앙골라 해방인민운동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앙골라 해방인민운동(MPLA)은 1956년 12월 10일 포르투갈령 앙골라에서 결성된 정당으로, 앙골라 공산당과 앙골라 아프리카인 연합 투쟁당의 합병으로 설립되었다. MPLA는 앙골라 독립 전쟁을 주도하여 1975년 앙골라 인민 공화국을 수립하고, 초대 대통령 아고스티뉴 네투를 배출했다. 1970년대 초 포르투갈 군의 진압과 내부 분열을 겪었으나, 카네이션 혁명 이후 다른 세력과 협력했다. 앙골라 내전에서 승리하여 집권 여당의 지위를 유지해왔으나, 선거 부정, 인권 침해, 부정부패 등의 비판을 받았다. 냉전 시기에는 사회주의 국가들의 지원을 받았으며, 현재는 사회주의 인터내셔널의 정회원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앙골라의 군사사 - 앙골라 독립 전쟁
앙골라 독립 전쟁은 1950년대 포르투갈 식민 지배에 저항하는 앙골라 내 독립 운동 단체의 활동으로 시작되어, 1974년 포르투갈 혁명 이후 독립했으나, 각 세력 간의 권력 다툼과 국제 세력의 개입으로 내전이 발생하여 막대한 피해를 남겼다. - 앙골라의 정당 - 앙골라 민족해방전선
앙골라 민족해방전선(FNLA)은 콩고족 중심의 앙골라 북부 인민동맹(UPNA)에서 시작된 앙골라 정당으로, 독립 전쟁 중 무장 봉기 실패 후 자이르로 망명하여 재편되었으며, 미국과 자이르의 지원을 받으며 MPLA와 UNITA와 함께 독립 투쟁을 벌였고, 독립 후 MPLA와의 내전에서 패배 후 야당으로 활동하며 의회 진출에 성공했으나 지지율 하락을 겪었으며, 부족주의적 성향과 외부 세력 의존으로 비판받는다. - 앙골라의 정당 - 앙골라 완전독립 민족동맹
앙골라 완전독립 민족동맹(UNITA)은 조나스 사빔비가 앙골라 독립을 목표로 창설한 무장 정치 조직으로, 내전 기간 동안 앙골라 해방인민운동(MPLA)과 대립하며 냉전 시대에 미국과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지원을 받았고, 사빔비 사망 후 정당으로 전환하여 앙골라 정치에 참여하며 주요 야당으로 활동하고 있다. - 20세기 앙골라 - 콩고 왕국
콩고 왕국은 14세기 말 콩고 강 유역에서 건국되어 중앙 집권화된 정치 체제와 교역으로 번영을 누렸으나, 노예 무역과 내전으로 쇠퇴하여 1914년 포르투갈에 의해 멸망했다. - 20세기 앙골라 - 앙골라 완전독립 민족동맹
앙골라 완전독립 민족동맹(UNITA)은 조나스 사빔비가 앙골라 독립을 목표로 창설한 무장 정치 조직으로, 내전 기간 동안 앙골라 해방인민운동(MPLA)과 대립하며 냉전 시대에 미국과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지원을 받았고, 사빔비 사망 후 정당으로 전환하여 앙골라 정치에 참여하며 주요 야당으로 활동하고 있다.
앙골라 해방인민운동 - [정당]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 | |
공식 명칭 | 앙골라 인민해방운동 |
로마자 표기 | Movimento Popular de Libertação de Angola |
약칭 | MPLA |
창립일 | 1956년 12월 10일 |
본부 위치 | 앙골라, 루안다 |
기관지 | 조르날 드 앙골라 |
당원 수 | 3,000,000명 (2022년) |
슬로건 | 평화, 노동 그리고 자유 MPLA와 새로운 도전 |
웹사이트 | 공식 웹사이트 |
![]() | |
정치 | |
의장 | 주앙 로렌수 |
사무총장 | 파울루 폼볼루 |
설립자 | 아고스티뉴 네투 비리아투 다 크루스 |
이념 | 앙골라 민족주의 사회민주주의 민주사회주의 |
과거 이념 (1976–1990) | 공산주의 마르크스-레닌주의 좌익 민족주의 |
정치적 위치 | 중도좌파에서 좌익 |
과거 정치적 위치 (1976–1990) | 좌익에서 극좌 |
국제 연맹 | 사회주의 인터내셔널 (2006년부터) |
의회 | |
국민의회 의석 | 124/220석 |
SADC 의회 포럼 의석 | 0/5석 |
범아프리카 의회 의석 | 0/5석 |
산하 단체 | |
준군사 조직 | 앙골라 인민해방군 (1956–1993) |
청년 조직 | MPLA 청년단 |
여성 조직 | 앙골라 여성 조직 |
관련 정보 | |
아프리카 연맹 | FLMSA CONCP |
2. 역사
wikitext
1956년 12월 10일, 에스타두 노보 체제하의 포르투갈 앙골라에서 앙골라 공산당(PCA)과 앙골라 아프리카인 연합 투쟁당(PLUAA)이 합병하여 앙골라 해방인민운동(MPLA)이 결성되었다.[14][15] PCA의 회장 비리아투 다 크루즈가 사무총장이 되었으며,[14][15] 이후 앙골라 민족 독립 운동(MINA)과 앙골라 해방 민주전선(FDLA) 등 다른 여러 단체들이 MPLA에 합류하였다.[16] 핵심 기반은 움분두 민족과 수도 루안다의 지식인 계층이었다.
초기에 MPLA는 유럽과 소련의 공산당들과 연계되었으나, 현재는 사회주의 인터내셔널의 정회원이다. MPLA의 무장조직은 앙골라 인민해방군(FAPLA)이었으며, 이는 훗날 앙골라의 국가군으로 발전하였다.
1961년, MPLA는 포르투갈 식민 통치에 대항하여 봉기를 일으켰으나 실패하고, 콩고 민주 공화국(레오폴드빌, 현 킨샤사)으로 거점을 옮겼다.[54] MPLA가 봉기한 2월 4일은 앙골라 독립 전쟁의 시작일로 여겨진다.[56] 1960년대에는 앙골라 민족 해방 전선(FNLA)과의 갈등 속에서 콩고 공화국(브라자빌)으로 이동하여 세력을 확장했다.[57][58] 1964년에는 탄자니아와 잠비아의 지원을 얻어 앙골라 북부 카빈다와 앙골라-잠비아 동부 국경 지대에서 앙골라 해방을 시작했다.[59]
1970년대 초, 포르투갈 군의 진압 작전과 내부 분열로 어려움을 겪었으나,[17] 1974년 카네이션 혁명 이후 앙골라의 다른 세력들과 협력을 재개했다.
2. 1. 창립과 초기 활동 (1956년 ~ 1974년)
앙골라 해방인민운동(MPLA)은 1956년 12월 10일, 에스타두 노보 체제하의 포르투갈 앙골라에서 앙골라 공산당(PCA)과 앙골라 아프리카인 연합 투쟁당(PLUAA)이 합병하여 결성되었다.[14][15] PCA의 회장 비리아투 다 크루즈가 사무총장이 되었으며,[14][15] 이후 앙골라 민족 독립 운동(MINA)과 앙골라 해방 민주전선(FDLA) 등 다른 여러 단체들이 MPLA에 합류하였다.[16] 핵심 기반은 움분두 민족과 수도 루안다의 지식인 계층이었다.[14][15]초기에 MPLA는 유럽과 소련의 공산당들과 연계되었으나, 현재는 사회주의 인터내셔널의 정회원이다. MPLA의 무장조직은 앙골라 인민해방군(FAPLA)이었으며, 이는 훗날 앙골라의 국가군으로 발전하였다.
1961년, MPLA는 포르투갈 식민 통치에 대항하여 봉기를 일으켰으나 실패하고, 콩고 민주 공화국(레오폴드빌, 현 킨샤사)으로 거점을 옮겼다.[54] MPLA가 봉기한 2월 4일은 앙골라 독립 전쟁의 시작일로 여겨진다.[56] 1960년대에는 앙골라 민족 해방 전선(FNLA)과의 갈등 속에서 콩고 공화국(브라자빌)으로 이동하여 세력을 확장했다.[57][58] 1964년에는 탄자니아와 잠비아의 지원을 얻어 앙골라 북부 카빈다와 앙골라-잠비아 동부 국경 지대에서 앙골라 해방을 시작했다.[59]
1970년대 초, 포르투갈 군의 진압 작전과 내부 분열로 어려움을 겪었으나,[17] 1974년 카네이션 혁명 이후 앙골라의 다른 세력들과 협력을 재개했다.
2. 2. 앙골라 독립과 내전 (1975년 ~ 2002년)
1974년 카네이션 혁명으로 포르투갈 군사 정부는 앙골라 독립 운동 단체 연합에 권력을 이양하기로 합의했으나, 연합은 곧 와해되고 내전이 발발했다.[18] 루안다와 대서양 연안의 유전을 장악한 앙골라 해방인민운동(MPLA)의 지도자 아고스티뉴 네투는 알보르 협정에 따라 1975년 11월 11일 앙골라 인민 공화국을 수립했다.[18] 아고스티뉴 네투는 독립 후 초대 대통령이 되었고, 1979년 사망 후에는 호세 에두아르두 두스 산투스가 계승했다.
1974년에서 1976년 사이, 남아프리카 공화국과 자이르는 앙골라 민족 해방 전선(FNLA)과 앙골라 전면 독립 민족 동맹(UNITA)을 지원하며 군사적으로 개입했고, 미국도 이 두 단체를 지원했다.[5] 쿠바는 1975년 MPLA를 지원하기 위해 개입했고, 소련은 쿠바와 MPLA 정부를 지원했다.[5] 1980년 11월, MPLA는 UNITA를 농촌으로 몰아넣었고, 남아프리카 공화국군은 철수했다. 1976년 FNLA는 자이르에 있는 기지로 군대를 철수했고, 일부는 제32대대에 합류했다.
1977년 MPLA는 마르크스-레닌주의를 당의 이념으로 채택하고 당명을 '노동당(Partido do Trabalho)'으로 변경했다.[5] 같은 해 니토 알베스의 쿠데타 시도 이후, 네투는 당 안팎의 '정통 공산주의' 추종자들을 숙청했다.[19] 쿠데타 당시 앙골라에 주둔한 쿠바군은 MPLA 지도부 편에 섰다.[19] 쿠바군과 MPLA군에 의해 사망한 알베스 추종자들의 수는 2,000명에서 70,000명으로 추산된다.[20][21][22] 파벌주의라고 불리는 내부 갈등 이후, MPLA는 공산주의 모델이 아닌 사회주의 모델을 따를 것이라고 선언했지만, 소련 및 공산권과의 긴밀한 관계는 유지하면서 사회주의 경제 정책과 일당 체제를 수립했다.
냉전 종식 후, MPLA는 1990년 사회민주주의를 공식 이념으로 선언했다.[5] 1992년 앙골라 총선에서 승리했지만, 야당은 선거가 조작되었다고 주장하며 거부했다. UNITA는 협상가들을 루안다로 보냈지만, 그들은 살해당했다. 할로윈 학살로 알려진 사건에서 수만 명의 UNITA와 FNLA 지지자들이 MPLA군에 의해 살해되면서 내전이 재개되었다.[23][24][25][26]
내전은 2002년 UNITA 지도자 조나스 사빔비 사망으로 종식되었다. 양측은 휴전에 합의하고 UNITA가 무장 해제하여 정당이 되는 계획을 세웠다. 내전 중 50만 명이 넘는 민간인이 사망했다.[27] 인권 감시 단체들은 MPLA를 내전 중 "대량 학살 행위", "체계적인 몰살", "전쟁 범죄" 및 "반인도적 범죄"로 비난했다.[28] 정치학자 루돌프 럼멜은 MPLA가 1975년부터 1987년까지 인구 말살로 10만 명에서 20만 명의 사망에 책임이 있다고 추산했다.[29]
2. 3. 내전 이후 (2002년 ~ 현재)
앙골라 해방인민운동(MPLA)은 1992년 총선에서 53.74%의 득표율로 129석을 획득했으나, 8개의 야당은 부정선거 의혹을 제기했다.[43] 이후 내전으로 인해 연기되었던 선거에서 81.64%의 득표율과 191석을,[44] 2012년 선거에서는 71.84%의 득표율과 175석을 차지하며 압도적인 승리를 거두었다.[45] 2017년 총선에서도 주앙 로렌수 후보가 당선되며 집권 여당의 지위를 유지했다.그러나 2022년 총선에서는 51.17%의 득표율로 124석을 얻어 과반 의석을 확보했지만, 득표율이 감소하면서 30년 만에 최악의 선거 결과를 기록했다.[46] 야당은 선거 결과에 불복하며 조작 의혹을 제기했다.[46]
선거 | 당 대표 | 득표수 | % | 의석 수 | 증감 | 순위 | 결과 |
---|---|---|---|---|---|---|---|
2008년 | 조제 에두아르두 두스 산투스 | 5,266,216 | 81.64% | }} | 62 증가 | 1위 | |
2012년 | 4,135,503 | 71.85% | }} | 16 감소 | 1위 | ||
2017년 | 주앙 로렌수 | 4,907,057 | 61.08% | }} | 25 감소 | 1위 | |
2022년 | 3,209,429 | 51.17% | }} | 26 감소 | 1위 |
앙골라 여성 조직(OMA), 앙골라 노동자 전국 연합(UNTA), 아고스티뉴 네투 소년단(OPA), MPLA 청년회(JMPLA) 등 다양한 대중 조직을 운영하고 있다.
3. 이념 및 정책
4. 조직
5. 주요 당원
6. 국제 관계
포르투갈 식민지 전쟁과 앙골라 내전에서 앙골라 해방인민운동(MPLA)은 주로 알제리, 브라질[34], 불가리아 인민 공화국, 동독[35], 카보베르데, 체코슬로바키아 사회주의 공화국[36], 콩고, 쿠바, 기니비사우, 멕시코, 모로코, 모잠비크 인민 공화국, 나이지리아, 북한, 폴란드 인민 공화국, 중국, 루마니아 사회주의 공화국, 상투메 프린시페, 소말리아[37], 소련, 수단[36], 탄자니아[38], 리비아[39],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으로부터 군사 및 인도적 지원을 받았다. 중국은 앙골라 해방인민운동(MPLA)을 잠시 지원했지만,[40] 독립 전쟁과 내전 중에 MPLA의 적대 세력인 FNLA와 후에 UNITA를 적극적으로 지원하기도 했다. 이러한 변화는 공산주의 진영의 패권을 놓고 중국과 소련 간의 긴장이 고조되어 거의 전쟁으로 이어질 뻔했기 때문이다.[41][42]
6. 1. 앙골라 내전 시기 (1975년 ~ 2002년)
쿠바는 앙골라 내전에서 앙골라 해방인민운동(MPLA)을 군사적으로 지원한 가장 중요한 국가였다. 수만 명의 쿠바군이 앙골라에 파병되어 MPLA의 승리에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34] 소련은 MPLA의 주요 이념적, 경제적 후원국으로, 무기와 경제 원조를 제공하고 MPLA의 마르크스-레닌주의 이념 형성에 큰 영향을 미쳤다.[37] 동독 역시 MPLA에 군사적 지원을 제공했다.[35]중국은 초기에는 MPLA를 지원했으나,[40] 중소 분쟁 이후 FNLA와 UNITA를 지원하는 입장으로 선회했다.[41][42]
알제리, 브라질,[34] 불가리아 인민 공화국, 카보베르데, 체코슬로바키아 사회주의 공화국,[36] 콩고, 기니비사우, 멕시코, 모로코, 모잠비크 인민 공화국, 나이지리아, 북한, 폴란드 인민 공화국, 루마니아 사회주의 공화국, 상투메 프린시페, 소말리아,[37] 수단,[36] 탄자니아,[38] 리비아,[39]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 등 여러 사회주의 국가와 우호적인 관계를 맺었다.
대한민국은 앙골라 내전 당시 MPLA와 외교 관계를 맺지 않았다.
6. 2. 냉전 종식 이후 (1991년 ~ 현재)
1991년 냉전 종식 이후, 앙골라 해방인민운동(MPLA)은 국제 관계에서 변화를 겪었다. 과거 알제리, 브라질[34], 불가리아 인민 공화국, 동독[35], 카보베르데, 체코슬로바키아 사회주의 공화국[36], 콩고, 쿠바, 기니비사우, 멕시코, 모로코, 모잠비크 인민 공화국, 나이지리아, 북한, 폴란드 인민 공화국, 중국, 루마니아 사회주의 공화국, 상투메 프린시페, 소말리아[37], 소련, 수단[36], 탄자니아[38], 리비아[39],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 등으로부터 군사 및 인도적 지원을 받았던 MPLA는[40] 중국과 소련 간의 긴장 고조로 인해 중국의 지원이 일시 중단되기도 하였다.[41][42]현재 MPLA는 사회민주주의 정당들의 국제 조직인 사회주의 인터내셔널의 정회원이다. 과거 식민 종주국이었던 포르투갈과는 역사적인 갈등이 있었으나, 현재는 경제, 문화 등 다양한 분야에서 협력 관계를 유지하고 있다. 미국과는 앙골라 내전 당시 적대적인 관계였으나, 냉전 종식 이후 관계가 개선되어 현재는 경제 협력과 안보 분야에서 협력을 강화하고 있다. 대한민국과는 1992년 수교 이후, 경제 협력을 중심으로 관계를 발전시키고 있으며, 특히 더불어민주당은 MPLA와 이념적으로 유사한 점이 많아 양국 간 협력 강화에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7. 비판 및 논란
앙골라 인민해방운동(MPLA) 정부는 앰네스티 인터내셔널과 휴먼라이츠워치 등 국제기구로부터 자의적 체포 및 구금, 고문 등의 인권 침해 혐의를 받았다.[30] 앙골라 내전 기간 동안 MPLA 정부는 반대파와 민간인에 대한 인권 탄압을 자행했다는 비판을 받아왔다. 특히, 1977년 니토 알베스 쿠데타 시도 이후 발생한 대규모 숙청은 수만 명의 희생자를 낳았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 MPLA 정부는 2008년 앙골라의 국제적 이미지 개선과 미국 고위 관료들과의 회의 "'촉진'"을 돕기 위해 사뮤엘스 인터내셔널 어소시에이츠(Samuels International Associates Inc)를 고용했다.[33] 할로윈 학살 등, 내전 중 MPLA 군에 의한 민간인 학살 의혹이 제기되고 있다.
7. 1. 인권 탄압
앙골라 인민해방운동(MPLA) 정부는 앰네스티 인터내셔널(Amnesty International)과 휴먼라이츠워치(Human Rights Watch) 등 국제기구로부터 자의적 체포 및 구금, 고문 등의 인권 침해 혐의를 받았다.[30] 앙골라 내전 기간 동안 MPLA 정부는 반대파와 민간인에 대한 인권 탄압을 자행했다는 비판을 받아왔다. 특히, 1977년 니토 알베스 쿠데타 시도 이후 발생한 대규모 숙청은 수만 명의 희생자를 낳았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 MPLA 정부는 2008년 앙골라의 국제적 이미지 개선과 미국 고위 관료들과의 회의 "'촉진'"을 돕기 위해 사뮤엘스 인터내셔널 어소시에이츠(Samuels International Associates Inc)를 고용했다.[33] 할로윈 학살 등, 내전 중 MPLA 군에 의한 민간인 학살 의혹이 제기되고 있다.7. 2. 부정부패
7. 3. 언론 자유 침해
7. 4. 선거 부정 의혹
앙골라 해방인민운동(MPLA)은 선거 과정에서 부정을 저지르고, 야당을 탄압하여 정권을 유지한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43] 1992년 총선에서 인민해방운동(MPLA-PT)은 53.74%의 득표율과 의회 의석 227석 중 129석을 획득했으나, 8개의 야당은 부정선거라고 주장했다.[43] 이후 치러진 2008년 의회 선거에서 MPLA는 81.64%의 득표율과 의회 의석 220석 중 191석을 획득했으며,[44] 2012년 의회 선거에서는 71.84%의 득표율과 의회 의석 220석 중 175석을 차지했다.[45]2022년 총선거에서 MPLA는 약 51%의 득표율로 의회 의석 124석을 기록했고, 야당인 앙골라 완전독립 민족동맹(UNITA)은 44%의 득표율과 의회 의석 90석을 확보했다. 이는 MPLA가 30년 만에 최악의 선거 결과를 기록한 것이지만, 거의 모든 야당은 결과가 조작되었다고 주장했다.[46]
8. 평가
8. 1. 긍정적 평가
8. 2. 부정적 평가
8. 3. 한국의 관점
참조
[1]
뉴스
MPLA: João Lourenço diz que teve a coragem de lutar contra a corrupção
https://observador.p[...]
2022-08-18
[2]
서적
The Origins of the Angolan Civil War: Foreign Intervention and Domestic Political Conflict, 1961–76
https://link.springe[...]
Palgrave Macmillan
2001
[3]
학술지
Nationalism, Liberation, and Decolonization in Angola
https://oxfordre.com[...]
Oxford University Press
2021-08-31
[4]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Socialism
https://rowman.com/I[...]
Scarecrow Press
2006
[5]
서적
A Historical Companion to Postcolonial Literatures – Continental Europe and its Empires
Edinburgh University Press
2008
[6]
웹사이트
Estatuto do MPLA
https://mpla.ao/ao/d[...]
MPLA
2022-06-08
[7]
서적
Marxist Governments: A World Survey
https://link.springe[...]
Macmillan Publishers
1981
[8]
서적
Angola: From Afro-Stalinism to Petro-Diamond Capitalism
Indiana University Press
2001
[9]
학술지
The History of Angola
https://oxfordre.com[...]
Oxford University Press
2017-11-20
[10]
서적
The Oxford Handbook of the History of Communism
https://academic.oup[...]
Oxford Academic
2013-05-01
[11]
잡지
Humanitarian Intervention Is a Cloak for Military Aggression
https://jacobin.com/[...]
2021-12-13
[12]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Socialism
https://www.scribd.c[...]
The Scarecrow Press
2017-09-12
[13]
뉴스
Comité central do MPLA alargado para 497 membros
https://www.jornalde[...]
2019-06-15
[14]
서적
Africa Year Book and Who's who
[15]
서적
Angola: Struggle for Peace and Reconstruction
https://archive.org/[...]
[16]
서적
The Angolan Revolution
MIT Press
[17]
서적
Angola: O Conflito na Frente Leste
Âncora
[18]
서적
Managing Ethnic Conflict in Africa: Pressures and Incentives for Cooperation
Brookings Institution Press
[19]
서적
Cuba: The International Dimension
[20]
간행물
Communists coming clean about their past atrocities
Human Events
1990-10-13
[21]
서적
Soviet Communism: The Essentials
[22]
서적
In the Name of the People: Angola's Forgotten Massacre
https://books.google[...]
I.B.Tauris
2014-04-30
[23]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Angola
https://books.google[...]
[24]
보고서
Ending the Angolan Conflict
National Society for Human Rights
2000-07-03
[25]
편지
Letters
The Times
1992-11-06
[26]
웹사이트
Angola: Resumption of the civil war
http://www.eisa.org.[...]
EISA
[27]
웹사이트
Report Alleges US Role in Angola Arms-for-Oil Scandal
http://www.corpwatch[...]
CorpWatch
2008-02-10
[28]
보도자료
National Society for Human Rights
2000-09-12, 2001-05-16
[29]
웹사이트
Power Kills
http://www.hawaii.ed[...]
[30]
뉴스
UN reports Angola 'torture' abuse
http://news.bbc.co.u[...]
BBC News
2007-09-28
[31]
웹사이트
Angola
http://www.amnestyus[...]
[32]
웹사이트
Angola
https://www.hrw.org/[...]
[33]
뉴스
How a U.S. agency cleaned up Rwanda's genocide-stained image
https://www.theglobe[...]
The Globe and Mail
[34]
웹사이트
KWACHA UNITA PRESS THE NATIONAL UNION FOR THE TOTAL INDEPENDENCE OF ANGOLA UNITA STANDING COMMITTEE OF THE POLITICAL COMMISSION 1999 – Year of Generalised Popular Resistance – COMMUNIQUE NO. 39/CPP/99
https://irp.fas.org/[...]
2022-12-03
[35]
서적
Ambiguous Order: Military Forces In African States
[36]
서적
The Destruction of a Nation: United States Policy Towards Angola Since 1945
[37]
서적
The Crisis in Zaire
[38]
웹사이트
Angola-Ascendancy of the MPLA
http://www.mongabay.[...]
2017-07-06
[39]
논문
Imagery and Ideology in U.S. Policy Toward Libya 1969–1982
[40]
서적
China Report
[41]
서적
A Certain Curve of Horn: The Hundred-Year Quest for the Giant Sable Antelope of Angola
[42]
서적
The Crisis in Zaire
[43]
간행물
Ending the Angolan Conflict
National Society for Human Rights
2000-07-03
[44]
뉴스
Angolan ruling party gains about 82% of votes in legislative race
https://web.archive.[...]
Xinhua
2008-09-17
[45]
웹사이트
Eleicoes Gerais 2012: Resultados
https://web.archive.[...]
2012-11-29
[46]
뉴스
Angola after the election: No rest for the opposition – DW – 09/16/2022
https://www.dw.com/e[...]
[47]
웹사이트
Man Ah Warrior: The Tappa Zukie Story
https://daily.redbul[...]
2015-05-04
[48]
웹사이트
Pablo Moses – Revolutionary Dream
https://www.discogs.[...]
1975
[49]
웹사이트
Sex Pistols – Anarchy in the UK lyrics
https://genius.com/S[...]
[50]
웹사이트
Revolutionaries – Revolutionary Sounds
https://www.discogs.[...]
1976
[51]
뉴스
Call of Duty publisher sued by family of Angolan rebel
https://www.theguard[...]
2016-01-14
[52]
웹사이트
Mission 13 Pitch Dark
https://www.ign.com/[...]
IGN
2015-09
[53]
서적
小川編著(2010:275)
[54]
서적
星、林(1978:262)
[55]
서적
神戸(1987:214)
[56]
서적
神戸(1987:217)
[57]
서적
星、林(1978:263)
[58]
서적
神戸(1987:218-220)
[59]
서적
神戸(1987:220-223)
[60]
서적
神戸(1987:225)
[61]
서적
神戸(1987:226)
[62]
서적
星、林(1978:264)
[63]
서적
神戸(1987:226-227)
[64]
서적
青木(1989:234)
[65]
서적
青木(1984:115-117)
[66]
서적
青木(1984:118)
[67]
서적
青木(1984:119-120)
[68]
서적
青木(1984:113-114,122-124)
[69]
서적
青木(1984:124-129)
[70]
서적
青木(1989:244-245)
[71]
서적
トンプソン/宮本、吉國、峯、鶴見訳(2009)
2009
[72]
서적
1997
[73]
서적
1997
[74]
뉴스
Angolan ruling party gains about 82% of votes in legislative race
http://news.xinhuane[...]
XINHUANEWS
2008-09-17
[75]
웹사이트
議会選で与党MPLA、前回より議席減らすも勝利
https://www.jetro.go[...]
2021-09-01
[76]
웹사이트
Frelimo candidate Filipe Nyusi leading Mozambique presidential election
http://www.sardc.net[...]
[77]
서적
Mozambique in the twentieth century: from colonialism to independence
1979
[78]
서적
A History of FRELIMO
1982
[79]
서적
Encyclopedia Americana: Sumatra to Trampoline
2005
[80]
서적
Nyerere and Africa: End of an Era
2007
[81]
웹사이트
Frelimo candidate Filipe Nyusi leading Mozambique presidential election
http://www.sardc.net[...]
[82]
서적
Mozambique in the twentieth century: from colonialism to independence
1979
[83]
서적
A History of FRELIMO
1982
[84]
서적
Encyclopedia Americana: Sumatra to Trampoline
2005
[85]
서적
Nyerere and Africa: End of an Era
2007
[86]
웹사이트
Frelimo candidate Filipe Nyusi leading Mozambique presidential election
http://www.sardc.net[...]
[87]
서적
Mozambique in the twentieth century: from colonialism to independence
1979
[88]
서적
A History of FRELIMO
1982
[89]
서적
Encyclopedia Americana: Sumatra to Trampoline
2005
[90]
서적
Nyerere and Africa: End of an Era
200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