엔메르카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엔메르카르는 수메르 신화에 등장하는 우루크의 초기 왕이자 문자의 발명가로 여겨지는 인물이다. 수메르 왕 목록에 따르면 메스키아그가셰르의 아들이자 우루크 제1왕조의 첫 번째 왕으로, 420년간 재위했다. 엔메르카르는 아라타를 복속시키기 위한 원정과정에서 문자를 발명했다는 전설로 유명하며, 이는 수메르인들이 문자의 기원을 설명하는 신화로 여겨진다. 엔메르카르와 관련된 서사시에는 아라타와의 대립을 그린 "엔메르카르와 아라타의 영주", "엔메르카르와 엔-수흐기르-아나", "루갈반다 서사시"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기원전 34세기 통치자 - 루갈반다
루갈반다는 수메르 문학에 등장하는 인물로, 길가메시 서사시에서 길가메시의 아버지로, 루갈반다 서사시에서는 엔메르카르의 군인으로 묘사되며, 초인적인 힘과 지혜를 통해 우루크를 구하고 왕위에 오른다. - 기원전 32세기 통치자 - 루갈반다
루갈반다는 수메르 문학에 등장하는 인물로, 길가메시 서사시에서 길가메시의 아버지로, 루갈반다 서사시에서는 엔메르카르의 군인으로 묘사되며, 초인적인 힘과 지혜를 통해 우루크를 구하고 왕위에 오른다. - 기원전 33세기 통치자 - 루갈반다
루갈반다는 수메르 문학에 등장하는 인물로, 길가메시 서사시에서 길가메시의 아버지로, 루갈반다 서사시에서는 엔메르카르의 군인으로 묘사되며, 초인적인 힘과 지혜를 통해 우루크를 구하고 왕위에 오른다.
엔메르카르 | |
---|---|
기본 정보 | |
칭호 | 우루크 왕 수메르의 통치자 |
배우자 | 알려진 바 없음 |
통치 기간 | 기원전 3400-3100년경 (후기 우루크 시대) |
아버지 | 메스키앙가셰르 |
어머니 | 알려진 바 없음 |
계승자 | 루갈반다 |
왕조 | 우루크 1 왕조 |
계승 | 우루크 제1왕조의 왕 |
![]() | |
이름 | |
쿠네이 문자 | 𒂗𒈨𒅕𒃸 |
로마자 표기 | Enmerkar |
설명 | |
기타 | 빛나는 거대한 뱀을 가진/소유한 '주인'이라는 의미로 추정 |
2. 역사적 배경
엔메르카르는 우루크의 창시자이자 첫 번째 왕으로, 도시 건설과 농업 기술을 도입한 인물로 알려져 있다. 젬데트 나스르 시대부터 시작된 '아드-기4 목록'에는 엔메르카르와 그의 아내 엔메르카르지가 도시 건설과 관개 시설을 만들었다는 기록이 있다.[5] 이 목록은 니네베에서 이중 언어본으로 발견되어 기원전 1000년까지 이 전통이 이어졌음을 보여준다.
엔메르카르는 루갈반다나 길가메시와는 달리 신격화되지는 않았지만, 우르 제3왕조 시대에 제물을 받은 기록이 있어 우루크의 중요한 인물로 기억되었음을 알 수 있다.[6]
일부 학자들은 엔메르카르의 아라타 원정이 역사적 사실에 기반한다고 주장한다. 우루크에서 발견된 점토판에 "아라타의 영주"라는 칭호가 기록되어 있기 때문이다.[7] 그러나 아시리아학자 디나 카츠는 이러한 해석이 엔메르카르가 점토판과 문자 체계를 발명했다는 이야기의 핵심을 약화시킨다고 비판한다.[6]
『엔메르카르와 아라타 시의 영주』에 따르면, 엔메르카르는 아라타를 복속시키기 위해 사자를 보냈으나, 사자가 말을 제대로 전달하지 못하자 점토판에 글을 적어 보냈다. 아라타는 우루크에서 7개의 산을 넘어선 먼 곳에 있었으며, 위치는 엘람 혹은 아르메니아 부근으로 추정된다.
아카드 왕조의 나람신은 엔메르카르가 자신의 경험을 기록하지 않아 전쟁에서 패배하고 아카드가 황폐화되었다고 비난했다.[6]
2. 1. 후기 우루크 시대 (기원전 3400년 ~ 기원전 2900년)
젬데트 나스르 시대(기원전 3100-2900년)부터 시작된 것으로 보이는 ''아드-기4 목록''은 엔메르카르와 그의 아내 엔메르카르지(Enmerkarzi)를 도시 건설자이자 농업 도입자로 언급한다. 이 목록의 이중 언어본은 니네베에서 발견되었는데, 이는 이 전통이 서기 1000년까지 전해졌음을 나타낸다.[5]
''엔메르카르와 (그의) 아내 엔메르카르-지,''
''도시 건설 기술을 아는 자는 벽돌과 벽돌 포장을 만들었다.''
''해마다 홍수가 적절한 수준에 도달했을 때,''
''(그들은) 관개 수로와 모든 종류의 관개 도랑을 만들었다.''
엔메르카르는 후계자인 루갈반다와 길가메시처럼 신격화되지 않았다. 이 두 왕은 이미 슈루파크의 신 목록에 등재되었으며, 우르 제3왕조(기원전 2112-2004년) 동안 제물을 받았다. 결론적으로 엔메르카르는 우루크의 창시자이자 첫 번째 왕으로 기억되었다.[6]
2. 2. 아라타 원정
일부 학자들은 엔메르카르의 아라타 원정이 역사적 사실에 기반한다고 주장한다. 우루크에서 발견된 "아라타의 영주"라는 칭호가 기록된 고대 점토판은 엔메르카르의 업적을 둘러싼 전승이 현실에 근거하고 있다는 믿음을 뒷받침하는 증거로 제시되었다.[7]하지만 아시리아학자 디나 카츠는 전설적인 이야기를 역사적으로 설명하려는 시도는 엔메르카르가 점토판과 문자 체계를 발명했다는 주장의 타당성을 무효화하고, 이야기의 중요한 이념적 목적을 약화시킨다고 비판한다. 그녀는 또한 홍수 이후 최초의 수메르 도시의 창시자가 글쓰기를 발명했다고 주장하는 시가 정치적, 민족적 발언이라고 지적한다.[6]
『엔메르카르와 아라타 시의 영주』에 따르면, 엔메르카르는 금속 세공과 공예품으로 유명한 도시 아라타를 복속시키려 했다. 그러나 아라타는 우루크에서 7개의 산을 넘어선 땅에 있었다(위치는 불명. 엘람 혹은 아르메니아 부근으로 추정). 엔메르카르는 항복을 권고하는 사자를 보냈지만, 사자는 엔메르카르의 장황한 말을 기억할 수 없어 여러 번 연습해도 제대로 전달하지 못했다. 그래서 엔메르카르는 점토판을 정돈하고 말을 점토판 위에 적었다(즉, 문자를 기록했다). 사자는 아라타에 도착하여 점토판에 적힌 말대로 항복을 권고하여 아라타의 영주를 위압했다. 이것이 최초의 문자 기록이라고 여겨진다.
''…사자는 아라타의 영주에게 고했다. "이것은 우리 주인이 말한 말이다. 이것은 그의 말이다. …빛나고 빛나는 왕, 지배자인 우투 신의 아들 엔메르카르는 나에게 이 점토판을 주었다. 아라타의 영주여, 이 점토판을 조사하고 답변을 말씀하시오."…''
이것은 고고학적 사실에서 밝혀진 쐐기 문자의 역사와는 맞지 않지만, 수메르인들이 문자의 발생을 이야기한 신화로서 중요성은 헤아릴 수 없다.
2. 3. 아카드 제국
아카드 왕조의 나람신은 엔메르카르가 자신의 경험을 비문에 기록하지 않아 전쟁에서 패배하고 아카드가 황폐화되었다고 비난했다.[6]3. 아라타 전설
'아라타 전설'은 엔메르카르가 전설적인 도시 아라타를 상대로 우위를 점하는 과정을 다룬 4편의 수메르 서사시 묶음이다. 이 서사시들은 우르 제3왕조(기원전 2112-2004년) 시기에 기원했으며, 우루크의 영광스러운 과거를 찬양하고 우르 제3왕조의 정통성을 강화하기 위한 정치적 목적을 지녔다.[8][9]
이야기 শুরুতে 딜문 땅이 아직 존재하기 전, 우루크(우눅-쿨라바)의 에안나는 이미 잘 건설되어 있었다. 에안나는 모든 나라의 숙녀 이난나 여신을 기념하여 우루크에 지어진 지구라트였다. 아라타의 주인 역시 이난나의 이름으로 왕이 되었지만, 그녀는 우루크의 벽돌 사원만큼 기뻐하지 않았다.
엔메르카르는 현명한 산에서 이난나에게 선택받은 인물이었다. 그는 이난나에게 아라타를 복종시키고, 그 백성들이 귀금속과 보석을 조공으로 바치도록 요구했다. 이는 에리두에 엔키의 고상한 압주 지구라트를 건설하고 우루크에 에안나 성소를 장식하기 위해서였다. 이난나는 엔메르카르에게 수신과 안샨의 산을 넘어 아라타의 주인에게 사절을 보내 항복과 조공을 요구하라고 조언했다.
엔메르카르는 이에 동의하여 사절단을 보냈고, 조공을 바치지 않으면 아라타를 파괴하고 백성들을 분산시키겠다는 위협을 덧붙였다.
엔메르카르가 우루크의 창시자라는 전통은 ''아드-기4 목록''에서 발견되는 젬데트 나스르 시대(기원전 3100-2900년)부터 시작된 것으로 보인다.[5] 이 목록은 엔메르카르와 그의 아내 엔메르카르지(Enmerkarzi)를 도시 건설자이자 농업 도입자로 언급하며, 이 전통은 서기 1000년까지 전해졌다.[5]
엔메르카르는 신 수메르 시기(기원전 21세기)에 만들어진 수메르 이야기들에 등장한다. 그는 우루크의 왕으로서 아라타의 왕과 갈등을 겪었다.
수메르 왕 목록에 따르면, 엔메르카르는 우루크 제1왕조의 첫 번째 왕인 메스키아그가셰르의 아들로, 420년 동안 재위했다고 한다. 다른 전설에서는 그를 태양신 우투의 아들로 여기기도 한다.
우루크를 건설하고 문자를 발명했다고 전해지는 엔메르카르는, 루갈반다나 길가메시처럼 숭배의 대상이 되기도 했지만, 그의 실존 가능성은 논란의 여지가 있다.
엔메르카르에 관한 주요한 전설은 『』, 『』 두 가지이다.
3. 1. 엔메르카르와 아라타의 군주
엔메르카르는 아라타의 풍부한 자원을 얻기 위해 아라타를 복종시키려 한다. 그는 여신 이난나의 도움을 받아 사절을 보내 아라타에 항복을 요구한다.[7] 엔메르카르는 아라타 군주가 제시한 세 가지 수수께끼를 해결한다.- 자루 대신 그물에 곡물을 아라타로 운반하기 위해 엔메르카르는 싹트는 보리를 사용하여 그물의 틈새를 막아 곡물이 쏟아지지 않도록 했다.
- 존재하지 않는 재료로 만든 홀을 가져오기 위해 엔메르카르는 풀과 같은 플라스틱 물질을 준비하여 속이 빈 갈대에 부었다. 이것이 굳은 후 그는 갈대 틀을 떼어냈다.
- 자신의 개와 싸울 알려지지 않은 색상의 개를 데려오기 위해 엔메르카르는 알려지지 않은 색상의 천을 짰다.
사절이 메시지를 기억하기 어렵다고 하자, 엔메르카르는 문자를 발명하여 점토판에 기록한다. 아라타는 기근과 가뭄으로 고통받았고, 이난나는 엔메르카르에게 아라타와의 평화로운 교역을 시작하라고 말한다.[6]
3. 2. 엔메르카르와 엔-수흐기르-아나
아라타의 군주 엔-수흐기르-아나는 이난나의 총애를 받는다고 주장하며 우루크에 복종을 요구했다. 엔메르카르는 이를 거부하며 자신이 이난나의 유일하고 변함없는 연인이라고 지적했지만, 아라타의 군주는 우루크에 복종하기를 거부했다. 하마지 출신의 마법사가 이 교착 상태를 깨기 위해 자신의 능력을 제공했고, 엔-수흐기르-아나는 이를 받아들였다. 마법사는 여신 니사바의 가축에게 저주를 걸어 수메르에 기근이 닥치게 했다. 우투는 현명한 여인을 보내 유프라테스강가에서 마법사를 따라잡게 했고, 둘은 마법 대결을 시작했다. 마법사는 강에 물고기 알을 던져 동물을 소환했고, 현명한 여인은 다섯 번에 걸쳐 마법사의 동물을 사냥하는 다른 동물을 소환했다. 마법사는 패배를 인정하고 목숨을 구걸했지만, 결국 죽임을 당했고 저주는 풀렸다. 엔-수흐기르-아나는 패배를 인정하고 엔메르카르에게 복종했다.3. 3. 루갈반다 서사시
산 동굴의 루갈반다와 안주드 새와 루갈반다(루갈반다 시)에서 엔메르카르는 아라타를 공격하는데, 이때 그의 전쟁 지도자 루갈반다가 병에 걸려 동굴에 버려진다. 루갈반다는 안주드(Anzud)의 새끼를 먹고 전설적인 새의 호의를 얻어 속도의 선물을 받고 아라타를 포위하고 있는 엔메르카르에게 돌아간다. 엔메르카르는 루갈반다를 우루크로 보내 이난나의 조언을 구하게 하고, 이난나는 조언을 해준다. 결국 아라타는 항복한다.이 텍스트는 또한 엔메르카르의 통치 50년째에 마르투인이 수메르와 아카드 전역에서 일어나 우루크를 보호하기 위해 사막에 벽을 세울 필요가 있었다고 언급한다.
4. 후대의 영향
클라우디우스 아일리아누스(기원후 200년경)가 전한 그리스 전설에 따르면, 바빌론의 왕 에우에코로스 또는 세우에코로스(여러 변형으로 나타남)는 길가메시의 할아버지라고 한다.[1] 몇몇 학자들은 "세우에코로스" 또는 "에우에코로스"를 우루크의 엔메르카르와 동일 인물로 보기도 한다.[1]
데이비드 롤은 성경 속 니므롯과 엔메르카르 사이에 유사점이 있다고 주장했다. 니므롯은 바벨 탑의 설계자로 알려져 있고, 엔메르카르는 우루크의 건설자라는 점, 니므롯의 별칭 "사냥꾼"과 엔메르카르 이름의 접미사 "-카르"가 같은 의미라는 점 등을 근거로 제시했다. 또한 롤은 우르 근처의 에리두가 바빌론의 기원지이며, 그곳의 미완성 지구라트가 성경 속 바벨 탑이라고 주장했다.
4. 1. 고대
클라우디우스 아일리아누스(기원후 200년경)가 전한 그리스 전설에 따르면, 바빌론의 왕 에우에코로스(Euechoros) 또는 세우에코로스(Seuechoros, 세베코로스Sevekhoros, 이전에는 사코라스Sacchoras 등 다양한 변형으로 나타남)는 나중에 바빌론의 왕이 되는 길가모스(Gilgamos, 즉 우루크의 길가메시)의 할아버지라고 한다.[1] 최근 몇몇 학자들은 이 "세우에코로스" 또는 "에우에코로스"를 우루크의 엔메르카르와, 베로소스가 칼데아와 아시리아의 첫 번째 왕으로 언급한 허구의 인물인 에우에쿠스(Euechous)와 동일 인물로 보고 있다.[1] "에우에쿠스"(Evechius 등 많은 변형으로 나타남)는 다른 많은 허구적이고 실존하는 메소포타미아 통치자들과 함께, 역사적으로 증명되지 않은 성경 속 인물인 니므롯과 동일시되어 왔다.[1]4. 2. 성경 속 니므롯과의 동일시
역사학자 데이비드 롤은 엔메르카르와 성경 속 니므롯 사이에 유사점이 있다고 주장했다. 니므롯은 바벨 탑의 설계자로 알려져 있으며, 엔메르카르는 우루크의 건설자이다. 롤은 니므롯의 별칭 "사냥꾼"과 엔메르카르 이름의 접미사 "-카르"가 같은 의미라고 보았다. 또한 롤은 우르 근처의 에리두가 바빌론의 기원지이며, 그곳의 미완성 지구라트가 성경 속 바벨 탑이라고 주장했다.5. 한국과의 관계
엔메르카르 이야기는 고대 국가의 기원과 문명의 발전을 다룬다는 점에서 한국의 단군 신화와 유사성을 보인다. 우루크와 아라타 간의 갈등과 교류는 고대 국가 간의 경쟁과 협력 관계를 보여주며, 이는 한반도의 고대 국가 형성 과정과도 비교될 수 있다.
참조
[1]
서적
Marshland of Cities: Deltaic Landscapes and the Evolution of Civilization
https://www.academia[...]
S.N.
2003
[2]
서적
The Sumerian Account of the Invention of Writing —A New Interpretation
https://www.research[...]
Elsevier Ltd.
2004
[3]
문서
Irano-Sumerica
[4]
문서
Inventions of writing in the Ancient Middle East and beyond.
2010
[5]
간행물
Remarks on AD-GI 4 (A.K.A."Archaic Word List C" or "Tribute"
https://www.academia[...]
2013
[6]
문서
Ups and Downs in the Career of Enmerkar, King of Uruk. In 1038779203 795202920 O. Drewnowska & 1038779204 795202920 M. Sandowicz (Authors), Fortune and misfortune in the Ancient Near East: Proceedings of the 60th Rencontre assyriologique internationale at Warsaw 21–25 July 2014 (pp. 201-202). Winona Lake, Indiana: Eisenbrauns.
2017
[7]
간행물
Animal Husbandry at Uruk in the Archaic Period
https://www.jstor.or[...]
1980
[8]
서적
Epics of Sumerian Kings: The matter of Aratta
Society of Biblical Literature Atlanta
[9]
간행물
Ethnopoetry and the Enmerkar Epics
https://www.jstor.or[...]
1983-01
[10]
문서
De Natura Animalium 12.21
[11]
문서
"The Birth of Gilgamesh"
[12]
문서
Legends: The Genesis of Civilization
1998
[13]
간행물
The Sumerian Account of the Invention of Writing —A New Interpretation
https://www.research[...]
Elsevier Ltd.
2004
[14]
간행물
Marshland of Cities: Deltaic Landscapes and the Evolution of Civilization
https://www.academia[...]
S.N.
2003
[15]
간행물
Remarks on AD-GI 4 (A.K.A."Archaic Word List C" or "Tribute"
2013
[16]
문서
FABULAE § 143 PHORONEUS
[17]
문서
Berossus und die babylonisch-hellenistische Literatu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