앙골라 완전독립 민족동맹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앙골라 완전독립 민족동맹(UNITA)은 1966년 조나스 사빔비와 안토니오 다 코스타 페르난데스에 의해 설립된 앙골라의 정당이다. 포르투갈 식민 통치에 저항하며 앙골라 내전에서 주요 세력으로 활동했다. UNITA는 1960년대 마오주의를 표방했으나, 이후 미국, 남아프리카 공화국 등으로부터 지원을 받으며 반공주의 노선을 걸었다. 1992년 앙골라 총선 이후 무력 충돌을 재개했고, 2002년 조나스 사빔비 사망 이후 정부와 휴전하여 무장 투쟁을 중단했다. 이후 선거에 참여했으나 집권에는 실패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앙골라의 정당 - 앙골라 민족해방전선
앙골라 민족해방전선(FNLA)은 콩고족 중심의 앙골라 북부 인민동맹(UPNA)에서 시작된 앙골라 정당으로, 독립 전쟁 중 무장 봉기 실패 후 자이르로 망명하여 재편되었으며, 미국과 자이르의 지원을 받으며 MPLA와 UNITA와 함께 독립 투쟁을 벌였고, 독립 후 MPLA와의 내전에서 패배 후 야당으로 활동하며 의회 진출에 성공했으나 지지율 하락을 겪었으며, 부족주의적 성향과 외부 세력 의존으로 비판받는다. - 앙골라의 정당 - 앙골라 해방인민운동
앙골라 인민해방운동(MPLA)은 1956년 앙골라에서 결성된 정당으로, 앙골라 독립 전쟁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고 독립 후 장기 집권하며 앙골라 내전을 겪었으며, 초기 마르크스-레닌주의를 표방했으나 냉전 종식 후 사회민주주의 노선으로 전환, 2022년 총선에서 과반수 의석을 확보했지만 득표율 감소와 함께 정치 지형 변화를 겪고 있다. - 20세기 앙골라 - 앙골라 해방인민운동
앙골라 인민해방운동(MPLA)은 1956년 앙골라에서 결성된 정당으로, 앙골라 독립 전쟁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고 독립 후 장기 집권하며 앙골라 내전을 겪었으며, 초기 마르크스-레닌주의를 표방했으나 냉전 종식 후 사회민주주의 노선으로 전환, 2022년 총선에서 과반수 의석을 확보했지만 득표율 감소와 함께 정치 지형 변화를 겪고 있다. - 20세기 앙골라 - 콩고 왕국
콩고 왕국은 14세기 말 콩고 강 유역에서 건국되어 중앙 집권화된 정치 체제와 교역으로 번영을 누렸으나, 노예 무역과 내전으로 쇠퇴하여 1914년 포르투갈에 의해 멸망했다.
앙골라 완전독립 민족동맹 - [정당]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약칭 | UNITA |
창립일 | 1966년 3월 13일 |
해산일 | (해산되지 않음) |
본부 위치 | 루안다 |
지도자 | 아달베르투 코스타 주니오르 |
청년 조직 | 앙골라 혁명통합청년 |
여성 조직 | 앙골라 여성동맹 |
이념 | 빅 텐트 보수주의 반공주의 과거: 공산주의 마오주의 반소비에트주의 |
정치적 위치 | 중도 ~ 우익 과거: 극좌 |
국제 연맹 | 중도민주 인터내셔널 |
웹사이트 | 앙골라 완전 독립 민족 동맹 공식 웹사이트 |
![]() | |
의회 | |
의석수 | 90석 |
의석 점유율 | }} |
총 의석수 | 220석 |
의회 | 국민의회 |
의석수 집계일 | 2022년 8월 24일 |
기타 정보 | |
모체 정당 | 앙골라 해방을 위한 최고위원회 (1972–1975) 애국 연합 전선 |
과거 무장 조직 | |
무장 조직 | FALA (1993년까지) |
관련 단체 | |
지역 연맹 | 아프리카 민주 연합 |
주요 인물 | |
창립자 | 조나스 사빔비 |
2. 역사
앙골라 완전독립 민족동맹(UNITA)는 앙골라 독립 전쟁과 이후 수십 년간 이어진 앙골라 내전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한 무장 단체이자 정치 세력이다. 1966년 조나스 사빔비와 안토니오 다 코스타 페르난데스 등이 주축이 되어 포르투갈 식민 통치에 맞서기 위해 창설되었다.[8][53][54] 초기에는 마오주의 이념의 영향을 받았으나, 주요 경쟁 세력이었던 MPLA와의 대립 구도 속에서 실용주의적 노선을 채택하며 때로는 포르투갈 식민 당국과 협력하기도 했다.[13][55][56]
1975년 앙골라가 독립한 후, 소련과 쿠바의 지원을 받은 MPLA가 수도 루안다를 장악하고 정권을 수립하자, UNITA는 이를 인정하지 않고 내전에 돌입했다. 이 과정에서 UNITA는 미국, 아파르트헤이트 정책을 펴던 남아프리카 공화국, 중화인민공화국, 자이르 등 다양한 국내외 세력의 지원을 받으며 MPLA 정부에 맞섰다.[14][15][61][62] UNITA는 주로 앙골라 남동부의 오빔분두족 거주 지역과 내륙 고원 지대를 중심으로 세력을 확장했으며, MPLA는 해안 지역과 도시, 유전 지대를 통제하며 양측의 대립은 장기화되었다. 이 참혹한 내전으로 인해 최대 30만 명에 달하는 인명 피해가 발생한 것으로 추정된다.[15]
냉전이 종식된 이후에도 UNITA는 다이아몬드 불법 채굴 및 판매(피의 다이아몬드) 등을 통해 자금을 확보하며[35] 무력 투쟁을 지속했다. 여러 차례 평화 협상이 시도되었으나 번번이 결렬되고 전투가 재개되었다. 길고 긴 내전은 2002년 2월, 창설자이자 지도자였던 조나스 사빔비가 앙골라 정부군과의 교전 중 사망하면서 극적인 전환점을 맞이했다. 사빔비 사후 UNITA는 무장 해제를 결정하고 평화 협정에 서명했으며, 이후 합법적인 정당으로 전환하여 앙골라 정치에 참여하고 있다.
2. 1. 창립
조나스 사빔비와 안토니오 다 코스타 페르난데스는 1966년 3월 13일, 당시 포르투갈령 앙골라의 모시코 주 무안가이에서 에스타두 노부 독재 정권 하에 앙골라 완전독립 민족동맹(UNITA)을 창설했다. 이 창립 행사에는 200명의 대표자들이 함께했다.[8] UNITA는 같은 해 12월 25일, 포르투갈 식민 당국을 상대로 첫 군사 공격을 시작했다.[12]창립자인 사빔비는 본래 앙골라 민족 해방 전선(FNLA)의 지도자 홀덴 호베르투와 관계를 맺고 활동했었다. UNITA는 창립 이후 앙골라 남동부 쿠안도 쿠방고 주의 잠바로 주요 활동 지역을 옮겼다. UNITA 지도부는 앙골라의 주요 민족 집단인 오빔분두족 출신이 다수를 차지했다. 초기에는 마오주의 이념을 내세웠으나, MPLA에 맞서기 위해 포르투갈 식민 당국과 협력하면서 마오주의 노선을 사실상 포기했다.[13] 이후 UNITA는 농촌 지역 주민들의 권익을 주요 목표로 삼고, 앙골라 내 민족 간의 분열을 정치적으로 활용하는 모습을 보였다.
2. 2. 독립 전쟁과 내전
1964년 앙골라 독립 전쟁 중, 콩고족 중심의 앙골라 민족 해방 전선(FNLA) 소속이던 조나스 사빔비는 중화인민공화국에서 군사 훈련을 받았다. 그는 1966년 3월 앙골라로 돌아와 FNLA에서 이탈하여, 오빈분두족을 기반으로 포르투갈로부터의 독립을 목표로 하는 UNITA를 안토니오 다 코스타 페르난데스와 함께 설립했다.[53][54]독립 전쟁 기간 동안 UNITA는 소련과 쿠바의 지원을 받는 앙골라 해방 인민 운동(MPLA)과는 달리, 포르투갈 식민 정부와의 직접적인 전투를 피하며 병력 보존에 주력했다. 심지어 포르투갈의 비밀 경찰인 PIDE와 협력 관계를 맺고 MPLA에 관한 정보를 식민지 정부에 제공하여 직접적인 공격을 피하기도 했다.[55][56]
1974년과 1975년 사이 포르투갈이 앙골라에서 철수하고 식민 통치가 종료되자, MPLA와 UNITA는 분열되었고 이들 간의 군사적, 이념적 충돌로 앙골라 내전이 발발했다. 1975년 11월 11일, MPLA의 지도자 아고스티뉴 네투가 초대 대통령이 되어 앙골라 인민 공화국의 독립을 선포했다. 이를 인정하지 않은 UNITA와 FNLA는 앙골라 민주 인민 공화국이라는 이름으로 별도의 독립을 시도했으나 MPLA의 공격으로 무산되었다.[57]
내전 초기, 소련과 쿠바로부터 자금, 무기, 군대 지원을 받은 MPLA는 FNLA를 군사적으로 격파하여 대부분을 망명하게 만들었다.[14] UNITA 또한 1975년 11월에 거의 궤멸될 위기에 처했지만,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지원에 힘입어 회복했고, 후암보를 거점으로 앙골라 인민 민주 공화국이라는 이름의 정부를 수립했다. 이후 1980년대에는 미국의 지원을 받으며 세력을 상당히 강화했다.[15] MPLA는 앙골라의 도시, 해안 지역 및 전략적 유전 지대를 장악한 반면, UNITA는 비에 고원을 포함한 내륙 고원 지대와 다른 전략적 지역들을 상당 부분 통제했다. 이 참혹한 내전으로 최대 30만 명의 인명 피해가 발생한 것으로 추정된다.[15]
1980년대에 들어서면서 사빔비는 미국과의 관계를 크게 확장하려 노력했다. 그는 워싱턴 D.C.에 위치한 영향력 있는 보수 연구 기관인 헤리티지 재단으로부터 상당한 조언을 받았는데, 이 재단은 당시 레이건 행정부 및 미국 의회와 긴밀한 관계를 맺고 있었다. 헤리티지 재단의 아프리카 및 제3세계 문제 전문가였던 마이클 존스는 사빔비의 비밀 기지를 방문하여 전술적 군사 및 정치적 조언을 제공하기도 했다.[16] 또한, 로비스트로 활동하던 폴 매나포트와 그의 회사 블랙, 매너포트, 스톤 앤 켈리는 1985년부터 사빔비로부터 매년 60만달러를 받고 로비 활동을 벌여 UNITA가 레이건 행정부로부터 강력한 지원을 얻는 데 기여했다.[17][18][19][20][21][22]
1986년, 미국의 보수주의자들은 로널드 레이건 대통령이 백악관에서 사빔비를 만나도록 설득했다. 회담 내용은 기밀이었으나, 레이건 대통령은 회담 후 UNITA의 활동에 대한 지지를 표명하며 "세계를 감전시킬 승리"를 거둘 수 있을 것이라고 언급했다. 이는 레이건 행정부가 앙골라 분쟁을 레이건 독트린이라는 외교 정책의 핵심 요소, 즉 전 세계의 반공산주의 저항 운동 지원의 일환으로 간주했음을 시사한다.[23]
사빔비의 지도 아래 UNITA는 독립 전후 시기에 군사적으로 매우 효과적인 조직으로 성장했으며, 20세기 후반 세계에서 가장 강력한 무장 저항 운동 중 하나로 평가받았다. 미국 국무부는 UNITA가 "앙골라 내륙의 광대한 지역"을 통제하고 있다고 평가했다.[24] 여러 차례의 암살 시도에도 불구하고 생존한 사빔비는 "아프리카에서 가장 끈기 있는 게릴라 전사"로 알려지게 되었다.[25]
미국의 보수주의자들은 UNITA의 성공을 아프가니스탄의 무자헤딘이나 니카라과의 콘트라스와 같이 미국의 지원을 받아 소련의 지원을 받는 정부에 성공적으로 맞서 싸운 사례로 들며, 미국이 냉전에서 우위를 점하고 있으며 레이건 독트린이 효과를 발휘하고 있다는 증거로 제시했다. 그러나 비판적인 시각에서는 UNITA와 같은 단체에 대한 지원이 해당 국가들에 막대한 피해를 입히고 지역 분쟁을 더욱 악화시켰다고 지적했다. 더욱이 UNITA는 싸우고 있는 MPLA 정부와 마찬가지로 심각한 인권 침해 문제로 비난을 받았다.[27]
UNITA는 미국과 남아프리카 공화국 외에도 다양한 국가 및 세력으로부터 지원을 받았다. 초기에는 중화인민공화국과 잠비아의 지원을 받았으며, 내전 시기에는 프랑스, 벨기에 등 서방 국가, 이스라엘[59], 자이르, 그리고 사우디 아라비아와 모로코 등이 포함된 반공 국가 그룹 사파리 클럽[60], 그리고 아파르트헤이트 정권 하의 남아프리카 공화국으로부터 군사 및 재정 지원을 받았다.[61][62] 특히 남아프리카의 피터 빌렘 보타 정권과의 개인적인 친분을 바탕으로 상당한 지원을 받아, 한때 UNITA의 세력 범위는 앙골라 국토의 절반에 달할 정도였다.
1985년, 사빔비는 UNITA의 본거지인 잠바에서 민주 인터내셔널이라는 국제 반공 조직의 창설 회의를 주최했다. 이 회의는 소련 제국주의 타도를 내걸었으며, 니카라과의 콘트라스 지도자 아돌포 칼레로, 아프가니스탄의 무자헤딘 대표 압둘 라힘 와르다크, 미국 해병대의 올리버 노스 중령 등이 참가했고[63], 회의장 경비는 남아프리카 공화국군이 담당했다.[64]
2. 3. 냉전 종식 이후

냉전 종식의 영향으로 1991년 리스본에서 비세세 협정이 체결되었고, 유엔의 중재 하에 1992년 총선이 치러졌다. 이 선거에서 조나스 사빔비는 도스 산토스와 맞붙었으나, 1차 투표에서 과반수를 얻지 못하자 선거의 공정성에 의문을 제기하며 다시 무력 충돌의 길을 선택했다. 1992년 10월, 후암보에서 시작된 전투는 수도 루안다까지 빠르게 확산되었다. 이 과정에서 UNITA의 오랜 부통령이었던 제레미아스 치툰다를 포함한 여러 UNITA 관계자들이 도시를 탈출하려다 사망하는 할로윈 학살이 발생했다. 치툰다의 사망 후 UNITA는 기지를 잠바에서 후암보로 옮겼다. 사빔비의 이러한 결정은 그를 지지했던 미국의 보수파 동맹들로부터 비판을 받았으며, 특히 결선 투표를 거부함으로써 조지 H. W. 부시 행정부와의 관계가 크게 악화되었다.[34] 미국 정부는 결국 1992년 말, MPLA 정부를 공식 인정하고 UNITA에 대한 지원을 중단했다.[8]
사빔비가 전투를 재개하자 유엔은 안보리 결의안 1173호를 통해 UNITA에 대한 금수 조치를 시행했다. 이후 유엔이 위촉한 파울러 보고서는 UNITA가 다이아몬드 판매(피의 다이아몬드로 알려짐)[35]를 통해 전쟁 자금을 계속 조달하고 있음을 상세히 밝혔고, 이는 안보리 결의안 1295호 채택과 킴벌리 프로세스 인증 제도 도입 등 추가적인 제재로 이어졌다. 1993년 분쟁 종식을 위한 회담이 실패로 돌아간 후, 1994년에는 국민 통합 정부 구성을 목표로 하는 루사카 의정서가 체결되었고, 1995년에는 유엔 평화 유지군이 도착했다. 그러나 UNITA는 1998년 루사카 협정을 위반했다는 이유로 MPLA와의 합의에서 탈퇴했다. 같은 해 말, 사빔비의 지도력에 불만을 품은 일부 UNITA 사령관들이 'UNITA Renovada'라는 이름의 분파를 형성하며 이탈했고, 1999년과 2000년 사이 수천 명이 추가로 UNITA를 떠났다.[36]
냉전 종식으로 미국과 소련의 지원이 끊기면서 내전의 양상은 이데올로기 대립에서 앙골라 국내 문제로 변화했다. 1990년대 UNITA의 주된 자금원은 다이아몬드 광산에서 불법적으로 채굴한 수익이었으며(분쟁 다이아몬드), 이는 수만 명의 노동자를 혹사시켜 얻어졌다. 채굴된 다이아몬드는 드 비어스와 같은 회사를 통해 거래되었으나, 1998년 유엔 안보리가 앙골라산 다이아몬드 거래를 전면 금지하면서 UNITA의 자금줄은 크게 위축되었다. 2000년에는 드 비어스 사가 재차 매입 금지를 발표하면서 밀수조차 어려워졌다.
1999년, MPLA의 대규모 군사 공세로 UNITA는 재래식 군사력을 거의 상실하고 게릴라 전술로 전환할 수밖에 없었다.[37][38] 자금난과 군사적 열세 속에서 UNITA는 나미비아 국경 부근으로 밀려났고, 앙골라 정부군은 나미비아 정부의 동의 하에 나미비아군 기지를 이용해 UNITA를 공격하며 다이아몬드 광산 지역을 장악했다.
2002년 1월, 앙골라 정부는 과거 UNITA를 지원했던 미국과 관계를 정상화했다. 같은 해 2월 22일, 지도자 조나스 사빔비가 정부군과의 교전 중 사망했고(일각에서는 민간 군사 기업에 의한 암살로 보기도 함), 며칠 후 부의장 역시 사망했다. 사빔비의 후계자들은 평화를 선택했고, 무장 해제가 진행되었다. 2002년 4월, 도스 산투스 대통령과 아프리카 국가 대표들, 그리고 미국, 러시아, 포르투갈 특사들이 참석한 가운데 평화 협정식이 열리면서 길었던 내전은 마침내 종식되었다.
3. 외부 지원
UNITA는 활동 기간 동안 아프리카 및 전 세계 여러 정부로부터 다양한 형태의 지원을 받았다. 여기에는 불가리아 인민 공화국,[42] 이집트, 프랑스, 이스라엘, 모로코, 중국,[43] 사우디 아라비아, 자이르(현 콩고 민주 공화국),[44] 그리고 잠비아 등이 포함된다.[45][46]
앙골라 독립 전쟁 중이던 1964년, 조나스 사빔비는 당시 중국의 지원을 받던 앙골라 민족 해방 전선(FNLA) 소속으로 중국에서 군사 훈련을 받았다. 1966년 3월 앙골라로 돌아온 그는 FNLA에서 나와 오빈분두족을 중심으로 포르투갈로부터의 독립을 목표로 하는 UNITA를 António da Costa Fernandes영어와 함께 설립했다.[53][54] 초기 UNITA는 중국 등으로부터 원조를 받았으나, 소비에트 연방과 쿠바의 지원을 받는 앙골라 해방 인민 운동(MPLA)과는 달리 포르투갈 식민 정부와의 직접적인 교전은 피하며 세력 보존에 주력했다. 심지어 포르투갈의 비밀 경찰인 PIDE와 협력 관계를 맺고 MPLA에 대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포르투갈로부터의 직접적인 공격을 피하기도 했다.[55][56]
1975년 11월 11일, MPLA가 주도하여 앙골라 인민 공화국으로 독립을 선언하자, UNITA와 FNLA는 이를 인정하지 않고 별도의 독립을 시도했으나 실패했다.[57] 이후 앙골라 내전이 본격화되면서 UNITA는 기존의 지원국인 중국과 잠비아 외에도 새로운 지원 세력을 확보했다. 냉전 구도 속에서 소비에트 연방과 대립하던 미국, 프랑스, 벨기에 등 서방 국가들과 이스라엘[59], 자이르, 사우디 아라비아, 모로코 등 반공주의 성향의 아시아 및 아프리카 국가들로 구성된 비공식 협력체인 '사파리 클럽'(Safari Club영어)[60], 그리고 아파르트헤이트 정권 하의 남아프리카 공화국으로부터 군사 및 재정 지원을 받으며 MPLA 정부에 대항했다.[61][62] 이러한 광범위한 외부 지원은 UNITA가 앙골라 국토의 상당 부분을 장악하고 장기간 내전을 지속할 수 있는 원동력이 되었다.
1985년, 사빔비는 UNITA의 본거지인 잠바(Jamba, Cuando Cubango영어)에서 소련의 영향력에 맞서는 국제적인 반공 연대 조직인 '민주 인터내셔널'(Democratic International영어) 창설 회의를 주최하기도 했다. 이 회의에는 니카라과의 콘트라 지도자 Adolfo Calero영어, 아프가니스탄의 무자헤딘 대표 압두르 라힘 와르다크, 미국 해병대의 올리버 노스 중령 등이 참석했으며, 회의장의 경비는 남아프리카 공화국 군대가 맡았다.[63][64]
3. 1. 미국
1980년대와 1990년대 초, 사빙비는 미국과의 관계를 강화하고자 노력했다. 그는 워싱턴 D.C.의 영향력 있는 보수 성향 연구 기관인 헤리티지 재단으로부터 상당한 지원과 조언을 받았다. 헤리티지 재단은 당시 레이건 행정부 및 미국 의회와 긴밀한 관계를 맺고 있었다. 재단의 아프리카 및 제3세계 문제 전문가였던 마이클 존스는 사빙비의 비밀 기지를 방문하여 군사 및 정치적 조언을 제공하기도 했다.[16] 또한, 로비스트 폴 매나포트와 그의 회사 블랙, 매너포트, 스톤 앤 켈리는 1985년부터 사빙비로부터 연간 60만달러를 받으며 UNITA가 레이건 행정부로부터 강력한 지원을 얻는 데 기여했다.[17][18][19][20][21][22]로널드 레이건 행정부 시절, CIA 국장 윌리엄 J. 케이시, 미국 국가안보 보좌관 리처드 V. 앨런, 국무장관 알렉산더 헤이그 등 고위 안보 관계자들은 UNITA 지도자들과 직접 만났다.[47] 아프리카 담당 국무차관 워커는 1981년 3월 모로코 라바트에서 사빙비를 만났으며, 국방장관 캐스퍼 와인버거, 국방부 차관 프랭크 카루치, CIA 부국장 바비 인먼, 국방정보국장 제임스 A. 윌리엄스 등도 1981년 11월부터 1982년 1월 사이에 사빙비와 회동했다.[47] 당시 미국의 앙골라 내전 개입을 금지하는 클라크 수정안이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헤이그 국무장관은 1981년 12월 사빙비에게 미국의 지원이 계속될 것이라고 약속했다.[47]
미국 정부는 이스라엘, 모로코, 사우디아라비아, 남아프리카 공화국, 자이르 등 동맹국들에게 UNITA를 지원하도록 독려했다. 1983년에는 미국과 남아프리카 공화국 정부가 협력하여 온두라스, 벨기에, 스위스 등지에서 무기를 구매해 남아프리카 공화국을 거쳐 앙골라의 UNITA에게 전달하는 계획에 합의했다. 또한 미국은 내전 관련 정보를 얻기 위해 남아프리카 공화국과 무기를 교환하기도 했다.[47]
1986년, 미국 보수주의자들의 설득으로 로널드 레이건 대통령은 백악관에서 사빙비와 만났다. 회담 내용은 비밀에 부쳐졌지만, 레이건은 회담 후 사빙비의 활동에 대한 지지를 표명하며 UNITA가 "세계를 감전시킬 승리"를 거둘 것이라고 예상했다. 이는 레이건 행정부가 앙골라 내전을 레이건 독트린으로 대표되는 반공산주의 저항 운동 지원 정책의 중요한 일부로 간주했음을 보여준다.[23]

사빙비의 지도 아래 UNITA는 군사적으로 상당한 성과를 거두었으며, 미국 국무부는 UNITA가 "앙골라 내륙의 광대한 지역"을 통제하고 있다고 평가했다.[24] 사빙비 자신도 여러 차례의 암살 시도에도 살아남아 "아프리카에서 가장 끈기 있는 게릴라 전사"로 알려졌다.[25] UNITA는 소련, 쿠바, 동독의 지원을 받는 MPLA 정부군에 맞서 싸웠다.[26]
미국의 보수 진영은 사빙비의 UNITA, 아프가니스탄의 무자헤딘, 니카라과의 콘트라스 등의 성공 사례를 들며 냉전에서 미국이 우위를 점하고 있으며 레이건 독트린이 효과를 발휘하고 있다는 증거로 내세웠다. 그러나 비판적인 시각에서는 이러한 지원이 해당 국가들에 막대한 피해를 입히고 지역 분쟁을 더욱 심화시킨다고 지적했다. 또한 UNITA 역시 MPLA 정부와 마찬가지로 인권 침해 문제로 비판받았다.[27] 특히 1983년에는 체코슬로바키아 민간인 66명을 납치하여 국제적인 비난을 받기도 했다.[28]
앙골라 내전은 1989년까지 계속되었으나, UNITA의 군사적 공세와 국제 정세 변화 속에서 쿠바는 앙골라에서 군대를 철수시켰다.[29] 냉전 종식 분위기가 고조되면서 미국 내에서도 UNITA에 대한 지원의 타당성에 의문을 제기하는 목소리가 커졌고, 일부 의회 의원들은 지원 중단을 촉구했다.[30] 또한 소련의 미하일 고르바초프 서기장이 조지 H. W. 부시 대통령과의 회담에서 UNITA 지원 문제를 여러 차례 제기했다는 보도가 나오면서 미국의 지원 중단 압력은 더욱 거세졌다.[31]
전쟁이 군사적 국면과 외교적 국면을 동시에 띠게 되자, 마이클 존스를 비롯한 미국의 보수 인사들은 사빙비에게 MPLA가 "자유롭고 공정한 선거" 실시에 동의하는 것을 휴전 조건으로 내걸도록 조언했다.[32] MPLA가 처음에 이 요구를 거부하자, 사빙비는 군사적 압박을 강화하며 MPLA가 선거 패배를 두려워한다고 주장했다. 한편, 뉴욕 협정이 체결되어 나미비아의 독립을 대가로 앙골라에서 외국 군대가 철수하기로 합의되었으나, 사빙비는 이 협정에 대해 충분한 협의가 없었다며 불만을 표출했다.[16] 결국 휴전 협상이 타결되었고, MPLA 지도자 조제 에두아르두 두스 산투스는 과거 마르크스주의 노선을 포기하고 자유롭고 공정한 선거 실시 요구를 수용했다. 그러나 UNITA와 그 지지자들은 MPLA와 소련의 관계가 여전히 강하다는 이유로 이러한 약속에 대해 회의적인 입장을 유지했다.[33]
1992년 앙골라 총선 이후 UNITA는 미국의 지원을 잃게 되었다.[8]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지원 역시 아파르트헤이트가 종식되고 넬슨 만델라가 1994년 대통령으로 선출되면서 중단되었다. 만델라와 ANC는 과거 ANC의 무장 조직이었던 움콘토 위 시즈웨를 통해 MPLA를 지원했다.[8][49][50]
3. 2. 남아프리카 공화국
미국 정부는 이스라엘, 모로코, 사우디 아라비아, 남아프리카 공화국, 자이레 등 여러 국가에 UNITA를 지원하도록 독려했다.[47] 특히 아파르트헤이트 정권 하의 남아프리카 공화국은 미국의 주요 협력 파트너 중 하나였다. 1983년, 미국과 남아프리카 공화국 정부는 온두라스, 벨기에, 스위스 등지에서 확보한 무기를 남아프리카 공화국을 거쳐 앙골라의 UNITA에게 전달하는 비밀 통로를 마련하는 데 합의했다. 또한 미국은 내전에 대한 정보를 얻는 대가로 남아프리카 공화국과 무기를 교환하기도 했다.[47]1992년 앙골라 총선 이후 UNITA는 미국의 지원을 상실하면서 오직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지원에만 의존하게 되었다. 그러나 남아프리카 공화국에서 아파르트헤이트가 종식되고, 1994년 넬슨 만델라가 대통령으로 선출되면서 UNITA에 대한 지원은 중단되었다. 만델라 정부와 ANC는 오히려 과거 ANC의 무장 투쟁 조직이었던 움콘토 위 시즈웨를 통해 MPLA 측에 군사적 지원을 제공하며 이전 아파르트헤이트 정권과는 다른 외교 노선을 분명히 했다.[8][49][50]
3. 3. 기타 국가
UNITA는 냉전 시기 앙골라 내전 과정에서 아프리카 및 전 세계 여러 정부로부터 지원을 받았다. 주요 지원국으로는 중국, 잠비아, 미국, 프랑스, 이스라엘, 사우디 아라비아, 모로코, 자이르(현 콩고 민주 공화국) 등이 있으며, 이 외에도 불가리아 인민 공화국[42], 이집트, 벨기에 등 다수의 국가가 관여했다.[44][45][46]앙골라 독립 전쟁 중이던 1964년, 콩고족 중심의 앙골라 민족 해방 전선(FNLA) 소속이었던 조나스 사빔비는 FNLA를 원조하던 중국에서 군사 훈련을 받았다. 1966년 3월 앙골라로 귀국한 그는 FNLA에서 이탈하여 오빈분두족을 중심으로 포르투갈로부터의 독립을 목표로 하는 UNITA를 안토니오 다 코스타 페르난데스와 함께 설립했다.[53][54] UNITA는 중국 등으로부터 원조를 받았지만, 독립 전쟁 기간에는 소비에트 연방이나 쿠바가 지원하는 앙골라 해방 인민 운동(MPLA)과의 직접적인 전투는 피하고 병력 보존에 힘썼다. 심지어 포르투갈의 비밀 경찰인 PIDE와 협력 관계를 구축하고 MPLA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여 포르투갈 식민 정부의 직접적인 공격을 피하기도 했다.[55][56]
1975년 11월 11일, MPLA 주도로 앙골라 인민 공화국이 독립을 선언하자, UNITA와 FNLA는 이를 인정하지 않고 앙골라 민주 인민 공화국의 독립을 선포했으나 MPLA의 공격으로 무산되었다.[57] 이후 본격적인 내전 국면에서 UNITA는 독립 전쟁 시기부터 우호 관계였던 중국과 잠비아 외에도, 당시 소련과 적대 관계에 있던 미국, 프랑스, 벨기에 등 서방 진영 국가들의 지원을 받았다.[61][62] 또한 이스라엘[59], 자이르, 사우디 아라비아, 모로코 등 아시아 및 아프리카의 반공주의 국가들로 구성된 비공식 협력체인 '사파리 클럽'(Safari Club)[60] 역시 UNITA를 지원했다. 이러한 국제적 지원은 UNITA가 MPLA 정부에 맞서 장기간 내전을 지속하는 데 중요한 기반이 되었다.[61][62]
4. 선거 역사
앙골라 완전독립 민족동맹(UNITA)은 앙골라 독립 이후 실시된 주요 선거에 참여하며 앙골라 정치의 중요한 축을 담당해왔다. 특히 앙골라 내전 종결 이후 다당제 민주주의 체제 하에서 집권 여당인 앙골라 해방인민운동(MPLA)의 주요 경쟁 상대로서 입지를 다져왔다.
UNITA는 여러 차례의 대통령 선거와 국회의원 선거에 참여했다. 대통령 선거에서는 여러 후보를 내세웠으나 당선자를 배출하지는 못했다.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꾸준히 제2당의 지위를 유지하며 상당수 의석을 확보해왔으며, 최근 선거에서는 의석 수를 크게 늘리는 등 앙골라 정치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각 선거별 자세한 결과는 하위 섹션에서 확인할 수 있다.
4. 1. 대통령 선거
wikitext선거 | 정당 후보 | 득표수 | % | 결과 |
---|---|---|---|---|
1992년 | 조나스 사빔비 | 1,579,298 | 40.07% | 낙선 |
2012년 | 이사이아스 사마쿠바 | 1,074,565 | 18.67% | 낙선 |
2017년 | 1,818,903 | 26.68% | 낙선 | |
2022년 | 아달베르투 코스타 주니오르 | 2,756,786 | 43.95% | 낙선 |
4. 2. 국회의원 선거
wikitext선거 | 정당 대표 | 득표수 | 득표율 | 의석 | 증감 | 순위 | 결과 |
---|---|---|---|---|---|---|---|
1992년 | 조나스 사빔비 | 1,347,636 | 34.10% | 70석 | 신규 | 2위 | 야당 |
2008년 | 이사이어스 사마쿠바 | 670,363 | 10.39% | 16석 | -54 | 2위 | 야당 |
2012년 | 1,074,565 | 18.66% | 32석 | +16 | 2위 | 야당 | |
2017년 | 1,790,320 | 26.70% | 51석 | +19 | 2위 | 야당 | |
2022년 | 아달베르투 코스타 주니오르 | 2,756,786 | 43.95% | 90석 | +39 | 2위 | 야당 |
참조
[1]
간행물
A actual UNITA traiu o espírito de Muangai
Maputo
2006
[2]
웹사이트
Consulado Geral de Angola
http://www.consulado[...]
[3]
간행물
A actual UNITA traiu o espírito de Muangai
Maputo
2006
[4]
웹사이트
Angola
https://www.worldsta[...]
[5]
서적
Angola: A Modern Military History, 1961–2002
https://books.google[...]
Palgrave Macmillan
2011-10-25
[6]
논문
U.S.-Chinese Cooperation and Conflict in the Angolan Civil War
https://academicwork[...]
City University of New York
[7]
뉴스
China in Angola: An Emerging Energy Partnership
https://jamestown.or[...]
Jamestown Foundation
2007-05-09
[8]
뉴스
Obituary: Jonas Savimbi, Unita's local boy
http://news.bbc.co.u[...]
BBC
2002-02-25
[9]
뉴스
DIAMOND WARS: A special report.; Africa's Gems: Warfare's Best Friend
https://www.nytimes.[...]
2000-04-06
[10]
서적
Death of Dignity: Angola's Civil War
https://books.google[...]
Pluto Press
1998
[11]
서적
Letters to Gabriella
https://books.google[...]
FLF Press
[12]
서적
Letters to Gabriella
https://books.google[...]
FLF Press
[13]
웹사이트
UNITA {{!}} Facts & History {{!}} Britannica
https://www.britanni[...]
2024-05-03
[14]
웹사이트
Political background – Angola – area, power
http://www.nationsen[...]
Nations Encyclopedia
2015-01-20
[15]
뉴스
Angola country profile – Overview
https://www.bbc.co.u[...]
2015-01-20
[16]
웹사이트
Savimbi's Elusive Victory in Angola
http://thomas.loc.go[...]
2015-01-20
[17]
뉴스
Top Trump Aide Led the 'Torturers' Lobby' BLOOD MONEY: Paul Manafort and the partners at his firm made a fortune repping some of the most despicable dictators of the 20th century.
https://www.thedaily[...]
2021-08-28
[18]
뉴스
The Slickest Shop in Town (page 1)
https://content.time[...]
2021-08-28
[19]
뉴스
The Slickest Shop in Town (page 2)
https://content.time[...]
2021-08-28
[20]
뉴스
McCain Adviser's Work As Lobbyist Criticized: Charles Black, John McCain's top political strategist, is now retired from a 30-year (page 1)
http://www.washingto[...]
2021-08-28
[21]
뉴스
McCain Adviser's Work As Lobbyist Criticized: Charles Black, John McCain's top political strategist, is now retired from a 30-year (page 2)
https://www.washingt[...]
2021-08-28
[22]
뉴스
Inside Washington's Propaganda Shops: Publicists of the Damned
https://books.google[...]
2021-08-28
[23]
웹사이트
Terrible legacy of the Reagan years
https://www.theguard[...]
2015-01-20
[24]
웹사이트
Angola
https://2009-2017.st[...]
2015-01-20
[25]
웹사이트
Angola: Key Figures
https://www.telegrap[...]
2015-01-20
[26]
뉴스
Angolan peace talks stall over alleged attempt to kill Savimbi
http://www.highbeam.[...]
2020-01-27
[27]
웹사이트
Angola: Human Rights Watch Report, 9/26/99
http://www.africa.up[...]
Human Rights Watch
2015-01-20
[28]
뉴스
The Angola abduction
https://www.radio.cz[...]
2018-11-15
[29]
웹사이트
Cuban troops begin withdrawal from Angola
http://www.history.c[...]
2020-01-27
[30]
웹사이트
Congress to Act Soon on Angola: Urgent Lobbying Needed
http://kora.matrix.m[...]
2020-01-27
[31]
뉴스
U.S. and Soviets Bridge Gap on Conventional Weapons and Plan for Summit Soon; Bush Hails Accord
https://www.nytimes.[...]
2020-01-27
[32]
웹사이트
With Freedom Near In Angola, This is No Time to Curtail Unita Assistance
http://thomas.loc.go[...]
Heritage Foundation Executive Memorandum 276
1990-07-31
[33]
웹사이트
Angola: Testing Gorbachev's 'New Thinking'
http://www.heritage.[...]
2020-01-28
[34]
웹사이트
Former Rebels in Angola Shun Unity Meeting
https://www.nytimes.[...]
2015-01-20
[35]
웹사이트
Final Report of the UN Panel of Experts ("The "Fowler Report")
http://www.globalpol[...]
Global Policy Forum
2010-03-10
[36]
서적
Angola: Anatomy of an Oil State
Indiana University Press
2004
[37]
웹사이트
World briefing
https://www.nytimes.[...]
1999-12-29
[38]
웹사이트
Rebels lose former HQ to Angolan army
https://www.theguard[...]
1999-12-27
[39]
웹사이트
Angolan rebel leader 'killed'
http://news.bbc.co.u[...]
2002-02-23
[40]
웹사이트
Angola opposition will contest election result
https://www.telegrap[...]
2008-09-07
[41]
웹사이트
Arlete Chimbinda indicada Vice-Presidente da UNITA
https://www.club-k.n[...]
2021-01-25
[42]
서적
Ambiguous Order: Military Forces In African States
https://archive.org/[...]
Lynne Rienner
[43]
간행물
China's Third World Foreign Policy: The Case of Angola and Mozambique, 1961–93
1995-06
[44]
서적
The Israeli Connection: Whom Israel Arms and Why
https://books.google[...]
I.B. Tauris & Co Ltd
[45]
서적
The Warrior Tradition in Modern Africa
Brill Academic
[46]
웹사이트
1975, Angola: Mercenaries, Murder and Corruption
http://coat.ncf.ca/o[...]
2020-01-28
[47]
서적
The Destruction of a Nation: United States Policy Towards Angola Since 1945
https://archive.org/[...]
Pluto Press
[48]
웹사이트
Congress.gov {{!}} Library of Congress
http://thomas.loc.go[...]
2017-07-06
[49]
서적
The Diplomacy of Liberation: Foreign Relations of the ANC Since 1960
https://books.google[...]
Bloomsbury Academic
1995-12-31
[50]
서적
The Hot 'Cold War': The USSR in Southern Africa
https://books.google[...]
Pluto Press
2008-10-20
[51]
문서
Consulado Geral de Angola
http://www.consulado[...]
[52]
웹사이트
Angola-Emergence of Unita
http://www.mongabay.[...]
2015-01-20
[53]
문서
星、林(1978:263)
[54]
문서
神戸(1987:222)
[55]
뉴스
Obituary: Jonas Savimbi
https://www.theguard[...]
2002-02-25
[56]
웹사이트
Jonas Savimbi: Washington’s Freedom Fighter,” Africa’s “Terrorist”
http://fpif.org/jona[...]
2002-02-01
[57]
문서
Africa South of the Sahara 2004
Europa Publications Limited
2003
[58]
웹사이트
Angola - INDEPENDENCE AND THE RISE OF THE MPLA GOVERNMENT
http://countrystudie[...]
2019-05-17
[59]
문서
The Israeli Connection: Whom Israel Arms and Why
1988
[60]
문서
The laboratory of hate: The role of clandestine radio in the Angolan War
2000
[61]
서적
The Warrior Tradition in Modern Africa
[62]
문서
1975, Angola: Mercenaries, Murder and Corruption
http://coat.ncf.ca/o[...]
Coalition to Oppose the Arms Trade
[63]
문서
Gang of Five: Leaders at the Center of the Conservative Crusade
2000
[64]
서적
Death of Dignity: Angola's Civil War
Pluto Press
1998
[65]
웹인용
option=com_content&task=view&id=13&Itemid=27 Consulado Geral de Angola
http://www.consulado[...]
2016-12-06
[66]
웹인용
"The War against Soviet Colonialism", by Jonas Savimbi, Policy Review, January 1986, pp. 18–25
http://www.unz.org/P[...]
2015-01-2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