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한 하위징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요한 하위징아는 네덜란드의 역사가이자 문화사학자로, 1872년에 태어나 1945년에 사망했다. 그는 비교언어학을 전공하고, 중세와 르네상스 시대를 연구하며, 예술과 놀이가 인간 문화에 미치는 영향에 주목했다. 주요 저서로는 《중세의 가을》과 《호모 루덴스》가 있으며, 나치즘에 대한 비판적인 입장을 보이기도 했다. 그의 저작은 한국에도 번역, 소개되어 중세사 연구와 '놀이'에 대한 새로운 관점에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네덜란드의 철학자 - 바뤼흐 스피노자
바뤼흐 스피노자는 네덜란드의 철학자로, 일원론적 범신론, 코나투스 개념, 심신평행론을 특징으로 하는 철학을 펼쳤으며 《에티카》, 《신학정치론》 등의 저서를 통해 후대에 큰 영향을 미쳤다. - 네덜란드의 철학자 - 후고 그로티우스
후고 그로티우스는 국제법의 아버지로 불리며, 자연법에 기초한 국제법을 주창하고 《전쟁과 평화의 법》 등의 저서를 통해 전쟁의 정당한 이유와 바다의 자유로운 이용을 주장했다. - 네덜란드의 역사가 - 마르크 뤼터
마르크 뤼터는 네덜란드 총리를 역임하고 북대서양 조약 기구 사무총장으로 재직하며, 자유민주국민당 대표를 지냈고, 긴축 재정 정책을 추진하다 2023년 사임했다. - 네덜란드의 역사가 - 아브라함 카이퍼
아브라함 카이퍼는 신칼뱅주의를 주창하고 영역 주권 사상을 발전시킨 네덜란드의 신학자이자 정치인, 언론인으로 암스테르담 자유대학교를 설립하고 네덜란드 총리를 역임했으며, 기독교적 가치관에 기초한 사회 보수주의를 주창하며 네덜란드 사회에 큰 영향을 미쳤다. - 흐로닝언 출신 - 다니엘 베르누이
다니엘 베르누이는 스위스 출신의 수학자, 물리학자, 의사로 유체역학, 특히 베르누이 원리로 유명하며, 유체 운동 이론 제시, 기대효용 이론 연구, 천연두 예방 접종 효과 분석 등 다양한 학문 발전에 기여했다. - 흐로닝언 출신 - 헤이커 카메를링 오너스
헤이커 카메를링 오너스는 네덜란드의 물리학자로, 저온 물리학 연구의 선구자로서 1908년 세계 최초로 헬륨 액화에 성공하고 1911년 수은의 초전도 현상을 발견하여 1913년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했으며, 라이덴 대학교에서 저온 연구소를 설립하여 과학 발전에 기여한 공로로 그의 이름이 여러 곳에 기념되었다.
요한 하위징아 |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요한 하위징아 |
출생일 | 1872년 12월 7일 |
출생지 | 흐로닝언, 네덜란드 |
사망일 | 1945년 2월 1일 |
사망지 | 데 스테흐, 네덜란드 |
국적 | 네덜란드 |
직업 | 역사학자, 교수, 작가 |
학문 분야 | 역사학, 문화사 |
근무지 | 흐로닝언 대학교 (1905년–1923년) 레이던 대학교 (1915년–1942년) |
학위 | 박사 (흐로닝언 대학교, 1897년) |
영향 받은 인물 | 야코프 부르크하르트 |
주요 저서 | 중세의 가을 (1919년) 호모 루덴스 (1938년) 17세기 네덜란드 문명 (1941년) |
수상 | D.A. Thiemeprijs |
학회 활동 | |
소속 학회 | 왕립 과학 아카데미 |
교육 | |
출신 학교 | 흐로닝언 대학교 |
경력 |
2. 생애
요한 하위징아는 16세기 이래 재세례파 목사 가문 출신이었으나, 아버지와 맏형은 의학을 전공하여 가문의 전통을 깨뜨렸다. 하위징아는 자연과학에 흥미가 없었고, 문학, 미술, 역사에 재능을 보였다. 1891년 흐로닝언 대학에서 비교언어학을 전공하고, 라이프치히 대학교에서 유학 후, 1897년 학위를 받았다. 할렘의 고등학교 역사 교사, 1903년 암스테르담 대학교 사강사를 거쳐, 1905년 흐로닝언 대학교 역사학 교수가 되었다. 1915년 레이던 대학교 교수로 옮겨 1940년 독일 점령군에 의해 강제 폐쇄될 때까지 재직했다. 암스테르담 왕립 과학 아카데미 언어학부 및 사학부 부장을 역임했으며, 1902년 중세 및 르네상스 시대로 관심을 옮겼다. 1942년 나치에 구금되었다가 석방된 후, 아른헴 근처 데 스테흐에서 동료 루돌프 클레베링가의 집에서 살다가 1945년 사망했다.[3] 외흐스트게이스트의 개혁 교회 묘지에 안장되었다.[4]
2. 1. 초기 생애와 교육


1872년 네덜란드 흐로닝언에서 생리학 교수였던 아버지 디르크 하위징아와 어머니 야코바 통켄스 사이에서 태어났다.[1] 그의 집안은 16세기 이래 재세례파 목사를 배출한 가문이었으나, 아버지와 맏형은 의학을 전공하였다. 하위징아는 어릴 때부터 문학, 미술, 역사에 재능을 보였다.
1891년 흐로닝언 대학교에서 비교언어학을 전공하고, 라이프치히 대학교에서 유학하였다. 1895년 인도유럽어족을 공부하였고, 산스크리트어를 능숙하게 구사하게 되었다. 1897년 인도 드라마의 광대 역할에 관한 논문으로 박사 학위를 취득하였다.[2] 이후 하를럼의 실과 고등학교에서 역사를 가르쳤다(1905년까지).
2. 2. 학문적 경력
1897년 할렘의 고등학교 역사 교사로 근무하였다.[20] 1903년 암스테르담 대학교의 사강사를 겸임, 브라만교, 불교를 강의하였다. 1905년 흐로닝언 대학교의 역사학 교수로 취임하였다.[20] 1915년 레이던 대학교로 옮겨 1940년 독일 점령군에 의해 강제로 폐쇄될 때까지 근무하였다.[20] 1916년에는 네덜란드 왕립 예술 과학 아카데미의 회원이 되었다.[2]1929년, 네덜란드 왕립 예술 과학 아카데미 역사·문학 부문 주석이 되었다. 1932년, 레이던 대학교 학장이 되었다. 1936년, 국제 연맹 지적 협동 국제 위원회 위원이 되었고, 1938년에는 동 부의장이 되었다.
1942년, 그는 1930년대에 파시즘에 대해 쓴 글과 일관되게 그의 조국을 점령한 독일군에 대해 비판적인 발언을 했다. 그는 1942년 8월부터 10월까지 나치 독일에 구금되었다. 석방된 후 그는 레이던으로 돌아가는 것이 금지되었다.[3]
2. 3. 나치 치하의 저항과 죽음
1930년대부터 파시즘과 나치즘에 대한 비판적인 글을 발표했다.[3] 1942년, 나치 독일을 비판한 혐의로 체포되어 강제 수용소에 수감되었다.[3] 1942년 8월부터 10월까지 나치 독일에 구금되었다.[3] 석방 후 레이던으로 돌아가는 것이 금지되었고, 사실상 연금 상태에 놓였다.[3] 이후 아른헴 근처 겔더란트의 데 스테흐에서 동료 루돌프 클레베링가의 집에서 살다가, 1945년 네덜란드 해방 직전에 사망했다.[3] 그의 유해는 외흐스트게이스트의 개혁 교회 묘지에 안장되었다.[4]3. 주요 연구 및 업적
요한 하위징아는 역사에 예술과 볼거리가 중요한 역할을 하는 미학적 접근 방식을 적용했다. 그의 대표적인 작품으로는 《중세의 가을》(1919), 《에라스무스》(1924), 《호모 루덴스》(1938) 등이 있다.
하위징아는 독일에서 국가 사회주의가 부상하는 것을 경계하며 여러 문화 비평 작품을 썼다. 그는 기술적이고 기계적인 조직 정신이 문화적, 정치적 삶에서 자발적이고 유기적인 질서를 대체했다고 주장했다. 그의 분석은 호세 오르테가 이 가세트와 오스발트 슈펭글러와 같은 동시대 비평가들의 분석과 많은 유사점이 있다.
하위징아 강연 (Huizingalezingnl)은 요한 하위징아를 기리기 위해 문화사 또는 철학 분야의 주제에 대해 네덜란드에서 열리는 권위 있는 연례 강연이다.[5]
요한 하위징아의 기록 보관소와 논문은 라이덴 대학교 도서관의 특별 컬렉션에 보관되어 있으며 디지털 컬렉션에서도 열람할 수 있다.[6] 전체 목록이 출판되었다.[7]
에라노스 회의를 통해 카를 케레니 등 신화학자들과 교류했다.
3. 1. 《중세의 가을》 (1919)
요한 하위징아의 가장 유명한 작품은 《중세의 가을》(1919)이다. 이 책에서 하위징아는 14-15세기 부르고뉴 공국의 문화를 고찰했으며, 야코프 부르크하르트의 르네상스관에 의문을 제기했다. 그는 책의 제8장에서 놀이와 진지함이 뚜렷하게 구분되지 않는 기독교 사회에서 음란한 말과 은어가 모두 민족적 배경을 기반으로 하며, 귀족 문화의 성숙을 상징한다고 칭송했다.[7]3. 2. 《호모 루덴스》 (1938)
하위징아는 1938년 《호모 루덴스》(Homo Ludensla)에서 놀이가 인간 문화의 주요 형성 요소일 가능성을 논했다. 그는 인간의 본질을 "유희"에서 찾아 이 책을 저술하였다.[7]3. 3. 기타 연구
- 《에라스무스》(1924): 르네상스 시대의 인문주의자 에라스무스의 생애와 사상을 다룬 평전이다.
- 《문화사에의 길》(1930)
- 《호모 루덴스》(1938): 놀이가 인간 문화의 주요 형성 요소일 가능성을 제시하고, 인간의 본질을 "유희"에서 찾았다.
- 독일에서 국가 사회주의의 부상을 경계하며 여러 문화 비평 작품을 썼다. 기술적이고 기계적인 조직 정신이 문화적, 정치적 삶에서 자발적이고 유기적인 질서를 대체했다고 주장했다. 그의 분석은 호세 오르테가 이 가세트와 오스발트 슈펭글러와 같은 동시대 비평가들의 분석과 많은 유사점이 있다.
- 에라노스 회의를 통해 신화학자 카를 케레니 등과 교류했다.
- 미국 역사와 17세기 네덜란드 역사에 관한 책을 출판했다.
4. 평가 및 영향
하위징아는 자서전 《역사에의 나의 길(1947)에서 자신을 인식론적·철학적 흥미가 부족한 "정신적 반맹인(半盲人)"이라고 표현했지만, 개인 영혼의 감동과 공명이 역사학적 인식의 핵심이라고 믿었다. 그는 꿈이나 환상, 아름다운 생활에의 동경이 문화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강조한 매우 개성적인 문화사가(文化史家)이다.[20]
5. 한국에의 소개와 영향
하위징아는 네덜란드의 동양어·산스크리트어 학자인 라델 교수의 고찰을 통해 일본어에 관한 고찰을 언급하고 있다. 그는 일본어가 중국어와는 대조적이며, 반면에 현대 서양어와 매우 흡사하다고 말한다.
하위징아의 저작은 일본어로 번역된 것도 많다. 중세의 가을의 번역자이자 하위징아 연구의 권위자인 호리코시 코이치는 하위징가의 상징적 암시가 가진 위대한 매력에 사로잡혔다고 말했다.
6. 저서 목록
- 《아메리카의 인간과 대중》 (1918)
- 《중세의 가을》 (1919)
- 《로테르담의 에라스뮈스》 (1924)
- 《아메리카, 살아있고 생각하다》 (1926)
- 《얀 페트의 삶과 작품》 (1927)
- 《문화사적 탐구》 (1929)
- 《문화사에의 길》 (1930)
- 《내일의 그림자 속에서》 (1935)
- 《역사학》 (1937)
- 《호모 루덴스, 문화 속 유희적 요소 연구》 (1938)
- 《17세기의 네덜란드 문명》 (1941)
- 《훼손된 세계》 (1946, 사후 출판)
- 《유럽 역사 속의 애국심과 민족주의》
- 《사람과 사상. 역사, 중세, 르네상스. 에세이》 (1959)
참조
[1]
웹사이트
Johan Huizinga
https://web.archive.[...]
Kuusankoski Public Library
[2]
웹사이트
J. Huizinga (1872 - 1945)
http://www.dwc.knaw.[...]
Royal Netherlands Academy of Arts and Sciences
2015-07-21
[3]
웹사이트
Huizinga, Johan (1872-1945)
http://resources.huy[...]
2013-11-12
[4]
뉴스
Bijna vergeten waren ze, de rustplaatsen van roemruchte voorvaderen
Trouw (Dutch newspaper)
2005-09-09
[5]
간행물
Huizinga-lezing
https://web.archive.[...]
Universiteit Leiden
[6]
웹사이트
Huizinga Papers
https://digitalcolle[...]
[7]
웹사이트
Johan Huizinga archive
https://collectiongu[...]
[8]
웹사이트
ネイティヴによる「Johan Huizinga」の発音
http://ja.forvo.com/[...]
Forvo
2014-04-01
[9]
서적
色で読む中世ヨーロッパ
講談社
[10]
서적
身体が語る人間の歴史 人類学の冒険
筑摩書房
[11]
웹사이트
コトバンク > 大辞林 第三版 > ホモルーデンスとは
https://kotobank.jp/[...]
[12]
문서
②は他に、人間と文化/バーナード・ショウの聖女/ロマン主義の諸テーマについての小さな対話
[13]
문서
③は他に、天使と闘う二人/歴史とは何か/歴史学の成立/三人の歴史家/ホイジンガ自伝
[14]
문서
④は他に、ルネサンスの問題/オランダはいかにして一つの国民となったか/エラスムス ほか
[15]
문서
⑤は他に、アメリカの精神/ヴァン・エイクの芸術
[16]
문서
創文社は、度々再版。河出版「選集6」と同一訳。
[17]
문서
責任編集・解説は堀米庸三。1971年に単行版、1979年に新装版「中公バックス 世界の名著 67 ホイジンガ」が刊(版は同一)
[18]
문서
「選集1」の単行版
[19]
문서
講談社「創文社オンデマンド叢書」で再刊
[20]
웹사이트
세계사상> 서양의 사상> 현대의 사상> 호이징가
http://donation.enc.[...]
글로벌세계대백과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