앙골라 독립 전쟁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앙골라 독립 전쟁은 1950년대 앙골라에서 민족주의 의식이 고조되며 시작되어, 포르투갈의 식민 지배에 저항하는 여러 독립 운동 단체의 결성으로 이어졌다. 1974년 포르투갈의 카네이션 혁명 이후, 앙골라 인민 해방 운동(MPLA), 앙골라 민족 해방 전선(FNLA), 앙골라 완전 독립 민족 동맹(UNITA) 간의 알보르 협정을 통해 독립이 결정되었지만, 각 세력 간의 권력 다툼으로 앙골라 내전으로 이어졌다. 이 전쟁에는 미국, 소련, 쿠바, 남아프리카 공화국 등 국제 세력이 개입했고, 1975년 독립 이후에도 내전이 지속되어 앙골라는 막대한 인명 피해와 사회적 혼란을 겪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앙골라 독립 전쟁 - [전쟁]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분쟁 명칭 | 앙골라 독립 전쟁 |
전체 | 포르투갈 식민지 전쟁 아프리카의 탈식민지화 냉전 |
날짜 | 1961년 2월 4일 – 1974년 4월 25일 (사격 중지), 1975년 11월 11일 (독립) |
장소 | 포르투갈령 앙골라 |
결과 | 앙골라의 독립 앙골라 인민공화국 수립 카네이션 혁명 후 휴전 및 독립 알보르 협정 1975년 앙골라 독립 및 앙골라 내전 시작 |
원인 | 앙골라 민족주의의 발흥, 다른 식민지의 독립 |
교전 세력 | |
교전국 1 | 앙골라 해방인민운동 앙골라 민족해방전선 앙골라 완전독립 민족동맹 카빈다 해방 전선 |
지원국 1 | 루마니아 콩고 인민공화국 |
교전국 2 | 남아프리카 공화국 |
지원국 2 | |
지휘관 | |
지휘관 1 | 아고스티뉴 네투 루시우 라라 홀덴 로베르토 조나스 사빔비 |
지휘관 2 | 안토니우 드 올리베이라 살라자르 프란시스코 다 코스타 고메스 마르셀루 카에타누 헨드릭 페르부르트 발타자르 요하너스 포르스터 |
병력 규모 | |
교전국 1 병력 | 90,000명 |
교전국 2 병력 | 65,000명 |
피해 규모 | |
교전국 1 피해 | 50,000명 이상 사망 |
교전국 2 피해 | 2,991명 사망 (전사 1,526명, 기타 1,465명) 영구적 신체/정신 장애 4,684명 |
민간인 피해 | 30,000-50,000명 사망 |
2. 역사적 배경
1482년, 디오구 칸이 이끄는 포르투갈 왕국의 카라벨선이 콩고 왕국에 도착하면서 앙골라와 포르투갈의 관계가 시작되었다. 포르투갈은 그리스도교와 선진 기술을 전파했고, 콩고 왕국은 노예, 상아, 광물 등을 제공하며 교류했다.
1575년, 파울루 디아스 드 노바이스는 루안다를 건설하고, 1605년 포르투갈 왕실은 루안다에 도시 지위를 부여했다. 벵겔라 등 다른 정착지도 건설되었다.[42][43] 초기 앙골라 진출 시기에는 칭가 엠반디 등 현지 지배자들의 저항이 있었고, 19세기까지 정복이 이어졌다.
1834년 앙골라는 포르투갈의 해외 주 지위를 얻었으나, 1926년부터 1951년까지는 '식민지'로 통치되었다. 1951년 앙골라는 다시 '해외 주' 지위를 회복했고, 1971년에는 자치권이 강화되어 앙골라 주가 되었다.[42][43]
앙골라의 인구 밀도는 항상 낮았다. 1960년에는 500만 명(백인 18만 명, 혼혈 5만 5천 명, 흑인 나머지), 1970년대에는 565만 명(백인 45만 명, 혼혈 6만 5천 명, 흑인 나머지)이었다.[44]
앙골라 주 정부는 총독이 이끌었고, 입법평의회와 정부평의회의 지원을 받았다. 1961년 앙골라의 지방 행정 구역은 다음과 같았다.
주 |
---|
카빈다 |
콩고 |
루안다 |
쿠안자 노르테 |
쿠안자 술 |
말란제 |
룬다 |
벵겔라 |
우암보 |
비에-쿠안도-쿠방고 |
모시코 |
모사메데스 |
우일라 |
1962년 콩고 지역은 자이레와 위제로, 비에-쿠안도-쿠방고 지역은 비에와 쿠안도-쿠방고로 분리되었다. 1970년에는 쿠네네 지역이 신설되었다. 각 지역은 총독과 지방 자치구 의회가 관리했다.
앙골라 독립 전쟁(1961년-1974년)은 면화 재배 강요에 대한 저항으로 시작되어 여러 민족 운동 및 분리 운동과의 충돌로 이어졌다.[118] 1974년 카네이션 혁명으로 포르투갈 정권이 붕괴되면서 앙골라는 독립을 맞이하게 되었다. 1975년 1월, 포르투갈 정부와 앙골라 3개 독립운동 단체(MPLA, UNITA, FNLA)는 알보르 협정을 체결하여 독립 전쟁을 공식적으로 종식시켰다.
2. 1. 1950년대 앙골라 민족주의 운동의 성장

1933년 6월 13일에 통과된 포르투갈 식민지법은 1951년 개정될 때까지 포르투갈 해외 영토와 본국 간의 관계를 규정했다. 이 법은 1920년대 후반과 1930년대 유럽 식민 열강들 사이에서 전형적인 제국주의적 관점을 반영했다. 이 법이 시행되는 동안 포르투갈 해외 영토는 "식민지(colony)"로 지정되었으며, 모든 포르투갈 해외 영토는 공식적으로 "포르투갈 식민 제국"으로 명명되었다.
식민지법은 포르투갈인의 원주민에 대한 우월성을 미묘하게 인정했으며, 원주민이 대학교를 포함한 모든 교육을 추구할 수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대부분의 전통적인 토착 공동체와 앙골라에 거주하는 포르투갈계 주민 사이의 심각한 문화적, 사회적 차이로 인해 사실상 불리한 상황에 처했다. 그 제국주의적 성향으로 인해 식민지법은 의문시되기 시작했다. 1951년 6월 11일, 포르투갈 국회에서 통과된 새로운 법률은 헌법을 개정하여 마침내 식민지법을 폐기했다. 이러한 조치의 일환으로 모든 포르투갈 해외 영토에 주 지위가 회복되었다. 이 법에 따라 앙골라 포르투갈 영토는 Colónia de Angolapt (앙골라 식민지)라고 불리는 것을 중단하고 다시 Província de Angolapt (앙골라 주)라고 공식적으로 불리기 시작했다.[42][43]
1948년, 비리아투 다 크루스와 다른 사람들은 앙골라 문화를 장려하는 단체인 젊은 지식인 운동을 결성했다. 민족주의자들은 앙골라에 유엔 감독하에 보호령 지위를 부여할 것을 요구하는 서한을 유엔에 보냈다. 1950년대에는 안토니우 드 올리베이라 살라자르 정부의 통치 하에 포르투갈 아프리카 전역, 앙골라 해외 주를 포함하여 새로운 포르투갈인 정착이 장려되었다.[48]
1953년, 앙골라 분리주의자들은 포르투갈로부터 앙골라의 독립을 주장하는 최초의 정당인 앙골라 아프리카인 연합 투쟁당(PLUAA)을 설립했다. 1954년, 벨기에령 콩고와 앙골라의 바콩고 민족주의자들은 앙골라 해외 주 외부의 다른 영토를 포함한 역사적인 콩고 왕국의 독립을 주장하는 앙골라 북부 인민 연합(UPA)을 결성했다.[49]
1955년, 마리우 핀투 드 안드라드와 그의 형제 조아킴 핀투 드 안드라드는 앙골라 공산당(PCA)을 결성했다. 1956년 12월 PLUAA는 PCA와 합병하여 앙골라 해방 인민 운동(MPLA)을 결성했다. 비리아투 다 크루스, 마리우 핀투 드 안드라드, 일리디오 마샤두, 루시오 라라가 이끄는 MPLA는 암분두와 루안다에서 지지를 받았다.[50][51][52][53]
3. 전쟁의 발발과 전개 (1961년-1974년)
1961년 2월, 루안다에서 발생한 앙골라 인민 해방 운동(MPLA)의 봉기와 3월, 북부 지역에서 발생한 앙골라 인민 연합(UPA)의 봉기는 앙골라 독립 전쟁의 시작을 알렸다.
1961년 1월 3일, 말란제 주 바이샤 드 카산제 지역의 소작농들은 더 나은 노동 조건과 높은 임금을 요구하며 코토낭(Cotona)의 목화 농장에서 보이콧을 일으켰다. 이 사건은 바이샤 드 카산제의 반란으로 알려져 있다. 2월 4일에는 루안다에서 50명의 독립주의 군인들이 경찰서와 성 바울로 교도소를 공격하여 7명의 경찰관을 살해했지만, 죄수 석방에는 실패했다. 2월 5일, 포르투갈인들은 루안다의 빈민가(무세쿠스, musseques)에 거주하는 흑인들을 대상으로 폭력적인 보복을 감행했다.[130]
3월 15일, 홀덴 로베르토가 이끄는 앙골라 인민 연합(UPA)은 콩고 민주 공화국(자이르)에서 앙골라 북부로 진입하여 농장, 정부 초소, 무역 센터를 공격하고, 관리들과 민간인들을 학살했다. 이 공격으로 백인 1,000명과 흑인 6,000명이 사망했으며, 이는 앙골라 독립 전쟁의 본격적인 시작을 알리는 사건이었다.[62]
포르투갈은 즉각 군대를 파견하여 진압 작전을 펼쳤다. 4월 11일, 국방 장관 줄리우 보텔류 모니즈는 쿠데타를 시도했지만 실패했다. 이후 살라자르 총리는 국방 장관직을 겸임하고 "앙골라로, 신속하고 강력하게"라는 슬로건을 내세우며 군사력 증강을 지시했다. 5월 13일, 포르투갈군은 앙골라 북부의 전략적 요충지를 점령하기 시작했고, 7월 10일에는 낭부앙곤고를 재탈환하기 위한 비리아투스 작전(Operação Viriato)을 개시했다.
앙골라 민족주의 세력은 게릴라전을 통해 저항했다. 1962년 3월, 로베르토는 UPA를 앙골라 민주당(PDA)과 합병하여 앙골라 민족 해방 전선(FNLA)을 결성하고, 앙골라 망명 혁명 정부(GRAE)를 수립했다. 조나스 사빔비는 외무부 장관으로 임명되었다. MPLA는 1962년 레오폴드빌에서 당 대회를 열고, 비리아투 다 크루즈를 대신하여 아고스티뉴 네투를 새 지도자로 선출했다.
1961년 한 해 동안 2만~3만 명의 앙골라인이 사망했고,[69][70] 30만~50만 명의 난민이 발생했다.[53][64] UPA는 자이르 국경 너머에서 계속 공격을 가하여 더 많은 난민을 발생시키고 지역 사회에 공포를 조장했다.[53][64]
1964년, 사빔비는 FNLA를 떠나 앙골라 완전 독립 민족 동맹(UNITA)을 설립했다. 네투는 1965년 체 게바라를 만났고, 곧 쿠바, 동독, 소련의 지원을 받기 시작했다.[7]
3. 1. 동부 전선의 개방과 분쟁의 심화 (1966년-1974년)
1966년 5월, 다니엘 치펜다는 Frente Lestept (동부 전선)을 설립하여 앙골라에서 MPLA의 영향력을 크게 확장했다. 그러나 EF가 붕괴되면서, 치펜다와 아고스티뉴 네투는 서로의 파벌을 비난했다.[64]조나스 사빔비가 이끄는 UNITA는 1966년 12월 25일 최초의 공격을 감행하여 잠비아와의 국경에 있는 테이셰이라 드 소우사에서 벵겔라 철도를 통과하는 열차 운행을 방해했다. 1967년에 UNITA는 철도를 두 차례 파괴하여 구리 수출을 위해 철도를 이용하는 잠비아 정부를 분노하게 만들었다. 케네스 카운다 대통령은 이에 대한 대응으로 잠비아에서 UNITA 전투원 500명을 추방했다. 사빔비는 이집트의 카이로로 이동하여 1년 동안 거주했다. 그는 잠비아를 통해 앙골라에 몰래 들어와 MPLA에 대항하여 포르투갈 군과 협력했다.[50][7]
UNITA는 앙골라 남동부의 외딴 지역에 주요 기지를 두고 있었는데, 이곳에서는 포르투갈과 FNLA의 영향력이 매우 미미했고 게릴라전이 전혀 없었다. UNITA는 처음부터 MPLA나 FNLA보다 훨씬 더 조직적이고 규율이 잘 잡혀 있었다.[76] UNITA 전투원들은 게릴라 작전에 대한 이해도가 훨씬 더 뛰어났다.[76] 그들은 특히 벵겔라 철도에서 활동하며 포르투갈과 수출품을 앙골라 항구로 운송하기 위해 철도를 이용하는 콩고 공화국과 잠비아에 반복적으로 피해를 입혔다.
1968년 5월 19일, FNLA는 앙골라 동부에 진입하여 현지 주민들을 상대로 최초의 폭력 행위를 자행했다.
1968년 10월, 포르투갈군은 MPLA에 대항하여 Vitóriapt (승리) 작전을 개시하여 앙골라 동부에 있는 주요 기지를 공격하고 파괴했다. 그중에서도 만두메 3세 기지(MPLA 3군 지역 사령부)가 포르투갈 특수부대에 의해 공격을 받아 중요한 문서들이 압수되었다.

1960년대 후반, FNLA와 MPLA는 포르투갈과 싸우는 것만큼 서로 싸웠으며, MPLA는 포르투갈군이 FNLA 은신처를 찾는 데 도움을 주었다.[7]
1969년 후반, 포르투갈군은 앙골라 동부에서 활동하는 게릴라 부대를 사냥하고 제압하기 위한 기동성이 뛰어난 복합 작전 부대인 ''시로코'' 전투단 (Agrupamentopt Siroco)을 편성했다. 작전 부대의 지상 부대는 특수부대 중심이었으며, 헬리콥터와 경비행기로 구성된 공중 부대의 지원을 받았다. 9월 1일, ''시로코'' 전투단은 동부 지역에서 일련의 매우 성공적인 작전을 개시했다. (각각 1970년과 1971년에 ''시로코 1970''과 ''시로코 1971''로 개편된) ''시로코'' 전투단은 3년 동안 활동했으며, 1972년에는 유사한 ''레이'' 전투단 (Agrupamentopt Raio)으로 교체되었다.
1971년, MPLA는 100~145명의 무장 세력으로 구성된 소대를 편성하기 시작했다. 60mm와 81mm 박격포로 무장한 이 소대들은 포르투갈군의 외곽 기지를 공격했다. 1972년 포르투갈군은 MPLA군에 대한 반란 진압 작전을 실시하여 일부 MPLA 캠프를 파괴했다. 또한, 남아프리카 국방군은 1972년 2월 모시코에서 MPLA군과 교전하여 공산주의 세력을 제압했다. 포르투갈군은 동부 전선 전체(프렌테 레스테)를 장악하고 평정하기 위한 성공적인 작전을 수행했다. 1972년 이후 포르투갈의 노력은 UNITA의 이탈로 도움을 받았는데, UNITA는 식민지군에게 MPLA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기 시작했다.[77] 네토는 패배하여 800명의 무장 세력과 함께 콩고 공화국으로 후퇴했다. 이후 MPLA 내의 여러 파벌들이 권력 다툼을 벌이다가 소련이 치펜다 파벌과 동맹을 맺었다. 3월 17일, FNLA 전투원 1,000명이 반란을 일으켰지만, 자이르군이 홀든 로베르토를 대신하여 반란을 진압했다.[78]

1973년, 치펜다는 MPLA를 탈퇴하고 1,500명의 전 MPLA 추종자들과 함께 동부 반란을 일으켰다. 탄자니아 대통령 줄리어스 니에레레는 1970년부터 MPLA에 자금을 지원하기 시작한 중화인민공화국을 설득하여 1973년 FNLA와 동맹을 맺게 했다. 홀든 로베르토는 12월에 중국을 방문하여 중국의 지원을 확보했다. 활동적 반란이 주류 MPLA에서 분리되자 소련은 1974년 MPLA에 대한 지원을 완전히 중단했다. 11월 네토가 지도력을 재확인하자 소련은 MPLA에 대한 지원을 재개했다.[64][7]
MPLA, UNITA, FNLA의 연합군은 전투에서의 성공이 아닌 포르투갈의 무장 세력 운동 쿠데타 때문에 반란에 성공했다.[79] MFA(무장세력운동)는 포르투갈군 하급 장교들의 조직으로, 1974년 4월 25일 카네이션 혁명을 일으켜 포르투갈 식민 전쟁을 종식시키고 포르투갈 해외 영토의 독립을 가져왔다.[41][80]
MFA는 권위주의적 정치 체제와 계속되는 아프리카 식민 전쟁, 특히 포르투갈 기니에서의 힘든 갈등에 항의하여 리스본 정부를 전복했다.[81] 혁명적인 포르투갈 정부는 남아 있던 식민지 군대를 철수시키고 아프리카 민족주의 운동에 대한 빠른 권력 이양에 동의했다. 이로써 포르투갈에 대한 독립 전쟁은 즉시 종식되었지만, 독립 세력과 그들의 동맹국들 간의 격렬한 무장 갈등의 문을 열었다. 홀든 로베르토, 아고스티뉴 네투, 조나스 사빔비는 7월 자이르 부카부에서 만나 하나의 정치 단체로서 포르투갈과 협상하기로 합의했지만, 그 후 다시 싸움이 시작되었다.
4. 국제 사회의 개입
1955년 인도네시아에서 열린 반둥 회의는 아프리카-아시아 경제 및 문화 협력을 증진하고 식민주의 또는 신식민주의에 반대하는 비동맹 운동의 중요한 발걸음이었으며, 앙골라 독립 전쟁은 이러한 국제 정세와 냉전의 영향을 받아 국제적인 분쟁으로 확대되었다.
1955년 국제 연합 가입 후, 유엔 사무총장은 포르투갈 정부에 비자치 지역 관할 여부를 질의했다. 그러나 포르투갈은 모든 해외 식민지가 포르투갈의 불가분의 일부이므로 유엔 헌장 제73조에 따른 정보 제공 의무가 없다고 답변했다.
1957년 가나가 크와메 은크루마의 지도 아래 독립했고, 1958년 아프리카 독립국 회의를 조직하여 아프리카의 반둥을 목표로 했다.
1960년 이웃 국가인 벨기에령 콩고가 콩고 공화국으로 독립한 직후, 콩고 위기가 발생하여 유엔과 벨기에군이 개입했고, 1965년 모부투 세세 세코의 집권으로 종결되었다.
1961년 존 F. 케네디 미국 대통령 취임 이후, 미국은 아프리카 민족주의 운동을 지원하기 시작했고, UPA에 대한 직접적인 지원을 시작했다.
1964년 북로디지아가 케네스 카운다의 지도 아래 잠비아로 독립하면서 앙골라 주변국은 남서아프리카를 제외하고는 모두 포르투갈에 적대적인 정권이 들어섰다.
4. 1. 미국
미국은 앙골라에서 마르크스주의 정권이 수립될 가능성을 우려하여 초기에는 북대서양 조약 기구(NATO) 동맹국인 포르투갈을 지원했다. 그러나 이후 앙골라 민족 해방 전선(FNLA)을 지원하며 앙골라 내전에 개입했다.[194]FNLA는 미국의 지원에 만족하지 않았고, 조나스 사빔비는 중화인민공화국과 좋은 관계를 맺어 더 많은 지원을 받았다. 미국은 1965년 초 애리조나주 투손의 한 회사에 더글러스 A-26 인베이더 폭격기 7대를 포르투갈에 판매하도록 허가했다. 이 항공기는 전 영국 공군 조종사 존 리처드 호크가 아프리카로 운반했는데, 그는 백악관 상공을 너무 낮게 비행하여 미국 공군에 의해 강제 착륙당하고 체포되었다. 호크는 불법 무기 판매 혐의로 기소되었으나 1년도 채 되지 않아 석방되었고, B-26 폭격기는 몇 년 후에야 앙골라에 배치되었다.[195]
4. 2. 소련
1960년대 후반, 소련은 앙골라 민족해방운동(MPLA)을 지원하며 앙골라 독립 전쟁에 개입했다. 앙골라 민족 해방 전선(FNLA)은 미국으로부터 매우 제한적인 무기만 지원받았고, 앙골라 완전독립 민족 동맹(UNITA)은 외부 지원을 거의 받지 못한 반면, 마르크스주의 MPLA는 모스크바와 매우 긴밀한 관계를 발전시켰고, 곧 탄자니아와 잠비아를 통해 상당한 무기를 수송받았다.[196][197]1969년 MPLA는 소련과 협정을 맺어, 소련으로부터 무기와 물자를 제공받는 대가로 독립 후 소련이 앙골라에 군사 기지를 설치할 권리를 부여했다. 그 결과, 1970년대 초 MPLA는 가장 강력한 앙골라 반식민지 운동이자 정당으로 발전했다.
4. 3. 쿠바
쿠바는 소련과 함께 MPLA을 지원하며 앙골라 내전에 개입했다. 쿠바는 앙골라에 군대를 파병하여 MPLA의 군사 작전을 지원했고, 앙골라 내전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4. 4. 남아프리카 공화국
미국 외에도 로디지아와 남아프리카 공화국이 이 전쟁에 개입했는데, 두 나라 모두 소수 백인이 정권을 장악하고 있었다. 이들 백인 선출 정부는 포르투갈이 패배하면 자국의 미래도 위태로워질 것을 우려했다. 처음에는 무기와 보급품 지원에 그쳤지만, 1968년에 이르러 남아프리카 공화국은 포르투갈 공군(FAP)에 알루엣 III 헬리콥터를 승무원과 함께 제공하기 시작했고, 결국 앙골라 남부와 중부에 남아프리카 공화국 방위군(SADF) 보병 여러 중대를 파병했다.[93] 그러나 당시 카신가의 철광산을 경비했다는 보고는 확인되지 않았다.결국, 여러 로디지아 조종사들이 FAP 헬리콥터를 조종하기 위해 고용되었다는 보고가 있었다. 그러나 1969년 첫 번째 포르투갈 부대가 SA330 헬리콥터를 장비했을 때, 그 승무원들은 거의 전적으로 남아프리카 공화국 사람들이었다. 로디지아 조종사들은 로디지아 왕립 공군(RRAF)에 있어 너무 귀중한 자원이었기 때문에 포르투갈을 지원하기 위해 파견되지 않았다. 남아프리카 국방군은 1968년 쿠이토 쿠아나발레에 설치한 CCAA(합동 공중 지원 센터)에서 조종사와 헬리콥터를 운용했다.
5. 포르투갈의 카네이션 혁명과 앙골라의 독립 (1974년-1975년)
1974년 카네이션 혁명으로 포르투갈의 에스타두 노부 정권이 붕괴되자, 신정부는 즉각 아프리카 식민지에서의 모든 군사 작전을 중단하고 독립을 승인한다고 선언했다.[119]
1974년 4월 25일, 포르투갈군 하급 장교들의 조직인 무장 세력 운동(MFA)은 카네이션 혁명을 일으켜 포르투갈 식민 전쟁을 종식시키고 포르투갈 해외 영토의 독립을 가져왔다.[41][80] 혁명적인 포르투갈 정부는 남아 있던 식민지 군대를 철수시키고 아프리카 민족주의 운동에 대한 빠른 권력 이양에 동의했다. 이로써 포르투갈에 대한 독립 전쟁은 즉시 종식되었지만, 독립 세력과 그들의 동맹국들 간의 격렬한 무장 갈등이 시작되었다.[79]
1975년 1월, 포르투갈 정부와 앙골라 민족주의 세력인 앙골라 인민 해방 운동(MPLA), 앙골라 완전 독립 민족 동맹(UNITA), 앙골라 민족 해방 전선(FNLA)은 알보르 협정을 체결하여 앙골라 독립을 보장하고 과도 정부를 수립하기로 합의했다.[82] 이 협정으로 독립 전쟁은 종식되었지만, 앙골라 내전으로 이어졌다.[53][82]
알보르 협정에 따라 1975년 1월 31일부터 독립 시점까지 포르투갈 고등판무관과 총리 위원회로 구성된 과도 정부가 앙골라를 통치할 예정이었다. 그러나 각 당파는 서로를 불신하며 무력으로 식민지를 장악하려 했고, 결국 연립 정부는 곧 무너졌다.[53][82]
1975년 7월, 다시 전투가 벌어졌고 MPLA는 FNLA를 루안다에서 몰아냈다. UNITA는 수도에서 남부의 거점으로 자발적으로 철수하여 국가를 위한 투쟁에 참여했다. 1975년 8월까지 MPLA는 카빈다와 루안다를 포함한 15개 주도 중 11개를 장악했다.[87] 1975년 11월 11일, 앙골라는 독립을 선포했다.[82]
6. 앙골라 독립 이후
MPLA와 포르투갈 간의 권력 이양 합의가 공개되자, 대규모 탈출이 시작되었다. 1975년 11월까지 30만 명 이상의 사람들이 앙골라를 떠났으며, 이들 중 대부분은 TAP 보잉 707 항공기를 이용해 탈출했다. 영국 왕립 공군도 비커스 VC10 여객기를 보내 6,000여 명의 난민을 추가로 대피시켰다.[198] 이 시점에서 앙골라 내전이 시작되어 신생 독립국 전역으로 확산되었다. 이 파괴적인 내전은 수십 년간 지속되었고, 독립 앙골라에서 백만 명의 목숨과 난민을 앗아갔다.[198],[96]
분쟁의 여파로 앙골라는 중앙 계획, 경제 개발 및 성장, 안보, 교육 및 의료 시스템 문제에서 악화에 직면했다. 포르투갈 식민지 전쟁에 연루된 다른 신생 아프리카 영토들처럼, 앙골라의 인간 개발 및 1인당 GDP 세계 순위는 떨어졌다.[199] 독립 후, 경제적, 사회적 불황, 부패, 빈곤, 불평등, 실패한 중앙 계획은 독립 이후의 초기 기대를 훼손했다.[97] 포르투갈 통치하에 존재했던 것과 비슷한 수준의 경제 발전은 독립 영토 정부의 주요 목표가 되었다. 급격한 불황과 앙골라 생활의 많은 지역의 혼란은 민족주의적 열정의 초기 추진력을 약화시켰다. 또한 백인과 물라토 앙골라인에 대한 이전의 해외 지역에서 흑인 인종차별이 발생하기도 했다.[200],[98]
7. 주요 참전 세력
- '''포르투갈군'''
앙골라 독립 전쟁에 참전한 포르투갈군은 포르투갈 국군을 주축으로, 보안 및 준군사 조직도 포함되었다. 앙골라 주둔 포르투갈군은 육군, 해군, 공군으로 구성되었으며, 앙골라군 총사령관의 통합 지휘를 받았다. 전쟁 초기에는 육군 사령관들이 공동 지휘를 맡았으나, 이후 베난시오 데슬란데스 장군(1961~1962, 총독 겸임)을 시작으로 여러 장군들이 총사령관을 역임했다. 총사령관은 전장 사령관으로서 3개 군의 병력을 조정했으며, 각 군 사령관은 총사령관 보좌관 역할을 했다.
전쟁 발발 당시 앙골라 주둔 포르투갈군은 6,500명에 불과했으나, 전쟁 말에는 65,000명 이상으로 증가했다. 이 중 절반 이상이 유럽 출신이었다.
앙골라의 육군은 포르투갈 육군의 제3군관구(1962년 "앙골라 군관구, RMA"로 개칭)를 구성했다. 초기에는 3개의 보병 연대와 여러 무기의 대대 규모 부대를 주요 도시에 집중시켰으나, 전쟁 중에는 현지에서 모집된 야전 부대와 유럽에서 파견된 증원 부대가 포함되었다. 이들은 대부분 경보병 대대와 caçadores|카사도레스pt로 지정된 독립 중대였으며, 자율적이고 독립적으로 작전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이들은 작전 지역을 따라 그리드 시스템(quadrícula|콰드리쿨라pt)에 배치되었다. 육군은 또한 포병, 기갑 정찰, 공병, 통신, 신호 정보, 군사 경찰 및 정비 지원의 정규 부대를 배치했으며, 특수 부대도 운용했다.
포르투갈 해군 부대는 앙골라 해군 사령부의 지휘를 받았다. 이 부대에는 자이르 소함대대(운용 자이르 강), 해군 자산(순차적으로 앙골라에 배치된 프리깃함 및 코르벳함 포함), 해병대 중대 및 특수 해병대 분견대가 포함되었다. 해군은 주로 자이르 강에서 게릴라 침투를 차단하는 임무를 맡았으며, 앙골라 동부의 강에서도 작전을 수행했다.
앙골라에 주둔한 포르투갈 공군 자산은 루안다에 본부를 둔 포르투갈 공군 제2항공지역의 지휘를 받았다. 여기에는 중앙 공군기지, 2개의 지역 공군기지, 여러 위성 비행장이 포함되었다. 공군은 제21공수대대를 유지했는데, 처음에는 낙하산을 이용하여 배치되었지만 나중에는 주로 헬리콥터를 이용한 공중 강습에 사용되었다. 또한, 민간 조종사로 구성된 자원 항공 편대의 지원을 받아 항공 물류 지원 임무를 수행했다. 1970년대 초에는 4대의 F-84G, 6대의 PV-2 해푼, 13대의 노르 노르아틀라스, C-47 및 C-57 수송기, 30대의 알루엣 III 및 퓨마 헬리콥터, 18대의 T-6 및 26대의 도르니에 Do 27 정찰기가 있었다. 1960년대 후반부터 앙골라 남부의 포르투갈군은 남아프리카 공군의 지원을 받았다.
앙골라의 치안 당국은 주지사가 이끄는 민정 당국의 통제를 받았다. 전쟁에 참여한 부대는 공공안전경찰(PSP)과 PIDE(1969년 DGS로 개명)였다. 1960년대 중반까지 이들 부대는 1만 명의 PSP 경찰관과 1,100명의 PIDE 요원으로 구성되었다.
- '''앙골라 인민 해방 운동(MPLA)'''

앙골라 민족해방운동(MPLA)은 1956년 앙골라 아프리카인 연합투쟁당(PLUAA)과 앙골라 공산당(PCA)의 합병으로 설립된 좌익 정치 조직이다. 앙골라 지식인 계층과 도시 엘리트 중 혼혈 및 백인 구성원들로 이루어졌으며, 여러 민족 집단의 지지를 받았다. 아고스티뉴 네투(의장)와 비리아투 다 크루즈(사무총장)가 이끌었으며, 주로 소련과 쿠바의 지원을 받았다.
MPLA의 무장 부대는 앙골라 인민해방군(EPLA)이었다. 전성기에는 약 4,500명의 전투원으로 구성되었으며, 군사 지역으로 조직되었다. 주로 소련제 무기를 사용했다.
- '''앙골라 민족 해방 전선(FNLA)'''
앙골라 민족해방전선(FNLA)은 1962년 3월 앙골라 인민동맹(UPA)과 앙골라 민주당의 합병으로 결성되었다. 앙골라 망명 정부(GRAE)를 수립하고 조나스 사빔비를 외무장관으로 임명했다. 홀덴 로베르토는 콩고민주공화국(자이르)의 대통령 모부투 세세 세코와 정치 동맹을 맺었으며, 이스라엘 정부로부터 지원을 받았다.
- '''앙골라 완전 독립 민족 동맹(UNITA)'''

앙골라 완전 독립을 위한 연합(UNITA)은 1966년 FNLA의 반체제 인사인 조나스 사빔비에 의해 설립되었다. 사빔비는 앙골라 중남부 출신의 오빔분두(Ovimbundu) 부족 구성원이었으며, 처음에는 마오주의 이데올로기를 따랐으며 중화인민공화국의 지원을 받았지만, 1975년 이후 반공주의 강령으로 전환했다.
앙골라 해방군(FALA)은 UNITA의 무장 부대였다. 전투원이 적었고 장비도 좋지 않아, 사빔비는 포르투갈 당국과 협정을 맺고 MPLA와의 싸움에 집중했다. 전쟁이 끝났을 때 UNITA는 앙골라 영토 내에서 작전을 수행하는 세력을 유지할 수 있었던 유일한 민족주의 운동이었다.
- '''카빈다 앙클라브 해방전선(FLEC)'''
카빈다 앙클라브 해방전선(FLEC)은 1963년 카빈다 앙클라브 해방운동(MLEC), 카빈다 국민연합 행동위원회(CAUNC) 및 마욤베 국민동맹(ALLIAMA)의 합병으로 설립되었다. FLEC는 앙골라 전체의 독립이 아닌 카빈다주의 독립을 위해 싸웠다. FLEC의 활동은 포르투갈의 앙골라 철수 이전부터 시작되었지만, 군사 행동은 주로 그 이후에 발생했으며 앙골라군과 보안군을 목표로 했다. FLEC는 오늘날까지 게릴라전을 유지하는 유일한 민족주의 및 분리주의 운동이다.
- '''동부 반란(RDL)'''
동부 반란(RDL)은 1973년 다니엘 쉬펜다의 지휘 아래 아고스티뉴 네투의 노선에 반대하여 창설된 MPLA의 반체제 세력이었다.
8. 전후 앙골라에 미친 영향
MPLA과 포르투갈의 권력 이양 합의가 알려지자, 많은 사람들이 앙골라를 떠나기 시작했다. 1975년 11월까지 30만 명 이상이 TAP 보잉 707 항공기를 이용해 앙골라를 탈출했고, 영국 공군도 비커스 VC10 여객기로 6,000여 명의 난민을 추가로 수송했다.[198] 이 시기에 앙골라 내전이 발발하여 신생 독립국 전역으로 확산되었다. 이 파괴적인 내전은 수십 년 동안 지속되며 백만 명 이상의 사망자와 난민을 발생시켰다.[198]
내전의 여파로 앙골라는 중앙 계획, 경제 개발 및 성장, 안보, 교육, 의료 시스템 등 여러 분야에서 어려움을 겪었다. 포르투갈 식민지 전쟁을 겪은 다른 아프리카 신생 독립국들과 마찬가지로, 앙골라의 인간 개발 및 1인당 GDP 순위는 하락했다.[199] 독립 이후 경제적, 사회적 불황, 부패, 빈곤, 불평등, 실패한 중앙 계획 등은 독립 초기의 기대를 저버렸다. 포르투갈 통치 시기와 비슷한 수준의 경제 발전을 이루는 것이 독립 정부의 주요 목표가 되었지만, 급격한 불황과 사회 혼란은 민족주의적 열정을 약화시켰다. 또한, 백인과 물라토 앙골라인에 대한 흑인 인종차별이 발생하기도 했다.[200]
참조
[1]
서적
A Political History of the Civil War in Angola, 1974-1990
2020
[2]
웹사이트
ANGOLA, NATIONAL LIBERATION, AND THE SOVIET UNION
https://apps.dtic.mi[...]
[3]
서적
The Cold War: The Definitive Encyclopedia and Document Collection
https://books.google[...]
Abc-Clio
2020
[4]
서적
The Soviet Union and Revolutionary Warfare: Principles, Practices, and Regional Comparisons
1988
[5]
서적
Cuba: The International Dimension
1990
[6]
서적
Cuba in the World
1979
[7]
서적
Modern African Wars: Angola and Mozambique, 1961–74
[8]
웹사이트
Soviet Activities in Sub-Saharan Africa: Final Report
https://books.google[...]
Foreign Policy Research Institute
1988-07-17
[9]
웹사이트
Current Background
https://books.google[...]
American Consulate General.
1974-12-17
[10]
웹사이트
Radio Free Europe Research
https://books.google[...]
RFE/RL
1979-04-17
[11]
서적
Ambiguous Order: Military Forces In African States
https://archive.org/[...]
Lynne Rienner
[12]
서적
Conflicting Missions: Havana, Washington, and Africa, 1959-1976
The University of North Carolina Press
2002
[13]
웹사이트
Angola-Ascendancy of the MPLA
https://data.mongaba[...]
[14]
논문
Imagery and Ideology in U.S. Policy Toward Libya 1969–1982
[15]
학술지
Brazilian Relations with Portuguese Africa in the Context of the Elusive "Luso-Brazilian Community"
[16]
학술지
Report from Angola
https://www.jstor.or[...]
1975
[17]
서적
Foreign Intervention in Africa: From the Cold War to the War on Terror
2013
[18]
서적
China and Africa: A Century of Engagement
2012
[19]
서적
Armed Forces and Modern Counter-insurgency
1985
[20]
웹사이트
Soviet Activities in Sub-Saharan Africa: Final Report
https://books.google[...]
Foreign Policy Research Institute
1988-07-17
[21]
웹사이트
Current Background
https://books.google[...]
American Consulate General.
1974-12-17
[22]
웹사이트
Radio Free Europe Research
https://books.google[...]
RFE/RL
1979-04-17
[23]
웹사이트
FNLA – um movimento em permanente letargia, guerracolonial.org
http://www.guerracol[...]
[24]
서적
Ambiguous Order: Military Forces In African States
https://archive.org/[...]
Lynne Rienner
[25]
서적
The Cuban Intervention in Angola, 1965-1991
2004
[26]
서적
Maghreb Noir: The Militant-Artists of North Africa and the Struggle for a Pan-African, Postcolonial Future
https://books.google[...]
Stanford University Press
[27]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the Democratic Republic of the Congo
https://books.google[...]
Scarecrow Press
[28]
학술지
Brazilian Relations with Portuguese Africa in the Context of the Elusive "Luso-Brazilian Community"
[29]
서적
The Warrior Tradition in Modern Africa
Brill Academic
[30]
웹사이트
1975, Angola: Mercenaries, Murder and Corruption
http://coat.ncf.ca/o[...]
2020-01-28
[31]
서적
Cold War Liberation: The Soviet Union and the Collapse of the Portuguese Empire in Africa, 1961-1975
The University of North Carolina Press
2022
[32]
웹사이트
The South African Air Force
http://www.saairforc[...]
[33]
서적
Regional Orders: Building Security in a New World
1997
[34]
웹사이트
Angola Army - History
https://www.globalse[...]
[35]
웹사이트
Mid-Range Wars and Atrocities of the Twentieth Century
http://users.erols.c[...]
2024-03-07
[36]
웹사이트
Portugal Angola - Flags, Maps, Economy, History, Climate, Natural Resources, Current Issues, International Agreements, Population, Social Statistics, Political System
https://www.photius.[...]
[37]
웹사이트
Mid-Range Wars and Atrocities of the Twentieth Century
http://users.erols.c[...]
2024-03-07
[38]
웹사이트
Angola lembra 4 de Fevereiro de 1961 início da Luta Armada de Libertação Nacional
https://web.archive.[...]
2020-01-11
[39]
웹사이트
National Hero's deeds for independence highlighted - Politics - Angola Press - ANGOP
http://www.angop.ao/[...]
[40]
서적
The Angolan Revolution
MIT Press
[41]
웹사이트
Angola 1966–74
https://web.archive.[...]
[42]
서적
The Facts on File Dictionary of 20th Century History, 1900–1978
[43]
서적
Introduction to Human Geography
[44]
서적
Whites in Angola on the Eve of Independence: The Politics of Numbers
[45]
서적
Modern African Wars: Angola and Mocambique 1961–74
https://archive.org/[...]
Bloomsbury USA
[46]
문서
African Troops in the Portuguese Colonial Army, 1961–1974: Angola, Guinea-Bissau and Mozambique
[47]
간행물
African Troops in the Portuguese Colonial Army, 1961–1974: Angola, Guinea-Bissau and Mozambique
[48]
웹사이트
(DADOS PARA A) HISTÓRIA DA LÍNGUA PORTUGUESA EM MOÇAMBIQUE
http://www.instituto[...]
[49]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European Imperialism
[50]
서적
The Destruction of a Nation: United States Policy Towards Angola Since 1945
[51]
서적
Culture And Customs of Angola
[52]
서적
Africa Year Book and Who's who
[53]
서적
Angola: Struggle for Peace and Reconstruction
https://archive.org/[...]
[54]
웹사이트
inapertwa: Angola
http://inapertwa.blo[...]
2009-02-07
[55]
웹사이트
Portugal
https://web.archive.[...]
Stanford University
2009-02-07
[56]
웹사이트
A Sublevação da Baixa do Cassange
https://www.revistam[...]
[57]
서적
The Destruction of a Nation: United States' Policy Towards Angola Since 1945
[58]
서적
Sweden and National Liberation in Southern Africa
[59]
웹사이트
Os assaltos de 4 de fevereiro em Luanda e o massacre de 15 de março no norte de Angola – antecedentes
https://www.revistam[...]
[60]
웹사이트
Angola: War of Independence
https://sites.tufts.[...]
[61]
웹사이트
A Bio-Sketch of Dr. Jonas Malheiro Savimbi
https://reliefweb.in[...]
1997-09-03
[62]
웹사이트
Angola discutida na Assembleia Geral das Nações Unidas
http://www.guerracol[...]
[63]
서적
Africa's Armies: From Honor to Infamy
https://archive.org/[...]
Westview Press
[64]
서적
The Cuban Intervention In Angola, 1965–1991: from Che Guevara to Cuito Cuanavale
https://archive.org/[...]
Frank Cass
[65]
서적
Cronologia_da_guerra_colonial
https://books.google[...]
[66]
Youtube
A «GUERRA» 1º Episódio «Massacres da UPA»
https://www.youtube.[...]
[67]
서적
Angola 1961
[68]
서적
Resolutions and statements of the United Nations Security Council (1946–1989): a thematic guide
BRILL
[69]
서적
A World Atlas of Military History 1945–1984
[70]
서적
Dictionary of Wars
Facts on File
[71]
서적
Angola: Struggle for Peace and Reconstruction
https://archive.org/[...]
[72]
서적
Southern Africa in Transition, American Society of African Culture
[73]
서적
The Israeli Connection: Whom Israel Arms and Why
[74]
서적
Portugal and Its Empire: The Truth
[75]
서적
A Certain Curve of Horn: The Hundred-Year Quest for the Giant Sable Antelope of Angola
[76]
웹사이트
EISA Angola: First civil war (1975-1992)
https://www.eisa.org[...]
2020-05-27
[77]
서적
Cold War Liberation: The Soviet Union and the Collapse of the Portuguese Empire in Africa, 1961-1975
The University of North Carolina Press
2022
[78]
서적
The Cuban Intervention in Angola, 1965–1991
Routledge
[79]
서적
A guerra de Angola 1961 - 1974
Quidnovi
[80]
서적
The Superpowers and Africa: The Constraints of a Rivalry:1960–1990
Univ. Of Chicago
[81]
웹사이트
Movimento das Forças Armadas (MFA)
http://www.infopedia[...]
Porto Editora
2009-01-07
[82]
서적
Managing Ethnic Conflict in Africa: Pressures and Incentives for Cooperation
[83]
서적
Engaging Africa: Washington and the Fall of Portugal's Colonial Empire
[84]
서적
Unrepresented Nations and Peoples Organization Yearbook
[85]
서적
The Global Cold War: Third World Interventions and the Making of Our Times
https://archive.org/[...]
Cambridge University Press
[86]
서적
The Americana Annual: An Encyclopedia of Current Events, 1877–1976
[87]
서적
The USSR in Third World Conflicts: Soviet Arms and Diplomacy in Local Wars, 1945–1980
[88]
서적
The Encyclopedia of World History: Ancient, Medieval, and Modern, Chronologically Arranged
https://archive.org/[...]
Houghton Mifflin
[89]
서적
Grasping The Nettle: Analyzing Cases Of Intractable Conflict
[90]
웹사이트
1975, Angola: Mercenaries, Murder and Corruption
http://coat.ncf.ca/o[...]
Coalition to Oppose the Arms Trade
[91]
웹사이트
Jonas Savimbi: Washington's "Freedom Fighter," Africa's "Terrorist"
http://www.fpif.org/[...]
2009-02-09
[92]
웹사이트
KISSINGER IN ANGOLA: ANATOMY OF FAILURE
http://www-rcf.usc.e[...]
2009-02-09
[93]
웹사이트
THE AIRFORCE – THE BORDER WAR
http://www.saairforc[...]
2009-02-09
[94]
웹사이트
SOVIET AND CUBAN AID TO THE MPLA IN ANGOLA FROM MARCH THROUGH DECEMBER 1975 (NI – CIA document
http://www.faqs.org/[...]
2009-02-09
[95]
웹사이트
Castro's Secret War 1
http://www.rhodesia.[...]
2009-02-09
[96]
웹사이트
The Decolonization of Portuguese Africa: Metropolitan Revolution and the Dissolution of Empire
https://www.jstor.or[...]
[97]
웹사이트
AFRICA-PORTUGAL: Three Decades After Last Colonial Empire Came to an End
http://ipsnews.net/n[...]
[98]
웹사이트
Castro's 1977 southern Africa tour: A report to Honecker
http://www.cnn.com/S[...]
[99]
서적
The Soviet Union and Revolutionary Warfare: Principles, Practices, and Regional Comparisons
[100]
서적
Cuba: The International Dimension
[101]
서적
Cuba in the World
[102]
서적
Foreign Intervention in Africa: From the Cold War to the War on Terror
[103]
서적
China and Africa: A Century of Engagement
[104]
서적
Armed Forces and Modern Counter-insurgency
[105]
서적
Algeria: The Politics of a Socialist Revolution
[106]
웹사이트
Angola-Ascendancy of the MPLA
http://www.mongabay.[...]
[107]
서적
Contested Power in Angola: 1840s to the Present
[108]
서적
Southern Africa in Transition
[109]
서적
Warfare in Independent Africa
[110]
웹사이트
Libya Relations with Sub-Saharan Africa
http://www.photius.c[...]
[111]
서적
Violence in Southern Africa
[112]
서적
War in Peace: Conventional and Guerrilla Warfare Since 1945
[113]
서적
Government and politics in Africa
[114]
서적
Liberia and Independent Africa, 1940s To 2012: A Brief Political Profile
[115]
웹사이트
THE BORDER WAR
http://www.saairforc[...]
[116]
서적
Regional Orders: Building Security in a New World
[117]
웹사이트
Portugal Angola
http://www.photius.c[...]
[118]
서적
The Angolan Revolution
[119]
웹사이트
Angola 1966–74
http://petrinus.com.[...]
[120]
서적
The Facts on File Dictionary of 20th Century History, 1900–1978
[121]
서적
Introduction to Human Geography
[122]
웹사이트
(DADOS PARA A) HISTÓRIA DA LÍNGUA PORTUGUESA EM MOÇAMBIQUE
http://www.instituto[...]
Instituto Camões
[123]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European Imperialism
[124]
서적
The Destruction of a Nation: United States Policy Towards Angola Since 1945
[125]
서적
Culture And Customs of Angola
[126]
서적
Africa Year Book and Who's who
[127]
서적
Angola: Struggle for Peace and Reconstruction
[128]
웹사이트
inapertwa: Angola
http://inapertwa.blo[...]
2009-02-07
[129]
웹사이트
Portugal
http://www.stanford.[...]
Stanford University
2009-02-07
[130]
서적
The Destruction of a Nation: United States' Policy Towards Angola Since 1945
[131]
서적
Sweden and National Liberation in Southern Africa
[132]
웹사이트
Angola discutida na Assembleia Geral das Nações Unidas
http://www.guerracol[...]
guerracolonial.org
[133]
Youtube
A «GUERRA» 1º Episódio «Massacres da UPA»
https://www.youtube.[...]
[134]
서적
Africa's Armies: From Honor to Infamy
[135]
서적
The Cuban Intervention In Angola, 1965–1991: from Che Guevara to Cuito Cuanavale
[136]
서적
Angola 61: Guerra Colonial, Causas e Consequências. O 4 de Fevereiro e o 15 de Março
Texto Editores
[137]
서적
A World Atlas of Military History 1945–1984
[138]
서적
Dictionary of Wars
Facts on File
[139]
서적
Resolutions and statements of the United Nations Security Council (1946–1989): a thematic guide
BRILL
[140]
서적
Angola: Struggle for Peace and Reconstruction
[141]
서적
Southern Africa in Transition
American Society of African Culture
[142]
서적
The Israeli Connection: Whom Israel Arms and Why
[143]
서적
Portugal and Its Empire: The Truth
[144]
서적
A Certain Curve of Horn: The Hundred-Year Quest for the Giant Sable Antelope of Angola
[145]
서적
Modern African Wars: Angola and Mozambique, 1961–74
[146]
서적
Modern African Wars: Angola and Mocambique 1961–74
[147]
문서
African Troops in the Portuguese Colonial Army, 1961–1974: Angola, Guinea-Bissau and Mozambique
[148]
간행물
African Troops in the Portuguese Colonial Army, 1961–1974: Angola, Guinea-Bissau and Mozambique
[149]
서적
The Cuban Intervention in Angola, 1965–1991
Routledge
[150]
서적
The Superpowers and Africa: The Constraints of a Rivalry:1960–1990
Univ. Of Chicago
[151]
웹사이트
Movimento das Forças Armadas (MFA)
http://www.infopedia[...]
Porto Editora
2009-01-07
[152]
서적
Managing Ethnic Conflict in Africa: Pressures and Incentives for Cooperation
[153]
서적
Engaging Africa: Washington and the Fall of Portugal's Colonial Empire
[154]
서적
Unrepresented Nations and Peoples Organization Yearbook
[155]
서적
The Global Cold War: Third World Interventions and the Making of Our Times
[156]
서적
The Americana Annual: An Encyclopedia of Current Events, 1877–1976
[157]
서적
The USSR in Third World Conflicts: Soviet Arms and Diplomacy in Local Wars, 1945–1980
[158]
서적
The Encyclopedia of World History: Ancient, Medieval, and Modern, Chronologically Arranged
[159]
서적
Grasping The Nettle: Analyzing Cases Of Intractable Conflict
[160]
웹사이트
1975, Angola: Mercenaries, Murder and Corruption
http://coat.ncf.ca/o[...]
[161]
웹사이트
Jonas Savimbi: Washington's "Freedom Fighter," Africa's "Terrorist"
http://www.fpif.org/[...]
2009-02-09
[162]
웹사이트
KISSINGER IN ANGOLA: ANATOMY OF FAILURE
http://www-rcf.usc.e[...]
2009-02-09
[163]
웹사이트
THE AIRFORCE – THE BORDER WAR
http://www.saairforc[...]
2009-02-09
[164]
웹사이트
SOVIET AND CUBAN AID TO THE MPLA IN ANGOLA FROM MARCH THROUGH DECEMBER 1975 (NI – CIA document
http://www.faqs.org/[...]
2009-02-09
[165]
웹사이트
Castro's Secret War 1
http://www.rhodesia.[...]
2009-02-09
[166]
웹사이트
The Decolonization of Portuguese Africa: Metropolitan Revolution and the Dissolution of Empire
http://links.jstor.o[...]
[167]
웹사이트
Praying for Marxism in Africa
http://www.frontpage[...]
2009-03-13
[168]
웹사이트
AFRICA-PORTUGAL: Three Decades After Last Colonial Empire Came to an End
http://ipsnews.net/n[...]
[169]
웹사이트
Castro's 1977 southern Africa tour: A report to Honecker
http://www.cnn.com/S[...]
[170]
서적
Conflicting Missions: Havana, Washington, and Africa, 1959-1976
https://archive.org/[...]
The University of North Carolina Press
2002
[171]
서적
The Soviet Union and Revolutionary Warfare: Principles, Practices, and Regional Comparisons
[172]
서적
Cuba: The International Dimension
[173]
서적
Cuba in the World
[174]
서적
Foreign Intervention in Africa: From the Cold War to the War on Terror
[175]
서적
China and Africa: A Century of Engagement
[176]
서적
Armed Forces and Modern Counter-insurgency
1985
[177]
웹인용
Soviet Activities in Sub-Saharan Africa: Final Report
https://books.google[...]
Foreign Policy Research Institute
1988-07-17
[178]
웹인용
Current Background
https://books.google[...]
American Consulate General.
1974-12-17
[179]
웹인용
Radio Free Europe Research
https://books.google[...]
RFE/RL
1979-04-17
[180]
서적
Modern African Wars: Angola and Mozambique, 1961–74
[181]
웹인용
Castro's Secret War - 4
http://www.rhodesia.[...]
[182]
간행물
Mozambique revolution
FRELIMO. Departamento de Informação e Propaganda
[183]
서적
The Flawed Architect:Henry Kissinger and American Foreign Policy
2004
[184]
서적
The Israeli connection: Whom Israel arms and why
IB Tauris
[185]
웹인용
FNLA – um movimento em permanente letargia, guerracolonial.org
http://www.guerracol[...]
2022-12-10
[186]
서적
Algeria: The Politics of a Socialist Revolution
1970
[187]
서적
Southern Africa in Transition
1966
[188]
웹인용
Angola-Ascendancy of the MPLA
https://data.mongaba[...]
[189]
저널
Brazilian Relations with Portuguese Africa in the Context of the Elusive "Luso-Brazilian Community"
[190]
웹인용
The South African Air Force
http://www.saairforc[...]
[191]
서적
Regional Orders: Building Security in a New World
1997
[192]
서적
The Angolan Revolution
MIT Press
[193]
웹사이트
Angola 1966–74
https://web.archive.[...]
[194]
웹인용
Jonas Savimbi: Washington's "Freedom Fighter," Africa's "Terrorist"
https://web.archive.[...]
2009-02-09
[195]
웹인용
KISSINGER IN ANGOLA: ANATOMY OF FAILURE
https://wayback.arch[...]
2009-02-09
[196]
웹인용
SOVIET AND CUBAN AID TO THE MPLA IN ANGOLA FROM MARCH THROUGH DECEMBER 1975 (NI – CIA document
https://web.archive.[...]
2009-02-09
[197]
웹인용
Castro's Secret War 1
http://www.rhodesia.[...]
2009-02-09
[198]
저널
The Decolonization of Portuguese Africa: Metropolitan Revolution and the Dissolution of Empire
https://www.jstor.or[...]
[199]
뉴스
AFRICA-PORTUGAL: Three Decades After Last Colonial Empire Came to an End
http://ipsnews.net/n[...]
[200]
뉴스
Castro's 1977 southern Africa tour: A report to Honecker
http://www.cnn.com/S[...]
CNN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