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오스트리아 축구 국가대표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오스트리아 축구 국가대표팀은 1904년 오스트리아 축구 협회 창설과 함께 시작되었으며, 1930년대 "분데르테암"으로 불리며 유럽 강호로 자리매김했다. 1934년 FIFA 월드컵 4위, 1936년 하계 올림픽 은메달을 획득했으나, 1938년 독일 병합으로 인해 한동안 국제 대회에 참가하지 못했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재건된 대표팀은 1954년 FIFA 월드컵 3위를 기록하며 부활했고, 1978년과 1982년 월드컵에서 2회 연속 8강에 진출하는 성과를 거두었다. 1990년대 이후 침체기를 겪었으나, UEFA 유로 2008을 공동 개최하며 본선에 처음 진출했고, UEFA 유로 2016에서도 본선에 진출했다. 2020년에는 39년 만에 메이저 대회 토너먼트에 진출하는 등 부활의 조짐을 보이며, 2024년 현재 랄프 랑닉 감독 체제 하에 UEFA 유로 2024 본선에 진출했다. 오스트리아는 헝가리와의 라이벌 관계를 가지고 있으며, 토니 폴스터가 44골로 역대 최다 득점 기록을 보유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오스트리아 축구 국가대표팀 - 오스트리아 축구 국가대표 B팀
    오스트리아 축구 국가대표 B팀은 1927년부터 1980년까지 존재했으며, 헝가리와의 경기를 시작으로 서독과의 경기를 마지막으로 오스트리아 U-21 축구 국가대표팀으로 대체되었다.
  • 오스트리아의 축구 - 오스트리아 축구 협회
    오스트리아 축구 협회는 1904년에 설립되어 오스트리아 축구 국가대표팀과 리그를 관리하며, FIFA 회원국으로서 유망주 육성 프로그램도 운영한다.
  • 오스트리아의 축구 - 오스트리아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
    오스트리아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은 1970년 국제 무대에 데뷔하여 UEFA 여자 유로 2017 4강을 기록하고, 2022년 8강에 진출하는 등 유럽 여자 축구 강호로 활동하며, 이레네 푸르만 감독이 이끌고 있다.
  • 오스트리아 FIFA 월드컵 축구 국가대표팀 - 1982년 FIFA 월드컵 선수 명단
    1982년 FIFA 월드컵 선수 명단은 1982년 스페인 월드컵에 참가한 각 국가별 선수들의 정보를 담고 있으며, 이탈리아가 우승하고 파올로 로시가 득점왕에 올랐다.
  • 오스트리아 FIFA 월드컵 축구 국가대표팀 - 미하엘 바우어
    미하엘 바우어는 오스트리아의 은퇴한 축구 선수이자 지도자로, 선수 시절 리베로와 수비형 미드필더로 활약하며 FC 바커 인스브루크에서 오스트리아 분데스리가 우승 4회 등을 달성했고, 오스트리아 축구 국가대표팀으로도 활동했으며, 은퇴 후에는 LASK 린츠 코치와 FC 레드불 잘츠부르크 II 등의 감독을 역임했다.
오스트리아 축구 국가대표팀 - [스포츠팀]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오스트리아 축구 국가대표팀 문양
오스트리아 축구 국가대표팀 문양
별칭팀 (Das Team)
청년들 (Burschen)
우리 청년들 (Unsere Burschen)
협회Österreichischer Fußball-Bund (ÖFB)
연맹유럽 축구 연맹 (Europe)
웹사이트oefb.at
FIFA 코드AUT
FIFA 최고 랭킹10위
FIFA 최고 랭킹 날짜2016년 3월~6월
FIFA 최저 랭킹105위
FIFA 최저 랭킹 날짜2008년 7월
Elo 최고 랭킹1위
Elo 최고 랭킹 날짜1934년 5월
Elo 최저 랭킹75위
Elo 최저 랭킹 날짜2011년 9월 2일
코칭 스태프
감독랄프 랑니크
주장다비드 알라바
경기장
홈 경기장다양한 경기장
주요 선수
최다 출장 선수마르코 아르나우토비치 (121)
최다 득점 선수토니 폴스터 (44)
유니폼
오스트리아 홈 유니폼
홈 유니폼
오스트리아 어웨이 유니폼
어웨이 유니폼
오스트리아 세 번째 유니폼
세 번째 유니폼
첫 경기
첫 경기5–0 (, 오스트리아; 1902년 10월 12일)
최대 점수차 승리9–0 (잘츠부르크, 오스트리아; 1977년 4월 30일)
최대 점수차 패배1–11 (, 오스트리아; 1908년 6월 8일)
월드컵
월드컵 출전 횟수7회
첫 월드컵 출전1934년
월드컵 최고 성적3위 (1954년)
유럽 선수권 대회 (유로)
유로 출전 횟수4회
첫 유로 출전2008년
유로 최고 성적16강 (2020년, 2024년)
메달 기록
1954 스위스팀, 동메달
1936 베를린, 은메달

2. 역사

오스트리아 축구 협회는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시절인 1904년 3월 18일에 창설되었다.[1][2][3] 19세기 후반 오스트리아에 전래된 축구는 1890년경 발전하기 시작했는데, 빈에 있던 로스차일드 가문에서 일하던 영국인 정원사들이 축구를 즐겼던 것이 빈 사람들에게 퍼진 것으로 여겨진다.[22] 1894년 오스트리아 최초의 축구 클럽으로 퍼스트 비엔나 FC 1894와 비엔나 크리켓 앤드 풋볼 클럽이 빈에 설립되었다.[22]

오스트리아 대표팀의 첫 경기는 1902년 10월 12일 헝가리와의 경기로, 5-0으로 승리했다. 당시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내에서 "빈 대 부다페스트" 형태의 경기였으며, 이후 오스트리아와 헝가리의 라이벌 관계는 현재까지 이어지고 있다.[22][23] 1902년 당시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에는 단일 협회나 국가대표팀이 없었고, 이 시점의 오스트리아 대표팀은 제국 내 오스트리아 지역을 대표했다.

1934년 FIFA 월드컵에서 오스트리아는 준결승에서 이탈리아에게 0-1로 패하고, 3·4위전에서 독일에게 2-3으로 패하며 4위를 차지했다. 1930년대 오스트리아 대표팀은 유럽에서 막강한 팀으로, "분데르테암 (기적의 팀)"이라는 별명을 얻었으며, 마티아스 진델라가 팀의 스타였다.[36] 1931년 5월 16일, 오스트리아는 스코틀랜드를 꺾은 최초의 대륙 유럽 팀이 되었다.

1936년 올림픽 오스트리아 대 페루 경기 장면


1936년 하계 올림픽에서 오스트리아는 이탈리아에 1-2로 패하며 준우승을 차지했다. 8강전에서 페루에 패했지만, 페루가 기권하면서 준결승에 진출했다. 그러나 페루의 기권은 아돌프 히틀러가 오스트리아를 돕기 위해 의도적으로 무효화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36]

오스트리아는 1938년 FIFA 월드컵 본선 진출을 확정지었지만, 같은 해 3월 12일 오스트리아 병합으로 독일에 합병되었다. 3월 28일, FIFA는 오스트리아 축구 협회가 해체되었고, 오스트리아는 월드컵에서 기권했다는 통보를 받았다.[4] 대신 독일 대표팀이 오스트리아의 옛 영토를 대표하게 되었다. 독일 감독 제프 헤르베르거는 매우 다른 플레이 스타일을 가진 선수들을 통합할 시간과 경기가 부족했다.

제2차 세계 대전 후, 오스트리아 대표팀은 재건되었고, 1945년 8월 헝가리 대표팀과 두 차례 맞붙었다. 프라터슈타디온이 복구되자, 같은 해 12월 6일 8년 만에 홈 경기를 치렀다. 프랑스와의 경기에서 4-1로 승리하며, “'''신성팀'''” 시절을 연상케 하는 호조기에 다시 진입했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오스트리아는 1938년 독일 병합에서 벗어나 다시 국제 대회에 참가하게 되었다. 1950년 FIFA 월드컵에는 기권했지만, 1954년 FIFA 월드컵에서 미드필더 에른스트 오크비르크(Ernst Ocwirk)의 활약으로 20년 만에 준결승에 진출하는 쾌거를 이루었다. 준결승에서 우승팀 독일에 1-6으로 패했지만, 3·4위 결정전에서 우루과이를 3-1로 꺾고 3위를 차지했다. 이 대회 8강전에서 스위스를 상대로 7-5 승리를 거둔 경기는 오스트리아 축구 역사상 가장 유명한 경기로 회자된다.

1958년 FIFA 월드컵에서는 브라질, 소련에 패하고, 잉글랜드와 비기며 조별 리그에서 탈락했다. 1962년 FIFA 월드컵에는 예산을 이유로 기권하였다. 1965년 10월 20일, 오스트리아는 웸블리에서 잉글랜드를 3-2로 꺾으며 홈에서 잉글랜드를 이긴 세 번째 유럽 팀이 되었다. 이 경기에서 두 골을 넣은 토니 프리치(Toni Fritsch)는 "웸블리 토니"라는 별명을 얻었다. 그러나 1966년 FIFA 월드컵 예선에서는 헝가리동독에 밀려 탈락했다.

이후 16년간 월드컵 본선 진출에 실패했으나, 1978년 FIFA 월드컵1982년 FIFA 월드컵에서 2회 연속 8강에 진출했다. 1990년 이탈리아 월드컵에서는 지역예선에서 탈락했다.

1954년 FIFA 월드컵에서 20년 만에 월드컵 준결승에 진출하는 성과를 거둔 후, 1958년 FIFA 월드컵에서는 조별리그에서 탈락했고 이후 16년 동안 본선 진출에 실패했다.[5] 헤르베르트 프로하스카, 한스 크랑클, 브루노 페체이 등이 활약한 오스트리아는 1978년 FIFA 월드컵1982년 FIFA 월드컵에 연속 진출하여 두 대회 모두 2라운드(당시에는 조별리그로 진행)에 진출했다.[5] 헬무트 세네코비치 감독이 이끈 이 시기 오스트리아 대표팀은 2차 세계 대전 이후 최고의 팀으로 평가받는다.

1978년 아르헨티나 월드컵 1차 리그에서 브라질, 스페인, 스웨덴과 같은 조에 속했지만 조 1위로 8강에 진출했다.[26] 8강에서는 네덜란드이탈리아에 패해 결승 진출에는 실패했다.[26] 이후 서독과의 경기에서 한스 크랑클의 2골 활약과 베르티 포크츠의 자책골로 3-2 역전승을 거두었다.[26] 47년 만에 이웃 나라를 꺾은 이 경기는 오스트리아에서 코르도바의 기적이라 불린다.[26]

1982년 스페인 월드컵 1차 리그에서는 칠레알제리를 각각 1-0, 2-0으로 꺾고 2차 리그 진출을 거의 확정지었다.[27] 이후 서독과의 경기에서 서독이 전반에 선제골을 넣은 후, 양 팀은 소극적인 경기 운영으로 일관하여 결국 1-0으로 서독이 승리했다.[27] 이 경기는 히혼의 수치로 불리며, 경기 조작 의혹으로 큰 비난을 받았다.[27] 이 경기를 계기로 1984년 UEFA 유럽 축구 선수권 대회와 1986년 FIFA 월드컵부터 국제 대회 조별 리그 최종전은 동시에 개최되기 시작했다.[27] 오스트리아는 2차 리그에서 프랑스에 패하며 탈락했다.[27]

1990년 월드컵 이탈리아 대회 본선에 진출한 오스트리아는 미국을 2-1로 이겼지만, 이탈리아체코슬로바키아에 각각 0-1로 패하며 1라운드에서 탈락했다.[28] 안톤 폴스터(Anton Polster)와 “알프스의 마라도나”라는 별명을 가진 안드레아스 헤르초크(Andreas Herzog) 등 국제적인 수준의 젊은 선수들이 활약했다. 1992년 유럽 선수권 대회 예선에서는 아마추어 선수들로 구성된 페로 제도에게 1-0으로 충격적인 패배를 당했는데, 이는 오스트리아 팀 스포츠 역사상 최악의 굴욕이자 축구 역사상 가장 큰 이변 중 하나로 꼽힌다. 페로 제도에는 잔디 경기장이 없었기 때문에 이 경기는 스웨덴 란스크루나에서 열렸다.

1998년 월드컵 프랑스 대회에서 오스트리아는 카메룬, 칠레와 각각 1-1로 비기고, 이탈리아에 1-2로 패하며 또다시 조별 리그에서 탈락했다.[28] 각 경기에서 추가 시간에만 득점하는 기록을 세웠다. 카메룬과의 경기에서는 피에르 은장카(Pierre Njanka)의 골이 토니 폴스터(Toni Polster)의 후반 추가시간 득점으로 상쇄되었고, 칠레와의 경기에서는 이비차 바슈티치(Ivica Vastić)가 마지막 순간 동점골을 터뜨리며 마르셀로 살라스(Marcelo Salas)의 선제골을 취소시켰다. 이탈리아와의 마지막 경기에서는 안디 헤르초크(Andi Herzog)가 추가시간 페널티킥으로 한 골을 만회했지만, 이탈리아가 크리스티안 비에리(Christian Vieri)와 로베르토 바조(Roberto Baggio)의 골로 앞서나가며 결국 조 3위로 탈락했다.

2009년 11월 스페인과의 경기 전 오스트리아 국가대표팀


1998년 이후 오스트리아는 2002년 월드컵유로 2000 진출에 실패했고, 1999년 스페인에 9-0, 이스라엘에 5-0으로 패하는 등 굴욕적인 패배를 당했다. 2002년 월드컵 한일 대회 예선에서는 플레이오프에서 터키에 패하며 출전권을 놓쳤다.[29]

2008년 대회스위스와 공동 개최하여 개최국 특권으로 EURO 본선에 처음 출전했다. 그러나 실력이 부족하다고 판단한 일부 서포터들이 대회 참가 포기를 요구하는 탄원서 서명 운동을 벌여 만 명이 넘는 서명이 모이기도 했다.[30] 결과적으로 폴란드와 비겼지만, 크로아티아와 독일에게 패하며 조별 리그에서 탈락했다.

오스트리아는 UEFA 유로 2008스위스와 공동 개최하며 사상 처음으로 유로 대회 본선에 자동으로 진출했다.[31] 이후 UEFA 유로 2016 예선에서 9승 1무의 뛰어난 성적으로 본선에 진출, 2015년 FIFA 랭킹 10위까지 올랐으나,[31] 본선에서는 1무 2패의 부진한 성적으로 조별 리그에서 탈락했다.[7][8][9]

2007 FIFA U-20 월드컵에서 4위를 차지했던 제바스티안 프뢰들, 마르쿠스 슁너, 마르틴 하르니크 등 젊은 선수들이 성장하여 국가대표팀의 주축으로 자리 잡았다. UEFA 유로 2012 예선에서는 카자흐스탄, 아제르바이잔, 벨기에, 튀르키예, 독일과 경쟁했다. 2014 FIFA 월드컵 예선에서는 5승 2무 3패(승점 17점)로 3위를 기록, 본선 진출에는 실패했지만 아일랜드, 스웨덴을 상대로 승리하고 독일과 접전을 벌이는 등 선전했다. UEFA 유로 2016 예선에서는 스웨덴 원정 4-1 승리, 러시아 상대 홈/원정 1-0 승리 등 무패 1위로 본선에 진출했다.

오스트리아는 UEFA 유로 2016 본선 진출을 확정지었다. 사진은 리히텐슈타인과의 승리 후인 2015년 10월 12일에 촬영되었다.


UEFA 유로 2020에서는 북마케도니아를 3-1로 꺾고 대회 첫 승을 기록했고, 우크라이나를 1-0으로 꺾으며 조 2위로 사상 첫 16강에 진출했다.[32] 이는 1982년 FIFA 월드컵 이후 39년 만의 메이저 대회 토너먼트 진출이었다. 16강에서는 이탈리아와 웸블리 스타디움에서 만나 연장전 끝에 1-2로 석패했지만, 사샤 칼라이지치가 득점을 기록하며 선전했다.

2018 FIFA 월드컵 예선에서는 D조 4위로 본선 진출에 실패했다. 2022 FIFA 월드컵 지역예선에서는 조 4위에 그쳤으나, UEFA 네이션스리그 성적에 따라 플레이오프에 진출했지만 웨일스에 패하며 탈락했다.[33] 이로써 오스트리아는 2002년 한일 월드컵부터 6회 연속 월드컵 본선 진출에 실패하고 있다.

UEFA 유로 2024에서는 프랑스, 네덜란드, 폴란드와 함께 '죽음의 조'에 편성되었으나, 네덜란드를 3-2로 꺾는 등 2승 1패, 조 1위로 16강에 진출하는 이변을 연출했다.[34] 하지만 16강에서 터키에 패하며 8강 진출에는 실패했다.

2. 1. 초기 역사 (1890년대 ~ 1930년대)

오스트리아 축구 협회는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시절인 1904년 3월 18일에 창설되었다.[1][2][3] 19세기 후반 오스트리아에 전래된 축구는 1890년경 발전하기 시작했는데, 빈에 있던 로스차일드 가문에서 일하던 영국인 정원사들이 축구를 즐겼던 것이 빈 사람들에게 퍼진 것으로 여겨진다.[22] 1894년 오스트리아 최초의 축구 클럽으로 퍼스트 비엔나 FC 1894와 비엔나 크리켓 앤드 풋볼 클럽이 빈에 설립되었다.[22]

오스트리아 대표팀의 첫 경기는 1902년 10월 12일 헝가리와의 경기로, 5-0으로 승리했다. 당시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내에서 "빈 대 부다페스트" 형태의 경기였으며, 이후 오스트리아와 헝가리의 라이벌 관계는 현재까지 이어지고 있다.[22][23] 1902년 당시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에는 단일 협회나 국가대표팀이 없었고, 이 시점의 오스트리아 대표팀은 제국 내 오스트리아 지역을 대표했다.

1934년 FIFA 월드컵에서 오스트리아는 준결승에서 이탈리아에게 0-1로 패하고, 3·4위전에서 독일에게 2-3으로 패하며 4위를 차지했다. 1930년대 오스트리아 대표팀은 유럽에서 막강한 팀으로, "분데르테암 (기적의 팀)"이라는 별명을 얻었으며, 마티아스 진델라가 팀의 스타였다.[36] 1931년 5월 16일, 오스트리아는 스코틀랜드를 꺾은 최초의 대륙 유럽 팀이 되었다.

1936년 하계 올림픽에서 오스트리아는 이탈리아에 1-2로 패하며 준우승을 차지했다. 8강전에서 페루에 패했지만, 페루가 기권하면서 준결승에 진출했다. 그러나 페루의 기권은 아돌프 히틀러가 오스트리아를 돕기 위해 의도적으로 무효화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36]

오스트리아는 1938년 FIFA 월드컵 본선 진출을 확정지었지만, 같은 해 3월 12일 오스트리아 병합으로 독일에 합병되었다. 3월 28일, FIFA는 오스트리아 축구 협회가 해체되었고, 오스트리아는 월드컵에서 기권했다는 통보를 받았다.[4] 대신 독일 대표팀이 오스트리아의 옛 영토를 대표하게 되었다. 독일 감독 제프 헤르베르거는 매우 다른 플레이 스타일을 가진 선수들을 통합할 시간과 경기가 부족했다.

제2차 세계 대전 후, 오스트리아 대표팀은 재건되었고, 1945년 8월 헝가리 대표팀과 두 차례 맞붙었다. 프라터슈타디온이 복구되자, 같은 해 12월 6일 8년 만에 홈 경기를 치렀다. 프랑스와의 경기에서 4-1로 승리하며, “'''신성팀'''” 시절을 연상케 하는 호조기에 다시 진입했다.

2. 2.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1940년대 ~ 1960년대)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오스트리아는 1938년 독일 병합에서 벗어나 다시 국제 대회에 참가하게 되었다. 1950년 FIFA 월드컵에는 기권했지만, 1954년 FIFA 월드컵에서 미드필더 에른스트 오크비르크(Ernst Ocwirk)의 활약으로 20년 만에 준결승에 진출하는 쾌거를 이루었다. 준결승에서 우승팀 독일에 1-6으로 패했지만, 3·4위 결정전에서 우루과이를 3-1로 꺾고 3위를 차지했다. 이 대회 8강전에서 스위스를 상대로 7-5 승리를 거둔 경기는 오스트리아 축구 역사상 가장 유명한 경기로 회자된다.

1958년 FIFA 월드컵에서는 브라질, 소련에 패하고, 잉글랜드와 비기며 조별 리그에서 탈락했다. 1962년 FIFA 월드컵에는 예산을 이유로 기권하였다. 1965년 10월 20일, 오스트리아는 웸블리에서 잉글랜드를 3-2로 꺾으며 홈에서 잉글랜드를 이긴 세 번째 유럽 팀이 되었다. 이 경기에서 두 골을 넣은 토니 프리치(Toni Fritsch)는 "웸블리 토니"라는 별명을 얻었다. 그러나 1966년 FIFA 월드컵 예선에서는 헝가리동독에 밀려 탈락했다.

이후 16년간 월드컵 본선 진출에 실패했으나, 1978년 FIFA 월드컵1982년 FIFA 월드컵에서 2회 연속 8강에 진출했다. 1990년 이탈리아 월드컵에서는 지역예선에서 탈락했다.

2. 3. 1970년대 ~ 1980년대: 코르도바의 기적과 히혼의 수치

1954년 FIFA 월드컵에서 20년 만에 월드컵 준결승에 진출하는 성과를 거둔 후, 1958년 FIFA 월드컵에서는 조별리그에서 탈락했고 이후 16년 동안 본선 진출에 실패했다.[5] 헤르베르트 프로하스카, 한스 크랑클, 브루노 페체이 등이 활약한 오스트리아는 1978년 FIFA 월드컵1982년 FIFA 월드컵에 연속 진출하여 두 대회 모두 2라운드(당시에는 조별리그로 진행)에 진출했다.[5] 헬무트 세네코비치 감독이 이끈 이 시기 오스트리아 대표팀은 2차 세계 대전 이후 최고의 팀으로 평가받는다.

1978년 아르헨티나 월드컵 1차 리그에서 브라질, 스페인, 스웨덴과 같은 조에 속했지만 조 1위로 8강에 진출했다.[26] 8강에서는 네덜란드이탈리아에 패해 결승 진출에는 실패했다.[26] 이후 서독과의 경기에서 한스 크랑클의 2골 활약과 베르티 포크츠의 자책골로 3-2 역전승을 거두었다.[26] 47년 만에 이웃 나라를 꺾은 이 경기는 오스트리아에서 코르도바의 기적이라 불린다.[26]

1982년 스페인 월드컵 1차 리그에서는 칠레알제리를 각각 1-0, 2-0으로 꺾고 2차 리그 진출을 거의 확정지었다.[27] 이후 서독과의 경기에서 서독이 전반에 선제골을 넣은 후, 양 팀은 소극적인 경기 운영으로 일관하여 결국 1-0으로 서독이 승리했다.[27] 이 경기는 히혼의 수치로 불리며, 경기 조작 의혹으로 큰 비난을 받았다.[27] 이 경기를 계기로 1984년 UEFA 유럽 축구 선수권 대회와 1986년 FIFA 월드컵부터 국제 대회 조별 리그 최종전은 동시에 개최되기 시작했다.[27] 오스트리아는 2차 리그에서 프랑스에 패하며 탈락했다.[27]

2. 4. 1990년대 ~ 2000년대: 침체기

1990년 월드컵 이탈리아 대회 본선에 진출한 오스트리아는 미국을 2-1로 이겼지만, 이탈리아체코슬로바키아에 각각 0-1로 패하며 1라운드에서 탈락했다.[28] 안톤 폴스터(Anton Polster)와 “알프스의 마라도나”라는 별명을 가진 안드레아스 헤르초크(Andreas Herzog) 등 국제적인 수준의 젊은 선수들이 활약했다. 1992년 유럽 선수권 대회 예선에서는 아마추어 선수들로 구성된 페로 제도에게 1-0으로 충격적인 패배를 당했는데, 이는 오스트리아 팀 스포츠 역사상 최악의 굴욕이자 축구 역사상 가장 큰 이변 중 하나로 꼽힌다. 페로 제도에는 잔디 경기장이 없었기 때문에 이 경기는 스웨덴 란스크루나에서 열렸다.

1998년 월드컵 프랑스 대회에서 오스트리아는 카메룬, 칠레와 각각 1-1로 비기고, 이탈리아에 1-2로 패하며 또다시 조별 리그에서 탈락했다.[28] 각 경기에서 추가 시간에만 득점하는 기록을 세웠다. 카메룬과의 경기에서는 피에르 은장카(Pierre Njanka)의 골이 토니 폴스터(Toni Polster)의 후반 추가시간 득점으로 상쇄되었고, 칠레와의 경기에서는 이비차 바슈티치(Ivica Vastić)가 마지막 순간 동점골을 터뜨리며 마르셀로 살라스(Marcelo Salas)의 선제골을 취소시켰다. 이탈리아와의 마지막 경기에서는 안디 헤르초크(Andi Herzog)가 추가시간 페널티킥으로 한 골을 만회했지만, 이탈리아가 크리스티안 비에리(Christian Vieri)와 로베르토 바조(Roberto Baggio)의 골로 앞서나가며 결국 조 3위로 탈락했다.

1998년 이후 오스트리아는 2002년 월드컵유로 2000 진출에 실패했고, 1999년 스페인에 9-0, 이스라엘에 5-0으로 패하는 등 굴욕적인 패배를 당했다. 2002년 월드컵 한일 대회 예선에서는 플레이오프에서 터키에 패하며 출전권을 놓쳤다.[29]

2008년 대회스위스와 공동 개최하여 개최국 특권으로 EURO 본선에 처음 출전했다. 그러나 실력이 부족하다고 판단한 일부 서포터들이 대회 참가 포기를 요구하는 탄원서 서명 운동을 벌여 만 명이 넘는 서명이 모이기도 했다.[30] 결과적으로 폴란드와 비겼지만, 크로아티아와 독일에게 패하며 조별 리그에서 탈락했다.

2. 5. 2010년대 ~ 현재: 부활의 조짐과 유로 2020 16강 진출

오스트리아는 UEFA 유로 2008스위스와 공동 개최하며 사상 처음으로 유로 대회 본선에 자동으로 진출했다.[31] 이후 UEFA 유로 2016 예선에서 9승 1무의 뛰어난 성적으로 본선에 진출, 2015년 FIFA 랭킹 10위까지 올랐으나,[31] 본선에서는 1무 2패의 부진한 성적으로 조별 리그에서 탈락했다.[7][8][9]

2007 FIFA U-20 월드컵에서 4위를 차지했던 제바스티안 프뢰들, 마르쿠스 슁너, 마르틴 하르니크 등 젊은 선수들이 성장하여 국가대표팀의 주축으로 자리 잡았다. UEFA 유로 2012 예선에서는 카자흐스탄, 아제르바이잔, 벨기에, 튀르키예, 독일과 경쟁했다. 2014 FIFA 월드컵 예선에서는 5승 2무 3패(승점 17점)로 3위를 기록, 본선 진출에는 실패했지만 아일랜드, 스웨덴을 상대로 승리하고 독일과 접전을 벌이는 등 선전했다. UEFA 유로 2016 예선에서는 스웨덴 원정 4-1 승리, 러시아 상대 홈/원정 1-0 승리 등 무패 1위로 본선에 진출했다.

UEFA 유로 2020에서는 북마케도니아를 3-1로 꺾고 대회 첫 승을 기록했고, 우크라이나를 1-0으로 꺾으며 조 2위로 사상 첫 16강에 진출했다.[32] 이는 1982년 FIFA 월드컵 이후 39년 만의 메이저 대회 토너먼트 진출이었다. 16강에서는 이탈리아와 웸블리 스타디움에서 만나 연장전 끝에 1-2로 석패했지만, 사샤 칼라이지치가 득점을 기록하며 선전했다.

2018 FIFA 월드컵 예선에서는 D조 4위로 본선 진출에 실패했다. 2022 FIFA 월드컵 지역예선에서는 조 4위에 그쳤으나, UEFA 네이션스리그 성적에 따라 플레이오프에 진출했지만 웨일스에 패하며 탈락했다.[33] 이로써 오스트리아는 2002년 한일 월드컵부터 6회 연속 월드컵 본선 진출에 실패하고 있다.

UEFA 유로 2024에서는 프랑스, 네덜란드, 폴란드와 함께 '죽음의 조'에 편성되었으나, 네덜란드를 3-2로 꺾는 등 2승 1패, 조 1위로 16강에 진출하는 이변을 연출했다.[34] 하지만 16강에서 터키에 패하며 8강 진출에는 실패했다.

3. 주요 성적

오스트리아 축구 국가대표팀은 FIFA 월드컵 본선에 7번 진출하여 1954년 대회에서 3위를 기록했으며, UEFA 유럽 축구 선수권 대회에는 4번 진출하여 UEFA 유로 2020과 UEFA 유로 2024에서 16강에 진출했다.[37] 올림픽 축구에서는 1936년 베를린 올림픽에서 은메달을 획득한 바 있다.[38]

FIFA 월드컵 본선 기록FIFA 월드컵 예선 기록
년도결과순위경기무*득점실점승점경기무*득점실점승점
1930년불참불참
1934년준결승4위42027761100613
1938년로 참가1100213
1950년기권기권
1954년준결승3위54011712122110914
1958년조별리그15위301227131014310
1962년기권기권
1966년예선 탈락4013161
1970년63031279
1974년732215911
1978년8강7위63037109642014214
1982년2라운드8위5212547851216616
1986년예선 탈락63129810
1990년조별리그18위310223383329912
1994년예선 탈락10325151611
1998년조별리그24위30213421081117425
2002년예선 탈락10433101415
2006년10433151215
2010년10424141514
2014년10523201017
2018년10433141215
2022년11515201916
합계7회 진출(7/21[37])준결승(3위, 4위)2912413434740123592836212136205
순위FIFA 월드컵 역대 순위 : 20위월드컵 예선 승점 순위 : 35위 (유럽 18위)



UEFA 유로컵 본선 기록UEFA 유로컵 예선 기록
년도결과순위경기무*득점실점승점경기무*득점실점승점
1960년예선 탈락420210116
1964년2011231
1968년5212797
1972년631214610
1976년631211710
1980년843114715
1984년8413151013
1988년6213697
1992년81166144
1996년10514291416
2000년8413192013
2004년830512149
2008년조별리그13위3012131자동참가(개최국)
2012년예선 탈락10334161712
2016년조별리그22위30121411091022528
2020년16강9위42025561061319919
2024년16강9위4202766861117719
합계4회 진출(4/17)16강14428141814117571842219162189
순위UEFA 유럽 축구 선수권 대회 순위 : 24위유로 예선 승점 순위 : 22위



올림픽 축구 기록
년도결과순위경기무*득점실점승점
1900년불참
1904년
1908년
1912년[38]8강5위53021289
1920년참가 금지
1924년불참
1928년
1936년은메달준우승4301949
1948년1라운드11위1001030
1952년8강5위2101563
1956년불참
1960년
1964년
1968년
1972년
1976년
1980년진출 실패
1984년
1988년
합계4회 진출(4/26)은메달(1회)12style="color:#FFFFFF;background-color:#000000;"|705262121


대회]]}}!!}]]}}!!}]]}}!!총계

|-

|align=left|FIFA 월드컵

|0||0||1||1

|-

| align="left" |올림픽

|0||1||0||1

|-

| align="left" |UEFA 유럽 축구 선수권 대회

|0||0||0||0

|-

!총계!!0!!1!!1!!2

|}

4. 라이벌 관계

오스트리아와 헝가리의 경기는 축구 역사상 두 번째로 많이 치러진 국가대표팀 경기이다 (이웃 국가인 아르헨티나와 우루과이만이 더 많은 경기를 치렀다).[10] 오스트리아 대 헝가리 경기는 또한 두 국가가 최초의 국제 축구 경기 이후 30년 만에 국제 경기를 치른 최초의 유럽 비영국 국가라는 점에서도 주목할 만하다.[10] 제2차 세계대전 이후 오스트리아의 최대 라이벌은 독일이다.[10] 오스트리아는 (스코틀랜드-잉글랜드와 마찬가지로) 언더독이었지만, 오스트리아에서 더욱 강하게 느껴지는 이 일방적인 라이벌리는 언더독인 오스트리아의 주목할 만한 승리를 만들어냈다.[11] 가장 유명한 것은 1978년 FIFA 월드컵 코르도바에서 기록한 3-2 승리이다.[11]

5. 선수



UEFA 유로 2020과 2024-25 UEFA 네이션스리그에 참여한 오스트리아 축구 국가대표팀의 선수 명단은 다음과 같다.[15]

번호위치선수생년월일 (나이)출장득점소속
1GK알렉산더 슐라거1996년 2월 1일(1996-02-01) (28세)170레드불 잘츠부르크
12GK니클라스 헤들2001년 3월 17일(2001-03-17) (23세)10SK 라피트 빈
13GK파트리크 펜츠1997년 1월 2일(1997-01-02) (27세)140브뢴뷔 IF
2DF막시밀리안 뵈버1998년 2월 4일(1998-02-04) (26세)300리즈 유나이티드
3DF미하엘 스보보다1998년 10월 15일(1998-10-15) (25세)20베네치아 FC
4DF케빈 단소1998년 9월 19일(1998-09-19) (25세)240RC 랑스
5DF슈테판 포슈1997년 5월 14일(1997-05-14) (27세)422볼로냐 FC 1909
8DF알렉산더 프라스2001년 5월 26일(2001-05-26) (23세)1301899 호펜하임
15DF필리프 린하르트1996년 7월 11일(1996-07-11) (27세)293SC 프라이부르크
16DF필리프 므베네1994년 1월 29일(1994-01-29) (30세)200마인츠 05
DF게르노트 트라우너1992년 3월 25일(1992-03-25) (32세)152페예노르트
6MF니콜라스 자이발트2001년 5월 4일(2001-05-04) (23세)340RB 라이프치히
9MF마르첼 자비처1994년 3월 17일(1994-03-17) (30세)8720보루시아 도르트문트
10MF플로리안 그릴리치1995년 8월 7일(1995-08-07) (28세)4911899 호펜하임
18MF로마노 슈미트2000년 1월 27일(2000-01-27) (24세)212베르더 브레멘
19MF크리스토프 바움가르트너1999년 8월 1일(1999-08-01) (24세)4818RB 라이프치히
20MF콘라트 라이머1997년 5월 27일(1997-05-27) (27세)465바이에른 뮌헨
21MF파트릭 비머2001년 5월 30일(2001-05-30) (23세)211VfL 볼프스부르크
22MF마티아스 자이들2001년 1월 24일(2001-01-24) (23세)81SK 라피트 빈
23MF케빈 슈터거1993년 8월 27일(1993-08-27) (30세)30보루시아 묀헨글라트바흐
7FW마르코 아르나우토비치1989년 4월 19일(1989-04-19) (35세)12139인터 밀란
11FW미하엘 그레고리치1994년 4월 18일(1994-04-18) (30세)6218SC 프라이부르크
14FW주니어 아다무2001년 6월 6일(2001-06-06) (23세)90SC 프라이부르크
17FW안드레아스 바이만1991년 8월 5일(1991-08-05) (32세)262웨스트 브롬위치 앨비언



'''2024년 11월 17일 슬로베니아와의 경기 후 기준'''으로 캡과 득점을 업데이트했다.[15]

마르코 아르나우토비치는 주장, 마르첼 자비처는 3번째 주장이다.

지난 12개월 동안 차출된 선수 명단은 다음과 같다.[16]

포지션선수생년월일 (나이)출장 수득점클럽최근 차출
GK하인츠 린드너1990년 7월 17일(1990-07-17) (33세)370유니온 생 질루아즈UEFA 유로 2024
GK다니엘 바흐만1994년 7월 9일(1994-07-09) (29세)140왓퍼드 FCUEFA 유로 2024 PRE
GK토비아스 라왈2000년 6월 7일(2000-06-07) (24세)00LASKUEFA 유로 2024 PRE
DF플라비우스 다닐리우크2001년 4월 27일(2001-04-27) (23세)30헬라스 베로나 FCv. , 2024년 10월 13일
DF마르코 프리들1998년 3월 16일(1998-03-16) (26세)50베르더 브레멘v. , 2024년 10월 13일
DF레오폴트 케어펠트2003년 12월 20일(2003-12-20) (20세)401. FC 우니온 베를린v. , 2024년 10월 13일
DF샘슨 바이두2004년 3월 31일(2004-03-31) (20세)10FC 레드불 잘츠부르크UEFA 유로 2024
DF슈테판 라이너1992년 8월 27일(1992-08-27) (31세)392보루시아 묀헨글라트바흐UEFA 유로 2024 PRE
MF플로리안 카인츠1992년 10월 24일(1992-10-24) (31세)2811. FC 쾰른UEFA 유로 2024
MF마르코 그륀1998년 7월 6일(1998-07-06) (25세)50베르더 브레멘UEFA 유로 2024
MF데얀 류비치치1997년 10월 8일(1997-10-08) (26세)911. FC 쾰른UEFA 유로 2024 PRE
MF티에르노 발로2002년 1월 2일(2002-01-02) (22세)00볼프스베르거 ACUEFA 유로 2024 PRE
MF크리스토프 랑2002년 1월 7일(2002-01-07) (22세)00SK 라피트 빈UEFA 유로 2024 PRE
MF자베르 슐라거1997년 9월 28일(1997-09-28) (26세)434RB 라이프치히v. , 2024년 3월 14일
FW막시밀리안 엔트룹1997년 9월 15일(1997-09-15) (26세)31TSV 하르트베르크UEFA 유로 2024
FW구이도 부르크슈탈러1989년 4월 29일(1989-04-29) (35세)262SK 라피트 빈UEFA 유로 2024 PRE
FW무하메드 챔2000년 9월 26일(2000-09-26) (23세)30클레르몽 풋UEFA 유로 2024 PRE
FW만프리트 사르카리아1996년 8월 26일(1996-08-26) (27세)10SK 슈투름 그라츠UEFA 유로 2024 PRE
FW베네딕트 피흘러1997년 7월 20일(1997-07-20) (26세)00홀슈타인 킬UEFA 유로 2024 PRE
FW아르넬 야쿠포비치1998년 5월 29일(1998-05-29) (26세)00NK 오시예크UEFA 유로 2024 PRE


  • PRE 예비 명단 또는 대기 선수
  • COV COVID-19로 인해 대표팀에서 제외된 선수
  • INJ 부상으로 인해 대표팀에서 제외된 선수
  • WD 부상 이외의 이유로 대표팀에서 제외된 선수
  • RET 국가대표팀에서 은퇴한 선수
  • SUS 공식 경기 출전 정지 선수


2024년 11월 17일 와의 경기 후 기준, 오스트리아 축구 국가대표팀에서 활동했던 주요 선수들은 다음과 같다.[17][18][19]

'''굵은 글씨'''는 현재 국가대표팀에서 활동 중인 선수이다.

마르코 아르나우토비치는 오스트리아 대표팀 최다 출전 선수이다.


순위선수출전 경기 수득점활동 기간
1마르코 아르나우토비치121392008년–현재
2다비드 알라바105152009년–현재
3안드레아스 헤르초크(Andreas Herzog)103261988년–2003년
4알렉산다르 드라고비치10022009년–2022년
5토니 폴스터95441982년–2000년
6게르하르트 하나피93121948년–1964년
7마르셀 자비처87202012년–현재
8카를 콜러8651952년–1965년
9율리안 바움가르트링거8412009년–2021년
프리드리히 콘칠리아8401970년–1985년
브루노 페제이8491975년–1990년



토니 폴스터는 44골로 오스트리아 최다 득점 선수이다.


순위선수출전 경기 수경기당 골 수기간
1토니 폴스터44950.461982–2000
2마르코 아르나우토비치391210.322009–현재
3한스 크랑클(Hans Krankl)34690.491973–1985
4요한 호르바트(Johann Horvath)29460.631924–1934
5에리히 호프(Erich Hof)28370.761957–1968
마르크 얀코(Marc Janko)28700.402006–2019
7안톤 샬(Anton Schall)27280.961927–1934
8마티아스 킨델라르(Matthias Sindelar)26430.601926–1937
안드레아스 헤르초크(Andreas Herzog)261030.251988–2003
10칼 치셰크(Karl Zischek)24400.601931–1945



역대 오스트리아 축구 국가대표팀 선수 명단은 오스트리아 축구 국가대표팀 선수 목록에서 확인할 수 있다.

오스트리아 대표팀은 FIFA 월드컵UEFA 유럽 축구 선수권 대회에 여러 번 참가했다.


포지션별 주요 선수

  • 골키퍼(GK): 로돌프 히덴, 발터 체만, 프리드리히 콘질리아, 하인츠 린트너 등
  • 수비수(DF): 카를 제스타, 에른스트 하펠, 브루노 페차이, 다비드 알라바, 알렉산다르 드라고비치 등
  • 미드필더(MF): 발터 나우슈, 에른스트 오치빌크, 게르하르트 하나피, 안드레아스 헤르초크, 마르첼 자비처 등
  • 공격수(FW): 요한 호르바트, 마티아스 신델러, 안톤 샬, 한스 크랑클, 안톤 폴스터, 마르코 아르나우토비치 등

5. 1. 현재 선수 명단

UEFA 유로 2020과 2024-25 UEFA 네이션스리그에 참여한 오스트리아 축구 국가대표팀의 선수 명단은 다음과 같다.[15]

번호위치선수생년월일 (나이)출장득점소속
1GK알렉산더 슐라거1996년 2월 1일(1996-02-01) (28세)170레드불 잘츠부르크
12GK니클라스 헤들2001년 3월 17일(2001-03-17) (23세)10SK 라피트 빈
13GK파트리크 펜츠1997년 1월 2일(1997-01-02) (27세)140브뢴뷔 IF
2DF막시밀리안 뵈버1998년 2월 4일(1998-02-04) (26세)300리즈 유나이티드
3DF미하엘 스보보다1998년 10월 15일(1998-10-15) (25세)20베네치아 FC
4DF케빈 단소1998년 9월 19일(1998-09-19) (25세)240RC 랑스
5DF슈테판 포슈1997년 5월 14일(1997-05-14) (27세)422볼로냐 FC 1909
8DF알렉산더 프라스2001년 5월 26일(2001-05-26) (23세)1301899 호펜하임
15DF필리프 린하르트1996년 7월 11일(1996-07-11) (27세)293SC 프라이부르크
16DF필리프 므베네1994년 1월 29일(1994-01-29) (30세)200마인츠 05
DF게르노트 트라우너1992년 3월 25일(1992-03-25) (32세)152페예노르트
6MF니콜라스 자이발트2001년 5월 4일(2001-05-04) (23세)340RB 라이프치히
9MF마르첼 자비처1994년 3월 17일(1994-03-17) (30세)8720보루시아 도르트문트
10MF플로리안 그릴리치1995년 8월 7일(1995-08-07) (28세)4911899 호펜하임
18MF로마노 슈미트2000년 1월 27일(2000-01-27) (24세)212베르더 브레멘
19MF크리스토프 바움가르트너1999년 8월 1일(1999-08-01) (24세)4818RB 라이프치히
20MF콘라트 라이머1997년 5월 27일(1997-05-27) (27세)465바이에른 뮌헨
21MF파트릭 비머2001년 5월 30일(2001-05-30) (23세)211VfL 볼프스부르크
22MF마티아스 자이들2001년 1월 24일(2001-01-24) (23세)81SK 라피트 빈
23MF케빈 슈터거1993년 8월 27일(1993-08-27) (30세)30보루시아 묀헨글라트바흐
7FW마르코 아르나우토비치1989년 4월 19일(1989-04-19) (35세)12139인터 밀란
11FW미하엘 그레고리치1994년 4월 18일(1994-04-18) (30세)6218SC 프라이부르크
14FW주니어 아다무2001년 6월 6일(2001-06-06) (23세)90SC 프라이부르크
17FW안드레아스 바이만1991년 8월 5일(1991-08-05) (32세)262웨스트 브롬위치 앨비언



'''2024년 11월 17일 슬로베니아와의 경기 후 기준'''으로 캡과 득점을 업데이트했다.[15]

마르코 아르나우토비치는 주장, 마르첼 자비처는 3번째 주장이다.

지난 12개월 동안 차출된 선수 명단은 다음과 같다.[16]

포지션선수생년월일 (나이)출장 수득점클럽최근 차출
GK하인츠 린드너1990년 7월 17일(1990-07-17) (33세)370유니온 생 질루아즈UEFA 유로 2024
GK다니엘 바흐만1994년 7월 9일(1994-07-09) (29세)140왓퍼드 FCUEFA 유로 2024 PRE
GK토비아스 라왈2000년 6월 7일(2000-06-07) (24세)00LASKUEFA 유로 2024 PRE
DF플라비우스 다닐리우크2001년 4월 27일(2001-04-27) (23세)30헬라스 베로나 FCv. , 2024년 10월 13일
DF마르코 프리들1998년 3월 16일(1998-03-16) (26세)50베르더 브레멘v. , 2024년 10월 13일
DF레오폴트 케어펠트2003년 12월 20일(2003-12-20) (20세)401. FC 우니온 베를린v. , 2024년 10월 13일
DF샘슨 바이두2004년 3월 31일(2004-03-31) (20세)10FC 레드불 잘츠부르크UEFA 유로 2024
DF슈테판 라이너1992년 8월 27일(1992-08-27) (31세)392보루시아 묀헨글라트바흐UEFA 유로 2024 PRE
MF플로리안 카인츠1992년 10월 24일(1992-10-24) (31세)2811. FC 쾰른UEFA 유로 2024
MF마르코 그륀1998년 7월 6일(1998-07-06) (25세)50베르더 브레멘UEFA 유로 2024
MF데얀 류비치치1997년 10월 8일(1997-10-08) (26세)911. FC 쾰른UEFA 유로 2024 PRE
MF티에르노 발로2002년 1월 2일(2002-01-02) (22세)00볼프스베르거 ACUEFA 유로 2024 PRE
MF크리스토프 랑2002년 1월 7일(2002-01-07) (22세)00SK 라피트 빈UEFA 유로 2024 PRE
MF자베르 슐라거1997년 9월 28일(1997-09-28) (26세)434RB 라이프치히v. , 2024년 3월 14일
FW막시밀리안 엔트룹1997년 9월 15일(1997-09-15) (26세)31TSV 하르트베르크UEFA 유로 2024
FW구이도 부르크슈탈러1989년 4월 29일(1989-04-29) (35세)262SK 라피트 빈UEFA 유로 2024 PRE
FW무하메드 챔2000년 9월 26일(2000-09-26) (23세)30클레르몽 풋UEFA 유로 2024 PRE
FW만프리트 사르카리아1996년 8월 26일(1996-08-26) (27세)10SK 슈투름 그라츠UEFA 유로 2024 PRE
FW베네딕트 피흘러1997년 7월 20일(1997-07-20) (26세)00홀슈타인 킬UEFA 유로 2024 PRE
FW아르넬 야쿠포비치1998년 5월 29일(1998-05-29) (26세)00NK 오시예크UEFA 유로 2024 PRE


  • PRE 예비 명단 또는 대기 선수
  • COV COVID-19로 인해 대표팀에서 제외된 선수
  • INJ 부상으로 인해 대표팀에서 제외된 선수
  • WD 부상 이외의 이유로 대표팀에서 제외된 선수
  • RET 국가대표팀에서 은퇴한 선수
  • SUS 공식 경기 출전 정지 선수

5. 2. 역대 주요 선수

2024년 11월 17일 와의 경기 후 기준, 오스트리아 축구 국가대표팀에서 활동했던 주요 선수들은 다음과 같다.[17][18][19]

'''굵은 글씨'''는 현재 국가대표팀에서 활동 중인 선수이다.

순위선수출전 경기 수득점활동 기간
1마르코 아르나우토비치121392008년–현재
2다비드 알라바105152009년–현재
3안드레아스 헤르초크(Andreas Herzog)103261988년–2003년
4알렉산다르 드라고비치10022009년–2022년
5토니 폴스터95441982년–2000년
6게르하르트 하나피93121948년–1964년
7마르셀 자비처87202012년–현재
8카를 콜러8651952년–1965년
9율리안 바움가르트링거8412009년–2021년
프리드리히 콘칠리아8401970년–1985년
브루노 페제이8491975년–1990년



순위선수출전 경기 수경기당 골 수기간
1토니 폴스터44950.461982–2000
2마르코 아르나우토비치391210.322009–현재
3한스 크랑클(Hans Krankl)34690.491973–1985
4요한 호르바트(Johann Horvath)29460.631924–1934
5에리히 호프(Erich Hof)28370.761957–1968
마르크 얀코(Marc Janko)28700.402006–2019
7안톤 샬(Anton Schall)27280.961927–1934
8마티아스 킨델라르(Matthias Sindelar)26430.601926–1937
안드레아스 헤르초크(Andreas Herzog)261030.251988–2003
10칼 치셰크(Karl Zischek)24400.601931–1945



역대 오스트리아 축구 국가대표팀 선수 명단은 오스트리아 축구 국가대표팀 선수 목록에서 확인할 수 있다.

오스트리아 대표팀은 FIFA 월드컵UEFA 유럽 축구 선수권 대회에 여러 번 참가했다.


포지션별 주요 선수

  • 골키퍼(GK): 로돌프 히덴, 발터 체만, 프리드리히 콘질리아, 하인츠 린트너 등
  • 수비수(DF): 카를 제스타, 에른스트 하펠, 브루노 페차이, 다비드 알라바, 알렉산다르 드라고비치 등
  • 미드필더(MF): 발터 나우슈, 에른스트 오치빌크, 게르하르트 하나피, 안드레아스 헤르초크, 마르첼 자비처 등
  • 공격수(FW): 요한 호르바트, 마티아스 신델러, 안톤 샬, 한스 크랑클, 안톤 폴스터, 마르코 아르나우토비치 등

6. 역대 감독

2024년 4월 기준 오스트리아 축구 국가대표팀의 감독은 독일 출신의 랄프 랑닉이다.[12] 수석코치는 라스 코르네트카, 페터 페어히톨트, 오누르 치넬이며, 골키퍼 코치는 미하엘 슈푸르닝, 경기 분석관은 슈테판 외젠이다.

역대 감독 중 후고 마이슬은 1919년부터 1937년까지 팀을 이끌며 1934년 FIFA 월드컵 4위, 1936년 하계 올림픽 은메달을 획득하는 성과를 거두었다. 발터 나우슈 감독 체제에서는 1954년 FIFA 월드컵에서 3위를 기록했다.

1938년부터 1945년까지 오스트리아는 나치 독일에 병합되어 대표팀을 운영하지 못했다.

요제프 히커스베르거는 1988년부터 1990년까지 팀을 지휘하며 1990년 월드컵 본선 진출을 이끌었고, 허베르트 프로하스카는 1993년부터 1999년까지 재임하며 1998년 월드컵 본선에 진출했다.

마르첼 콜러는 2011년부터 2017년까지 감독을 맡아 UEFA 유로 2016 본선 진출을 성공시켰고, 프랑코 포다는 UEFA 유로 2020 본선행을 이끌었다.[13] 현 감독인 랄프 랑닉은 UEFA 유로 2024 본선 진출을 확정지었다.[14]

참조

[1] 웹사이트 Hakoah Wien and Muscular Judaism https://physicalcult[...] 2020-09-09
[2] 웹사이트 Max Scheuer http://www.national-[...] 2020-09-09
[3] 웹사이트 Max Scheuer » Internationals https://www.worldfoo[...] 2020-09-09
[4] 웹사이트 Nazis in der Abseitsfalle https://web.archive.[...] 2008-06-18
[5] 웹사이트 It's been 40 years since one of the most disgraceful WC games ever - footage is remarkable https://www.givemesp[...] 2022-10-03
[6] 뉴스 Austria must pull out of Euro 2008, say 10,000 fans petition https://www.independ[...] 2007-08-16
[7] 웹사이트 Austria 0-2 Hungary: Dark horses stunned in Bordeaux {{pipe}} Goal.com https://www.goal.com[...]
[8] 뉴스 Portugal 0-0 Austria: Euro 2016 – as it happened https://www.theguard[...] 2016-06-18
[9] 뉴스 Iceland 2-1 Austria: Euro 2016 – as it happened! https://www.theguard[...] 2016-06-22
[10] 웹사이트 Franzobels Einwürfe: Vor Deutschland gegen Österreich: Nur net narrisch werden https://www.kleineze[...] 2022-07-21
[11] 웹사이트 Vor Länderspiel in Wien: Die Anfänge der Rivalität zwischen Deutschland und Österreich https://www.flashsco[...]
[12] 웹사이트 Die Trainer des Österreichischen Nationalteams https://www.oefb.at/[...] oefb
[13] 웹사이트 Austria appoint Franco Foda as new national team manager. Retrieved 2 November 2017. ''ESPN''. http://www.espnfc.co[...] 2017-10-30
[14] 웹사이트 Homepage ÖFB https://www.oefb.at/[...]
[15] 웹사이트 Debütant und Rückkehrer im Nationalteam-Kader https://www.oefb.at/[...]
[16] 웹사이트 Der Grosskader des ÖFB Nationalteams http://www.oefb.at/-[...] ÖFB
[17] 웹사이트 Austria - Record International Players https://www.rsssf.or[...]
[18] 웹사이트 Ewige Einsatzliste https://www.oefb.at/[...]
[19] 웹사이트 Ewige Torschützen https://www.oefb.at/[...]
[20] 웹사이트 Austria https://www.worldfoo[...] 2024-07-05
[21] 웹사이트 Austria - Historical results https://www.worldfoo[...] 2024-07-05
[22] 웹사이트 Der Fußballsport kommt nach Österreich https://www.oefb.at/[...]
[23] 웹사이트 Hungary-Austria matches https://web.archive.[...] 2016-04-04
[24] 웹사이트 Die WM 1954 als Höhepunkt https://www.oefb.at/[...]
[25] 웹사이트 Ein Zuschauerrekord und das 2. Wunderteam https://www.oefb.at/[...]
[26] 웹사이트 Die WM 1978 - 3:2 Triumph in Cordoba https://www.oefb.at/[...]
[27] 웹사이트 Die Schande von Gijon https://www.oefb.at/[...]
[28] 웹사이트 Österreich bei der WM 1990 und 1998 https://www.oefb.at/[...]
[29] 웹사이트 Die Heim-EURO als Start in ein Jahrtausend https://www.oefb.at/[...]
[30] 뉴스 Austrians fear Euro 2008 humiliation http://news.bbc.co.u[...] 2008-06-03
[31] 웹사이트 【振り返り】アイスランド vs オーストリア 劇的なゴールで初出場アイスランドがベスト16進出!|UEFA EURO 2016™ サッカー欧州選手権|WOWOW https://www.wowow.co[...]
[32] 웹사이트 オーストリアとの延長戦を制したイタリアが4大会連続ベスト8《ユーロ2020》【超ワールドサッカー】 https://web.ultra-so[...]
[33] 뉴스 「全責任を負う」W杯出場のがしたオーストリア、指揮官が突如退任を発表「スコットランド戦後に終わる」 https://web.ultra-so[...] 2022-03-28
[34] 웹사이트 フランス、オランダを抑えて首位通過のオーストリア代表、指揮官「信じられない」(GOAL) https://news.yahoo.c[...]
[35] 웹사이트 オーストリア - クラブプロフィール https://www.transfer[...]
[36] 웹사이트 Nazis in der Abseitsfalle http://einestages.sp[...] 2010-05-10
[37] 문서 본선 진출 횟수 비율. 독일 병합당시 제외
[38] 문서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으로 출전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