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제3세대 여성주의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제3세대 여성주의는 1990년대 초 등장하여, 제2세대 여성주의가 이룬 성과를 바탕으로 여성의 다양한 정체성을 포괄하고 개인의 경험을 중시하는 경향을 보인다. 라이엇 걸 운동과 애니타 힐 사건을 계기로 시작되었으며, 젠더와 섹슈얼리티에 대한 포스트구조주의적 해석과 퀴어 이론의 영향을 받았다. 주요 특징으로는 여성의 자기 결정권, 성적 해방, 재생산 권리 옹호, 단어 되찾기 운동 등이 있으며, 다양성과 교차성을 강조한다. 그러나 응집력 부족, '물결' 구분에 대한 비판, 유색인종 여성 배제, '걸리' 페미니즘 논쟁 등 비판도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제3세대 여성주의 - 홀 (밴드)
    1989년 코트니 러브와 에릭 얼랜드슨이 결성한 미국의 얼터너티브 록 밴드 홀은 1994년 앨범 《Live Through This》의 성공과 멤버 교체, 해체를 거쳐 2009년 재결합 후 2016년 다시 해체되었으며, 펑크 록, 그런지, 얼터너티브 록을 결합한 음악으로 여성 록 음악계에 큰 영향을 미쳤다.
  • 제3세대 여성주의 - 포스트모던 여성주의
    포스트모던 여성주의는 성별과 젠더의 사회적 구성에 대한 비판적 시각을 가지며, 여성의 고정된 정체성이 없고 젠더가 사회적으로 구성된다는 주장을 펼치는 사상으로, 모더니스트 여성주의로부터 비판을 받기도 한다.
  • 여성주의사 - 대한민국의 여성주의
    대한민국의 여성주의는 1890년대 찬양회 설립을 시작으로 여성 교육과 성차별 철폐를 목표로 전개되었으며, 일제강점기 독립운동 참여, 해방 이후 가족법 개정 노력, 2000년대 이후 온라인 중심의 새로운 운동 등장과 함께 여성 혐오에 대한 반발 및 다양한 논쟁과 갈등을 겪으며 경제, 고용, 사회, 정치적 영역에서 여성 차별 해소를 위한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 여성주의사 - 마리안 베버
    마리안 베버는 독일의 사회학자이자 여성 운동가로, 가부장적 사회에서 여성의 역할과 경험을 연구했으며, 여성의 사회적 지위 향상과 권리 신장을 위해 노력하고, 독일 여성 연합 회장을 역임했다.
  • 여성주의 운동과 이념 - 생태여성주의
    생태여성주의는 여성 억압과 환경 파괴의 연관성을 분석하고 이원론적 사고, 가부장제, 남성 중심주의를 비판하며 여성 해방과 환경 보전을 동시에 추구하는 이론 및 운동이다.
  • 여성주의 운동과 이념 - 제2세대 여성주의
    제2세대 여성주의는 1960년대부터 여성들이 일상생활에서 겪는 불평등과 차별에 대한 문제 의식에서 시작된 여성 해방 운동의 한 흐름으로, 성차별 철폐, 동일 노동 동일 임금, 낙태의 자유 등 다양한 이슈를 제기하며 사회 변혁을 주도했지만, 백인 중산층 여성의 시각에 치중되어 이후 제3세대 여성주의로 이행하는 데 영향을 미쳤다는 비판도 있다.
제3세대 여성주의

2. 역사적 배경

제2세대 여성주의자들이 타이틀 IX 제정, 가정폭력성폭력 문제 공론화, 피임낙태 접근성 향상, 여성학 개설 등 여러 권리와 제도를 확보하며 제3세대 여성주의의 토대를 마련했다.[30][10]

그러나 제2세대 여성주의는 주로 백인 중산층 여성의 경험에 초점을 맞춘다는 비판에 직면했다. 유색인종 여성주의자들은 인종 문제를 여성주의 담론에 포함할 것을 요구했다.[30][10][116][98] 이들은 인종과 젠더의 교차성에 주목하며 기존 여성주의의 한계를 지적했다.[11]

또한, 1970년대 후반과 1980년대 초반의 페미니스트 성 전쟁은 제2세대 급진 페미니즘의 성 담론에 대한 반발로 일어났으며, "성 긍정 페미니즘"이라는 새로운 관점을 제시하며 제3세대의 등장을 예고했다.[12][99]

이와 함께 1990년 주디스 버틀러의 저서 『젠더 트러블』 출간은 제3세대 여성주의 형성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버틀러는 획일적인 "여성" 개념에 도전하며 젠더가 고정된 실체가 아닌 사회문화적으로 구성되는 젠더 수행성이라고 주장했다.[13][14][15][100][101][102] 이러한 버틀러의 이론은 퀴어 이론의 발전에 기여했을 뿐만 아니라, 제3세대 여성주의가 이전 세대와 달리 다양한 정체성과 경험을 포괄하는 방향으로 나아가는 데 중요한 이론적 기반을 제공했다.[16][103]

2. 1. 제2세대 여성주의의 성과와 한계

제2세대 여성주의자들이 획득한 권리와 제도들은 제3세대 여성주의의 기초가 되었다. 이러한 성과에는 남녀 교육 기회 균등을 명시한 타이틀 IX, 여성 학대 및 강간 문제의 공론화, 피임 및 기타 생식 서비스 접근성 향상(낙태 합법화 포함), 직장 내 성희롱 방지 정책 수립 및 시행, 여성과 아동을 위한 가정폭력 보호소 설립, 보육 서비스 확대, 젊은 여성을 위한 교육 자금 지원, 여성학 프로그램 개설 등이 있다.

그러나 제2세대 여성주의는 점차 그들이 설정한 "획일적인 여성상"에 부합하지 않는 이들을 배제한다는 내부 비판에 직면했다. 특히 글로리아 E. 안잘두아, 벨 훅스, 체리 모라가, 오드리 로드, 맥신 홍 킹스턴, 레슬리 마먼 실코 등 유색 인종 여성주의자들과 콤바히 강 집단 구성원들은 기존 여성주의 사상 내에서 인종 문제를 고려할 공간이 부족하다고 지적하며 변화를 요구했다.[30][10][116][98] 1981년 체리 모라가와 글로리아 E. 안잘두아가 출간한 앤솔러지 ''내 등에 놓인 다리''와, 아카샤 글로리아 헐, 패트리샤 벨-스콧, 바바라 스미스가 편집한 ''모든 여성은 백인이고, 모든 흑인은 남자지만, 우리 중 일부는 용감하다''(1982)는 제2세대 여성주의가 주로 백인 여성의 문제에 집중했음을 비판하며 인종과 젠더의 교차성에 대한 주목을 이끌어냈다. 다만, 제3세대 여성주의가 상호교차성 패러다임을 적극적으로 수용하는 과정에서, 포용을 위해 노력했던 제2세대 유색 인종 여성주의자들의 기여가 가려질 수 있다는 지적도 존재한다.[11]

1970년대 후반부터 1980년대 초반까지 이어진 페미니스트 성 전쟁 역시 제3세대의 등장을 예고하는 중요한 계기가 되었다. 이 논쟁은 제2세대 급진 페미니즘의 성에 대한 관점에 반발하며 등장한 "성 긍정 페미니즘" 개념을 통해 기존의 입장을 반박했다.[12][99]

제3세대 여성주의의 또 다른 결정적인 출발점은 1990년 주디스 버틀러가 출판한 ''젠더 트러블: 페미니즘과 정체성의 전복''이다. 이 책은 현대 페미니스트 이론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저작 중 하나로 평가받으며, 여성주의 내에서도 규범적이고 배타적인 영향을 미치는 획일적인 "여성" 개념에 문제를 제기했다. 버틀러는 이러한 배제가 인종화된 여성이나 노동 계급 여성뿐만 아니라 남성적인 여성, 레즈비언, 논바이너리 정체성을 가진 이들에게도 해당된다고 지적했다.[13][100] 버틀러는 젠더가 본질적인 속성 없이 언어적, 비언어적 행위의 반복을 통해 구성되는 수행적인 것이라는 이론을 제시했으며[14][101], 나아가 "자연적인" (sex)이란 존재하지 않으며 우리가 성이라고 부르는 것은 항상 이미 문화적으로 매개되어 젠더와 분리될 수 없다고 주장했다.[15][102] 이러한 버틀러의 관점은 퀴어 이론의 토대를 마련했으며 제3세대 여성주의 이론과 실천의 발전에 중요한 영향을 미쳤다.[16][103]

결과적으로 제2세대 여성주의는 중산층시스젠더 백인 여성을 중심으로 전개되어 엘리트주의적이며, 유색 인종 여성이나 트랜스젠더 여성을 소외시킨다는 비판을 받았다. 제3세대 여성주의는 이러한 선배 세대의 사상에 의문을 제기하며, 여성주의 이론을 더욱 확장하여 이전에는 여성주의 활동 범위 밖에 있던 다양한 여성들의 경험을 포괄하고자 했다.[123]

에이미 리처드는 제3세대에게 여성주의 문화를 "여성주의와 함께 성장해 왔음을 표현하고 있기 때문에 제3의 물결"이라고 특징지었다.[105] 제2세대 여성주의자들이 성장한 것은 정치와 문화가 결합된 세계였다. 예를 들어 "케네디, 베트남 전쟁, 시민권, 여성의 권리"와 같은 식으로. 그것과 대조적으로 제3세대가 출현한 문화의 키워드에는 "펑크 록, 힙합, 진, 제품, 소비주의, 인터넷"이 있다.[92] 다이앤 엘람은 『Generations, Academic Feminists in dialogu』라는 에세이에서 이렇게 썼다.

:''그것이 문제로 드러나는 것은 윗 세대의 여성주의자들이 자신이 어머니에게서 배운 것과 같은 여성주의상을 긍정하고, 아랫세대의 여성주의자들에게 착한 딸이 되라고 충고할 때이다. 딸은 의문을 제기하거나 비판해도 좋지만, 그것은 정규 브랜드의 여성주의의 길을 걸을 때뿐이다. 딸들에게는 자신들에게 맞는 여성주의를 생각하거나 실천하는 새로운 방법을 만들도록 허용되지 않는다. 여성주의 정치는 어떤 때라도 상정된 범위 내에 있어야 한다.''[92]

레베카 워커도 1995년 『''To Be Real: Telling the Truth and Changing the Face of Feminism''』''에서 어머니(앨리스 워커)와 대모(글로리아 스타이넘)의 관점을 뛰어넘으려고 하자 두 사람에게 거부당할지도 모른다는 두려움을 느꼈다고 말했다.''

:''신세대 여성주의자인 딸은 윗세대의 여성주의자인 어머니를 자극하지 않도록 자신의 발언과 어투를 확인하고 있다는 것을 깨닫는다. 자신을 제2세대라고 인식하는 여성주의자와 제3세대를 내세우는 여성주의자 사이에는 뚜렷한 단절이 있다. 연령을 기준으로 여성주의자를 제2세대와 제3세대로 분류하는 것은 쉽지 않지만, 지금 시대의 여성주의자들이 자신들이 연구자나 활동가라는 것을 증명하는 것이 더 어렵다는 것은 분명하다.''[114]

2. 2. 포스트구조주의와 퀴어 이론의 영향

1970년대 후반과 1980년대 초반, 페미니스트 성 전쟁은 제2세대 급진 페미니즘의 성에 대한 페미니스트적 시각에 대한 반발로 일어났다. 이 논쟁은 "성 긍정 페미니즘(sex-positivity)"이라는 개념을 제시하며 제3세대 여성주의의 등장을 예고하는 역할을 했다.[12][99]

제3세대 여성주의의 또 다른 중요한 이론적 출발점은 1990년 주디스 버틀러가 출판한 『젠더 트러블』이다. 이 책은 현대 페미니스트 이론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저작 중 하나로 평가받는다. 버틀러는 이 책에서 사회 전반뿐만 아니라 여성주의 내부에서도 규범적이고 배타적인 영향을 미치는 획일적인 "여성" 개념에 대해 문제를 제기했다. 이러한 획일적 개념은 인종화된 여성이나 노동 계급 여성뿐만 아니라, 남성적인 여성, 레즈비언, 논바이너리 정체성을 가진 사람들까지도 배제하는 결과를 낳는다고 비판했다.[13][100]

버틀러는 젠더가 본질적인 속성이 아니라, 언어적 및 비언어적 행위의 반복을 통해 구성되는 것이라는 젠더 수행성(performativity) 이론을 제시했다. 즉, 반복되는 행위들이 일관되고 이해 가능한 젠더 표현과 정체성이라는 "환상"을 만들어내지만, 그 근원에는 어떤 본질적인 속성도 없다는 것이다.[14][101] 나아가 버틀러는 "자연적인" (sex)이라는 것은 존재하지 않으며, 우리가 자연적이라고 생각하는 성별조차 이미 문화적으로 매개되어 있으므로 젠더와 분리될 수 없다고 주장했다.[15][102]

버틀러의 이러한 포스트구조주의적 시각은 퀴어 이론 발전의 토대가 되었으며, 제3세대 여성주의 이론과 실천의 형성에 중요한 영향을 미쳤다.[16][103]

2. 3. 유색인종 여성주의의 대두

제2세대 여성주의가 주로 백인 여성의 경험과 문제에 초점을 맞추었다는 비판 속에서, 유색인종 여성들은 자신들의 목소리를 내기 시작했다. 글로리아 E. 안잘두아, 벨 훅스, 체리 모라가, 오드리 로드, 맥신 홍 킹스턴, 레슬리 마먼 실코, 그리고 콤바히 강 집단과 같은 유색인종 여성주의자들은 인종 문제를 여성주의 담론의 중심에 포함시키려 노력했다.[30][10][116][98]

특히 1981년, 체리 모라가와 글로리아 E. 안잘두아가 편집한 앤솔러지 ''내 등에 놓인 다리'' (This Bridge Called My Back|영어)는 중요한 전환점이 되었다. 이 책은 이듬해 아카샤 글로리아 헐, 패트리샤 벨-스콧, 바바라 스미스가 편집한 ''모든 여성은 백인이고, 모든 흑인은 남자지만, 우리 중 일부는 용감하다'' (All the Women Are White, All the Blacks Are Men, But Some of Us Are Brave|영어, 1982)와 함께, 이전 세대 여성주의 운동이 지닌 인종적 편향성을 지적하고 유색인종 여성들의 복합적인 경험을 조명했다. 이러한 흐름 속에서 인종과 젠더가 서로 교차하며 억압을 구성한다는 교차성 개념이 여성주의 내에서 점차 중요하게 부각되었다.[11]

2. 4. 페미니스트 성 전쟁

1970년대 후반과 1980년대 초반에 일어난 페미니스트 성 전쟁은 제2세대 급진 페미니즘과 성에 대한 시각에 대한 반발로 시작되었다. 이 논쟁은 "성 긍정 페미니즘"이라는 개념을 통해 기존 시각에 반박하며 제3세대 여성주의의 등장을 예고하는 역할을 했다.[12][99]

3. 초기: 1990년대

1990년대 초반은 제3세대 여성주의가 태동한 시기로 평가받는다. 특히 1991년 애니타 힐(Anita Hill)이 미국 연방 대법원 대법관 후보자였던 클래런스 토머스(Clarence Thomas)의 성희롱 의혹을 제기한 사건은 중요한 계기가 되었다. 토머스는 의혹을 부인했고 격렬한 논쟁 끝에 미국 상원은 근소한 차이(52 대 48)로 그의 임명을 인준했지만[30][10][17], 이 사건은 사회적으로 큰 파장을 일으켰다.

이에 대한 반응으로 작가 레베카 워커(Rebecca Walker)는 1992년 ''Ms. Magazine''에 기고한 글 "제3의 물결이 되기"에서 "나는 포스트 페미니즘 페미니스트가 아니다. 나는 제3의 물결이다."라고 선언하며 새로운 여성주의 흐름의 시작을 알렸다.[6] 워커는 인종 평등과 여성의 권리가 함께 존중되어야 함을 강조했다.[6]

같은 시기(1991년), 워싱턴주 올림피아에서는 펑크 록 문화에 기반한 라이엇 걸 운동이 등장하여 제3세대 여성주의의 또 다른 시작을 알렸다.[18] 이 운동은 DIY 정신을 바탕으로 여성의 목소리를 내고 기존의 여성상을 거부하는 활동을 펼쳤다.[19][21]

애니타 힐 사건 이후 여성의 정치 참여에 대한 관심이 높아져, 1992년 미국 상원 선거에서는 4명의 여성이 추가로 당선되어 "여성의 해(Year of the Woman)"로 불리기도 했다. 이듬해 케이 베일리 허치슨(Kay Bailey Hutchison)의 당선으로 여성 상원의원은 7명으로 늘어났다. 또한 1990년대에는 재닛 리노(Janet Reno)가 최초의 여성 미국 법무부 장관으로, 매들린 올브라이트(Madeleine Albright)가 최초의 여성 미국 국무장관으로 임명되었고, 루스 베이더 긴즈버그(Ruth Bader Ginsburg)가 두 번째 여성 연방 대법관이 되었으며, 힐러리 클린턴(Hillary Clinton)은 독자적인 경력을 가진 첫 영부인으로 활동하는 등 사회 각 분야에서 여성의 지위 변화가 나타났다.

3. 1. 라이엇 걸 운동

비키니 킬의 리드 보컬, 캐슬린 한나(1991년)


1990년대 초 워싱턴주 올림피아에서 등장한 페미니즘과 펑크가 융합된 하위문화인 라이엇 걸(Riot Grrrl)은 제3세대 여성주의의 시작에 큰 영향을 미쳤다[104]. 라이엇 걸(riot grrrl)의 세 개의 'r'은 'girl'이라는 단어를 여성들을 위해 되찾겠다는 의지의 표현이다[105]. 앨리슨 파이프마이어에 따르면, 라이엇 걸과 세라 다이어가 발행했던 진(zine)인 "''Action Girl Newsletter''"에는 제3세대 페미니즘을 특징짓는 "스타일, 수사법, 아이콘"이 분명하게 나타났으며[104], 10대 소녀의 관점에 초점을 맞추었다[106].

하드코어 펑크 록을 기반으로 한 이 운동은 진을 만들고 예술을 창작했으며, 강간, 가부장제, 성, 여성의 권한 부여에 대해 이야기하고, 지부를 만들고, 음악 분야의 여성들을 지원하고 조직했다[107]. 발행 시기는 불분명하지만 2013년에 수집된 비키니 킬의 투어 전단에는 "라이엇 걸이란 무엇인가?"라는 질문에 대한 답이 담겨 있다.

:'''왜냐하면''' 나는 모든 미디어에서 보아왔기 때문이다. 우리 / 내가 손찌검당하고, 목이 잘리고, 비웃음당하고, 물건 취급당하고, 강간당하고, 왜소해지고, 밀려나고, 무시당하고, 낙인찍히고, 발로 차이고, 멸시당하고, 성추행당하고, 입이 막히고, 부정당하고, 칼에 찔리고, 총에 맞고, 목이 졸려 죽는 것을...'''왜냐하면''' 소녀들이 눈을 뜨고 서로에게 다가갈 수 있는 안전한 장소를 만들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사회의 성차별주의자나 시시한 일상의 잡담에 위협받지 않고...'''왜냐하면''' 우리 소녀들은 우리에게 말할 수 있는 미디어를 만들고 싶기 때문이다. 보이즈 밴드, 보이즈 진, 보이즈 펑크, 그 반복. 우리는 그것에 질렸다. '''왜냐하면''' 나는 주변에서 일어나는 일에 질렸기 때문이다. 나는 성인용품도, 샌드백도, 농담거리도 아니기 때문이다.[108]

라이엇 걸은 DIY(Do It Yourself) 정신의 펑크 가치에 기반을 두었으며, 반기업적인 자급자족과 자립의 입장을 취했다[105]. 보편적인 여성 정체성과 분리주의를 강조하는 점은 종종 제2세대 여성주의와 더 밀접하게 연관되어 보이기도 했다[109]. 이 운동과 관련된 밴드로는 브래트모빌, Excuse 17, 잭 오프 질, 프리 키튼, 헤븐스 투 베시, 허기 베어, L7, 피프스 칼럼, 팀 드레쉬 등이 있었고[110], 가장 두드러진 밴드는 비키니 킬이었다.

라이엇 걸 문화는 사람들이 거시적, 중간적, 미시적 규모로 변화를 실현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했다. 케빈 던은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펑크의 DIY 정신을 사용하여 개인의 권한 부여를 위한 자원을 제공함으로써 라이엇 걸은 여성들이 여러 저항의 장소에 참여하도록 장려했다. 거시적 수준에서 라이엇 걸은 사회의 지배적인 여성성 구축에 저항한다. 중간 수준에서 그들은 펑크의 억압적인 성 역할에 저항한다. 미시적 수준에서 그들은 가족과 동료들 사이의 성적 구성에 도전한다.[111]

라이엇 걸 운동의 쇠퇴는 주로 언론 보도를 통해 그 메시지가 상품화되고 오해받았기 때문인 것으로 여겨진다[111]. 빌보드 잡지에 기고한 제니퍼 케이신 암스트롱은 다음과 같이 적었다:

:1990년대 초, 여성 운동은 주류 사회에서는 거의 죽은 것처럼 보였다. 팝 문화계에서 "페미니스트"라는 단어를 사용하는 사람은 드물었다. "라이엇 걸"로 알려진 언더그라운드 펑크 운동은 그 바깥 사람들에게 두려움을 주었고, 앨라니스 모리셋의 획기적인 싱글 "You Oughta Know"는 다른 모든 사람들을 더욱 두렵게 만들었다. 그러다가 10년 중반, 스파이스 걸스가 그 모든 두려움을 걷어내고 페미니즘을 — 걸 파워로 대중화시켜 — 재미있는 것으로 만들었다. 갑자기, 여성학 강의실과는 거리가 멀었던 평범한 소녀들은 X세대가 이끌던, 성적 자유와 더불어 메이크업이나 패션 같은 전통적으로 "소녀다운" 취미에 대한 존중을 요구하는 등 여러 문제 속에서, 학문적인 서클에서 제3세대 여성주의로 알려지게 될 것들에 대해 최소한 어렴풋이나마 알게 되었다.[112]

NME의 엘 헌트는 다음과 같이 분석했다:

:일반적으로 라이엇 걸 밴드는 공연에서 여성들을 위한 공간을 만드는 데 매우 집중했다. 그들은 여성들에게 학대자들에게 맞서 발언할 수 있는 플랫폼과 목소리를 제공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이해했다. 아마도 라이엇 걸 장면을 전혀 따르지 않았을 많은 젊은 여성과 소녀들에게, 스파이스 걸스는 이러한 정신을 주류로 가져와 접근하기 쉽게 만들었다.[113]

바기나 모놀로그스는 1996년 뉴욕에서 처음 무대에 올려졌다.


여성에 대한 폭력은 강간, 가정 폭력, 성희롱 등을 포함하며 제3세대 여성주의의 핵심적인 문제로 부상했다. V-Day와 같은 단체는 성폭력 종식을 목표로 결성되었으며, ''바기나 모놀로그스''와 같은 예술적 표현은 이러한 문제에 대한 인식을 높였다. 제3세대 여성주의자들은 전통적인 성에 대한 개념을 변혁하고 "오르가즘, 출산, 강간 등 폭넓은 중심적인 주제에 대해, 섹슈얼리티에 관한 여성의 의식을 파고드는 것"을 용인하려 했다[96].

3. 2. 애니타 힐 사건

애니타 힐(Anita Hill), 2014


1991년, 애니타 힐(Anita Hill)은 미국 연방 대법원 대법관 후보자로 지명된 클래런스 토머스(Clarence Thomas)로부터 과거 성희롱을 당했다고 증언했다. 토머스는 이러한 주장을 부인하며, 자신에 대한 비난을 "최첨단 린칭"이라고 표현했다. 치열한 논쟁 끝에 미국 상원은 표결을 통해 52 대 48로 토머스의 대법관 임명을 인준했다.[30][10][17][116][98][114]

이 사건은 큰 사회적 반향을 일으켰다. 특히 여성계에서는 상원의 결정에 대한 비판의 목소리가 높았다. 작가 레베카 워커(Rebecca Walker)는 여성 잡지 ''Ms. Magazine''에 "제3의 물결이 되기(Becoming the Third Wave)"라는 제목의 글을 기고하며, "나는 포스트 페미니즘 페미니스트가 아니다. 나는 제3의 물결이다."라고 선언했다. 이는 제3세대 여성주의의 시작을 알리는 중요한 계기로 평가받는다. 당시 토머스가 아프리카계 미국인으로서 유색 인종의 기회 확대를 상징한다는 이유로 그를 지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존재했다. 워커는 이러한 상황 속에서 "진보적인 흑인 남성들이 언제 나의 권리와 안녕을 우선시할 것인가?"라고 물으며, 인종 평등의 추구가 여성의 권리를 간과해서는 안 된다는 점을 강조했다.[6][94]

애니타 힐 사건 이후 여성의 정치 참여가 더욱 주목받았다. 1992년 미국 선거에서는 4명의 여성이 추가로 상원의원에 당선되어 기존 2명과 함께 총 6명의 여성 상원의원이 활동하게 되었다. 이 해는 "여성의 해(Year of the Woman)"로 불리기도 했다. 이듬해에는 케이 베일리 허치슨(Kay Bailey Hutchison)이 특별 선거에서 승리하며 여성 상원의원은 7명으로 늘어났다. 1990년대에는 미국 역사상 최초의 여성 미국 법무부 장관(재닛 리노)과 미국 국무장관(매들린 올브라이트), 두 번째 여성 연방 대법관(루스 베이더 긴즈버그)이 임명되었으며, 힐러리 클린턴은 독자적인 정치 및 법조 경력을 가진 첫 영부인으로서 주목받았다.

3. 3. 레베카 워커의 "제3의 물결이 되기"

제2세대 여성주의자들이 획득한 권리와 제도는 제3세대 여성주의의 기초를 마련했다. 남녀 교육 기회 평등을 규정한 Title IX|타이틀 나인영어이나 여성에 대한 학대 및 강간에 대한 공론화, 피임을 비롯한 재생산 관련 제도 접근성(낙태 합법화 포함), 직장 내 성희롱 방지 대책, 가정 폭력 피해자를 위한 쉼터, 아동 보호 제도, 여성 장학금, 여성학 등은 모두 제2세대 여성주의자들이 이룬 성과이다. 그러나 점차 제2세대 여성주의가 제시하는 '획일적인 여성상'에서 벗어나는 이들이 배제된다는 내부 비판이 제기되기 시작했다.

특히 제2 물결을 대표하는 유색인종 여성주의자로 글로리아 안살두아, 벨 훅스, 셰리 모라가, 오드르 로드, 맥신 홍 킹스턴 등이 있었으며, 그 외에도 많은 유색인종 여성주의자들이 기존 여성주의 사상에서 인종에 대해 고찰할 장이 마련되지 않았음을 비판했다[116][98]。글로리아 안살두아와 셰리 모라가는 1981년에 'This Bridge Called My Back'이라는 앤솔러지집을 출판했는데, 이 책은 아카샤 하리, 패트리샤 벨-스콧, 바바라 스미스가 편집한 'All the Women Are White, All the Blacks Are Men, But Some of Us Are Brave'와 함께 제2 물결 여성주의가 주로 백인 여성의 문제에 관심을 가져왔다는 점을 비판한 것으로 유명하다. 이 인종과 젠더의 교차성에 대해서는 이후 현저하게 주목을 받게 되었다.

1970년대 후반부터 1980년대 후반에는 제2 물결 여성주의의 급진적인 사상과 그 섹슈얼리티 관에 대한 반발로서 페미니스트 섹스 전쟁이 일어났다. 이러한 논의는 "섹스 긍정(sex-positivity)"이라는 관점에서 반론이었으며, 제3 물결의 도래를 알리는 것이기도 했다[99]

또 하나, 제3 물결의 결정적인 출발점이 된 것은 1990년에 출판된 주디스 버틀러의 저서 『젠더 트러블 ― 페미니즘과 정체성의 교란』이다. 현대 여성주의 이론의 최중요 문헌 중 하나가 된 이 책에서 버틀러는 획일화된 "여성"의 개념에 이의를 제기했다. 기존 개념은 사회에서의 젠더 규범을 강화하고 배타적으로 작용할 뿐만 아니라, 여성주의 자체에도 그러한 규범과 배제를 초래하기 때문이다. 배제되는 것은 인종화된 여성이나 노동자 계급의 여성에 국한되지 않는다. 남성적인 여성, 레즈비언, 논바이너리인 사람들도 여성주의에서 배제된다[100]。버틀러는 이 책에서 젠더를 수행성으로 파악하는 이론의 개요를 그려냈다. 젠더는 언어적, 비언어적인 일련의 행위의 반복을 통해 기능하는 것이며, 이러한 반복이야말로 일관된 젠더 정체성이라는 "환상"을 만들어내지만, 그 반복의 근원이 되는 본질적인 성질은 어디에도 존재하지 않는다는 생각이다[101]。또한 버틀러는 "자연스러운" 성별(섹스)이라는 것은 없고, 우리가 그렇게 생각하는 것에는 이미 문화가 개입되어 있으며, 따라서 섹스는 항상 젠더와 불가분하다고 설파했다[102]。버틀러의 이러한 견해는 퀴어 이론의 기반이 되었고, 제3 물결 여성주의의 이론과 실천을 키우는 데에도 큰 역할을 했다[103]

4. 주요 특징 및 쟁점

제니퍼 바움가드너, 2008년 ''Manifesta'' (2000) 공동 저자


제3세대 여성주의는 제2세대 여성주의의 성과가 사회 전반에 스며들어 당연하게 여겨지면서도, 동시에 여성주의 자체의 필요성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는 배경 속에서 등장했다.[4][92] 제니퍼 바움가드너와 에이미 리차드는 이를 "우리 세대에게 여성주의는 불소와 같다"고 표현하며, 그 존재가 일상화되었지만 그 의미는 희미해진 현실을 지적했다.[4][92] 이러한 상황에서 제3세대 여성주의는 개인이 여전히 존재하는 가부장제적 억압을 자각하는 '의식 고양'의 중요성을 강조했다.[4][28][92]

주요 특징으로는 개인의 다양성과 경험을 중시한다는 점을 들 수 있다. 개인의 서사를 여성주의 이론과 실천의 자원으로 삼아[32][118] 억압의 구조적 측면을 드러내고 연대를 모색하며, 거시 정치뿐 아니라 일상 속 '미시 정치'에도 주목하여[29][115][30][116][31][117] 기존 여성주의의 보편적 모델에 도전했다. 이는 여성 스스로 자신에게 맞는 여성주의를 정의하고 실천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4][92]

또한 젠더와 섹슈얼리티를 사회적으로 구성된 것으로 보는 포스트구조주의적 관점을 받아들여[33][119][34][120], 제2세대 여성주의가 주로 백인, 중산층, 시스젠더 여성 중심이었다는 비판[37][123]을 성찰하며 인종, 사회 계급, 트랜스젠더 권리[55][56] 등 다양한 정체성이 교차하는 지점에 주목하는 교차성 개념을 핵심으로 삼았다. 이와 함께 직장 내 성차별(유리 천장, 출산 휴가 등[57]), 미혼모 지원, 전업 주부의 권리 등 구체적인 사회경제적 쟁점에도 관심을 기울였다.[58]

한편, 선배 세대와의 관계에서는 다이앤 이람이나 레베카 워커 등이 지적했듯, 기존 여성주의의 틀에서 벗어나 독자적인 목소리를 내는 과정에서 세대 간 인식 차이와 긴장이 나타나기도 했다.[4][92][17][114]

4. 1. 다양성과 교차성

2017년 여성 행진 시위대. 제3세대 여성주의는 다양한 정체성을 가진 여성들의 참여를 중시한다.


제2세대 여성주의는 종종 엘리트 중심적이며 유색인종 여성이나 트랜스젠더 여성을 충분히 포용하지 못하고, 주로 백인, 중산층, 시스젠더 여성의 경험에 집중했다는 비판을 받았다.[37] 이러한 한계를 인식한 제3세대 여성주의자들은 선배 세대의 신념에 의문을 제기하며, 이전까지 여성주의 운동에서 소외되었던 더 다양한 배경의 여성들에게 여성주의 이론을 확장하고 적용하고자 했다.[37]

제3세대 여성주의는 젠더와 섹슈얼리티에 대해 더욱 포스트구조주의적인 해석을 도입했다.[33][119] 포스트구조주의 여성주의자들은 남성-여성과 같은 이분법적 구분이 실제 현실을 반영하기보다는, 사회 내 지배 집단의 권력을 유지하기 위해 인위적으로 만들어진 구성물이라고 보았다.[34][120] 조안 W. 스콧은 1998년 저술에서 "포스트구조주의자들은 단어나 텍스트가 고정되거나 본질적인 의미를 갖지 않으며, 단어와 텍스트, 아이디어 또는 사물 사이, 언어와 세계 사이에는 투명하거나 자명한 관계가 없다고 주장한다"고 설명했다.[35][121] 이러한 관점은 젠더와 섹슈얼리티에 대한 기존의 고정관념을 해체하고 다양한 정체성을 인정하는 이론적 기반을 마련했다.

또한 제3세대 여성주의자들은 개인적인 이야기를 여성주의 이론의 중요한 형태로 활용했다. 각자의 경험을 공유함으로써 여성들은 자신이 겪는 억압과 차별이 개인적인 문제만이 아니며, 비슷한 경험을 공유하는 다른 여성들과 연결되어 있음을 인식할 수 있었다. 이러한 서사 방식은 기존의 거대 담론이나 역사 기록에서 간과되기 쉬웠던 개인들의 구체적인 삶과 목소리를 드러내는 장점을 지닌다.[32][118]

이러한 배경 속에서 제3세대 여성주의는 인종, 사회 계급, 트랜스젠더 권리[55][56][140][141]를 핵심적인 문제로 다루었다. 더 나아가 유리 천장, 불공정한 출산 휴가 제도[57][142]와 같은 직장 내 성차별 문제, 미혼모에 대한 사회적 복지 및 육아 지원 부족, 일하는 여성에 대한 존중 부족, 그리고 자녀 양육을 위해 전업 주부를 선택한 여성의 권리[58][143] 등 현실적인 문제들에 주목하며 여성주의의 논의 범위를 확장했다.

4. 2. 개인의 경험과 미시 정치



제3세대 여성주의가 마주한 주요 과제 중 하나는 제2세대 여성주의가 이룬 성과가 당연하게 받아들여지면서, 여성주의 자체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부족해졌다는 점이다. 바움가드너와 리차드는 2000년에 다음과 같이 지적했다. "1960년대 초 이후에 태어난 사람에게, 생활 속에 여성주의가 존재하는 것은 당연한 것이고, 우리 세대에게는 여성주의는 불소와 같은 것이다. 그것을 입에 담는다는 것을 생각하는 일은 드물 것이다. 불소는 언제나 물 속에 포함되어 있는데 말이다."[92]

일각에서는 성 평등이 이미 제1세대와 제2세대 여성주의를 통해 상당 부분 달성되었으므로, 여성의 권리를 더욱 확장하려는 노력이 불필요하거나 심지어 여성에게 과도하게 유리한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는 주장이 제기되기도 했다. 이러한 논쟁은 긍정적 조치가 성 평등을 실현하는 수단인지, 아니면 특정 집단(예: 중산층 백인 남성)에게 불이익을 주는 것인지에 대한 사회적 논의 과정에서 두드러졌다. 이러한 배경 속에서 제3세대 여성주의는 개인의 '의식 고양'을 중요하게 여겼다. 즉, 동시대 여성들이 "남성 지배"가 실제로 자신들의 삶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사실을 편견 없이 받아들이는 능력을 강조한 것이다.[92]

제3세대 여성주의자들은 종종 '미시 정치'에 주목하며, 여성에게 무엇이 이로운지에 대한 제2세대 여성주의의 기존 관점에 도전했다.[115][116][117] 이들은 제3세대 여성주의가 여성 스스로 자신에게 맞는 여성주의를 정의할 수 있도록 길을 열어주었다고 주장한다. 제니퍼 바움가드너와 에이미 리차드는 ''Manifesta: Young Women, Feminism And The Future''(2000년)에서 제3세대 여성주의를 설명하며, 여성주의가 각 세대와 개인의 상황에 맞게 변화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했다.

> 여성주의의 전장은 이미 우리가 상상하는 지평에 머물지 않는다. NOW나 Ms.뿐만 아니라 여성학과 하원 의원이 진홍색 수트를 입는지 여부도 아니다. — 사실, 오늘의 젊은 여성은 진정한 의미에서 여성주의가 뿌린 씨앗을 수확하고 있는 것이다. 타이틀 IX와 "William Wants a Doll"가 태어난 이후에 자란 젊은 여성들이, 대학이나 고등학교를 졸업하거나, 결혼을 하거나 첫 직장을 가진 지 2년 만에, 지난 10년, 아니 20년에 걸쳐 여성주의가 다듬어 온 것으로 여겨지는 지혜를 극복하려 하기 시작했다. 우리는 70년대의 페미니스트들이 그랬던 것처럼 페미니즘에 관여하지 않는다. 우리는 선구자를 모방하기 위해 해방된 것이 아니라, 그 사람 자신의 방법을 찾기 위해 자유로운 것이다. 세대 수만큼, 진짜 길이 있기 때문이다.[92]

제3세대 여성주의자들은 개인적인 이야기를 여성주의 이론의 중요한 표현 형식으로 활용했다. 개인의 경험을 이야기하는 과정에서 여성들은 자신이 겪는 억압과 차별이 개인적인 문제만이 아니며, 결코 혼자가 아니라는 사실을 깨달을 수 있었다. 이러한 개인 서사 활용은 기존의 거대 담론 중심의 역사 서술에서 놓치기 쉬운 개인의 구체적인 경험과 목소리를 기록하고 공유한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118]

이념적으로 제3세대 여성주의는 젠더와 섹슈얼리티에 대해 더욱 포스트구조주의적인 해석을 시도했다.[119] 포스트구조주의적 관점을 가진 여성주의자들은 남성/여성과 같은 이분법적 구분이 지배 집단의 권력을 유지하기 위해 인위적으로 만들어진 구성물이라고 보았다.[120] 조안 W. 스콧은 1998년에 "포스트구조주의자들은 언어와 텍스트가 불변하거나 고유한 의미를 가지고 있을 수 없다고 생각한다. 그것들과 사고, 사물 사이에 투명하거나 자명한 관계가 생길 수는 없고, 언어와 세계는, 소박한 의미에서도 궁극적인 의미에서도, 거기에 아무런 일치하는 대응물을 찾아낼 수 없다는 것이 그들의 주장이다"라고 설명했다.[121] 앰버 린 지머먼, M. 조안 맥더멋, 크리스티나 M. 굴드는 2009년에 제3세대 여성주의가 다음과 같은 다섯 가지 주요 초점을 제시했다고 분석했다: (1) 대화를 바탕으로 한 책임 있는 선택; (2) 경험과 역동적인 지식에 대한 존중과 감사; (3) 개인적인 경험이 구조적 문제에 뿌리를 두고 있다는 인식과 책임감 있는 개인적 행동이 사회적 결과를 낳는다는 생각을 모두 포함하는 "개인적인 것이 정치적인 것이다"라는 이해; (4) 이론화와 정치적 활동 모두에서 개인적인 이야기의 사용; (5) 세계적인 연결과 결과를 가진 지역적 정치 활동.[122]

4. 3. 성적 해방과 자기 결정권

제3세대 여성주의자들은 성적 해방에 대한 제2세대 여성주의자들의 정의를 확장했다. 이들은 성적 해방을 "자신의 성 정체성과 성적 지향이 사회에 의해 형성된 방식을 먼저 인식하고, 이러한 자각을 바탕으로 자신의 진정한 성 정체성을 의도적으로 구축하고 자유롭게 표현할 수 있게 되는 과정"으로 보았다.[53][138] 하지만 제3세대 여성주의는 각 개인이 내리는 여성주의의 정의를 중시하기 때문에, 성적 해방의 구체적인 의미에 대해서는 다양한 해석과 논쟁이 존재한다. 많은 제3세대 여성주의자들은 여성 스스로 자신의 성적 지향을 긍정하고 받아들이는 것이 자신의 권력을 되찾는 중요한 방법이라고 주장했다.[54][139]

제3세대 여성주의는 인종, 사회 계층, 트랜스젠더 권리[55][56]와 같은 교차적 문제들을 핵심적인 의제로 삼았다. 또한 유리 천장, 불공정한 출산 휴가 정책[57]과 같은 직장 내 성차별 문제, 미혼모에 대한 복지 및 육아 지원 부족, 직장 여성에 대한 존중, 자녀 양육을 위해 전업 주부를 선택한 여성의 권리 등 다양한 사회경제적 문제에도 주목했다.[58]

제3세대 여성주의가 직면한 주요 과제 중 하나는, 제2세대 여성주의가 이룩한 성과들이 당연하게 여겨지면서 여성주의 자체의 필요성에 대한 공감이 줄어드는 현상이다. 제니퍼 바움가드너와 에이미 리차즈는 2000년 저서 『매니페스타』에서 "1960년대 초 이후에 태어난 세대에게 여성주의는 공기나 물 속 불소처럼 너무나 당연한 것이 되어버려, 그 존재 자체를 의식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고 지적했다.[92] 이는 성평등이 이전 세대에 의해 상당 부분 달성되었으므로 더 이상의 여성주의 운동은 불필요하거나 심지어 역효과를 낼 수 있다는 인식으로 이어지기도 한다. 예를 들어, 어퍼머티브 액션이 진정한 성평등에 기여하는지, 혹은 단순히 중산층 백인 남성을 역차별하는지에 대한 논쟁은 이러한 시각을 잘 보여준다. 따라서 제3세대 여성주의는 개개인이 가부장제와 같은 구조적 문제가 여전히 자신과 동시대 여성들의 삶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선입견 없이 깨닫고 인정하는 능력, 즉 "자각"(consciousness)을 중요하게 여긴다.[92]

제3세대 여성주의자들은 개인적인 경험과 이야기를 여성주의 이론을 표현하고 발전시키는 중요한 형식으로 사용한다. 개인의 서사를 공유하는 과정에서 여성들은 자신이 겪는 억압과 차별이 개인적인 문제만이 아니며, 구조적인 문제와 연결되어 있음을 깨닫고 연대감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방식은 기존의 거대 담론이나 역사적 텍스트가 포착하기 어려웠던 미시적이고 개인적인 차원의 경험들을 섬세하게 기록하고 분석하는 데 유용하다.[118]

이들은 "미크로 폴리틱스(micro-politics)", 즉 일상 속 정치에 주목하며, 여성에게 이익이 되는 방향으로만 초점을 맞추었던 제2세대의 패러다임을 넘어서고자 한다.[115][116][117] 제3세대 여성주의는 여성 스스로 자신에게 맞는 여성주의를 정의할 수 있도록 하며, 여성주의가 고정된 것이 아니라 각 세대와 개인의 경험에 따라 끊임없이 변화하고 발전할 수 있는 가능성을 열어둔다. 바움가드너와 리차즈는 이를 다음과 같이 설명했다.

> 여성주의의 전장은 이미 우리가 상상하는 지평에 머물지 않는다. NOW나 Ms.뿐만 아니라 여성학과 하원 의원이 진홍색 수트를 입는지 여부도 아니다. — 사실, 오늘의 젊은 여성은 진정한 의미에서 여성주의가 뿌린 씨앗을 수확하고 있는 것이다. 타이틀 나인과 "윌리엄은 인형을 원한다"(엄마)가 태어난 이후에 자란 젊은 여성들이, 대학이나 고등학교를 졸업하거나, 결혼을 하거나 첫 직장을 가진 지 2년 만에, 지난 10년, 아니 20년에 걸쳐 여성주의가 다듬어 온 것으로 여겨지는 지혜를 극복하려 하기 시작했다. 우리는 70년대의 페미니스트들이 그랬던 것처럼 페미즘에 관여하지 않는다. 우리는 선구자를 모방하기 위해 해방된 것이 아니라, 그 사람 자신의 방법을 찾기 위해 자유로운 것이다. 세대 수만큼, 진짜 길이 있기 때문이다.[92]

제3세대 여성주의는 젠더와 섹슈얼리티에 대해 보다 포스트구조주의적인 해석을 받아들인다.[119] 포스트구조주의적 관점에서 여성주의자들은 남성과 여성 같은 이분법적 구분이 사회의 지배적인 집단이 권력을 유지하기 위해 인위적으로 만들어낸 것이라고 본다.[120] 조앤 W. 스콧이 1998년에 지적했듯이, 포스트구조주의는 언어나 텍스트가 고정불변하거나 본질적인 의미를 가질 수 없으며, 언어와 실제 세계 사이에는 필연적인 대응 관계가 존재하지 않는다고 주장한다.[121] 이러한 관점은 제2세대 여성주의가 주로 중산층시스젠더 백인 여성을 중심으로 전개되어 엘리트주의적이며 유색 인종 여성이나 트랜스젠더 여성을 충분히 포용하지 못했다는 비판[123]에 대한 성찰과 맞물려, 여성주의 이론을 더욱 확장하고 이전에는 주변화되었던 다양한 여성들의 경험을 포괄하려는 노력으로 이어진다.

하지만 제3세대 여성주의는 명확하고 단일한 목표가 부족하여 운동의 결속력이 약하다는 비판을 받기도 한다. 여성 참정권을 쟁취한 제1세대나 기회 균등과 법적 성차별 철폐를 목표로 했던 제2세대와 달리, 제3세대는 뚜렷한 공동 목표 없이 제2세대의 논의를 반복하거나 단순히 젊은 세대의 문화적 표현에 머무른다는 지적이 있다.[105][92] 또한 개인의 경험과 선택을 지나치게 강조하는 경향이 때로는 구조적인 문제 해결을 위한 집단적인 정치 운동으로 나아가는 데 어려움을 야기한다는 비판도 제기된다. 캐슬린 P. 이아넬로는 개인주의적 접근이 자칫 여성들을 연대보다는 경쟁으로 내몰 수 있으며, 이는 여성주의가 정치적 힘을 갖고 자원 배분과 같은 실질적인 문제에 개입하는 것을 방해할 수 있다고 우려했다.[144]

4. 4. 여성에 대한 폭력

(내용 없음)

4. 5. 재생산권

제3세대 여성주의의 주요 목표 중 하나는 피임낙태에 대한 접근이 여성의 생식 권리임을 명확히 하는 것이었다. 제니퍼 바움가드너()와 에이미 리차즈는 "여성주의의 목표는 어떤 여성의 출산을 통제하는 것이 아니라, 각 여성이 자신의 출산을 통제할 수 있도록 자유롭게 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4]

그러나 이러한 권리는 도전에 직면했다. 2006년 미국 사우스다코타주에서는 산모의 생명을 보호하기 위해 필요한 경우를 제외하고 모든 경우의 낙태를 금지하려는 시도가 있었고,[39] 미국 연방대법원은 부분 출산 낙태 금지법을 유지하는 판결을 내렸다.[40][41] 이러한 움직임은 여성의 시민권 및 생식 권리에 대한 중대한 제한으로 여겨졌다.

1973년 연방대법원의 ''로 대 웨이드'' 판결로 낙태가 대부분 합법화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미국 전역에서는 낙태에 대한 제한이 점점 더 흔해졌다. 여기에는 낙태 전 의무적으로 일정 시간을 기다리도록 하는 규정,[42] 미성년자의 경우 부모의 동의를 받도록 하는 법,[43] 기혼 여성의 경우 배우자의 동의를 요구하는 법 등이 포함되었다.[44] 이는 여성의 자기 결정권을 침해하는 조치로 비판받았다.

4. 6. 단어 되찾기 운동

2011년 토론토에서 열린 최초의 SlutWalk 행사


영어권에서는 여성을 비하하는 표현으로 노처녀(spinster), 개년(비속어), 창녀(whore), 보지(비속어)와 같은 단어가 계속 사용되어 왔다. 이러한 상황에 대해 잉가 무시오는 "우리의 할머니의 자유, 아이들, 전통, 자부심, 땅을 몸값으로 삼아 고통으로 가득한 먼 과거로 유괴되어 갇힌 단어를 우리가 몰수하려는 것은 우리의 자유라고 생각한다"라고 언급하며 단어 되찾기의 필요성을 주장했다.[45][130]

'bitch'라는 단어를 되찾으려는 움직임은 여성 밴드 Fifth Column의 싱글 "All Women Are Bitches"(1994)와 엘리자베스 워르첼의 저서 ''Bitch: In Praise of Difficult Women''(1999) 등을 통해 주목받았다.[46][131]

단어 되찾기 전략의 효용성은 2011년 SlutWalk의 등장으로 다시 한번 뜨거운 논쟁의 대상이 되었다. 첫 번째 슬럿워크 행사는 2011년 4월 3일 토론토에서 열렸는데, 이는 한 토론토 경찰관이 강연 중 "여성들은 피해자가 되지 않으려면 슬럿처럼 옷을 입는 것을 피해야 한다"라고 발언한 것에 대한 항의의 표시였다.[47][132] 이후 슬럿워크는 베를린, 런던, 뉴욕, 시애틀, 웨스트할리우드 등 세계 여러 도시로 확산되었다.[48][133] 하지만 일부 페미니스트 블로거들은 이 캠페인을 비판하며, 'slut'이라는 단어를 되찾는 것의 실효성에 대해 의문을 제기하기도 했다.[49][50][51][52][134][135][136][137]

5. 비판

제3세대 여성주의는 여러 측면에서 비판을 받아왔다. 주요 비판 중 하나는 운동의 목표가 명확하지 않아 제1세대 여성주의제2세대 여성주의에 비해 응집력이 부족하다는 점이다.[19] 제1세대는 여성의 투표권 확보, 제2세대는 노동 시장에서의 평등한 기회 보장 및 법적 성차별 철폐라는 뚜렷한 목표를 가졌으나, 제3세대는 이러한 구체적인 목표 설정이 미흡하여 제2세대의 연장선으로 평가되기도 한다.[4]

또한, 제3세대 여성주의가 개인주의, 특히 선택 페미니즘과 동일시되면서 운동의 정치적 힘을 약화시킨다는 비판도 제기된다. 이러한 경향이 여성들이 가부장제와 같은 구조적 문제에 맞서기보다 개인의 선택 문제로 환원시키거나 서로를 비난하게 만들어, 페미니즘 운동의 발전을 저해한다는 지적이다.[59]

페미니즘의 역사를 '물결(wave)'로 구분하는 방식 자체에 대한 비판도 있다. 이러한 구분법이 시대 간의 중요한 연속성과 발전을 간과하게 만들며,[60] 특히 미국 중심의 역사관을 반영하여 전 세계 다양한 페미니즘 운동의 역사를 제대로 담아내지 못한다는 문제가 제기된다.[60] 더불어 '물결' 구분이 주로 백인 중산층 여성의 경험에 초점을 맞추어 유색인종 여성이나 저소득층 여성의 문제를 소외시킨다는 비판도 꾸준히 이어져 왔다.[54]

제3세대 여성주의는 스스로 가장 포괄적인 흐름이라고 주장하지만, 여전히 유색인종 여성, 특히 흑인 여성의 경험과 목소리를 충분히 반영하지 못하고 배제한다는 비판도 존재한다. 과거 여성 운동이 결과적으로 백인 여성의 지위 향상에 더 크게 기여했다는 지적과 맥을 같이 한다.[61]

5. 1. 응집력 부족

제3세대 여성주의는 단일한 목표가 부족하여 응집력이 떨어진다는 비판을 받는다. 제1세대 여성주의는 여성의 투표권을 위해 싸워 쟁취했고, 제2세대 여성주의노동 시장에서의 평등한 기회 보장과 법적인 성차별 철폐를 위해 싸웠다. 반면 제3세대는 뚜렷한 공동 목표가 부족하여 종종 제2세대의 연장선으로 여겨지기도 한다.[19] 일각에서는 제3세대 여성주의의 정치적 측면을 "제2세대, 파트 2"라고 부르며, "젊은 페미니스트 문화"만이 진정한 제3세대라고 보기도 한다.[4]

또한 제3세대 여성주의를 개인주의와 동일시하는 경향이 운동의 성장과 정치적 목표 달성을 저해한다는 주장도 있다. 캐슬린 P. 이안넬로(Kathleen P. Iannello)는 이러한 관점에서 다음과 같이 지적했다.

: "선택 페미니즘의 개념적이고 현실적인 '덫'(일과 가정 사이)은 여성이 가부장제에 도전하기보다는 서로를 비난하게 만들었다. '선택'으로 간주되는 개인주의는 여성에게 힘을 실어주지 못하며, 오히려 침묵시키고 페미니즘이 정치 운동으로 발전하여 자원 분배의 실제 문제에 대처하는 것을 막는다."[59]

5. 2. '물결' 구분에 대한 비판

제3세대 여성주의는 단일한 목표가 부족하여 응집력이 약하다는 비판을 받는다. 제1세대는 여성의 투표권을 위해 싸워 쟁취했고, 제2세대는 노동 시장에서의 평등한 기회 접근 권한과 법적인 성차별 철폐를 위해 싸웠다. 반면 제3세대는 뚜렷한 공동 목표가 부족하여 종종 제2세대의 연장선으로 여겨지기도 한다.[19] 일부에서는 제3세대를 페미니즘의 정치적 측면에서 "제2세대, 파트 2"라고 칭할 수 있으며, "오직 젊은 페미니스트 문화"만이 "진정한 제3세대"라고 주장하기도 했다.[4]

제3세대 여성주의가 개인주의와 동일시되면서 운동의 성장과 정치적 목표 달성을 방해한다는 지적도 있다. 캐슬린 P. 이안넬로(Kathleen P. Iannello)는 다음과 같이 비판했다.

: 선택 페미니즘의 개념적이고 현실적인 '덫'(일과 가정 사이)은 여성이 가부장제에 도전하기보다는 서로를 비난하게 만들었다. '선택'으로 간주되는 개인주의는 여성에게 힘을 실어주지 못하며, 오히려 침묵시키고 페미니즘이 정치 운동으로 발전하여 자원 분배의 실제 문제에 대처하는 것을 막는다.[59]

또한, 페미니스트 학자 시라 태런트(Shira Tarrant)를 비롯한 이들은 '물결'이라는 시대 구분이 각 시대 사이의 중요한 발전을 간과하게 만든다는 점에 반대했다.[60] 페미니즘이 세계적인 운동임에도 불구하고, "1차, 2차, 3차 파동의 시기가 미국의 페미니즘 발전에 가장 가깝게 대응한다"는 사실은 페미니즘이 전 세계 정치적 문제의 역사를 제대로 인식하지 못한다는 심각한 문제를 제기한다고 주장했다.[60] 비평가들은 또한 '물결' 구분이 주로 백인 여성의 참정권 획득과 같은 문제에 초점을 맞추면서, 유색인종 여성이나 저소득층 여성의 문제를 지속적으로 소외시킨다고 주장했다.[54]

5. 3. 유색인종 여성 배제 문제

제3세대 여성주의자들은 스스로를 가장 포괄적인 여성주의 물결이라고 선언한다. 그러나 비평가들은 이러한 주장에도 불구하고, 유색인종 여성에 대한 배제가 여전히 존재한다고 지적한다.[61] 특히 흑인 여성주의자들은 과거 여성 권리 운동의 역사를 비판적으로 평가한다. 이들은 "여성 권리 운동은 흑인 또는 흑인 여성의 해방만을 위한 것이 아니었다"고 주장하며, 오히려 여성 참정권이나 노예제 폐지와 같은 노력들이 결과적으로는 백인 사회와 백인 여성의 지위를 향상시키고 강화하는 데 더 크게 기여했다고 본다.[61]

5. 4. '걸리' 페미니즘 논쟁

제3세대 여성주의는 비평가들에 의해 소위 "립스틱" 또는 "걸리" 페미니스트의 등장과 "저속 문화"의 부상과 연관되는 경우가 많았다. 이는 이러한 새로운 페미니스트들이 "여성성과 여성의 성적 표현을 객체화에 대한 도전"으로 옹호했기 때문이다.[62][147] 여기에는 여성이나 소녀가 옷을 입고, 행동하고, 자신을 표현하는 방식에 대해 가부장제적이든 페미니스트적이든 모든 제한을 거부하는 것이 포함되었다.[62][147] 이러한 새로운 입장은 1980년대에 널리 퍼졌던 반 포르노그래피 페미니즘과 뚜렷한 대조를 이루었다. 제2세대 여성주의는 포르노그래피가 여성에 대한 폭력을 조장한다고 보았다.[59][144] 새로운 페미니스트들은 자기 표현에 대한 자율적인 선택을 하는 능력이 단순한 내면화된 억압이 아닌 힘을 실어주는 저항 행위가 될 수 있다고 주장했다.[144]

이러한 관점은 권한 부여(엠파워먼트)와 자율성의 주관적인 특성 때문에 비판을 받았다. 학자들은 권한 부여를 "내부적인 힘과 주체성 느낌"으로 측정하는 것이 최선인지, 아니면 외부적인 "힘과 통제의 척도"로 측정하는 것이 최선인지 확신하지 못했으며, 정체성과 아이디어의 시장에서 "자유 의지와 선택의 모델"에 대한 과도한 투자를 비판하기도 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걸리" 페미니스트들은 현대 사회에서 정체성과 여성성의 의미에 대한 대화를 유지하면서 모든 다른 자아에 열린 자세를 보이려고 노력했다.

제3세대 페미니스트들은 이러한 관점이 "걸리" 페미니즘이라는 라벨에 의해 제한되거나 단순히 "저속 문화"를 옹호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서는 안 된다고 말했다. 오히려 그들은 여성이 수행하는 다양한 역할을 포괄하고자 했다. 젠더 학자 린다 도이츠(Linda Duits)와 리즈베트 판 조넨(Liesbet van Zoonen)은 여성의 의복 선택의 정치화와 "소녀"와 여성의 "논란이 되는 의상 선택"이 공론장에서 "필수적인 규제의 대상"으로 어떻게 구성되는지를 살펴보면서 이러한 포괄성을 강조했다.[62][147] 따라서 "히잡"과 "배꼽티"는 의복 선택으로서 규제를 필요로 하는 것으로 식별되었지만, 그 이유는 달랐다. 둘 다 논란을 일으켰지만, 상반되는 형태의 자기 표현처럼 보였다. "걸리" 페미니스트의 시각을 통해, 둘 다 "정치적 주체성과 객체화에 대한 저항"의 상징으로 볼 수 있다. "히잡"은 이슬람 정체성에 대한 서구의 양가성에 대한 저항 행위로, "배꼽티"는 가부장적 사회의 여성 성에 대한 좁은 시각에 대한 저항 행위로 볼 수 있다. 둘 다 유효한 형태의 자기 표현으로 여겨졌다.

6. 한국 사회와 제3세대 여성주의

(내용 없음 - 원본 소스가 제공되지 않았고, 하위 섹션에서 관련 내용을 다루고 있어 중복을 피하기 위함)

6. 1. 한국적 맥락에서의 쟁점



제3세대 여성주의가 마주한 주요 과제 중 하나는, 제2세대 여성주의가 이룩한 성과들이 당연하게 받아들여지면서 여성주의 자체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이 부족해지는 현상이다. 제니퍼 바움가드너와 에이미 리차즈는 2000년 저서에서 이러한 상황을 비유적으로 설명했다. "1960년대 초 이후에 태어난 세대에게 여성주의의 존재는 당연한 것이며, 마치 물 속의 불소와 같다. 사람들은 불소의 존재를 거의 의식하지 않지만, 그것은 항상 물 속에 포함되어 있다."[92]

이러한 인식은 젠더 평등이 이미 이전 세대 페미니스트들에 의해 상당 부분 달성되었으므로, 여성의 권리를 더 추구하는 노력이 불필요하거나 중요하지 않다는 주장으로 이어지기도 한다. 심지어 이러한 노력이 여성의 상황을 의도치 않은 방향으로 이끌 수 있다는 시각도 존재한다. 예를 들어, 어퍼머티브 액션이 진정한 젠더 평등을 가져오는지, 혹은 특정 배경(예: 백인 중산층 남성)을 가진 이들에게 불이익을 주는 것은 아닌지에 대한 논쟁에서 이러한 문제가 잘 나타난다. 따라서 제3세대 여성주의는 개인이 "자각"하는 것, 즉 남성 지배가 여전히 자신과 동시대 여성들의 삶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사실을 편견 없이 인정하는 능력을 중요하게 여긴다[92].

제3세대 페미니스트들은 거시적인 정치 투쟁뿐만 아니라 일상생활에서의 "미크로 폴리틱스"에 주목하며, 제2세대의 여성 중심적 패러다임을 넘어서고자 한다[115][116][117]. 이들은 여성주의의 정의를 여성 개개인에게 맡기는 것이 제3세대의 특징이라고 말한다. 제니퍼 바움가드너와 에이미 리차즈는 『Manifesta: Young Women, Feminism And The Future』(2000년)에서 여성주의가 모든 세대와 개인에 맞춰 변화하고 발전할 수 있는 가능성을 강조했다. 그들은 여성주의의 장이 NOW나 Ms., 여성학 등에 국한되지 않으며, 젊은 여성들이 이전 세대가 뿌린 씨앗을 수확하고 있다고 보았다. 이들은 타이틀 IX 이후 세대로서, 대학 졸업 후 이전 세대의 지혜를 넘어서 자신만의 방식으로 여성주의에 참여하며, 세대마다 각기 다른 여성주의의 길이 존재한다고 주장했다[92].

제3세대 여성주의는 개인적인 이야기를 여성주의 이론을 표현하는 중요한 형식으로 사용한다. 개인의 경험을 공유하는 과정에서 여성들은 자신이 겪는 억압과 차별 속에서 결코 혼자가 아니라는 사실을 깨닫고 연대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개인적 서사는 기존의 역사적 서술이나 거대 담론에서 다루기 어려웠던 개인의 구체적인 경험과 삶의 단면들을 기록하고 조명하는 데 효과적이다[118].

제3세대 여성주의의 이념은 젠더와 섹슈얼리티에 대해 보다 포스트구조주의적인 해석을 받아들인다[119]. 포스트구조주의적 관점에서 보면, 남성여성과 같은 이분법적 구분은 지배적인 집단이 권력을 유지하기 위해 인위적으로 만들어낸 사회적 구성물로 간주된다[120]. 조앤 W. 스콧은 1998년에 "포스트구조주의자는, 언어와 텍스트가 불변하거나 고유한 의미를 가지고 있을 수 없다고 생각한다. 그것들과 사고, 사물 사이에 투명하거나 자명한 관계가 생길 수는 없고, 언어와 세계는, 소박한 의미에서도 궁극적인 의미에서도, 거기에 아무런 일치하는 대응물을 찾아낼 수 없다는 것이 그들의 주장이다"라고 썼다[121].

참조

[1] 서적 Postfeminism(s) and the Arrival of the Fourth Wave Palgrave Macmillan
[2] 뉴스 The Fourth Wave of Feminism: Meet the Rebel Women https://www.theguard[...] 2013-12-10
[3] 웹사이트 The Third Wave of Feminism https://www.britanni[...] 2019-05-28
[4] 서적
[5] 웹사이트 Becoming the Third Wave http://heathengrrl.b[...]
[6] 간행물 Becoming the Third Wave http://www.msmagazin[...] 1992-01
[7] 웹사이트 Becoming the Third Wave http://heathengrrl.b[...]
[8] 웹사이트 The Riot Grrrl Movement http://www.nypl.org/[...] New York Public Library 2013-06-19
[9] 서적 Feminist Thought: A More Comprehensive Introduction Westview Press
[10] 서적 Third Wave Agenda: Being Feminist, Doing Feminism https://archive.org/[...] University of Minnesota Press
[11] 서적 No permanent waves: recasting histories of U.S. feminism https://www.worldcat[...] Rutgers University Press 2010
[12] 서적 Sex wars: sexual dissent and political culture https://archive.org/[...] Routledge
[13] 서적 Gender Trouble: Feminism and the Subversion of Identity Routledge 1999
[14] 웹사이트 Feminist Perspectives on Sex and Gender https://plato.stanfo[...] 2022-01-18
[15] 서적 Gender Trouble: Feminism and the Subversion of Identity Routledge 1990
[16] 웹사이트 Judith Butler http://www.litencyc.[...] The Literary Encyclopedia 2003-08-27
[17] 서적 To Be Real: Telling the Truth and Changing the Face of Feminism https://archive.org/[...] Anchor Books
[18] 서적 Girl Zines: Making Media, Doing Feminism New York University Press
[19] 서적 The F Word: Feminism in Jeopardy https://archive.org/[...] Seal Press
[20] 문서 Adolescent girls and feminism Routledge
[21] 간행물 A Little Too Ironic': The Appropriation and Packaging of Riot Grrrl Politics by Mainstream Female Musicians
[22] 서적 The Riot Grrrl Collection The Feminist Press at the City University of New York
[23] 간행물 Riot Grrrl: Revolutions from within 1998
[24] 서적 Girls To The Front: The True Story of the Riot Grrrl Revolution https://archive.org/[...] HarperPerennial 2010
[25] 간행물 Pussy Rioting 2014-04-03
[26] 뉴스 Spice Girls' 'Wannabe': How 'Girl Power' Reinvigorated Mainstream Feminism in the '90s https://www.billboar[...] 2019-03-21
[27] 뉴스 Spice Girls: What happened to Girl Power? https://www.bbc.co.u[...] 2019-05-25
[28] 서적 Toward A Feminist Theory of the State https://archive.org/[...] Harvard University Press
[29] 서적 No Turning Back: The History of Feminism and the Future of Women https://archive.org/[...] Ballantine Books
[30] 서적
[31] 서적 Backlash: The Undeclared War Against Women https://archive.org/[...] Crown Publishing Group
[32] 간행물 Reclaiming the Personal: Personal Narratives of Third-Wave Feminists 2011-10
[33] 서적 From Second-Wave to Poststructuralist Feminism Blackwell
[34] 간행물 Poststructural feminism in education: An overview
[35] 간행물 Deconstructing Equality-versus-Difference: Or, the Uses of Poststructuralist Theory for Feminism
[36] 논문 The Local is Global: Third Wave Feminism, Peace, and Social Justice
[37] 서적 Third Wave Feminism and Transgender: Strength Through Diversity Routledge 2018
[38] 간행물 Feminism Re-Imagined: The Third Wave https://www.britanni[...] Encyclopædia Britannica, Inc. 2008
[39] 뉴스 South Dakota Bans Abortion, Setting Up a Battle 2006-03-07
[40] 논문 Sometimes, It's a Child and a Choice: Toward an Embodied Abortion Praxis 2008-Spring
[41] 논문 Implications of the Federal Abortion Ban for Women's Health in the United States 2008-05
[42] 웹사이트 Title 16, art. XXXIV, ch. 2, § 1.1 cl. 1: Voluntary and informed consent required; viewing of fetal ultrasound http://www.in.gov/le[...] Indiana Code
[43] 웹사이트 Title 34, ch. 23A, § 7 http://legis.state.s[...] South Dakota Code
[44] 웹사이트 Title 44, ch. 41, art. 1, § 10 http://www.scstateho[...] South Carolina Code
[45] 서적 Cunt: A Declaration of Independence https://archive.org/[...] Seal Press
[46] 서적 Bitch: In Praise of Difficult Women https://archive.org/[...] Doubleday
[47] 웹사이트 SlutWalk Toronto http://www.slutwalkt[...] 2011-05-28
[48] 웹사이트 Slutwalks – Do you agree with the Toronto policeman? http://www.bbc.co.uk[...] BBC 2011-05-28
[49] 웹사이트 "We're sluts, not feminists. Wherein my relationship with Slutwalk gets rocky." http://www.feminisms[...] 2011-05-28
[50] 웹사이트 Sluts Like Me http://bigthink.com/[...] 2011-05-28
[51] 웹사이트 Women: Should they have autonomy? http://shakespearess[...] 2011-05-28
[52] 웹사이트 Slutwalk – To March or Not to March http://www.racialici[...]
[53] 백과사전 feminism {{!}} Definition, History, & Examples http://www.britannic[...] 2018-10-08
[54] 논문 Re-Presenting Feminisms: Past, Present, and Future 2008-Spring
[55] 웹사이트 The Rolling Revolution in Sex and Gender: A History https://www.thepubli[...] Witherspoon Institute 2019-04-21
[56] 웹사이트 The waves of feminism, and why people keep fighting over them, explained https://www.vox.com/[...] 2019-04-21
[57] 논문 Female medical workers feel maternity leave unfair http://kapio.kcc.haw[...] 2003-05-07
[58] 서적 Gender and Women's Leadership: A Reference Handbook Sage Publishing
[59] 서적 Women in Politics: Outsiders or Insiders? A Collection of Readings Longman
[60] 서적 When Sex Became Gender https://archive.org/[...] Routledge
[61] 논문 African-American Women's Feelings of Alienation from Third-Wave Feminism: A Conversation with My Sisters 2005-Fall
[62] 문서 2012
[63] 웹사이트 FindLaw | Cases and Codes http://caselaw.lp.fi[...] FindLaw 2012-09-28
[64] 뉴스 Thelma, Louise and All the Pretty Women https://www.nytimes.[...] The New York Times 2011-04-21
[65] 뉴스 Senate Votes to Remove Ban on Women as Combat Pilots https://www.nytimes.[...] 2019-06-02
[66] 뉴스 Backlash by Susan Faludi https://www.theguard[...] 2019-06-02
[67] 뉴스 Equality campaign for women falters https://www.independ[...] The Independent 1992-12-28
[68] 웹사이트 Equal opportunities for women Training Activity – TrainerActive, Training Activity Portal http://www.fenman.co[...] Fenman.co.uk 2012-10-31
[69] 웹사이트 BBC Radio 4 – Woman's Hour – Women's History Timeline: 1990–1999 http://www.bbc.co.uk[...] BBC 2012-10-31
[70] 웹사이트 History http://thirdwavefund[...] Third Wave Foundation 2012-10-31
[71] 웹사이트 Shannon Liss-Riordan touts 'fresh perspective' in campaign to unseat U.S. Sen. Ed Markey https://www.masslive[...] 2019-05-22
[72] 서적 A History of U.S. Feminisms https://books.google[...] Basic Books 2022-11-22
[73] 서적 Catching a Wave: Reclaiming Feminism for the 21st Century https://books.google[...] Northeastern University Press 2022-11-22
[74] 서적 Women in Changing Society https://books.google[...] EDTECH 2022-11-22
[75] 웹사이트 Family and Medical Leave Act (1993) | LII / Legal Information Institute https://www.law.corn[...] Law.cornell.edu 2012-10-12
[76] 웹사이트 Ms. Foundation for Women – Take Our Daughters and Sons to Work https://web.archive.[...] ms.foundation.org
[77] 웹사이트 History of the Violence Against Women Act https://www.legalmom[...] 2016-04-26
[78] 간행물
[79] 웹사이트 "Vagina Monologues" performances mark S.A. V-Day http://qsanantonio.c[...] QSanAntonio 2012-02-25
[80] 서적 The Vagina Monologues Villard
[81] 웹사이트 United States v. Virginia https://www.oyez.org[...] The Oyez Project at IIT Chicago-Kent College of Law 2012-10-31
[82] 웹사이트 Bitch Magazine: Our History http://bitchmagazine[...] 2019-06-02
[83] 웹사이트 Services https://web.archive.[...] 2014-11-30
[84] 웹사이트 From Superdome to SUPERLOVE—V-Day at 10 https://web.archive.[...] 2008-01-30
[85] 뉴스 CBS to pay $8 million to settle sex discrimination lawsuit https://web.archive.[...] Knight Ridder/Tribune News Service 2000-10-25
[86] 웹사이트 Women's History Timeline: 2000–now http://www.bbc.co.uk[...] Woman's Hour, BBC Radio 4 2012-10-31
[87] 웹사이트 March for Women's Lives http://www.guttmache[...] Guttmacher.org 2005-04-25
[88] 뉴스 Los Angeles man wins right to use wife's last name https://web.archive.[...] 2008-05-05
[89] 서적 Postfeminism(s) and the Arrival of the Fourth Wave Palgrave Macmillan
[90] 뉴스 The Fourth Wave of Feminism: Meet the Rebel Women https://www.theguard[...] 2013-12-10
[91] Webarchive The Third Wave of Feminism https://www.britanni[...] 2019-05-28
[92] 간행물
[93] 웹사이트 The Riot Grrrl Movement http://www.nypl.org/[...] New York Public Library 2013-06-19
[94] 간행물 Becoming the Third Wave http://heathengrrl.b[...] 1992-01
[95] 문서 Becoming the Third Wave by Rebecca Walker http://heathengrrl.b[...]
[96] Webarchive Feminism Re-Imagined: The Third Wave https://www.britanni[...] Encyclopædia Britannica, Inc. 2018-09-22
[97] 서적 Feminist Thought: A More Comprehensive Introduction Westview Press
[98] 서적 Third Wave Agenda: Being Feminist, Doing Feminism https://archive.org/[...] University of Minnesota Press
[99] 서적 Pleasure and Danger: Exploring Female Sexuality https://archive.org/[...] Thorsons Publishers
[100] 서적 ジェンダー・トラブル Routledge 1999
[101] 웹사이트 Feminist Perspectives on Sex and Gender https://plato.stanfo[...] 2022-01-18
[102] 서적 ジェンダー・トラブル Routledge 1990
[103] 웹사이트 Judith Butler http://www.litencyc.[...] The Literary Encyclopedia 2003-08-27
[104] 서적 Girl Zines: Making Media, Doing Feminism New York University Press
[105] 서적 The F Word: Feminism in Jeopardy https://archive.org/[...] Seal Press
[106] 서적 Adolescent girls and feminism Routledge 2000
[107] 논문 "'A Little Too Ironic': The Appropriation and Packaging of Riot Grrrl Politics by Mainstream Female Musicians" 2003
[108] 서적 The Riot Grrrl Collection The Feminist Press at the City University of New York
[109] 논문 Riot Grrrl: Revolutions from within 1998-03
[110] 논문 "'A Little Too Ironic': The Appropriation and Packaging of Riot Grrrl Politics by Mainstream Female Musicians" 2003
[111] 학술지 Pussy Rioting 2014-04-03
[112] 뉴스 Spice Girls' 'Wannabe': How 'Girl Power' Reinvigorated Mainstream Feminism in the '90s https://www.billboar[...] 2019-03-21
[113] 뉴스 Spice Girls: What happened to Girl Power? https://www.bbc.co.u[...] 2019-05-25
[114] 서적 To Be Real: Telling the Truth and Changing the Face of Feminism https://archive.org/[...] Anchor Books
[115] 서적 No Turning Back: The History of Feminism and the Future of Women https://archive.org/[...] Ballantine Books
[116] 간행물 2007
[117] 서적 Backlash: The Undeclared War Against Women https://archive.org/[...] Crown Publishing Group
[118] 학술지 Reclaiming the Personal: Personal Narratives of Third-Wave Feminists 2011-10
[119] 서적 The International Encyclopedia of Media Studies: Media Effects/Media Psychology Blackwell
[120] 학술지 Poststructural feminism in education: An overview
[121] 학술지 Deconstructing Equality-versus-Difference: Or, the Uses of Poststructuralist Theory for Feminism
[122] 학술지 The Local is Global: Third Wave Feminism, Peace, and Social Justice
[123] 서적 Third Wave Feminism and Transgender: Strength Through Diversity Routledge 2018
[124] 뉴스 South Dakota Bans Abortion, Setting Up a Battle 2006-03-07
[125] 학술지 Sometimes, It's a Child and a Choice: Toward an Embodied Abortion Praxis 2008-03
[126] 학술지 Implications of the Federal Abortion Ban for Women's Health in the United States 2008-05
[127] 법률 Title 16, art. XXXIV, ch. 2, § 1.1 cl. 1: Voluntary and informed consent required; viewing of fetal ultrasound http://www.in.gov/le[...] Indiana Code 2009-04-09
[128] 법률 Title 34, ch. 23A, § 7 http://legis.state.s[...] South Dakota Code 2009-02-08
[129] 법률 Title 44, ch. 41, art. 1, § 10 http://www.scstateho[...] South Carolina Code 2011-07-21
[130] 서적 Cunt: A Declaration of Independence https://archive.org/[...] Seal Press
[131] 서적 Bitch: In Praise of Difficult Women https://archive.org/[...] Doubleday
[132] 웹사이트 SlutWalk Toronto http://www.slutwalkt[...] 2011-05-28
[133] 웹사이트 Slutwalks – Do you agree with the Toronto policeman? http://www.bbc.co.uk[...] BBC 2011-05-28
[134] 웹사이트 We're sluts, not feminists. Wherein my relationship with Slutwalk gets rocky. http://www.feminisms[...] 2011-05-28
[135] 웹사이트 Sluts Like Me http://bigthink.com/[...] 2011-05-28
[136] 웹사이트 Women: Should they have autonomy? http://shakespearess[...] 2011-05-28
[137] 웹사이트 Slutwalk – To March or Not to March http://www.racialici[...] 2021-05-24
[138] 백과사전 feminism Definition, History, & Examples http://www.britannic[...] 2018-10-08
[139] 학술지 Re-Presenting Feminisms: Past, Present, and Future 2008-03
[140] 웹사이트 The Rolling Revolution in Sex and Gender: A History https://www.thepubli[...] Witherspoon Institute 2017-07-31
[141] 웹사이트 The waves of feminism, and why people keep fighting over them, explained https://www.vox.com/[...] 2018-07-20
[142] 간행물 Female medical workers feel maternity leave unfair http://kapio.kcc.haw[...] 2003-05-07
[143] 서적 Gender and Women's Leadership: A Reference Handbook Sage Publishing
[144] 서적 Women in Politics: Outsiders or Insiders? A Collection of Readings Longman
[145] 서적 When Sex Became Gender https://archive.org/[...] Routledge
[146] 간행물 African-American Women's Feelings of Alienation from Third-Wave Feminism: A Conversation with My Sisters 2005-09-01
[147] 문서 2012
[148] 웹사이트 FindLaw | Cases and Codes http://caselaw.lp.fi[...] Caselaw.lp.findlaw.com 2012-09-28
[149] 뉴스 Thelma, Louise and All the Pretty Women https://www.nytimes.[...] The New York Times 2011-04-21
[150] 뉴스 Senate Votes to Remove Ban on Women as Combat Pilots https://www.nytimes.[...] 1991-08-01
[151] 뉴스 Backlash by Susan Faludi https://www.theguard[...] 2005-12-13
[152] 뉴스 Equality campaign for women falters https://www.independ[...] The Independent 1992-12-28
[153] 웹사이트 Equal opportunities for women Training Activity – TrainerActive, Training Activity Portal http://www.fenman.co[...] Fenman.co.uk 2012-10-31
[154] 웹사이트 BBC Radio 4 – Woman's Hour – Women's History Timeline: 1990–1999 http://www.bbc.co.uk[...] BBC 2012-10-31
[155] 웹사이트 History http://thirdwavefund[...] Third Wave Foundation 2012-10-31
[156] 웹사이트 Shannon Liss-Riordan touts 'fresh perspective' in campaign to unseat U.S. Sen. Ed Markey https://www.masslive[...] 2019-05-22
[157] 웹사이트 Family and Medical Leave Act (1993) | LII / Legal Information Institute https://www.law.corn[...] Law.cornell.edu 2012-10-12
[158] 웹사이트 Ms. Foundation for Women – Take Our Daughters and Sons to Work http://ms.foundation[...] ms.foundation.org 2021-05-24
[159] 웹사이트 History of the Violence Against Women Act https://www.legalmom[...] 2016-04-26
[160] 문서 2008
[161] 웹사이트 "Vagina Monologues" performances mark S.A. V-Day http://qsanantonio.c[...] QSanAntonio 2012-02-25
[162] 서적 The Vagina Monologues Villard
[163] 웹사이트 United States v. Virginia https://www.oyez.org[...] The Oyez Project at IIT Chicago-Kent College of Law 2012-10-31
[164] 웹사이트 Bitch Magazine: Our History http://bitchmagazine[...] 2019-06-02
[165] 웹사이트 Services http://www.tahirih.o[...] 2014-11-30
[166] 웹사이트 From Superdome to SUPERLOVE—V-Day at 10 http://www.womensmed[...] 2008-01-30
[167] 뉴스 CBS to pay $8 million to settle sex discrimination lawsuit https://www.highbeam[...] Knight Ridder/Tribune News Service 2000-10-25
[168] 웹사이트 Women's History Timeline: 2000–now http://www.bbc.co.uk[...] Woman's Hour, BBC Radio 4 2012-10-31
[169] 웹사이트 March for Women's Lives http://www.guttmache[...] Guttmacher.org 2005-04-25
[170] 뉴스 Los Angeles man wins right to use wife's last name http://uk.reuters.co[...] 2008-05-05
[171] 서적
[172] 서적 https://archive.org/[...]
[173] 간행물 null
[174] 웹인용 http://civilliberty.[...] 2016-08-04
[175] 간행물
[176] 서적 Sexual Politics 컬럼비아 대학교 출판사
[176] 서적 Pornography and Civil Rights: A New Day for Women's Equality Organizing Against Pornography
[177] 저널 Feminist Ideals for a Healthy Female Adolescent Sexuality: A Critique 2009-10-0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