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예수와 간음한 여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예수와 간음한 여인은 예수가 간음한 여인을 용서하는 이야기를 담고 있다. 이 이야기는 요한복음 7:53-8:11에 등장하며, 바리새인들이 간음한 여인을 예수에게 데려와 율법에 따라 돌로 쳐야 하는지 묻자, 예수는 "너희 중에 죄 없는 자가 먼저 돌로 치라"고 말하고, 아무도 돌을 던지지 못하자 여인을 용서한다. 이 일화는 자비와 용서의 메시지를 전달하며 기독교 사상에 큰 영향을 미쳤다. 하지만, 이 구절의 요한 저작 여부와 본문 비평에 대한 논란이 있으며, 초기 필사본에 포함 여부, 문체, 어휘, 역사적 배경 등을 근거로 찬반 논쟁이 존재한다. 이 이야기는 예술 작품과 문화에도 영향을 미쳤으며, 중국 교과서에서 왜곡되어 논란이 일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복음서 사건 - 예수의 변모
    예수의 변모는 공관복음서에 기록된 사건으로, 예수의 모습이 변화하고 모세와 엘리야가 나타나 예수와 대화하며 예수의 신성을 드러내는 사건이다.
  • 복음서 사건 - 최후의 만찬
    최후의 만찬은 예수 그리스도가 제자들과 함께한 마지막 식사로, 성찬식 제정, 유다의 배신과 베드로의 부인 예언 등 기독교 신앙에서 중요한 의미를 가지며, 복음서와 고린도전서에 기록되었지만 유월절 시기 등 기록에 차이가 있고, 정확한 시간과 장소는 논쟁 중이며 기독교 미술의 중요한 주제이다.
  • 예수의 가르침 - 하느님의 나라
    하느님의 나라는 구약성서에서 기원하여 예수와 바울을 거쳐 기독교에서 중요한 개념으로 다루어지며, 개혁주의는 이를 권능, 은총, 영광의 왕국으로 해석한다.
  • 예수의 가르침 - 성변화
    성변화는 가톨릭교회에서 미사 중 빵과 포도주가 그리스도의 몸과 피로 변화하는 교리를 의미하며, 빵과 포도주의 실체는 변해도 외형은 유지된다고 설명되고, 종교 개혁 시기 논쟁의 중심이자 가톨릭과 개신교 간 신학적 차이를 보여주는 주제이다.
  • 성서비평학 - 예수 세미나
    예수 세미나는 로버트 펑크를 중심으로 신약성서 학자들이 모여 복음서에 나타난 예수의 언행의 역사적 진위를 판별하고자 했던 학술 모임으로, 학문적 기여와 비판, 논쟁을 불러일으켰다.
  • 성서비평학 - 예언서
    예언서는 기독교와 유대교에서 구약성경의 일부를 지칭하며, 기독교에서는 대선지서와 소선지서로, 유대교에서는 대선지서와 열두 선지서로 분류한다.
예수와 간음한 여인
성경 본문
위치요한복음 7:53-8:11
다른 이름간음 중에 잡힌 여자
Adulteress Pericope
예수와 간음한 여인
내용 개요
줄거리예수가 성전에서 가르치고 있을 때, 서기관과 바리새인들이 간음 중에 잡힌 여자를 예수에게 데려온다. 그들은 모세의 율법에 따르면 이런 여자는 돌로 쳐 죽여야 한다고 말하며 예수를 시험한다. 예수는 땅에 글씨를 쓰다가 일어나 "너희 중에 죄 없는 자가 먼저 돌로 치라"고 말한다. 그들은 모두 떠나가고 예수와 여자만 남는다. 예수는 여자에게 "나도 너를 정죄하지 아니하노니 가서 다시는 죄를 짓지 말라"고 말한다.
분석
역사적 진실성요한복음의 가장 오래된 사본들에서 해당 구절이 빠져 있고, 스타일과 어휘가 요한의 특징과 다르기 때문에 논란이 있다. 일부 학자들은 이 이야기가 원래 다른 곳에서 유래했을 수 있다고 주장한다.
신학적 의미용서와 율법의 한계에 대한 메시지를 전달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예수는 율법의 문자적 적용보다는 자비와 사랑을 강조한다.
예술적 표현
주제예술 작품에서 자주 묘사되는 주제이다.
예시렘브란트의 그림 "간음한 여인"
루카스 크라나흐의 그림
추가 정보
관련 성경 구절신명기 22장 22-27절
신명기 17장 6-7절
신명기 17장 8-13절

2. 본문

새 개정 표준 성경에 따르면 요한복음 7장 53절에서 8장 11절까지는 다음과 같다.

2. 1. 내용

모세의 율법은 간음한 여인을 돌로 치라고 규정하였지만, 당시 로마의 지배를 받던 이 지역에서 사형 집행에는 로마 총독의 허가가 필요하였다. 바리새인들은 이러한 상황을 이용하여 예수를 곤경에 처하게 하려 하였다.[7]

새 개정 표준 성경에 따르면 요한복음 7장 53절에서 8장 11절까지는 다음과 같다.

각자 집으로 돌아갔고,[7] 예수는 감람산으로 갔다.[7] 이른 아침에 그는 다시 성전으로 갔다.[7] 모든 백성이 그에게 나아왔고 그는 앉아서 그들을 가르치기 시작했다.[7] 서기관들과 바리새인들은 간음하다 잡힌 여자를 데려왔다.[7] 그리고 그들 모두 앞에 세우고[7] 그에게 말하였다. "선생님, 이 여자는 간음하는 바로 그 현장에서 잡혔습니다.[7] 이제 율법에서 모세는 우리에게 그런 여자를 돌로 치라고 명령했습니다. 당신은 뭐라고 하시겠습니까?"[7] 그들은 그를 시험하기 위해 이렇게 말하였다. 그래서 그를 고발할 근거를 얻으려 하였다.[7] 예수는 몸을 굽혀 손가락으로 땅에 썼다.[7] 그들이 계속해서 그에게 질문하자, 그는 몸을 일으켜 그들에게 말하였다. "너희 중에 죄 없는 자가 먼저 돌을 던져라."[7] 그리고 다시 몸을 굽혀 땅에 썼다.[7] 그들이 이 말을 듣고, 나이 많은 자부터 시작하여 한 사람씩 떠나갔고, 예수와 그 앞에 서 있는 여자만 남았다.[7] 예수는 몸을 일으켜 그녀에게 말하였다. "여자여, 그들은 어디 있느냐? 너를 정죄한 자가 아무도 없느냐?"[7] 그녀가 말하였다. "주님, 아무도 없습니다." 그러자 예수께서 말씀하셨습니다. "나도 너를 정죄하지 않는다. 가서 다시는 죄를 짓지 말아라."[7]

2. 2. 주요 표현

NRSV영어에 따르면 요한복음 7장 53절에서 8장 11절의 주요 표현은 다음과 같다.[7]

  • "너희 중에 죄 없는 자가 먼저 돌을 던져라."[7]
  • "나도 너를 정죄하지 않는다. 가서 다시는 죄를 짓지 말아라."[7]

3. 해석

ἔγραφεν|에그라펜grc은 '쓰다'뿐만 아니라 '그리다'라는 뜻도 가질 수 있다는 점에서,[11] 이 구절은 예수의 글쓰기 능력을 보여주는 것으로 여겨져 왔다. 이는 복음서에서 암시적으로만 나타난다.

"너희 중에 죄 없는 자가 먼저 돌로 치라"[8]와 "가서 다시는 죄를 범하지 말라"[9]는 널리 사용되는 표현이 되었고, 영어 관용구 "cast the first stone"은 이 구절에서 유래되었다.[10] 이 일화와 그 메시지인 자비용서는 거룩한 삶을 향한 부름과 균형을 이루며 기독교 사상에서 지속되어 왔다.

모세의 율법은 간음한 여인을 돌로 치라고 규정하였지만, 당시 로마의 지배를 받던 이 지역에서 사형 집행에는 로마 총독의 허가가 필요하였다. 바이사이파들은 이러한 상황을 이용하여 예수를 곤경에 빠뜨리려고 하였다.

3. 1. 신학적 해석

모세 율법은 간음한 여인을 돌로 치라고 규정하였지만, 당시 로마의 지배를 받던 이 지역에서 사형 집행에는 로마 총독의 허가가 필요하였다. 바리사이파 사람들은 이러한 상황을 이용하여 예수를 곤경에 빠뜨리려 하였다.[8]

이 일화와 그 메시지인 자비용서는 거룩한 삶을 향한 부름과 균형을 이루며 기독교 사상에서 지속되어 왔다. "너희 중에 죄 없는 자가 먼저 돌로 치라"와 "가서 다시는 죄를 범하지 말라"[9]는 모두 널리 사용되는 표현이 되었다. 영어 관용구 "cast the first stone"은 이 구절에서 유래되었다.[10]

이 구절은 예수의 글쓰기 능력을 보여주는 것으로 여겨져 왔는데, 이는 복음서에서 암시적으로만 나타난다. 요한복음 8장 8절의 단어 ἔγραφεν|에그라펜grc은 '쓰다'뿐만 아니라 '그리다'라는 뜻도 가질 수 있다.[11]

3. 2. 윤리적 해석

모세의 율법은 간음한 여인을 돌로 치라고 규정했지만, 당시 로마의 지배를 받던 이 지역에서 사형 집행에는 로마 총독의 허가가 필요했다. 바리사이파들은 이러한 상황을 이용하여 예수를 곤경에 빠뜨리려고 했다.

이 일화와 그 메시지인 자비용서는 거룩한 삶을 향한 부름과 균형을 이루며 기독교 사상에서 지속되어 왔다. "너희 중에 죄 없는 자가 먼저 돌로 치라"[8]와 "가서 다시는 죄를 범하지 말라"[9]는 모두 널리 사용되는 표현이 되었다. 영어 관용구 "cast the first stone"은 이 구절에서 유래되었다.[10]

이 구절은 예수의 글쓰기 능력을 확증하는 것으로 여겨져 왔는데, 이는 복음서에서 암시적으로만 나타나지만, 요한복음 8장 8절의 단어 ἔγραφεν|에그라펜grc은 "쓰다"뿐만 아니라 "그리다"라는 뜻도 가질 수 있다.[11]

4. 본문 비평

상갈렌 코덱스 48에는 요한복음 7:53–8:11에 해당하는 부분에 공백이 있다.


오리겐은 알렉산드리아 비평가들의 비평적 표시를 체계적으로 적용한 최초의 인물이다.[12] 그는 70인역 사본에서 호메로스의 알렉산드리아 비평가들, 특히 아리스타르쿠스가 사용했던 변별적 표시 체계를 사용했다. 히브리어에 상응하는 구절이 없는 70인역 사본의 구절에는 여러 형태로 "./.", lemniscusgrc라고 불리는 표시와 "/.", hypolemniscusgrc라고 불리는 표시를 하고, 주로 테오도티온에서 별표(*)로 삽입하여 70인역 사본에 누락된 부분을 표시했다. 두 경우 모두 metobelusgrc (Y)는 표기의 끝을 표시했다.

호메로스와 같은 고전 그리스 작품에서 이러한 표시의 사용과 의미에 익숙한 초기 본문 비평가들은 이 기호들이 해당 구절(요한복음 7:53–8:11)이 복음서의 원본 부분이 아닌 삽입이라는 의미로 해석했다.

16세기에 서유럽 학자들은 가톨릭개신교 모두 불가타 라틴어 번역본에 의존하기보다는 신약성경의 가장 정확한 그리스어 본문을 복원하고자 했다. 이때 요한복음의 일부 초기 필사본에 요한복음 7:53–8:11절이 포함되어 있지 않다는 사실과, 해당 구절을 포함하는 일부 필사본에는 비평적 표시, 일반적으로 lemniscus 또는 별표가 표시되어 있다는 사실이 발견되었다. 또한 그리스 교회의 독서집에서 오순절 복음서 낭독이 요한복음 7:37절부터 8:12절까지 이어지지만, 이 구절의 12절은 건너뛴다는 사실도 주목되었다.

카를 라흐만 (1840년, 독일)을 시작으로, 간음한 여인la에 대한 의구심이 현대에 들어 더욱 강력하게 제기되었고, 이러한 의견은 새뮤얼 데이비슨 (1848–51), 새뮤얼 프라이도 트레겔레스 (1862),[13] 등에 의해 영어권으로 전해졌다. F. J. A. 호트 (1886)는 요한복음에 해당 구절이 포함되어 있지 않다는 주장을 구체화했다. 20세기에는 헨리 케드버리 (1917), 어니스트 캐드먼 콜웰 (1935), 브루스 M. 메츠거 (1971) 등이 요한복음에 이 구절이 포함되는 것에 반대했다.[14]

19세기 본문 비평가 헨리 앨포드와 F. H. A. 스크리브너는 해당 구절이 요한이 복음서의 두 번째 판에서 5:3.4절 및 21장과 함께 추가한 것이라고 주장했다.[15]

일부 학자들은 이 구절의 요한 저작설을 강력하게 옹호했다. 프레데릭 놀란 (1865), 존 버건 (1886), 허먼 C. 호스키어 (1920) 등이 대표적이다. 최근에는 데이비드 오티스 풀러 (1975)가 옹호했으며, 윌버 피커링(1980/2014), 호지스 & 파스타드(1982/1985), 로빈슨 & 피어폰트(2005)가 편집한 그리스어 신약성경에 포함되어 있다. 버건은 아우구스티누스의 이론, 즉 일부 사람들이 아내들이 간음을 저지르는 핑계로 사용할 것을 우려하여 이 구절을 제거했다는 이론을 지지하기보다는, 초기 교회의 독서 체계에 대한 오해로 인해 이 구절이 유실되었다는 이론을 제안했다.[16]

거의 모든 현대 비평적 번역본은 요한복음 7:53–8:11에 해당 구절을 포함한다. 뉴 잉글리시 바이블과 개정판 잉글리시 바이블은 예외적으로 이 구절을 복음서의 마지막 부분에 위치시킨다. 대부분의 다른 번역본들은 이 구절을 대괄호로 묶거나, 가장 오래된 증언에 이 구절이 없다는 사실을 각주로 언급한다 (예: NRSV, NJB, NIV, GNT, NASB, ESV ).[5] 하지만 가톨릭 신자들이 이 구절을 정경으로 받아들이기 때문에, RSV-CE/2CE 및 ESV-CE과 같은 일부 가톨릭 판은 대괄호를 제거하고 불확실성에 대한 각주 설명을 유지한다. 반면에 NRSV-CE와 같은 다른 번역본들은 대괄호를 유지한다.

4. 1. 역사적 배경

모세의 율법은 간음한 여인을 돌로 치라고 규정하였지만, 당시 로마의 지배를 받던 이 지역에서 사형 집행에는 로마 총독의 허가가 필요하였다. 바리사이파들은 이러한 상황을 이용하여 예수를 곤경에 처하게 하려 하였다.

알렉산드리아 비평가들의 비평적 표시를 체계적으로 적용한 최초의 인물은 오리겐이었다.[12] 오리겐은 70인역 사본에서 호메로스의 알렉산드리아 비평가들, 특히 아리스타르코스가 사용했던 변별적 표시 체계를 사용했다. 히브리어에 상응하는 구절이 없는 70인역 사본의 구절에는 여러 형태로 "./.", lemniscus라고 불리는 표시와 "/.", hypolemniscus라고 불리는 표시를 하고, 주로 테오도티온에서 별표(*)로 삽입하여 70인역 사본에 누락된 부분을 표시했다. 두 경우 모두 metobelus (Y)는 표기의 끝을 표시했다.

호메로스와 같은 고전 그리스 작품에서 이러한 표시의 사용과 의미에 익숙한 초기 본문 비평가들은 이 기호들이 해당 구절(요한복음 7:53–8:11)이 복음서의 원본 부분이 아닌 삽입이라는 의미로 해석했다.

16세기 동안, 서유럽 학자들 - 가톨릭개신교 모두 - 불가타 라틴어 번역본에 의존하기보다는 신약성경의 가장 정확한 그리스어 본문을 복원하고자 했다. 이때 요한복음의 일부 초기 필사본에 요한복음 7:53–8:11절이 포함되어 있지 않다는 사실이 발견되었고, 또한 해당 구절을 포함하는 일부 필사본에는 비평적 표시, 일반적으로 lemniscus 또는 별표가 표시되어 있었다. 또한 그리스 교회의 독서집에서 오순절 복음서 낭독이 요한복음 7:37절부터 8:12절까지 이어지지만, 이 구절의 12절은 건너뛴다는 사실도 주목되었다.

카를 라흐만 (1840년, 독일)을 시작으로, 간음한 여인에 대한 의구심이 현대에 들어 더욱 강력하게 제기되었고, 이러한 의견은 새뮤얼 데이비슨 (1848–51), 새뮤얼 프라이도 트레겔레스 (1862),[13] 등에 의해 영어권으로 전해졌으며, 요한복음에 해당 구절이 포함되어 있지 않다는 주장은 F. J. A. 호트 (1886)에 의해 구체화되고 최종적으로 표현되었다. 20세기에는 요한복음에 이 구절이 포함되는 것에 반대하는 인물로 헨리 케드버리 (1917), 어니스트 캐드먼 콜웰 (1935), 브루스 M. 메츠거 (1971) 등이 있다.[14]

19세기 본문 비평가 헨리 앨포드와 F. H. A. 스크리브너는 해당 구절이 요한이 복음서의 두 번째 판에서 5:3.4절 및 21장과 함께 추가한 것이라고 주장했다.[15]

일부 학자들은 이 구절의 요한 저작설을 강력하게 옹호했다. 이러한 비평가 그룹은 프레데릭 놀란 (1865), 존 버건 (1886), 허먼 C. 호스키어 (1920)과 같은 학자들이 대표적이다. 최근에는 데이비드 오티스 풀러 (1975)가 옹호했으며, 윌버 피커링(1980/2014), 호지스 & 파스타드(1982/1985), 로빈슨 & 피어폰트(2005)가 편집한 그리스어 신약성경에 포함되어 있다.

4. 2. 논란의 역사

모세의 율법은 간음한 여인을 돌로 치라고 규정하였지만, 당시 로마의 지배에 있던 이 지역에서 사형 집행에는 로마 총독의 허가가 필요하였다. 바리사이파들은 이러한 상황을 이용하여 예수를 곤경에 처하게 하려 하였다.

알렉산드리아 비평가들의 비평적 표시를 체계적으로 적용한 최초의 인물은 오리겐이었다.[12] 오리겐은 셉투아진트 사본에서 호메로스의 알렉산드리아 비평가들, 특히 아리스타르쿠스가 사용했던 변별적 표시 체계를 사용했다. 히브리어에 상응하는 구절이 없는 셉투아진트 사본의 구절에는 여러 형태로 "./.", lemniscus라고 불리는 표시와 "/.", hypolemniscus라고 불리는 표시를 하고, 주로 테오도티온에서 별표(*)로 삽입하여 셉투아진트 사본에 누락된 부분을 표시했다. 두 경우 모두 metobelus (Y)는 표기의 끝을 표시했다. 호메로스와 같은 고전 그리스 작품에서 이러한 표시의 사용과 의미에 익숙한 초기 본문 비평가들은 이 기호들이 해당 구절(요한복음 7:53–8:11)이 복음서의 원본 부분이 아닌 삽입이라는 의미로 해석했다.

16세기 동안, 서유럽 학자들 - 가톨릭개신교 모두 - 불가타 라틴어 번역본에 의존하기보다는 신약성경의 가장 정확한 그리스어 본문을 복원하고자 했다. 이때 요한복음의 일부 초기 필사본에 요한복음 7:53–8:11절이 포함되어 있지 않다는 사실이 발견되었고, 또한 해당 구절을 포함하는 일부 필사본에는 비평적 표시, 일반적으로 lemniscus 또는 별표가 표시되어 있었다. 또한 그리스 교회의 독서집에서 오순절 복음서 낭독이 요한복음 7:37절부터 8:12절까지 이어지지만, 이 구절의 12절은 건너뛴다는 사실도 주목되었다.

카를 라흐만 (1840년, 독일)을 시작으로, 간음한 여인에 대한 의구심이 현대에 들어 더욱 강력하게 제기되었고, 이러한 의견은 새뮤얼 데이비슨 (1848–51), 새뮤얼 프라이도 트레겔레스 (1862),[13] 등에 의해 영어권으로 전해졌으며, 요한복음에 해당 구절이 포함되어 있지 않다는 주장은 F. J. A. 호트 (1886)에 의해 구체화되고 최종적으로 표현되었다. 20세기에는 요한복음에 이 구절이 포함되는 것에 반대하는 인물로 헨리 케드버리 (1917), 어니스트 캐드먼 콜웰 (1935), 브루스 M. 메츠거 (1971) 등이 있다.[14]

19세기 본문 비평가 헨리 앨포드와 F. H. A. 스크리브너는 해당 구절이 요한이 복음서의 두 번째 판에서 5:3.4절 및 21장과 함께 추가한 것이라고 주장했다.[15]

일부 학자들은 이 구절의 요한 저작설을 강력하게 옹호했다. 이러한 비평가 그룹은 프레데릭 놀란 (1865), 존 버건 (1886), 허먼 C. 호스키어 (1920)과 같은 학자들이 대표적이다. 최근에는 데이비드 오티스 풀러 (1975)가 옹호했으며, 윌버 피커링(1980/2014), 호지스 & 파스타드(1982/1985), 로빈슨 & 피어폰트(2005)가 편집한 그리스어 신약성경에 포함되어 있다.

간음한 여인의 구절을 포함하는 거의 모든 현대 비평적 번역본은 요한복음 7:53–8:11에 해당 구절을 포함한다. 예외로는 뉴 잉글리시 바이블과 개정판 잉글리시 바이블이 있는데, 이들은 복음서의 마지막 부분 이후에 이 구절을 위치시킨다. 대부분의 다른 번역본들은 이 구절을 대괄호로 묶거나, 가장 오래된 증언에 이 구절이 없다는 사실을 각주로 언급한다 (예: NRSV, NJB, NIV, GNT, NASB, ESV ).[5] 하지만 가톨릭 신자들이 이 구절을 정경으로 받아들이기 때문에, 이러한 비평적 번역본의 일부 가톨릭 판은 대괄호를 제거하고 불확실성에 대한 각주 설명을 유지한다 (예: RSV-CE/2CE 및 ESV-CE); 반면에 NRSV-CE와 같은 다른 번역본들은 대괄호를 유지한다.

4. 3. 현대 성경 번역

오리겐은 알렉산드리아 비평가들의 비평적 표시를 체계적으로 적용한 최초의 인물이었다.[12] 그는 호메로스의 알렉산드리아 비평가들, 특히 아리스타르쿠스가 사용했던 변별적 표시 체계를 사용했다. 히브리어에 상응하는 구절이 없는 셉투아진트 사본의 구절에는 "./." 또는 "/." 표시를 하고, 셉투아진트 사본에 누락된 부분은 별표(*)로 표시했다. 초기 본문 비평가들은 이러한 표시를 보고 해당 구절(요한복음 7:53–8:11)이 삽입된 것으로 해석했다.

16세기에 서유럽 학자들은 불가타 라틴어 번역본 대신 신약성경의 가장 정확한 그리스어 본문을 복원하고자 했다. 그 과정에서 요한복음의 일부 초기 필사본에는 요한복음 7:53–8:11절이 없고, 해당 구절이 있는 필사본에는 lemniscus 또는 별표가 표시되어 있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또한 그리스 교회의 독서집에서 오순절 복음서 낭독이 요한복음 7:37절부터 8:12절까지 이어지지만, 이 구절의 12절은 건너뛴다는 점도 주목받았다.

카를 라흐만 (1840년, 독일)을 시작으로 간음한 여인la에 대한 의구심이 현대에 들어 더욱 강력하게 제기되었고, 새뮤얼 데이비슨 (1848–51), 새뮤얼 프라이도 트레겔레스 (1862),[13] 등에 의해 영어권으로 전해졌다. F. J. A. 호트 (1886)는 요한복음에 해당 구절이 포함되어 있지 않다는 주장을 구체화했다. 20세기에는 헨리 케드버리 (1917), 어니스트 캐드먼 콜웰 (1935), 브루스 M. 메츠거 (1971) 등이 요한복음에 이 구절이 포함되는 것에 반대했다.[14]

19세기 본문 비평가 헨리 앨포드와 F. H. A. 스크리브너는 해당 구절이 요한이 복음서의 두 번째 판에서 5:3.4절 및 21장과 함께 추가한 것이라고 주장했다.[15]

일부 학자들은 이 구절의 요한 저작설을 강력하게 옹호했다. 프레데릭 놀란 (1865), 존 버건 (1886), 허먼 C. 호스키어 (1920) 등이 대표적이다. 최근에는 데이비드 오티스 풀러 (1975)가 옹호했으며, 윌버 피커링(1980/2014), 호지스 & 파스타드(1982/1985), 로빈슨 & 피어폰트(2005)가 편집한 그리스어 신약성경에 포함되어 있다. 버건은 아우구스티누스의 이론을 지지하기보다는, 초기 교회의 독서 체계에 대한 오해로 인해 이 구절이 유실되었다는 이론을 제안했다.[16]

거의 모든 현대 비평적 번역본은 요한복음 7:53–8:11에 해당 구절을 포함한다. 뉴 잉글리시 바이블과 개정판 잉글리시 바이블은 예외적으로 이 구절을 복음서의 마지막 부분에 위치시킨다. 대부분의 다른 번역본들은 이 구절을 대괄호로 묶거나, 가장 오래된 증언에 이 구절이 없다는 사실을 각주로 언급한다 (예: NRSV, NJB, NIV, GNT, NASB, ESV ).[5] 하지만 가톨릭 신자들이 이 구절을 정경으로 받아들이기 때문에, RSV-CE/2CE 및 ESV-CE과 같은 일부 가톨릭 판은 대괄호를 제거하고 불확실성에 대한 각주 설명을 유지한다. 반면에 NRSV-CE와 같은 다른 번역본들은 대괄호를 유지한다.

5. 필사본 역사

바티칸 코덱스에 있는 요한복음 7:52–8:12: 1행과 2행은 7:52로 끝나고, 3행과 4행은 8:12로 시작함


이 일화는 이집트에서 나온 그리스어 복음서 필사본에는 나타나지 않는다. 간음한 여인 이야기는 𝔓66이나 𝔓75에 나오지 않는데, 이 두 필사본은 100년대 후반이나 200년대 초로 추정된다. 300년대 초 또는 중반에 제작된 시나이 사본과 바티칸 사본에도 없다. 이 일화를 포함하는 현존하는 최초의 그리스어 필사본은 400년대 또는 500년대에 제작된 라틴-그리스어 대역본인 베자 코덱스이다. 베자 코덱스는 이 일화를 포함하는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라틴어 필사본이기도 하다. 요한복음 7–8장의 23개의 고대 라틴어 필사본 중 17개는 이 일화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고 있으며, 이 일화가 포함된 최소 세 개의 전송 계열을 나타낸다.

요한복음 7장 52절–8장 12절을 다루는 다양한 사본들은 이 구절을 여러 방식으로 처리하거나 포함하고 있는데, 그 내용은 아래 표와 같다.

분류내용
구절 제외𝔓66 (200년경 또는 4세기[32][33]) 및 𝔓75 (3세기 초 또는 4세기[32][34]), 시나이 사본, 바티칸 사본 (4세기) 등.
단축된 구절 제외7:53-8:2 포함, 8:3-11 제외: 228, 759, 1458, 1663, 2533.
단축된 구절 포함8:3–11: 4, 67, 69, 70 등.
구절 포함라틴 불가타 (4세기), 베자 사본 (5세기), 언셜 047 (8세기) 등.
단락에 의문 제기별표(※), obeli (÷), 대시(–) 또는 (<)로 표시: 바티칸 사본 354 (S)와 18, 24, 35 등.
짧은 구절에 의문 제기8:3–11, 별표(※), obeli (÷) 또는 (<)로 표시: 4, 8, 14 등.
구절 재배치가족 1, 20, 37 등은 요한복음 21:25 이후에 이 단락을 배치.
나중에 필사자가 추가에브네리아누스 사본, 레디게라누스 사본[38], 19 등.
결락레지우스 사본 (8세기)과 상갈렌시스 사본 (9세기)


5. 1. 초기 증거

이 일화는 이집트에서 나온 그리스어 복음서 필사본에는 나타나지 않는다. 간음한 여인 이야기는 𝔓66이나 𝔓75에 나오지 않는데, 이 두 필사본은 100년대 후반이나 200년대 초로 추정되며, 300년대 초 또는 중반에 제작된 시나이 사본과 바티칸 사본에도 없다. 이 일화를 포함하는 현존하는 최초의 그리스어 필사본은 400년대 또는 500년대에 제작된 라틴-그리스어 대역본인 베자 코덱스이다(그러나 100년대와 200년대에 사용된 "서방" 판본과 유사한 형태의 본문을 보여준다). 베자 코덱스는 이 일화를 포함하는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라틴어 필사본이기도 하다. 요한복음 7–8장의 23개의 고대 라틴어 필사본 중 17개는 이 일화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고 있으며, 이 일화가 포함된 최소 세 개의 전송 계열을 나타낸다.[1]

5. 2. 동방 기독교

카이사레아의 에우세비우스는 300년대 초에 저술된 ''교회사''에서 파피아스가 예수가 "많은 죄를 지은" 여인에 대한 이야기를 히브리인 복음서에서 발견했다고 언급했다고 전한다.[18] 이는 이 구절이나 이와 유사한 구절을 가리킬 수 있다.[19][20] 요한복음에 간음한 여인에 대한 구절이 존재한다는 가장 초기의 증거는 2세기의 야고보 원복음서에서 찾을 수 있는데, 여기에는 그리스어로 "οὐδὲ ἐγὼ [κατα]κρίνω ὑμᾶς" (나도 너를 정죄하지 않는다)라는 구절이 있으며, 이는 요한복음 8장 11절의 내용과 동일하다.[47]

200년대 중반 시리아어 사도교훈에서 저자는 감독들에게 회개하는 사람을 받아들이지 않는 감독은 "우리의 구주이시며 우리 하나님이신 분께 순종하여 죄를 지은 여인에게 그분께서 하신 대로 하지 않기" 때문에 잘못을 범하는 것이라고 말한다. 감독의 본보기는 "우리의 구주이자 왕이시며 하나님"이신 분이 "장로들이 그 여인을 그분 앞에 세웠"을 때 "마음을 살피시는 그분은 그녀에게 물으시며 말씀하셨다. '딸아, 장로들이 너를 정죄하였느냐?' 그녀가 그분께 대답했다. '아니요, 주님.' 그러자 그분은 그녀에게 말씀하셨다. '가거라. 나도 너를 정죄하지 않는다.'"라는 구절에서 찾을 수 있다고 말한다.[22] 380년경에 쓰여진 ''거룩한 사도들의 헌장'' 2권 24장은 사도교훈의 내용을 반영한다.[23] 눈먼 디디무스(313–398년경)는 "특정 복음서에서 우리는" 한 여인이 죄를 짓는 혐의를 받아 돌에 맞아 죽을 뻔했지만 예수가 개입하여 "돌을 던지려는 사람들에게 '죄가 없는 자가 돌을 들어라. 스스로 죄가 없다고 생각하는 자는 돌을 들어 그녀를 쳐라'라고 말했다. 그리고 아무도 감히 그렇게 하지 못했다"라는 에피소드를 발견한다고 말한다.[24]

6세기 그리스어 논문 "Synopsis Scripturae Sacrae"의 저자는 간음한 여인에 대해 짧게 언급했다.[17] 이집트의 에피파니우스 수도원에서 발견된 6세기의 캐논 표는 단편적이지만, 간음한 여인의 이야기를 담고 있었고, 자체 섹션 번호를 포함하고 있었을 것이다.[25][26] 5세기 또는 6세기경으로 거슬러 올라가는 두 개의 상아 장식 상자는 간음한 여인의 이야기를 묘사하고 있다.[46]

시리아 전통에서, 6세기 시리아 연대기의 익명의 저자, 즉 수사학자 유사-자카리아는 간음한 여인에 대한 구절이 알렉산드리아의 그리스어 필사본에서 아람어로 번역되었다고 언급했다.[46] 간음한 여인의 이야기는 팔레스타인 시리아어 강독집의 필사본(MS "A"(1030년), MS "C"(1118년), MS "B"(1104년))에서도 발견된다.[27]

12세기에 에우티미우스 지가베노스는 이 구절을 언급하며 진정성을 의심했다. 그러나 그의 동시대인인 테살로니키의 에우스타티우스는 이 구절을 요한 복음의 진정한 부분으로 논평했다.[46]

5. 3. 서방 기독교

이야기, 간음한 여인은 여러 라틴어를 구사하는 초기 기독교인들에게 인용되었으며, 종종 신약성서 인용문 안에 나타난다.[46] 이는 푸아티에의 힐라리, 그레고리우스 1세, 레오 1세, 암브로시우스, 암브로시아스터, 아우구스티누스와 같은 교부들에 의해 인용되었다. 그러나 테르툴리아누스키프리아누스는 인용하지 않았는데, 이는 그들의 필사본에 이 이야기가 누락되었을 수도 있음을 시사한다.[46] 이 이야기는 대다수의 구 라틴어 필사본[38]과 라틴 불가타의 모든 필사본에 존재한다(단 한 권 제외).[28]

바르셀로나의 파키안 (365년부터 391년까지 주교)은 수사적인 도전을 하는 과정에서 잔혹함을 반대하며, 그것을 빈정거리며 지지한다. "오, 노바티아누스여, 어찌하여 눈에는 눈을 요구하는 것을 미루고 있소? [...] 도둑을 죽이시오. 심술궂은 자를 돌로 치시오. 주님께서 자백한 간음한 여인조차 용서하셨다는 것을 복음서에서 읽지 않으려고 선택하지 마시오. 그녀를 정죄한 사람은 아무도 없었소." 파키안은 시나이 사본을 만든 서기관들의 동시대인이었다.[46]

암브로시아스터로 알려진 작가는 예수께서 "간음하다 붙잡힌 그녀를 용서하셨다"는 사건을 언급했다. 익명의 작가인 "아폴로기아 다비드"(Apologia Davidla)(일부 분석가들은 암브로시우스라고 생각하지만, 아마도 그렇지 않다)는 "우리가 그리스도께 간음한 여자를 데려와 정죄 없이 보내는 것을 보게 된다"는 구절에 사람들이 처음에는 당황할 수 있다고 언급했다. 같은 작품에서 그는 이 에피소드를 복음서의 "강독"이라고 언급하며, 이는 교회 예배에서 사용되는 연례 강독 순환의 일부임을 나타냈다.[46]

로돌포 베르나르델리: ''그리스도와 간음한 여인'', 1881 (Museu Nacional de Belas Artes)


라벤나에서 글을 쓴 페테르 크리소스로그스는 그의 설교 115편에서 분명히 Pericope Adulteraela를 인용했다. 세둘리우스와 젤라시우스 역시 이 구절을 분명히 사용했다. 아퀴타인의 프로스페르와 카르타고의 쿼드불트데우스는 400년대 중반에 이 구절을 사용했다.[46]

예로니모가 383년에 제작한 라틴어 불가타 성경 요한 복음은 예로니모가 당시 고대 원본으로 간주했던 그리스어 필사본을 기반으로 했으며, 이 구절을 포함하고 있었다. 예로니모는 417년경에 글을 쓰면서 Pericope Adulteraela가 로마와 라틴 서방의 "많은 그리스어 및 라틴어 필사본"에서 흔히 발견되었다고 보고했다. 이는 밀라노의 암브로시우스와 히포의 아우구스티누스를 포함한 300년대와 400년대의 일부 라틴 교부들에 의해 확인된다. 후자는 이 구절이 그리스도께서 간음을 승인했다는 인상을 피하기 위해 일부 필사본에서 부적절하게 제외되었을 수 있다고 주장했다.

546년에 제작된 풀다 사본은 복음서에서 이전 문서에서 발견된 텍스트의 특이한 배열을 특징으로 하며, 불가타 성경에 기록된 형태의 간음한 여인 삽입 구절을 포함한다. 더욱 중요한 것은 풀다 사본이 또한 이전 원본 문서(일부 연구자들은 170년대 타티아누스가 제작한 디아테사론을 연상시킨다고 생각한다)의 장 제목을 보존하고 있으며, 제120장의 제목은 간음 중에 붙잡힌 여자에 관해 구체적으로 언급하고 있다는 것이다.

예수께서 땅에 글을 쓰신 주제는 특히 르네상스 이후 예술에서 흔하게 나타났으며, 피터 브뤼겔의 그림과 렘브란트의 드로잉을 포함한 예술가들의 예시가 있다. 중세 전통은 암브로시우스에게서 유래되었으며, 그는 terra terram accusatla("땅이 땅을 고발한다"; 구절 창세기 3:19: "네가 흙이니 흙으로 돌아갈 것이다")라는 언급을 했다.[30] 이는 예술 작품, 예를 들어 ''에그베르티 사본''에서 묘사된다.

5. 4. 필사본 목록

요한복음 7장 52절–8장 12절을 다루는 다양한 사본들은 이 구절을 여러 방식으로 처리하거나 포함하고 있다.

분류내용
구절 제외66 (c. 200 또는 4세기[32][33]) 및 75 (3세기 초 또는 4세기[32][34]), 시내 사본과 바티칸 사본 (4세기) 등.
단축된 구절 제외7:53-8:2 포함, 8:3-11 제외: 228, 759, 1458, 1663, 2533.
단축된 구절 포함8:3–11: 4, 67, 69, 70 등.
구절 포함라틴 불가타 (4세기), 베자 사본 (5세기), 언셜 047 (8세기) 등.
단락에 의문 제기별표(※), obeli (÷), 대시(–) 또는 (<)로 표시: 바티칸 사본 354 (S)와 소문자 18, 24, 35 등.
짧은 구절에 의문 제기8:3–11, 별표(※), obeli (÷) 또는 (<)로 표시: 4, 8, 14 등.
구절 재배치가족 1, 소문자 20, 37 등은 요한복음 21:25 이후에 이 단락을 배치.
나중에 필사자가 추가에브네리아누스 사본, 레디게라누스 사본[38], 19 등.
결락레지우스 사본 (8세기)과 상갈렌시스 사본 (9세기)


6. 저자 문제

파피루스 66(요한 7:53–8:12 구절 없음)

6. 1. 요한 저작설 반대 논거

J. B. 라이트풋 주교는 이 구절이 초기 사본에 나타나지 않고, 요한의 특징적 문체와 다르다는 점을 들어 이 구절이 삽입이라고 주장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는 이 이야기가 역사적으로 진실이라고 보았다.[57] 바트 D. 어만은 《예수, 왜곡된 인용》에서 이 구절에 요한의 저술에서는 찾아볼 수 없는 많은 단어와 문구가 포함되어 있다고 덧붙였다.[58] 복음주의 성경 학자 다니엘 B. 월리스는 어만의 주장에 동의한다.[59]

마이클 W. 홈즈는 파피아스가 정확히 이런 형태로 그 이야기를 알았는지 확실하지 않다고 말한다. 그는 교회의 처음 두 세기 동안 예수와 죄 많은 여인에 대한 적어도 두 개의 독립적인 이야기가 기독교인들 사이에서 유포되었고, 많은 신약 성경 사본에서 발견되는 전통적인 형태는 사건에 대한 두 개의 독립적이고 더 짧은 초기 버전의 혼합을 나타낼 수 있다고 설명한다.[63] 카일 R. 휴즈는 이러한 초기 버전 중 하나가 사실 스타일, 형식 및 내용 면에서 누가 특별 자료(소위 "L" 자료)와 매우 유사하며, 이 전통의 핵심이 사실 매우 초기 기독교(그러나 요한 계통은 아님)의 기억에 뿌리를 두고 있다고 주장했다.[64]

6. 2. 요한 저작설 옹호 논거

제인 C. 호지스와 아서 L. 파르스타드는 이 단락의 요한 저작설을 주장한다. 그들은 이 단락의 스타일과 복음서 나머지 부분의 스타일 사이에 유사점이 있다고 제안하며, 만남의 세부 사항이 주변 구절의 맥락에 매우 잘 들어맞는다고 주장한다. 또한 이 단락이 가장 오래된 사본은 아니더라도 다수의 사본에 등장한다는 사실이 그 진정성을 입증한다고 주장한다.[6] 모리스 A. 로빈슨은 간음한 여인 이야기가 전해지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특이점들은 성서 봉독 체계로 설명될 수 있다고 주장한다. 그는 오순절 설교에서 간음한 여인 이야기가 생략되면서 일부 필사자들이 오순절 설교의 흐름을 방해하지 않기 위해 이 이야기를 다른 곳으로 옮겼을 수 있으며, 성서 봉독 체계에서 발생한 실수들이 일부 사본에서 이 이야기가 생략된 것을 설명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37]

7. 문화적 영향

예수와 간음한 여인 이야기는 여러 예술 작품에 영감을 주었으며, 문학 작품에서도 다양하게 변형되어 나타났다.

오슨 스콧 카드의 1986년 SF 소설 《죽은 자의 대변인》에는 이 이야기의 변형이 등장하는데, 이는 등장인물인 산 안젤로가 쓴 《초보적 이단자에게 보내는 편지》의 일부이다.[67][68]

2020년 9월에는 중국에서 출판된 교과서에 이 이야기가 왜곡되어 실렸다는 논란이 있었다.[69][70] 출판사는 이것이 해당 교과서의 진본이 아닌, 무단 출판된 것이라고 주장했다.[71]

7. 1. 예술 작품


  • 루카스 크라나흐 (아버지)와 루카스 크라나흐 (아들)의 《간음한 여인과 그리스도》(1520-1560)
  • 피터 브뤼겔 (아버지)의 《간음한 여인과 그리스도》(1565)
  • 페테르 파울 루벤스의 《간음한 여인과 그리스도》(1614)
  • 렘브란트의 《간음한 여인》(1644)
  • 마티아 프레티의 《간음한 여인과 그리스도》(c. 1650)
  • 바실리 폴레노프의 《간음한 여인과 그리스도 (죄 없는 자가 먼저 돌로 쳐라?)》(1888)
  • 막스 베크만의 《간음한 여인과 그리스도》(1917)
  • 한 판 미헤렌의 《간음한 여인과 그리스도》(1942), 하지만 진품으로 위조된 베르메르 작품으로 판매됨


이 이야기의 변형은 오슨 스콧 카드의 1986년 SF 소설 《죽은 자의 대변인》에 등장하며, 이는 등장인물인 산 안젤로가 쓴 《초보적 이단자에게 보내는 편지》의 일부이다.[67][68]

7. 2. 중국에서의 왜곡 논란

2020년 9월, 중국 교과서 职业道德与法律|직업 윤리와 법중국어은 예수가 여인을 돌로 치는 것으로 묘사하며 "나 또한 죄인이다. 그러나 흠 없는 사람만이 법을 집행할 수 있다면, 법은 죽은 것이다."라고 언급하는 등 이야기를 부정확하게 각색했다는 의혹을 받았다.[69][70] 출판사는 이것이 해당 교과서의 진본이 아닌, 무단 출판된 것이라고 주장했다.[71]

참조

[1] 성경 John 7:53–8:11
[2] 성경 Deuteronomy 22:22-27
[3] 성경 Deuteronomy 17:6-7
[4] 성경 Deuteronomy 17:8-13
[5] 서적 Contending with Christianity's Critics: Answering New Atheists and Other Objectors https://books.google[...] B&H Publishing Group
[6] 서적 The Greek New Testament According to the Majority Text with Apparatus: Second Edition Thomas Nelson
[7] 성경 John 7:53–8:11
[8] 웹사이트 Cast the First Stone: Why Are We So Judgmental? http://clutchmagonli[...] 2011-02-21
[9] 뉴스 Go and sin no more, priest tells Bode George http://www.punchng.c[...] The Punch 2011-02-27
[10] 웹사이트 To cast the first stone http://www.phrases.o[...] 2023-12-11
[11] 문서 An uncommon usage, evidently not found in the [[LXX]], but supported in Liddell & Scott's ''Greek-English Lexicon'' (8th ed., NY, 1897) s.v. γραμμα, page 317 col. 2, citing (among others) Herodotus (repeatedly) including 2:73 ("I have not seen one except in an illustration") & 4:36 ("drawing a map"). See also, Chris Keith, ''The Pericope Adulterae, the Gospel of John, and the Literacy of Jesus'' (2009, Leiden, Neth., Brill) page 19.
[12] 웹사이트 New Schaff-Herzog Encyclopedia of Religious Knowledge, Vol. II: Basilica – Chambers http://www.ccel.org/[...]
[13] 문서 An Introduction to the Critical Study and Knowledge of the Holy Scripture London 1856
[14] 문서 A Textual Commentary on the Greek New Testament Deutsche Bibelgesellschaft, Stuttgart 2001
[15] 웹사이트 A Plain Introduction to the Criticism of the New Testament (3rd edition, 1883, London) https://archive.org/[...] George Bell & Sons
[16] 서적 Last Twelve Verses of the Gospel According to S. Mark Vindicated Against Recent Critical Objectors and Established https://ccel.org/cce[...] James Parker and Co.
[17] 서적 The Pericope Adulterae, the Gospel of John, and the Literacy of Jesus https://books.google[...] BRILL 2009
[18] 서적 Church History of Eusebius
[19] 서적 New Testament Apocrypha, Volume 1: Gospels and Related Writings Westminster Press
[20] 서적 New Testament Apocrypha, Volume 1: Gospels and Related Writings https://books.google[...] Westminster/John Knox Press
[21] 서적 The Pericope Adulterae, the Gospel of John, and the Literacy of Jesus https://books.google[...] BRILL 2009-05-20
[22] 웹사이트 Early Christian Re-Writing and the History of the Pericope Adulterae https://www.academia[...] Journal of Early Christian Studies 2022-10-12
[23] 문서 The Early Church Fathers Volume 7
[24] 웹사이트 Early Christian Re-Writing and the History of the Pericope Adulterae https://www.academia[...] Journal of Early Christian Studies 2022-10-12
[25] 서적 Canon Tables on Papyrus http://archive.org/d[...] Washington, DC: Dumbarton Oaks, Trustees for Harvard University 1982
[26] 웹사이트 Vol. 36, 1982 of Dumbarton Oaks Papers on JSTOR https://www.jstor.or[...] 2024-01-27
[27] 간행물 Sayings of Jesus: Canonical and Non-Canonical: Essays in Honour of Tjitze Baarda https://brill.com/ed[...] Brill 2024-01-28
[28] 서적 Early Medieval Exegesis in the Latin West: Sources and Forms https://books.google[...] Taylor & Francis 2023-04-14
[29] 웹사이트 A Textual Commentary on the Greek Gospels http://www-user.uni-[...]
[30] 웹사이트 Earth accuses earth: tracing what Jesus wrote on the ground https://www.academia[...] 2010-10-01
[31] 문서 Describing its use of double brackets UBS4 states that they "enclose passages that are regarded as later additions to the text, but are of evident antiquity and importance."
[32] 간행물 Reconsidering the Place of Papyrus Bodm XIV-XV ({{papyrus|75}}) in the Textual Criticism of the New Testament
[33] 문서 I papiri Bodmer: scritture e libri
[34] 문서 I papiri Bodmer: scritture e libri
[35] 서적 To Cast the First Stone: The Transmission of a Gospel Story https://books.google[...]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20-01-14
[36] 서적 The Pericope Adulterae, the Gospel of John, and the Literacy of Jesus https://books.google[...] BRILL 2009-05-20
[37] 간행물 Preliminary observations regarding the pericope adulterae based upon fresh collations of nearly all continuous-text manuscripts and over one hundred lectionaries https://place.asbury[...] 1998-01-01
[38] 간행물 Earth Accuses Earth: Tracing What Jesus Wrote on the Ground https://www.cambridg[...] 2010-10-01
[39] 웹사이트 Vol. 36, 1982 of Dumbarton Oaks Papers on JSTOR https://www.jstor.or[...] 2024-01-27
[40] 서적 Patristic and Text-Critical Studies: The Collected Essays of William L. Petersen https://books.google[...] BRILL 2011-12-09
[41] 간행물 The Pericope Adulterae and the Historical Jesus – Interpretation and Significance 2017-01-01
[42] 서적 St Prosper Of Aquitaine The Call Of All Nations http://archive.org/d[...] Longmans, Green And Co. 1952-01-01
[43] 서적 The Pericope Adulterae, the Gospel of John, and the Literacy of Jesus https://books.google[...] BRILL 2009-05-20
[44] 웹사이트 The 'Synopsis Scripturae Sacrae' on the Canon of Scripture https://www.bible-re[...] 2024-01-12
[45] 서적 The Pericope Adulterae, the Gospel of John, and the Literacy of Jesus https://brill.com/di[...] Brill 2024-01-13
[46] 서적 To Cast the First Stone: The Transmission of a Gospel Story https://books.google[...]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18-11-13
[47] 서적 Patristic and Text-Critical Studies: The Collected Essays of William L. Petersen https://books.google[...] BRILL 2011-12-09
[48] 서적 The Pericope of the Adulteress in Contemporary Research https://books.google[...] Bloomsbury Publishing 2016-04-21
[49] 서적 Sayings of Jesus: Canonical and Non-Canonical: Essays in Honour of Tjitze Baarda https://books.google[...] BRILL 2014-04-09
[50] 서적 Patristic and Text-Critical Studies: The Collected Essays of William L. Petersen https://books.google[...] BRILL 2011-12-09
[51] 서적 A Plain Introduction to the Criticism of the New Testament, Vol. 2 George Bell & Sons
[52] 서적 Textkritik des Neuen Testaments
[53] 문서 Catalogue of the Syriac manuscripts in the British Museum 2002-01-01
[54] 서적 The Pericope of the Adulteress in Contemporary Research https://books.google[...] Bloomsbury Publishing 2016-04-21
[55] 서적 The Original Ending of Mark: A New Case for the Authenticity of Mark 16:9-20 https://books.google[...] James Clarke & Company Limited 2015-04-30
[56] 문서 A Plain Introduction to the Criticism of the New Testament 1894-01-01
[57] 문서 The Revision of the English Version of the NT Harper & Bro. NY 1873-01-01
[58] 서적 Whose Word is It?: The Story Behind who Changed the New Testament and why https://books.google[...] Continuum
[59] 서적 Character Studies in the Fourth Gospel https://books.google[...] William B. Eerdmans Publishing Company
[60] 문서 Church History
[61] 문서 Universal History
[62] 문서 Explanations of Holy Scripture
[63] 문서 The Apostolic Fathers in English Baker Academic, Grand Rapids 2006-01-01
[64] 간행물 The Lukan Special Material and the Tradition History of the Pericope Adulterae 2013-01-01
[65] 웹사이트 Why John 7.53–8.11 is in the Bible - Trinitarian Bible Society https://www.tbsbible[...] 2024-02-13
[66] 간행물 Does the Pericope Adulterae (John 7:53–8:11) Have Canonical Authority? An Interconfessional Approach
[67] 서적 Speaker for the Dead https://books.google[...] Tom Doherty Associates
[68] 서적 Job https://books.google[...] Zondervan Academic
[69] 웹사이트 Chinese Catholics angry over book claiming Jesus killed sinner - UCA News https://www.ucanews.[...] 2020-12-21
[70] 간행물 Readings] The New New Testament, Translated by Annie Geng https://harpers.org/[...] 2020-12-21
[71] 웹사이트 关于《职业道德与法律》的相关声明 http://www.uestcp.co[...] 2020-09-2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