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아사노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사노 씨는 세이와 겐지 미나모토노 요리미쓰의 후손인 토키 씨의 분가로, 미노국 토키군 아사노에 거주하며 그 지명을 따서 아사노 씨의 시조가 되었다. 센고쿠 시대에는 아사노 나가마사가 도요토미 히데요시를 섬기며 오봉행으로 임명되었고, 세키가하라 전투에서 도쿠가와 이에야스를 따라 공을 세워 히로시마 번주가 되었다. 에도 시대에는 히로시마 번을 다스렸으며, 막부 말기에는 삿초 동맹에 가담하여 토막 운동에 참여했다. 아사노 씨는 히로시마 번 외에도 아코, 미요시 등 여러 분가를 두었으며, 메이지 유신 이후에는 후작 작위를 받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도자마 다이묘 씨족 - 시마즈씨
    시마즈씨는 가마쿠라 시대부터 에도 시대까지 사쓰마, 오스미, 휴가 지역을 다스린 다이묘 가문으로, 미나모토 씨의 후손이며, 규슈 지역을 장악하고 임진왜란에 참전하는 등 활발한 활동을 펼쳤다.
  • 도자마 다이묘 씨족 - 사타케씨
    사타케씨는 미나모토노 요시미쓰의 손자 사타케 마사요시를 시조로 하는 무가로, 히타치국을 중심으로 세력을 확장하여 무로마치 시대 히타치국 세습 수호를 역임하고 센고쿠 시대 히타치국을 통일했으며, 세키가하라 전투 이후 구보타번을 통치하며 에도 시대, 보신 전쟁, 메이지 유신을 거쳐 현재까지 아키타 지역 사회에 영향력을 미치고 있다.
  • 일본의 후작가 - 기슈 도쿠가와가
    기슈 도쿠가와가는 도쿠가와 이에야스의 10남 도쿠가와 요리노부를 시조로 하는 도쿠가와 씨의 분가로, 와카야마번을 거쳐 메이지 시대 이후 후작가를 이었으며, 고산가 중 하나로서 쇼군을 배출하고 사이조 마쓰다이라가와 긴밀한 관계를 맺었다.
  • 일본의 후작가 - 도쿠가와씨
    도쿠가와 씨는 마쓰다이라 이에야스가 창시한 성씨로, 에도 시대에 도쿠가와 막부를 통해 일본을 통치했으며, 미나모토 씨의 후예를 자칭하며, 가문의 문장인 세 겹의 아욱 문장은 에도 시대를 상징한다.
  • 일본의 남작가 - 시마즈씨
    시마즈씨는 가마쿠라 시대부터 에도 시대까지 사쓰마, 오스미, 휴가 지역을 다스린 다이묘 가문으로, 미나모토 씨의 후손이며, 규슈 지역을 장악하고 임진왜란에 참전하는 등 활발한 활동을 펼쳤다.
  • 일본의 남작가 - 도쿠가와씨
    도쿠가와 씨는 마쓰다이라 이에야스가 창시한 성씨로, 에도 시대에 도쿠가와 막부를 통해 일본을 통치했으며, 미나모토 씨의 후예를 자칭하며, 가문의 문장인 세 겹의 아욱 문장은 에도 시대를 상징한다.
아사노씨
개요
아사노 씨 문장
아사노 씨 문장
성씨 (로마자)Asano
성씨 (일본어)淺野氏
가문아사노 씨
문양 이름아사노 다잉 매의 깃털(浅野違い鷹の羽)
본성세이와 겐지 도키 씨류
가조도키 미쓰토키
종별무가
출신지미노 국 도키 군 아사노 마을?
오와리 국 니와 군 아사노 마을?
근거지미노 국
오와리 국
기이 국
아키 국
도쿄 분쿄구
가문 (로마자)Asano-shi
가문 (일본어)浅野氏
가문 정보
본거지미노
오와리
아키
빙고
하리마
모가미나모토 씨
도키 씨
아시카가 씨
하타케야마 씨
작위다양함
창시자아사노 미쓰토키 (浅野光時)
마지막 통치자아사노 나가유키 (浅野長勲)
현재 당주아사노 나가타카 (浅野長孝)
창건 연도1221년
해체해당 없음
통치 종료1868년
주요 인물
인물아사노 나가마사
아사노 나가노리(아사노 내장두)
지류
지류아사노 씨 별가나가시게 류 (아코 번 번주 가 이후 하타모토)1986년(쇼와61년)절가
아사노 씨 분가나가하루 류 (미요시 번 번주 가)1720년(교호5년)절가
나가타카 류(히로시마 신덴 번 번주 가)
나가타다 류(무가・화족(남작))

2. 가문의 기원 및 혈통

아사노 가문은 세이와 겐지 미나모토노 요리미쓰의 후손인 토키 씨로부터 분가한 가문이다. 미나모토노 미쓰히라(源光衡)는 토키 미쓰히라(土岐光衡)가 되었고, 그의 둘째 아들 토키 미쓰토키(土岐光時)가 아사노 씨의 시조가 되었다. 『존비분맥』에 따르면, 미나모토노 요리미쓰의 손자인 미나모토노 미쓰노부는 미노 국토키 군에 살면서 토키 씨라고 칭했다. 그의 증손자인 토키 미쓰유키가 같은 군에 아사노 관을 짓고 아사노 한간이라고 칭했으며, 그 자손과 동생 토키 미쓰토키가 아사노 씨를 칭하게 되었다고 한다.

2. 1. 주요 가계

세이와 겐지(清和源氏) 미나모토노 요리미쓰(源頼光)의 후손인 토키 씨(土岐氏)의 분가이다. 겐페이 전쟁(源平合戦) 중 전사한 미나모토노 미쓰나가(源光長)의 셋째 아들 미나모토노 미쓰히라(源光衡)는 삼촌 미나모토노 미쓰모토(源光基)에게 입양되어 토키 미쓰히라(土岐光衡)가 되었고 토키 씨를 창시하였다. 그의 둘째 아들 토키 미쓰토키(土岐光時)는 아사노라는 이름을 사용하며 아사노 씨의 시조가 되었다. 그는 미노 국의 토키 군 아사노에 거주하며 그 지명을 따서 이름을 지었다.

주요 가계는 다음과 같다.

'''세이와 천황(清和天皇)''' (850–878)



'''사다즈미 친왕(貞純親王)''' (873–916)



'''미나모토노 쓰네모토(源經基)''' (894–961)



'''미나모토노 미쓰나카(源満仲)''' (912?–997)



'''미나모토노 요리미쓰(源頼光)''' (948–1021)



'''미나모토노 요리쿠니''' (源頼国, ?–1058?)



'''미나모토노 구니후사''' (源国房, ?–1119)



'''미나모토노 미쓰쿠니''' (源光国, 1063–1148)



'''미나모토노 미쓰노부''' (源光信, 1093?–1145)



'''미나모토노 미쓰나가''' (源光長, ?–1184)



'''토키 미쓰히라''' (土岐光衡, 1159–1206)



'''아사노 미쓰토키''' (浅野光時, ?–?)

『간에이 수 여러 집안 계도전』에서는 히로시마 번주인 아사노 씨를 미쓰토키의 자손이라고 하고 있지만, 신빙성은 불명확하다.

3. 센고쿠 시대부터 아즈치모모야마 시대까지

아사노 나가카쓰(浅野長勝)는 오다 노부나가를 섬겼다. 아사노 나가마사(浅野長政)는 도요토미 히데요시의 처남이자 오봉행 중 한 명으로, 도요토미 정권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6] 1583년 오미 국에서 2만 석을 받아 다이묘가 되었고, 1587년 규슈 정벌 후 와카사 일국을 받았다. 임진왜란(분로쿠의 역) 때 군감(軍監)으로 참전했으며, 1593년 아사노 나가마사와 아사노 요시나가(浅野幸長) 부자는 가이 국 21만 석 이상을 받았다.

4. 에도 시대

아사노 요시나가는 도요토미 히데요시를 섬겨 임진왜란에 참전했다. 그의 아들 아사노 나가아키라히로시마번의 초대 번주가 되었다. 아사노 나가노리는 47 낭인 사건의 주군으로 유명하다.

에도성 마쓰노 오로카에서 아사노 나가노리가 기라 요시나카를 공격하는 모습을 그린 우키요에

4. 1. 아사노 종가 (히로시마 번)

세키가하라 전투 때 아사노 요시나가는 도쿠가와 이에야스를 따라 공을 세워 37만 6560석으로 기이국와카야마로 옮겨 봉해졌다. 요시나가의 뒤는 적자인 나가아키라가 이었다. 1619년(겐나 5년) 아키국히로시마번 번주 후쿠시마 마사노리가 허가 없이 성을 수리했다는 이유로 개역(改易)된 후, 나가아키라가 42만 6천 석으로 아키국에 입봉했다. 이후 아사노 종가의 아키국 지배는 메이지 유신까지 이어졌다.

막말, 삿초 동맹이 성립되자 아사노 가문의 히로시마번도 이에 가담하여 삿초게이 삼 번 동맹을 체결하고[7], 토막(倒幕)에 나섰다. 한편으로 도쿠가와 요시노부에게 대정봉환 건백서를 제출하는 등, 기회주의적인 태도를 보여 불신을 사 아사노 가문은 그 중추에서 제외되었다.

그러나 보신 전쟁에서는 관군으로서 분전하여, 히로시마 번사로 구성된 응변대, 조총대, 서민이 주력인 신기대 등 히로시마 번 군은 아이즈번 군과 센다이번 군과의 교전에서 격전을 벌였다. 히로시마 번은 보신 전쟁에 2272명을 출병시켜 전사 78명, 전상 118명을 냈다. 전사자 중에는 히로시마 호코쿠 신사의 제신이 된 신기대 대원 다카마 쇼조도 있다. 번이 소유한 기선도 출동하여, 만년호와 닷칸호는 오슈 방면으로, 호안호는 에조지로 파견되었다.

히로시마 번 역대 번주
이름초상생몰년재임 기간비고
1아사노 나가아키라
1586년 ~ 1632년1619년 ~ 1632년아사노 나가마사의 차남
2아사노 미츠아키라1617년 ~ 1693년1632년 ~ 1672년
3아사노 츠나아키라1637년 ~ 1673년1672년 ~ 1673년
4아사노 츠나나가1659년 ~ 1708년1673년 ~ 1708년
5아사노 요시나가1681년 ~ 1752년1708년 ~ 1752년
6아사노 무네츠네1717년 ~ 1788년1752년 ~ 1763년
7아사노 시게아키라1743년 ~ 1814년1763년 ~ 1799년
8아사노 나리카타1773년 ~ 1831년1799년 ~ 1830년
9아사노 나리타카1817년 ~ 1868년1831년 ~ 1858년
10아사노 요시테루1836년 ~ 1858년1858년
11아사노 나가미치1812년 ~ 1872년1858년 ~ 1869년
12아사노 나가코토
1842년 ~ 1937년1869년 ~ 1871년


4. 2. 분가


  • '''미요시 아사노 가문''' (빈고 미요시 번): 아사노 나가아키라의 서자인 아사노 나가하루를 시조로 한다. 1632년 미요시 군(三次郡)・게소 군(恵蘇郡) 내 5만 석을 분봉받아 미요시 군에 거관을 짓고 지배했다. 3대 나가쓰네는 1719년에 사망하고 후사가 없어 영지는 본가에 반환되었지만, 나가쓰네의 동생인 나가사다에 다시 5만 석을 분봉받았다. 그러나 이듬해 나가사다도 사망했기 때문에 1720년 단절되었다.[7] 초대 번주 나가하루의 딸은 아코 3대 번주 아사노 다쿠미노카미의 정실 아쿠리이다.[7]
  • '''아오야마 아사노 가문''' (히로시마 신덴 번): 본가 5대 아사노 쓰나나가의 셋째 아들 나가카타가 1730년에 형이자 본가 6대 요시나가로부터 3만 석을 분봉받아 분가했다. 조부(에도 상주)의 다이묘로, 번주가는 에도 저택의 소재지에서 유래하여 아오야마 아사노 가(아오야마 내증 분가)라고 불렸다.[7] 1862년 6대 나가오키 (훗날의 본가 13대 나가토시)가 본가를 계승했기 때문에, 이듬해 1863년에 나가아쓰가 가독을 잇고, 이듬해 아키 국으로 귀향하여 요시다군의 요시다군야마시로터의 산기슭에 "어본관"(요시다 진야)을 짓고 거주했다. 1869년에 신덴 번은 본가와 병합했다.[7]
  • '''아코 아사노 가문''' (하리마 국 아코 번): 세키가하라 전투에서 공적을 세운 아사노 나가마사는 은거료로서 히타치 마카베·쓰쿠바 5만 석의 영지를 얻었지만, 1611년 9월 7일에 사망했고, 삼남 나가시게(당시 마오카 번주)가 그 은거료를 이었다. 1622년에 히타치 국 가사마로 이봉[7]되었다. 나가나오 대에 하리마 국 아코, 가사이, 가토, 사요의 4군, 53,500석으로 이봉되었다. 그러나 3대 나가노리(내장두) 대에 에도 성 내에서 나가노리의 기라 요시나카에 대한 덴츄 진장 사건으로 개역되어, 『충신장』으로 알려진 아코 사건이 일어나는 계기가 되었다.[7]

  • '''아사노 대학 가문''' (재흥·아코 아사노 가문): 아사노 나가노리의 동생 아사노 나가히로가 1710년 아와 국 아사이 군·헤이 군에 500석의 소령을 받게 되어, 하타모토로 복귀하여 가문을 재흥했다. 아코 아사노 가문은 나가에이의 손자인 나가라쿠 대까지 존속했지만, 1986년에 나가라쿠가 사망하면서 단절되었다.[9]

4. 2. 1. 그 외 분가


  • '''와카사노 아사노 가문''' (아코 군 아이오이 촌): 아코 아사노 가문의 분가 하타모토. 아사노 나가쓰네가 1671년에 형 나가토모로부터 3천 석을 분여받아 성립되었다.[7]
  • '''이에하라 아사노 가문''' (가토 군[10] 이에하라): 아코 아사노 가문의 분가 하타모토. 아사노 나가카타가 1671년에 형 나가토모에게서 3천 5백 석을 분여받아 성립되었다.[7]

5. 막부 말기부터 메이지 유신 이후

막말, 히로시마번삿초 동맹에 가담하여 도막(倒幕)에 나섰다.[7] 보신 전쟁에서는 관군으로 참전하여 아이즈번, 센다이번 등과 교전했다. 히로시마 번은 보신 전쟁에 2272명을 출병시켜 전사 78명, 부상 118명의 피해를 입었다.

1869년, 아사노 나가코토는 히로시마 번 지번사(知藩事)에 임명되었고, 1871년 폐번치현까지 역임했다. 1884년 화족령 발포와 함께 구 히로시마 번주 아사노 가문은 후작 작위를 받았다. 아사노 나가코토 후작은 제15은행(十五銀行) 은행장을 역임했고, 일본철도의 최대 주주였다.

6. 역대 당주

아사노씨의 역대 당주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는 원본 자료에 직접적으로 나타나 있지 않다.

하위 섹션에서 아사노 종가(히로시마 번), 미요시 아사노가, 아오야마 아사노가(히로시마 신덴 번), 아코 아사노 가문에 대한 자세한 내용을 다룬다.

6. 1. 아사노 종가 (히로시마 번)

아사노 종가일본어 (히로시마 번)에 해당하는 내용은 사료에 직접적으로 나타나 있지 않다. 대신, 미요시 아사노가와 아오야마 아사노가(히로시마 신덴 번)에 대한 정보는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 미요시 아사노가 (빈고 미요시번) ※ 1720년 (교호 5년) 단절

: 아사노 나가아키라의 서자인 아사노 나가하루를 시조로 한다. 1632년 (간에이 9년), 미요시군(三次郡)・게소군(恵蘇郡) 내 5만 석을 분봉받아, 미요시군에 거관을 짓고 지배했다.

: 3대 나가쓰네는 1719년 (교호 4년)에 사망하고, 후사가 없어 영지는 본가에 반환되었지만, 나가쓰네의 동생인 나가사다에 다시 5만 석을 분봉받았다. 그러나, 이듬해 나가사다도 사망했기 때문에, 단절되었다[7]

: 참고로, 아코 3대 번주 아사노 다쿠미노카미의 정실 아쿠리는 초대 나가하루의 딸이다[7]

대수초상이름혈통위계비고아들
1
아사노 나가하루아사노 나가아키라의 서장자종5위하초대 미요시 번주
아사노 나가히사선대의 조카종5위하미요시 번주 세습자 (미상속)
2아사노 나가테루선대의 조카종5위하2대 미요시 번주
3아사노 나가즈미선대의 조카종5위하3대 미요시 번주
4아사노 나가쓰네선대의 삼남4대 미요시 번주제봉



; 아오야마 아사노가 (히로시마 신덴번)

: 본가 5대 아사노 쓰나나가의 셋째 아들 나가카타가, 1730년 (교호 15년)에 형이자 본가 6대 요시나가로부터 3만 석을 분봉받아 분가했다. 조부 (에도 상주)의 다이묘로 열거되었고[7], 번주가는 에도 저택의 소재지에서 유래하여 아오야마 아사노가(아오야마 내증 분가)라고 불렸다.

: 1862년 (분큐 2년) 6대 나가오키 (훗날의 본가 13대 나가토시)가 본가를 계승했기 때문에, 이듬해 1863년 (분큐 3년)에 나가아쓰가 가독을 잇고, 이듬해 아키국으로 귀향하여 요시다군의 요시다군야마시로터의 산기슭에 "어본관"(요시다 진야)을 짓고 거주했다. 1869년 (메이지 2년)에 신덴번은 본가와 병합했다.[7]

6. 2. 아코 아사노 가문

아사노 씨는 세이와 겐지의 일족으로 미나모토노 요리미쓰의 후예인 도키 씨로부터 분가한 가문이다. 미나모토노 미쓰토키가 오와리국 아사노를 영지로 삼아, 아사노를 칭한 것이 그 시작이다.[11]

나가카쓰까지의 계보는 전설에 가까워 신뢰하기 어렵다.

나가카쓰 이후의 주요 가계는 다음과 같다.

대수이름비고
1나가카쓰나나마가리도노와 혼인, 나가마사의 양부
2나가마사초세이인과 혼인
3유키나가나가아키라의 아버지
4나가아키라나가나오의 아버지
5미쓰아키라나가하루의 아버지
6쓰나아키라나가테루의 아버지
7쓰나나가나가즈미의 아버지
8요시나가나카가와 히사요시의 아들
9무네쓰네나가타카의 아버지
10시게아키라미즈노 타다요시의 아들[17]
11나리카타모리 카이온의 아들
12나리키요모치아키의 아들
13요시치카나가유키의 아버지
14나가노리나가훈의 아버지
15나가훈[18]
16나가유키
17나가타케
18나가아이
19나가타카


참조

[1] 서적 Dictionnaire d'histoire et de géographie du Japon http://www.unterstei[...] 1906
[2] 서적 Dictionnaire d’histoire et de géographie du Japon http://www.unterstei[...] 1906
[3] 문서 1986年(昭和61年)絶家
[4] 문서 1720年(享保5年)絶家
[5] 문서 本家が知行を分与したわけでないため別家に当たる。宇和島伊達や鳥取池田と同じ扱い。
[6] 문서 現在の愛知県北名古屋市。
[7] 서적 国別 藩と城下町の辞典 東京堂出版 2004
[8] 서적 冷光君御伝記 播磨赤穂浅野家譜
[9] 문서 泉岳寺浅野家墓碑
[10] 문서 古代の賀茂郡(加茂郡)が加東郡・加西郡に分割して発足。
[11] 문서 樋口美濃守の娘。
[12] 문서 交代寄合・竹谷松平家竹谷松平家当主松平清昌の末子。
[13] 문서 赤穂藩重臣大石良重の長男。
[14] 문서 赤穂藩重臣・大石良重の次男、浅野長恒の実弟。
[15] 문서 藪忠通の三男
[16] 문서 堀直堯の三男
[17] 문서 水野忠邦の祖父
[18] 문서 広島新田藩家督相続後、宗家相続。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