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아일랜드어 철자법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일랜드어 철자법은 라틴 문자를 기반으로 하며, 5세기부터 사용되었다. 20세기 중반까지 아일랜드어 표기에 게일체가 사용되었으나 현재는 로마자로 대체되었다. 1940년대부터 여러 차례 개혁을 거쳤으며, 1945년에는 표준 철자법 소책자가 발간되었다. 1958년에는 표준 문법과 결합하여 공식 표준어로 재출판되었으며, 2017년에 업데이트되었다. 아일랜드어 알파벳은 18개의 글자로 구성되어 있으며, 모음에는 장모음을 나타내는 급성 악센트가 사용된다. 문장 부호, 대문자 표기, 약어 사용 규칙은 영어와 유사하며, 하이픈, 아포스트로피 등 특정 문장 부호는 아일랜드어의 특성에 맞게 사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일랜드어 - 중세 아일랜드어
    중세 아일랜드어는 8세기부터 12세기까지 아일랜드에서 사용된 게일어의 과도기적 단계로, 정치·사회적 변화에 따라 복잡한 문법과 독특한 음운 체계를 지니며 시가 등의 문헌을 통해 현대 아일랜드어와의 변화를 확인할 수 있다.
  • 아일랜드어 - 고대 아일랜드어
    고대 아일랜드어는 인도유럽어족 켈트어파 고이델어군에 속하며, 현대 아일랜드어 등의 조상이고, 4세기에서 6세기에 오검 문자로 기록되었으며, 자음과 모음의 변화, 융합어, VSO 어순, 5가지 격을 가진 명사, 시제와 상 등에 따라 활용되는 동사의 문법적 특징을 갖는다.
  • 빈 문단이 포함된 문서 - 광주고등법원
    광주고등법원은 1952년에 설치되어 광주광역시, 전라남도, 전북특별자치도, 제주특별자치도를 관할하며, 제주와 전주에 원외재판부를 두고 있다.
  • 빈 문단이 포함된 문서 - 1502년
    1502년은 율리우스력으로 수요일에 시작하는 평년으로, 이사벨 1세의 이슬람교 금지 칙령 발표, 콜럼버스의 중앙아메리카 해안 탐험, 바스쿠 다 가마의 인도 상관 설립, 크리미아 칸국의 킵차크 칸국 멸망, 비텐베르크 대학교 설립, 최초의 아프리카 노예들의 신대륙 도착 등의 주요 사건이 있었다.
아일랜드어 철자법
개요
언어 유형표준 철자법
언어아일랜드어
관할 기관포라스나 가엘게
마지막 업데이트2017년
역사
공식 표준안 카이흐데안 오피슈알 (An Caighdeán Oifigiúil, 공식 표준)
목적아일랜드어 철자와 문법을 표준화
게시 기관아일랜드 정부
특징
문자로마자
철자 규칙자음의 넓고 좁음 구별
모음 위에 액센트 기호 사용 (á, é, í, ó, ú)
복모음 및 이중자음 사용
발음
지역별 차이아일랜드어는 지역별로 발음 차이가 존재함.
예시crann (나무): /kɾˠan̪ˠ/ (표준), /kɾˠaːn̪ˠ/ (코네마라), /kɾˠəun̪ˠ/ (도네갈)
참고 자료
추가 정보아일랜드 게일어 방언

2. 역사

라틴 문자는 5세기부터 아일랜드어를 표기하는 데 사용되었으며, 원시 아일랜드어와 고대 아일랜드어를 표기하는 데 사용되었던 오검 문자를 대체했다.[3] 20세기 중반까지 게일체(cló Gaelachga)는 아일랜드어를 표기하는 데 사용되는 주요 서체였지만, 현재는 일반적으로 로마자(cló Rómhánachga)로 대체되었다. 오늘날 오검 문자와 게일체의 사용은 장식적이거나 의도적으로 전통적인 맥락으로 제한된다. 게일체에서 연음된 문자 위에 있는 윗점은 일반적으로 로마자에서 뒤따르는 h로 대체된다(예: ċga → ch).[4]

20세기 중반까지, 아일랜드어는 게일 문자로 기록되었다. 하지만 현대에 들어서 게일 문자는 거의 장식이나 전통적인 맥락에서만 쓰이며, 연음화된 글자 위에 찍는 점은 그 뒤에 h를 붙이는 것으로 대체되었다. 아일랜드어에서 h는 이 이외로는 모음으로 시작하는 단어들이 특정한 조건을 만족시킬 때에나, 차용어에만 쓰인다. (예: go '''h'''Éirinnga "아일랜드로", hataga "모자")

게일 문자는 20세기 중반까지 흔했다. 시어볼드 스타플레튼의 1639년 교리문답서와 같이 로마자를 도입하려는 시도는 그 훨씬 이전부터 있었지만, 이것이 성공하는 데는 300년 이상이 걸렸다.

로마자 대응 문자와 추가된 연음 문자가 있는 게일체.

2. 1. 문자

전통적인 아일랜드어 알파벳은 '''a, b, c, d, e, f, g, h, i, l, m, n, o, p, r, s, t, u'''와 같은 18개의 글자로 구성된다. 현대에는 '''j, k, q, v, w, x, y, z'''와 같은 문자들도 차용어를 표기하기 위해 사용되는데[26], 이 중 v가 가장 많이 쓰인다. 모음은 '''á, é, í, ó, ú'''와 같이 급성 악센트(양음 부호)를 사용하여 장모음을 나타낸다.[6]

각 글자의 이름은 다음과 같다.[27]

  • á bé cé dé é eif gé héis í eil eim ein ó pé ear eas té úga
  • jé cá cú vé wae eacs yé zaega


문자이름[7][8]이름 (IPA)비고
Aaága
Bbga
Ccga
Ddga
Eeéga
Ffeifga
Ggga
Hhhéisga
Iiíga
Jjga는 외래 음이다.
Kkga
Lleilga
Mmeimga
Nneinga
Ooóga
Ppga
Qqga
Rrearga
Sseasga
Ttga
Uuúga
Vvga
Wwwaega
Xxeacsga
Yyga
Zzzaega는 외래 음이다.


2. 2. 자음

아일랜드어의 자음은 인접한 모음에 따라 "넓은 자음"(연구개음화)과 "좁은 자음"(구개음화)으로 구분된다.[26] 넓은 자음은 a, o, u 옆에서, 좁은 자음은 e, i 옆에서 발음된다.

} (남자 이름)

|-

| 좁은 자음

|

| gheata|ˈʝat̪ˠə|문ga (연음화), dóigh|d̪ˠoːʝ|길, 방식ga

|-

| colspan=3 | '''agh, aigh, eagh, eigh, igh, ogh, oigh'''에 대해서는 모음 표를, 동사 어말의 '''-(a)igh'''에 대해서는 동사에서의 특수 발음법 참조.

|-

| colspan=2 | '''h'''

|

| hata|ˈhat̪ˠə|모자ga, na héisc|nə heːʃc|그 물고기들ga

|-

| rowspan=2 | '''l'''

| 넓은 자음

| 또한 많이

| luí|l̪ˠiː|눕는)ga

|-

| 좁은 자음

|

| leisciúil|ˈlʲɛʃcuːlʲ|게으른ga

|-

| rowspan=2" |'''ll'''

| 넓은 자음

|

|poll "구멍"

|-

| 좁은 자음

| ; 또한 많이

|coill "나무들"

|-

| rowspan=2 | '''m'''

| 넓은 자음

|

| mór|mˠoːɾˠ|큰ga, am|aːmˠ|시간ga

|-

| 좁은 자음

|

| milis|ˈmʲɪlʲəʃ|달콤한ga, im|iːmʲ|버터ga

|-

| rowspan=2 | '''mb'''
('''b-'''의 암음화)

| 넓은 자음

|

| mbaineann|ˈmˠanʲən̪ˠ|가져간다ga (암음화)

|-

| 좁은 자음

|

| mbéal|mʲeːl̪ˠ|입ga (암음화)

|-

| rowspan=3 | '''mh'''

| 넓은 자음

|

| mhór|woːɾˠ|큰ga (연음화), lámha|ˈl̪ˠaːwə|손들ga, léamh|lʲeːw|읽는ga

|-

| 좁은 자음

|

| mhilis|ˈvʲɪlʲəʃ|달콤한ga (연음화), uimhir|ˈɪvʲəɾʲ|숫자ga, nimh|nʲɪvʲ|독ga

|-

| colspan=3 | '''amh, omh'''에 대해서는 모음 표 참고.

|-

| rowspan=2| '''n'''

| 넓은 자음

| ; 또한 많이

| naoi|n̪ˠiː|아홉ga

|-

| 좁은 자음

|

| neart|nʲaɾˠt̪ˠ|힘ga, tinneas|ˈtʲɪnʲəsˠ|병ga

|-

|-

| rowspan=2 | '''nc'''

| 넓은 자음

|

| ancaire|ˈaŋkəɾʲə|닻ga

|-

| 좁은 자음

|

| rinc|ɾˠɪɲc|춤ga

|-

| rowspan=2 | '''nd'''
('''d-'''의 암음화)

| 넓은 자음

| ; 또한 많이

| ndorn|nˠoːɾˠnˠ|fistga (암음화)

|-

| 좁은 자음

|

| ndearg|ˈnʲaɾˠəɡ|붉은ga (암음화)

|-

| rowspan=3 | '''ng'''

| 넓은 자음

| 어두에서 ('''g-'''의 암음화)
어중, 어말에서

| ngasúr|ˈŋasˠuːɾˠ|소년ga (암음화)
long|l̪ˠuːŋɡ|배ga, teanga|ˈtʲaŋɡə|입ga

|-

| rowspan=2 | 좁은 자음

| 어두에서 ('''g-'''의 암음화)
어중, 어말에서

| ngeata|ˈɲat̪ˠə|문ga (암음화)
cuing|kɪɲɟ|yokega, ingear|ˈɪɲɟəɾˠ|수직적인ga

|-

| 어말의 비강세 '''-ing'''에서

| scilling|ˈʃcilʲənʲ|shillingga

|-

| rowspan=2" |'''nn'''

|넓은 자음

|

| ceann|caːn̪ˠ|머리ga

|-

| 좁은 자음

| ; 또한 많이

|

|-

| rowspan=2 | '''p'''

| 넓은 자음

|

| poll|pˠoːl̪ˠ|구멍ga, stop|sˠt̪ˠɔpˠ|멈추다ga

|-

| 좁은 자음

|

| príosún|ˈpʲɾʲiːsˠuːn̪ˠ|감옥ga, truip|t̪ˠɾˠɪpʲ|여행ga

|-

| rowspan=2 | '''ph'''

| 넓은 자음

|

| pholl|fˠoːl̪ˠ|구멍ga (연음화)

|-

| 좁은 자음

|

| phríosún|ˈfʲɾʲiːsˠuːn̪ˠ|prisonga (연음화)

|-

| rowspan=2 | '''r'''

| 넓은 자음
(어두와 '''rd, rl, rn, rr, rs, rt, rth, sr'''에서 항상 넓은 자음, 단 먼스터에서 연음화될 때는 제외)

|

| rí|ɾˠiː|왕ga, cuairt|kuəɾˠtʲ|방문하다ga, oirthear|ˈɔɾˠhəɾˠ|동쪽ga, airde|aːɾˠdʲə|높이ga, coirnéal|ˈkoːɾˠnʲeːl̪ˠ|모퉁이ga, carr "차, 카드", duirling|ˈd̪ˠuːɾˠlʲənʲ|stony beachga, sreang|sˠɾˠaŋɡ|실ga

|-

| 좁은 자음

|

| tirim|ˈtʲɪɾʲəmʲ|마른ga

|-

|'''rh''' (먼스터 방언에서, 어두의 좁은 자음 '''r'''의 연음화를 표기하는 데 간혹 쓰임

|좁은 자음

|

| rhí|ɾʲiː|왕ga (연음화, 먼스터 지역)

|}

2. 2. 1. 자음 발음 규칙

아일랜드어에서 자음은 인접한 모음에 따라 "넓은 자음"과 "좁은 자음"으로 구분되어 발음된다. 넓은 자음은 a, o, u와 인접할 때, 좁은 자음은 e, i와 인접할 때 나타난다.[26]

글자발음예시
b넓은 자음bain|bˠanʲ|가져가라ga, scuab|sˠkuəbˠ|빗ga
좁은 자음béal|bʲeːl̪ˠ|입ga, cnáib|kn̪ˠaːbʲ|대마ga
bh넓은 자음bhain|wanʲ|가져갔다ga, ábhar|ˈaːwəɾˠ|물질ga, Bhairbre|ˈwaɾʲəbʲɾʲə|Barbaraga (속격), tábhachtach|ˈt̪ˠaːwəxt̪ˠəx|중요한ga, dubhaigh|ˈd̪ˠʊwiː|검어져라ga, scríobh|ʃcrʲiːw|썼다ga, taobh|t̪ˠiːw|면ga, dubh|d̪ˠʊw|검은ga, gabh|ɡaw|얻어라ga
좁은 자음bhéal|vʲeːl̪ˠ|입ga (연음화), cuibhreann|ˈkɪvʲɾʲən̪ˠ|common tablega, aibhneacha|ˈavʲnʲəxə|강들ga, sibh|ʃɪvʲ|너희ga
abh, obh에 대해서는 모음 표 참조.
bhf
(f-의 암음화)
넓은 자음bhfuinneog|ˈwɪnʲoːɡ|창문ga (암음화)
좁은 자음bhfíon|vʲiːn̪ˠ|와인ga (암음화)
bp
(p-의 암음화)
넓은 자음bpoll|bˠoːl̪ˠ|구멍ga (암음화)
좁은 자음bpríosún|ˈbʲɾʲiːsˠuːn̪ˠ|감옥ga (암음화)
c넓은 자음cáis|kaːʃ|치즈ga, mac|mˠak|아들ga
좁은 자음ceist|cɛʃtʲ|질문ga, mic|mʲɪc|아들들ga
ch넓은 자음
(t 전에선 항상 넓음)
cháis|xaːʃ|치즈ga (연음화), taoiseach|ˈt̪ˠiːʃəx|부족장, 아일랜드의 수상ga, boichte|bˠɔxtʲə|더 가난한ga
좁은 자음;
모음 사이에서
cheist|çɛʃtʲ|질문ga (연음화), deich|dʲɛç|열ga
oíche|ˈiːhə|밤ga
d넓은 자음dorn|d̪ˠoːɾˠn̪ˠ|fistga, nead|nʲad̪ˠ|둥지ga
좁은 자음; 북부 방언에서dearg|dʲaɾˠəɡ|붉은ga, cuid|kɪdʲ|부분ga
dh넓은 자음어두에서 ;
장음 뒤에서 묵음
dhorn|ɣoːɾˠn̪ˠ|fistga (연음화)
ádh|aː|행운ga
좁은 자음dhearg|ˈʝaɾˠəɡ|붉은ga (연음화), fáidh|fˠaːʝ|prophetga
adh, aidh, eadh, eidh, idh, oidh, odh에 대해서는 모음 표를, 동사 어말의 –dh에 대해서는 동사에서의 특수 발음법 참조.
dt
(t-의 암음화)
넓은 자음dtaisce|ˈd̪ˠaʃcə|보물ga (암음화)
좁은 자음; 북부 방언에서dtír|dʲiːɾʲ|땅ga (암음화)
f넓은 자음fós|fˠoːsˠ|여전히ga, graf|ɡɾˠafˠ|그래프ga
좁은 자음fíon|fʲiːn̪ˠ|와인ga, stuif|sˠt̪ˠɪfʲ|stuffga
féin에서 때때로féin "- 스스로"
미래와 조건 시제에서의 발음법은 동사에서의 특수 발음법 참조.
fh묵음fhuinneog|ˈɪnʲoːɡ|유리창ga (연음화), fhíon|iːn̪ˠ|와인ga (연음화)
g넓은 자음gasúr|ˈɡasˠuːɾˠ|소년ga, bog|bˠɔɡ|가벼운ga
좁은 자음geata|ˈɟat̪ˠə|문ga, carraig|ˈkaɾˠəɟ|바위ga
gc
(c-의 암음화)
넓은 자음gcáis|ɡaːʃ|치즈ga (암음화)
좁은 자음gceist|ɟɛʃtʲ|질문ga (암음화)
gh넓은 자음어두에서 ;
장모음 뒤에서 묵음
ghasúr|ˈɣasˠuːɾˠ|소년ga (연음화)
{{lang|ga|Eoghan|ˈoːən̪ˠ|}
} (남자 이름)

|-

| 좁은 자음

|

| gheata|ˈʝat̪ˠə|문ga (연음화), dóigh|d̪ˠoːʝ|길, 방식ga

|-

| colspan=3 | '''agh, aigh, eagh, eigh, igh, ogh, oigh'''에 대해서는 모음 표를, 동사 어말의 '''-(a)igh'''에 대해서는 동사에서의 특수 발음법 참조.

|-

| colspan=2 | '''h'''

|

| hata|ˈhat̪ˠə|모자ga, na héisc|nə heːʃc|그 물고기들ga

|-

| rowspan=2 | '''l'''

| 넓은 자음

| 또한 많이

| luí|l̪ˠiː|눕는)ga

|-

| 좁은 자음

|

| leisciúil|ˈlʲɛʃcuːlʲ|게으른ga

|-

| rowspan=2" |'''ll'''

| 넓은 자음

|

|poll "구멍"

|-

| 좁은 자음

| ; 또한 많이

|coill "나무들"

|-

| rowspan=2 | '''m'''

| 넓은 자음

|

| mór|mˠoːɾˠ|큰ga, am|aːmˠ|시간ga

|-

| 좁은 자음

|

| milis|ˈmʲɪlʲəʃ|달콤한ga, im|iːmʲ|버터ga

|-

| rowspan=2 | '''mb'''
('''b-'''의 암음화)

| 넓은 자음

|

| mbaineann|ˈmˠanʲən̪ˠ|가져간다ga (암음화)

|-

| 좁은 자음

|

| mbéal|mʲeːl̪ˠ|입ga (암음화)

|-

| rowspan=3 | '''mh'''

| 넓은 자음

|

| mhór|woːɾˠ|큰ga (연음화), lámha|ˈl̪ˠaːwə|손들ga, léamh|lʲeːw|읽는ga

|-

| 좁은 자음

|

| mhilis|ˈvʲɪlʲəʃ|달콤한ga (연음화), uimhir|ˈɪvʲəɾʲ|숫자ga, nimh|nʲɪvʲ|독ga

|-

| colspan=3 | '''amh, omh'''에 대해서는 모음 표 참고.

|-

| rowspan=2| '''n'''

| 넓은 자음

| ; 또한 많이

| naoi|n̪ˠiː|아홉ga

|-

| 좁은 자음

|

| neart|nʲaɾˠt̪ˠ|힘ga, tinneas|ˈtʲɪnʲəsˠ|병ga

|-

|-

| rowspan=2 | '''nc'''

| 넓은 자음

|

| ancaire|ˈaŋkəɾʲə|닻ga

|-

| 좁은 자음

|

| rinc|ɾˠɪɲc|춤ga

|-

| rowspan=2 | '''nd'''
('''d-'''의 암음화)

| 넓은 자음

| ; 또한 많이

| ndorn|nˠoːɾˠnˠ|fistga (암음화)

|-

| 좁은 자음

|

| ndearg|ˈnʲaɾˠəɡ|붉은ga (암음화)

|-

| rowspan=3 | '''ng'''

| 넓은 자음

| 어두에서 ('''g-'''의 암음화)

어중, 어말에서

| ngasúr|ˈŋasˠuːɾˠ|소년ga (암음화)

long|l̪ˠuːŋɡ|배ga, teanga|ˈtʲaŋɡə|입ga

|-

| rowspan=2 | 좁은 자음

| 어두에서 ('''g-'''의 암음화)

어중, 어말에서

| ngeata|ˈɲat̪ˠə|문ga (암음화)

cuing|kɪɲɟ|yokega, ingear|ˈɪɲɟəɾˠ|수직적인ga

|-

| 어말의 비강세 '''-ing'''에서

| scilling|ˈʃcilʲənʲ|shillingga

|-

| rowspan=2" |'''nn'''

|넓은 자음

|

| ceann|caːn̪ˠ|머리ga

|-

| 좁은 자음

| ; 또한 많이

|

|-

| rowspan=2 | '''p'''

| 넓은 자음

|

| poll|pˠoːl̪ˠ|구멍ga, stop|sˠt̪ˠɔpˠ|멈추다ga

|-

| 좁은 자음

|

| príosún|ˈpʲɾʲiːsˠuːn̪ˠ|감옥ga, truip|t̪ˠɾˠɪpʲ|여행ga

|-

| rowspan=2 | '''ph'''

| 넓은 자음

|

| pholl|fˠoːl̪ˠ|구멍ga (연음화)

|-

| 좁은 자음

|

| phríosún|ˈfʲɾʲiːsˠuːn̪ˠ|prisonga (연음화)

|-

| rowspan=2 | '''r'''

| 넓은 자음

(어두와 '''rd, rl, rn, rr, rs, rt, rth, sr'''에서 항상 넓은 자음, 단 먼스터에서 연음화될 때는 제외)

|

| rí|ɾˠiː|왕ga, cuairt|kuəɾˠtʲ|방문하다ga, oirthear|ˈɔɾˠhəɾˠ|동쪽ga, airde|aːɾˠdʲə|높이ga, coirnéal|ˈkoːɾˠnʲeːl̪ˠ|모퉁이ga, carr "차, 카드", duirling|ˈd̪ˠuːɾˠlʲənʲ|stony beachga, sreang|sˠɾˠaŋɡ|실ga

|-

| 좁은 자음

|

| tirim|ˈtʲɪɾʲəmʲ|마른ga

|-

|'''rh''' (먼스터 방언에서, 어두의 좁은 자음 '''r'''의 연음화를 표기하는 데 간혹 쓰임

|좁은 자음

|

| rhí|ɾʲiː|왕ga (연음화, 먼스터 지역)

|}

2. 3. 모음

아일랜드어의 모음은 단모음, 장모음, 이중모음 등 다양한 조합이 있으며, 그 발음은 인접한 자음의 영향을 받아 달라진다. 특히 "caol le caol agus leathan le leathan" (좁은 자음은 좁은 모음과, 넓은 자음은 넓은 모음과 함께) 규칙이 적용된다. 강세가 없는 단모음은 /ə/로 축약되는 경향이 있다.

아일랜드어의 모음 발음과 관련된 상세한 내용은 아래 표와 같다.

글자발음예시
b넓은 자음bain|bˠanʲ|가져가라ga, scuab|sˠkuəbˠ|빗ga
좁은 자음béal|bʲeːl̪ˠ|입ga, cnáib|kn̪ˠaːbʲ|대마ga
bh넓은 자음bhain|wanʲ|가져갔다ga, ábhar|ˈaːwəɾˠ|물질ga, Bhairbre|ˈwaɾʲəbʲɾʲə|Barbaraga (속격), tábhachtach|ˈt̪ˠaːwəxt̪ˠəx|중요한ga, dubhaigh|ˈd̪ˠʊwiː|검어져라ga, scríobh|ʃcrʲiːw|썼다ga, taobh|t̪ˠiːw|면ga, dubh|d̪ˠʊw|검은ga, gabh|ɡaw|얻어라ga
좁은 자음bhéal|vʲeːl̪ˠ|입ga (연음화), cuibhreann|ˈkɪvʲɾʲən̪ˠ|common tablega, aibhneacha|ˈavʲnʲəxə|강들ga, sibh|ʃɪvʲ|너희ga
abh, obh에 대해서는 모음 표 참조.
bhf
(f-의 암음화)
넓은 자음bhfuinneog|ˈwɪnʲoːɡ|창문ga (암음화)
좁은 자음bhfíon|vʲiːn̪ˠ|와인ga (암음화)
bp
(p-의 암음화)
넓은 자음bpoll|bˠoːl̪ˠ|구멍ga (암음화)
좁은 자음bpríosún|ˈbʲɾʲiːsˠuːn̪ˠ|감옥ga (암음화)
c넓은 자음cáis|kaːʃ|치즈ga, mac|mˠak|아들ga
좁은 자음ceist|cɛʃtʲ|질문ga, mic|mʲɪc|아들들ga
ch넓은 자음
(t 전에선 항상 넓음)
cháis|xaːʃ|치즈ga (연음화), taoiseach|ˈt̪ˠiːʃəx|부족장, 아일랜드의 수상ga, boichte|bˠɔxtʲə|더 가난한ga
좁은 자음;cheist|çɛʃtʲ|질문ga (연음화), deich|dʲɛç|열ga
d넓은 자음dorn|d̪ˠoːɾˠn̪ˠ|fistga, nead|nʲad̪ˠ|둥지ga
좁은 자음; 북부 방언에서dearg|dʲaɾˠəɡ|붉은ga, cuid|kɪdʲ|부분ga
dh넓은 자음어두에서 ;dhorn|ɣoːɾˠn̪ˠ|fistga (연음화)
좁은 자음dhearg|ˈʝaɾˠəɡ|붉은ga (연음화), fáidh|fˠaːʝ|prophetga
adh, aidh, eadh, eidh, idh, oidh, odh에 대해서는 모음 표를, 동사 어말의 –dh에 대해서는 동사에서의 특수 발음법 참조.
dt
(t-의 암음화)
넓은 자음dtaisce|ˈd̪ˠaʃcə|보물ga (암음화)
좁은 자음; 북부 방언에서dtír|dʲiːɾʲ|땅ga (암음화)
f넓은 자음fós|fˠoːsˠ|여전히ga, graf|ɡɾˠafˠ|그래프ga
좁은 자음fíon|fʲiːn̪ˠ|와인ga, stuif|sˠt̪ˠɪfʲ|stuffga
féin에서 때때로féin "- 스스로"
미래와 조건 시제에서의 발음법은 동사에서의 특수 발음법 참조.
fh묵음fhuinneog|ˈɪnʲoːɡ|유리창ga (연음화), fhíon|iːn̪ˠ|와인ga (연음화)
g넓은 자음gasúr|ˈɡasˠuːɾˠ|소년ga, bog|bˠɔɡ|가벼운ga
좁은 자음geata|ˈɟat̪ˠə|문ga, carraig|ˈkaɾˠəɟ|바위ga
gc
(c-의 암음화)
넓은 자음gcáis|ɡaːʃ|치즈ga (암음화)
좁은 자음gceist|ɟɛʃtʲ|질문ga (암음화)
gh넓은 자음어두에서 ;ghasúr|ˈɣasˠuːɾˠ|소년ga (연음화)
문자음소예시
UCM
(e)abh, (e)abha, (e)abhai또는colspan="2" |Feabhra|페브라|/ˈfʲəuɾˠə/ga "2월", leabhair|레오르|/l̠ʲəuɾʲ/ga "책", sabhall|사월|/sˠəul̪ˠ/ga "헛간"
(e)adh, (e)adha, (e)adhai, (e)agh, (e)agha, (e)aghai강세또는colspan="2" |meadhg|메이그|/mʲəiɡ/ga "유청", adharc|에이르크|/əiɾˠk/ga "뿔", adhairt|에이르트|/əiɾˠtʲ/ga "베개", saghsanna|세이서너|/ˈsˠəisˠən̪ˠə/ga "종류", deagha|데이|/d̪ˠəi/ga "센토레아", aghaidh|에이|/əij/ga "얼굴"
비강세colspan="2" |margadh|마르거|/ˈmˠaɾˠəɡə/ga "시장", briseadh|브리셔|/ˈbʲɾʲɪʃə/ga "파괴"
aidh, aidhe, aigh, aighe, aighea강세colspan="3" |aidhleann|에일랸|/ˈəilʲən̪ˠ/ga "선반", aidhe|에이|/əi/ga "예!", aighneas|에이너스|/əinʲəsˠ/ga "논쟁, 토론", aighe|에이|/əi/ga "암소, 황소" (소유격), caighean|케인|/kəinˠ/ga "우리"
비강세cleachtaidh|클라흐티|/ˈclʲaxt̪ˠiː/ga "연습" (소유격), bacaigh|바키|/ˈbˠakiː/ga "거지" (소유격)
(e)amh, (e)amha, (e)amhai강세colspan="3" |ramhraigh|라우리|/ˈɾˠəuɾˠiː/ga "살찌게 함", amhantar|아운타르|/ˈəun̪ˠt̪ˠəɾˠ/ga "모험", Samhain|사윈|/sˠəunʲ/ga "11월"
비강세acadamh|아카더우|/ˈakəd̪ˠəw/ga "아카데미", creideamh|크레뎌우|/ˈcɾʲɛdʲəw/ga "믿음, 종교"
eidh, eidhea, eidhirowspan="2" |colspan="2" rowspan="2" |feidhm|페임|/fʲəimʲ/ga "기능", eidheann|에인|/əin̪ˠ/ga "담쟁이 덩굴", meidhir|메이르|/mʲəiɾʲ/ga "환희"
eigh, eighea, eighifeighlí|페일리|/ˈfʲəilʲiː/ga "감독관", leigheas|레이어스|/l̠ʲəisˠ/ga "치유", feighil|페일|/fʲəilʲ/ga "경계"
idh, (u)igh강세colspan="2" |ligh|리|/l̠ʲiː/ga "앉다", guigh|기|/giː/ga "기도하다"
비강세tuillidh|틸리|/ˈt̪ˠɪl̠ʲiː/ga "추가" (소유격), coiligh|켈리|/ˈkɛlʲiː/ga "수탉" (소유격)
oidh, oidhea, oidhicolspan="3" rowspan="2" |oidhre|에이러|/əiɾʲə/ga "상속자", oidheanna|에이너|/əin̪ˠə/ga "비극"
oigh, oighea, oighioighreach|에이러흐|/ˈəiɾʲəx/ga "빙하", oigheann|에인|/əin̪ˠ/ga "오븐", loighic|로이크|/l̪ˠəic/ga "논리"
(e)obh, (e)obha, (e)obhairowspan="3" |colspan="2" rowspan="3" |lobhra|로우러|/ˈl̪ˠəuɾˠə/ga "나병", lobhar|로우어르|/l̪ˠəuɾˠ/ga "나환자", lobhair|로우어르|/l̪ˠəuɾʲ/ga "나환자들"
(e)odh, (e)odha, (e)odhaibodhrán|보우란|/ˈbˠəuɾˠaːnˠ/ga "귀머거리", bodhar|보우어르|/bˠəuɾˠ/ga "귀머거리", bodhair|보우어르|/bˠəuɾʲ/ga "귀머거리들"
(e)ogh, (e)ogha, (e)oghaidoghra|도우러|/ˈd̪ˠəuɾˠə/ga "불행", bogha|보우|/bˠəu/ga "활", broghais|브로우어시|/bˠɾˠəuʃ/ga "동물 태반"
(e)omh, (e)omha, (e)omhaicolspan="3" |Domhnach|도너흐|/ˈd̪ˠoːnˠəx/ga "일요일", comhar|코르|/koːɾˠ/ga "제휴", domhain|도인|/d̪ˠoːnʲ/ga "깊은"
(i)ubhdubh|두우|/d̪ˠʊw/ga "검은", tiubh|티우우|/tʲʊw/ga "밀집된"
(i)umh, (i)umha, (i)umhaicolspan="3" |cumhra|쿠러|/ˈkuːɾˠə/ga "향기로운", Mumhan|무언|/ˈmˠuːnˠ/ga "먼스터" (소유격), ciumhais|쿠시|/cuːʃ/ga "가장자리"


  • "U"는 메이요 아일랜드어와 얼스터 아일랜드어를, "C"는 남부 코노트 아일랜드어를, "M"은 먼스터 아일랜드어를 나타낸다.
  • '처음'과 '마지막'은 별도로 언급하지 않는 한 단어의 처음 또는 마지막을 의미한다.
  • 는 무음, 즉 문자가 발음되지 않음을 의미한다.
  • 이 페이지의 예시의 IPA 전사는 코노트 아일랜드어에 기반한다.
  • 사용된 기호에 대한 설명은 아일랜드어 음운론을, 음절 시작 자음 변화와 연성에 대한 설명은 아일랜드어 초기 자음 변이를 참고한다.

2. 3. 1. 모음 발음 규칙

a, á, e, é, i, í, o, ó, u, úga는 아일랜드어의 모음이다.

단모음 a, e, i, o, uga는 강세가 없을 때 종종 /ə/로 줄어든다.

bh, dh, gh, mhga 다음에 오는 경우, 단모음은 대개 이중 모음을 형성하거나 길어진다. (e)adh, (a)idh, (a)ighga의 경우, 동사 형태의 예외에서 -dh, (a)ighga를 참조한다.

문자음소예시
UCM
(e)abh, (e)abha, (e)abhai또는colspan="2" |Feabhra|페브라|/ˈfʲəuɾˠə/ga "2월", leabhair|레오르|/l̠ʲəuɾʲ/ga "책", sabhall|사월|/sˠəul̪ˠ/ga "헛간"
(e)adh, (e)adha, (e)adhai, (e)agh, (e)agha, (e)aghai강세또는colspan="2" |meadhg|메이그|/mʲəiɡ/ga "유청", adharc|에이르크|/əiɾˠk/ga "뿔", adhairt|에이르트|/əiɾˠtʲ/ga "베개", saghsanna|세이서너|/ˈsˠəisˠən̪ˠə/ga "종류", deagha|데이|/d̪ˠəi/ga "센토레아", aghaidh|에이|/əij/ga "얼굴"
비강세colspan="2" |margadh|마르거|/ˈmˠaɾˠəɡə/ga "시장", briseadh|브리셔|/ˈbʲɾʲɪʃə/ga "파괴"
aidh, aidhe, aigh, aighe, aighea강세colspan="3" |aidhleann|에일랸|/ˈəilʲən̪ˠ/ga "선반", aidhe|에이|/əi/ga "예!", aighneas|에이너스|/əinʲəsˠ/ga "논쟁, 토론", aighe|에이|/əi/ga "암소, 황소" (소유격), caighean|케인|/kəinˠ/ga "우리"
비강세cleachtaidh|클라흐티|/ˈclʲaxt̪ˠiː/ga "연습" (소유격), bacaigh|바키|/ˈbˠakiː/ga "거지" (소유격)
(e)amh, (e)amha, (e)amhai강세colspan="3" |ramhraigh|라우리|/ˈɾˠəuɾˠiː/ga "살찌게 함", amhantar|아운타르|/ˈəun̪ˠt̪ˠəɾˠ/ga "모험", Samhain|사윈|/sˠəunʲ/ga "11월"
비강세acadamh|아카더우|/ˈakəd̪ˠəw/ga "아카데미", creideamh|크레뎌우|/ˈcɾʲɛdʲəw/ga "믿음, 종교"
eidh, eidhea, eidhirowspan="2" |colspan="2" rowspan="2" |feidhm|페임|/fʲəimʲ/ga "기능", eidheann|에인|/əin̪ˠ/ga "담쟁이 덩굴", meidhir|메이르|/mʲəiɾʲ/ga "환희"
eigh, eighea, eighifeighlí|페일리|/ˈfʲəilʲiː/ga "감독관", leigheas|레이어스|/l̠ʲəisˠ/ga "치유", feighil|페일|/fʲəilʲ/ga "경계"
idh, (u)igh강세colspan="2" |ligh|리|/l̠ʲiː/ga "앉다", guigh|기|/giː/ga "기도하다"
비강세tuillidh|틸리|/ˈt̪ˠɪl̠ʲiː/ga "추가" (소유격), coiligh|켈리|/ˈkɛlʲiː/ga "수탉" (소유격)
oidh, oidhea, oidhicolspan="3" rowspan="2" |oidhre|에이러|/əiɾʲə/ga "상속자", oidheanna|에이너|/əin̪ˠə/ga "비극"
oigh, oighea, oighioighreach|에이러흐|/ˈəiɾʲəx/ga "빙하", oigheann|에인|/əin̪ˠ/ga "오븐", loighic|로이크|/l̪ˠəic/ga "논리"
(e)obh, (e)obha, (e)obhairowspan="3" |colspan="2" rowspan="3" |lobhra|로우러|/ˈl̪ˠəuɾˠə/ga "나병", lobhar|로우어르|/l̪ˠəuɾˠ/ga "나환자", lobhair|로우어르|/l̪ˠəuɾʲ/ga "나환자들"
(e)odh, (e)odha, (e)odhaibodhrán|보우란|/ˈbˠəuɾˠaːnˠ/ga "귀머거리", bodhar|보우어르|/bˠəuɾˠ/ga "귀머거리", bodhair|보우어르|/bˠəuɾʲ/ga "귀머거리들"
(e)ogh, (e)ogha, (e)oghaidoghra|도우러|/ˈd̪ˠəuɾˠə/ga "불행", bogha|보우|/bˠəu/ga "활", broghais|브로우어시|/bˠɾˠəuʃ/ga "동물 태반"
(e)omh, (e)omha, (e)omhaicolspan="3" |Domhnach|도너흐|/ˈd̪ˠoːnˠəx/ga "일요일", comhar|코르|/koːɾˠ/ga "제휴", domhain|도인|/d̪ˠoːnʲ/ga "깊은"
(i)ubhdubh|두우|/d̪ˠʊw/ga "검은", tiubh|티우우|/tʲʊw/ga "밀집된"
(i)umh, (i)umha, (i)umhaicolspan="3" |cumhra|쿠러|/ˈkuːɾˠə/ga "향기로운", Mumhan|무언|/ˈmˠuːnˠ/ga "먼스터" (소유격), ciumhais|쿠시|/cuːʃ/ga "가장자리"


  • "U"는 메이요 아일랜드어와 얼스터 아일랜드어를, "C"는 남부 코노트 아일랜드어를, "M"은 먼스터 아일랜드어를 나타낸다.
  • '처음'과 '마지막'은 별도로 언급하지 않는 한 단어의 처음 또는 마지막을 의미한다.
  • 는 무음, 즉 문자가 발음되지 않음을 의미한다.
  • 이 페이지의 예시의 IPA 전사는 코노트 아일랜드어에 기반한다.
  • 사용된 기호에 대한 설명은 아일랜드어 음운론을, 음절 시작 자음 변화와 연성에 대한 설명은 아일랜드어 초기 자음 변이를 참고한다.

2. 3. 2. ⟨bh, dh, gh, mh⟩ 뒤의 모음

bhga, dhga, ghga, mhga 뒤에 오는 단모음은 대개 이중 모음을 형성하거나 길어진다.

문자음소예시
UCM
(e)abh, (e)abha, (e)abhai또는colspan="2" |Feabhraga "2월", leabhairga "책", sabhallga "헛간"
(e)adh, (e)adha, (e)adhai, (e)agh, (e)agha, (e)aghai강세또는colspan="2" |meadhgga "유청", adharcga "뿔", adhairtga "베개", saghsannaga "종류", deaghaga "센토레아", aghaidhga "얼굴"
비강세colspan="2" |margadhga "시장", briseadhga "파괴"
aidh, aidhe, aigh, aighe, aighea강세colspan="3" |aidhleannga "선반", aidhega "예!", aighneasga "논쟁, 토론", aighega "암소, 황소" (소유격), caigheanga "우리"
비강세cleachtaidhga "연습" (소유격), bacaighga "거지" (소유격)
(e)amh, (e)amha, (e)amhai강세colspan="3" |ramhraighga "살찌게 함", amhantarga "모험", Samhainga "11월"
비강세acadamhga "아카데미", creideamhga "믿음, 종교"
eidh, eidhea, eidhirowspan="2" |colspan="2" rowspan="2" |feidhmga "기능", eidheannga "담쟁이 덩굴", meidhirga "환희"
eigh, eighea, eighifeighlíga "감독관", leigheasga "치유", feighilga "경계"
idh, (u)igh강세colspan="2" |lighga "앉다", guighga "기도하다"
비강세tuillidhga "추가" (소유격), coilighga "수탉" (소유격)
oidh, oidhea, oidhicolspan="3" rowspan="2" |oidhrega "상속자", oidheannaga "비극"
oigh, oighea, oighioighreachga "빙하", oigheannga "오븐", loighicga "논리"
(e)obh, (e)obha, (e)obhairowspan="3" |colspan="2" rowspan="3" |lobhraga "나병", lobharga "나환자", lobhairga "나환자들"
(e)odh, (e)odha, (e)odhaibodhránga "귀머거리", bodharga "귀머거리", bodhairga "귀머거리들"
(e)ogh, (e)ogha, (e)oghaidoghraga "불행", boghaga "활", broghaisga "동물 태반"
(e)omh, (e)omha, (e)omhaicolspan="3" |Domhnachga "일요일", comharga "제휴", domhainga "깊은"
(i)ubhdubhga "검은", tiubhga "밀집된"
(i)umh, (i)umha, (i)umhaicolspan="3" |cumhraga "향기로운", Mumhanga "먼스터" (소유격), ciumhaisga "가장자리"


2. 4. 삽입음

단모음 뒤에서는, 표기되지 않은 삽입음 /ə/|/ə/ga가 l, n, r + b, bh, ch, f, g, mh (그리고 무성음화된 b, bh, mh에서 파생된 p 포함) 사이에 형태소 경계 내에서 삽입된다. 예를 들어 gorm|고름ga (/ˈɡɔɾˠəmˠ/|/ˈɡɔɾˠəmˠ/ga "파란색"), dearg|데르그ga (/ˈdʲaɾˠəɡ/|/ˈdʲaɾˠəɡ/ga "빨간색"), dorcha|도르허ga (/ˈd̪ˠɔɾˠəxə/|/ˈd̪ˠɔɾˠəxə/ga "어두운"), ainm|아늠ga (/ˈanʲəmʲ/|/ˈanʲəmʲ/ga "이름"), deilgneach|델그녀흐ga (/ˈdʲɛlʲəɟnʲəx/|/ˈdʲɛlʲəɟnʲəx/ga "가시가 많은, 가시가 있는"), leanbh|란우ga (/ˈl̠ʲanˠəw/|/ˈl̠ʲanˠəw/ga "아이"), airgead|아르저다드ga (/ˈaɾʲəɟəd̪ˠ/|/ˈaɾʲəɟəd̪ˠ/ga "은, 돈")이 있다. 이에 대한 주요 예외는 ng로, 이는 주로 /ŋ/|/ŋ/ga 또는 /ɲ/|/ɲ/ga에 사용된다.[1]

삽입음은 장모음과 이중 모음 뒤에서는 발생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téarma|테르머ga (/tʲeːɾˠmˠə/|/tʲeːɾˠmˠə/ga "용어") 또는 dualgas|두얼거스ga (/ˈd̪ˠuəlˠɡəsˠ/|/ˈd̪ˠuəlˠɡəsˠ/ga "의무")가 있으며, 형태소 경계를 넘어 발생하지 않는다(즉, 접두사 뒤와 복합어에서). 예를 들어 garmhac|가르와크ga (/ˈɡaɾˠwak/|/ˈɡaɾˠwak/ga "손자", gar-|가르ga "가까운, 근처" + mac|마크ga "아들"에서 유래), an-chiúin|안퀸ga (/ˈan̪ˠçuːnʲ/|/ˈan̪ˠçuːnʲ/ga "매우 조용한", an-|안ga "매우" + ciúin|퀸ga "조용한"에서 유래), carrbhealach|카르왈러흐ga (/ˈkaːɾˠvʲalˠəx/|/ˈkaːɾˠvʲalˠəx/ga "차도, 도로", carr|카르ga "차" + bealach|뱔러흐ga "길, 도로"에서 유래)가 있다.[1]

먼스터에서는 삽입음이 형태소 경계를 넘어 발생하기도 하는데, l, n, r이 b, bh, ch, g, mh (모든 모음 뒤) 또는 th (단모음 뒤) 뒤에 오고, n이 c, g, m, r 뒤에 올 때 발생한다.[1]

2. 5. 동사 형태의 예외

동사 형태에서, 일부 글자 및 글자 조합은 다른 곳과 다르게 발음된다.

글자음소예시
UCM
-dh넓은 모음과거colspan="2" |moladh é|몰라그 에ga "그는 칭찬받았다"
다른 곳s|sga로 시작하는 대명사 앞colspan="2" |osclaíodh sí|오스클리흐 시ga "그녀가 열게 하라"
보통colspan="2" |bheannódh mé|뱌노흐 메ga "나는 축복할 것이다"
좁은 모음주어 대명사 앞colspan="3" |beannóidh|뱌니ga "축복할 것이다"
-ea-bí|비ga "있다"의 형태에서colspan="4" |bheadh sé|베흐 세ga "그는 있을 것이다"
-eo(i), ó(i)-동사 어미colspan="3" |bheannóinn|뱌닌ga "나는 축복할 것이다"
-f-인칭 동사 어미에서dhófadh|고하흐ga "태울 것이다", déarfaidh|데르히ga "말할 것이다", brisfidh|브리시ga "부술 것이다", scuabfadh|스쿠아파흐ga "쓸 것이다"
-(a)imcolspan="3" |molaim|몰럼ga "나는 칭찬한다"
-(a)igh주어 대명사 앞colspan="4" |bheannaigh mé|뱌너 메ga "나는 축복했다"


3. 문장 부호

아일랜드어 문장 부호는 영어와 유사하지만, 몇 가지 예외가 있다. agusga "and"를 줄여서 쓰는 티로니안 et (⁊)가 있는데, 영어에서 "and"를 줄여 쓰는 앰퍼샌드 (&)와 같다. 텍스트에서는 일반적으로 7 (7)로 대체된다.

("유료 주차") 표지판, 더블린에서 "and"에 대한 티로니안 "et"이 표시되어 있음


하이픈(fleiscínga)은 남성 모음으로 시작하는 단어 앞에 t, n이 붙어 초기 변이가 될 때 사용된다. 예를 들어, an t-aránga "빵", a n-iníonga "그들의 딸"과 같다. 그러나 모음이 대문자로 표시될 때는 생략된다. 예를 들어, an tAlbanachga "스코틀랜드인", Ár nAthairga "우리 아버지"와 같다. h가 모음으로 시작하는 단어 앞에 붙는 경우에는 하이픈을 사용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a hiníonga "그녀의 딸"과 같다.

하이픈은 또한 특정 상황에서 합성어에 사용된다.

  • 두 개의 모음 사이, 예를 들어 mí-ádhga "불운"
  • 두 개의 유사한 자음 사이, 예를 들어 droch-chaintga "나쁜 언어", grod-díolga "신속한 지불"
  • 세 부분 합성어, 예를 들어 buan-chomhchoistega "영구적인 공동 위원회"
  • do-ga, fo-ga, so-ga 접두사가 bha, bhla, bhra, dha, gha, ghla, ghra, mha로 시작하는 단어 앞에 오는 경우, 예를 들어 do-bhlastaga "맛이 없는", fo-ghlacga "포괄하다", so-mharfachtga "사망률"
  • 대문자 제목에서, 예를 들어 An Príomh-Bhreitheamhga "대법원장"
  • an-ga "매우"와 dea-ga "좋은" 뒤, 예를 들어 an-mhórga "매우 큰", dea-mhéinga "선의"


아포스트로피(uaschamógga)는 다음 경우에 생략된 모음을 나타내는 데 사용된다.

  • 전치사 dega "from" 및 doga "to"는 모음 또는 fh + 모음 앞에서 d'ga가 된다. Thit sí d'eachga "그녀는 말에서 떨어졌다" 및 Tabhair d'fhear an tí éga "집주인에게 그것을 주십시오"와 같다.
  • 소유 대명사 moga "my" 및 doga "your (단수)"는 모음 또는 fh + 모음 앞에서 m'ga 및 d'ga가 된다. m'óigega "내 젊음", d'fhiacailga "당신의 이빨"과 같다.
  • 동사 앞의 입자 doga는 모음 또는 fh + 모음 앞에서 d'ga가 된다. d'ardaigh méga "내가 올렸다", d'fhanfadh séga "그는 기다릴 것이다"와 같다.
  • 연결사 baga는 모음 또는 fh + 모음 앞에서 b'ga가 된다. B'ait liom é singa "나는 그것이 이상하다고 생각했다" 및 b'fhéidirga "아마"와 같다. 그러나 baga는 대명사 éga, íga, iadga 앞에서 사용된다. Ba iad na ginearáil a choinnigh an chumhachtga "권력을 유지한 것은 장군들이었다"와 같다.[12]

4. 대문자 표기

대문자 사용 규칙은 영어와 유사하다. 그러나 접두 문자는 기본 초기 문자가 대문자로 쓰일 때 소문자로 유지된다. (an tSín|안 친|중국ga). 모두 대문자로 쓰인 텍스트의 경우 접두 문자는 소문자 또는 소문자 캡으로 유지된다. (STAIR NA ).[13] 초기 대문자는 다음 경우에 사용된다.[14]


  • 문장의 시작
  • 사람, 장소의 이름(단어 an|안ga, na|나ga, de|더ga 제외),[15] 언어, 사람과 장소에 대한 형용사 (Micheál Ó Murchú|미헐 오 무르후|마이클 머피ga, Máire Mhac an tSaoi|마러 와크 안 티|메어 맥앤티ga, de Búrca|더 부르커|버크ga, Sliabh na mBan|슬리브 너 므안|슬리브나몬ga, Fraincis|프란시스|프랑스어ga, bia Iodálach|비어 이달라흐|이탈리아 음식ga)
  • 월, 요일 및 축제의 이름 (Meán Fómhair|먠 포와르|9월ga, an Luan|안 루안|월요일ga, Oíche Nollag|이허 놀라그|크리스마스 이브ga)
  • Dé|데|날ga (Dé Luain|데 루안|월요일에ga)
  • 명확한 칭호[16]

이중 언어 간판 아일랜드. 에서 로의 이클립시스는 다른 부분은 모두 대문자로 쓰인 텍스트에서 소문자를 사용합니다.

5. 약어

대부분의 아일랜드어 약어는 간단하다. 예를 들어 leathanachga → lch.ga ("쪽 → p.") 및 mar shamplaga → m.sh.ga ("exempli gratiala(예: 예를 들어) → e.g.")와 같다. 하지만 설명이 필요한 두 가지 약어는 다음과 같다. is é sin|italic=yesga → .i.ga ("즉 → i.e.") 및 agus arailega → ⁊rl./srl.ga ("et cetera(등등) → &c./etc.").[17] 영어의 처럼, 는 서수 다음에 온다. 예를 들어 "Is é Lá Fheile Phádraig an 17ú lá den Mártaga"는 "성 패트릭의 날은 3월 17일이다."와 같이 쓰인다.

6. 철자 개혁

아일랜드어 철자법은 1940년대부터 여러 차례 개혁되었다. 1945년 오이어크타스 번역 서비스에서 Litriú na Gaeilge: Lámhleabhar an Chaighdeáin Oifigiúilga라는 소책자를 출판하면서 철자법 개혁이 시작되었다.[20]

개혁 이전의 철자법과 현대 형태는 다음과 같다:[19]

개혁 이전개혁 이후
beirbhiughadhgabeiriúga
imthighthegaimithega
faghbháilgafáilga
urradhasgaurrúsga
filidheachtgafilíochtga



이 소책자는 1947년에 확장되었고,[21] 1958년에는 1953년의 표준 문법과 결합하여 An Caighdeán Oifigiúilga ("공식 표준어")로 재출판되었다.[22]

초기에는 이러한 철자 개혁이 비역사적이고 인위적이라는 비판을 받았다. 일부 철자법은 특정 방언의 발음을 반영하지 못했고, 다른 철자법은 어떤 방언에서도 발음되지 않는 무음 문자를 포함하고 있었기 때문이다.[22] 그럼에도 불구하고, 아일랜드 공화국 공무원 사회에서 사용되고 토마스 데 발드라이트의 1959년 영어-아일랜드어 사전 및 닐 오 도나일의 1977년 아일랜드어-영어 사전의 지침으로 사용되면서 그 지위가 강화되었다.[22]

2010년에는 철자를 포함한 쓰기 표준에 대한 검토가 발표되었으며, "단순성, 내부 일관성 및 논리"를 개선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23] 그 결과는 2017년 An Caighdeán Oifigiúilga 업데이트였다.[24]

참조

[1] 웹사이트 Publications by the Houses of the Oireachtas https://www.oireacht[...] 2022-07-13
[2] 웹사이트 Irish Gaelic dialects https://www3.smo.uhi[...] 2023-12-13
[3] 웹사이트 Celtic languages - Irish https://www.britanni[...] 2022-12-31
[4] 웹사이트 Irish language, alphabet and pronunciation https://www.omniglot[...] 2023-12-13
[5] 서적 Foclóir Gaeilge-Béarla An Gúm 2007
[6] 웹사이트 Learn Irish https://www.rosettas[...] Rosetta Stone 2020-06-21
[7] 서적 Graiméar Gaeilge na mBráithre Críostaí https://books.google[...] An Gúm 1999-09-22
[8] 웹사이트 Irish Orthography http://www.nualearga[...] 2022-10-23
[9] 웹사이트 Litreacha na h-aibítre sa Ghaeilge https://www3.smo.uhi[...] 2023-12-13
[10] 웹사이트 Irish Orthography http://www.nualearga[...] 2023-12-13
[11] 웹사이트 Pronunciation Key https://daltai.com/g[...] 2023-12-13
[12] 웹사이트 '[Reply to] Gaelic Translation Needed' https://groups.googl[...] 1996-04-08
[13] 문서 Graiméar Gaeilge na mBráithre Críostaí, §3.2
[14] 문서 Graiméar Gaeilge na mBráithre Críostaí, §3.1
[15] 문서 Graiméar Gaeilge na mBráithre Críostaí, §§ 3.1, 7.6, 10.2-10.3
[16] 문서 Graiméar Gaeilge na mBráithre Críostaí, §§ 3.1, 3.4
[17] 웹사이트 Abbreviations https://daltai.com/g[...] 2023-12-13
[18] 간행물 Encoding Ireland: Dictionaries and Politics in Irish History
[19] 서적 Bunreacht na hÉireann: a study of the Irish text http://www.constitut[...] Stationery Office
[20] 뉴스 Dáil debates Vol.99 No.17 p.3 http://debates.oirea[...] 1946-03-07
[21] 서적 Litriú na Gaeilge – Lámhleabhar An Chaighdeáin Oifigiúil https://archive.org/[...] Stationery Office / Oifig an tSoláthair 2020-03-30
[22] 간행물 The Standardization of Irish Spelling: an Overview http://www.englishsp[...]
[23] 웹사이트 The Scope of the Process http://www.ahg.gov.i[...] Department of Community, Equality and Gaeltacht Affairs 2012-02-12
[24] 웹사이트 Rannóg an Aistriúcháin > An Caighdeán Oifigiúil http://www.oireachta[...]
[25] 웹사이트 Learn Irish https://www.rosettas[...] Rosetta Stone 2020-06-21
[26] 웹인용 Irish orthography http://www.nualearga[...] 2021-10-29
[27] 서적 Graiméar Gaeilge na mBráithre Críostaí https://books.google[...] An Gúm 1999-09-2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