : a cultural and historical guide https://archive.org/[...] I.B. Tauris 2002
[50] 서적 The Oromo of Ethiopia, 1500-1850 https://eprints.soas[...] University of London 2021-09-07
[51] 간행물 Event Documentation https://web.archive.[...] AGCEEP 2012-04-27
[52] 서적 The historical geography of Ethiopia from the first century AD to 1704 Oxford University Press
[53] 서적 Islam in Ethiopia https://books.google[...] Frank Cass & Company 2023-05-12
[54] 서적 Oromo of Ethiopia https://eprints.soas[...] University of London 2021-09-07
[55] 서적 Tamrat 1977
[56] 서적 Cambridge Illustrated Atlas, Warfare: Renaissance to Revolution Jeremy Black 1492–1792
[57] 서적 Islam in Ethiopia https://books.google[...] Frank Cass & Company 2023-05-12
[58] 서적 Islam in Ethiopia https://books.google[...] Frank Cass & Company 2023-05-12
[59] 서적 Islam Yesterday and Today translated by Emran Waber https://drive.google[...] 2021-09-07
[60] 서적 A History of Ethiopia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023-07-07
[61] 서적 Islam in Ethiopia https://books.google[...] Frank Cass & Company 2023-05-12
[62] 서적 The Ethiopians: A History https://books.google[...] Wiley 2023-07-07
[63] 서적 Islam in Ethiopia https://books.google[...] Frank Cass & Company 2023-05-12
[64] 웹사이트 Islam in Ethiopia https://zelalemkibre[...] Oxford University Press 1952
[65] 서적 First Footsteps in East Africa https://books.google[...] Tyston and Edwards 2016-01-21
[66] 웹사이트 Islam in Ethiopia https://zelalemkibre[...] Oxford University Press 1952
[67] 서적 History of Harar https://www.everythi[...] 2021-08-19
[68] 서적 Islam in Ethiopia
[69] 서적 L'Islam en Éthiopie des origines au XVIe siècle https://books.google[...] Nouvelles Editions Latines 1981
[70] 서적 Ethiopia and the Red Sea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6-01-19
[71] 서적 HornAfr 6thField Mission Report http://www.islhornaf[...] University of Copenhagen 2017
[72] 서적 Ethiopia History, Culture and Challenges https://books.google[...] Michigan State University Press 2017
[73] 서적 Islam: Yesterday and Today translated by Emran Waber https://drive.google[...] Istituto Per L'Oriente
[74] 서적 Islamic history and culture in Southern Ethiopia: collected essays Lit 2004
[75] 서적 Review: Place Names in Ethiopian History https://www.jstor.or[...] Journal of Ethiopian Studies 1991-11
[76] 간행물 A Revised Analytical Approach to the Evolution of Ethiopian Civilization https://www.jstor.or[...] 2012
[77] 서적 Making sense of Somali history Adonis & Ashley Publishers Ltd 2018
[78] 간행물 Wars in the Horn of Africa and the dismantling of the Somali State https://cea.revues.o[...] University Institute of Lisbon 2002
[79] 간행물 Quelques hypothèses sur les origines des conquêtes musulmanes en Abyssinie au XVIe siècle https://www.persee.f[...]
[80] 서적 An introduction to Ethiopian history from the Megalithism Age to the Republic, circa 13000 B.C. to 2000 A.D. https://emu.tind.io/[...] Commercial Printing Enterprise 2003
[81] 간행물 Quelques hypothèses sur les origines des conquêtes musulmanes en Abyssinie au XVIe siècle https://www.persee.f[...]
[82] 간행물 Territorial and Development Politics in the Horn of Africa: The Afar of the Awash Valley https://www.jstor.or[...] Oxford University Press
[83] 서적 Local history of Ethiopia https://nai.uu.se/do[...] Nordic Africa Institute
[84] 서적 A Short History of Ethiopia and the Horn https://books.google[...] Addis Ababa University
[85] 서적 The Horn Engaging the Gulf Economic Diplomacy and Statecraft in Regional Relations https://books.google[...] Bloomsbury Publishing 2023-12-28
[86] 서적 Proceedings of the 16th International Conference of Ethiopian Studies https://zethio.files[...] Norwegian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87] 서적 General History of Africa https://books.google[...] Heinemann Educational Books 1984-01
[88] 서적 The Cambridge History of Africa https://www.sahistor[...] Cambridge University Press
[89] 간행물 Arab Migrations to East Africa in Medieval Times https://www.jstor.or[...] Boston University African Studies Center
[90] harvnb 1977
[91] 서적 An Universal History, from the Earliest Account of Time, Volume 15 https://books.google[...] T. Osborne, A. Millar, and J. Osborn 2017-07-01
[92] 서적 The History and Description of Africa https://archive.org/[...] Hakluyt Society 2017-07-01
[93] 서적 An Universal History, from the Earliest Account of Time, Volume 15 https://books.google[...] T. Osborne, A. Millar, and J. Osborn 2017-07-01
[94] 서적 Aṣma Giyorgis and his work: history of the Gāllā and the kingdom of Šawā https://books.google[...] Medical verlag 2023-03-23
[95] 서적 Aṣma Giyorgis and his work: history of the Gāllā and the kingdom of Šawā https://books.google[...] Medical verlag 2021-08-20
[96] 서적 Cambridge History of Africa https://www.sahistor[...] Cambridge University Press
[97] 서적 The Ethiopian-Adal War, 1529-1543: the conquest of Abyssinia Helion & Company 2021
[98] 서적 Cambridge History of Africa https://www.sahistor[...] Cambridge University Press
[99] 문서 Understanding the Drivers of Drought in Somalia MSH Said
[100] 문서 Islamic History and Culture in Southern Ethiopia: Collected Essays Ulrich Braukämper
[101] 문서 Great Events from History: The Renaissance & early modern era, 1454-1600, Volum 1 Christina J. Moose
[102] 서적 L'Afrique du VIIe au XIe siècle https://books.google[...] UNESCO 2024-01-28
[103] 문서 The Archaeology of Islam in Sub Saharan Africa
[104] 서적 Warfare in African history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2
[105] 문서 The "Futuh al-Habasa" : the writing of history, war and society in the "Bar Sa'ad ad-din" (Ethiopia, 16th century) Amélie Chekroun
[106] 서적 The Oromo of Ethiopia, 1500-1850: with special emphasis on the Gibe region 1983
[107] 문서 Conquest of Abyssinia by Shibab ad-Din
[108] 문서 Ethiopia: The Land, Its People, History and Culture - Page 42
[109] 학술지 Review work Futuh al habasa
[110] 학술지 The Somali Conquest of Horn of Africa 1960
[111] 서적 The Oxford History of Islam Oxford University Press 2000
[112] 학술지 A Reappraisal of the Impact of Firearms in the History of Warfare in Ethiopia (C. 1500-1800) https://www.jstor.or[...] 2021-08-20
[113] 서적 Research review, Volumes 3–4 https://books.google[...] The Institute 2014-10-06
[114] 학술지 Urban mosques in the Horn of Africa during the medieval period https://journals.ope[...] Aix-Marseille Université 2023-08-25
[115] 간행물 The Geographical Journal Royal Geographical Society 1936
[116] 백과사전 Encyclopedia of World Art McGraw-Hill 1959
[117] 서적 An Economic History of Tropical Africa: The Pre-colonial Period https://archive.org/[...] Psychology Press 2014-11-02
[118] 서적 Ethiopia in broader perspective: papers of the XIIIth International Conference of Ethiopian Studies Kyoto 12–17 December 1997 https://books.google[...] Shokado Book Sellers 2014-12-23
[119] 웹사이트 The Oromo of Ethiopia 1500-1800 https://eprints.soas[...] 2021-09-07
[120] 웹사이트 britannica.com
[121] 문서 ユネスコ:1992
[122] 문서 岡倉:1999
[123] 문서 川田:2009
[124] 문서 Mohamed:2001
[125] 서적 A Pastoral Democracy: A Study of Pastoralism and Politics Among the Northern Somali of the Horn of Africa http://books.google.[...] James Currey Publishers 2013-04-1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