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여성주의와 미디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여성주의와 미디어는 여성주의 사상의 발전과 확산에 미디어가 미치는 영향에 대한 내용을 다룬다. 여성주의는 19세기부터 시작되어 제1, 2, 3세대 여성주의로 구분되며, 각 시대별로 미디어를 활용하여 여성의 권리 신장을 위한 운동을 전개했다. 1세대 여성주의는 인쇄 매체를, 2세대 여성주의는 텔레비전, 라디오 등을 활용하여 메시지를 전파했다. 3세대 여성주의는 소셜 미디어를 통해 젠더, 헤테로규범성 등 다양한 주제에 대한 논의를 이끌었다. 미디어는 여성주의를 부정적으로 묘사하는 경향이 있었으나, 소셜 미디어의 발달로 여성주의 운동이 활발하게 전개되었다. 영화, 비디오 게임 등 다양한 미디어에서도 여성주의적 주제가 다뤄지고 있으며, 여성주의 간행물은 여성주의 사상을 확산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여성주의와 사회 - 부권제
    부권제는 가부장제라고도 불리며 남성이 권력을 쥐고 사회 전반을 지배하는 제도로, 여성주의 이론에서는 여성을 억압하는 불평등한 사회 구조로 규정하며 다양한 관점에서 분석되고 비판적으로 고찰된다.
  • 여성주의와 사회 - 성 주류화
    성 주류화는 정책 결정 시 여성과 남성에게 미치는 영향을 고려하여 성 평등을 목표로 하는 전략이며, 제도적, 담론적 관점의 접근 방식이 존재하고, 조직 변화의 과정으로 볼 수 있지만, 비판적인 시각도 존재한다.
여성주의와 미디어
여성주의와 미디어
분야미디어 연구, 여성학
하위 분야여성주의 영화 이론, 여성주의 기술 과학
관련 주제여성주의, 미디어, 젠더, 성차별, 재현
개요
설명여성주의와 미디어는 여성주의적 관점에서 미디어를 분석하고 비판하는 학문 분야이다.
목표미디어 속 여성의 재현 분석 및 비판
미디어 산업 내 성차별 문제 제기
여성주의적 미디어 제작 및 활용 촉진
주요 개념
성차별적 재현미디어가 여성을 성적으로 대상화하거나 고정관념적으로 묘사하는 방식
남성적 시선미디어가 남성의 관점에서 세상을 바라보고 여성을 평가하는 방식
여성의 목소리미디어를 통해 여성의 다양한 경험과 관점을 드러내는 것
미디어 활동여성들이 미디어를 통해 사회적, 정치적 변화를 이끌어내는 활동
역사
1960년대여성운동의 성장과 함께 여성주의적 미디어 비평 등장
1970년대여성주의 영화 이론 발전, 남성적 시선 비판
1980년대젠더와 미디어 연구 확장, 다양한 여성 집단에 대한 관심 증가
1990년대 이후사이버페미니즘 등장, 디지털 미디어와 여성의 관계 탐구
주요 연구 분야
영화여성주의 영화 이론, 여성 영화 감독 연구, 영화 속 여성 재현 분석
텔레비전텔레비전 프로그램 속 성 역할 분석, 여성 시청자 연구
광고광고 속 성차별적 이미지 비판, 여성 소비자 분석
뉴스뉴스 보도 속 성 편향 분석, 여성 언론인 연구
디지털 미디어사이버페미니즘, 여성 블로거, 소셜 미디어와 여성
여성주의적 미디어 제작
독립 영화여성 감독들이 제작하는 독립 영화
여성 잡지여성의 목소리를 대변하는 잡지
여성 라디오여성들이 운영하는 라디오 방송
온라인 커뮤니티여성들이 정보를 공유하고 연대하는 온라인 공간
한국의 여성주의 미디어 연구
초기여성학 도입과 함께 여성주의적 미디어 비평 시작
발전한국 사회의 젠더 문제와 미디어의 관계 분석
현재디지털 미디어와 여성, 여성주의적 미디어 활동 연구 활발
참고 문헌
도서Images of Women in Film: A Sociology Textbook
Gender, Race, and Class in Media
Feminist Media Studies
학술지Feminist Media Studies
Journal of Gender Studies
Sex Roles
관련 단체
국내한국여성민우회
여성환경연대
국제Women's Media Center
Global Fund for Women

2. 역사

19세기부터 시작된 여성주의의 역사는 현재에도 계속되고 있다. 여성주의는 크게 제1세대 여성주의, 제2세대 여성주의, 제3세대 여성주의로 분류할 수 있다.

"여성 참정권론자"와 "페미니스트"라는 용어는 주로 1900년대 초반에 일어난 서로 다른 운동을 지칭한다. 여성 참정권론자들은 여성이 선거 투표권을 행사하도록 하되, 여성은 집안일(가족과 지역사회를 돌보는 일)에 충실해야 한다는 생각을 고수했다. 한편 페미니스트들은 참정권을 옹호하면서 여성도 "남성처럼 동등하게 참여할 권리, 경제 자립, 사생활 및 성생활의 자유"를 보장받아야 한다고 주장했다(핀, 2012).[40]

2. 1. 제1세대 여성주의

제1세대 여성주의는 19세기부터 20세기 초까지 일어난 페미니즘 운동을 뜻한다. 당시 여성은 교육, 재산권, 경제권 등에서 제약을 받아 자신의 삶을 주도하기 어려웠고, 어머니나 아내로서의 역할에 한정되는 것에 대한 불만이 커지고 있었다.[41]

당시 페미니스트들은 여성 참정권과 같은 법률상 제약에 주로 초점을 맞추었다. 엘리자베스 케이디 스탠턴이 초안을 작성한 1848년 세네카 폴스 선언을 통해 제1세대가 형성되었으며, 선언문에는 페미니스트의 전략과 이념이 담겨 있었다. 참정권론자들은 재건 시대노예제 폐지운동 때 사용된 방식과는 다른 방식으로 여성들을 동참시키고자 노력했다.[41]

제2차 대각성 운동으로 여성들이 사회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하게 되었고, 노예제 폐지와 금주 운동이 제1세대 여성주의에 동력을 제공했다. 그러나 이러한 운동에서 여성들은 대체로 배제되었고, 모든 참정권론자가 성 평등을 지지하는 것은 아니었다.[41] 1860년 뉴욕에서 기혼 여성 재산법이 통과되어 여성의 재산 소유가 합법화되었고,[41][2] 1920년 미국 수정 헌법 제19조 비준으로 여성에게 투표권이 주어졌다.[41]

제1세대 여성주의는 주로 신문, 소책자, 간행물 등 인쇄 매체를 통해 확산되었다.[41]

2. 2. 제2세대 여성주의

여성주의자들은 전미 여성 기구(NOW)와 같은 여성 전용 단체를 결성하고, "The BITCH Manifesto"와 같이 여성의 평등을 옹호하는 논문을 발표함으로써 주목을 받으려 했다. 급진적 여성주의자들은 "젠더는 상대적인 범주가 아닌 절대적인 범주"라는 생각을 장려했다.[3] 이러한 관점의 초기 묘사로는 1967년에 발레리 솔라나스(Valerie Solanas)가 쓴 S.C.U.M 선언이 있다.[3] 이 물결의 주요 입법적 초점은 성별에 관계없이 사회적 평등을 보장하는 평등권 수정안(ERA) 통과에 있었다. ERA는 비준을 위해 의회에 상정되었지만 비준에 실패했다. 2차 물결은 1980년대 초, 3차 물결에서 논의된 성과 포르노그래피 문제를 논의하면서 끝났다고 한다. 2차 물결에서는 더 발전된 기술을 통해 여성주의자들은 신문, 텔레비전, 라디오, 출판 논문을 사용하여 메시지를 전파했다.

1960년 이전에는 남성과 여성 모두 전통적인 젠더 및 가족 역할의 현실을 받아들였다. 그러나 2차 물결 여성주의가 시작되면서 여성들은 가정과 직장에서 이러한 역할에 도전했다.(Beck, 1998).[4] 베티 프리단의 1963년 저서인 『여성의 신비』는 (백인, 중산층) 여성들의 "제한적인 젠더 역할과 교외 핵가족 내에서의 고립감"에 대한 불행을 논의하면서 2차 물결 운동을 촉진했다고 한다(Mendes, 2011).[5]

2. 2. 1. 제2세대 여성주의의 미디어 활용

이 시기(1960년대와 1970년대)에 텔레비전에서 여성의 묘사가 변화했는데, 이는 부분적으로 "여성의 성적, 정치적 에너지"의 방출 때문이었다(Douglas, 1994).[6] 이 시기 전에는 여성의 성이 "금기"의 주제로 여겨질 수 있었고, 텔레비전에서 여성 묘사에 혁명적인 변화를 가져왔다. 이러한 다양한 여성 역할의 예로는 모티시아 아담스(''아담스 패밀리''), 사만다 스티븐스(''매혹된 여자''), 그리고 메리 리처드(''메리 타일러 무어 쇼'')를 포함한다. 앞서 언급된 모든 여성들은 어떤 방식으로든 마법적이거나 강력한 여성 캐릭터였으며, 이는 1950년대의 더 전형적인 주부 역할과는 달랐다. 또한, 이 시대의 많은 역할들은 여성을 독립적으로 묘사하여 남자를 필요로 하거나 찾지 않았다.

2. 3. 제3세대 여성주의

제3의 물결 페미니즘은 1990년대 초부터 시작되어 현재까지 이어지고 있다. 이 운동은 제2의 물결 운동의 실패와 비판에 대한 반작용으로 성장했다. 이 운동의 목표는 제2의 물결에서 확장되어 레즈비언 이론, 성 역할과 고정관념 폐지, 성매매, 포르노, 성 긍정성 옹호와 같은 아이디어에 초점을 맞추었다. 이 운동은 전통적인 페미니스트와는 구별되는 레즈비언과 아프리카계 미국인 여성에 초점을 맞추고 있으며, 젠더, 헤테로규범성, "보편적인 여성성"과 같은 많은 전통적인 개념을 약화시켰다. 여성성에 대한 소셜 미디어에서의 이러한 논의는 "연예인 경제"에 대한 이해를 강화했다.(켈러)

2. 3. 1. 제3세대 여성주의의 미디어 활용

제3의 물결 여성주의는 목표를 전파하기 위해 주로 소셜 미디어에 의존한다. 트위터, 페이스북과 같은 소셜 미디어는 여성주의 메시지로 지속적으로 다루어지며, 해시태그 캠페인은 여성주의적 아이디어를 전달하기 위해 꾸준히 확산된다([#heforshe], [#yesallwomen], #whyistayed). 많은 텔레비전 쇼에서도 지배적이고 강한 여성들을 등장시키며, 여성이 남성과 동등하다는 생각을 장려한다(''내슈빌'', ''오렌지 이즈 더 뉴 블랙'', ''버피 더 뱀파이어 슬레이어'').[7]

2013년, 리프레젠테이션 프로젝트는 사용자들이 서로 연결하여 광고에서부터 공인들의 발언과 인용구에 이르기까지 성차별적인 미디어에 빠르게 트윗하거나 참여할 수 있는 #NotBuyingIt이라는 모바일 앱을 만들었다. 이 앱은 종종 슈퍼볼 광고가 악명 높게 성차별적이라고 여겨지는 축구 시즌에 사용된다.

캘리포니아 대학교-산타바바라 총기 난사 사건 이후, 인터넷상의 수천 명의 여성들이 #YesAllWomen 해시태그를 사용하여 일상생활에서 경험한 성차별 경험을 트윗하기 시작했다. 2014년 6월, 미국 대법원의 ''Burwell v. Hobby Lobby'' 판결에 대한 대응으로, 고용주가 종교적 이유로 특정 피임 기구를 보장하지 않도록 허용한 대법원 결정에 대한 혐오감에서 분노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감정을 표현하는 #HobbyLobby, #JoinTheDissent 및 #NotMyBossBusiness 해시태그가 포함된 수천 개의 트윗이 올라왔다.[18]

Change.org의 매튜 슬루츠키에 따르면, 소셜 미디어는 이러한 문제에 대한 포럼을 페미니스트 및 기타 활동가뿐만 아니라 이러한 문제를 논의하려는 모든 사람에게 개방했다.[19]

3. 대중 매체와 여성주의

대부분의 언론인은 대상에 대한 객관적인 시각을 만들려고 하지만, 페미니즘은 오랫동안 부정적인 시각으로 묘사되어 왔다. 페미니즘의 묘사는 미디어가 반대쪽에 기울어지는 것처럼 보인다는 생각에 의해 부추겨진다. 여성과 남성을 대립시키는 것은 여성에게 주로 부정적인 역할을 부여하는 결과를 낳는다.[10] Lind와 Saio(2006)의 연구에 따르면,[11] 페미니스트는 미디어에 거의 등장하지 않으며 종종 악마화된다. 그들은 종종 "일반" 여성과는 다르다고 묘사되며, 일상적인 활동보다는 공적인 활동과 행사에 연관된다. 또한 페미니스트는 피해자로 묘사되는 경우가 드물며, 일반 여성에 비해 여성 운동과 그 목표와 더 자주 연관된다(여성이 "페미니스트"라는 꼬리표가 붙지 않으면 여성임에도 불구하고 종종 그 운동과 연관되지 않는다는 의미). Creedon(1993)은[12] "페미니스트는 끊임없이 성적으로 일탈적인 집단, '가족 가치'를 파괴하려는 남자 혐오자 집단으로 여겨진다"라고 썼다. 미디어에서 "페미니즘"이라는 용어는 종종 "가족"이라는 용어와 대립되며, 페미니스트가 가족 여성일 수 없다는 생각을 낳는다. 이러한 수십 년간의 부정적인 묘사는 많은 젊은 여성들이 페미니즘을 거부하게 만들었고, 이는 부분적으로 페미니스트가 "남자 혐오자"로 낙인 찍힌 데 기인한다. 페미니즘과 관련된 다른 낙인으로는 "멍청이", "아마존", "분노자", "급진파", "털북숭이" 등이 있다(Jones, 1992).[13] 대부분의 미디어 의사 결정자는 남성이지만, 여성도 저널리즘 분야에 진출하기 시작했다.[10] 현대 여성 운동은 주류 미디어를 통해 주로 무시되어 왔으며, 몇몇 유명한 예외만 남았다.[10] 1968년의 미스 아메리카 선발대회는 처음으로 대대적으로 홍보된 사례 중 하나였다. 하지만 페미니스트 운동의 실망에도 불구하고, 보도는 왜곡되고 선정적으로 이루어졌다.[10] 행사 중에 여성에게 "브래지어 불태우는 자"라는 용어가 나타났다.[10] 페미니스트에게 경멸적인 용어를 붙이는 행위는 지지자들의 침묵을 유도하고 발언에 대한 두려움을 조장하는 방법이었다.

Flora Davis(1991)는[14] 그녀의 저서 ''Moving the Mountain: The Women's Movement in America''에서 페미니스트 운동에 대한 미디어 보도가 반드시 부정적인 것만은 아니었으며, 1969년에 운동을 부각시킨 것은 미디어였다고 썼다. 또한 Davis는 미디어가 운동의 문제, 여성 영웅, 활동을 홍보하여 운동이 그렇지 않았다면 도달하지 못했을 개인에게 도달할 수 있도록 했다고 지적한다.

3. 1. 소셜 미디어와 여성주의

최근 몇 년 동안, 트위터와 페이스북과 같은 소셜 미디어 플랫폼은 가정 폭력에서부터 거리 성희롱, 야유, 낙태에 이르기까지 광범위한 문제에 대한 논의를 촉발했다.[15] 2012년, 터키의 여성주의자들은 전국적인 낙태 금지 법안에 반대하는 시위와 행진을 조직하고 동원하기 위해 페이스북 그룹을 만들었다. 유럽 연합의 다른 지역에 있는 여성주의자들도 이 문제에 주목하기 시작하여 각자의 페이스북 그룹에서 이 문제를 홍보했고, 결국 그 법안은 입법 의제에서 제외되었다.[16]

레이 라이스의 가정 폭력 스캔들이 발생한 후, 비디오 증거에서 볼티모어 레이븐스 러닝백이 당시 약혼녀인 자네이 팔머를 기절시키는 모습이 나오자, 작가 베벌리 구든은 트위터 해시태그 #WhyIStayed를 시작했다. 이 해시태그는 자신과 학대적인 관계에 머물렀던 다른 여성들의 개인적인 경험을 조명했다. 이로 인해 #WhyILeft를 포함한 후속 해시태그가 빠르게 생겨났으며, 많은 사람들이 학대의 마지막 사건이나 떠난 이유를 설명하는 데 사용했다.[17]

2013년, 리프레젠테이션 프로젝트는 사용자들이 서로 연결하여 광고에서부터 공인들의 발언과 인용구에 이르기까지 성차별적인 미디어에 빠르게 트윗하거나 참여할 수 있는 #NotBuyingIt이라는 모바일 앱을 만들었다. 이 앱은 종종 슈퍼볼 광고가 악명 높게 성차별적이라고 여겨지는 축구 시즌에 사용된다.

캘리포니아 대학교-산타바바라 총기 난사 사건 이후, 인터넷상의 수천 명의 여성들이 #YesAllWomen 해시태그를 사용하여 일상생활에서 경험한 성차별 경험을 트윗하기 시작했다. 2014년 6월, 미국 대법원의 ''Burwell v. Hobby Lobby'' 판결에 대한 대응으로, 고용주가 종교적 이유로 특정 피임 기구를 보장하지 않도록 허용한 대법원 결정에 대한 혐오감에서 분노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감정을 표현하는 #HobbyLobby, #JoinTheDissent 및 #NotMyBossBusiness 해시태그가 포함된 수천 개의 트윗이 올라왔다.[18]

Change.org의 매튜 슬루츠키에 따르면, 소셜 미디어는 이러한 문제에 대한 포럼을 페미니스트 및 기타 활동가뿐만 아니라 이러한 문제를 논의하려는 모든 사람에게 개방했다.[19]

3. 1. 1. #MeToo 운동

2019년 여성 행진에서 #MeToo 운동을 지지하는 표지판


2017년, 배우 앨리사 밀라노는 자신의 트위터 팔로워들에게 성폭력을 경험한 적이 있다면 #metoo로 답글을 달라고 요청하며 #미투 운동을 세상에 알렸다.[20] 밀라노의 이러한 행보는 흑인 여성에 의해 시작된 운동의 공을 가로챘다는 비판을 받기도 했지만, 이 운동은 직장 내 성희롱 및 성폭력을 폭로하는 데 기여했다. 소셜 미디어에서 인기를 얻은 후, 미국 학계 의료 분야 여성의 30%, 남성의 4%가 성폭력을 경험했다고 보고되었다.[21] 밀라노는 하비 와인스타인에 대한 혐의 이후 이 운동의 인기를 높였지만, 운동이나 구호를 만든 것은 아니었다. 활동가 타라나 버크는 2007년에 이 운동을 시작했다.[20] 그녀는 성폭력을 경험했거나 경험하고 있는 소녀와 여성들에게 연대감을 보여주기 위해 "me too"라는 용어를 사용하기 시작했다.[20] 이 운동은 할리우드, 정치, 교육, 뉴스 매체, 심지어 농업에 이르기까지 미국의 모든 삶의 영역에 영향을 미쳤다. #MeToo 운동은 규범의 변화뿐만 아니라 더 나은 보고 시스템을 만들고 성 비위를 예방하기 위한 정책, 교육 및 훈련의 변화를 가능하게 했다.

3. 1. 2. 엠마 왓슨의 유엔 연설

엠마 왓슨과 같은 유명인사들도 소셜 미디어를 통해 여성주의적 입장을 취했다. 2014년, 유엔 여성 친선 대사는 다음과 같이 말했다. "저는 영국 출신이며 여성으로서 남성과 동등한 임금을 받는 것이 옳다고 생각합니다. 저는 제 몸에 대한 결정을 내릴 수 있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저는 제 국가의 정책 및 의사 결정에 여성들이 저를 대신하여 참여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저는 사회적으로 남성과 동등한 존중을 받아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그러나 슬프게도 세상에 모든 여성들이 이러한 권리를 기대할 수 있는 나라는 없다고 말할 수 있습니다."[22] 그녀의 연설은 소셜 미디어로 인해 여성주의자라는 단어가 갖는 부정적인 의미와 우리 사회가 어떻게 성 평등을 위해 입장을 취할 수 있는지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다.

3. 2. 영화와 여성주의

영화는 시민의 사회화에 기여하는 미디어의 한 측면이다.[26] 영화 속 여성주의적 주제는 현대 역사에서 더욱 흔해졌으며, 여성주의 영화 이론은 정신분석학의 여러 분야가 신생 영화 산업, 성과 성 역할에 대한 관점과 결합하여 탄생했다.[27]

로라 멀비는 1970년 에세이 "시각적 쾌락과 내러티브 영화"에서 당시까지 여성의 경험을 부정확하게 묘사하는 할리우드의 두 가지 주요 문제점을 진단했다.[28][29][30] 여성은 남성에게 열등하거나 종속적인 역할로 배치되며, 주연이나 주요 액션 역할은 보통 남성이 맡는다. 이것은 여성은 무능하고 남성은 지배적이며 집단의 리더라는 고정관념을 영속화한다고 멀비는 주장했다. 또한 여성은 영화에서 "남성적 욕망과 페티시적 시선의 대상"으로 묘사된다.[30] 여성의 역할에 낭만적인 요소가 만연하다는 것은 낭만적이거나 성적인 요소를 넘어 줄거리 속 여성은 본질적으로 가치가 없다는 것을 보여준다고 멀비는 썼다.[30] 소피 메이어는 ''정치적 동물: 새로운 여성주의 영화''(2016)에서 멀비의 에세이에서 지적된 많은 문제들이 여전히 지속되고 있다고 주장한다.[27] 메이어는 여성주의적 시각으로 보기 위해 줄거리 외에 영화의 다른 요소에 초점을 맞추며, 의상과 같은 다른 영화적 요소도 살펴본다.[27]

3. 3. 비디오 게임과 여성주의

비디오 게임은 책, 영화, 음악과 같은 다른 미디어에서 파생된 새로운 형태의 미디어로, 기존 미디어와 상호 작용하여 새로운 콘텐츠나 엔터테인먼트 및 상호 작용 방식을 창출할 수 있는 새로운 모델이다.[31] 비디오 게임의 발전과 함께 여성 캐릭터는 게임 세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대부분의 여성 캐릭터는 비디오 게임에 의해 객체화되는 경향이 있다. 특히 상업용 비디오 게임에서 성 노동자로 객체화되는 여성 캐릭터가 많다.[32] 야오 등은 액션 기반 비디오 게임의 여성 주인공들이 종종 몸을 거의 가리지 않는 섹시한 의상을 입는다고 말하며,[33] 성적으로 대상화된 여성 캐릭터가 남성의 성적 사고를 자극하고, 그들이 여성을 대상으로 여기도록 장려하여 부정적인 여성 고정관념에 대한 믿음을 부추길 수 있다고 지적한다.[33] 결과적으로, 여성을 객체화하는 것은 성 평등에 심각한 영향을 미치며, 이는 게임 회사가 남성 플레이어를 유치하기 위해 사용하는 방법이 되었다. 보니 루버그는 여성 캐릭터에 대한 차별이 에로틱 노동 때문이 아니라 게임에서 나타나는 가치 절하 행동 때문이라고 말하며,[32] 자신의 논문 "비디오 게임에서 성 노동자 표현: 페미니즘, 예외주의적 환상, 그리고 에로틱 노동의 가치"에서 여성 캐릭터에 대한 게임의 묘사와 묘사를 비판하고, 비디오 게임이 다양한 페미니즘을 필요로 한다고 주장한다.

''Ms.''는 페미니즘에 초점을 맞춘 잡지이다.

4. 여성주의 간행물

여성주의 간행물은 여성주의 사상을 확산시키고 여성 운동을 조직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해왔다. 하드 카피 신문은 과거만큼의 독자층을 확보하지는 못하지만, 서구 사회 내에서 여성주의 사상을 유포하는 데 역사적으로 중요한 역할을 했다. 신문은 1800년대와 1900년대 초반에 걸쳐 대중 매체의 지배적인 형태였으며, 라디오와 텔레비전 뉴스 보도가 확산된 이후에야 쇠퇴하기 시작했다. 여성주의 신문은 여성과 그들의 단체적 관심사를 입소문보다 더 일관되고 정확하게 더 많은 청중에게 알릴 수 있도록 하여 조직적인 운동이 자리를 잡는 데 기여했다. 1800년대에 걸쳐 여러 여성주의 신문이 시작되었으며, 성공 정도는 다양했다.[34] 마틸데 프란치스카 안네케가 창간한 독일 여성주의 신문인 《Frauenzeitung》은 단 한 호만 발행되었다. 이와 대조적으로, 루이제 오토-페터스의 독일 주간 여성주의 신문 《Frauen-Zeitung》은 1849년 4월부터 적어도 1852년 중반까지 발행되었다.

외제니 니부아예가 창간한 ''라 부아 드 펨므(La Voix des Femmes)''는 1848년부터 1852년까지 발행된 프랑스 최초의 여성주의 일간 신문이었다.[35] 1917년 콜레트 레노와 루이즈 보댕은 같은 이름의 프랑스 여성주의 주간 신문 ''라 부아 데 펨므''를 창간했으나[36] 1937년에 폐간되었다.[37] 마르그리트 뒤랑이 창간한 ''라 프롱드(La Fronde)''는 1897년 12월 9일부터 1905년 3월까지 발행된 프랑스 여성주의 일간지로, 여성이 운영하고 작성하였다.

1976년 독일에서는 크로이츠베르크 여성 센터의 여성 그룹이 여성주의 신문인 ''용기''를 창간했다. 이 신문은 1984년에 파산했다.

''더 레볼루션(The Revolution)''은 수전 B. 앤서니와 엘리자베스 캐디 스탠턴이 미국에서 창간한 주간 신문이다.[38] 전미 여성 참정권 협회(National Woman Suffrage Association)가 흑인 남성 참정권 문제를 위해 여성 참정권 문제를 보류하라고 촉구한 것에 대한 반작용으로 1868년 1월에 창간되었다.[38] 1870년에 파산이 선언되었다.[39]

4. 1. 주요 여성주의 간행물

외제니 니부아예가 창간한 ''라 부아 드 펨므(La Voix des Femmes)''는 1848년부터 1852년까지 발행된 프랑스 최초의 여성주의 일간 신문이었다.[35] 1917년 콜레트 레노와 루이즈 보댕은 같은 이름의 프랑스 여성주의 주간 신문 ''라 부아 데 펨므''를 창간했으나[36] 1937년에 폐간되었다.[37] 마르그리트 뒤랑이 창간한 ''라 프롱드(La Fronde)''는 1897년 12월 9일부터 1905년 3월까지 발행된 프랑스 여성주의 일간지로, 여성이 운영하고 작성하였다.

1976년 독일에서는 크로이츠베르크 여성 센터의 여성 그룹이 여성주의 신문인 ''용기''를 창간했다. 이 신문은 1984년에 파산했다.

''더 레볼루션(The Revolution)''은 수전 B. 앤서니와 엘리자베스 캐디 스탠턴이 미국에서 창간한 주간 신문이다.[38] 전미 여성 참정권 협회(National Woman Suffrage Association)가 흑인 남성 참정권 문제를 위해 여성 참정권 문제를 보류하라고 촉구한 것에 대한 반작용으로 1868년 1월에 창간되었다.[38] 1870년에 파산이 선언되었다.[39]

5. 한국 여성주의 운동

5. 1. 한국 여성주의 운동의 주요 쟁점

5. 2. 더불어민주당과 여성 정책

참조

[1] 논문 A Modern Necessity: Feminism, Popular Culture, and American Womanhood, 1920–1948 ProQuest Dissertation Publishing 2012
[2] 학술지 The Radicalism of the Woman Suffrage Movement: Notes toward the Reconstruction of Nineteenth-Century Feminism 1975
[3] 학술지 Cultural Feminism: Feminist Capitalism and the Anti-Pornography Movement 1983
[4] 간행물 The 'f' word: How the media frame feminism 1998
[5] 간행물 Framing feminism: News coverage of the women's movement in British and American newspapers, 1968–1982 2011
[6] 서적 Where the girls are: Growing up female with the mass media New York: Random House 1994
[7] 학술지 Feminism and Media in the Post-feminist Era http://dx.doi.org/10[...] 2011-03
[8] 간행물 Feminism and Media in the post-feminist era 2011
[9] 서적 Orgasm in college hookups and relationships New York: Norton 2010
[10] 학술지 The "F" Word: How the Media Frame Feminism 1998
[11] 간행물 The framing of feminists and feminism in news and public affairs programs in U.S. electronic media 2006
[12] 간행물 Framing feminism—A feminist primer for the mass media 1993
[13] 잡지 "Backlash and beyond" 1992-01/02
[14] 서적 Moving the Mountain: The Women's Movement in America Since 1960 New York: Simon & Schuster 1991
[15] 학술지 If Dr.Martin Luthur, Jr. had a Twitter Account: A Look at Collective Action, Social Media, and Social Change 2013
[16] 학술지 Social Media and Turkish Feminism: New Resources for Social Activism
[17] 웹사이트 Meredith Vieira explains #WhyIStayed http://www.cnn.com/2[...] 2014-09-09
[18] 웹사이트 "#HobbyLobby: Feminist Twitter Responds to Hobby Lobby Ruling" http://www.hashtagfe[...]
[19] 잡지 Behold the Power of #Hashtag Feminism https://time.com/331[...]
[20] 간행물 The Legal Implications of the MeToo Movement 2018
[21] 뉴스 "#Me Too Movement; It Is Time That We All Act and Participate in Transformation" 2018-05-16
[22] 웹사이트 Emma Watson: Gender equality is your issue too http://www.unwomen.o[...] 2014-09-20
[23] 학술지 'You Tweet Like a Girl!\': How Female Candidates Campaign on Twitter' 2016
[24] 학술지 Repealing Ireland's Eighth Amendment: abortion rights and democracy today https://mural.maynoo[...] 2020
[25] 학술지 Feminists Redraw Public and Private Spheres: Abortion, Vulnerability, and the Affective Campaign to Repeal the Eighth Amendment https://pureadmin.qu[...] 2020
[26] 웹사이트 Films can have a major influence on how people view government https://blogs.lse.ac[...] USAPP 2015-03-12
[27] 학술지 Feminisms: Diversity, Difference and Multiplicity in Contemporary Film Cultures 2016-Fall
[28] 서적 Feminisms
[29] 서적 Feminist Film Theory Oxford University Press
[30] 웹사이트 Feminist Film Theory http://www.uh.edu/~c[...] 2018-04-03
[31] 웹사이트 10.4 The Impact of Video Games on Culture {{!}} Media and Culture https://courses.lume[...]
[32] 학술지 Representing sex workers in video games: feminisms, fantasies of exceptionalism, and the value of erotic labor https://doi.org/10.1[...] 2019-04-03
[33] 학술지 Sexual Priming, Gender Stereotyping, and Likelihood to Sexually Harass: Examining the Cognitive Effects of Playing a Sexually-Explicit Video Game 2010
[34] 웹사이트 Frauen-Zeitung http://www.ohio.edu/[...] Ohio University
[35] 웹사이트 The Feminist Press in France http://www.ohio.edu/[...] Ohio University
[36] 서적 Correspondance 1910-1919 https://books.google[...] Albin Michel 2014-07-01
[37] 웹사이트 REYNAUD Colette https://maitron.fr/s[...] Maitron/Editions de l'Atelier 2023-01-10
[38] 웹사이트 The Revolution http://www.accessibl[...] Accessible Archives Inc. 2014-10-07
[39] 웹사이트 Susan B. Anthony's Revolution. http://www.feminists[...] Feminists for Life of America 2014-10-07
[40] 간행물 A Modern Necessity: Feminism, Popular Culture, and American Womanhood, 1920–1948 2012
[41] 논문 The Radicalism of the Woman Suffrage Movement: Notes toward the Reconstruction of Nineteenth-Century Feminism https://www.jstor.or[...] 1975-01-2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