캄푸스 마르티우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캄푸스 마르티우스는 고대 로마 시대부터 중요한 지역으로, 로마 건국 신화와 관련된 장소이자 군사 훈련, 종교 행사, 선거 등이 이루어지던 곳이다. 공화정 시대에는 신전 건설이 활발히 이루어졌고, 제정 시대에는 아우구스투스 황제의 대규모 건축 사업으로 번영을 누렸다. 중세 시대에는 테베레 강과 바티칸에 인접하여 인구가 증가했고, 근현대에는 이탈리아 왕국의 수도 로마의 일부가 되었다. 아라 파키스와 같은 주요 건축물과 종교 시설, 공공 기념물이 존재하며, 로마의 군사적, 정치적 활동과 밀접한 관련을 맺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캄푸스 마르티우스 - 아우구스투스 마우솔레움
아우구스투스 영묘는 아우구스투스가 건설을 시작한 로마 황제와 가족의 유해를 안치하기 위한 거대한 원형 무덤으로, 한때 웅장한 규모를 자랑하며 율리우스-클라우디우스 왕조의 권력을 상징했으나, 중세 시대 성으로 개조, 방치, 콘서트 홀 사용 등을 거쳐 현재는 재개발로 인해 일시적으로 폐쇄되었다. - 캄푸스 마르티우스 - 평화의 제단
평화의 제단은 아우구스투스 황제가 로마에 가져온 평화를 기념하기 위해 건설한 흰 대리석 제단으로, 정교한 조각을 통해 아우구스투스와 그의 가족의 제물 의식과 로마 시민의 평화와 번영을 묘사하며, 로마 종교 의례의 부활과 제정 이념을 시각적으로 구현한 상징물로 평가받는다. - 고대 로마시의 지형 - 비아 사크라
비아 사크라는 고대 로마의 주요 도로로, 네로 황제 시대에 재건 사업을 통해 경로가 변경되었으며, 포룸 로마눔을 지나 콜로세움까지 연결되었고, 양쪽에 상점과 열주가 건설되었다. - 고대 로마시의 지형 - 아우구스투스의 로마 14구
아우구스투스의 로마 14구는 아우구스투스 황제가 로마 시의 행정 효율성을 위해 재편한 14개의 구역으로, 각 구역은 역사와 문화를 반영하며 고유한 이름과 특징을 가진다.
캄푸스 마르티우스 | |
---|---|
지도 | |
일반 정보 | |
위치 | 고대 로마 |
면적 | 약 2 제곱킬로미터 (490 에이커) |
역사 | |
기원 | 로마 왕정 시대 |
개발 시작 | 기원전 6세기 루키우스 타르퀴니우스 수페르부스 재위 기간 |
용도 변경 | 기원전 3세기, 공공 용지로 변경 |
중요 건축물 건설 시작 | 기원전 221년 |
주요 건축물 | |
신전 | 아폴로 신전 (캄푸스 마르티우스) 벨로나 신전 이시스와 세라피스 신전 마르스 울토르 신전 미네르바 칼키디카 신전 |
극장 | 마르켈루스 극장 폼페이우스 극장 발부스 극장 |
경기장 | 스타디움 오브 도미티아누스 네로의 키르쿠스 |
기타 건축물 | 디리보리움 목욕탕 (아그리파 욕장, 네로 욕장, 알렉산드리아 욕장) 쿠리아 폼페이 플라미니우스 원형 경기장 폼페이우스 정원 밀리아리움 아우레움 판테온 포르티쿠스 필리피 셉타 율리아 스타티우스 정원 트라야누스 원주 빌라 푸블리카 아우구스투스 영묘 하드리아누스 영묘 |
지리 | |
위치 | 테베레 강의 곡선 지역 |
특징 | 한때 로마에서 가장 큰 공공 공간 |
2. 고대
로마 건국 신화에 따르면, 레아 실비아는 로물루스와 레무스라는 쌍둥이 아들을 두었고 알바 롱가의 왕에게 이 자녀들을 빼앗겼다. 이 소년들은 이후에 캄푸스 마르티우스의 서쪽 경계 부분으로 흘렀던 테베레강에 버려졌다. 강 하류를 따라 떠밀려온 형제들은 수십 년 뒤에 새로운 도시를 세우기 위해 돌아왔다. 형제 레무스를 죽이고 로마의 단독 왕이 된 로물루스는 기원전 7세기 어느 시점까지 수 많은 해를 집권했다. 그가 생을 마감하자, 먹구름이 죽은 왕을 하늘로 들어 올리기 위해 로마의 포메리움 바깥 쪽의 노지 한 가운데에 내려왔다.[43]
로마와 테베레강 사이에 놓인 이곳은 로마의 마지막 에트루리아 출신 왕 타르퀴니우스 수페르부스의 영지가 되었다. 그가 패하고 추방된 뒤, 이 평야는 마르스 신에게 헌정되었다.[44] 로마의 남자들은 로마를 주변으로 한 적대적 부족들과 싸우러 가기 앞서 매년 여름 이곳에서 모였고, 또한 전체 시민들은 중요 종교 행사를 위해 모였다. 중심부 인근에 위치한 마르스의 작은 제단을 제외하면, 기원전 5세기까지 가시적인 변화가 없었다.[43]
기원전 435년, 빌라 푸블리카가 300 미터 규모의 공터에 세워졌다. 이곳은 5년마다 인구 조사를 위한 시민들의 소집 장소였으나, 영구적인 시설물은 존재하지 않았고 두 세기가 지나기 전까지 추가된 시설물이 없었다.[45]
기원전 3세기 중엽 포에니 전쟁 발발로, 로마의 군사적 팽창이 이탈리아 밖으로 이뤄져, 캄푸스 마르티우스에 정기적으로 모이는 인원이 줄어드는 결과가 일어났다. 하지만 외부 세력과의 전쟁 수는 로마로 유입되는 부의 규모를 크게 늘렸다. 승리할 경우에 신들을 기리며 신전들을 짓겠다고 맹세한 장군들은 이 신전 건설에 막대한 자금을 사용하였다. 신전 및 목조 시장 외에도, 임시적으로 지어진 것이긴 했으나 오락 시설들도 세워졌다.
술라 시대부터, 건물들 다수가 영향력 있는 로마인들에게 팔리거나 증여되었고, 인술라 (아파트 건물)과 저택들이 공유지에 들어섰다. 캄푸스 마르티우스는 로마의 민병대를 위한 소집 장소인 코미티아 켄투리아타가 되었다. 기원전 55년, 폼페이우스는 영구 극장이자 로마 최초의 석조 극장인 폼페이우스 극장을 지었다. 쿠리아 호스틸리아가 기원전 52년에 불타 무너지자, 폼페이우스 극장이 이따끔 원로원의 회장으로 쓰였다. 또한 선출 행사를 위한 소집 장소로도 쓰였다. 율리우스 카이사르는 사입타 (선출 진행 구역)가 들어설 장소로 캄푸스 마르티우스를 계획했고, 이후 그의 후계자 아우구스투스 (옥타비아누스) 때 완료되었다. 기원전 33년, 옥타비아누스는 달마티아 전쟁의 전리품으로 만든, 포르티쿠스 옥타비아에를 이곳에 세웠다.
이후 캄푸스 마르티우스의 발전은 로마 제정 초기 아우구스투스 시대에 두드러졌으며('제정 시대의 번영' 참조), 그 이후의 건축적 변화와 쇠퇴는 '제정 시대 이후의 변화'에서 다룬다.
2. 1. 기원과 초기 역사
로마 건국 신화에 따르면, 레아 실비아는 로물루스와 레무스 쌍둥이 형제를 알바 롱가의 왕에게 빼앗겼다. 이들은 캄푸스 마르티우스 서쪽 경계를 따라 흐르는 테베레 강에 버려졌다. 강 하류로 떠내려간 형제는 수십 년 후 새로운 도시를 건설하기 위해 돌아왔다. 동생 레무스를 죽이고 로마의 유일한 왕이 된 로물루스는 기원전 7세기경까지 여러 해 동안 통치했다. 그의 생애가 끝날 무렵, 늙은 왕을 사후 세계로 데려가기 위해 도시의 포메리움 외곽 탁 트인 들판 한가운데에 폭풍 구름이 내려왔다.[43]로마와 테베레 강 사이의 이 땅은 로마의 마지막 에트루리아 왕인 타르퀴니우스 수페르부스가 소유했다. 그가 패배하고 추방된 후, 평원은 군신 마르스에게 바쳐졌다.[44] 로마 남자들은 매년 봄 로마를 둘러싼 적대 부족과 싸우기 위해 떠나기 전 이곳에 모였고, 시민들은 주요 종교 축제를 위해 모였다. 들판 중앙 근처에 있는 작은 마르스 제단을 빼면 기원전 5세기까지 들판에 눈에 띄는 변화는 없었다.[43]
기원전 435년, 300미터 빈터에 빌라 푸블리카가 세워졌다. 이곳은 시민들이 5년에 한 번 인구 조사를 위해 모이는 장소였지만 영구 구조물은 없었고, 2세기 동안 추가 건축물은 없었다.[45]
기원전 3세기 중반 포에니 전쟁 발발로 로마의 군사적 확장은 이탈리아반도 밖으로 확대되었고, 그 결과 캄푸스 마르티우스에서 계절별 소집은 줄어들었다. 그러나 대외 전쟁 수가 늘면서 로마로 유입되는 재산의 양이 크게 늘었다. 승리할 경우 신들에게 맹세하고 그들을 기리기 위해 신전을 지을 장군들은 막대한 부를 써서 건축 프로젝트에 자금을 지원했다. 신전과 나무 시장 외에 오락 시설도 건설되었지만 임시적이었다.
술라 시대부터 건축 부지가 영향력 있는 로마인에게 팔리거나 주어졌고, 인술라(아파트)와 빌라가 공유지에 들어섰다. 이후 코미티아 켄투리아타, 무기를 든 시민 회의, 도시 민병대가 모이는 장소가 되었다. 기원전 55년, 폼페이우스는 로마 최초의 석조 극장인 영구 극장 폼페이우스 극장을 건설했다. 기원전 52년 쿠리아 호스틸리아가 불타자, 극장은 때때로 원로원 회의 장소로 쓰였다. 이곳은 선거를 위한 집회 장소로도 쓰였다. 율리우스 카이사르는 사입타 율리아(선거용 울타리)를 그곳에 설치할 계획을 세웠고, 그의 상속자 아우구스투스(옥타비아누스)가 나중에 완성했다. 기원전 33년, 옥타비아누스는 달마티아 전쟁에서 얻은 전리품으로 지은 포르티쿠스 옥타비아에를 헌납했다.
2. 2. 공화정 시대의 발전
로마와 테베레 강 사이에 놓인 이곳은 로마의 마지막 에트루리아 출신 왕 타르퀴니우스 수페르부스의 영지가 되었다. 그가 패하고 추방된 뒤, 이 평야는 마르스 신에게 헌정되었다.[44] 로마의 남자들은 로마를 주변으로 한 적대적 부족들과 싸우러 가기 전 매년 여름 이곳에서 모였고, 또한 전체 시민들은 중요 종교 행사를 위해 모였다. 중심부 인근에 위치한 마르스의 작은 제단을 제외하면, 기원전 5세기까지 가시적인 변화는 없었다.[43]기원전 435년, 빌라 푸블리카가 300미터 규모의 공터에 세워졌다. 이곳은 5년마다 인구 조사를 위한 시민들의 소집 장소였으나, 영구적인 시설물은 존재하지 않았고 두 세기가 지나기 전까지 추가된 시설물이 없었다.[45]
기원전 3세기 중엽 포에니 전쟁 발발로, 로마의 군사적 팽창이 이탈리아 밖으로 이뤄져, 캄푸스 마르티우스에 정기적으로 모이는 인원이 줄어드는 결과가 일어났다. 하지만 외부 세력과의 전쟁 수는 로마로 유입되는 부의 규모를 크게 늘렸다. 승리할 경우에 신들을 기리며 신전들을 짓겠다고 맹세한 장군들은 이 신전 건설에 막대한 자금을 사용하였다. 신전 및 목조 시장 외에도, 임시적으로 지어진 것이긴 했으나 오락 시설들도 세워졌다.
술라 시대를 시작으로, 건물들 다수가 영향력 있는 로마인들에게 팔리거나 증여되었고, 인술라 (아파트 건물)와 저택들이 공유지에 들어섰다. 시간이 흘러 캄푸스 마르티우스는 로마의 민병대를 위한 소집 장소인 코미티아 켄투리아타가 되었다. 기원전 55년, 폼페이우스는 영구 극장이자 로마의 최초 석조 극장인 폼페이우스 극장을 지었다. 쿠리아 호스틸리아가 기원전 52년에 불타 무너지자, 폼페이우스 극장이 이따끔 원로원의 회장으로 쓰였다. 또한 선출 행사를 위한 소집 장소로도 쓰였다. 율리우스 카이사르는 사입타 (선출 진행 구역)가 들어설 장소로 캄푸스 마르티우스를 계획했고, 이후 그의 후계자 아우구스투스 (옥타비아누스) 때 완료되었다. 기원전 33년, 옥타비아누스는 달마티아 전쟁의 전리품에서 획득한 것으로 만든, 포르티쿠스 옥타비아이를 이곳에 세웠다.
2. 3. 제정 시대의 번영
로마 제정 초기 아우구스투스 시대에 캄푸스 마르티우스는 공식적으로 로마 시의 일부가 되었다. 로마는 14개 구역으로 나뉘었고, 캄푸스 마르티우스는 동쪽의 제7구역 비아 라타(VII Via Lata)와 테베레 강 인근의 제9구역 키르쿠스 플라미니우스(IX Circus Flaminius)로 나뉘었다.캄푸스 마르티우스에는 아우구스투스가 이룩한 평화를 기념하기 위해 원로원이 세운 아라 파키스(평화의 제단)가 있었다. 이 제단은 제국을 안정시키기 위한 아우구스투스의 노력이 성공적이었음을 나타내기 위한 것이었다.[4] 마르쿠스 아그리파는 본래 습지였던 이곳에 공원과 신전이 있는 수영장과 욕장인 아그리파 욕장을 건설했다. 또한, 그는 포르티쿠스 아르고나우타룸과 판테온을 지었는데, 판테온은 이후에 하드리아누스가 재건하여 현재까지 남아 있다. 기원전 19년, 아그리파는 이 새로운 욕장 및 분수에 급수를 하기 위해 아쿠아 비르고를 완공했다.
북쪽의 비거주 지역에는 거대한 아우구스투스 마우솔레움이 있었다. 그 외의 건물들에는 마르켈루스 극장, 이시스 신전(칼리굴라 시대 무렵 건설), 네로가 세운 욕장 및 다리, 폼페이우스 극장 등이 있었다. 서기 64년 로마 대화재 이후 도미티아누스는 불타버린 기념물들을 재건하고 경기장(오늘날 나보나 광장)과 오데이온(소규모 공연장)을 추가로 지었다. 서기 119년, 하드리아누스와 그 후계자들인 안토니누스 왕조는 하드리아누스의 신격화된 장모 마티디아의 신전과 안토니누스 피우스가 세운 신격화된 하드리아누스를 위한 신전을 추가했다.[4]
초대 플라비우스 왕조와 안토니누스 왕조 황제들처럼, 세베루스 왕조 황제들은 이미 번잡한 캄푸스 마르티우스에 많은 재원을 건설 계획으로 쓰지 않았다. 이들의 관심은 다른 곳에 있는 것을 정비하고 수도의 그 외 장소에 새로운 시설물을 짓는 데에 있었다.[5] 캄푸스 마르티우스는 아우렐리아누스 재위까지 커다란 건축적 변화가 있지 않았다.
3. 중세
야만족의 침략으로 수도교가 파괴된 후, 급격히 감소한 인구는 주변 언덕을 버리고 캄푸스 마르티우스로 모여들었다. 그들은 물을 공급받기 위해 테베레 강에 의존했지만, 강의 범람에 시달렸다. 강과 바티칸 시국에 인접해 있었기 때문에 이 지역은 중세 시대 로마에서 가장 인구가 많은 지역이 되었다. 강은 번창하는 경제와 물 공급을 지원했고, 끊임없이 이어지는 순례자들의 방문은 이 지역에 부를 가져다주었다.
로마를 유럽의 나머지 지역과 연결하는 주요 도로는 캄푸스 마르티우스 북부의 포르타 델 포폴로를 통해 로마로 들어가는 카시아 가도였다. 카시아 가도는 로마를 비테르보, 시에나, 피렌체와 연결했기 때문에 중세 시대에 가장 중요한 도로가 되었다.
로마로 가는 또 다른 주요 도로인 아우렐리아 가도는 말라리아의 확산으로 중세 시대에는 안전하지 않게 되었다. 왜냐하면 이 도로는 마렘마 저지대의 여러 해안 호수(예: 오르베텔로 석호, 카팔비오 호수, 그리고 다른 톰볼로들) 근처의 건강에 좋지 않은 늪지대를 통과했기 때문이며, 해안을 따라 이어진 경로 때문에 약탈자들의 공격에 더 취약했기 때문이다. 아우렐리아 가도 주변의 해안 마을들은 사라센 해적들에게 여성 납치와 약탈을 당하는 지역이었다.
이 지역의 중요성이 증가함에 따라, 여러 교황들은 이 지역의 조건을 개선하기로 결정했다. 1513년에서 1521년 사이에 교황 레오 10세는 포르타 델 포폴로와 바티칸을 연결하는 도로를 건설했다. 이 도로는 처음에는 교황의 이름을 따서 '비아 레오니나'로 불렸고, 나중에는 강 항구의 이름을 따서 더 유명한 '비아 디 리페타'로 불렸다. 이 지역의 위생을 개선하기 위해 여러 고대 로마 수도교가 복원되어 작동 상태가 되었다.
중세 시대에 로마의 인구가 크게 증가하면서 캄푸스 마르티우스는 많은 외국인들이 정착하는 혼잡하고 다문화적인 장소가 되었다. 1555년 교황 바오로 4세는 캄푸스 마르티우스 남부의 일부를 게토로 지정하여 도시의 유대인 인구를 수용했다.
4. 근현대
르네상스 이후, 로마의 다른 곳들과 마찬가지로 캄푸스 마르티우스에는 큰 변화가 없었다. 대형 건설 프로젝트도 없었고 인구도 줄어들었다. 이러한 상황은 1870년에 로마가 이탈리아 왕국의 수도가 되면서 바뀌었다.
시간이 지나면서 캄푸스 마르티우스는 훨씬 더 붐비게 되었고, 테베레강의 범람을 막기 위한 제방이 설치되었다. 이는 테베레강으로부터 캄푸스 마르티우스를 안전하게 만들어주었으나, 높은 제방은 리페타 (작은 강둑)라 불리던 전통적인 제방 지점, 강으로 향하는 좁은 거리들, 강을 따라 세워진 주택들을 완전히 파괴하고 말았다.
5. 주요 건축물 및 유적
캄푸스 마르티우스에는 다양한 건축물과 유적이 존재했으며, 로마의 역사와 문화를 보여주는 중요한 장소였다.
- 주요 시설:
- 폼페이우스 극장: 폼페이우스가 기원전 55년에 건설한 로마 최초의 석조 극장이다. 쿠리아 호스틸리아 화재 이후 원로원 회의 장소로도 사용되었다.[45]
- 사입타 율리아: 율리우스 카이사르가 계획하고 아우구스투스가 완공한 선거 진행 구역이다.
- 포르티쿠스 옥타비아이: 달마티아 전쟁 전리품으로 옥타비아누스(아우구스투스)가 기원전 33년에 건설했다.
- 아라 파키스 (평화의 제단): 아우구스투스의 평화를 기념하기 위해 원로원이 건설했다.
- 아그리파 욕장: 마르쿠스 아그리파가 건설한 공중목욕탕으로, 수영장과 정원이 있었다.
- 포르티쿠스 아르고나우타룸: 아그리파가 건설.
- 판테온: 아그리파가 건설, 하드리아누스가 재건하여 현재 모습을 갖추었다.
- 아쿠아 비르고: 아그리파가 아그리파 욕장과 분수에 물을 공급하기 위해 기원전 19년에 완공한 수도 시설이다.
- 아우구스투스 마우솔레움: 아우구스투스 황제와 그의 가족, 친지들의 무덤이다.
- 마르켈루스 극장
- 이시스 신전: 칼리굴라 시대에 건설되었다.
- 네로의 욕장 및 다리
- 도미티아누스 경기장: 오늘날 나보나 광장 자리에 있었던 경기장이다.
- 오데이온: 소규모 공연장
- 하드리아누스의 신격화 된 장모 마티디아의 신전
- 안토니누스 피우스가 세운 신격화 된 하드리아누스를 위한 신전[46]
- 아우렐리아누스 방벽: 270년경 게르만족 침입에 대비, 아우렐리아누스 황제가 건설 시작, 프로부스 황제 시기인 276년에 완공. 길이 19km, 높이 8m의 벽돌 성벽.[48]
- 종교 시설:
- 기원전 6세기 중엽과 공화정 초기 (기원전 324년) 사이에 건설된 신전:
신전 이름 | 건설 시기 | 비고 |
---|---|---|
디아나 신전 | 기원전 6세기 | 존재를 입증할 증거 부족 |
카스토르와 폴룩스 신전 | 기원전 495년 | |
아폴로 소시아누스 신전 | 기원전 431년 | |
유노 레기나 신전 | 기원전 392년 |
알렉산드로스 대왕의 죽음 또는 '헬레니즘의 물결'이 시작된 기원전 324년에, 로마 도심 내에 건축물 건설이 엄청나게 증가하였다.[65] 캄푸스 마르티우스에는, 특히 '헬레니즘의 물결' 동안, 신전 일곱 개가 세워졌다.[66]
신전 이름 | 건설 시기 | 비고 |
---|---|---|
벨로나 신전 | 기원전 296년 | |
포르투나 신전 | 기원전 293년 | |
유투르나 신전 | 기원전 241년 | |
헤르쿨레스 신전 | 기원전 221년 | |
불카누스 신전 | 기원전 214년 | |
포르투나 에퀘스트리스 신전 | 기원전 173년 | |
님프 신전 혹은 라레스 페르마리니 신전 | 기원전 190년 ~ 기원전 179년 |
이 '헬레니즘 시기'는 캄푸스 마르티우스에 세워진 신전들을 포함해 로마 신전들이 대체적으로 석조 건축물로 세워지며 로마 신전 건축사에 있어 최초의 중대한 발걸음이었다. 이 새로운 방식은 어떤 면에서는 후대의 건축물에서 심미적 완벽성과 정제성에 비교했을 때 흔히 거칠고 선이 굵어보이는, 단순한 초기 형태에서 한 단계 발전한 것이었다.[68] 이 시기에 단순한 실험에서 엄밀한 수학적 완벽성을 띠는 평면도와 상부 구조로의 변화가 발생하였다.[68] 헬레니즘 시기는 캄푸스 마르티우스 내의 신전들의 수적 측면에서 팽창이 있었을 뿐만 아니라, 양식적인 면에서도 변화가 일어난 시기이도 했다.
헬레니즘 시기와 유사하게, 공화정 말과 초기 제정은 캄푸스 마르티우스 내 몇몇 건설 계획이 있던 시기이기도 하다. 연대상으로 이 시기는 세 번째이자 마지막 포에니 전쟁이 종전 때 시작되어 서기 65년 율리우스-클라우디우스 왕조가 끝나던 때까지 지속되었다. 이 시기 동안 캄푸스 마르티우스에 신전 여섯 개가 만들어졌다.
신전 이름 | 건설 시기 | 비고 |
---|---|---|
유피테르 스타토르 신전 | 기원전 146년 | |
페로니아 신전 | 기원전 100년 이전 | |
넵투누스 신전 | 기원전 97년 | |
이시스와 세라피스 신전 | 기원전 43년 | |
마르스 울토르 신전 | 기원전 2년 | |
미네르바 칼키디카 신전 | 기원전 60년(폼페이우스) 또는 기원전 29년(아우구스투스) | 건설자 불분명 |
왕정 시기에서 헬레니즘 시기로 공법 및 양식적 변화가 있던 때와는 달리 캄푸스 마르티우스의 신전들은 다소 변화가 없었다. 이 두 시기를 분리시킨 주요 이유는 이 신전들에 대한 동기가 변화했기 때문이었다.[65] 과거에 신전들은 동료 후원자들이 자신들의 과거의 성공을 특정 개인에게 돌리는 상징물로서 흔했으나, 헬레니즘 시기가 끝난 이후에는 이전보다 한층 정치적 도구가 되었다.[65] 성공적인 개인들의 예시가 되는 단순히 순수하고 약간의 정치성을 띠는 '기부'가 아닌, 캄푸스 마르티우스의 신전들은 이때부터 대규모 건축 계획이 벌어질 때마다 선전 가치를 촉발할 것으로 기대되었다.[65]
캄푸스 마르티우스 내 여러 공공 기념물들은 종교적 의미를 담고 있었으며, 주로 로마 문화에 흡수된 여러 신들의 신전이었다.
- 마르스 울토르 신전: 전쟁의 신 마르스에게 헌정. 포룸 아우구스툼 내에 있었으며 아우구스투스의 가장 야심적인 건축물. 기원전 30년에 건설 시작, 완공까지 30여 년 소요. 카라라에서 가져온 흰색 루나 대리석을 사용하여 만듬.[78] 원주는 코린토스 양식이 반영. 규모면에서 유피테르 카피톨리누스 신전에 큰 영향 (36m 너비에 높이가 50m).[78] 카이사르의 암살에 대해 복수를 하는 데 있어 아우구스투스의 역할을 확대시키는 집중한 정치적 목적.
- 라르고 디 토레 아르겐티나: 캄푸스 마르티우스 남쪽에 있었던 정사각형 신전들.
- 유투르나 신전
- 포르투나 후이우스케 디에이 신전
- 페로니아 신전
- 라레스 페르마리니 신전
- 이 신전들은 종교 활동이 로마 전역으로 확산되고 있으며, 카피톨리노 언덕 혹은 포룸 로마눔 등 이전의 종교 지역에 초점을 맞추지 않고 있다는 점을 보여준다.[78] 미술사가 Stamper는 라르고 아르겐티나가 승전한 장군들의 개선식이 시작된 곳이라 주장. 기원전 1세기 동안, 이오니아에서 코린토스 양식으로의 변화가 있었으며 아칸더스 잎사귀들이 신전의 원주 꼭대기에 장식.[78]
- 아폴로 소시아누스 신전과 벨로나 신전:
- 아폴로 소시아누스 신전: 아폴로 숭배와 연관.
- 벨로나 신전 (로마): 전쟁의 여신에게 헌정.
- 두 신전은 키르쿠스 플라미니우스에 있으며 기원전 2세기에 세워졌다.[78] 벨로나 신전은 전면부에 코린토스 양식 원주 여섯 개와 나머지 모서리는 9개로 이뤄진 대리석과 트래버틴으로 다시 세워졌다.[79]
캄푸스 마르티우스는 종교적 활동을 위한 장소였다. 10월의 가운데 날, 특히나 15일 째는 더욱이, 이곳은 마르스가 10월의 말을 타기 위한 종교 행사를 위한 장소였다. 이 전통은 기원전 6세기 기간에 시작되었다고 한다.[80] 이 종교 행사의 의례는 다가오는 해의 농작물과 전쟁을 마치고 로마로 돌아온 병사들을 보호하기 위한 것이었다. 이 행사는 여러 단계로 구성되는데, 전차 경주를 비롯해 머리를 잎사귀로 장식한 말의 공양을 지내는 등이 포함된다.[81]
또 다른 중요 종교 행사는 세기제 (라틴어: ludi saeculares)였다. 공화정 시절에 시작된, 세기제는 클라우디우스 황제가 부활시켰는데 발레시우스라는 자가 자신의 아이들의 지병을 치료하기 위해 기도를 했고 지하 세계의 신들을 위한 공양을 드리라는 계시를 받았다고 한다. 클라우디우스는 로마 시내에 몇 차례 벼락이 떨어지고 난 뒤에 신들을 달래기 위해서 뿐만 아니라 황금기의 시작을 강조할 목적으로서 이 행사를 다시 열었다. 이 행사는 새로운 세기의 끝과 다가오는 세기의 시작을 기념하기 위하여 며칠 밤낮 동안에 열린 일종의 통과 의례였다. 한 세기(saeculum )는 100년 혹은 110년까지 인간의 삶에서 가장 긴 시간이었을 것이다. 종교 의식은 키르쿠스 플라미니우스 근처에 있는 아폴로 신전에서 시작되어, 아우구스투스 포룸으로 진행되며, 포룸 보아리움을 거쳐 비쿠스 투스쿠스, 벨라브룸을 따라 지나가, 최종적으로 유노 레기나에서 막을 내린다. 아우구스투스는 제전을 부활시켰을 당시에 유노 레기나 신전에서 아벤티노 언덕에 있는 케레스 신전으로 행사 최종지를 바꾸었다. 가장 많이 사용되었을 것으로 추정되는 아폴로 신전은 아폴로 소시아누스 신전으로, 아벤티노 언덕과 캄푸스 마르티우스 남서부 간의 종교적 연결성을 이루는 역할을 하였다.[82]
마지막 행사는 안나 페렌나이며, 3월 중간 날 동안 캄푸스 마르티우스에서 열렸다. 로마 시민들은 먹고 마시기 위하여 이 날 마르스 평야에 모였을 것이다.[83] 역사가 Johannes Lylud에 의하면, 축제 동안 로마인들은 좋은 한 해가 되기를 바라며 국가와 민간 차원에서 공양을 지내기도 하였다고 한다.[84]
5. 2. 공공 시설 및 기념물
로마 건국 신화에 따르면, 레아 실비아는 쌍둥이 아들 로물루스와 레무스를 알바 롱가의 왕에게 빼앗겼다. 이들은 캄푸스 마르티우스 서쪽 경계를 따라 흐르던 테베레 강에 버려졌으나, 훗날 새로운 도시를 건설하기 위해 돌아왔다. 동생 레무스를 죽이고 로마의 왕이 된 로물루스는 기원전 7세기경까지 통치했다. 그의 사후, 폭풍 구름이 늙은 왕을 하늘로 데려가기 위해 도시의 포메리움 바깥 들판에 내려왔다.[43]로마와 테베레 강 사이의 이 땅은 로마의 마지막 에트루리아 출신 왕 타르퀴니우스 수페르부스의 소유였다. 그가 패배하고 추방된 후, 이 평야는 마르스 신에게 헌정되었다.[44] 로마 남자들은 매년 여름 이곳에 모여 주변 부족들과 싸우러 가기 전 훈련했고, 시민들은 중요한 종교 행사를 위해 모였다. 기원전 5세기까지는 중심부 근처의 마르스 제단을 제외하고는 큰 변화가 없었다.[43]
기원전 435년, 빌라 푸블리카가 300 미터 규모의 공터에 세워졌다. 이곳은 5년마다 인구 조사를 위한 시민들의 소집 장소였으나, 영구적인 시설물은 없었고 두 세기가 지나기 전까지 추가된 시설물이 없었다.[45]
기원전 3세기 중엽 포에니 전쟁 발발로, 로마의 군사적 팽창이 이탈리아 밖으로 이루어져 캄푸스 마르티우스에 정기적으로 모이는 인원이 줄었다. 하지만 외부 세력과의 전쟁 수는 로마로 유입되는 부의 규모를 크게 늘렸다. 승리한 장군들은 신들에게 맹세한 신전 건설에 막대한 자금을 사용하였다. 신전 및 목조 시장 외에도, 임시 오락 시설들도 세워졌다.
술라 시대부터 건물들이 영향력 있는 로마인들에게 팔리거나 증여되었고, 인술라 (아파트 건물)과 저택들이 공유지에 들어섰다. 캄푸스 마르티우스는 코미티아 켄투리아타를 위한 소집 장소가 되었다. 기원전 55년, 폼페이우스는 영구 극장이자 로마 최초 석조 극장인 폼페이우스 극장을 지었다. 쿠리아 호스틸리아가 기원전 52년에 불타 무너지자, 폼페이우스 극장이 원로원의 회장으로 쓰이기도 했다. 또한 선출 행사를 위한 소집 장소로도 쓰였다. 율리우스 카이사르는 사입타 율리아가 들어설 장소로 캄푸스 마르티우스를 계획했고, 이후 그의 후계자 아우구스투스 때 완료되었다. 기원전 33년, 옥타비아누스는 달마티아 전쟁의 전리품으로 포르티쿠스 옥타비아이를 세웠다.
로마 제정 초기 아우구스투스 시대, 이 지역은 공식적으로 로마시의 일부가 되었다. 로마는 14개 지역으로 나뉘었고, 캄푸스 마르티우스는 동쪽은 제7 구역 비아 라타, 테베레강 인근은 제9 구역 키르쿠스 플라미니우스로 나뉘었다. 캄푸스 마르티우스에는 아우구스투스의 평화를 기념하기 위해 원로원이 세운 아라 파키스 (평화의 제단)가 있었다. 마르쿠스 아그리파는 습지대를 공원 및 신전에 달린 수영장과 욕장인 아그리파 욕장을 건설했다. 또한, 포르티쿠스 아르고나우타룸과 판테온을 지었는데, 판테온은 하드리아누스가 재건하여 현재까지 남아 있다. 기원전 19년, 그는 아쿠아 비르고를 완공하여 욕장 및 분수에 물을 공급했다.
북쪽의 비거주 지역에는 아우구스투스 마우솔레움이 있었다. 그 외 건물들에는 마르켈루스 극장, 이시스 신전(칼리굴라 시대 무렵 건설), 네로가 세운 욕장 및 다리, 폼페이우스 극장 등이 있었다. 서기 64년 로마 대화재 이후, 도미티아누스는 불타버린 기념물들을 재건하고 경기장(오늘날 나보나 광장)과 오데이온 (소규모 공연장)을 추가했다. 서기 119년, 하드리아누스와 안토니누스 왕조는 하드리아누스의 신격화 된 장모 마티디아의 신전과 안토니누스 피우스가 세운 신격화 된 하드리아누스를 위한 신전을 추가했다.[46]
초대 플라비우스와 안토니누스 황제들처럼, 세베루스 왕조 황제들은 캄푸스 마르티우스에 건설 계획으로 많은 재원을 쓰지 않았다. 이들의 관심은 다른 곳을 정비하고 수도의 다른 장소에 새로운 시설물을 짓는 데 있었다.[47] 캄푸스 마르티우스는 아우렐리아누스 재위까지 큰 건축적 변화가 없었다.
로마 시민들은 팍스 로마나로 인해 요새 시설이 필요하지 않다는 것에 자긍심을 가졌다. 그러나 서기 270년, 로마군이 야만 부족을 막는 데 힘이 부치자, 아우렐리아누스 황제는 아우렐리아누스 방벽을 쌓을 것을 명령했다. 이 방벽은 서기 276년,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프로부스 시기에 완공되었다. 이 방벽 완공으로 캄푸스 마르티우스는 로마 구역으로 완전히 편입되었다.[48]
4세기 중엽, 콘스탄티우스 2세 황제가 로마를 방문했을 때, 여러 옛 전통 신앙 신전들은 폐쇄되었다. 기독교에 헌정된 건축물들이 옛 신전들을 차지했다. 일부는 재료로 쓰기 위해 줄었고, 일부는 약탈당했으며, 일부는 판테온처럼 다른 용도가 부여되었다. 서기 663년 판테온의 청동 천장 타일이 벗겨져 납으로 대체되었다.[49] 5세기에 로마는 서고트족과 반달족에 의해 약탈당했다. 지진과 홍수가 도시를 덮쳤고, 대리석 표면과 기둥들이 석회 가루로 재사용하기 위해 가마에서 구워졌다.[50]
12세기 또는 13세기에 글을 남긴 마기스테르 그레고리우스는 옛 마르스 평야의 건축물들을 보고 경탄했다.[51] 1581년, 프랑스인 수필가 미셸 드 몽테뉴는 로마를 방문하여 옛 건축물 잔해 위에 새로운 건물이 세워지고 있다고 기록했다.[53]
참조
[1]
서적
Campus Martius: The Field of Mars in the Life of Ancient Rom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5
[2]
서적
Books I and II With An English Translation
1919
[3]
서적
Books III and IV With An English Translation
1919
[4]
서적
A Topographical Dictionary of Ancient Rome
Oxford UP, H. Milford
1929
[5]
서적
Campus Martius: The Field of Mars in the Life of Ancient Rom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5
[6]
서적
A Topographical Dictionary of Ancient Rome
Oxford UP, H. Milford
1929
[7]
서적
Narracio de mirabilibus urbis Romae
Pontifical Institute of Medieval Studies
1987
[8]
서적
Crypta Balbi: Museo nazionale romano
Electa
2000
[9]
서적
Narracio de mirabilibus urbis Romae
Pontifical Institute of Medieval Studies
1987
[10]
서적
Narracio de mirabilibus urbis Romae
Pontifical Institute of Medieval Studies
1987
[11]
서적
Montaigne’s Travel Journal
North Point Press
1983
[12]
서적
Campus Martius: The Field of Mars in the Life of Ancient Rom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5
[13]
서적
A Topographical Dictionary of Ancient Rome
Oxford UP, H. Milford
1929
[14]
서적
Campus Martius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4
[15]
서적
Campus Martius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4
[16]
서적
Campus Marius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4
[17]
서적
Campus Martius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4
[18]
서적
Campus Martius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4
[19]
서적
Campus Martius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4
[20]
서적
Campus Martius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4
[21]
서적
A Companion to Roman Architecture
Wiley-Blackwell
2013
[22]
서적
Topographical Dictionary of Ancient Rome
Oxford University Press
1929
[23]
서적
A Companion to Roman Architecture
Wiley-Blackwell
2013
[24]
서적
Topographical Dictionary of Ancient Rome
Oxford University Press
1929
[25]
서적
A Topographical Dictionary of Ancient Rome
Oxford University Press
1929
[26]
서적
The Architecture of the Roman Temples: The Republic of the Middle Empir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8
[27]
서적
The Remains of Ancient Rome
Getty Research Institution
2001
[28]
서적
Architecture of the Roman Empire
Yale University Press
1982
[29]
서적
Architecture of the Roman Empire
Yale University Press
1982
[30]
웹사이트
Augustus, Domitian and the So-Called Horologium Augusti
The Journal of Roman Studies
2007
[31]
서적
The Ara Pacis of Augustus and Mussolini : An Archeological Mystery
Èditions Fabriart
2003
[32]
서적
The Ara Pacis of Augustus and Mussolini : An Archeological Mystery
Èditions Fabriart
2003
[33]
서적
Imperium and Cosmos, Augustus and the Northern Campus Martius
The university of Wisconsin Press
2006
[34]
간행물
Reading the Civic landscape of Augustan Rome: Aeneid 1.421-429 and the Building Program of Augustus
2015
[35]
서적
Volume 3
1923
[36]
서적
The architecture of Roman temples: the Republic to the Middle Empire
Cambridge University Press
[37]
서적
Campus Martius : the Field of Mars in the life of ancient Rome
Cambridge University Press
[38]
서적
Campus Martius : the Field of Mars in the life of ancient Rome
Cambridge University Press
[39]
논문
October Horse
[40]
간행물
The Secular Games, the Aventine, and the Pomerium in the Campus Martius
[41]
서적
Campus Martius : the Field of Mars in the life of ancient Rome
Cambridge University Press
[42]
웹사이트
De Mensibus 4.49
http://penelope.uchi[...]
2013
[43]
서적
Campus Martius: The Field of Mars in the Life of Ancient Rome
Cambridge University Press
[44]
서적
Books I and II With An English Translation
Harvard University Press; London, William Heinemann, Ltd
[45]
서적
Books III and IV With An English Translation
Harvard University Press; London, William Heinemann, Ltd
[46]
서적
A Topographical Dictionary of Ancient Rome
Oxford UP, H. Milford
[47]
서적
Campus Martius: The Field of Mars in the Life of Ancient Rome
Cambridge University Press
[48]
서적
A Topographical Dictionary of Ancient Rome
Oxford UP, H. Milford
[49]
서적
Narracio de mirabilibus urbis Romae
Pontifical Institute of Medieval Studies
[50]
서적
Crypta Balbi: Museo nazionale romano
Electa
[51]
서적
Narracio de mirabilibus urbis Romae
Pontifical Institute of Medieval Studies
[52]
서적
Narracio de mirabilibus urbis Romae
Pontifical Institute of Medieval Studies
[53]
서적
Montaigne’s Travel Journal
North Point Press
[54]
서적
Campus Martius: The Field of Mars in the Life of Ancient Rome
Cambridge University Press
[55]
서적
A Topographical Dictionary of Ancient Rome
Oxford UP, H. Milford
[56]
서적
Campus Martius
Cambridge University Press
[57]
서적
Campus Martius
Cambridge University Press
[58]
서적
Campus Marius
Cambridge University Press
[59]
서적
Campus Martius
Cambridge University Press
[60]
서적
Campus Martius
Cambridge University Press
[61]
서적
Campus Martius
Cambridge University Press
[62]
서적
Campus Martius
Cambridge University Press
[63]
서적
A Companion to Roman Architecture
Wiley-Blackwell
[64]
서적
Topographical Dictionary of Ancient Rome
Oxford University Press
[65]
서적
A Companion to Roman Architecture
Wiley-Blackwell
[66]
서적
Topographical Dictionary of Ancient Rome
Oxford University Press
[67]
서적
A Topographical Dictionary of Ancient Rome
Oxford University Press
[68]
서적
The Architecture of the Roman Temples: The Republic of the Middle Empire
Cambridge University Press
[69]
서적
The Remains of Ancient Rome
Getty Research Institution
[70]
서적
Architecture of the Roman Empire
Yale University Press
[71]
서적
Architecture of the Roman Empire
Yale University Press
1982
[72]
웹사이트
Augustus, Domitian and the So-Called Horologium Augusti
2007
[73]
서적
The Ara Pacis of Augustus and Mussolini : An Archeological Mystery
éditions Fabriart
2003
[74]
서적
The Ara Pacis of Augustus and Mussolini : An Archeological Mystery
éditions Fabriart
2003
[75]
서적
Imperium and Cosmos, Augustus and the Northern Campus Martius
The university of Wisconsin Press
2006
[76]
간행물
Reading the Civic landscape of Augustan Rome: Aeneid 1.421-429 and the Building Program of Augustus
2015
[77]
서적
Volume 3
1923
[78]
서적 인용
The architecture of Roman temples: the Republic to the Middle Empir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5
[79]
서적 인용
Campus Martius : the Field of Mars in the life of ancient Rom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4
[80]
서적
Campus Martius : the Field of Mars in the life of ancient Rom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4
[81]
간행물
October Horse
1981
[82]
간행물
The Secular Games, the Aventine, and the Pomerium in the Campus Martius
1984
[83]
서적
Campus Martius : the Field of Mars in the life of ancient Rom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4
[84]
웹사이트
De Mensibus 4.49
http://penelope.uchi[...]
201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