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덤 넬슨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애덤 넬슨은 미국의 포환던지기 선수이다. 넬슨은 다트머스 대학교에서 육상과 미식축구 선수로 활동했으며, 1997년 NCAA 선수권 대회에서 우승했다. 2000년 시드니 올림픽에서 은메달을 획득했으며, 이후 금메달리스트의 도핑 위반으로 금메달을 승계받았다. 2004년 아테네 올림픽에서도 은메달을 획득했으나, 역시 도핑으로 인해 금메달로 승격되었다. 2005년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에서 우승했으며, 2007년 대회에서는 은메달을 획득했다. 넬슨은 은퇴 후 미식축구, 골프, 야구, 육상 분야의 선수들을 훈련시켰고, NBC 스포츠에서 필드 종목 전문가로 활동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미국의 남자 포환던지기 선수 - 라이언 크라우저
라이언 크라우저는 미국의 포환던지기 선수로, 세계 신기록 보유자이자 올림픽 3연패를 달성한 최초의 선수이며, 2016년, 2020년, 2024년 올림픽 금메달, 2022년, 2023년 세계 선수권 대회 우승, 2023년 세계 신기록 수립 등 뛰어난 경력을 쌓았다. - 미국의 남자 포환던지기 선수 - 댈러스 롱
댈러스 롱은 미국의 육상 선수로, 1964년 도쿄 올림픽에서 금메달을 획득하고 1996년 미국 육상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으며, 은퇴 후 치과의사이자 응급 의학 전문의로 활동하다 2024년 파킨슨병 합병증으로 사망했다. - 미국의 유니버시아드 은메달리스트 - 맷 비온디
맷 비온디는 올림픽에서 금메달 8개를 포함한 총 11개의 메달을 획득하고 1988년 서울 올림픽에서 5관왕을 차지하며 세계 신기록을 세운 미국의 수영 선수로, 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에서 수영과 수구 선수로 활동했으며 은퇴 후에는 교사와 수영 코치로 활동하고 있다. - 미국의 유니버시아드 은메달리스트 - 메리 T. 마허
메리 T. 마허는 1979년 범아메리카 경기 대회에서 세계 기록을 세우고 1984년 로스앤젤레스 올림픽에서 3관왕을 달성한 미국의 은퇴한 수영 선수이다. - 미국의 올림픽 참가 선수 - 토냐 하딩
토냐 하딩은 미국의 전직 피겨 스케이팅 선수로, 미국 여자 선수 최초로 트리플 악셀을 성공시키고 1991년 미국 선수권 대회에서 우승했으나, 1994년 낸시 케리건 폭행 사건에 연루되어 선수 자격을 박탈당했다. - 미국의 올림픽 참가 선수 - 팀 브라운
팀 브라운은 1950~60년대 미국의 피겨 스케이팅 선수로,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 메달을 획득하고 올림픽 5위를 기록했으며, 아이스 댄싱 선수로도 활동하다가 의사로 일하며 1989년 에이즈로 사망했다.
| 애덤 넬슨 - [인물]에 관한 문서 | |
|---|---|
| 기본 정보 | |
![]() | |
| 전체 이름 | 애덤 매크라이트 넬슨 |
| 별칭 | 해당 없음 |
| 출생일 | 1975년 7월 7일 (48세) |
| 출생지 | 조지아주애틀랜타 |
| 사망일 | 해당 없음 |
| 사망지 | 해당 없음 |
| 키 | 183 센티미터 |
| 몸무게 | 116 킬로그램 |
| 스포츠 경력 | |
| 종목 | 육상 |
| 세부 종목 | 포환던지기 |
| 소속 클럽 | 해당 없음 |
| 팀 | 해당 없음 |
| 프로 데뷔 | 해당 없음 |
| 은퇴 | 해당 없음 |
| 코치 | 캐리 레인 |
| 세계 선수권 대회 | 해당 없음 |
| 지역 대회 | 해당 없음 |
| 국내 대회 | 해당 없음 |
| 올림픽 | 해당 없음 |
| 패럴림픽 | 해당 없음 |
| 최고 순위 | 해당 없음 |
| 개인 최고 기록 (실외) | 22.51 미터 |
| 개인 최고 기록 (실내) | 22.40 미터 |
| 메달 기록 | |
| 남자 육상 | 해당 없음 |
| 올림픽 | [[File:Olympic rings.svg|center|80px]] |
| 금메달 | 2004 아테네 - 포환던지기 |
| 은메달 | 2000 시드니 - 포환던지기 |
|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 | 해당 없음 |
| 금메달 | 2005 헬싱키 - 포환던지기 |
| 은메달 | 2001 에드먼턴 - 포환던지기 |
| 은메달 | 2003 파리 - 포환던지기 |
| 은메달 | 2007 오사카 - 포환던지기 |
| IAAF 세계 육상 파이널 | 해당 없음 |
| 금메달 | 2005 모나코 - 포환던지기 |
| 은메달 | 2004 모나코 - 포환던지기 |
| 은메달 | 2007 슈투트가르트 - 포환던지기 |
2. 어린 시절 및 교육
애덤 넬슨은 조지아주 애틀랜타에서 태어났다. 애틀랜타에 있는 러벳 학교(The Lovett School)에서 미식축구와 육상 유망주로 활동했으며, 1993년에 졸업했다.[2] 1996년 애틀란타 하계 올림픽 기간에는 매점에서 일하기도 했다.
2. 1. 다트머스 대학교 시절
넬슨은 다트머스 대학교에 다녔고 1997년에 졸업했다. 다트머스 대학교 재학생으로서, 넬슨은 19.62m의 거리로 포환을 던져서 우승한 1997년 NCAA 선수권 대회를 포함해서 육상 대표팀의 일원으로 다양한 찬사를 받았다.[1] 또한, 넬슨은 라인 배커로서 축구 대표팀에서 활약했다.[1] 그는 1993년에 다트머스 대학교에서 축구를 하는 최초의 신입생이 되었다.[1]넬슨은 약 19.81m를 던져 다트머스 포환던지기 기록을 보유하고 있다.[2] 포환던지기 외에도 넬슨은 다트머스에서 라인배커로, 나중에는 디펜시브 태클로 미식축구를 했다.[2] 1993년 그는 다트머스 선수단에서 미식축구를 한 최초의 신입생이 되었다.[2] 1993년 이전에는 아이비 리그가 신입생의 대학 미식축구팀 출전을 금지했다.[2] 넬슨은 1996년 다트머스의 무패 아이비 리그 챔피언 팀의 일원이었다.[2]
다트머스에서 애덤 넬슨은 카이 헤로트(Chi Heorot) 프래터니티의 회장을 역임했다.[2]
3. 국제 대회 경력
넬슨은 2000년 시드니 올림픽과 2004년 아테네 올림픽에서 각각 은메달을 획득했으나, 2004년 대회 우승자였던 유리 빌로노그 (우크라이나)의 도핑 위반 사실이 밝혀지면서 2004년 대회 금메달을 승계했다.[1] 2008년 베이징 올림픽에서는 결선에서 3번 모두 반칙으로 기록 없이 경기를 마쳤다.
2001년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와 2003년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에서 은메달, 2005년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에서 금메달, 2007년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에서 은메달을 획득했다. 2009년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와 2011년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에서는 각각 5위와 8위를 기록했다.
| 연도 | 대회 | 개최지 | 결과 | 비고 |
|---|---|---|---|---|
| 2000 | 올림픽 | 시드니 (오스트레일리아) | 은메달 | |
| 2001 |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 | 에드먼턴 (캐나다) | 은메달 | |
| 2003 |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 | 파리 (프랑스) | 은메달 | |
| 2004 | 올림픽 | 아테네 (그리스) | 금메달 | 유리 빌로노그 도핑으로 승계[8] |
| 2005 |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 | 헬싱키 (핀란드) | 금메달 | |
| 2007 |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 | 오사카 (일본) | 은메달 | |
| 2008 | 올림픽 | 베이징 (중화인민공화국) | 기록 없음 | 예선 20.56m |
| 2009 |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 | 베를린 (독일) | 5위 | |
| 2011 |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 | 대구 (대한민국) | 8위 |
3. 1. 올림픽
넬슨은 2000년 올림픽 평가전에서 은메달을 획득하며 2000년 시드니 올림픽 출전 자격을 얻었다. 당시 넬슨은 올림픽 우승 후보로 여겨졌고, 2000년 여름에 열린 모든 주요 포환던지기 대회에서 우승했다.[1]2000년 하계 올림픽에서 넬슨은 21.21m를 기록하며 아르시 하르유 (핀란드)에 이어 은메달을 획득했다. 그러나 이후 하르유의 도핑 사실이 밝혀지면서 넬슨에게 금메달이 승계되었다.
2004년 하계 올림픽은 그리스 아테네에서 개최되었으며, 포환던지기 경기는 고대 올림피아 (그리스)의 원래 경기장에서 열려 천 년이 넘는 기간 만에 올림픽 경기가 다시 열리는 특별한 환경을 조성했다.
2004년 아테네 올림픽에서 넬슨은 1차 시기에서 21.16m를 던지며 선두로 나섰다. 이후 5차 시기까지 파울을 범했지만, 최종 라운드까지 선두를 유지했다. 마지막 6차 시기에서 유리 빌로노그 (우크라이나)가 21.16m을 던져 넬슨과 공동 1위가 되었다. 넬슨은 마지막 시기에서 금메달을 확정짓는 듯한 투척을 했지만, 원의 왼쪽 앞 선을 밟아 파울 판정을 받았다. 넬슨은 심판에게 항의했지만, 이후 자신의 감정적인 반응에 대해 사과했다.
최종 결과 넬슨과 빌로노그가 같은 거리를 기록하여, 두 번째로 좋은 기록을 비교하는 동점 규칙이 적용되었다. 넬슨은 1차 시기 이후 모든 시기에서 파울을 범했기 때문에 두 번째 기록이 없었다. 결국 빌로노그가 금메달, 넬슨이 은메달을 획득했다. 넬슨의 은메달은 2004년 하계 올림픽에서 미국이 획득한 첫 번째 육상 메달이었다.
2013년, 빌로노그의 소변 샘플에서 도핑 양성 반응이 나오면서 넬슨의 2004년 하계 올림픽 은메달은 금메달로 승격되었다.[1] 2012년, 국제 올림픽 위원회(IOC)는 2004년 올림픽 참가자들의 소변 샘플을 재검사했고, 남자 포환던지기 우승자 빌로노그를 포함한 4명의 육상 메달 수상자가 경기력 향상 약물 양성 반응을 보였다.
2012년 12월 5일, IOC는 빌로노그와 여자 포환던지기 3위 스베틀라나 크리벨레바(러시아)의 재검사 결과 스테로이드 제제 옥산드롤론 양성 반응이 나왔다고 발표하며 빌로노그의 금메달을 박탈했다.[3] IOC는 빌로노그에게 이의를 제기할 수 있는 21일의 기간을 부여했지만, 이의 제기는 없었다. 2013년 5월 30일, IOC는 넬슨을 2004년 올림픽 챔피언으로 선언하고 금메달을 수여했다.
넬슨은 애틀랜타의 한 공항 푸드 코트에서 미국 올림픽 위원회 관계자로부터 금메달을 받았다.[4]
2008년 베이징 올림픽에서 넬슨은 결선에서 유효한 기록을 내지 못했다. 예선에서는 20.56m를 기록했다.
3. 2.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
넬슨은 2005년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에서 21.73m를 던져 우승했다.[1] 2007년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에서는 21.61m로 은메달을 땄다.[1] 2009년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와 2011년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에서는 각각 5위와 8위에 그쳐 메달 획득에 실패했다.[1]| 연도 | 대회 | 개최지 | 결과 |
|---|---|---|---|
| 2001 |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 | 에드먼턴 (캐나다) | 2위 |
| 2003 |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 | 파리 (프랑스) | 2위 |
| 2005 |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 | 헬싱키 (핀란드) | 1위 |
| 2007 |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 | 오사카 (일본) | 2위 |
3. 3. 기타 대회
넬슨은 2000년 올림픽 평가전에서 은메달을 획득했고, 2000년 여름에 열린 모든 주요 포환던지기 대회에서 우승하며 올림픽 우승 후보로 떠올랐다.[1] 2000년 하계 올림픽에서 그의 기록은 21.21m로 금메달을 획득한 아르시 하르유 (핀란드)보다 약 7.62cm 짧았으나, 이후 하르유의 부정행위가 밝혀져 넬슨이 금메달을 받게 되었다.2004년 하계 올림픽 포환던지기 경기는 고대 올림피아 (그리스)에서 열려 특별한 의미를 가졌다. 넬슨은 1차 시기에서 21.16m를 던져 선두를 차지했지만, 이후 파울을 반복하며 최종 라운드까지 선두를 유지했다. 마지막 시기에서 유리 빌로노그 (우크라이나)가 21.16m를 던져 공동 1위가 되었고, 넬슨은 마지막 시기에서 파울을 범하며 은메달에 머물렀다. 이후 2013년 빌로노그의 도핑 양성 반응으로 넬슨은 금메달로 승격되었다.[1]
2005년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에서 넬슨은 21.73m의 기록으로 우승했고, 2년 후 2007년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에서는 21.61m로 은메달을 획득했다. 2008년 하계 올림픽에서는 결승전에서 유효한 기록을 남기지 못했고, 2009년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와 2011년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에서는 각각 5위와 8위에 그쳤다.
넬슨은 2012년 미국 올림픽 육상 선발전에서 올림픽 대표팀 합류를 노렸으나, 결선 진출에 실패했다.[2]
| 연도 | 대회 | 개최지 | 결과 | 기록 | 비고 |
|---|---|---|---|---|---|
| 2000 | 올림픽 | 시드니 (오스트레일리아) | 은메달 | 21.21m | |
| 2004 | 올림픽 | 아테네 (그리스) | 금메달 | 21.16m | 유리 빌로노그 도핑으로 승계[1] |
| 2005 |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 | 헬싱키 (핀란드) | 금메달 | 21.73m | |
| 2007 |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 | 오사카 (일본) | 은메달 | 21.61m | |
| 2008 | 올림픽 | 베이징 (중화인민공화국) | - | 기록 없음 | 예선 20.56m |
| 2009 |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 | 베를린 (독일) | 5위 | ||
| 2011 |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 | 대구 (대한민국) | 8위 |
4. 도핑 반대 운동
2012년 국제 올림픽 위원회(IOC)는 2004년 하계 올림픽 참가자들의 소변 샘플을 소급 검사하여, 우크라이나 출신으로 2004년 올림픽 금메달리스트인 유리 빌로노그가 경기력 향상 약물 사용으로 유죄 판결을 받았음을 확인했다.[1] IOC는 2004년 올림픽 특정 종목의 소변 샘플 약 100개를 재검사했고, 육상(남녀 모두, 투척 종목)에서 메달 수상자 4명이 경기력 향상 약물 양성 반응을 보였다.
2012년 12월 5일 IOC는 남자 포환던지기 우승자 빌로노그와 여자 포환던지기 3위 스베틀라나 크리벨레바(러시아)의 재검사 결과 스테로이드 제제 옥산드롤론 양성 반응이 나왔다고 발표했다. 빌로노그는 금메달을 박탈당했다.[3] IOC는 규정에 따라 빌로노그 등 실격된 선수들에게 판결에 이의를 제기할 수 있는 21일의 기간을 부여했다. 이의 제기가 없었음에도 IOC는 2013년 5월 30일까지 5개월을 더 기다린 후, 애덤 넬슨을 2004년 올림픽 챔피언으로 선언하고 금메달을 수여했다.
넬슨은 애틀랜타의 한 공항 푸드 코트에서 미국 올림픽 위원회 관계자로부터 금메달을 받았다.[4]
2017년 애덤 넬슨은 마이클 펠프스와 함께 국제 스포츠 행사에서의 반도핑 조치를 조사하는 미국 의회 위원회에서 증언했다.[5] 2005년 초 포환던지기 시즌 동안, 넬슨은 "임대 공간"이라고 적힌 티셔츠를 입고 후원자를 모집했다. 이는 5월에 넬슨이 12000USD 상당의 후원자를 찾으면서 절정에 달했는데, 이는 넬슨이 두 번째 올림픽 은메달을 획득한 후, 그리고 해당 올림픽의 우승자가 이후 약물 검사 양성 반응으로 실격되기 전에 세계 반도핑 기구에 기부한 금액보다 약간 많은 액수였다.[6] 넬슨은 그 시즌 후반에 IAAF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에서 우승했다(하지만 그는 그 대회에서 미국 유니폼을 입었다).
5. 은퇴 후 활동
애덤 넬슨은 운동 선수 생활 은퇴 후, 미식축구, 골프, 야구, 육상 분야의 최고 수준 선수들을 훈련시켰다. 필드 종목 전문가로서 NBC 스포츠에서 일했다. 넬슨은 깨끗한 스포츠 경쟁을 강력하게 옹호하며, 운동 경기에서 경기력 향상 약물 사용에 반대하는 목소리를 자주 낸다.
2017년, 넬슨은 아내와 두 자녀와 함께 휴스턴으로 이사했으며, 그곳에서 소아암 연구 및 치료를 위해 1200만달러 이상을 모금한 이벤트 기획 단체 The D10에서 일하고 있다.
2020년, 그는 모교인 The Lovett School의 체육 부장이 되었다.[7]
6. 주요 기록
| 연도 | 대회 | 개최지 | 순위 | 기록 |
|---|---|---|---|---|
| 1994 | 세계 주니어 선수권 대회 | 리스본(포르투갈) | 1위 | 18.34 m |
| 1999 | 유니버시아드 | 팔마데마요르카(스페인) | 2위 | 20.64 m |
| 2000 | 올림픽 | 시드니(오스트레일리아) | 2위 | 21.21m |
| 2001 | 세계 실내 선수권 대회 | 리스본(포르투갈) | 2위 | 20.72 m |
| 세계 선수권 대회 | 에드먼턴(캐나다) | 2위 | 21.24m | |
| 굿윌 게임 | 브리즈번(오스트레일리아) | 1위 | 20.91 m | |
| 2003 | 세계 선수권 대회 | 파리(프랑스) | 2위 | 21.26m |
| 2004 | 올림픽 | 아테네(그리스) | 1위 | 21.16m[1] |
| 2005 | 세계 선수권 대회 | 헬싱키(핀란드) | 1위 | 21.73m |
| 2007 | 세계 선수권 대회 | 오사카(일본) | 2위 | 21.61m |
| 2008 | 올림픽 | 베이징(중국) | NM (기록 없음) | |
| 2009 | 세계 선수권 대회 | 베를린(독일) | 5위 | 21.11m |
| 2011 | 세계 선수권 대회 | 대구(대한민국) | 7위 | 20.29m |

넬슨은 2000년 시드니 올림픽에서 은메달을 획득했지만, 금메달리스트였던 아르시 하르유 (핀란드)의 부정행위가 밝혀지면서 금메달을 승계받았다. 2004년 아테네 올림픽에서는 1차 시기에서 21.16m를 던져 선두를 유지했으나, 마지막 시기에서 유리 빌로노그 (우크라이나)가 같은 거리를 던져 공동 1위가 되었다. 동점 규칙에 따라 두 번째로 좋은 기록을 비교했지만, 넬슨은 1차 시기 이후 모든 시기에서 파울을 범해 두 번째 기록이 없었다. 결국 빌로노그에게 금메달을 내주고 은메달에 머물렀으나, 2013년 빌로노그의 도핑 양성 반응으로 금메달을 승계받았다.[1]
2005년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에서 21.73m의 기록으로 생애 첫 세계 선수권 타이틀을 획득했다. 2007년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에서는 21.61m의 기록으로 은메달을 획득했다. 2008년 베이징 올림픽에서는 결승에서 유효한 기록을 내지 못했지만, 예선에서는 20.56m를 던졌다. 2009년과 2011년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에서는 각각 5위와 8위에 그쳤다.
6. 1. 개인 최고 기록
| 대회 | 순위 | 장소 | 기록 |
|---|---|---|---|
| 2000년 하계 올림픽 | Gold|금영어 | Sydney|시드니영어 (오스트레일리아) | 21.21m |
| 2004년 하계 올림픽 | Gold|금영어 | 아테네 (그리스) | 21.16m |
| 2005년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 | 1위 | Helsinki|헬싱키fi (핀란드) | 21.73m |
| 2007년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 | 2위 | 오사카 (일본) | 21.61m |
| 2008년 하계 올림픽 | 순위없음 | 베이징 (중국) | 20.56m (예선) |
| 2009년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 | 5위 | 베를린 (독일) | 기록 없음 |
| 2011년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 | 8위 | 대구 (대한민국) | 기록 없음 |
2002년에 기록한 개인 최고 기록은 22.51m이다.[1] 이는 당시 미국 역사상 세 번째로 긴 기록이자, 세계에서 아홉 번째로 긴 기록이었다.
6. 2. 시즌 최고 기록
| 대회 | 연도 | 장소 | 순위 | 종목 | 기록 |
|---|---|---|---|---|---|
| 올림픽 평가전 | 2000 | United States|미국영어 | 포환던지기 | ||
| 하계 올림픽 | 2000 | Sydney|시드니영어 (오스트레일리아) | 포환던지기 | 21.21m | |
| 하계 올림픽 | 2004 | 아테네 (그리스) | 포환던지기 | 21.16m[1] | |
|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 | 2005 | 포환던지기 | 21.73m | ||
|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 | 2007 | 포환던지기 | 21.61m | ||
| 하계 올림픽 | 2008 | 베이징 (중화인민공화국) | 포환던지기 | 기록없음 (결승) | |
|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 | 2009 | 5위 | 포환던지기 | ||
|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 | 2011 | 8위 | 포환던지기 | ||
| 미국 올림픽 육상 선발전 | 2012 | United States|미국영어 | 포환던지기 | 결승 진출 실패[2] |
참조
[1]
웹사이트
USA Track & Field - Adam Nelson
http://www.legacy.us[...]
[2]
IAAF
World record for Eaton, dramatic wins for Jeter and Harper in Eugene – US Olympic Trials, Day 2
http://www.iaaf.org/[...]
2012-06-24
[3]
웹사이트
Olympic shot put champion among athletes who tested positive at Athens, claims German TV programme - insidethegames.biz - Olympic, Paralympic and Commonwealth Games News
http://www.insidethe[...]
2012-11-28
[4]
뉴스
How it feels to be given an Olympic gold medal ... nine years later at a Burger King
https://www.theguard[...]
2016-09-01
[5]
뉴스
International Anti-Doping Efforts
https://www.c-span.o[...]
2017-02-28
[6]
뉴스
The Going Price for a Shot Putter? $12,000
https://www.washingt[...]
[7]
웹사이트
Nelson returns home to lead Lovett athletics {{!}} Sports {{!}} mdjonline.com
https://www.mdjonlin[...]
2020-01-23
[8]
뉴스
アテネ五輪のドーピング違反でメダル繰り上げ
http://www.sanspo.co[...]
サンスポ
2013-05-3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