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오 아프리카누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레오 아프리카누스는 1494년경 그라나다에서 태어나 북아프리카를 여행하며 견문을 넓힌 후, 《아프리카지》를 저술하여 16세기 유럽에 아프리카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 인물이다. 그는 젊은 시절 외교관 삼촌을 따라 마그레브와 팀북투를 여행하고, 이스탄불, 이집트, 메카 등지를 방문했으며, 1518년 해적에게 납치되어 로마로 이송된 후 교황 레오 10세에게 북아프리카 정보를 제공했다. 로마 가톨릭으로 개종한 그는 이탈리아에서 저술 활동을 펼쳤으며, 그의 대표작 《아프리카지》는 유럽에 큰 영향을 미쳤다. 말년에 대해서는 북아프리카로 돌아가 이슬람교로 재개종했다는 설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레오 아프리카누스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출생명 | 알하산 이븐 무함마드 알와잔 알파시 |
다른 이름 | 요하네스 레오 아프리카누스 (Joannes Leo Africanus, 라틴어) 조반니 레오네 (Giovanni Leone, 이탈리아어) |
직업 | 외교관, 지리학자, 여행가, 과학자 |
대표 작품 | Description of Africa (Ramusio book) |
생애 | |
출생 | 1494년경 |
출생지 | 나스르 왕조 그라나다 |
사망 | 1554년경 (약 60세) |
사망지 | 튀니스 |
국적 | 나스르 왕조 모로코 교황령 하프스 왕조 |
종교 | 이슬람교 → 기독교 → 이슬람교 |
2. 생애
레오 아프리카누스는 1494년경 그라나다에서 태어났으며, 그의 가족은 그가 태어난 직후 모로코 페스로 이주했다.[5][6][7] 페스에 있는 알 카라윈 대학교에서 공부했으며, 젊은 시절에는 외교 임무를 수행 중인 삼촌을 따라 마그레브와 송가이 제국의 팀북투까지 여행했다.[8] 1517년에는 페스 술탄 무하마드 2세의 명으로 이스탄불에 파견되었고, 이후 오스만 제국의 이집트 정복 시기에 로제타, 카이로, 아스완을 거쳐 홍해를 건너 아라비아반도의 메카까지 여행했다.
1518년 튀니지로 돌아오던 중 제르바섬 근처에서 스페인 해적에게 붙잡혀 로마로 이송되어 산탄젤로성에 수감되었다가 교황 레오 10세에게 인도되었다.[8] 1520년 성 베드로 대성당에서 세례를 받고 로마 가톨릭으로 개종했으며, 이후 교황의 후원을 받으며 로마에 머물렀다.[8]
그는 볼로냐 등 이탈리아반도 여러 곳을 여행하며 아랍어-히브리어-라틴어 의학 단어집(8쪽 분량의 아랍어 부분만 현존)과 아랍어 문법책(8쪽 분량 단편만 현존)을 저술했다. 1526년에는 아프리카 지리에 관한 책인 《아프리카지》를 완성했다. 이 책은 1550년 이탈리아어로 출판되어 큰 인기를 얻었고, 프랑스어, 라틴어, 영어 등으로 번역되었다.
레오 아프리카누스의 말년에 대해서는 여러 설이 있지만 확실하지 않다. 1550년경 로마에서 사망했다는 설, 1527년 로마 약탈 이후 북아프리카로 돌아가 1550년 이후 튀니지에서 사망했다는 설, 1535년 튀니스 정복 이후 모로코로 갔다는 설 등이 있다.
2. 1. 유년 시절과 교육
레오 아프리카누스는 1494년경 그라나다에서 태어났으며, 본명은 알-하산 이븐 무함마드 알-와잔 알-파시이다.[5][6][7] '알-파시'는 모로코 페스 출신 사람을 가리키는 아랍어 지명이다.[3] 1492년 레콩키스타로 그라나다가 함락되자, 그의 가족은 모로코 페스로 이주했다.[3] 그는 페스에 위치한 알 카라윈 대학교에서 수학했다.[8]
그는 젊은 시절 외교관이었던 삼촌을 따라 마그레브와 팀북투까지 여행했다.[8]
2. 2. 외교관으로서의 여정
젊은 시절, 레오 아프리카누스는 삼촌을 따라 외교 임무를 수행하며 마그레브를 여행했고, 당시 송가이 제국의 일부였던 팀북투까지 방문했다.[5][6][7] 1517년에는 페스의 술탄 무하마드 2세를 대신하여 이스탄불에 외교 사절로 파견되었다. 이후 오스만 제국의 정복사업이 진행 중이던 이집트의 로제타로 갔다.[8] 카이로와 아스완을 거쳐 홍해를 건너 아라비아반도의 메카까지 여행하며 이슬람 순례를 경험했다.2. 3. 납치와 개종
1518년 튀니지로 돌아오던 중 제르바섬 근처나 크레타 가까이에서 스페인의 해적에게 붙잡혔다.[8] 로마로 옮겨져 산탄젤로성에 수감되었지만, 이내 풀려나 교황 레오 10세를 알현했다. 1520년 성 베드로 대성당에서 세례를 받고 로마 가톨릭으로 개종했다.[8] 교황 레오 10세는 오스만 제국 군대가 시칠리아섬과 이탈리아 남부를 침략할지도 모른다는 두려움을 가지고 있었기 때문에 레오 아프리카누스는 교황청으로부터 환영받았을 뿐만 아니라, 자발적으로 협력하여 북아프리카에 관한 유용한 정보를 제공했을 것으로 보인다.
그는 라틴어 이름 '요하네스 레오 데 메디치스'(''이탈리아어'': 조반니 레오'')를 사용했다. 아랍어로는 이 이름을 '유한나 알-아사드 알-그라나티'(글자 그대로 '그라나다의 사자 요한')로 번역하는 것을 선호했다.
2. 4. 이탈리아 체류와 저술 활동
레오 아프리카누스는 로마에 머무는 동안 교황 레오 10세와 그의 뒤를 이은 교황 클레멘스 7세의 후원을 받았다.[8] 그는 볼로냐를 비롯한 이탈리아 여러 곳을 여행하며 아랍어-히브리어-라틴어 의학 단어집을 저술했는데, 이 중 아랍어 부분 8쪽만이 현재까지 남아있다. 또한, 아랍어 문법책도 저술했으나 이 역시 8쪽 분량의 단편만 남아있다.
1526년, 레오는 아프리카 지리에 관한 책인 《아프리카지》를 완성했다.[4] 이 책은 1550년 베네치아 공화국의 출판업자 조반니 바티스타 라무시오에 의해 ''Della descrittione dell’Africa et delle cose notabili cheiui sono, per Giovan Lioni Africano''라는 제목으로 이탈리아어로 처음 출판되었다. 이 책은 큰 인기를 얻어 5번이나 재판되었으며, 1556년에는 프랑스어와 라틴어로도 번역되었다. 1600년에는 ''A Geographical Historie of Africa''라는 제목으로 영어판이 출판되었는데, 번역 과정에서 많은 오류와 오역이 발생했다.
2. 5. 《아프리카지》 출간과 영향
1550년, 베네치아 공화국의 출판인 조반니 바티스타 라무시오가 레오 아프리카누스의 아프리카 지리에 관한 원고를 ''Della descrittione dell’Africa et delle cose notabili cheiui sono, per Giovan Lioni Africano'' (→아프리카의 묘사)라는 제목으로 이탈리아어로 출판했다.[4] 이 책은 유럽에서 큰 인기를 얻어 5번이나 재판되었으며, 프랑스어, 라틴어, 영어 등 다른 언어들로도 번역되었다.[4] 1600년에는 ''A Geographical Historie of Africa''라는 제목으로 영어판이 출판되었는데, 이 영어판은 많은 오류와 오역이 포함된 라틴어판을 바탕으로 번역되었다.[4]《아프리카지》는 총 9권으로 구성된 대작으로, 팀북투를 비롯한 북아프리카 전역에 대한 상세한 묘사를 담고 있었다. 특히 팀북투는 당시 송가이 제국의 일부로서, 학문과 상업의 중심지로 번성하고 있었다. 레오는 팀북투를 "아프리카 상품, 금, 인쇄된 면직물, 노예, 그리고 이슬람 서적을 취급하는 상인들에 의해 이루어지는 분주한 무역의 중심지"라고 묘사했다. 이러한 묘사는 유럽인들에게 큰 영향을 미쳤으며, 팀북투는 황금향으로 여겨지게 되었다. 16세기 말까지 거의 유럽 전역에서 읽히게 된 《아프리카지》는 오랫동안 유럽인이 이슬람 세계의 아프리카를 알기 위한 가장 귀중한 자료였다.
私市|와타쿠시 이치|2004|p=34일본어
私市|와타쿠시 이치|2004|pp=58, 62일본어
私市|와타쿠시 이치|2004|pp=61-62일본어
2. 6. 말년과 사망
레오 아프리카누스의 말년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설이 전해진다. 그의 사망에 대한 정확한 기록은 남아있지 않다. 한 가지 설은 그가 1550년경에 자신의 저서인 《아프리카의 묘사》가 출판될 때까지 로마에서 살다가 사망했다는 것이다. 이 주장은 책의 후기 서문에 있는 간접적인 언급을 바탕으로 한다.또 다른 설은 1527년 신성 로마 제국 황제 카를 5세의 군대가 로마를 약탈하기 직전에 그가 로마를 떠났다는 것이다. 이후 그는 북아프리카로 돌아가 1550년 이후 튀니지에서 사망할 때까지 살았다는 것이다. 이는 독일의 동양학자 요한 알브레히트 비드만슈테터의 기록에 따른 것인데, 그는 이탈리아에 도착하여 이슬람교로 다시 개종한 레오를 만나기 위해 튀니스로 여행을 가려 했으나 결국 실패했다.
그가 1535년 카를 5세가 튀니스를 정복한 후 튀니스를 떠나 그라나다 다음으로 두 번째 고향인 모로코로 갔다는 설도 있다. 이는 레오가 그라나다를 떠난 후 다시 기독교 스페인의 통치하에서 살고 싶지 않았을 것이라는 추정과, 그가 결국 고향으로 돌아가고 싶어한다는 소망(《아프리카의 묘사》에 기록됨)을 근거로 한다.[3]
3. 작품
레오 아프리카누스는 로마에 머물면서 여러 저술 활동을 했다. 볼로냐에 머무는 동안 아랍어-히브리어-라틴어 의학 어휘집을 저술했는데, 이 중 아랍어 부분만 남아 있다. 또한 8페이지 분량의 아랍어 문법책 단편도 저술했다. 1526년에 완성한 아프리카 지리학에 대한 원고는 1550년 베네치아 출판인 조반니 바티스타 라무시오에 의해 ''Della descrittione dell'Africa et delle cose notabili che ivi sono, per Giovan Lioni Africano''라는 제목으로 이탈리아어 출판되었으며, 큰 인기를 얻어 여러 번 재판되고 다른 언어로도 번역되었다.[4]
3. 1. 《아프리카지 (Cosmographia et geographia de Affrica)》
레오 아프리카누스의 대표작은 1550년 베네치아 출판인 조반니 바티스타 라무시오에 의해 이탈리아어로 ''Della descrittione dell'Africa et delle cose notabili che ivi sono, per Giovan Lioni Africano''라는 제목으로 출판되었다. 이 책은 큰 인기를 얻어 5번이나 재판되었고, 다른 언어로도 번역되었다. 1556년에는 프랑스어와 라틴어 판이 출판되었고, 1600년에는 ''A Geographical Historie of Africa''라는 제목으로 영어 버전이 출판되었다.[4] 영어 번역본은 오류와 오역이 많은 라틴어 판을 원본으로 사용했다.총 9권으로 구성된 대작 『아프리카지』(''Cosmographia et geographia de Affrica'')는 오랫동안 유럽인이 이슬람 세계의 아프리카를 이해하는 데 가장 중요한 자료였다.[4] 16세기 초 사하라 이남을 포함한 북아프리카 전역을 여행한 견문을 바탕으로 작성되었으며, 말리와 팀북투에 대한 정보를 유럽에 전파하여 황금향 전설을 만드는 데 영향을 주었다.
3. 2. 기타 저작
레오 아프리카누스는 아랍어-히브리어-라틴어 의학 어휘집을 저술했는데, 이 중 아랍어 부분만 남아있다. 또한, 8페이지 분량의 아랍어 문법책 단편도 저술했다.[4] 1521년에는 성 바울 서신의 아랍어 번역본을 썼으며, 1527년에는 이슬람 및 유대교 학자 30인에 대한 전기를 썼는데, 이 책은 라틴어 번역본만 현존한다. 중동 및 유럽 지리지, 이슬람 신앙 해설서, 북아프리카 역사서를 저술할 계획도 세웠으나 실제로 저술했는지는 불분명하다.4. 평가 및 유산
레오 아프리카누스는 16세기 유럽에 아프리카에 대한 중요한 정보를 제공한 인물로 평가받는다. 그의 저작, 특히 《아프리카지》는 당시 유럽인들의 아프리카 인식 형성에 큰 영향을 미쳤다.[4] 팀북투에 대한 그의 묘사는 황금향 전설을 만들어 19세기까지 유럽인들의 탐험 욕구를 자극했다.
16세기 말 거의 유럽 전역에서 읽힌 《아프리카지》는 총 9권으로 구성된 대작으로, 오랫동안 유럽인이 이슬람 세계의 아프리카를 알기 위한 가장 귀중한 단서였다. 예를 들어 팀북투를 다스리는 송가이 제국의 대관에 대해 "금괴 중에는 무게가 1300리브르(약 440킬로그램)라고 하는 엄청나게 큰 것이 있다"라고 기술했다.
그의 삶은 소설, 연극, 다큐멘터리 등 다양한 매체를 통해 재조명되고 있다. 아민 말루프의 소설 《레오 아프리카누스》는 그의 삶을 허구적으로 재구성하여 독자들에게 큰 인기를 얻었다. BBC는 2011년 그의 삶에 대한 다큐멘터리 "레오 아프리카누스: 세상 사이의 남자"를 제작했는데, بدر_الدين_الصائغ|바드르 사예그ar가 진행하고 제레미 제프스가 연출했다. 이 영화는 레오의 발자취를 따라 그라나다에서 페스, 팀북투를 거쳐 로마까지 여행했다.
윌리엄 셰익스피어가 오셀로를 쓰기 위해 준비하면서 레오 아프리카누스의 책을 참고했을 수 있다는 주장도 있다.
참조
[1]
학술지
Leo Africanus
http://dx.doi.org/10[...]
2022-10-03
[2]
학술지
Leo Africanus
http://dx.doi.org/10[...]
2022-10-03
[3]
문헌
[4]
문헌
[5]
문헌
[6]
문헌
[7]
문서
[8]
문서
[9]
문헌
[10]
문헌
[11]
웹인용
Saudi Aramco World : A Man of Two Worlds
https://web.archive.[...]
2009-10-0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