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픈워터스위밍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오픈워터스위밍은 국제 수영 연맹의 규칙에 따라 자연 환경에서 진행되는 수영 경기이다. 1980년대에 시작되어 유럽, 미국, 오세아니아를 중심으로 발전했으며, 2008년 베이징 올림픽부터 10km 마라톤 수영이 올림픽 정식 종목으로 채택되었다. 5km, 10km 개인 경기와 혼성 계영 종목이 있으며, 2024년부터 3km 녹아웃 스프린트 종목이 추가되었다. 경기 규칙 및 장비 규정이 존재하며, 다양한 기술과 전략이 사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기록 경기 - 하이다이빙
하이다이빙은 자연 또는 인공 구조물 높은 곳에서 물속으로 뛰어드는 행위로, 냉수 쇼크, 수중 물체와의 충돌 등의 위험이 있어 안전 수칙 준수가 필수적이다. - 기록 경기 - 다이빙
다이빙은 스프링보드나 플랫폼에서 여러 자세와 기술로 물에 뛰어드는 스포츠로, 고대 오락에서 시작하여 19세기 후반 영국에서 스포츠로 발전, 올림픽 정식 종목으로 채택되었으며, 도약, 공중 동작, 입수 자세를 평가하고 싱크로나이즈드 다이빙과 하이 다이빙 등의 세부 종목이 있다. - 경주 - 루지
루지는 19세기 중반 스위스에서 유래한 썰매 스포츠로, 1964년 동계 올림픽 정식 종목으로 채택되었으며, 봅슬레이, 스켈레톤과 함께 썰매 경기 중 가장 빠른 속도를 낸다. - 경주 - 봅슬레이
봅슬레이는 썰매를 타는 전통 놀이에서 시작된 겨울 스포츠로, 스위스 생모리츠에서 최초의 공식 경기가 열렸고 동계올림픽 정식 종목으로 채택되었으며, 국제 봅슬레이 스켈레톤 연맹이 경기를 총괄하고 첨단 기술이 적용된 썰매를 사용한다. - 수상 스포츠 - 드래곤보트
드래곤보트는 20명 이상의 선수들이 북소리에 맞춰 노를 젓는 수상 경주용 배와 경기이며, 중국 남부에서 시작되어 벼농사 풍년 기원 의식 및 용신 숭배와 관련된 단오절 전통 행사로 동아시아 및 동남아시아에 전파되었고, 아시안 게임 정식 종목으로 채택될 만큼 국제적인 스포츠이자 오랜 역사와 문화적 의미를 지닌다. - 수상 스포츠 - 래프팅
래프팅은 급류를 뗏목으로 내려가는 레저 스포츠로, 1811년 탐험 시도에서 시작되어 고무 보트 발전으로 대중화되었으며, 레이스 및 커머셜 형태로 전 세계에서 즐기지만 급류 위험과 환경을 고려해야 하고, 국제급류난이도척도에 따라 난이도가 구분되며 안전이 중요하고, 세계 래프팅 선수권 대회도 개최된다.
| 오픈워터스위밍 | |
|---|---|
| 스포츠 정보 | |
| 스포츠 | 오픈워터스위밍 |
| 픽토그램 | Open water swimming pictogram.svg |
| 총괄 | 세계 수영 연맹 |
| 유형 | 기록 스포츠 수상 스포츠 |
| 인원 | 1명 (개인) |
| 장소 | 야외 |
| 대회 정보 | |
| 최상위 대회 | 세계 수영 챔피언십 |
| 올림픽 | 채택 (2008년~현재) |
| 월드 게임 | 미채택 |
| 청소년 올림픽 | 미채택 |
| 패럴림픽 | 미채택 |
| 데플림픽 | 미채택 |
| 아시안 게임 | 채택 (2022년~현재) |
| 아프리칸 게임 | 미채택 |
| 유러피언 게임 | 미채택 |
| 팬아메리칸 게임 | 채택 (2007년~현재) |
| 퍼시픽 게임 | 미채택 |
2. 역사
1980년대 국제 수영 연맹(현재 세계 수영 연맹)이 오스트레일리아의 수영 대회를 기초로 경기 규칙을 작성, 정리하여 오픈워터스위밍이 탄생했다. 이후 유럽, 미국, 오세아니아 지역에서 다양한 경기 대회가 개최되었다.
일본에서는 1995년 8월 6일 시즈오카현 아타미시에서 '오픈 워터 수영'이라는 명칭으로 첫 대회가 열렸고, 180명의 일반 수영 애호가가 참가했다. 이 대회는 현재 '아타미 OWS'로 이어져 매년 7월 초에 개최되고 있다[7]。 1996년 8월 10일에는 후쿠오카시에서 "후쿠오카 국제 오픈 워터 수영 경기 대회"가 개최되어, 본격적인 경기 대회의 시작을 알렸다.
21세기에 들어, 장거리 수영 선수들이 훈련의 일환으로 오픈 워터 수영을 하는 경우가 많아졌다. 이들을 '''듀얼 스위머'''라고 부르며, 이들은 오픈 워터 수영 5km, 10km 종목의 고속화를 이끌었다.
대한민국에서는 2012년 런던 올림픽에서 키다 히로미와 Yasunari Hirai|히라이 야스나리영어가 처음으로 국가대표로 선출되었다.
2. 1. 국제적 발전
1980년대 국제 수영 연맹(현재 세계 수영 연맹)이 오스트레일리아의 수영 대회를 바탕으로 경기 규칙을 정립하면서 오픈워터스위밍이 근대 스포츠로 발전하기 시작했다. 이후 유럽, 미국, 오세아니아에서 다양한 경기 대회가 개최되었다. 1991년 세계 수영 선수권 대회에 정식 종목으로 채택되었으며, 2008년 베이징 올림픽부터는 10km 마라톤 수영이 올림픽 정식 종목에 포함되었다.[7]21세기에 들어서면서, 수영 장거리 선수들이 훈련의 일환으로 오픈 워터 수영을 하는 경우가 늘어났다. 이들을 수영과 오픈 워터 수영 두 종목 선수라는 뜻으로 '''듀얼 스위머'''라고 부른다. 듀얼 스위머의 등장은 오픈 워터 수영 5km, 10km 종목의 고속화를 이끌었다.
2. 2. 한국의 오픈 워터 스위밍
1995년 8월 6일, 시즈오카현 아타미시에서 국내 최초로 '오픈 워터 스위밍'이라는 명칭으로 대회가 열려 180명의 일반 수영 애호가들이 참가했으며, 현재도 '아타미 OWS'로 이어져 매년 7월 초에 개최되고 있다.[7] 이듬해 1996년에는 후쿠오카시에서 "후쿠오카 국제 오픈 워터 수영 경기 대회"가 개최되어, 본격적인 경기 대회의 시작을 알렸다.21세기에 들어서면서, 수영 장거리 선수들이 훈련의 일환으로 오픈 워터 스위밍에 참가하는 경우가 늘었다. 이러한 선수들을 '듀얼 스위머'라고 부르며, 이들의 등장은 오픈 워터 스위밍 5km, 10km 종목의 기록 단축으로 이어졌다.
2012년 런던 올림픽에는 키다 히로미와 Yasunari Hirai|히라이 야스나리영어가 대한민국 대표로 처음 출전하였다.
3. 경기 종목
국제 수영 연맹 및 세계 수영 선수권 대회 등 국제 경기와 한국 내 경기에서 오픈워터스위밍 경기 종목은 다음과 같다. 모든 경기는 자유형(프리스타일)으로 진행된다.[1]
일반 시민 레이스에서는 대부분 5km 이하이며, 10km가 개최되는 것은 쇼난 오픈 워터 수영 등 몇 안 된다.[1]
3. 1. 국제 경기
국제 수영 연맹 경기 규칙에 따르면 남자와 여자 모두 5km, 10km 개인 경기와 4×1.5km 혼성 계영(남자 2명 + 여자 2명)이 있다.[1] 모든 경기는 자유형(프리스타일)으로 진행된다.[1]올림픽에서는 10km만 진행되며, 경기 명칭으로 "마라톤 수영"이 사용된다.[1] 10km의 경기 시간은 육상 마라톤과 비슷한 2시간 정도이며, 중간 급수가 이루어지는 등 유사한 점이 있다.[1]
2024년 7월 1일부터 유효한 새로운 국제 수영 연맹의 경기 규칙으로 녹아웃 스프린트 종목이 추가되었다.[2] 3km 녹아웃 스프린트는 남자와 여자별로 라운드 1·2·3으로 진출하여 순위를 결정하는 종목으로, 라운드 1은 1500m에서 상위 10명이 라운드 2로, 라운드 2는 1000m에서 상위 10명이 라운드 3으로 진출한다.[2] 라운드 3(결승)은 500m이다.[2]
세계 수영 선수권 대회에서는 남자와 여자 5km, 10km와 혼성 4×1.5km 계영이 진행된다.[3] 2025년 세계 수영 선수권 대회에서는 남자와 여자 3km 녹아웃 스프린트도 실시될 예정이다.[3]
3. 2. 한국 경기
일본 선수권에서는 남녀 5km, 10km 경기가 진행된다.[1] 일본 학생 선수권에서는 남녀 5km, 10km, 4x1.5km 계영이 진행된다.[1] 국민 스포츠 대회에서는 남녀 5km 경기가 진행된다.[1] 일반인 대상 경기에서는 대부분 5km 이하의 종목이 주를 이루며, 10km 경기는 쇼난 오픈 워터 수영 등 일부 대회에서만 개최된다.[1]4. 경기 규칙 및 장비

오픈워터스위밍 경기에 허용되는 장비는 승인 기관 및/또는 대회 주최 측에 따라 다르다. 예를 들어, 웻수트 사용 여부, 릴레이 부문 유무, 호위 보트/카약 선수/패들보드 동반 여부, 특정 색상의 수영 모자 착용 등이 규정될 수 있다.
대부분의 선수들은 기본적인 수영복, 수경, 수영 모자만 착용하고 경기에 임하는 경향이 있다. 많은 기록들이 이러한 복장을 기반으로 하는데, 이는 '채널 복장'으로 알려져 있다. 이는 잉글리시 채널 횡단 규칙 및 기타 장거리 수영 규칙에 명시되어 있기 때문이다. 수영 선수들은 종종 춥고 공공장소에서 옷을 말리고 수영복을 갈아입기 위해 로브를 사용하기도 한다.
선수들은 공인된 수영복, 수경, 최대 2개의 수영모, 코마개, 귀마개를 사용할 수 있으며, 모두 2010년부터 국제수영연맹(FINA)이 시행하는 수영복 규칙에 따라 승인된 것이어야 한다. 단, 수영의 수영복 규정과는 다르다.
스피드, 지구력 또는 부력을 돕는 장치는 사용하거나 착용할 수 없으며, 수온에 따라 웻수트 착용에 대한 규정이 있다.
수영복이 쓸려 피부가 손상될 수 있으므로 경기 전에 바셀린이나 라놀린 연고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자외선 차단제도 사용할 수 있다.
경기 전에는 양손 등과 양팔(상완)과 등 윗부분에 선수 번호를 표시하고, 계시용 마이크로칩 트랜스폰더가 지급되어 양쪽 손목에 착용한다.
4. 1. 경기 조건
모든 경기는 자유형으로 진행된다. 코스 내 모든 지점은 수심 1.4m 이상이어야 하며, 해수, 담수, 기수 모두 가능하다. 멀리서도 식별할 수 있는 거대한 부표를 설치하여 코스를 표시한다.결승선으로의 접근은 가이드 로프 등으로 표시되며, 점차 좁아지도록 명시된다. 결승 지점은 폭 5m 이상이며, 수직면으로 표시되고, 머리 위에는 터치 패드(수영 경기와 동일)와 비디오 카메라가 설치된다.
선수 동반 선박이 준비되는 경우가 있다.
급수용 부두에서 길이 5m 이내의 급수용 막대로 경기자에게 음료와 음식을 전달할 수 있다 (던져서는 안 된다).[1]
4. 2. 복장 및 장비
선수들은 공인된 수영복, 수경, 최대 2개의 수영모, 코마개, 귀마개를 사용할 수 있다. 이들은 모두 2010년부터 국제수영연맹(FINA)이 시행하는 수영복 규칙에 따라 승인된 것을 사용해야 하지만, 수영의 수영복 규정과 다르다.[1]스피드, 지구력 또는 부력을 돕는 장치는 사용하거나 착용할 수 없다. 수온에 따라 웻수트 착용에 대한 규정이 있다.
- '''수영복'''
- 수영의 수영복 규정과 다르다. (수영의 규정을 충족하는 수영복은 OWS에서도 사용할 수 있다)
- 원피스 또는 투피스 수영복을 1개만 착용할 수 있다. 남녀 모두 목을 덮거나, 어깨를 넘거나, 발목을 넘어서는 안 된다.
- 수온 20°C 이상의 경기에서는 웻수트 착용이 불가하다.
- 수온 20°C 미만의 경기에서는 남녀 모두 웻수트 착용이 가능하다. 18°C 미만인 경우 웻수트를 착용해야 한다.
- 웻수트는 몸통, 등, 어깨, 무릎을 완전히 덮는 것으로, 목, 손목, 발목을 넘어서는 안 된다.
- 경기를 실시할 수 있는 수온은 16°C 이상 31°C 이하로 규정되어 있다.
- '''수경'''
- '''수영모'''
- 계영 팀은 모두 같은 색상과 스타일의 수영모를 착용한다.
수영복이 쓸려 피부가 손상될 수 있으므로 경기 전에 바셀린이나 라놀린 연고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자외선 차단제도 사용할 수 있다.
경기 전에 양손 등과 양팔(상완)과 등 윗부분에 선수 번호를 표시하고, 계시용 마이크로칩 트랜스폰더가 지급되어 양쪽 손목에 착용한다.
4. 3. 기타
선수들은 급수대에서 제공되는 음료와 음식을 섭취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선수 동반 선박이 준비될 수 있다. 수영 선수는 승인된 수영복, 수경, 최대 2개의 수영모, 코마개, 귀마개를 사용할 수 있다. 이들은 모두 2010년부터 국제 수영 연맹(FINA)이 시행하는 수영복 규칙에 따라 승인된 것을 사용해야 하지만, 수영의 수영복 규정과 다르다.[1]스피드, 지구력 또는 부력을 돕는 장치를 사용하거나 착용할 수 없다. 수온에 따라 웻 수트 착용에 대한 규정이 있다.[1]
- '''수영복'''[1]
- 수영의 수영복 규정과 다르다. (수영의 규정을 충족하는 수영복은 OWS에서도 사용할 수 있다)
- 원피스 또는 투피스 수영복을 1개만 착용할 수 있다. 남녀 모두 목을 덮거나, 어깨를 넘거나, 발목을 넘어서는 안 된다.
- 수온 20°C 이상의 경기에서는 웻 수트 착용이 불가하다.
- 수온 20°C 미만의 경기에서는 남녀 모두 웻 수트 착용이 가능하다. 18°C 미만인 경우 웻 수트를 착용해야 한다.
- 웻 수트는 몸통, 등, 어깨, 무릎을 완전히 덮는 것으로, 목, 손목, 발목을 넘어서는 안 된다.
- 경기를 실시할 수 있는 수온은 16°C 이상 31°C 이하로 규정되어 있다.
- '''수경'''[1]
- '''수영모'''[1]
- 계영 팀은 모두 같은 색상과 스타일의 수영모를 착용한다.
수영복이 쓸려 피부가 손상될 수 있으므로 경기 전에 바셀린이나 라놀린 연고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선탠을 방지하기 위한 자외선 차단제도 사용할 수 있다.[1]
경기 전에 양손 등과 양팔(상완)과 등 윗부분에 선수 번호를 표시하고, 계시용 마이크로 칩 트랜스폰더가 지급되어 양쪽 손목에 착용한다.[1]
5. 경기 기술
오픈 워터 경기에서는 대부분 자유형(크롤 영법)을 사용한다. 거트루드 에데릴레는 영국 해협 횡단 시 크롤 영법으로 2시간 이상 기록을 단축했다.[1] 수영 중에는 조류, 파도, 바람, 시야 불량 등으로 코스를 벗어날 수 있어 주의해야 한다. 넓은 수역에는 부표가 설치되지만, 잔물결과 수경 때문에 잘 보이지 않을 수 있다.
드래프팅은 다른 선수 뒤나 옆에서 헤엄쳐 물의 저항을 줄이는 기술이다. 일부 경기에서는 금지되기도 한다. 얕은 물에서는 걷거나 돌고래처럼 잠수와 점프를 반복하는 "돌핀영"을 할 수 있다. 물에서 나올 때는 파도를 이용해 보디서핑을 할 수 있다.
5. 1. 영법
대부분의 오픈 워터 경주에서는 특정 영법을 요구하지 않지만, 대부분의 선수는 자유형(크롤 영법)을 사용한다. 거트루드 에데릴레는 영국 해협 횡단 시 크롤 영법을 사용하여 2시간 이상 기록을 단축했다.[1]5. 2. 코스 확인 (Sighting)
장거리를 수영할 때, 수영자는 조류, 파도, 바람, 그리고 시야 불량으로 인해 코스에서 벗어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넓은 수역에 걸쳐 부표가 주기적으로 설치되어 안내를 제공한다. 그러나 부표는 잔물결과 수경을 통한 시야 감소로 인해 종종 보이지 않는다. 수영자들은 목적지 뒤에 직접 위치한 육지의 두 개의 정렬된, 쉽게 보이는 물체(예: 언덕과 일직선상에 있는 부두 끝)를 찾아 삼각 측량을 하고, 경기 중에도 계속 정렬된 상태로 보이도록 하는 것이 권장된다.5. 3. 드래프팅 (Drafting)
드래프팅은 다른 수영 선수 뒤나 옆에서 가까이 수영하여 물의 저항을 줄이는 기술이다. 일부 경기에서는 드래프팅을 금지하기도 한다. 선두 수영 선수 뒤나 옆에서 가까이 수영하면 저항이 줄어들어 같은 속도로 수영하는 데 필요한 노력이 줄어든다. 잔잔한 수면이나 물결이 있는 곳에서 수영할 때, 비슷하거나 더 빠른 속도로 수영하는 선수 바로 뒤나 옆에서 수영하면 큰 이점을 얻을 수 있다. 모든 경기 주최측이 드래프팅을 허용하는 것은 아니며, 이를 어길 경우 실격될 수 있다.5. 4. 해변 출발/도착 (Beach starting/exiting)
얕은 물에서는 걷거나 "돌핀영" 기술을 사용할 수 있다. 돌핀영은 바닥으로 잠수하여 위로, 앞으로 나아가는 기술이다. 이 기술은 밀려오는 파도를 피하는 데에도 도움이 된다. 물에서 나올 때는 파도를 이용하여 보디서핑을 할 수 있다.6. 주요 대회
국제 올림픽 위원회에서 승인한 종목으로, 2008년부터 올림픽 경기에 포함되었으며, 1991년부터는 FINA 세계 수영 선수권 대회에도 포함되었다.[2]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는 1991년 퍼스 대회부터, 하계 올림픽에서는 2008년 베이징 대회 이후 정식 종목이 되었다. 월드 시리즈와 월드컵도 있다. 2006년부터는 범태평양 선수권 대회에서도 정식 종목 중 하나가 되었다. 아시안 게임에서는 2022년 대회에 채택될 예정이며, 그 전까지는 아시아 비치 게임에서 경기 종목 중 하나로 진행되었다.[2]
일본 수영 연맹 주최로 엘리트 레이스인 일본 선수권 수영 경기 대회 오픈 워터 수영 경기가 지바현 다테야마시에서 열리고 있다. 연령별, 거리별 경기 대회로 OWS 오션스 컵이 같은 시를 무대로 개최되었으며, 2023년부터는 일본 학생 선수권 수영 경기 대회 오픈 워터 수영 경기 또한 같은 시를 무대로 시작되었다. 다테야마시는 국내 OWS의 메카가 되어가고 있다.[2]
국민 스포츠 대회 종목이기도 하다.[2]
또한, 5월부터 10월까지 각지에서 일반 선수들이 참가할 수 있는 대회가 개최되고 있다.[2]
| 대회명 | 도도부현 | 개최월 | 거리 | 제한 시간 | 정원 | 비고 |
|---|---|---|---|---|---|---|
| 마나즈루초, 이와 해안 오픈 워터 스윔 (5월) | 가나가와현 | 5월 | 0.4km 0.8km | 15분 30분 | 200명 | |
| 난키 타나베, 오기가하마 오픈 워터 수영 | 와카야마현 | 6월 | 0.5km×4명 1.5km 4km | 100명 (25팀) 100명 150명 | ||
| 나카우미 OWS | 돗토리현 | 6월 | 3km | 2시간 | 200명 | |
| 하야마 오픈 워터 스윔 | 가나가와현 | 7월 | 1.5km 3km 4.5km | 45분 | 400명 | |
| 야쿠시마 OWS | 가고시마현 | 7월 | 1km 2.5km 5km | 150명 150명 100명 | ||
| 마나즈루초, 이와 해안 오픈 워터 스윔 (7월) | 가나가와현 | 7월 | 0.4km 1.5km 3km | 15분 1시간 2시간 | 1000명 | |
| 니이지마 오픈 워터 수영 | 도쿄도 | 7월 | 1.5km 3km 4.5km | 1시간 2시간 3시간 | 100명 100명 100명 | |
| 래프 워터 스윔 인 가마쿠라 | 가나가와현 | 7월 | 0.8km 1.5km 3km | 1시간 1시간 2시간 | 250명 250명 250명 | |
| 아타미 재팬 그랑프리 | 시즈오카현 | 7월 | 0.5km 1km 3.2km | 20분 40분 1시간 30분 | ||
| 타테야마 OWS | 지바현 | 7월 | 1km 3km 5km | 40분 1시간 20분 2시간 30분 | 350명 250명 150명 | |
| 사도 OWS | 니가타현 | 8월 | 1km 2km 5km | 1시간 1시간 30분 2시간 30분 | 200명 200명 50명 | |
| 가마이시 OWS | 이와테현 | 8월 | 500m 1km 3km 5km | 25분 40분 2시간 2시간 30분 | 50명 100명 100명 100명 | |
| 시만토강 수영 마라톤 대회 | 고치현 | 8월 | 3.5km 5km | 450명 | ||
| 히메지 이야시마 OWS | 효고현 | 8월 | 1km 3.2km | 25분 1시간 40분 | 150명 450명 | |
| 미우라 원영 대회 | 가나가와현 | 8월 | 4km | 2시간 30분 | 900명 | |
| 쇼난 OWS | 가나가와현 | 9월 | 2.5km 10km | 1시간 30분 3시간 30분 | 1000명 450명 | |
| 세토우치 OWS | 오카야마현 | 9월 | 0.5km 1km 2km 3km | 1시간 1시간 30분 1시간 30분 | 60명 150명 100명 | |
| 도쿠시마 시시키 오픈 워터 스윔 | 도쿠시마현 | 10월 | 1.5km 3km | 40분 1시간 30분 | 120명 120명 |
7. OWS 검정 (일본)
일본 수영 연맹은 오픈워터스위밍(OWS) 검정을 실시한다.[9] 1급부터 5급까지 있으며, 각 급수별 출전 종목의 목표로 10km 이하, 5km 이하, 3km 이하, 1.5km 이하, 1km 이하를 권장한다. 1급의 경우 1500m 자유형을 22분 30초 이내로 수영할 수 있고, 400m 개인 혼영을 완영할 수 있어야 하는 등 다양한 테스트 항목이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ITU Competition Rules
http://www.triathlon[...]
[2]
웹사이트
Circuito Gran Fondo Italia
https://www.circuito[...]
[3]
웹사이트
Home
https://oceanman-ope[...]
[4]
웹사이트
Home
https://x-waters.com[...]
[5]
웹사이트
Home
https://swimcup.ru/
[6]
웹사이트
Home
https://www.defimont[...]
[7]
서적
オープンウォータースイミング教本
大修館書店
2006
[8]
문서
[9]
웹사이트
OWS|公益財団法人日本水泳連盟 公式ホームページ
http://www.swim.or.j[...]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