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아말 운동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말 운동은 레바논의 정당이자 시아파 무장 단체로, "레바논 저항 연대"를 줄여 부르는 명칭이다. 1974년 무사 알사드르와 후세인 엘후세이니가 설립한 '소외된 자들의 운동'에서 기원했으며, 레바논 시아파 공동체의 권익 보호와 사회 개혁을 목표로 했다. 레바논 내전 동안 시리아의 지원을 받아 세력을 확장했고, 팔레스타인 민병대와의 캠프 전쟁(1985-1987)과 헤즈볼라와의 '형제들의 전쟁'(1988)에 참여했다. 내전 종식 후 무장 해제하고 정당으로 전환했으며, 현재는 나비 베리가 이끌며, 레바논 국민 회의 의회 내 친 시리아파 세력을 헤즈볼라와 함께 이끌고 있다. 2023년 이스라엘-레바논 국경 충돌에도 참여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레바논의 정당 - 레바논 공산당
    레바논 공산당은 1924년 프랑스 위임통치하 레바논에서 창당되어 여러 명칭 변경과 시리아 공산당과의 분당을 거쳐 현재의 이름으로 활동하며, 레바논 독립 후 합법화와 불법화를 반복하고 내전 기간 민병대를 조직했으나 소련 붕괴 후 영향력이 감소했으며, 꾸준히 선거에 참여하고 종파와 지역을 초월하는 정치 조직과 대중 조직을 통해 활동하고 있다.
  • 레바논의 정당 - 헤즈볼라
    헤즈볼라는 1982년 레바논 전쟁에 대응하기 위해 설립된 시아파 무장 정파로, 이란의 지원을 받아 성장하여 정치 세력으로 전환, 이스라엘과 무력 충돌을 지속하며 시리아 내전에 개입하고, 테러 단체로 지정되기도 한다.
  • 1975년 설립된 정당 - 미국 혁명공산당
    미국 혁명공산당은 1975년 개칭된 미국의 마오주의 정치 단체로, 밥 아바키안을 중심으로 한 개인 숭배, 성조기 소각 시위 등으로 알려져 있으며, 자본주의 체제 전복과 전 세계 공산주의를 목표로 총체적 혁명을 추구한다.
  • 1975년 설립된 정당 - 네팔 노동자농민당
    네팔 노동자농민당은 1975년에 창당된 네팔의 공산주의 정당으로, 마오주의와 주체사상을 지도 원리로 삼으며, 1990년 민주화 운동에 참여하고 여러 차례 선거에서 의석을 확보했으며, 주요 지도자는 나라얀 만 비주크체이다.
  • 1974년 설립된 정당 - 범그리스 사회주의 운동
    범그리스 사회주의 운동은 1974년 안드레아스 파판드레우가 창당한 그리스의 사회민주주의 정당으로, 1981년 총선에서 승리하여 그리스 최초의 사회주의 정부를 수립하고, 2022년 '변화를 위한 운동-범그리스 사회주의 운동'으로 재창당하여 재기를 노리고 있다.
  • 1974년 설립된 정당 - 사회민주당 (포르투갈)
    사회민주당은 1974년 포르투갈에서 민주인민당으로 창당되어 초기 사회민주주의 이념에서 출발, 중도우파 성향으로 변화하며 포르투갈 정치에 큰 영향을 미쳐왔고, 현재는 루이스 몽테네그루가 당 대표를 맡고 있는 유럽 국민당 소속 정당이다.
아말 운동 - [정당]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아말 운동 로고
로고
명칭아말 운동
원어 명칭حركة أمل
로마자 표기Ḥarakat ʾAmal
슬로건억압에 맞서 투쟁하자 (태그라인)
지도부
의장나비흐 베리
창립자무사 알-사드르
후세인 엘-후세이니
모스타파 참란
그레고아르 하다드
라게브 하르브
창립 및 본부
창립일1974년 7월 6일
본부베이루트
국가 및 약칭
국가레바논
약칭아말, أمل
이념 및 정치 성향
이념레바논 민족주의
다종교주의
전통적 보수주의
무슬림-기독교 단결
대중주의
반시오니즘
정치 성향중도우파
소속 및 의석
전국3월 8일 동맹
의회 그룹개발과 해방
레바논 의회15/128
레바논 내각3/24
군사 조직
군사 조직레바논 저항 연대(1975 – 1991)
알-압바스 부대(2006년 이후)
기타
색상초록색, 빨간색

2. 명칭

이 운동의 정식 명칭은 레바논 저항 연대( أفواج المقاومة اللبنانيةar )이며, 이 이름을 줄여서 만들어진 약어는 "아말"( أملar )이다. 이는 아랍어로 "희망"을 뜻한다.[20]

3. 기원

1974년 봄, 레바논시아파 지도자인 이맘 무사 알사드르가 이끌던 '시아파 이슬람 평의회'(HSIC)의 군사 부문으로 창설되었다. 이슬람교 시아파 (12이맘파) 주민들을 주요 지지 기반으로 하였다. 초기에는 이슬람주의 성향을 보였으나, 창설자 실종 이후 1980년 나비 베리가 대표로 취임하면서 세속 노선으로 전환하였다.

3. 1. 하라카트 알마흐루민 (소외된 자들의 운동)

'''하라카트 알마흐루민'''(حركة المحرومينar, 의미: '''소외된 자들의 운동''', '''빼앗긴 자들의 운동''', 또는 '''상속받지 못한 자들의 운동''')은 1974년 무사 알사드르 이맘과 국회의원 후세인 엘후세이니에 의해 설립되었다.[21] 이 운동은 레바논의 정치 및 사회 시스템 개혁을 목표로 하였으며, 모든 레바논 종파와 종교 간의 평등을 요구했다. 특히 당시 레바논 정부로부터 소외되고 빈곤했던 시아파 공동체의 권익 보호를 주장하며,[22] 모든 소외된 레바논인들을 위한 사회 정의 실현을 추구했다.[23]

이 운동은 이슬람 사상의 영향을 받았지만, 종교적 또는 이념적 노선보다는 공동체적 유대감을 중시하는 세속적 운동을 지향했다.[27] 비록 많은 종파의 지지를 받았으나, 구성원은 주로 시아파였으며, 당시 전통적인 시아파 가문의 영향력에 도전하는 강력한 세력으로 여겨졌다.

베이루트의 그리스 가톨릭 대주교 그레고리 하다드 역시 이 운동의 창립자 중 한 명이었다.[24][25]

하라카트 알마흐루민은 1975년 현재의 아말 운동으로 흡수, 통합되었다.

3. 2. 레바논 저항 연대

1975년 1월 20일, 무사 알 사드르의 지도 아래 하라카트 알-마흐루민의 군사 조직으로 '레바논 저항 연대'(أفواج المقاومة اللبنانيةar)가 결성되었다.[23] 이 조직은 '레바논 저항 대대', '레바논 저항 군단',[26] '레바논 저항 분견대' 및 프랑스어로 'Battalions de la Resistance Libanaise (BRL)' 등 다양한 이름으로 불렸다. 약칭인 '''아말'''(아랍어 أمل)은 '''A'''fwaj al-'''M'''uqawama al-'''L'''ubnaniyya의 머리글자에서 유래했으며, 이 이름으로 널리 알려지게 되었다.[23]

이 조직의 뿌리는 1974년 봄, 레바논시아파 지도자(이맘) 무사 알 사드르가 이끌던 '시아파 이슬람 평의회'(HSIC)의 군사 부문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이슬람교 시아파 (12이맘파) 주민들이 주요 지지 기반이다.

초기에는 시아파 이슬람주의자들이 다수 참여했으나, 창설자인 무사 사드르가 리비아에서 실종된 후 1980년 변호사이자 미국 시민권도 가진 세속주의 성향의 나비 베리가 대표로 취임하면서 세속 노선을 명확히 했다. 이 과정에서 배제된 이슬람 과격파는 이란 혁명을 지지하는 이란의 지원을 받아 '이스라미야 아말'이라는 반주류파를 형성했으나, 1980년대 초 '''헤즈볼라'''가 결성되면서 흡수, 해소되었다.

레바논 내전 중 아말 운동은 시리아베이루트에 거점을 둔 파타로부터 군사 지원을 받으며, 카타이브, 레바논 군단, 남레바논군기독교 마론파 계열 민병대 및 이스라엘 방위군과 무력 충돌을 벌였다. 친 시리아적인 입장을 분명히 했으며, 때로는 시리아와 PLO 간의 군사 충돌이었던 '캠프 전쟁'처럼 시리아 측 용병으로 활동하기도 했다. 세속 노선을 채택하면서 이슬람 원리주의를 꺼리는 시아파 주민들의 지지를 받으며 헤즈볼라와 세력을 양분했다. 내전 종결 후 무장 해제되고 정당으로 합법화되었지만, 여전히 제한적으로 중화기를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현재 아말 운동은 헤즈볼라와 함께 레바논 국회 내 친 시리아파 세력을 이끌고 있으며, 정치국 의장인 나비 베리는 레바논 국회 의장을 맡고 있다.

4. 아말 운동의 발전과 변천

아말 운동의 두 주요 인물인 나비 베리와 무사 알 사드르의 포스터


아말 운동은 1974년 봄, 레바논시아파 지도자 무사 알 사드르가 이끄는 '시아파 이슬람 평의회'(HSIC)의 군사 부문으로 창설되었다. 1975년 1월 20일에는 알 사드르의 지도 아래 "소외된 자들의 운동"의 군사 조직으로 '레바논 저항 분견대'가 공식 출범했다.

레바논 내전(1975-1990) 동안 아말은 시리아의 지원과 긴밀한 관계[27], 그리고 이스라엘의 폭격으로 레바논 남부에서 발생한 약 30만 명의 시아파 내부 난민들의 합류는 아말이 레바논 내 주요 시아파 민병대로 성장하는 데 기여했다. 아말의 주요 목표는 레바논 시아파 주민들의 권익을 신장하고, 시아파가 다수 거주하는 남부 지역에 대한 정부 지원을 확대하는 것이었다.[28] 전성기에는 병력이 14,000명에 달했다.

1978년, 창립자 무사 알 사드르는 리비아 방문 중 실종되었고, 이후 후세인 엘 후세이니가 지도자 자리를 계승했다. 엘 후세이니는 시리아의 압력에도 불구하고 PLO나 다른 파벌과의 동맹을 통한 내전 개입을 거부했다. 1980년에는 PLO 게릴라로부터 자택에 미사일 공격을 받는 암살 시도를 겪기도 했다.

1980년, 엘 후세이니는 지도자직에서 사임했고, 변호사 출신이자 미국 시민권도 가진 세속주의 성향의 나비 베리가 새로운 지도자가 되었다. 베리의 지도 아래 아말은 레바논 내전에 본격적으로 참여했으며 세속주의 노선을 강화했다. 이러한 노선 변화는 이란 혁명의 영향을 받은 종교적, 이슬람 과격파 성향의 초기 구성원들의 반발을 샀다. 이들은 이란의 지원을 받아 '이스라미야 아말'이라는 반주류파를 형성했고, 이는 1980년대 초 헤즈볼라의 결성으로 이어졌다.

1982년 여름, 아말의 부대표이자 공식 대변인이었던 후세인 알 무사위는 베리의 노선에 반발하여 탈퇴하고 이슬람주의 조직인 이슬람 아말 운동을 창설했다.

1985년 5월부터 아말은 베이루트의 사브라, 샤틸라, 부르즈 엘 바라즈네 등 팔레스타인 난민 캠프의 통제권을 두고 팔레스타인 민병대와 격렬한 전투를 벌였다. 이는 1987년까지 이어진 이른바 "캠프 전쟁"으로 불렸으며, 시리아의 군사적 개입으로 종결되었다. 아말은 이 과정에서 친시리아적인 입장을 분명히 했으며, 때로는 시리아의 이해관계를 대변하는 역할을 수행하기도 했다.

1985년 12월, 나비 베리는 드루즈 진보사회당(PSP)의 왈리드 주블라트, 레바논군의 엘리 호베이카와 함께 시리아 다마스쿠스에서 삼자 협약을 체결했다. 이는 레바논 문제에 대한 시리아의 영향력을 강화하려는 목적이었으나, 호베이카가 내부 권력 다툼으로 축출되면서 무산되었다. 이후 1986년 2월, 아말 민병대는 인민해방군(PLA) 및 드루즈 PSP 민병대와의 시가전 끝에 서베이루트에서 밀려났고, 이는 시리아 군대가 3년 반 만에 다시 베이루트로 진입하는 계기가 되었다.

1988년에는 경쟁 관계에 있던 헤즈볼라와의 갈등이 격화되었다. 2월 17일, 유엔 휴전 감시 기구(UNTSO) 소속 미군 장교 윌리엄 R. 히긴스 중령이 아말 정치 지도자와 만난 후 납치되어 살해되는 사건이 발생했다. 아말은 헤즈볼라의 소행으로 의심하고 남부에서 헤즈볼라를 공격했으나, 헤즈볼라는 현재까지 이를 부인하며 아말과의 관계를 이간질하려는 외부의 시도였다고 주장한다. 4월, 아말은 남부 레바논과 베이루트 남부 교외의 헤즈볼라 거점에 대한 전면 공격을 개시하며 이른바 "형제들의 전쟁"이 발발했다. 그러나 1988년 5월 초, 헤즈볼라는 시의적절한 반격을 통해 베이루트 시아파 교외 지역의 80%를 장악했다. 이 충돌은 시리아이란의 중재로 휴전에 이르렀다.

1989년, 아말은 레바논 내전 종식을 위한 타이프 협정을 수용했다. 이 협정은 아말 출신의 후세인 엘 후세이니가 초안 작성에 주도적인 역할을 했다.

1990년 10월 시리아가 주도한 레바논 내전 종식 이후, 아말은 무장 해제를 단행하고 정당으로 전환했다. 1991년 9월에는 2,800명의 아말 병력이 레바논군에 편입되었다. 내전 종결 후 합법 정당이 되었지만, 현재도 제한적으로 중화기를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여겨진다.

5. 레바논 내전

1974년 봄, 레바논시아파 지도자 موسى الصدر|무사 알사드르ar가 이끄는 '시아파 이슬람 평의회'(HSIC)의 군사 부문으로 창설되었다. 이슬람교 시아파 (12이맘파) 주민들이 주요 지지 기반이다.

창설 초기에는 이슬람주의 성향의 구성원들이 많았으나, 무사 알사드르가 리비아에서 실종된 후 1980년 변호사 출신이자 미국 시민권도 가진 세속주의 성향의 نبيه بري|나비 베리ar가 대표로 취임하면서 세속 노선을 분명히 했다. 이 과정에서 배제된 이슬람 과격파는 이란 혁명의 영향을 받아 이란의 지원 아래 '이스라미야 아말'이라는 반주류파를 형성했으나, 1980년대 초 '''헤즈볼라'''가 결성되면서 자연스럽게 흡수, 해소되었다.

레바논 내전 기간 동안 아말 운동은 시리아베이루트에 거점을 둔 파타로부터 군사 지원을 받았다. 주요 투쟁 대상은 카타이브, 레바논 군단, 자유 레바논 군기독교 마론파 계열 민병대 조직과 이스라엘 방위군이었다. 아말 운동은 친시리아적인 입장을 명확히 했으며, 때로는 캠프 전쟁과 같이 시리아의 입장을 대변하여 PLO와 충돌하기도 했다. 세속 노선을 표방했기 때문에, 이슬람 원리주의에 거부감을 느끼는 시아파 주민들의 지지를 받으며 헤즈볼라와 세력을 양분했다.

내전 종결 후 공식적으로는 무장을 해제하고 정당으로 활동하고 있지만, 여전히 제한적으로 중화기를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현재 레바논 국회 내에서는 헤즈볼라와 함께 친시리아파 세력을 형성하고 있으며, 아말 운동 정치국 의장인 나비 베리는 레바논 국회의장을 맡고 있다.

5. 1. 캠프 전쟁 (1985-1987)

캠프 전쟁은 1980년대 중반 아말 운동과 팔레스타인 단체 간에 벌어진 일련의 전투였다. 이 분쟁에서 시리아 정부는 아말을 지원했고, 드루즈 중심의 진보사회당(PSP), 좌파 세력, 그리고 헤즈볼라는 팔레스타인 측을 지지했다.

1982년 레바논 전쟁으로 대부분의 팔레스타인 게릴라들이 레바논에서 축출되었으나, 이스라엘군이 베이루트, 시돈, 티레에서 철수하면서 팔레스타인 민병대가 다시 세력을 확장하기 시작했다. 시리아는 이러한 팔레스타인 세력의 부활을 경계했다. 비록 이념적으로는 같은 진영에 속했지만, 시리아는 대부분의 팔레스타인 조직에 대한 통제력이 약했고, 팔레스타인 세력 증강이 또 다른 이스라엘의 침공을 유발할 것을 우려했다. 또한 레바논 내에서는 1960년대 후반부터 시아파 주민과 팔레스타인 난민 간의 관계가 긴장 상태에 있었다.[32]

1984년 2월 다국적군 철수 후 아말과 PSP는 서베이루트를 장악했고, 아말은 베이루트와 남부 레바논의 팔레스타인 난민 캠프 주변에 여러 거점을 마련했다. 1985년 4월 15일, 아말과 PSP는 레바논의 주요 수니파 민병대이자 PLO의 주요 동맹이었던 알-무라비툰을 공격했다. 알-무라비툰은 패배했고 지도자 이브라힘 쿨라일라트는 망명했다. 1985년 5월 19일, 베이루트에 위치한 사브라, 샤틸라, 부르즈 엘바라즈네 캠프의 통제권을 두고 아말과 팔레스타인 민병대 간의 격렬한 전투가 시작되었다.[32] 5월 28일에는 샤틸라에서 팔레스타인 여성 4명에 의한 자살 폭탄 공격이 아말을 겨냥해 발생하기도 했다.[32] 이러한 노력에도 아말은 캠프를 완전히 장악하지 못했다. 사상자 수는 정확히 집계되지 않았으나 수백에서 수천 명에 이를 것으로 추정된다. 이 전투와 아랍 국가들의 강력한 압력으로 6월 17일 휴전이 이루어졌다.

하지만 상황은 여전히 불안정했고, 1985년 9월과 1986년 3월에 다시 전투가 벌어졌다. 1986년 5월 19일, 다시 격렬한 전투가 재개되었다. 시리아로부터 새로운 무기를 지원받았음에도 아말은 캠프를 장악하는 데 실패했다. 여러 차례 휴전이 선포되었으나 대부분 며칠을 넘기지 못했다. 1986년 6월 24일 시리아군 일부가 배치되면서 상황은 다소 진정되었다.

남부 레바논 역시 시아파와 팔레스타인 주민들이 혼재하며 긴장이 고조되어 잦은 충돌이 발생했다. 1986년 9월 29일, 티레 인근의 라시디예 캠프에서 교전이 시작되어 곧바로 시돈과 베이루트로 확산되었다. 팔레스타인군은 시돈 동쪽 언덕의 마그두셰를 점령하여 라시디예로 가는 보급로를 확보하려 했다. 시리아군은 아말을 지원했고, 이스라엘은 마그두셰 주변의 PLO 진지를 공습했다.

1986년 12월 15일, 아말과 친시리아 팔레스타인 단체 간 휴전이 합의되었으나, 야세르 아라파트가 이끄는 파타는 이를 거부했다. 파타는 상황 완화를 위해 일부 진지를 헤즈볼라와 알-무라비툰에게 넘기기도 했다. 상황은 잠시 소강상태를 보였으나 캠프에 대한 포격은 계속되었고, 베이루트에서는 캠프 봉쇄로 인해 식량과 의약품 부족이 심각해졌다.

1987년 초, 팔레스타인을 지원하는 헤즈볼라진보사회당(PSP)까지 전투에 가담하면서 전선이 확대되었다. PSP는 여러 전투에서 승리하며 서베이루트의 상당 지역을 빠르게 장악했다. 결국 시리아는 1987년 2월 21일부터 서베이루트를 점령했다. 1987년 4월 7일, 아말은 마침내 캠프 포위를 풀고 주변 진지를 시리아군에게 넘겨주었다. 뉴욕 타임스는 1992년 3월 10일자 기사에서 레바논 경찰 자료를 인용하여, 캠프 전쟁으로 총 3,781명이 사망했다고 보도했다.

5. 2. 형제들의 전쟁 (1988)

1988년 2월 17일, 유엔 휴전 감시 기구(UNTSO) 레바논 옵서버 그룹의 미국 책임자인 윌리엄 R. 히긴스 대령은 남부 레바논에서 아말의 정치 지도자 압드 알-마지드 살레와 회의를 마친 후, 타이어와 나쿠라 사이의 도로에서 유엔 차량 이동 중 납치되었다. 이 납치에는 헤즈볼라의 이슬람 저항 지도자 아바스 알무사위, 헤즈볼라 군사 조직의 지역 사령관 압둘 카림 오베이드, 그리고 전 아말 보안 국장 무스타파 디라니가 긴밀히 협력하여 직접적인 책임이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30]

이 사건은 헤즈볼라아말에게 정면으로 도전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졌다. 아말은 즉각 남부 레바논에서 헤즈볼라에 대한 공세를 시작하여 군사적으로 상당한 성과를 거두었으며, 이 과정에서 여러 헤즈볼라 성직자들을 베카 계곡으로 추방했다. 그러나 베이루트 남부 교외에서는 상황은 달랐다. 헤즈볼라와 이란 파스다란 내 조직들은 아말 고위 관리 암살 및 아말 검문소와 센터 공격을 위한 공동 지휘부를 설립했다.[33]

1988년 4월, 아말은 남부 레바논과 베이루트 남부 교외의 헤즈볼라 진지에 대해 전면적인 공격을 감행했다. 하지만 1988년 5월까지 헤즈볼라는 효과적인 반격으로 베이루트 시아파 교외 지역의 80%를 장악하며 우위를 점했다. 이 과정에서 아말은 큰 손실을 입었고, 많은 조직원들이 헤즈볼라로 이탈했다. 결국 1988년 6월, 시리아는 아말의 완전한 패배를 막고자 군사적으로 개입해야만 했다.[30]

1989년 1월, 시리아이란의 중재로 헤즈볼라와 아말 간의 격렬했던 전투를 종식시키는 휴전 협정이 맺어졌다. 이 협정에 따라 남부 레바논의 안보에 대한 아말의 권한이 인정되었고, 헤즈볼라는 해당 지역에서 정치, 문화, 정보 활동 등 비군사적인 활동만 유지하도록 허용되었다.[34]

6. 내전 이후의 아말

아말 운동은 1990년 이후 시리아를 강력히 지지했으며, 레바논 주둔 시리아군의 주둔을 지지했다. 라피크 하리리 암살 사건(2005년) 이후, 아말 운동은 시리아의 철수에 반대했으며 레바논 삼나무 혁명에 참여하지 않았다.

1992년 이후, 아말 운동은 레바논 의회와 정부에 대표자를 배출해 왔다. 아말 운동의 주요 지도자들이 부패했다는 비판도 종종 제기된다. 나비 베리는 1992년, 1996년, 2000년, 2005년, 2009년, 2016년에 국회의장으로 선출되었다. 2018년 레바논 총선 이후, 아말 운동은 128석의 레바논 의회에서 17명의 대표를 확보했다. 이는 2009년 선거의 13명, 2005년 선거의 14명, 2000년 선거의 10명, 1996년 선거의 8명, 1992년 선거의 5명에서 증가한 수치이다. 2022년 레바논 총선에서는 15석을 확보했다.

아말 운동 관계자에 따르면, 아말 운동의 무장 세력은 2006년 레바논 전쟁 동안 "전투가 시작된 이후 모든 주요 전투에 참여했다"[35]고 하며, 최소 8명의 구성원이 사망한 것으로 보고되었다.[35]

아말 운동의 군사 조직은 2023년 11월 이스라엘 군사 기지에 대한 공격을 시작하며 2023년 이스라엘-레바논 국경 충돌에 참여하기 시작했다.[36][37] 이후 그 구성원 중 한 명이 라브 탈라틴 마을에 대한 이스라엘 포격으로 사망했다.[38] 또 다른 전투원은 8월에 키암 마을에서 이스라엘의 차량 공격으로 사망했다.[39] 아말 군사 조직의 정예 부대인 알-아바스 부대의 전투원 2명은 2024년 10월 레바논을 침공한 이스라엘군과의 전투에서 사망했다.[40]

선거 연도전체 득표수전체 득표율전체 획득 의석수+/-지도자
199217 / 128+17나비 베리
19966.25%21 / 128+4
20007.81%16 / 128-5
200510.93%14 / 128-2
200913 / 128-1
2018204,199 (#3)11.04%17 / 128+4
2022190,161 (#3)10.52%15 / 128-2


참조

[1] 논문 Aspects of Terrorism in Iran 1982-09
[2] 서적 Hezbollah: A Short History https://wayback.arch[...]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07
[3] 웹사이트 Hizbullah, a progressive Islamic party? - Interview with Joseph Alagha http://religion.info[...]
[4] 웹사이트 Hizbullah’s New Fact http://bostonreview.[...] 2005-04/05
[5] 서적 Amal and the Shi'a: Struggle for the Soul of Lebanon University of Texas Press
[6] 서적 Cultures Without Borders https://books.google[...] Author House 2016-05-26
[7] 서적 Cultures Without Borders https://books.google[...] Author House 2016-05-26
[8] 서적 Shi'ite Lebanon: Transnational Religion and the Making of National Identities https://books.google[...] Columbia University Press 2016-07-02
[9] 웹사이트 Islam Times – Imam Musa Al Sadr – his life and disappearance http://islamtimes.or[...] 2016-05-26
[10] 웹사이트 مركز الإمام موسى الصدر للأبحاث والدراسات :: محطات مضيئة » سيرة الإمام http://www.imamsadr.[...] 2019-12-03
[11] 웹사이트 Guardians of the Islamic Revolution Ideology, Politics, and the Development of Military Power in Iran (1979–2009) http://deepblue.lib.[...] University of Michigan 2013-07-26
[12] 서적 Warriors of God: Inside Hezbollah's Thirty-Year Struggle Against Israel Random House
[13] 서적 Amal and the Shi'a: Struggle for the Soul of Lebanon University of Texas Press
[14] 웹사이트 Al-Abbas Force https://israel-alma.[...] 2024-10-06
[15] 웹사이트 Islam Times – Imam Musa Al Sadr – his life and disappearance http://islamtimes.or[...] 2016-05-26
[16] 논문 Aspects of Terrorism in Iran 1982-09
[17] 서적 Hezbollah: A Short History https://wayback.arch[...]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07
[18] 웹사이트 Hizbullah, a progressive Islamic party? - Interview with Joseph Alagha http://religion.info[...]
[19] 서적 Hezbollah: A Short Story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07
[20] 서적 Amal and the Shi'a: Struggle for the Soul of Lebanon University of Texas Press
[21] 서적 The Shia Revival W.W. Norton & Company
[22] 서적 Deadly Connections: States that Sponsor Terrorism Cambridge University Press
[23] 서적 Hezbollah: The Changing Face of Terrorism I.B. Tauris & Co. Ltd
[24] 서적 Hezbollah: A Short History https://wayback.arch[...]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07
[25] 웹사이트 Hizbullah, a progressive Islamic party? - Interview with Joseph Alagha http://religion.info[...]
[26] 뉴스 Gaddafi charged for cleric kidnap http://news.bbc.co.u[...] BBC 2016-08-28
[27] 서적 Deadly Connections: States that Sponsor Terrorism Cambridge University Press
[28] 서적 Hezbollah: The Changing Face of Terrorism I.B. Tauris & Co Ltd
[29] 간행물 Middle East International No 295, 4 March 1987
[30] 문서 Hizb'allah
[31] 웹사이트 Hezbollah: Between Tehran and Damascus http://www.meib.org/[...]
[32] 논문 Dying for Survival: Why Militant Organizations Continue to Conduct Suicide Attacks 2016
[33] 뉴스 Voice of Lebanon, 0615 gmt 18 April 88-BBC/SWB/ME/0131, 21 April 1988; and Ha'aretz, 18 April 1988
[34] 문서 Hizb'allah
[35] 뉴스 Israeli troops suffer largest one-day loss http://edition.cnn.c[...] CNN 2006-07-27
[36] 웹사이트 Second Shia militia group joins clashes on Lebanese border https://en.royanews.[...] 2023-11-11
[37] 웹사이트 Iran Update, November 11, 2023 https://www.understa[...] 2023-11-11
[38] 웹사이트 "أمل" تنعى أحد عناصرها... قضى بقصف إسرائيليّ على بلدة رب ثلاثين https://www.annahar.[...] 2023-11-11
[39] 웹사이트 One dead in Israeli strike-Lebanon ministry https://punchng.com/[...] 2024-08-25
[40] 웹사이트 Al-Abbas Force https://israel-alma.[...] 2024-10-06
[41] 웹인용 "Afwajamal Media Network" http://www.afwajamal[...] 2016-04-2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