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림픽 중화 타이베이 선수단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올림픽 중화 타이베이 선수단은 하계 올림픽에는 1924년, 동계 올림픽에는 1972년에 처음 참가했다. 중화민국으로 참가하다가, 중화인민공화국과의 관계 및 명칭 문제로 인해 1984년부터 '중화 타이베이'라는 명칭과 기를 사용하게 되었다. 하계 올림픽에서는 총 43개의 메달을 획득했으며, 동계 올림픽에서는 메달을 획득하지 못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나라별 올림픽 정보 - 올림픽 독일 연합 선수단
올림픽 독일 연합 선수단은 1956년부터 1964년까지 서독과 동독의 연합으로 구성되어 올림픽에 참가했으며, 독일 선수단 승리 시 베토벤의 교향곡 9번을 연주하고 올림픽 국기를 사용했으며, 하계 올림픽에서 118개, 동계 올림픽에서 19개의 메달을 획득했다. - 나라별 올림픽 정보 - 올림픽 영국 선수단
영국은 하계 올림픽과 동계 올림픽에 모두 참가하며, 1896년 첫 근대 올림픽부터 모든 하계 올림픽에 참가했고, 하계 올림픽에서 금메달 298개, 동계 올림픽에서 금메달 12개를 획득했다. - 올림픽 선수단에 관한 - 2008년 하계 올림픽
2008년 하계 올림픽은 "하나의 세계, 하나의 꿈"이라는 표어 아래 중화인민공화국 베이징에서 204개국이 참가한 역대 최대 규모의 대회로, 28개 종목에서 302개의 메달을 놓고 경쟁했으며 중국이 금메달 1위를 차지했으나 인권, 환경, 도핑 문제 등 논란도 있었다. - 올림픽 선수단에 관한 - 1996년 하계 올림픽
1996년 하계 올림픽은 미국 애틀랜타에서 개최되어 26개 종목 271개 세부 종목으로 구성, 197개국이 참가했으나, 센테니얼 올림픽 공원 폭탄 테러 사건과 재정적 성공, 도시 인프라 개선이라는 양면성을 남겼다.
올림픽 중화 타이베이 선수단 | |
---|---|
올림픽 정보 | |
NOC | TPE |
NOC 이름 | 중화 타이베이 올림픽 위원회 |
웹사이트 | www.tpenoc.net 중국어/영어 |
참가 종류 | 올림픽 |
국기 설명 | 매화기 (중화 타이베이 올림픽 위원회기) |
이전 코드 | ROC |
총 메달 순위 | 63위 |
금메달 | 9 |
은메달 | 11 |
동메달 | 23 |
총 메달 | 43 |
올림픽 참가 역사 | |
하계 올림픽 첫 참가 | 1956년 |
동계 올림픽 첫 참가 | 1972년 |
하계 올림픽 참가 횟수 | 1956 1960 1964 1968 1972 1984 1988 1992 1996 2000 2004 2008 2012 2016 2020 2024 |
동계 올림픽 참가 횟수 | 1972 1976 1984 1988 1992 1994 1998 2002 2006 2010 2014 2018 2022 |
하계 청소년 올림픽 참가 횟수 | 2010 2014 2018 |
동계 청소년 올림픽 참가 횟수 | 2012 2016 2020 |
관련 항목 | |
이전 국가 | (1924–1948) |
1972년 이전 정보 | |
관련 참가국 | (1932-1972) |
2. 올림픽 참가 역사
중화민국은 1922년 국제 올림픽 위원회(IOC)에 가입하여, 1932년 로스앤젤레스 올림픽에 '중국'(Chinaeng)이라는 이름으로 처음 참가했다.[4]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1948년 런던 올림픽까지 중화민국으로 참가를 이어갔다. 그러나 1949년 국공 내전의 결과로 중화민국 정부가 타이완으로 이전하고 중국 대륙에 중화인민공화국이 수립되면서 상황은 복잡해졌다.
1952년 헬싱키 올림픽을 앞두고 IOC가 중화인민공화국의 참가를 허용하자 중화민국은 이에 반발하여 기권했다.[6][5] 이후 IOC 내에서 '두 개의 중국' 문제가 불거졌고, 중화인민공화국은 1956년 멜버른 올림픽 보이콧에 이어 1958년 IOC를 탈퇴했다.[16][8][9] 한편, 중화민국 선수단은 정치적 상황에 따라 참가 명칭이 여러 차례 변경되었으며('포르모사', '타이완' 등), 명칭 문제로 1976년 몬트리올 올림픽과 1980년 동·하계 올림픽을 보이콧하기도 했다.[17][10][11][13]
1979년 IOC는 나고야 결의를 통해 중화인민공화국의 중국 올림픽 위원회를 승인하는 대신, 타이완의 위원회는 '중화 타이베이 올림픽 위원회'라는 명칭을 사용하고 중화민국의 국기와 국가 사용은 금지하도록 결정했다.[9][16] 오랜 협상 끝에 1981년 IOC와 중화 타이베이 올림픽 위원회 간의 합의가 이루어졌고,[14] 1984년 사라예보 동계 올림픽부터 '중화 타이베이'(Chinese Taipeieng, TPE)라는 명칭과 중화 타이베이 올림픽 위원회기, 국가를 사용하며 올림픽에 복귀하여 현재에 이르고 있다. 이처럼 중화 타이베이 선수단의 올림픽 참가 역사는 양안 관계를 둘러싼 복잡한 국제 정치 상황과 밀접하게 얽혀 전개되어 왔다.
2. 1. 명칭 및 깃발 변천사
중화 타이베이 선수단은 중화민국 정부가 1922년 국제 올림픽 위원회(IOC)에 가맹하여 중화민국(Republic of China영어)으로서 1932년 로스앤젤레스 올림픽에 처음 참가했다.[4] 그 이전 대만일치시기에는 일본 제국 선수단의 일원으로 참가했다.[22] 이후 제2차 세계 대전을 거쳐 1948년 런던 올림픽까지 중화민국 명칭으로 참가를 이어갔다.1949년 국공 내전으로 중화민국 정부가 타이완으로 이전하고, 같은 해 중국 대륙에 중화인민공화국이 건국되면서 상황이 복잡해졌다.[5] 1952년 헬싱키 올림픽에서는 IOC가 중화인민공화국의 참가를 허용하자 중화민국 선수단은 이에 반발하여 기권했다.[6][5] 1954년 IOC는 중화인민공화국의 중국 올림픽 위원회를 공식 인정했고,[8][7] 이로 인해 IOC 내에 두 개의 중국 올림픽 위원회가 존재하게 되었다. 이에 1956년 멜버른 올림픽에는 중화민국이 '중화민국'(Republic of China영어, CHN 코드)으로 참가했으나, 중화인민공화국은 두 개의 중국 위원회가 있다는 것에 항의하며 불참했다.[8][7][16]
1959년 IOC는 중화민국 측에 중국 본토에 대한 통제권이 없으므로 더 이상 "중국 올림픽 위원회" 명칭을 사용할 수 없다고 통보했다.[9] 이에 따라 1960년 로마 올림픽에서는 타이완 섬의 별칭인 '포르모사'(Formosa영어, RCF 코드)라는 이름으로 참가해야 했다. 개회식에서는 이에 항의하는 의미로 "UNDER PROTEST|항의 중영어"이라고 적힌 피켓을 들고 입장했다.[17] 이후에도 명칭 논란은 계속되어, 1964년과 1968년에는 '타이완'(Taiwan영어, TWN 코드)으로 참가했고, 1972년과 1976년에는 다시 '중화민국'(Republic of China영어, ROC 코드) 명칭을 사용했다.
그러나 1976년 몬트리올 올림픽에서는 개최국 캐나다가 중화인민공화국을 유일한 합법 정부로 인정하면서 '중화민국' 명칭 사용을 불허했고, 결국 중화민국 선수단은 대회 참가를 보이콧했다.[10][11]
1979년 IOC는 나고야 결의를 통해 중화인민공화국의 중국 올림픽 위원회(中国奥林匹克委员会중국어, Chinese Olympic Committee영어)를 중국 대표로 공식 인정하고,[9] 타이완의 위원회는 '중화 타이베이 올림픽 위원회'(中華奧林匹克委員會중국어, Chinese Taipei Olympic Committee영어)로 명칭을 변경하도록 결정했다. 또한 중화민국의 국기와 국가 사용도 금지되었다.[16] 중화민국 측은 이 결정에 반발하여 1980년 레이크플래시드 동계 올림픽과 모스크바 하계 올림픽 참가를 보이콧했다.[13]
1981년, 당시 IOC 위원장 후안 안토니오 사마란치와 중화 타이베이 올림픽 위원회(CTOC) 위원장 선지아밍은 스위스 로잔에서 협약을 체결했다.[14] 이 협약을 통해 '중화 타이베이'(Chinese Taipei영어)라는 명칭과 함께 중화 타이베이 올림픽 위원회기 및 국가 사용이 합의되었다. 이에 따라 1984년 사라예보 동계 올림픽부터 '중화 타이베이'(TPE 코드)라는 명칭과 새로운 기, 국가를 사용하며 올림픽에 복귀하게 되었다.
영어 명칭 'Chinese Taipei영어'의 한자 표기를 두고 중화인민공화국 측은 '중국 타이베이'(中国台北중국어)를 주장했으나,[18] 1989년 양측의 합의를 통해 '중화 타이베이'(中華台北중국어)로 결정되었다.
'''올림픽 참가 명칭 및 국기 변천사'''
연도 | 참가 명칭 (영문 약칭) | 사용기 |
---|---|---|
1924, 1932–1948 | 중화민국 (CHN) | -- |
1952 | 불참 (중화인민공화국 참가 허용에 반발) | |
1956 | 중화민국 (CHN) | -- |
1960 | 포르모사 (RCF) | -- (개회식에서 "UNDER PROTEST|항의 중영어" 피켓 사용) |
1964–1968 | 타이완 (TWN) | -- |
1972–1976 | 중화민국 (ROC) | -- |
1976 (하계), 1980 | 불참 (명칭 문제로 보이콧) | |
1984 이후 | 중화 타이베이 (TPE) | -- |
2. 2. 주요 사건
중화민국(ROC) 올림픽 팀의 명칭 변경 및 올림픽 인정과 관련된 주요 사건들은 다음과 같다.- 1922년: 중화전국체육협진회(中華全國體育協進會zho, China National Amateur Athletic Federationeng)가 국제 올림픽 위원회(IOC)로부터 중국의 국가 올림픽 위원회(NOC)로 승인받았다.[3]
- 1932년: 중화민국은 '중국'(Chinaeng)이라는 이름으로 1932년 로스앤젤레스 올림픽에 처음 참가했다.[4]
- 1949년: 국공 내전 이후 중화전국체육협진회가 타이완으로 이전했다.[5] 같은 해 중화인민공화국이 수립되었다.
- 1952년: IOC가 중화인민공화국(PRC)의 참가를 허용하자, 중화민국 팀은 헬싱키 올림픽 참가를 철회했다.[6][5]
- 1954년: IOC는 아테네 총회에서 중화인민공화국의 중국 올림픽 위원회를 공식적으로 인정하는 결의안을 채택했다. 이로써 두 개의 중국 올림픽 위원회가 공존하게 되었다.[8][7]
- 1956년: 중화민국은 1956년 멜버른 올림픽에 '중화민국'(Republic of Chinaeng)으로 참가했다. 중화인민공화국은 IOC에 두 개의 중국 NOC가 존재하는 것에 항의하며 올림픽을 보이콧했다.[8][7][16]
- 1958년: 중화인민공화국은 IOC를 포함한 모든 국제 스포츠 연맹에서 탈퇴했다.[8][9]
- 1959년: IOC는 중화민국 올림픽 위원회가 중국 본토를 대표하지 않으므로 '중국 올림픽 위원회'라는 명칭을 사용할 수 없다고 통보했다.[9]
- 1960년: 중화민국 위원회는 '중화민국 올림픽 위원회'(Republic of China Olympic Committeeeng)로 명칭이 변경되어 IOC의 승인을 받았다.[8] 그러나 1960년 로마 올림픽에서는 타이완의 별칭인 '포르모사'(Formosaeng, IOC 코드: RCF)라는 이름으로 참가해야 했다. 이에 항의하여 개회식에서 중화민국 선수단 기수는 국기 대신 "UNDER PROTESTeng"라고 적힌 피켓을 들고 입장했다.[17]
- 1963년: IOC는 '타이완'(Taiwaneng)이라는 명칭을 승인하고, 선수단 복장에 'ROC' 이니셜 사용을 허용했다.[8]
- 1968년: IOC는 1968년 올림픽 이후 타이완 팀이 다시 '중화민국'(Republic of Chinaeng) 명칭으로 참가하는 데 동의했다.[8]
- 1976년: 1976년 몬트리올 올림픽 개최국인 캐나다는 중화인민공화국을 중국의 유일한 합법 정부로 인정하고 있었기 때문에, '중화민국' 명칭 사용을 불허했다. 이에 중화민국은 올림픽 참가를 보이콧했다.[10][11]
- 1979년: IOC는 나고야 집행위원회 결의와 회원국 우편 투표를 통해 중화인민공화국의 중국 올림픽 위원회(中国奥林匹克委员会zho, Chinese Olympic Committeeeng)를 중국의 공식 대표로 승인하고 국제 올림픽 무대에 복귀시켰다.[9][12][16] 동시에 기존 중화민국 올림픽 위원회는 '중화 타이베이 올림픽 위원회'(中華奧林匹克委員會zho, Chinese Taipei Olympic Committeeeng)로 명칭이 변경되었으며, 중화민국의 국기와 국가 사용이 금지되었다.[16]
- 1980년: 중화민국은 IOC의 결정에 불복하여 1980년 레이크플래시드 동계 올림픽과 1980년 모스크바 하계 올림픽을 보이콧했다.[13]
- 1981년: IOC 사마란치 위원장과 중화 타이베이 올림픽 위원회(CTOC) 선지아밍(沈家銘zho) 위원장이 스위스 로잔에서 협약을 체결했다.[14] 이 협약을 통해 CTOC의 공식 명칭, 새로운 깃발, 문장이 확정되었다. 명칭은 '중화 타이베이'(Chinese Taipeieng)로 합의되었다.
- 1984년: 중화 타이베이는 1984년 사라예보 동계 올림픽에 새로운 명칭과 깃발로 처음 참가하며 올림픽 무대에 복귀했다.
- 1989년: 중화인민공화국은 하나의 중국 원칙에 따라 '중국 타이베이'(中国台北zho) 표기를 주장했으나, 양안 간 합의를 통해 '중화 타이베이'(中華台北zho)로 한자 표기가 확정되었다.[18]
2. 3. 대한민국과의 관계
대한민국은 1992년 중화인민공화국과 수교하면서 '하나의 중국' 원칙을 존중하여 중화민국(대만)과 공식적인 외교 관계를 단절하였다. 하지만 단교 이후에도 양측은 비공식적인 관계를 유지하며 다양한 분야에서 교류를 이어왔다. 특히 스포츠 분야를 포함한 민간 교류는 꾸준히 발전해 왔다.대한민국 정부는 중화 타이베이 명칭을 사용하는 대만 선수단의 올림픽 참가를 지지하고 있다. 올림픽을 비롯한 여러 국제 스포츠 대회에서 양측 선수들은 서로 존중하며 선의의 경쟁을 펼치고 있다. 대표적으로 2018 평창 동계 올림픽에 중화 타이베이 선수단이 참가하여, 양측 간 스포츠 교류의 중요성을 다시 한번 확인하는 계기가 되었다. 이러한 교류는 공식적인 외교 관계 부재 속에서도 우호적인 관계를 유지하는 데 기여하고 있다.
3. 올림픽 메달
근대 올림픽에서의 국가별 메달 집계
3. 1. 하계 올림픽
중화 타이베이 선수단은 하계 올림픽에 꾸준히 참가해왔다. 초기에는 일본 제국의 일부인 일본령 타이완 소속으로 1924 파리부터 1936 베를린까지 참가했으며, 1948 런던에는 중화민국의 일부로 참가했다.[15] 1952 헬싱키에는 불참했으나, 1956 멜버른부터 다시 참가하기 시작했다.첫 메달은 1960 로마에서 나왔다. 양추안광 선수가 육상 남자 십종경기에서 은메달을 획득하며 중화민국(당시 명칭)에 첫 올림픽 메달을 안겼다. 이후 1968 멕시코시티에서는 청쯔 선수가 육상 여자 80m 허들에서 동메달을 추가했다.
정치적인 이유로 1976 몬트리올과 1980 모스크바에는 불참했다. 1984 로스앤젤레스부터는 '중화 타이베이'라는 명칭으로 올림픽에 참가하고 있으며, 해당 대회에서 차이원이 선수가 역도 남자 60kg급에서 동메달을 획득했다.
2004 아테네에서는 역사적인 첫 금메달이 나왔다. 태권도 종목에서 천스신(여자 플라이급) 선수와 추무옌(남자 플라이급) 선수가 나란히 금메달을 목에 걸었다.
역대 최고 성적은 2020 도쿄에서 기록했다. 이 대회에서 금메달 2개, 은메달 4개, 동메달 6개를 합쳐 총 12개의 메달을 획득했다. 중화 타이베이 선수단은 주로 역도, 태권도, 양궁, 배드민턴, 탁구 등의 종목에서 강세를 보여왔다.
3. 1. 1. 하계 올림픽 메달 집계
wikitext경기 | 선수 | 금메달 | 은메달 | 동메달 | 합계 | 순위 | |
---|---|---|---|---|---|---|---|
1924 파리 | -- 일본의 일부로 참가 | ||||||
1932 로스앤젤레스 | |||||||
1936 베를린 | |||||||
1948 런던 | -- 중화민국의 일부로 참가 [15] | ||||||
1952 헬싱키 | 불참 | ||||||
1956 멜버른 | 13 | 0 | 0 | 0 | 0 | – | |
1960 로마 | 27 | 0 | 1 | 0 | 1 | 32 | |
1964 도쿄 | 40 | 0 | 0 | 0 | 0 | – | |
1968 멕시코시티 | 43 | 0 | 0 | 1 | 1 | 42 | |
1972 뮌헨 | 21 | 0 | 0 | 0 | 0 | – | |
1976 몬트리올 | 불참 | ||||||
1980 모스크바 | |||||||
1984 로스앤젤레스 | 38 | 0 | 0 | 1 | 1 | 43 | |
1988 서울 | 61 | 0 | 0 | 0 | 0 | – | |
1992 바르셀로나 | 37 | 0 | 1 | 0 | 1 | 49 | |
1996 애틀랜타 | 74 | 0 | 1 | 0 | 1 | 61 | |
2000 시드니 | 74 | 0 | 1 | 4 | 5 | 58 | |
2004 아테네 | 89 | 2 | 2 | 1 | 5 | 31 | |
2008 베이징 | 80 | 1 | 1 | 2 | 4 | 45 | |
2012 런던 | 44 | 1 | 0 | 1 | 2 | 49 | |
2016 리우데자네이루 | 58 | 1 | 0 | 2 | 3 | 50 | |
2020 도쿄 | 68 | 2 | 4 | 6 | 12 | 34 | |
2024 파리 | 60 | 2 | 0 | 5 | 7 | 35 | |
2028 로스앤젤레스 | 개최 예정 | ||||||
2032 브리즈번 | 개최 예정 | ||||||
합계 | 9 | 11 | 23 | 43 | 63 |
종목 | 금메달 | 은메달 | 동메달 | 합계 |
---|---|---|---|---|
역도 | 4 | 2 | 5 | 11 |
태권도 | 2 | 1 | 6 | 9 |
배드민턴 | 2 | 1 | 0 | 3 |
복싱 | 1 | 0 | 3 | 4 |
양궁 | 0 | 2 | 2 | 4 |
탁구 | 0 | 1 | 2 | 3 |
육상 | 0 | 1 | 1 | 2 |
체조 | 0 | 1 | 1 | 2 |
야구 | 0 | 1 | 0 | 1 |
유도 | 0 | 1 | 0 | 1 |
골프 | 0 | 0 | 1 | 1 |
가라테 | 0 | 0 | 1 | 1 |
사격 | 0 | 0 | 1 | 1 |
합계 | 9 | 11 | 23 | 43 |
3. 1. 2. 하계 올림픽 종목별 메달 집계
종목 | 금메달 | 은메달 | 동메달 | 합계 |
---|---|---|---|---|
역도 | 4 | 2 | 5 | 11 |
태권도 | 2 | 1 | 6 | 9 |
배드민턴 | 2 | 1 | 0 | 3 |
복싱 | 1 | 0 | 3 | 4 |
양궁 | 0 | 2 | 2 | 4 |
탁구 | 0 | 1 | 2 | 3 |
육상 | 0 | 1 | 1 | 2 |
체조 | 0 | 1 | 1 | 2 |
야구 | 0 | 1 | 0 | 1 |
유도 | 0 | 1 | 0 | 1 |
골프 | 0 | 0 | 1 | 1 |
가라테 | 0 | 0 | 1 | 1 |
사격 | 0 | 0 | 1 | 1 |
합계 | 9 | 11 | 23 | 43 |
3. 2. 동계 올림픽
중화 타이베이 선수단은 1972년 삿포로 동계 올림픽에 처음 참가한 이래 꾸준히 동계 올림픽에 선수단을 파견해왔다. 다만, 1980년 레이크플래시드 동계 올림픽은 정치적인 이유로 보이콧하여 참가하지 않았다. 현재까지 동계 올림픽에서 획득한 메달은 없다.개최 올림픽 | 선수 | 금 | 은 | 동 | 합계 | 순위 |
---|---|---|---|---|---|---|
1972 삿포로 | 5 | 0 | 0 | 0 | 0 | – |
1976 인스브루크 | 6 | 0 | 0 | 0 | 0 | – |
1980 레이크플래시드 | 보이콧 | |||||
1984 사라예보 | 12 | 0 | 0 | 0 | 0 | – |
1988 캘거리 | 13 | 0 | 0 | 0 | 0 | – |
1992 알베르빌 | 8 | 0 | 0 | 0 | 0 | – |
1994 릴레함메르 | 2 | 0 | 0 | 0 | 0 | – |
1998 나가노 | 7 | 0 | 0 | 0 | 0 | – |
2002 솔트레이크시티 | 6 | 0 | 0 | 0 | 0 | – |
2006 토리노 | 1 | 0 | 0 | 0 | 0 | – |
2010 밴쿠버 | 1 | 0 | 0 | 0 | 0 | – |
2014 소치 | 3 | 0 | 0 | 0 | 0 | – |
2018 평창 | 4 | 0 | 0 | 0 | 0 | – |
2022 베이징 | 4 | 0 | 0 | 0 | 0 | – |
2026 밀라노-코르티나담페초 | 미래 대회 | |||||
합계 | 0 | 0 | 0 | 0 | – |
참조
[1]
문서
Republic of China at the 1924 Summer Olympics
[2]
서적
Les Jeux de la VIIIe Olympiade Paris 1924 – Rapport Officiel
http://www.la84found[...]
Librairie de France
2012-10-16
[3]
웹사이트
奧會簡介
2022-07-09
[4]
웹사이트
X Olympiad Los Angeles 1932 Official Report
http://www.la84found[...]
2022-07-09
[5]
논문
The "Two-Chinas" Problem and the Olympic Formula
https://www.jstor.or[...]
2022-07-09
[6]
웹사이트
The Official Report of the Organising Committee for the Games of the XV Olympiad Helsinki 1952
http://www.la84found[...]
Werner Soderstrom Osakeyhtio
[7]
웹사이트
10th–15th Olympic Summer Games: 1936–1952
http://en.olympic.cn[...]
2004-03-30
[8]
뉴스
The Latest Threat to the Olympics - And its all over a name
The Times
1976-07-10
[9]
간행물
Globalization is not a Dinner Party: He Zhenliang and China's 30-Year Struggle for Recognition by the International Olympic Committee
https://digital.la84[...]
LA84 Foundation
2022-07-09
[10]
논문
Side-Swiped: the IOC and the China Issue at the 1976 Montreal Olympic Games
https://isoh.org/wp-[...]
2022-07-09
[11]
논문
Side-Swiped: the IOC and the China Issue at the 1976 Montreal Olympic Games Part 2
https://isoh.org/wp-[...]
2022-07-09
[12]
논문
China and the Five Rings
https://library.olym[...]
2022-07-09
[13]
논문
Reconsidering the 1980 Moscow Olympic Boycott: American Sports Diplomacy in East Asian Perspective
https://www.jstor.or[...]
2022-07-09
[14]
웹사이트
1981 Agreement with IOC
https://drive.google[...]
2022-07-09
[15]
웹사이트
Chen Yinglang
https://www.olympedi[...]
2022-07-09
[16]
뉴스
中国のIOC脱退(五輪百話:62)
朝日新聞
1996-05-03
[17]
url
http://www.la84found[...]
[18]
문서
返還された香港の名称は「中國香港(Hong Kong, China)」である。
[19]
웹사이트
Team Chinese Taipei - Profile {{!}} Tokyo 2020 Olympics
https://olympics.com[...]
2021-08-27
[20]
문서
중국은 개막식에는 참가했으나, 4명의 선수(모두 테니스 선수)는 경기에는 불참했다.
[21]
서적
Les Jeux de la VIIIe Olympiade Paris 1924 – Rapport Officiel
http://www.la84found[...]
Librairie de France
2012-10-16
[22]
문서
중국이 계속 통치한 진먼과 마쭈 열도를 제외한 대만은 1945년 일본에 승리 후 중국이 되찾았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