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우스터리츠 전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우스터리츠 전투는 1805년 12월 2일 현재 체코의 브르노 인근에서 나폴레옹 1세가 이끄는 프랑스군이 러시아-오스트리아 연합군을 격파한 전투이다. 이 전투는 제3차 대프랑스 동맹의 주요 국면으로, 나폴레옹의 가장 뛰어난 승리 중 하나로 평가받는다. 프랑스군은 지형을 이용한 나폴레옹의 전략과 전술적 기만으로 연합군을 유인하여 대승을 거두었다. 전투 결과 오스트리아는 프레스부르크 조약을 통해 전쟁에서 탈퇴하고, 신성 로마 제국이 해체되는 등 유럽의 정치 지형에 큰 변화를 가져왔다. 이 전투는 군사 전략의 중요한 사례로 연구되며, 소설 《전쟁과 평화》 등 다양한 대중문화 작품에서 다루어지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제3차 대프랑스 동맹의 전투 - 트라팔가르 해전
트라팔가르 해전은 1805년 영국 해군이 프랑스-스페인 연합 함대를 상대로 혁신적인 전술을 사용하여 승리함으로써 영국의 해상 지배권을 확립하고 나폴레옹의 영국 침공을 막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한 해전이다. - 제3차 대프랑스 동맹의 전투 - 울름 전투
울름 전투는 1805년 나폴레옹이 오스트리아군을 상대로 독일 방면에서 거둔 전략적 승리이며, 오스트리아군의 퇴로를 차단하고 울름 요새에 고립시켜 25,000명의 항복을 받아낸 사건이다. - 1805년 오스트리아 제국 - 울름 전투
울름 전투는 1805년 나폴레옹이 오스트리아군을 상대로 독일 방면에서 거둔 전략적 승리이며, 오스트리아군의 퇴로를 차단하고 울름 요새에 고립시켜 25,000명의 항복을 받아낸 사건이다. - 1805년 오스트리아 제국 - 프레스부르크 조약
프레스부르크 조약은 1805년 오스트리아가 나폴레옹 1세에게 패배한 후 체결된 강화 조약으로, 오스트리아는 이탈리아 왕국을 승인하고 영토를 할양했으며 프랑스에 배상금을 지불했다. - 1805년 12월 - 1805년 12월 21일 일식
- 1805년 12월 - 프레스부르크 조약
프레스부르크 조약은 1805년 오스트리아가 나폴레옹 1세에게 패배한 후 체결된 강화 조약으로, 오스트리아는 이탈리아 왕국을 승인하고 영토를 할양했으며 프랑스에 배상금을 지불했다.
아우스터리츠 전투 - [전쟁]에 관한 문서 | |
---|---|
전투 개요 | |
![]() | |
전투명 | 아우스터리츠 전투 |
프랑스어 명칭 | Bataille d'Austerlitz |
독일어 명칭 | Schlacht von Austerlitz |
러시아어 명칭 | Битва под Аустерлицем |
별칭 | 삼제회전 (프랑스어: bataille des Trois Empereurs) 삼제회전 (독일어: Dreikaiserschlacht) 삼제회전 (러시아어: битва трёх императоров) |
관련 전쟁 | 제3차 대프랑스 동맹 |
날짜 | 1805년 12월 2일 |
장소 | 오스트리아 제국 모라바 변경백령 아우스터리츠 |
결과 | 프랑스의 승리 |
영향 | 제3차 대프랑스 동맹 해체 신성 로마 제국 해체 라인 연방 창설 |
교전 세력 | |
교전국 1 | 프랑스 제국 이탈리아 왕국 |
교전국 2 | 러시아 제국 오스트리아 제국 |
지휘관 및 지도자 | |
프랑스 제국 | 나폴레옹 1세 장바티스트 베시에르 장바티스트 베르나도트 루이 니콜라 다부 니콜라 장드듀 술트 장 란 제라르 뒤로크 조아킴 뮈라 루이뱅상조제프 르 블롱 드 생틸레르 니콜라 우디노 클로드 쥐스트 알렉상드르 르그랑 도미니크 방담 |
동맹군 | 알렉산드르 1세 미하일 쿠투조프 표트르 바그라티온 콘스탄틴 파블로비치 프리드리히 빌헬름 폰 북스호벤 미하일 밀로라도비치 드미트리 도흐투로프 루이 알렉상드르 앙드로 드 랑제롱 프란츠 2세 프란츠 폰 바이로터 미하엘 폰 키엔마이어 요한 1세 요제프 |
병력 규모 | |
프랑스 제국 | 65,000–75,000명 |
동맹군 | 73,000–89,000명 |
피해 규모 | |
프랑스 제국 | 총합: 8,852명 전사: 1,288명 부상: 6,991명 포로: 573명 |
동맹군 | 총합: 27,000–36,000명 전사 및 부상: 15,000–16,000명 포로: 12,000–20,000명 |
참전 부대 | |
프랑스 제국 | Imperial Guard I Corps III Corps IV Corps V Corps Grenadier Division Reserve Cavalry Corps Royal Guard |
동맹군 | 러시아 제국 근위대 차르 군대의 전위대 프리드리히 빌헬름 폰 북스회벤 장군의 전위대 제1열 제2열 제3열 제4열 제5 기병 열 |
2. 배경
1789년 프랑스 혁명 이후 유럽은 혼란에 휩싸였다. 프랑스 혁명 정부와 주변 군주국들 사이에 갈등이 심화되면서 프랑스 혁명 전쟁이 발발했다. 나폴레옹 보나파르트는 프랑스 혁명 전쟁에서 두각을 나타내며 권력을 장악했고, 1804년에는 프랑스 황제로 즉위했다. 나폴레옹의 세력 확장을 견제하기 위해 영국, 오스트리아, 러시아 등이 주도하여 대프랑스 동맹을 결성했다.
1804년 12월 영국-스웨덴 협정은 제3차 대프랑스 동맹 결성의 서막이었다. 윌리엄 피트 영국 총리는 1804년부터 1805년에 걸쳐 새로운 대프랑스 동맹을 결성하기 위해 활발한 외교 활동을 펼쳤고, 1805년 4월 러시아와 동맹을 맺었다.[50] 프랑스에 두 번이나 패배하고 복수를 원했던 오스트리아도 1805년 8월 9일 동맹에 합류했다.[51][52]
2. 1. 제1차 대프랑스 동맹 (1792년 ~ 1797년)
1792년에 프랑스 혁명 전쟁이 발발한 이후, 유럽은 혼란 상태에 있었다. 1797년에 프랑스 공화국은 제1차 대프랑스 동맹을 굴복시켰다. 1798년에 제2차 대프랑스 동맹이 결성되었지만, 1801년까지 이 동맹도 패퇴하고, 영국만이 새롭게 성립된 프랑스 총령정부의 유일한 적으로 남았다.2. 2. 제2차 대프랑스 동맹 (1798년 ~ 1802년)
1792년 프랑스 혁명전쟁이 발발한 이후, 유럽은 혼란에 빠져 있었다. 1797년, 프랑스 공화국은 제1차 대프랑스 동맹을 격파했다. 1798년, 제2차 대프랑스 동맹이 결성되었으나, 1801년에 이 동맹 역시 패배하여 영국만이 프랑스의 유일한 적으로 남았다. 1802년, 프랑스와 영국은 아미앵 조약을 체결하여 10년 만에 처음으로 전 유럽에 평화가 찾아왔다.그러나 양측에는 많은 문제가 남아 있었고, 조약 이행은 점점 더 어려워졌다. 영국 정부는 1793년 이후 이루어진 식민지 정복을 되돌려야 한다는 것에 분개했고, 나폴레옹은 영국군이 몰타에서 철수하지 않는 것에 분노했다.[141] 이러한 긴장은 나폴레옹이 아이티 혁명을 진압하기 위해 원정군을 파견하면서 더욱 악화되었다.[142] 결국 1803년 5월, 영국은 프랑스에 전쟁을 선포했다.
2. 3. 제3차 대프랑스 동맹 (1803년 ~ 1806년)
아미앵 조약은 오래가지 못하고, 1803년 5월 영국이 다시 프랑스에 전쟁을 선포하면서 제3차 대프랑스 동맹이 결성되었다.[141][142] 1804년 12월 영국-스웨덴 협정은 제3차 대프랑스 동맹 창설로 이어졌다. 영국의 수상 윌리엄 피트는 프랑스에 대항하는 새로운 동맹을 재건하기 위해 1804년과 1805년에 걸쳐 외교적 활동을 펼쳤다. 영국과 러시아는 서로를 의심했지만, 프랑스의 몇 가지 정책적 실패로 인해 관계가 개선되었고, 1805년 4월 양국은 동맹을 맺었다.[143] 최근 프랑스에게 두 번이나 패배한 오스트리아는 복수를 위해 몇 달 후 동맹에 합류했다.[144]3. 전력
제3차 대프랑스 동맹 결성 이전, 나폴레옹은 영국 해협에서 라인강변으로 군대를 이동시켰다. 1805년 9월 25일, 20만 명의 프랑스군은 비밀스럽고 열정적인 행군 끝에 260km의 행군을 앞두고 라인 강을 건넜다.[154][155] 마크는 바바리아 울름 요새에 오스트리아군 대부분을 집결시켰고, 나폴레옹은 군대를 북쪽으로 이동시켜 오스트리아군의 배후를 찌르는 기동을 펼쳤다. 울름 기동은 성공하여 10월 20일 마크와 23,000명의 오스트리아군이 항복, 오스트리아군 포로는 총 60,000명에 달했다.[155]
쿠투조프 휘하 러시아군은 늦게 도착하여 오스트리아군을 구원하지 못하고 북쪽으로 퇴각, 지원군을 기다리며 남은 오스트리아군과 합류하려 했다. 프랑스군은 러시아군을 추격했지만, 프로이센의 불확실한 움직임, 러시아-오스트리아 연합군 합류, 지나치게 길어진 연락망 등 어려운 상황에 직면했다. 나폴레옹은 울름 승리를 이어가려면 동맹군에게 전투를 강요, 격파해야 했고,[157] 러시아 차르도 전투를 원했다.
3. 1. 프랑스군 (대육군, La Grande Armée)
나폴레옹은 제3차 대프랑스 동맹이 결성되기 전에 이미 영국 침공군을 편성하여 프랑스 북부 불로뉴에 6개의 야영지를 설치했다. 나폴레옹은 이 군대로 영국을 격파할 생각이었으며, 영국 정복을 기념하는 메달을 제작할 정도로 성공을 확신했다.[53] 나폴레옹의 병사들이 영국의 땅을 밟지는 못했지만, 그들은 모든 작전에 대응할 수 있도록 철저하고 중요한 훈련을 받았다. 병사들 사이에서는 종종 권태감이 발생했지만, 나폴레옹은 자주 그들을 방문하여 사기를 높이기 위한 군사 퍼레이드를 개최했다.[54]이 불로뉴의 병사들이 후에 '''대륙군'''(''La Grande Armée'')이라 불리는 군대의 중핵이 되었다. 처음에 이 프랑스군은 7개 군단으로 구성된 약 20만 명으로, 각 군단은 36~40문의 대포를 보유하고 다른 군단이 지원에 오기 전까지 단독으로 싸울 능력을 갖추고 있었다.[55] 1개 군단은 (만약 적절한 방어 거점에 배치되었다면) 지원 없이 하루 종일 싸울 수 있었고, 이는 모든 전역에서 대륙군에게 헤아릴 수 없는 전술적 선택지를 제공했다. 이들 군대 외에도 나폴레옹은 2개 퀴라시에 사단, 4개 기마 용기병 사단, 1개 낙마 용기병 사단, 1개 경기병 사단으로 구성된 2만 2천 명의 예비 기병 부대를 창설했으며, 각각 24문의 포를 장비하고 있었다. 1805년 시점에서 대륙군은 35만 명으로 확장되었고,[56] 장비 상황은 양호했으며, 잘 훈련되었고, 뛰어난 지휘관에게 이끌리고 있었다.
3. 2. 러시아군
1805년 러시아군은 구체제(앙시앵 레짐)의 특징을 많이 가지고 있었다. 연대 이상의 상설 부대가 없었고, 고위 장교들은 대부분 귀족 출신이었으며, 능력보다는 매관매직으로 임명되는 경우가 많았다.[149] 병사들은 18세기의 관습에 따라 전열을 구성하였으며, "주입식 훈련"을 받고 가혹한 처벌을 받는 경우가 많았다.[149] 또한, 많은 하위 장교들은 제대로 훈련받지 못해 전투에서 복잡한 기동을 할 때 어려움을 겪었다.[149]하지만 러시아군은 우수한 포병대를 보유하고 있었고, 포병들은 자신들의 대포를 지키기 위해 용감하게 싸웠다.[149]
러시아 제국군의 보급 시스템은 현지 조달과 오스트리아에 의존했다. 러시아군 보급의 70%는 오스트리아가 제공했지만, 강력하고 잘 조직된 보급망이나 광범위한 보급선이 없었기 때문에 러시아군은 좋은 건강 상태로 전투 준비를 하기 어려웠다.
3. 3. 오스트리아군
카를 대공(오스트리아 황제의 동생)은 1801년에 군제 개혁에 착수하여, 궁정전쟁회의(''Hofkriegsrat'': 오스트리아 군의 의사결정을 담당하는 정치군사회의)로부터 실권을 빼앗았다.[60] 카를 대공은 오스트리아 군에서 최고의 지휘관이었지만,[61] 궁정 내에서는 인기가 없었고, 그의 의견에 반하여 대프랑스 전쟁이 결정되었을 때는 영향력을 잃고 있었다. 대신 카를 막 중장이 새로운 총사령관이 되었다. 전쟁 직전에 그는 연대의 편제를 종전의 6개 중대로 구성된 대대 3개에서, 4개 중대로 구성된 대대 4개로 개편하였다. 이 갑작스러운 개편에 대응하는 장교 훈련은 전혀 이루어지지 않았고, 그 결과 신편제 부대는 이전과 마찬가지로 지휘 통솔을 할 수 없게 되었다.[62][63] 오스트리아 기병은 유럽 최고로 여겨졌지만, 기병 부대는 다수의 보병 부대에 분견되어, 집중 운용된 프랑스 기병에 비해 그 효율성을 떨어뜨리고 있었다.[152]4. 전개
나폴레옹은 전투 전날, 동맹군에게 자신의 군대가 약하며 평화를 원한다는 인상을 주려고 했다.[161] 실제로 나폴레옹은 적이 공격해오기를 바랐고, 일부러 프랑스군 우익을 약하게 만들어 적을 유인했다.[162] 11월 28일, 나폴레옹은 제국 사령부에서 원수들을 만났지만, 다가올 전투에 대한 걱정과 후퇴 의견을 일축했다.[163]
나폴레옹은 동맹군이 프랑스군의 우익을 포위하기 위해 많은 병력을 투입하면, 자연스럽게 동맹군의 본진이 약해질 것이라고 예상했다. 그는 약해진 동맹군 중앙을 술트가 지휘하는 4군단 16,000명의 병력으로 공격할 계획이었다.
한편, 약한 우익을 지원하기 위해 다부가 지휘하는 3군단에게 빈에서부터 진군하여 동맹군의 강력한 공격을 받는 남쪽 측면을 지키는 르그랑의 병사들과 합류하도록 했다. 다부의 군대는 48시간 동안 110km를 행군해야 했다. 란 휘하의 5군단이 전장의 북쪽을 지키는 동안, 제국 근위대와 베르나도트의 1군단은 예비대로 남았다.
4. 1. 사전 준비
1805년, 프랑스의 황제로 즉위한 나폴레옹은 오스트리아와 러시아의 위협에 대처하기 위해 영국 해협에서 라인강변으로 군대를 이동시켰다.[154][155] 9월 25일, 비밀스럽고 신속한 행군으로 20만 명의 프랑스군은 260km의 거리를 행군하여 라인 강을 건넜다.[154][155] 마크 장군은 바바리아 울름 요새에 오스트리아군 대부분을 집결시켰다. 나폴레옹은 울름 기동을 통해 오스트리아군의 배후를 찔렀고, 10월 20일 마크 장군과 23,000명의 오스트리아군은 항복했다. 이로써 오스트리아군 포로는 총 60,000명에 달했다.[155]
이 승리에도 불구하고, 트라팔가르 해전에서 프랑스-스페인 연합함대가 패배하면서 상황은 복잡해졌다.[156] 그러나 프랑스군은 11월 빈을 함락시키고, 머스킷 10만 정, 대포 500문, 그리고 다뉴브강의 온전한 다리를 확보했다.[156]
쿠투조프 휘하의 러시아군은 늦게 도착하여 오스트리아군을 구원하지 못했고, 북쪽으로 퇴각하여 지원군과 남은 오스트리아군과 합류하려 했다. 프랑스군은 러시아군을 추격했지만, 프로이센의 움직임은 불확실했고, 러시아와 오스트리아군은 합류했으며, 프랑스군의 연락망은 지나치게 길어지는 등 불리한 상황에 놓였다.[157] 나폴레옹은 울름에서의 승리를 이어가기 위해 동맹군에게 전투를 강요하여 격파해야 했다.[157]
나폴레옹은 75,000명의 병사와 157문의 대포를 준비했으나, 다부 휘하의 약 7,000명은 여전히 남쪽에 있었다.[158] 반면, 동맹군은 약 73,000명(70%는 러시아군)과 318문의 대포를 보유했다.[158]

전장 북부는 약 210m 높이의 산톤 언덕과 260m 높이의 주란 언덕이 있었고, 그 사이로 올무츠/브르노 간 중요 도로가 있었다. 서쪽에는 벨로비츠 마을이, 그 사이에는 보세니츠 강이 남쪽으로 흘러 골드바흐 강과 합류하여 코벨니츠, 소콜니츠, 텔니츠 마을을 따라 흘렀다. 이 지역 중심에는 프란젠 고지대가 있었는데, 완만한 능선으로 평균 높이는 11m~12m였다. 나폴레옹의 부관은 나폴레옹이 "여러분, 이 지형을 조심스럽게 살펴보시오. 이 땅이 전장이 될 것이고, 그대들은 이곳을 무대로 전투를 벌일 것이오."라고 말했다고 기록했다.[159]

11월 1일, 동맹군 군사위원회는 회의를 열어 전투 계획을 논의했다. 많은 전략가들은 적과 교전하고 빈으로 향하는 남쪽 측면을 확보하는 것을 중요하게 생각했다. 차르와 측근들은 즉각적인 전투를 원했지만, 오스트리아 황제 프란츠는 신중했고, 쿠투조프도 이에 동의했다.[160] 그러나 러시아 귀족들과 오스트리아 장군들의 압력으로 동맹군은 프란츠 폰 베이로데의 작전을 채택했다.[160] 이 작전은 프랑스군 우익에 맹공을 가하고, 좌익에는 견제 공격을 하는 것이었다. 바그라티온 휘하의 러시아 부대가 동맹군 우익을 지키는 동안, 러시아 제국 근위대는 예비대로 남았다.
나폴레옹은 연합군을 유인하기 위해 며칠 전부터 자신의 군대가 약하고 평화를 원한다는 인상을 주었다. 술트, 란, 뮈라의 부대를 포함한 약 5만 3천 명의 프랑스군이 아우스터리츠와 올무츠 도로를 점령하여 적의 주의를 끌었다. 약 8만 9천 명의 연합군은 수적으로 열세인 프랑스군을 공격하려 했다. 그러나 연합군은 베르나도트, 모르티에, 다부가 지원 거리 내에 있었고 강제 행군으로 소환될 수 있다는 것을 몰랐다. 이로 인해 프랑스군의 수는 7만 5천 명으로 증가할 것이다.
11월 25일, 사바리 장군이 올뮤츠의 연합군 본부로 파견되어 나폴레옹의 메시지를 전달하고 전투를 피하고자 하는 의지를 표명하면서 연합군의 상황을 조사했다. 예상대로 이 제안은 약점의 신호로 여겨졌다. 11월 28일, 프랑스 황제는 알렉산드르 1세와의 개인 면담을 요청했고, 피오트르 돌고루코프 왕자가 방문했다. 이 만남에서 나폴레옹은 의도적으로 불안감과 주저함을 표현했고, 돌고루코프는 이를 프랑스의 약점으로 보고했다.
이러한 계략은 성공적이었다. 황제의 보좌관과 오스트리아 참모총장 프란츠 폰 바이로터를 포함한 많은 연합군 장교들이 즉각적인 공격을 지지했고, 알렉산드르 황제에게 영향을 미쳤다. 카르파티아 산맥 지역으로 후퇴하려는 쿠투조프의 계획은 거부되었고, 연합군은 나폴레옹의 함정에 빠졌다.
나폴레옹은 연합군이 공격해 오기를 바랐고, 이를 위해 고의적으로 우익을 약화시켰다.[11] 11월 28일, 나폴레옹은 황제 본부에서 원수들과 만나 다가오는 전투에 대한 우려를 들었지만, 후퇴 제안을 일축했다.[91]
나폴레옹의 계획은 연합군이 프랑스의 비엔나와의 연락선을 끊기 위해 많은 병력을 그의 우익을 포위하는 데 투입할 것이라는 예상에 기반했다.[14] 그 결과 연합군의 중앙과 좌익은 노출되어 취약해질 것이었다.[12] 이를 유도하기 위해 나폴레옹은 프라첸 고지의 전략적 요충지를 포기하고, 자신의 병력의 약점과 신중함을 가장했다.[91] 한편, 나폴레옹의 주력 부대는 고지 맞은편 사각지대에 숨겨져 있었다.[93] 계획에 따르면, 프랑스군은 공격하여 프라첸 고지를 탈환한 다음, 고지에서 연합군 중앙을 향해 결정적인 공격을 가하여, 연합군을 무력화시키고 후방에서 포위할 것이었다.[14][12]
연합군 중앙을 향한 대규모 돌격은 술트의 4군단 16,000명의 병력에 의해 수행되었다. 4군단의 위치는 전투 초기에 짙은 안개에 가려져 있었다. 안개가 얼마나 오래 지속되었는지는 나폴레옹의 계획에 매우 중요했다. 안개가 너무 일찍 걷히면 술트의 병력이 노출될 것이고, 너무 오래 지속되면 나폴레옹은 연합군이 프라첸 고지를 언제 비웠는지 알 수 없어 공격 시기를 제대로 맞출 수 없었을 것이다.[13]
한편, 나폴레옹은 약한 우익을 지원하기 위해 다부의 제3군단에게 빈에서 강행군하여 극남부 측면을 사수하고 연합군의 공격을 가장 크게 받을 르그랑 장군의 부대에 합류하라고 명령했다. 다부의 병사들은 110km를 48시간 안에 행군해야 했다. 그들의 도착은 프랑스 계획의 성공 여부를 결정하는 데 중요했다. 나폴레옹은 다부(제3군단 사령관)가 자신의 최고 원수 중 한 명이었고, 우익의 위치가 복잡한 하천과 호수 시스템에 의해 보호되었으며,[14] 프랑스가 이미 브룬을 통한 제2의 후퇴선을 확보했기 때문에 그러한 위험한 계획을 사용할 수 있었다.[96][97] 황실 근위대와 베르나도트의 1군단은 예비대로 남아 있었고, 라나의 5군단은 새로운 통신선이 위치한 전장의 북쪽 지역을 경비했다.[14]
1805년 12월 1일까지 프랑스군은 나폴레옹이 예상했던 대로 남쪽으로 이동하는 연합군의 움직임에 따라 배치되었다.[12] 회전 전야, 나폴레옹이 소수의 호위병과 함께 전선을 시찰하러 나가자 병사들이 황제임을 알아차리고, 곧 병사들은 "황제 만세!"를 외치며 횃불에 불을 밝혀 즉위 1주년을 축하했다.[98] 연합군의 사령관과 병사들은 이 광경을 보고 후퇴 준비라고 생각했다.[99]
4. 2. 나폴레옹의 책략
나폴레옹은 연합군을 유인하기 위해 심리적인 함정을 설치했다. 자신의 군대가 약하고 협상을 통한 평화를 원한다는 인상을 주면서, 적의 공격을 유도했다.[161] 고의적으로 프랑스군의 우익을 약하게 보이게 하여, 연합군이 그쪽을 집중 공격하도록 만들었다.[162]11월 28일, 나폴레옹은 제국 사령부에서 원수들을 만났다. 원수들은 다가올 전투에 대한 우려를 표명하며 심지어 후퇴를 건의했지만, 나폴레옹은 이를 일축했다.[163] 나폴레옹은 연합군이 프랑스군 우익을 포위하려 할 것이고, 그렇게 되면 연합군 본진이 약화될 것이라고 예상했다. 약화된 연합군 중앙을 술트가 지휘하는 4군단 16,000명의 병력으로 공격할 계획이었다.
약한 우익을 지원하기 위해 나폴레옹은 다부에게 빈에서 진군하여 연합군의 공격을 받는 남쪽 측면을 지키는 르그랑의 병사들과 합류하게 하였다. 다부의 군대는 48시간 동안 110 km를 진군해야 했다. 란 휘하의 5군단이 전장의 북쪽을 지키는 동안, 제국 근위대와 베르나도트의 1군단은 예비대로 남았다.
나폴레옹은 연합군이 프랑스군 우익에 병력을 집중시켜 프랑스군과 빈 사이의 연락선을 차단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그 결과, 연합군 중앙부의 측면이 노출되어 약화될 것이었다.[92] 나폴레옹은 연합군이 그렇게 하도록 중요 지형인 프라첸 고지의 포기를 감행하여, 자군의 약화를 가장하고, 자신의 초조한 모습까지 적에게 보였다. 한편 나폴레옹은 주력 부대를 고지에서 사각지대에 숨겨놓았다.[93] 작전 계획은 프랑스군이 프라첸 고지를 탈환하고, 이 고지에서 연합군 주력에 대한 결정적인 공격을 가하여 혼란을 야기하고, 후방에서 포위하는 것이었다.
연합군 중앙부에 대한 주공세는 술트 원수가 이끄는 제4군단 16,000명에 의해 이루어졌다. 제4군단의 위치는 짙은 안개에 덮여 있었고, 이 안개가 얼마나 오래 지속될지는 나폴레옹의 작전에 매우 중요했다. 안개가 빨리 걷히면 술트의 부대가 노출될 것이었다. 그러나 안개가 너무 오래 지속되면, 연합군이 프라첸 고지를 떠났는지 여부를 알 수 없어 공격의 타이밍을 적절하게 판단할 수 없게 된다.[94]
한편, 약한 우익(남쪽)을 보강하기 위해, 나폴레옹은 빈에 있는 다부 원수의 제3군단에 강행군을 명령하여, 연합군 주력의 맹공을 견뎌내야 하는 프랑스군 남쪽 방면을 방어하는 르그랑 사단장의 부대와 합류하도록 했다. 다부의 부대는 110km를 48시간 동안 행군해야 했다. 그들의 도착에는 작전의 성공 여부가 달려 있었다.
나폴레옹의 병력 배치에서 우익은 매우 위험할 정도로 적은 병력만이 방어에 배치되어 있었다. 그러나 나폴레옹이 이렇게 위험한 전략을 택한 이유는 두 가지가 있었다. 하나는 제3군단 사령관 다부가 부하들 중 최고의 원수였기 때문이고,[95] 다른 하나는 우익이 강과 호수가 뒤섞인 복잡한 지형이었기 때문이다. 프랑스군은 이미 브륀 방면으로의 두 번째 후퇴로를 신설해 놓았다.[96][97] 황제 근위대와 베르나도트 원수의 제1군단은 예비 병력으로, 랑느 원수의 제5군단은 새로 신설된 연락선을 지키는 전장 북쪽 방면의 방어에 배치되었다.
1805년 12월 1일, 연합군이 나폴레옹의 예상대로 남쪽으로 이동하기 시작하자, 프랑스군은 배치 위치에 병력을 배치했다.
회전 전야, 나폴레옹이 소수의 호위병과 함께 전선을 시찰하러 나가자 병사들이 황제임을 알아차리고, 곧 병사들은 "황제 만세!"를 외치며 횃불에 불을 밝혀 즉위 1주년을 축하했다.[98] 연합군의 사령관과 병사들은 이 광경을 보고 후퇴 준비라고 생각했다.[99]
4. 3. 연합군의 작전
1805년 12월 1일, 연합군은 나폴레옹의 예상대로 남쪽으로 이동하기 시작했고, 프랑스군은 배치 위치에 병력을 배치했다.[41]나폴레옹은 연합군이 프랑스군 우익을 공격하여 빈과의 연락선을 차단하려 할 것이라고 예상했다.[92] 이를 위해 연합군이 프라첸 고지를 포기하고 병력을 이동시킬 것을 예측하고, 자신의 병력을 약하게 보이도록 위장했다.[93] 주력 부대는 고지에서 떨어진 사각지대에 숨겨두었다.[93] 프랑스군의 작전 계획은 프라첸 고지를 탈환한 후, 이곳에서 연합군 주력에 결정적인 공격을 가해 혼란에 빠뜨리고 후방에서 포위하는 것이었다.[111]
연합군 중앙부에 대한 주공세는 술트 원수가 이끄는 제4군단 16,000명이 담당했다. 제4군단의 위치는 짙은 안개로 가려져 있었는데, 이 안개가 얼마나 오래 지속될지가 작전의 성공에 매우 중요했다. 안개가 너무 빨리 걷히면 술트의 부대가 노출될 위험이 있었고, 너무 오래 지속되면 연합군이 프라첸 고지를 떠났는지 확인할 수 없어 공격 시점을 놓칠 수 있었다.[94]
한편, 약한 우익(남쪽)을 보강하기 위해 나폴레옹은 빈에 주둔하던 다부 원수의 제3군단에게 강행군을 명령하여, 연합군의 주력 부대와 맞서 싸워야 하는 르그랑 사단의 병력과 합류하도록 했다. 다부의 군대는 48시간 동안 110km를 행군해야 했다. 이들의 도착은 작전의 성공 여부를 결정짓는 중요한 요소였다.
나폴레옹의 병력 배치에서 우익은 매우 위험할 정도로 적은 병력만이 방어에 투입되었다. 그러나 나폴레옹이 이러한 위험한 전략을 택한 이유는 두 가지였다. 첫째는 제3군단 사령관 다부가 휘하 원수들 중 최고의 능력을 갖추고 있었기 때문이고,[95] 둘째는 우익이 강과 호수가 섞인 복잡한 지형이었기 때문이다.[96][97] 또한, 프랑스군은 이미 브륀 방면으로의 두 번째 퇴각로를 마련해 놓았다.[96][97] 황제 근위대와 베르나도트 원수의 제1군단은 예비 병력으로 남았고, 란 원수의 제5군단은 새롭게 만들어진 연락선을 지키는 전장 북쪽 방면의 방어를 담당했다.[40]
전투 전날 밤, 나폴레옹이 소수의 호위병과 함께 전선을 시찰했을 때, 병사들은 황제를 알아보고 "황제 만세!"를 외치며 횃불을 밝혀 즉위 1주년을 축하했다.[98] 연합군의 지휘관과 병사들은 이 광경을 보고 프랑스군이 후퇴를 준비하는 것이라고 오판했다.[99]
프랑스군 | 러시아-오스트리아 연합군 |
---|---|
style="vertical-align:top" | | |
style="vertical-align:top" | | |
참고문헌 |
4. 4. 전투

샤를 벨네와 자크 프랑수아 제바 그림.
1805년 12월 2일 오전 8시, 연합군 제1열이 텔니츠 마을을 공격하면서 전투가 시작되었다. 이 마을은 프랑스군 제3전열 보병 연대가 방어하고 있었다. 이곳에서 격렬한 전투가 벌어졌고, 연합군의 여러 차례 공격에 프랑스군은 마을에서 쫓겨나 골트바흐 강으로 후퇴해야 했다. 이때 다부 원수의 첫 부대가 전장에 도착하여 텔니츠 마을을 탈환했지만, 연합군 척기병의 공격을 받고 다시 마을을 포기했다. 텔니츠 마을 외곽에서 벌어진 연합군의 추가 공격은 프랑스군 포병에 의해 저지되었다.[101]
연합군은 프랑스군 우익으로 쇄도하기 시작했지만, 예상보다 늦어졌고, 프랑스군은 대부분 방어에 성공했다. 연합군의 배치는 실수를 범했고, 공격 시점도 맞지 않았다. 예를 들어, 연합군 좌익에 있던 리히텐슈타인 공의 기병 열이 우익으로 배치되면서, 프랑스군 우익을 공격하려던 제2열 보병 부대와 섞여 진군이 지연되었다. 지휘관들은 이를 재앙으로 여겼지만, 결과적으로 연합군에게 유리하게 작용했다.
한편, 제2열 선봉은 프랑스군 제26전열 보병 연대와 저격병 부대(''Tirailleur'')가 방어하는 소콜니츠 마을을 공격했다. 첫 공격은 실패했지만, 랑주롱 중장이 마을에 포격을 명령했다. 맹렬한 포격에 프랑스군은 마을에서 철수했고, 연합군 제3열은 소콜니츠 성을 공격했다. 프랑스군은 반격하여 마을을 탈환했지만, 다시 후퇴해야 했다. 이 지역 전투는 제3군단의 프리아 사단이 마을을 탈환하면서 일시적으로 진정되었다. 텔니츠 마을과 소콜니츠 마을은 이 전투에서 가장 치열한 격전지였으며, 이날 여러 차례 주인이 바뀌었다.[102][99]
연합군이 프랑스군 우익을 공격하는 동안, 쿠투조프의 제4열은 프라첸 고지에 머물며 움직이지 않았다. 나폴레옹처럼 쿠투조프도 프라첸 고지의 중요성을 알고 사수하려 했다.[103] 그러나 젊은 러시아 황제는 쿠투조프에게 고지에서 이동할 것을 명령했고, 이는 연합군을 파멸로 이끌었다.
오전 8시 45분경, 적군 중앙이 약화되었음을 확인한 나폴레옹은 술트 원수에게 부대가 고지에 도달하는 데 걸리는 시간을 물었고, 술트는 “20분 이내입니다. 폐하”라고 답했다. 15분 후, 나폴레옹은 공격 명령을 내리며 “단 한 번의 타격으로 이 전쟁은 끝날 것이다”라고 덧붙였다.[104]
중앙 공격은 술트 원수의 제4군단 소속 생틸레르 사단장과 뱅담 사단장이 지휘하는 2개 사단이 담당했다. 짙은 안개가 생틸레르 사단의 전진을 가렸지만, 비탈길을 오르자 안개가 걷히고 태양이 떠오르며 병사들을 고무시켰다. 이 사건은 “'''아우스터리츠의 태양'''”(soleil d'Austerlitz)으로 알려져 있다.[105] 언덕 위 러시아 병사와 지휘관들은 수많은 프랑스군이 진격하는 모습에 경악했다.[106]
프랑스군 우익으로 병력 이동이 지연된 덕분에 연합군 지휘관은 제4종대 일부를 고지 쟁탈전에 투입할 수 있었다. 그러나 1시간이 넘는 전투 후, 이 부대의 대부분이 궤멸되었다.[99] 제2종대 병사들(대부분 경험이 부족한 오스트리아 병사)도 투입되어 병력이 불어나 프랑스군에게 후퇴를 강요했다. 그러나 필사적인 생틸레르의 병사들은 다시 맹공격을 가해 총검 돌격으로 연합군을 언덕에서 몰아냈다.
북쪽에서는 뱅담 사단이 슈타알레 비노프라디(“오래된 포도밭”)에서 공격하여 뛰어난 소부대 전술과 맹렬한 일제 사격으로 여러 연합군 대대를 격파했다.[107]
쿠투조프는 좌익군 사령관 부크스호덴에게 주력 부대를 중앙으로 이동시킬 것을 요청했지만, 부크스호덴은 사태의 중요성을 이해하지 못하고 거절했다.[108]
전투는 프랑스군 우세로 기울었지만, 아직 끝나지 않았다. 나폴레옹은 베르나도트 원수의 제1군단에게 뱅담 사단 좌익을 지원하도록 명령하고, 본영을 즐란 고지에서 플라첸 고지의 성 안토니우스 예배당으로 옮겼다.
위기 상황에 러시아 황제는 러시아 근위대 투입을 결정했다. 황제 동생 콘스탄틴 대공이 근위 기병을 이끌고 뱅담 사단에 반격하여 프랑스군 군기(제4전열 보병 연대 소속 대대 군기)를 빼앗았다.[109]
나폴레옹은 자신의 군대가 고전하자 친위 중기병대에게 전진을 명령했다. 프랑스군 친위 중기병대가 러시아군 근위 기병대에 돌진했지만, 양측 모두 많은 기병을 투입하여 결판이 나지 않았다. 러시아군이 수적으로 우세했지만, 드루에 사단(제1군단 소속)이 참전하면서 상황이 바뀌었다. 드루에 사단이 측면에 전개하여 기병대를 후퇴시켰다. 근위대의 기마 포병이 러시아군 기병과 퓨질리에에게 큰 피해를 입혔다. 나폴레옹은 근위 투척병과 맘루크 병을 투입하여 결정타를 날렸다. 프랑스 기병이 다시 400m 추격하여 러시아 근위병을 격파하고 많은 사상자를 냈다.[110] 여기에는 중상을 입은 쿠투조프와 전사한 그의 사위 티젠하우젠 백작도 포함되었다.[111]
5. 결과
아우스터리츠 전투와 그 이전의 군사 작전들은 유럽의 정치 지형을 크게 바꾸어 놓았다. 전투 발발 3개월 만에 프랑스군은 빈을 점령하고, 오스트리아군과 러시아군을 격파했으며, 오스트리아 제국을 굴복시켰다. 이러한 사건들은 18세기 열강들의 경직된 세력 균형 체제와는 극명한 대조를 이루었다. 아우스터리츠 전투는 이후 10여 년간 유럽 대륙에서 프랑스가 지배적인 위치를 차지하는 기반을 마련했지만, 1806년 프로이센이 전쟁에 참전하는 직접적인 계기가 되기도 했다.
5. 1. 군사적, 정치적 영향
아우스터리츠 전투와 그 이전의 군사 작전들은 유럽의 정치 지형을 크게 바꾸어 놓았다. 전투 발발 3개월 만에 프랑스군은 빈을 점령하고, 오스트리아군과 러시아군을 격파했으며, 오스트리아 제국을 굴복시켰다. 이러한 사건들은 18세기 열강들의 경직된 세력 균형 체제와는 극명한 대조를 이루었다. 아우스터리츠 전투는 이후 10여 년간 유럽 대륙에서 프랑스가 지배적인 위치를 차지하는 기반을 마련했지만, 1806년 프로이센이 전쟁에 참전하는 직접적인 계기가 되기도 했다.
전체적으로 연합군은 73,000명의 병력 중 약 27,000명의 피해를 입었는데, 이는 투입 병력의 37%에 해당한다. 프랑스군은 67,000명의 병력 중 9,000명의 사상자를 냈으며, 이는 투입 병력의 약 13% 수준이다. 연합군은 180문의 대포와 50개의 군기를 잃었다. 이 위대한 승리는 전투 전날 경제 파탄 직전까지 몰렸던 파리에서 엄청난 기쁨과 열광을 불러일으켰다. 나폴레옹은 황후 조세핀에게 다음과 같은 편지를 썼다. "나는 두 황제가 지휘하던 오스트리아-러시아 연합군을 격파했소. 나는 조금 피곤하오... 지금 당장 당신을 껴안고 싶소."[172] 차르 알렉산드르 1세는 당시 연합군의 상황을 "우리는 거인의 손안에 있는 난쟁이들이다."[173]라는 말로 가장 잘 요약했다.
11월 4일 프랑스와 오스트리아는 평화 조약을 체결했고, 22일 후 프레스부르크 조약이 체결되면서 오스트리아는 전쟁에서 이탈했다. 오스트리아는 캄포 포르미오 조약과 뤼네빌 조약으로 프랑스에 할양했던 영토를 재확인하고, 바바리아, 뷔르템베르크, 바덴 지역을 나폴레옹의 독일 동맹국에 양도해야 했으며, 4,000만 프랑의 전쟁 배상금을 지불해야 했다. 또한 베네치아는 나폴레옹의 괴뢰 국가인 이탈리아 왕국에 넘어갔다. 이는 오스트리아에게는 가혹한 결과였지만, 영구적인 평화를 보장하지는 못했다. 러시아군은 본국으로 돌아갈 수 있었고, 프랑스군은 남부 독일에 주둔했다. 신성 로마 제국은 1806년을 마지막으로 확실하게 사라졌다. 나폴레옹은 프랑스와 프로이센 사이의 완충 지대 역할을 할 독일 국가들의 연합인 라인 동맹을 창설했다. 프로이센은 라인 동맹의 창설과 프랑스의 이러한 움직임을 보고 유럽의 강대국으로서 자신들의 지위에 대한 모욕으로 간주하여, 1806년 프랑스와의 전쟁에 돌입했다.
5. 2. 한국에의 교훈
아우스터리츠 전투는 강대국 간의 경쟁과 갈등 속에서 국가의 생존과 번영을 위해서는 강력한 군사력과 뛰어난 전략, 외교가 필수적임을 보여준다. 특히, 지도자의 잘못된 판단과 독단적인 결정은 국가를 위기에 빠뜨릴 수 있다는 것을 경고한다.알렉산드르 1세는 전투에서 패배 후 "우리는 거인 앞의 아이였다"라고 한탄했다.[122] 이는 지도자의 판단 착오가 국가에 얼마나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를 보여주는 사례이다.
6. 대중 문화
레프 톨스토이의 소설 《전쟁과 평화》에서 아우스터리츠 전투는 중요한 사건으로 다루어진다.[178][133] 이 전투는 러시아적 가치와 영적인 전통, 겸손함이 프랑스의 거만함보다 높이 평가받는 사건으로 묘사된다. 소설 속 주요 인물 중 하나인 안드레이 공은 전투 전에는 나폴레옹의 이전 승리들처럼 영광을 얻을 것이라 기대했지만,[179] 전투 후 포로로 잡혀 나폴레옹을 만나면서 이전의 열정이 깨지고, 나폴레옹의 모습이 보잘것없게 느껴진다고 묘사된다.[180][134] 톨스토이는 아우스터리츠 전투를 러시아의 첫 번째 시련으로 묘사하며, 병사들이 영광과 보상을 위해 싸웠기 때문에 패배했다고 평가한다.
프랑스와 유럽 각지에는 아우스터리츠 전투를 기념하는 다양한 기념물과 건축물이 있다. 파리의 방돔 광장에 있는 기둥은 아우스터리츠 전투에서 노획한 대포를 녹여 만들었으며,[129] 에투알 개선문도 이 전투의 승리를 기념하여 1806년에 건설이 결정되었다. 파리에는 오스테를리츠 역(Gare d'Austerlitz)이 있다.
체코의 슬라프코프·우·브르나 전투터에는 평화 기념비와 전적비가 있으며, 매년 전투 재현 이벤트가 열린다.[131] 네덜란드 위트레흐트에는 "아우스터리츠의 피라미드"라는 기념비가 있는데,[132] 이는 나폴레옹의 동생 루이 보나파르트가 형의 승리를 기념하여 명명한 것이다.
7. 평가
아우스터리츠 전투는 군사 전략과 전술의 교과서적인 사례로 평가받으며, 군사 학교에서 많이 연구된다. 나폴레옹의 뛰어난 지휘력과 프랑스군의 용맹함이 빛을 발한 전투로, 칸나에 전투, 블렌하임 전투 등과 비견된다.[24]
일부 역사가들은 나폴레옹이 아우스터리츠에서 너무 성공하여 현실 감각을 잃었고, 이후 프랑스 외교 정책이 "나폴레옹 개인"의 것이 되었다고 비판한다.[181] 프랑스 역사에서 아우스터리츠는 인상적인 군사적 승리로 인정받으며, 19세기 프랑스 제1제국에 대한 인기가 절정에 달했을 때 빅토르 위고는 "심층 기저에서 아우스터리츠를 향한 대포 소리를 들었다"고 묘사했다.[182] 그러나 최근 아우스터리츠 전투 200주년 기념식에 자크 시라크 대통령과 도미니크 드 빌팽 수상이 모두 불참하고, 전투에 대한 공식적인 의견도 밝히지 않아 논쟁이 벌어졌다.[183] 프랑스 해외 영토 거주자들은 나폴레옹이 식민지 주민들에 대한 대량 학살을 저지른 인물이기 때문에 아우스터리츠 전투 기념일은 안 된다고 주장한다.[183]
전투 후, 알렉산더 1세는 연합군 사령관 쿠투조프를 비난했다.[27] 그러나 쿠투조프는 연합군이 물류상 유리한 후방으로 더 후퇴할 계획이었다. 연합군이 더 후퇴했다면 이탈리아에서 온 찰스 대공의 지원군을 받고, 프로이센도 연합에 합류했을 수 있었다.
프라체 근처에는 유럽 최초의 평화 기념비로 여겨지는 평화 기념 돌무덤이 있다. 1910~1912년에 요세프 판타가 아르누보 양식으로 설계 및 건설했다. 높이 26m의 정사각형이며, 프랑스, 오스트리아, 러시아, 모라비아를 상징하는 네 개의 여성 조각상이 있다. 안에는 납골당이 있는 예배당이 있고, 근처의 작은 박물관은 전투를 기념한다.[30]
- 즈비쇼프 근처 스타레 비노흐라디 고지에서는 프랑스와 러시아 근위병의 격렬한 충돌이 있었다. 2005년에 삼황제 기념비가 세워졌다.[31]
- 코발로비체의 ''스타라 포슈타''(옛 우체국)는 1785년에 지어진 건물로, 현재 호텔과 레스토랑으로 사용되고 있다. 전투 후 나폴레옹은 이곳에서 잠을 자고 휴전 협상을 벌였다. 작은 박물관이 이를 기념한다.[32]
- 트바로즈나에는 작은 흰 예배당이 있다.[33]
- 나폴레옹이 본부를 두었던 주라뉴 언덕에는 전장 위치를 보여주는 화강암 기념비가 있다.[34]
- 1805년 12월 6일 전투 후 오스트리아와 프랑스 간 휴전 조약이 체결된 슬라프코프 성에는 전투 관련 소규모 역사 박물관과 멀티미디어 자료가 있다.[35]
전투 지역 외에도 여러 기념물이 있다. 네덜란드 위트레흐트 근처에는 1805년 전투를 기념하기 위해 주둔한 프랑스 병사들이 건설한 아우스터리츠 피라미드가 있다.[36] 파리에는 나폴레옹을 기념하는 44미터 높이의 청동 벤돔 원주가 벤돔 광장에 서 있다. 아우스터리츠 다리와 인근 아우스터리츠 역 등 파리의 여러 장소와 공공 건물이 이 전투를 기념한다.
참조
[1]
서적
Napoleon and Austerlitz: An Unprecedentedly Detailed Combat Study of Napoleon's Epic Ulm-Austerlitz Campaigns of 1805
1997
[2]
문서
37e bulletin de la Grande Armée
1805-12-26
[3]
웹사이트
Why the Battle of Austerlitz was Napoleon's greatest triumph
http://www.historysk[...]
2024-03-19
[4]
웹사이트
Battle of Austerlitz {{!}} Summary & Facts {{!}} Britannica
https://www.britanni[...]
2023-10-20
[5]
서적
Austerlitz is generally regarded as one of Napoleon's tactical masterpieces and has been ranked as the equal of Arbela, Cannae, and Leuthen.
[6]
서적
[7]
웹사이트
Ulm Campaign
https://www.worldhis[...]
2024-03-19
[8]
서적
German history, 1789–1871: From the Holy Roman Empire to the Bismarckian Reich
[9]
서적
Napoleon: a biographical companion
[10]
서적
Napoleon's conquest of Europe: the War of the Third Coalition
[11]
서적
Atlas of World Military History
[12]
서적
Napoleon Bonaparte: leadership, strategy, conflict
[13]
서적
Napoleon Bonaparte: leadership, strategy, conflict
Osprey Publishing
[14]
서적
[15]
서적
[16]
서적
The History of Napoleon Bonaparte
https://archive.org/[...]
Harper & Brothers Publishers
[17]
학술지
The Ice Incident at the Battle of Austerlitz
https://academic.oup[...]
Oxford University Press/Longmans, Green & Company, Limited/Johnson Reprint Corporation Limited
1902-07-01
[18]
서적
Life of the Rt Hon. William Pitt
[19]
문서
Napoleon's Proclamation following Austerlitz
1805-12-03
[20]
학술지
A Kingdom Not of This World: The Political Context of E. T. A. Hoffmann's Beethoven Criticism
1995-06-01
[21]
서적
War and Peace
International Collectors Library
1949
[22]
서적
History of Europe from the Commencement of the French Revolution in 1789 to the Restoration of the Bourbons in 1815
Thomas Cadell
[23]
웹사이트
Quote Investigator: "Never interfere"
https://quoteinvesti[...]
2010-07-06
[24]
서적
The Encyclopedia of Warfare: From Earliest Time to the Present Day
Taylor & Francis
[25]
서적
Œuvres
[26]
웹사이트
Furore over Austerlitz ceremony
http://news.bbc.co.u[...]
2006-03-20
[27]
서적
Napoleon: a biographical companion
[28]
서적
Austerlitz 1805: the fate of empires
[29]
웹사이트
Bojiště bitvy u Slavkova
https://pamatkovykat[...]
National Heritage Institute
2021-12-01
[30]
웹사이트
The Cairn of Peace Memorial
https://mohylamiru.m[...]
Brno Museum
2022-07-11
[31]
웹사이트
Pomníky
https://napoleonska-[...]
2022-07-11
[32]
웹사이트
Stará Pošta u Kovalovic
https://www.kudyznud[...]
2022-07-11
[33]
웹사이트
kaple Panny Marie Sněžné
https://pamatkovykat[...]
2022-07-11
[34]
웹사이트
památník bitvy u Slavkova
https://pamatkovykat[...]
2022-07-11
[35]
웹사이트
zámek Slavkov
https://pamatkovykat[...]
2022-07-11
[36]
웹사이트
The Pyramid of Austerlitz
https://www.discover[...]
2022-07-11
[37]
서적
The Campaigns of Napoleon
https://books.google[...]
Simon & Schuster
[38]
서적
名画で読み解く ロマノフ家12の物語
光文社
[39]
뉴스
「空飛ぶ救急車」やトリアージが、世界史に初登場するのはいつ?
https://book.asahi.c[...]
2020-07-23
[40]
문서
프랑스군 총병력 논쟁
[41]
문서
연합군 총병력 논쟁
[42]
문서
志垣(1996)
[43]
문서
연합군 사상자 논쟁
[44]
문서
포로수 논쟁
[45]
웹사이트
ブリタニカ国際大百科事典 小項目事典の解説
https://kotobank.jp/[...]
コトバンク
2018-02-18
[46]
문서
Chandler(1995)
[47]
문서
志垣(1996)
[48]
문서
Chandler(1995)
[49]
문서
Chandler(1995)
[50]
문서
영국과 러시아의 관계 악화
[51]
문서
Chandler(1995)
[52]
문서
長塚(1986)
[53]
웹사이트
Channel4 Time Traveller series
http://www.channel4.[...]
[54]
문서
Chandler(1995)
[55]
문서
Chandler(1995)
[56]
문서
Chandler(1995)
[57]
문서
藤沼(1966)
[58]
문서
藤沼(1966)
[59]
문서
Fisher&Fremont-Barnes(2004)
[60]
문서
Fisher&Fremont-Barnes(2004)
[61]
문서
Uffindell(2003)
[62]
문서
Fisher&Fremont-Barnes(2004)
[63]
문서
Stutterheim(1807)
[64]
문서
長塚(1986)
[65]
문서
長塚(1986)
[66]
문서
Brooks(2000)
[67]
문서
Uffindell(2003)
[68]
문서
ジョフラン(2011)
[69]
문서
長塚(1986)
[70]
문서
포로수에 대한 재검토
[71]
서적
Chandler(1995) 및 ジョフラン(2011)
[72]
서적
大橋(1983)
[73]
서적
ジョフラン(2011)
[74]
서적
大橋(1983)
[75]
서적
ジョフラン(2011)
[76]
서적
Chandler(1995)
[77]
서적
長塚(1986)
[78]
서적
Brose(1997)
[79]
서적
McLynn(1997)
[80]
서적
Chandler(1995)
[81]
서적
長塚(1986)
[82]
서적
Chandler(1995)
[83]
서적
Uffindell(2003)
[84]
서적
Nicholls(1999)
[85]
서적
Schneid(2005)
[86]
서적
Chandler(1995)
[87]
서적
Chandler(1995)
[88]
서적
長塚(1986)
[89]
서적
桑原他(1975)
[90]
서적
Brooks(2000)
[91]
서적
Fisher&Fremont-Barnes(2004)
[92]
서적
Barnes(2010)
[93]
서적
Chandler(1995)
[94]
서적
Barnes(2010)
[95]
서적
ブカーリ(2001)
[96]
서적
Chandler(1995)
[97]
서적
大橋(1983)
[98]
서적
ジョフラン(2011)
[99]
서적
ジョフラン(2011)
[100]
서적
ブカーリ(2001)
[101]
서적
Fisher&Fremont-Barnes(2004)
[102]
서적
Fisher&Fremont-Barnes(2004)
[103]
서적
長塚(1986)
[104]
서적
Uffindell(2003)
[105]
서적
武本(1979)
[106]
서적
Chandler(1995)
[107]
서적
Fisher&Fremont-Barnes(2004)
[108]
서적
ジョフラン(2011)
[109]
서적
ジョフラン(2011)
[110]
서적
Fisher&Fremont-Barnes(2004)
[111]
서적
Lê Vinh Quốc, Nguyễn Thị Thư, Lê Phụng Hoàng(2001)
[112]
서적
Fisher&Fremont-Barnes(2004)
[113]
서적
Fisher&Fremont-Barnes(2004)
[114]
서적
ジョフラン(2011)
[115]
서적
大橋(1983)
[116]
서적
Chandler(1995)
[117]
서적
Rose(1910)
[118]
서적
Rose(1910)
[119]
서적
長塚(1986)
[120]
서적
武本(1979)
[121]
서적
Chandler(1995)
[122]
서적
Fisher&Fremont-Barnes(2004)
[123]
서적
長塚(1986)
[124]
웹사이트
アウステルリッツの戦い
http://100.yahoo.co.[...]
日本大百科全書(小学館)
2011-10-22
[125]
웹사이트
プレスブルクの和約
http://100.yahoo.co.[...]
日本大百科全書(小学館)
2011-10-22
[126]
서적
O.オブリ(1983)
[127]
서적
Chandler(1995)
[128]
서적
Uffindell(2003)
[129]
서적
武本(1979)
[130]
웹사이트
RFI - Bicentenaire de la bataille d’Austerlitz - La République prend ses distances
http://www.rfi.fr/ac[...]
2011-10-22
[131]
웹사이트
Only near Austerlitz can you see a famous battlefield of a Napoleonic battle…
http://www.czechtour[...]
Czech Tourismーチェコ共和国オフィシャル観光案内
2011-10-22
[132]
웹사이트
Pyramide van Austerlitz monument
http://www.pyramidev[...]
2011-10-21
[133]
서적
Tolstoy(1982)
[134]
서적
Tolstoy(1982)
[135]
서적
McLynn(1997)
[136]
웹사이트
France's history wars
http://mondediplo.co[...]
2006-03-20
[137]
웹사이트
Furore over Austerlitz ceremony
http://news.bbc.co.u[...]
2006-03-20
[138]
문서
프랑스군 숫자
[139]
문서
동맹군 숫자
[140]
서적
The Campaigns of Napoleon
[141]
서적
The Campaigns of Napoleon
[142]
서적
The Campaigns of Napoleon
[143]
서적
The Campaigns of Napoleon
[144]
서적
The Campaigns of Napoleon
[145]
웹사이트
Channel4 Time Traveller series
http://www.channel4.[...]
[146]
서적
The Campaigns of Napoleon
[147]
서적
The Campaigns of Napoleon
[148]
서적
The Campaigns of Napoleon
[149]
서적
The Napoleonic Wars: The Rise and Fall of an Empire
[150]
서적
The Napoleonic Wars: The Rise and Fall of an Empire
[151]
서적
Great Generals of the Napoleonic Wars
[152]
서적
The Napoleonic Wars: The Rise and Fall of an Empire
[153]
서적
A Detailed Account of The Battle of Austerlitz
http://books.google.[...]
Thomas Goddard
1807
[154]
서적
Atlas of World Military History
[155]
서적
Great Generals of the Napoleonic Wars
[156]
서적
The Campaigns of Napoleon
[157]
서적
The Campaigns of Napoleon
[158]
서적
Great Generals of the Napoleonic Wars
[159]
서적
The Campaigns of Napoleon
[160]
서적
The Campaigns of Napoleon
[161]
서적
Napoleon: A Biography
[162]
서적
Atlas of World Military History
[163]
서적
The Napoleonic Wars: The Rise and Fall of an Empire
[164]
서적
The Napoleonic Wars: The Rise and Fall of an Empire
[165]
서적
The Napoleonic Wars: The Rise and Fall of an Empire
[166]
서적
Great Generals of the Napoleonic Wars
[167]
서적
The Campaigns of Napoleon
[168]
서적
The Napoleonic Wars: The Rise and Fall of an Empire
[169]
서적
The Napoleonic Wars: The Rise and Fall of an Empire
[170]
서적
(제목 미상)
[171]
서적
The Napoleonic Wars: The Rise and Fall of an Empire
[172]
서적
The Campaigns of Napoleon
[173]
서적
The Napoleonic Wars: The Rise and Fall of an Empire
[174]
문서
Napoleon's Proclamation following Austerlitz
1805-12-03
[175]
서적
The Campaigns of Napoleon
[176]
서적
Great Generals of the Napoleonic Wars
[177]
웹사이트
Austerlitz videogame
http://austerlitz.wa[...]
2006-03-20
[178]
웹사이트
Battlefield Legends - Projekt Austerlitz
http://www.austerlit[...]
2006-03-20
[179]
서적
War and Peace
[180]
서적
War and Peace
[181]
서적
Napoleon: A Biography
[182]
웹사이트
France's history wars
http://mondediplo.co[...]
2006-03-20
[183]
뉴스
Furore over Austerlitz ceremony
http://news.bbc.co.u[...]
BBC
2006-03-2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