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아베 마리스 스텔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베 마리스 스텔라"는 9세기경에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되는 성모 마리아를 찬양하는 가톨릭 찬가이다. 중세 시대에 널리 퍼져 성무일도에 사용되었으며, "바다의 별"이라는 칭호로 마리아를 묘사하며 여행자의 안전을 기원하는 기도문으로 사용되었다. 이 찬송가는 르네상스 시대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작곡가들에 의해 음악적으로 설정되었으며, 1884년 아카디아 전국 대회에서 아카디아의 국가로 채택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가톨릭 기도문과 전례문 - 그레고리오 성가
    그레고리오 성가는 서방 기독교 전례에서 사용되는 무반주 일성부 성가로, 로마와 갈리아 성가의 통합을 거쳐 서방 기독교 세계의 표준 성가로 자리매김했으며, 교회 선법 체계화 및 네우마 기보법 발달과 함께 유럽 전역으로 확산되어 현재까지 영향을 미치고 있다.
  • 가톨릭 기도문과 전례문 - 성모송
    성모송은 가브리엘 대천사와 엘리사벳의 인사말에 기반하여 하느님 찬양과 성모 마리아에게 애원과 찬미를 드리는 가톨릭교회의 대표적인 기도로, 묵주기도의 기본이 되며 다양한 언어 번역본과 음악 작품으로 널리 사용된다.
아베 마리스 스텔라

2. 역사적 배경

원래 이 찬송가의 저자는 클레르보의 베르나르두스(12세기), 포르투나투스(6세기), 헤르만누스 콘트락투스(11세기) 등으로 알려져 왔다.[1] 아마도 9세기에 기원했을 것으로 추정되며,[3] 10세기에 내용이 추가된 9세기의 필사본 두 개가 전해진다. 하나는 현재 오스트리아 국립 도서관에 소장된 잘츠부르크에서 온 것이고,[4] 다른 하나는 장크트갈렌 수도원에 보관되어 있다.[5] 이 찬송가는 성무일도에서 자주 사용되어 중세 시대에 인기를 얻었으며, 이를 바탕으로 많은 다른 찬송가가 만들어졌다.[1] "아베 마리스 스텔라"는 마리아를 자비롭고 사랑스러운 어머니로 묘사하는 데 큰 영향을 미쳤다.[6] 그 매력의 많은 부분은 단순함에서 비롯된다.[7] 바다의 별은 마리아에게 적용된 가장 오래되고 널리 퍼진 칭호 중 하나이며, 이 찬송가는 여행자들의 무사 안녕을 비는 기도문으로 자주 사용된다.[8]

이 멜로디는 성 브리짓 오브 킬데어를 찬양하는 아일랜드 평성가 "가바임 몰타 브리데"에서 발견된다.[9] 대중적인 현대 찬송가 ''하늘의 여왕, 바다의 별''은 이 평성가 원곡을 바탕으로 만들어졌다.

3. 가사

1912년 ''Antiphonale Romanum''의 "아베 마리스 스텔라" 시작 부분


"아베 마리스 스텔라"는 성모 마리아를 찬미하는 기독교 찬송가로, 로마 전례(일반 양식)의 시간 전례에서 사용이 승인되었다.[10] 이 찬송가는 여러 언어로 번역되었으며, 한국어 번역본도 존재한다. 가사는 주로 성모 마리아의 덕목을 칭송하고, 죄인들을 위한 기도를 간구하며, 삼위일체를 찬미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3. 1. 라틴어 가사

Ave, maris stellala[10]

Dei mater alma,la

atque semper virgo,la

felix caeli porta.la

Sumens illud "Ave"la

Gabrielis ore,la

funda nos in pace,la

mutans Evaela[11] nomen.la

Solve vincla reis,la

profer lumen caecis,la

mala nostra pelle,la

bona cuncta posce.la

Monstra te esse matrem,la

sumat per te precemla[12]

qui pro nobis natusla

tulit esse tuus.la

Virgo singularis,la

inter omnes mitis,la

nos culpis solutosla

mites fac et castos.la

Vitam praesta puram,la

iter para tutum,la

ut videntes Jesumla

semper collaetemur.la

Sit laus Deo Patri,la

summo Christo decus,la

Spiritui sanctola

tribus honor unus. Amen.la[13]

라틴어 시로, 4행시를 한 연으로 하여 7연으로 구성되어 있다.

Ave, maris stellala은총의 별이여, 만남의 바다
Dei mater almala자비로운 하느님의 어머니
Atque semper virgola그리고 영원한 동정녀
Felix caeli portala행복한 천국의 문이여
Sumens illud Avela그 아베를 받으시며
Gabrielis orela가브리엘의 입으로
Funda nos in pacela저희를 평화 속에 굳건히 세우소서
Mutans Evae nomenla하와의 이름을 바꾸시며
Solve vincla reisla죄인들의 족쇄를 푸시고
Profer lumen caecisla눈먼 자들에게 빛을 비추소서
Mala nostra pellela저희의 악을 몰아내시고
Bona cuncta poscela모든 선을 구하소서
Monstra te esse matremla당신을 어머니로 보여주시고
Sumat per te precesla당신을 통해 기도를 받아들이소서
Qui pro nobis natusla저희를 위해 태어나신
tulit esse tuusla당신의 아들을 가지셨으니
Virgo singularisla특별한 동정녀
Inter omnes mitisla모든 이들 중 온유하시니
Nos culpis solutosla저희의 죄를 풀어주시고
Mites fac et castosla온유하고 순결하게 하소서
Vitam praesta puramla깨끗한 생명을 주시고
Iter para tutumla안전한 길을 예비하시어
Ut videntes Jesumla예수님을 뵙고
Semper collaetemurla항상 기뻐하게 하소서
Sit laus Deo Patrila성부 하느님께 찬미를
Summo Christo decusla지극히 높으신 그리스도께 영광을
Spiritui sanctola성령께
Tribus honor unusla삼위일체 하느님께 동일한 영광을


3. 2. 한국어 번역

1절은 다음과 같다.[1]

:바다의 별이시요,

:천주의 모친이신 성모여

:평생 동정이시고

:복된 하늘의 문이시로다.

2절은 다음과 같다.[1]

:천사 가브리엘에게서

:인사를 받으셨으니

:하와의 이름을 새로이 하시어

:저희를 평화 속에 보살피소서

3절은 다음과 같다.[1]

:죄의 사슬을 풀어주시고,

:맹인에게 빛을 가져다 주시며,

:저희의 악을 떨치게 해주시고,

:저희를 위하여 빌어주소서

다음 연과 그다음 연은 직역하면 대체로 다음과 같은 의미를 나타낸다.[1]

:기뻐하라, 바다의 별이여

:지극히 자비로우신 하느님의 어머니

:이렇듯, 늘 처녀이시니

:복되신 하늘의 문이시여

:기뻐하라는 말씀을

:가브리엘의 입으로 받으시고

:우리에게 평화를 주소서

:에바의 이름을 바꾸시어

이 뒤에 이어지는 연의 시구는 대략 다음과 같은 의미를 지닌다.[1]

:죄의 쇠사슬에서 풀려나게 하시고, 눈먼 자에게 빛을 주시며, 우리의 악을 사라지게 하시고, 모든 좋은 것을 주소서

:당신은 어머니이심을 보여주소서, 당신을 통해 구원을 위해 태어나신 예수께서 우리의 기도를 들어주시도록

:영묘하시고, 무엇보다 부드러우신 처녀여, 죄의 용서 안에서 우리를 부드럽고 깨끗하게 하소서

마지막 연은 이 시 고유의 것이라기보다는, 기독교 신앙의 교리 시구이다. 삼위일체를 찬미하며 노래한다.[1]

:영광이시여, 아버지 하느님께

:지극히 높으신 왕이신 그리스도께

:그리고 성령 안에서

:삼위일체 하느님께 영광을

4. 음악적 설정

찬가는 르네상스 이전 시대부터 현재까지 많은 작곡가들에 의해 평성가 형태로 발전되어 왔다. 로마 전례에서는 "아베 마리스 스텔라"를 위해 네 개의 서로 다른 평성가 선율을 사용하는데, 처음 세 개는 복되신 동정 마리아의 대축일, 축일, 기념일에 사용되었고, 네 번째 선율은 복되신 동정 마리아 소성무일과에서 기념일 선율의 대안으로 제공된다.[10] 이 선율들은 조스캥, 빅토리아를 포함한 미사곡의 일부 다성 음악 설정에 칸투스 파르무스로 사용되었다.[15]

르네상스 시대에는 한스 레오 하슬러, 펠리체 아네리오, 조반니 피에를루이지 다 팔레스트리나, 기욤 뒤파이, 윌리엄 버드 등이 이 찬가를 바탕으로 작품을 작곡했다. 바로크 시대에는 몬테베르디의 ''복되신 동정녀 마리아의 저녁기도 1610'', 황제 레오폴트 1세의 작품, 1658년 루이 쿠프랭의 작품, 마르크-앙투안 샤르팡티에의 4개의 설정(H.60, H.63, H.65, H.67 1670–1680년대), 세바스티앵 드 브로사르의 작품이 있다. 낭만주의 시대에는 드보르자크, 그리그, 리스트의 작품이 있다. 텍스트를 설정하거나 찬송가를 영감으로 사용한 현대 작곡가로는 마르셀 뒤프레, 플로르 페테르스, 피터 맥스웰 데이비스, 그레이스 윌리엄스, 제임스 맥밀란, 장 랑글레 등이 있다.

중세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많은 작곡가들이 이 찬가의 선율을 바탕으로 작곡했다. 르네상스 음악 시대에는 다성 음악의 고정 선율로서 성악 및 기악을 막론하고 널리 사용되었다. 기욤 뒤파이, 조스캥 데 프레, 토마스 루이스 데 빅토리아, 안토니오 데 카베손 등 이 찬가에 기반한 작품을 남긴 작곡가는 일일이 열거할 수 없을 정도이다. 바로크 음악 시대에도 클라우디오 몬테베르디, 지롤라모 프레스코발디, 니콜라 드 그리니 외 많은 작곡가들이 이 찬가를 바탕으로 한 작품을 남겼다.

5. 아카디아 국가

1884년, 제2회 아카디아 전국 대회에서 "아베 마리스 스텔라"를 아카디아의 국가로 채택했다.[16] 아카디아캐나다에 존재하는 지역 문화권으로, 영토 없는 국가라고도 할 수 있다. 아카디아 국기프랑스의 국기와 같은 삼색기에 파란색 부분에 금색(노란색) 별이 있는 형태이다.

5. 1. 아카디아 국가 가사 (프랑스어)



그대 이름에 맹세하리

나의 삶, 나의 신념은 그대 것

그대는 나를 지켜주리 (반복)

아카디, 나의 조국

나의 땅, 나의 도전

가까이서, 멀리서 그대는 나를 붙잡네

내 마음은 아카디인 (반복)

아카디, 나의 조국

그대의 역사를 내가 사네

자부심을 그대에게 빚졌네

미래를 나는 믿네 (반복)

아베 마리스 스텔라

데 마테르 알마

아트케 셈페르 비르고

펠릭스 첼리 포르타 (반복)

5. 2. 아카디아 국가 가사 (한국어 번역)



당신의 이름으로 나를 이끌어 갑니다

나의 삶, 나의 믿음은 당신의 것입니다

당신은 나를 지켜줄 것입니다

당신은 나를 지켜줄 것입니다

아카디아 나의 고향

나의 땅, 나의 도전

가까이에서, 멀리에서 당신은 나를 붙잡아 줍니다

아카디아인으로서 나의 마음

아카디아인으로서 나의 마음

아카디아 나의 고향

나는 당신의 역사를 살아갑니다

나는 당신에게 자부심을 빚졌습니다

나는 당신의 미래를 믿습니다

나는 당신의 미래를 믿습니다

Ave Maris Stellala

Dei Mater Almala

Atque Semper Virgola

Felix Caeli Portala

Felix Caeli Portala

나의 조국, 아카디아

그대의 이름에 나는 묶여 있네

나의 생명, 나의 믿음은 그대에게 속하네

그대는 나를 지켜주시리 (후렴구)

나의 조국, 아카디아

나의 땅, 나의 시련

가까이, 멀리, 그대는 나를 지탱하네

나의 마음은 아카디아의 백성 (후렴구)

나의 조국, 아카디아

그대의 역사를 나는 살아가네

그대는 나의 긍지의 근원

나는 그대의 미래를 믿네 (후렴구)

기뻐하라, 바다의 별이여

지극히 자애로운 하느님의 어머니

그리하여, 항상 처녀인

축복받은 하늘의 문이여 (후렴구)

참조

[1] CathEncy Ave Maris Stella
[2] 서적 Frauenlob's song of songs 2007
[3] 서적 Music in the Medieval West 2014
[4] 문서 Codex Vindobonensis 387
[5] 문서 Codex Sangallensis 95
[6] 서적 Gateway to heaven https://books.google[...] New City Press 2012
[7] 서적 Mediaeval Latin and Romance Lyric to A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51
[8] 웹사이트 Ave Maris Stella Prayer https://www.udayton.[...]
[9] 웹사이트 Gabhaim molta Bríde https://songoftheisl[...] 2014-02-01
[10] 간행물 Liber Hymnarius Solesmes 1983
[11] 문서
[12] 문서
[13] 문서
[14] 문서
[15] 서적 The Josquin companion: Volume 1 2001
[16] 웹사이트 A Productive Dykeland and the Birth of a Symbol 1806–1907: The Acadian Renaissance http://www.landscape[...] UNESCO 2020-05-13
[17] 사전 파퓰러 음악용어 사전, 클래식 음악용어 사전 https://terms.nave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