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올로모우츠의 성 삼위일체 석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올로모우츠의 성 삼위일체 석주는 체코 올로모우츠 상부 광장에 위치한 바로크 양식의 기념물이다. 1716년부터 1754년까지 여러 예술가와 장인들의 손을 거쳐 완성되었으며, 꼭대기에는 금박을 입힌 성 삼위일체 조각상이 있다. 석주 주변에는 다양한 성인 조각상과 부조가 배치되어 있으며, 내부에는 작은 예배당이 있다. 1997년 유네스코 세계유산 등재를 신청했으나, 2000년에 단독으로 등재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올로모우츠 - 올뮈츠 협약
    올뮈츠 협약은 1850년 프로이센이 오스트리아에 굴복하여 소독일주의에 입각한 독일 통일을 포기한 협정으로, 프로이센에게는 '올뮈츠의 굴욕'으로 여겨지며 군사적 수단의 필요성을 인식시키는 계기가 되었다.
  • 체코의 세계유산 - 리토미슐
    리토미슐은 체코 스비타비 고지에 위치한 도시로, 1259년 도시로 승격되었으며 르네상스 양식의 성과 스메타나 광장 등의 명소가 있고, "스메타노바 리토미슐" 축제를 통해 문화적 중심지 역할을 한다.
  • 체코의 세계유산 - 쿠트나호라
    쿠트나호라는 체코 중앙보헤미아주에 위치한 중세 시대 은광 개발로 번성했던 도시로,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으며 고딕 양식의 성 바르바라 교회와 세들레츠 납골당 등이 유명한 관광 도시이다.
  • 유럽의 세계유산 - 폼페이
    기원전 79년 베수비오 화산 폭발로 멸망한 폼페이는 로마 식민지로서 번영을 누렸으나 화산재에 묻혀 보존되면서 고대 로마 사회상을 보여주는 유적이 되었고 현재는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되었다.
  • 유럽의 세계유산 - 콜로세움
    콜로세움은 플라비우스 원형 경기장이라고도 불리는 고대 로마의 원형 경기장으로, 검투사 경기와 야수 사냥을 위해 플라비우스 왕조 시대에 건설되었으며, 네로 황제의 동상인 콜로서스 근처에 위치하여 현재는 로마의 대표적인 관광 명소가 되었다.
올로모우츠의 성 삼위일체 석주
일반 정보
"전능하신 하느님, 동정녀 마리아와 성인들의 영광을 위해 나는 높이와 화려함에서 다른 어떤 도시에서도 비할 데 없는 기둥을 세울 것이다." 벤첼 렌더가 올로모우츠 시의회에 보낸 편지에서.
공식 명칭슬로우프 네이슈스바테시 트로이체
로마자 표기Sloup Nejswaťejší Trojice
위치올로모우츠, 체코
유형기념물
재료불명
건축
시작1716년
완료1754년
헌정 대상불명
크기
길이불명
너비불명
높이불명
세계유산 지정
지정 종류문화
지정 기준i, iv
지정 번호859
지정 년도2000년
지역유럽과 북아메리카

2. 역사

30년 전쟁이 끝나고 스웨덴의 점령에서 벗어난 후 재건된 올로모우츠에는 바로크 건축 양식의 건물들이 많이 세워졌다. 이 시기 도시 광장에 마리아 기둥 또는 페스트 기둥을 세우는 것은 바로크 양식의 특징적인 현상이었는데, 이는 트리엔트 공의회 이후 나타난 경향으로 요한 계시록에 그 도상학적 기반을 두고 있다. ICOMOS는 1614년 로마의 산타 마리아 마조레 광장에 세워진 기둥을 그 기본 모델로 보고 있다.[2]

올로모우츠의 성 삼위일체 석주는 1716년에 건설이 시작되었다. 석공이자 특권받는 제국 건축가였던 벤젤 렌더가 처음 이 기둥을 세울 아이디어를 내고, 시의회에 이를 관철시켰으며, 직접 설계하고 첫 단계를 건설하며 자금 조달에도 기여했다. 그러나 이 기념물 건설은 참여한 예술가와 장인들에게 순탄하지만은 않았다.

성 삼위일체 석주 건립 주요 참여자
역할이름비고
벤젤 렌더 | 건설 중 사망
프란츠 토넥 | 완공 전 사망
요한 벤젤 로키츠키 | 완공 전 사망
아우구스틴 숄츠 | 완공 전 사망
요한 이그나츠 로키츠키 |
필립 삿틀러 | 작업 중 사망
안드레아스 자너 | 7년간 18개 조각상, 9개 부조 제작 후 사망
시몬 포르스트너 | 도금된 구리 조각상 성 삼위일체와 성모 승천 제작 완료, 수은 화합물 사용으로 건강 악화



여러 예술가와 장인의 희생과 노고 끝에 석주는 1754년에 마침내 완성되었다. 이 기념물 건설에 참여한 모든 이들이 올로모우츠 시민이었기에, 완공된 석주는 도시의 큰 자부심이 되었다. 봉헌식은 마리아 테레지아 여제와 그녀의 남편 신성 로마 황제 프란츠 1세가 참석한 가운데 성대하게 거행되었다.

완성된 지 불과 4년 후인 1758년, 7년 전쟁 중에 올로모우츠는 프로이센 군대에 의해 포위되었다. 이때 성 삼위일체 석주는 프로이센 대포의 포탄에 여러 차례 맞아 손상을 입었다. 이에 올로모우츠 시민들은 행렬을 이루어 프로이센 지휘관에게 나아가 기념물을 더 이상 쏘지 말아 달라고 간청했다. 제임스 키스 장군은 시민들의 요청을 받아들여 포격을 중단시켰다. 전쟁이 끝난 후 석주는 즉시 수리되었고, 포탄을 맞았던 자리 중 하나에는 이를 기억하기 위해 금박을 입힌 돌탄 복제품이 반쯤 박히게 되었다.

3. 구조

이 석주는 높이 35m에 달하며, 꼭대기에는 금박을 입힌 구리로 제작된 성 삼위일체 조각상과 대천사 가브리엘상이 있고, 그 바로 아래에는 성모 승천 조각상이 위치한다.[1]

기둥의 받침대는 3층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주변에는 총 18개의 성인 석상과 정교한 카르투슈 조각으로 장식된 14개의 부조가 있다. 각 층에는 예수의 생애와 관련된 인물들, 모라비아, 보헤미아, 오스트리아의 주요 성인들, 그리고 올로모우츠와 관련된 성인들의 조각상이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조각상들 사이에는 열두 사도 전체를 묘사한 부조가 자리 잡고 있다.[1] 석주 가장 낮은 층에는 작은 예배당이 마련되어 있다.[2]

성 삼위일체 석주는 30년 전쟁이 끝나고 스웨덴 점령에서 벗어난 올로모우츠가 재건되는 과정에서 세워진 여러 바로크 건축물 중 하나이다. 건설은 1716년 석공 바츨라프 렌더의 주도로 시작되었으며, 그가 사망한 후에도 다른 장인들이 작업을 이어받아 1754년에 최종 완공되었다. 헌당식에는 당시 신성 로마 제국의 황제였던 프란츠 1세와 그의 아내 마리아 테레지아가 직접 참석하였다.

3. 1. 상층부



기둥 꼭대기에는 금박을 입힌 구리로 만든 성 삼위일체 조각상과 대천사 가브리엘상이 있으며, 그 아래에는 성모 승천 조각상이 자리 잡고 있다.

3층으로 구성된 기둥 받침대 주변에는 18개의 성인 석상과 정교한 카르투슈 조각으로 장식된 14개의 부조가 있다.

  • 가장 위쪽 단계: 예수의 지상 생활과 관련된 인물들의 조각상이 있다. 여기에는 예수의 외조부모인 성 안나와 성 요아킴, 양아버지인 성 요셉, 그리고 예수의 오심을 예비한 성 요한 세례자가 포함된다. 또한 올로모우츠 시청 예배당이 봉헌된 성인인 성 로렌스와 성 제롬의 조각상도 있다. 이 단계의 세 부조는 삼위일체 신학적 덕목인 믿음, 희망, 사랑을 상징한다.

  • 두 번째 단계: 모라비아와 관련된 성인들이 있다. 863년 대 모라비아에 기독교를 전파하기 위해 온 성 키릴로스와 성 메토디우스(체코어 Metoděj|메토뎨이ces; 성 메토디우스는 모라비아 대주교가 되었다)와 올로모우츠의 주요 교회 중 하나가 그의 이름으로 봉헌된 성 블레이즈가 있다. 또한 인접한 보헤미아의 수호성인인 프라하의 성 아달베르트(체코어 Vojtěch|보이톄흐ces)와 체코 지역에서 널리 추앙받는 성 요한 네포무크(체코어 Jan Nepomucký|얀 네포무츠키ces)의 조각상도 이 단계에 봉헌되었다.

  • 가장 낮은 단계: 오스트리아의 수호성인 성 모리스와 보헤미아의 수호성인 성 바츨라프(체코어 Václav|바츨라프ces)의 조각상이 있다. 올로모우츠의 두 중요한 교회는 이들의 이름으로 봉헌되었다. 또한 화재와 같은 재해로부터 보호하는 성인으로 여겨지는 오스트리아의 또 다른 수호성인 성 플로리안, 올로모우츠에서 설교했던 성 요한 카피스트라노(체코어 Jan Kapistránský|얀 카피스트란스키ces), 올로모우츠에 중요한 수도원을 두었던 프란치스코회 소속의 성 안토니오 파도바, 그리고 학생들의 수호성인인 성 알로이시우스 곤자가의 조각상이 있다. 성 알로이시우스 곤자가의 조각상은 당시 올로모우츠가 올로모우츠 팔라츠키 대학교를 중요하게 여겼음을 보여준다.


이러한 성인 조각상들 사이에는 열두 사도 전체를 묘사한 부조가 배치되어 있다.

3. 2. 중층부

두 번째 단계(중층부)는 모라비아와 관련된 성인들에게 봉헌되었다. 여기에는 863년 대 모라비아에 기독교를 전파하기 위해 온 성 키릴로스와 성 메토디우스(체코어 ''Metoděj'', 성 메토디우스는 모라비아 대주교가 됨)가 있다. 또한 올로모우츠의 주요 교회 중 하나가 그의 이름으로 봉헌된 성 블레이즈, 인근 보헤미아의 수호성인인 프라하의 성 아달베르트(체코어 ''Vojtěch''), 그리고 보헤미아에서도 많은 추종자를 가졌던 성 요한 네포무크(체코어 ''Jan Nepomucký'')의 조각상이 자리 잡고 있다.

이 성인들 외에도, 두 번째 단에는 성 요한 사르칸데르(체코어 ''Jan Sarkander'')의 조각상이 있다. 그는 순결의 상징인 백합을 들고 있는 모습으로 묘사된다. 요한 사르칸데르는 30년 전쟁 초기에 올로모우츠 감옥에서 고문을 받아 사망한 사제이다. 전설에 따르면, 그는 고해성사의 비밀을 지키려다 순교했다고 전해진다. 그의 조각상을 석주에 포함시키는 결정은 당시로서는 파격적이었다. 사르칸데르가 아직 시성되지 않았고 심지어 복자로 선포되지도 않았기 때문에, 이는 교황청과의 마찰을 일으킬 수도 있는 문제였다. 그러나 그를 지지하는 세력이 매우 강했기 때문에, 장인들은 위험을 감수하고 조각상을 세우기로 결정했다. 요한 사르칸데르는 1859년에 복자로 선포되었고, 1995년 교황 요한 바오로 2세가 올로모우츠를 방문했을 때 성인으로 시성되었다.

3. 3. 하층부

기둥 받침대의 가장 낮은 단계에는 여러 성인들의 석상이 자리 잡고 있다. 오스트리아의 수호성인인 성 모리스와 보헤미아의 수호성인인 성 바츨라프( Václav|바츨라프ces )의 석상이 있는데, 올로모우츠의 중요한 교회 두 곳이 성 바츨라프에게 봉헌되었다. 또한, 다양한 재해, 특히 화재로부터 보호하는 존재로 여겨지는 또 다른 오스트리아 수호성인 성 플로리안, 과거 올로모우츠에서 설교했던 성 요한 카피스트라노( Jan Kapistránský|얀 카피스트란스키ces ), 소속된 프란치스코회가 올로모우츠에 중요한 수도원을 소유했던 성 안토니오 파도바, 그리고 학생들의 수호성인인 성 알로이시우스 곤자가의 조각상도 있다. 성 알로이시우스 곤자가의 조각상은 올로모우츠 팔라츠키 대학교에 대한 도시의 자부심을 보여주는 상징이기도 하다.

이러한 성인 조각상들 사이에는 열두 사도를 묘사한 부조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기둥의 최하층에는 작은 예배당이 마련되어 있다.

하층부에 위치한 주요 성인상과 그 설명은 다음과 같다.

성인설명
성 모리스오스트리아의 수호성인
성 바츨라프 (Václav|바츨라프ces)보헤미아의 수호성인, 성 바츨라프에게 봉헌된 올로모우츠의 주요 교회 2곳 존재
성 플로리안오스트리아의 수호성인, 재해(특히 화재)로부터 보호
성 요한 카피스트라노 (Jan Kapistránský|얀 카피스트란스키ces)올로모우츠에서 설교
성 안토니오 파도바소속된 프란치스코회가 올로모우츠에 중요 수도원 소유
성 알로이시우스 곤자가학생들의 수호성인, 올로모우츠 팔라츠키 대학교와 관련


4. 내부 예배당

이 기둥의 가장 아래층에는 작은 내부 예배당이 있다. 예배당 안에는 여러 부조가 있는데, 다음과 같은 장면들을 묘사한다.



특히 예수의 죽음을 묘사한 마지막 부조의 배경에는 예루살렘과 올로모우츠 도시의 모습이 함께 그려져 있다.

5. 세계유산 등재

1997년, 주변의 성모 마리아 기념 기둥 및 분수군과 함께 등재 신청을 했으나 인정받지 못했다. 따라서, 성 삼위일체 석주만을 대상으로 재신청을 하여 2000년에 등록되었다.

6. 갤러리

참조

[1] 웹사이트 Holy Trinity Column in Olomouc http://whc.unesco.or[...] United Nations Educational, Scientific, and Cultural Organization 2021-06-06
[2] 웹사이트 Olomouc (Czech Republic) https://whc.unesco.o[...] Whc.unesco.org 2013-11-1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