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바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우리 바다"는 고대 로마 시대에 티레니아해를 지칭하며 시작되어, 로마 제국 확장과 함께 지중해 전체를 가리키는 용어로 사용되었다. 1861년 이탈리아 통일 이후에는 로마 제국 계승을 주장하는 이탈리아 민족주의자들이 이 용어를 부활시키려 했으며, 특히 식민 제국 건설 운동과 파시스트 정권의 지중해 패권 추구 과정에서 중요한 의미를 갖게 되었다. 현대에는 문학 작품, 학술 회의, 그리고 2013년 이탈리아 정부의 난민 구조 작전인 "마레 노스트룸 작전" 등에서 다양한 맥락으로 사용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고대 로마의 지리 - 콜로니아 (고대 로마)
콜로니아는 고대 로마가 정복 지역을 관리하고 로마 시민을 정착시키기 위해 건설한 도시로, 로마 공화국 시대에는 군사적 목적, 제정 시대에는 퇴역 군인의 정착을 위해 활용되었으며 로마의 지배를 강화하고 로마 문화를 전파하는 데 기여했다. - 고대 로마의 지리 - 아그리 데쿠마테스
아그리 데쿠마테스는 로마 제국 시대 라인 강과 도나우 강 사이 독일 남서부 지역으로, 로마에 점령되어 약 200년간 지배를 받았으며, 로마 제국에 전략적으로 중요하고 곡물을 공급하는 역할을 했다. - 지중해의 역사 - 코르도바 칼리파국
코르도바 칼리파국은 756년 우마이야 왕조의 후예가 건국하여 929년 칼리파국으로 발전, 10세기 서유럽 최대 도시 코르도바를 중심으로 번영을 누리다 1031년 멸망한 이슬람 왕국이다. - 지중해의 역사 - 히타이트
히타이트는 기원전 2000년경 소아시아에서 번성한 고대 국가 및 문명으로, 아나톨리아 고원을 중심으로 강력한 왕국을 건설하고 하투사스를 수도로 삼았으며, 고왕국, 중왕국, 신왕국 시대로 나뉘어 설형 문자와 히타이트어를 사용하며 고대 오리엔트 세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다. - 이탈리아 파시즘 - 로마 진군
로마 진군은 1922년 베니토 무솔리니가 이끄는 파시스트들이 로마로 진군하여 권력을 장악한 사건으로, 이탈리아의 사회적 혼란 속에서 파시즘 세력을 확장한 무솔리니가 국왕으로부터 권력을 이양받아 파시스트당이 정권을 잡는 계기가 되었다. - 이탈리아 파시즘 - 이탈리아 제국
이탈리아 제국은 19세기 말 이탈리아 통일 후 유럽 열강의 식민지 쟁탈전에 참여하여 아프리카, 유럽, 아시아 일부를 지배했으나, 2차 세계 대전에서 패배하며 식민지를 상실하고 해체된 제국주의의 팽창과 몰락 사례이다.
우리 바다 |
---|
2. 고대 로마 시대
고대 로마는 포에니 전쟁을 통해 시칠리아, 사르데냐, 코르시카를 점령한 후 티레니아해를 "우리 바다"라고 불렀다. 기원전 30년 경 로마의 세력권이 이베리아반도부터 이집트까지 확대됨에 따라 "우리 바다"가 지중해 전체를 가리키는 이름으로 사용되기 시작하였다.[2] 이 시기 내해(Mare Internum|마레 인테르눔la)라는 이름도 병행하여 사용되었으나, 지중해(Mare Mediterraneum|마레 메디테라네움la)라는 이름은 로마의 몰락 이후부터 등장하였다.[3]
2. 1. 포에니 전쟁과 티레니아해
고대 로마는 포에니 전쟁을 통해 시칠리아, 사르데냐, 코르시카를 점령한 후 티레니아해를 "우리 바다"라고 불렀다.[2]2. 2. 로마 제국의 확장과 지중해
당초 "우리 바다"라는 이름은 고대 로마에서 포에니 전쟁을 통해 시칠리아, 사르데냐, 코르시카를 점령한 후 티레니아해를 지칭하는 데 사용하였다. 기원전 30년 경 로마의 세력권이 이베리아반도부터 이집트까지 확대됨에 따라 "우리 바다"가 지중해 전체를 가리키는 이름으로 사용되기 시작하였다.[2] 이 시기 내해(Mare Internum|마레 인테르눔la)라는 이름도 병행하여 사용되었으나, 지중해(Mare Mediterraneum|마레 메디테라네움la)라는 이름은 로마의 몰락 이후부터 등장하였다.[3]
3. 이탈리아 민족주의와 제국주의
1861년 리소르지멘토 이후 이탈리아를 로마 제국의 계승국이라고 주장한 이탈리아 민족주의자들은 "우리 바다"라는 용어를 다시 사용하고자 하였다.[1] 1880년대 아프리카 분할 이후 이탈리아 식민 제국을 설립하자는 운동이 벌어지면서, '우리 바다'가 무엇을 뜻하는지에 대한 개념이 근대에 최초로 정립되었다.[4]
3. 1. 리소르지멘토와 로마 제국의 계승
1861년 리소르지멘토 이후 이탈리아를 로마 제국의 계승국이라고 주장한 이탈리아 국민주의자들은 "우리 바다"라는 용어를 다시 살리고자 하였다.[1] 특히 1880년대 아프리카 분할 이후 이탈리아 식민 제국을 설립하자는 운동이 벌어지며 근대 최초로 "우리 바다"가 무엇을 뜻하는지에 대한 개념이 정립되었다.[4]
3. 2. 이탈리아 식민 제국 건설 운동
1861년 리소르지멘토 이후 이탈리아를 로마 제국의 계승국이라고 주장한 이탈리아 국민주의자들은 "우리 바다"라는 용어를 다시 살리고자 하였다.[1] 특히 1880년대 아프리카 분할 이후 이탈리아 식민 제국을 설립하자는 운동이 벌어지며 근대 최초로 "우리 바다"가 무엇을 뜻하는지에 대한 개념이 정립되었다.[4]"이탈리아령 트리폴리타니아가 사막이라도, 이탈리아 농민 단 한 명이나 이탈리아 사업체 단 하나조차 지원하지 못하더라도, "우리 바다"에서 질식하는 것을 막기 위해 우리가 가져야 합니다." - 에밀리오 루피[5]
4. 파시즘 정권의 지중해 패권 추구
베니토 무솔리니는 지중해를 '우리 바다'라고 부르며, 로마 제국의 영광을 재현하고 지중해 패권을 추구했다. 무솔리니는 "20세기는 이탈리아의 세기"라고 선언하며 강력한 해군을 건설했다.[7]
제2차 세계 대전 발발 직후, 이탈리아는 지중해 중앙의 남북 해안을 통제하는 강력한 해상 국가였다. 프랑스 항복 후, 영국 지중해 함대만이 이탈리아의 유일한 적이었다. 이탈리아는 그리스, 몰타, 알바니아, 유고슬라비아, 이집트를 침공하여 세력을 넓히려 했고, 튀르키예 등 중립국도 위협을 느꼈다. 그러나 지중해 전구에서의 저항과 지중해 해전 패배로 이탈리아의 꿈은 좌절되었고, 1943년 9월 이탈리아는 항복했다.
4. 1. 무솔리니의 '로마 제국 부활' 선전
베니토 무솔리니는 아돌프 히틀러의 레벤스라움과 유사하게 파시즘 선전을 하며 "우리 바다"라는 용어를 다시 사용하였다. 무솔리니는 '로마 제국의 영광'을 다시 실현하고자 하였으며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지중해에서 가장 강력한 나라는 이탈리아라고 믿었다.[6] 그는 "20세기는 이탈리아의 세기"라고 선언한 후 지중해의 제해권을 장악하기 위해 강력한 해군을 건설하였다.[7]4. 2. 제2차 세계 대전과 지중해 전역
"우리 바다"는 베니토 무솔리니가 아돌프 히틀러의 레벤스라움과 유사한 파시즘 선전을 하며 다시 등장하였다. 무솔리니는 '로마 제국의 영광'을 다시 실현하고자 하였으며,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지중해에서 가장 강력한 나라는 이탈리아라고 믿었다.[6] 무솔리니는 "20세기는 이탈리아의 세기"라고 선언한 후 지중해의 제해권을 장악하기 위해 강력한 해군을 건설하였다.[7]
제2차 세계 대전 발발 직후 이탈리아는 지중해 중앙의 남북 해안을 동시에 통제하는 강력한 해상 국가로 부상하였으며, 프랑스의 항복 후 지중해에 남은 이탈리아의 적은 몰타, 이집트, 지브롤터, 키프로스, 팔레스타인에 주둔하고 있던 영국 지중해 함대밖에 없었다. 이탈리아는 지중해에서의 추축국 세력을 넓히기 위해 그리스, 몰타, 알바니아, 유고슬라비아, 이집트를 침공하였으며, 이로 인해 튀르키예 등 중립국이 위협을 느끼기도 하였다. 하지만 지중해 전구에서의 저항과 지중해 해전 패배를 통해 이 이상은 결국 실현되지 못하였으며, 1943년 9월 이탈리아가 항복하며 끝을 맞았다.
5. 현대적 사용
스페인 소설가 빈센트 블라스코 이바네스는 1918년 마레 노스트룸(Mare Nostrumes)을 출판하였으며, 이 작품은 1948년 영화화되기도 하였다.
2013년 람페두사섬 이민선 난파 사고 이후, 이탈리아 정부는 지중해 보안 강화를 위해 난민 구조 및 난민 밀입국 주선자 체포를 목적으로 하는 마레 노스트룸 작전을 발령하였다.[9]
5. 1. 학술 회의
2012년 6월 사르데냐 칼리아리 대학교 법학부에서 열린 지중해 법령 및 문화 사회 콘퍼런스에서는 "우리 바다"를 주제로 정했는데,[8] 이는 지중해 국가 간 교류와 협력을 중심으로 지중해 문화의 다양성을 촉진하기 위한 의도였다.[8]5. 2. 마레 노스트룸 작전 (2013-2014)
스페인 소설가 빈센트 블라스코 이바네스가 1918년 출판한 소설 마레 노스트룸(Mare Nostrumes)은 1948년 영화화되기도 하였다.
2012년 6월 사르데냐의 칼리아리 대학교 법학부에서 열린 지중해 법령 및 문화 사회 컨퍼런스에서는 "우리 바다"를 테마로 정하고, 지중해 국가 간 교류와 협력을 통해 지중해 문화의 다양성을 증진하고자 하였다.[8]
2013년 람페두사섬 이민선 난파 사고 이후, 이탈리아 정부는 지중해 보안 강화를 위해 난민 구조 및 난민 밀입국 주선자 체포를 목적으로 하는 마레 노스트룸 작전을 발령하였다.[9]
5. 2. 1. 작전의 배경과 목적
2013년 람페두사섬 이민선 난파 사고 이후, 이탈리아 정부는 지중해 보안 강화를 위해 난민 구조 및 난민 밀입국 주선자 체포를 목적으로 하는 마레 노스트룸 작전을 발령하였다.[9]
5. 2. 2. 작전의 내용과 결과
2013년 람페두사섬 이민선 난파 사고 이후, 이탈리아 정부는 지중해의 보안을 강화하고 난민 구조 및 난민 밀입국 주선자를 체포하기 위한 목적으로 마레 노스트룸 작전을 발령하였다.[9]
참조
[1]
서적
Lowe
[2]
서적
Couperus
[3]
웹사이트
Online Etymology Dictionary
http://www.etymonlin[...]
2011-08-29
[4]
서적
The False Dawn: European Imperialism in the Nineteenth Century
https://archive.org/[...]
Univ. of Minnesota Pr.
[5]
서적
Lowe
[6]
서적
Propaganda: The art of persuasion: World War II
Chelsea House Publishers, New York
[7]
서적
The New Dealers' War
Perseus Books
[8]
웹인용
International Law Prof Blog
http://lawprofessors[...]
[9]
웹인용
L'OPERAZIONE MARE NOSTRUM - eurasia-rivista.org
http://www.eurasia-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