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이탈리아령 리비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탈리아령 리비아는 1912년 이탈리아-투르크 전쟁 이후 이탈리아가 리비아를 점령하면서 시작된 식민지였다. 이탈리아는 오스만 제국으로부터 리비아에 대한 통제권을 얻었지만, 세누시를 중심으로 한 리비아 저항 운동에 직면하여 화학 무기 사용, 강제 수용소 운영 등 잔혹한 탄압을 가했다. 1930년대에 이탈리아 파시즘은 리비아를 이탈리아령 리비아로 통합하고, 이탈리아인 정착을 장려하는 등 식민 정책을 추진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 이탈리아는 리비아를 잃었고, 이후 리비아는 영국과 프랑스의 통치를 거쳐 1951년 독립했다. 독립 이후 이탈리아는 리비아와 외교 관계를 유지하며 경제적 협력을 이어갔으나, 식민 지배에 대한 보상과 불법 이민 문제 등으로 복잡한 관계를 겪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리비아-이탈리아 관계 - 이탈리아령 트리폴리타니아
    이탈리아령 트리폴리타니아는 이탈리아 왕국이 오스만 제국으로부터 점령한 리비아의 트리폴리타니아 지역에 1927년 세운 식민지였으나, 1934년 이탈리아령 키레나이카와 통합되어 이탈리아령 리비아가 되었고, 제2차 세계 대전 중 연합군에 점령되면서 이탈리아의 식민 통치가 종료되었다.
  • 이탈리아령 리비아 - 페잔
    리비아 남서부 사하라 사막에 위치한 페잔은 고대 가라만테스족의 무역로 번성, 로마, 카넴, 오스만 제국 지배, 이탈리아 식민지, 프랑스 통치를 거쳐 리비아 왕국에 편입되었으며, 현재는 석유 자원과 이민자 밀수 문제에 직면해 있다.
  • 이탈리아령 리비아 - 이탈리아령 키레나이카
    이탈리아령 키레나이카는 이탈리아-튀르크 전쟁 중 이탈리아가 오스만 제국으로부터 점령한 지역으로, 리비아 반군과의 격전, 파시스트 이탈리아의 강압 통치, 제2차 세계 대전 기지 역할, 연합군 항복 후 영국과 프랑스의 지배를 거쳐 리비아 연합 왕국의 일부가 되었다.
  • 이탈리아의 아프리카 식민화 - 이탈리아령 소말리아
    이탈리아령 소말리아는 1889년부터 이탈리아의 소말리아 식민 지배 시기로, 19세기 후반 아프리카 분할 경쟁 속에서 이탈리아가 소말리아 진출을 추진, 이탈리아령 동아프리카 일부로 편입 후 유엔 신탁통치를 거쳐 독립했으나, 현재까지 영토 분쟁이 지속되고 소말리아의 정치적 불안과 경제적 빈곤에 영향을 미쳤다.
  • 이탈리아의 아프리카 식민화 - 이탈리아령 키레나이카
    이탈리아령 키레나이카는 이탈리아-튀르크 전쟁 중 이탈리아가 오스만 제국으로부터 점령한 지역으로, 리비아 반군과의 격전, 파시스트 이탈리아의 강압 통치, 제2차 세계 대전 기지 역할, 연합군 항복 후 영국과 프랑스의 지배를 거쳐 리비아 연합 왕국의 일부가 되었다.
이탈리아령 리비아
지도
1941년의 이탈리아령 리비아
1941년의 이탈리아령 리비아
기본 정보
공식 명칭리비아
현지 명칭 (이탈리아어)Libia Italiana
현지 명칭 (아랍어)ليبيا الإيطالية (Lībyā al-Īṭālīya)
표어Per l'onore d'Italia (이탈리아의 명예를 위하여)
리비아의 국기
국기
리비아의 국장
국장
정치
정치 체제식민 통치
군주비토리오 에마누엘레 3세
총독이탈로 발보 (1934년–1940년)
로돌포 그라치아니 (1940년–1941년)
이탈로 가리볼디 (1941년)
エット레 바스티코 (1941년–1943년)
조반니 메세 (1943년, 대행)
역사
성립이탈리아령 트리폴리타니아이탈리아령 키레나이카의 통합 (1934년 1월 1일)
해체이탈리아 통치의 종료 (1943년 5월 13일)
종전 후이탈리아가 포기 (1947년 2월 10일)
식민지 관리1939년 1월 9일, 해안 지역은 이탈리아 본토의 일부가 됨
행정 구역
수도트리폴리
인구
1939년893,774명
면적
1939년1,759,541 km²
언어
공용어이탈리아어, 아랍어
기타 언어리비아 아랍어, 베르베르어, 도마리어
종교
통화
통화이탈리아 리라
현재 국가

2. 역사

프랑스 제3 공화국은 1881년 튀니지를 침공했고, 이를 위협으로 느낀 이탈리아 왕국1882년 독일 제국,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과 동맹을 맺었다. 1878년 베를린 회의에서 프랑스의 튀니지 점령에 반대했던 이탈리아에게 프랑스는 이탈리아의 트리폴리타니아 점령을 제안했고, 1902년 관련 협정을 체결했다. 1900년대 이탈리아 언론은 트리폴리타니아 점령을 적극적으로 부추겼다.

1911년 9월 29일 이탈리아-튀르크 전쟁이 발발하여 제1차 로잔 조약을 통해 리비아는 이탈리아에 할양되어 이탈리아령 트리폴리타니아이탈리아령 키레나이카가 성립되었고, 이후 영토를 계속 확장하여 1934년 통합되어 이탈리아령 리비아가 되었다.

이탈리아령 리비아의 확대: 오스만 제국으로부터 양도된 지역(1912년, 짙은 녹색), 프랑스로부터 양도된 지역(1919년, 연한 녹색), 쿠프라 지역 정복(1919년-1931년, 흰색), 영국으로부터 양도된 지역(1926년, 밝은 녹색), 영국으로부터 양도된 지역(1934년, 빨간색), 프랑스로부터 양도된 지역(1935년, 진한 빨간색)

2. 1. 이탈리아-튀르크 전쟁과 리비아 점령

이탈리아-튀르크 전쟁에서 이탈리아가 오스만령 트리폴리타니아를 정복했다. 1911년 9월 29일, 이탈리아는 오스만 제국에 최후 통첩을 제시했지만, 오스만 제국은 이탈리아 왕국이 트리폴리타니아의 형식적인 종주권을 인정해 준다면 실질적인 지배를 위임해도 좋다고 답변했다. 이탈리아는 오스만 제국의 답변에 "만족할 만한 답변이 아니다"라며 개전을 선언했다. 이탈리아-투르크 전쟁이 종결된 후, 제1차 로잔 조약을 체결하여 리비아는 이탈리아에 할양되었고, 이탈리아령 트리폴리타니아이탈리아령 키레나이카가 성립되었다.

오스만 관리가 1912년 리비아를 이탈리아 식민군에 항복하는 모습을 그린 이탈리아 그림으로, 리비아인들은 이탈리아 식민군 앞에서 엎드려 있다


오스만 제국1912년 로잔 조약에서 리비아에 대한 통제권을 포기했지만, 수니파 이슬람 단체인 세누시를 중심으로 이탈리아에 대한 격렬한 저항이 계속되었다. 이들은 오마르 알 무크타르의 지도 아래 키레나이카의 제벨 악다르 산맥을 중심으로 리비아 저항 운동을 이끌었다.[9]

이탈리아 벵가지, "Lungomare"(해변 산책로) 및 기타 많은 건물이 건설됨


피에트로 바돌리오로돌포 그라치아니 장군 휘하의 이탈리아군은 리비아 평정이라는 징벌적 화학 무기, 군인과 민간인에 대한 대량 처형, 리비아의 이탈리아 강제 수용소를 사용하여 저항군을 제압했다. 키레나이카 인구 225,000명의 4분의 1이 분쟁 중에 사망했다.[9] 1930년대에 리비아에 대한 이탈리아 파시즘의 정책이 바뀌기 시작했고, 이탈리아령 키레나이카이탈리아령 트리폴리타니아, 페잔은 1934년에 이탈리아령 리비아로 병합되었다.

2. 2. 리비아 저항 운동과 이탈리아의 탄압

오마르 무크타르가 이끈 리비아 저항 운동은 키레나이카의 제벨 악다르 산맥을 중심으로 전개되었다. 이들은 수니파 이슬람 단체인 세누시의 민족주의적 성향을 띠며 이탈리아에 격렬하게 저항했다.[9]

피에트로 바돌리오로돌포 그라치아니가 지휘하는 이탈리아군은 저항군 진압을 위해 화학 무기 사용, 군인 및 민간인 대량 처형, 리비아의 이탈리아 강제 수용소 운영 등 잔혹한 탄압을 자행했다.[12] 오마르 무크타르의 최후에 대해서는 처형설과 망명설이 엇갈린다.

1930년부터 1931년까지 1만 2천 명의 키레나이카인이 처형되었고, 북부 키레나이카의 유목민들은 강제 이주되어 키레나이카 저지대의 강제 수용소에 수용되었다.[16] 이탈리아는 10만 명의 베두인 키레나이카인을 강제 추방하는 인종 청소를 자행했다.[13][14]

파시스트 정권은 수용소를 현대 문명의 오아시스라고 선전했지만, 실제로는 열악한 위생 상태와 부족한 의료 서비스로 인해 장티푸스 등의 질병이 만연했다. 약 2만 명의 베두인과 가축들이 좁은 공간에 밀집되었고, 솔루크 강제 수용소와 시디 아흐메드 엘 마그룬 강제 수용소에는 의사가 단 한 명뿐이었다.[17] 이들은 부족한 식량 배급과 강제 노동으로 쇠약해졌으며, 1933년 수용소 폐쇄까지 4만 명이 사망했다.[17]

이탈리아의 점령 기간 동안 가축 수도 급감했다. 양은 1926년 81만 마리에서 1933년 9만 8천 마리로, 염소는 7만 마리에서 2만 5천 마리로, 낙타는 7만 5천 마리에서 2천 마리로 줄었다.[15]

이러한 이탈리아의 탄압으로 리비아 평정 기간 동안 키레나이카 인구의 4분의 1이 사망했다.[11]

2. 3. 이탈리아의 식민 정책과 영토 확장

이탈리아의 리비아 식민지화는 1911년에 시작되었으며, 초기에는 1931년까지 이어진 무슬림 원주민과의 격렬한 투쟁이 있었다. 이 기간 동안 이탈리아는 해안 지역만 통제했다. 1911년부터 1912년까지 이탈리아령 소말릴란드에서 온 1,000명 이상의 소말리아인이 이탈리아-튀르크 전쟁에 참전하여 에리트레아 및 이탈리아 군인과 함께 싸웠다.[7]

1911~1912년 이탈리아 제국이 오스만 트리폴리타니아(오스만령 리비아)를 정복한 후, 이탈리아는 리비아 인구를 억압하는 전쟁을 벌였다. 1912년 로잔 조약으로 오스만 투르크는 리비아에 대한 통제권을 포기했지만, 세누시의 저항은 계속되었다. 피에트로 바돌리오로돌포 그라치아니 장군 휘하의 이탈리아군은 화학 무기 사용, 대량 처형, 리비아의 이탈리아 강제 수용소 운영 등을 통해 저항을 진압했다. 이 과정에서 키레나이카 인구의 4분의 1이 사망했다.[9]

1930년대에 들어서 이탈리아 파시즘의 리비아 정책이 변화하기 시작했고, 1934년에는 이탈리아령 키레나이카, 이탈리아령 트리폴리타니아, 페잔이 이탈리아령 리비아로 통합되었다.

이탈리아령 리비아는 앵글로-이집트 수단으로부터의 영토 양보와 이집트 왕국과의 영토 협정을 통해 확장되었다. 1919년 파리 평화 회의에서 이탈리아는 독일 식민지를 얻지 못했지만, 영국은 주발란드를, 프랑스는 이탈리아령 리비아 남쪽 지역을 이탈리아에 양도하기로 했다.[57] 1920년대의 논의를 거쳐 1935년 무솔리니-라발 협정에 따라 이탈리아는 아우주 스트립을 획득했으나, 이 협정은 후에 프랑스에 의해 비준되지 않았다.

1931년 엘 타그와 알 자우프가 이탈리아에 점령되었다. 1925년 12월 6일 이집트는 쿠프라 및 자라부브 지역을 이탈리아령 리비아에 양도했지만, 이탈리아가 이 지역을 완전히 장악한 것은 1930년대 초였다. 1931년 키레나이카 작전 동안 로돌포 그라치아니 장군은 약 3,000명의 병력과 20여 대의 폭격기 지원을 받아 전략적 요충지인 쿠프라 지역을 쉽게 정복했다. 1934년 마탄 아스-사라는 앵글로-이집트 공동 통치령에 의해 사라 삼각지대의 일부로 이탈리아에 넘겨졌다.[19]

2. 4. 제2차 세계 대전과 이탈리아의 패배

제2차 세계 대전 동안, 리비아는 북아프리카 전역의 주요 전장이 되었다. 1940년 9월, 이탈리아의 이집트 침공이 리비아에서 시작되었으며,[22] 같은 해 12월, 영국군은 컴파스 작전으로 반격하여 이탈리아군을 리비아로 몰아냈다.[23] 이탈리아는 독일의 지원을 받아 해바라기 작전을 통해 잃어버린 영토를 되찾고 이집트까지 진격했다.[23]

1941년 4월, 토브룩 공방전에서 롬멜전격전 전술이 처음으로 실패했다. 1942년 가잘라 전투에서 추축군은 토브룩을 점령하고 연합군을 이집트 안으로 밀어냈지만, 엘 알라메인 전투에서 패배하면서 리비아에서 추축군의 멸망과 서부 사막 전역의 종말을 가져왔다.

1943년 2월, 독일군과 이탈리아군은 리비아를 포기해야 했고, 이로써 리비아에 대한 이탈리아의 통치는 종료되었다.[24] 페잔자유 프랑스에 점령되었고,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영국과 프랑스는 이드리스를 1951년 독립 리비아의 에미르로 세우는 데 협력했다.[24]

2. 5. 전후 처리와 리비아 독립

1943년부터 1951년까지 트리폴리타니아와 키레나이카는 영국 군정의 지배를 받았고, 프랑스는 페잔을 통치했다. 1947년 연합국과의 평화 조약에 따라 이탈리아는 리비아에 대한 모든 권리를 포기했다.[25]

영국과 프랑스는 리비아를 분할 통치하였으나, 1949년 11월 21일 유엔 총회는 1952년 1월 1일 이전에 리비아가 독립해야 한다는 결의안을 통과시켰다. 1951년 12월 24일, 리비아는 리비아 연합 왕국으로 독립을 선언하고 입헌 군주국이 되었다.

3. 식민 통치

1934년, 이탈리아는 키레나이카, 트리폴리타니아, 페잔을 통합하여 '리비아'라는 공식 명칭을 채택했다. 이는 이집트를 제외한 북아프리카 전체를 지칭하는 그리스어에서 유래한 것이다. 이 식민지는 4개의 주와 남부 군사 지역으로 나뉘어 통치되었다.

1939년 1월 9일 법령에 따라 리비아는 이탈리아 왕국의 본토 내 주로 변경되어 이탈리아에 공식적으로 합병되었다. 해안 지역은 "제4 해안"이라는 별칭을 얻었으며, 주요 도시와 구는 포데스타가 통치하는 이탈리아 자치구(''comune'')가 되었다.

3. 1. 행정 구역

1938년 이탈리아령 리비아의 행정 구역


1934년, 이탈리아는 키레나이카, 트리폴리타니아, 페잔으로 구성된 식민지의 공식 명칭으로 '리비아'라는 이름을 채택했다. 이 식민지는 4개의 주와 남부 군사 지역으로 나뉘었다.

  • 트리폴리 주, 수도 트리폴리
  • 벵가지 주, 수도 벵가지
  • 데르나 주, 수도 데르나
  • 미수라타 주, 수도 미수라타
  • 남부 군사 지역, 수도 훈


일반 지방 위원회는 구(''circondari'')로 더 세분화되었다. 1939년 1월 9일 법령에 따라 위원회는 이탈리아 왕국의 본토 내 주(province)로 변경되었다. 리비아는 이탈리아에 공식적으로 합병되었고, 해안 지역은 "제4 해안"(''Quarta Sponda'')이라는 별칭을 얻었다. 식민지의 주요 도시와 구는 포데스타가 통치하는 이탈리아 자치구(''comune'')가 되었다.

3. 2. 총독

이름재임 기간
이탈로 발보1934년 1월 1일 ~ 1940년 6월 28일
로돌포 그라치아니1940년 7월 1일 ~ 1941년 3월 25일
이탈로 가리볼디1941년 3월 25일 ~ 1941년 7월 19일
에토레 바스티코1941년 7월 19일 ~ 1943년 2월 2일
조반니 메세1943년 2월 2일 ~ 1943년 5월 13일


3. 3. 인구 구성

이탈로 발보 총독이 트리폴리에서 도착한 이탈리아 식민지 개척민을 환영하고 있다


1939년, 이탈리아령 리비아의 주요 인구 통계는 다음과 같았다.[2]

민족인구전체의 %
아랍인744,05783.2
이탈리아인119,13913.4
유대인30,5783.4
합계893,774100



주요 도시 중심지의 인구는 다음과 같았다.

도시아랍인이탈리아인유대인합계
트리폴리47,12347,44218,467113,212
벵가지40,33123,0753,39566,801
미스라타44,3871,73597747,099
데르나13,5553,56239117,508


3. 4. 이탈리아인 정착촌

파시스트 시대에 많은 이탈리아인들이 리비아 해안 지역으로 이주하도록 장려되었다.[27] 1939년 리비아 해안 지방이 이탈리아 본토의 일부로 합병되면서 이탈리아인 정착이 가속화되었다.[28]

리비아의 이탈리아 정착민의 인구는 대공황 이후 급격히 증가했다. 1927년에는 약 26,000명이었지만, 1931년에는 44,600명, 1936년에는 66,525명, 1939년에는 119,139명으로 전체 인구의 13%를 차지했다.[2]

이탈리아인들은 지중해 연안, 특히 주요 도시 중심지와 트리폴리 주변 농지에 집중되었다. 이들은 트리폴리 인구의 41%, 벵가지 인구의 35%를 차지했다. 정착민들은 파시스트 정권의 개입주의 정책에 의해 촉진된 건설 붐에서 일자리를 찾았다.

1938년, 총독 이탈로 발보는 20,000명의 이탈리아 농부들을 리비아로 이주시켜 키레나이카에 27개의 새로운 마을을 건설했다.[29]

키레나이카의 ''빌라조 오베르단''(현재 바타)

3. 5. 동화 정책

1934년 12월, 이탈리아는 리비아인들에게 개인의 자유, 주거 및 재산의 불가침, 군대나 행정부 가입 권리, 자유로운 직업 추구 권리를 보장했다.[30] 1937년 무솔리니의 리비아 방문 시, 무슬림 아랍 고위 인사들은 그에게 명예로운 칼을 헌정하여 무슬림 아랍인들의 보호자로 상징하려 했다.[31]

1939년 1월, 이탈리아는 리비아의 4개 해안 지방을 이탈리아 본토에 병합하여 제4의 해안으로 간주했다.[28] 동시에 원주민 리비아인들에게는 "특별 이탈리아 시민권"이 부여되었는데, 이는 문맹이 아니어야 받을 수 있었고 리비아 내에서만 유효했다.[28]

같은 해, 무슬림이 국가 파시스트 당과 리토르 무슬림 협회에 가입할 수 있도록 허용하는 법률이 통과되었다.[32] 이는 이탈리아군 내 리비아 군 부대 창설로 이어졌다.[32] 1940년 3월, 2개의 리비아 식민지 군사 사단(총 30,090명)이 창설되었고,[33] 같은 해 여름 제1 및 제2 리비아 사단 ''Fanteria Libica''(리비아 보병)는 영국령 이집트에 대한 이탈리아 공세에 참여했다.[33]

4. 경제

이탈리아 식민 통치 시기 리비아의 경제는 농업을 중심으로 발전했다. 1930년대 후반, 리비아 경제는 크게 성장했으며, 식품 산업을 중심으로 한 일부 제조업 활동도 증가했다. 건설 부문 역시 크게 성장했다.

1936년 당시 주요 경제 활동 부문은 산업(30.4%), 공공 행정(29.8%), 농업 및 어업(16.7%) 순이었다.[9] 자세한 내용은 산업 구조 하위 섹션을 참조하라.

파시스트 정권대공황 시기에 사회 기반 시설 개선과 공공 사업을 강조했다. 이탈로 발보 지사는 1934년부터 1940년까지 리비아의 철도와 도로망을 크게 확장했다. 수백 킬로미터의 도로와 철도를 새로 건설하고, 새로운 산업과 농업 마을 설립을 장려했다.[35] 그러나 이러한 투자는 이탈리아와 이탈리아 정착민의 이익을 위한 것이었기 때문에, 리비아 주민들의 삶의 질 개선에는 거의 기여하지 못했다.[15]

이탈리아는 트리폴리벵가지[34] 등 주요 도시에 항구, 공항, 병원, 학교, 도로, 건물 등을 건설하며 크게 발전시켰다. 관광 산업도 개선하여 트리폴리와 벵가지에 현대적인 "그랜드 호텔"을 건설했다.

베레니체 알베르고


1939년까지 이탈리아는 새로운 철도와 도로를 건설했다. 특히 이탈리아령 트리폴리타니아 서부 트리폴리와 이탈리아령 키레나이카 동부 토브룩을 연결하는 동서 해안 도로인 비아 발비아가 중요했다.

1937년 대리석 아치의 비아 발비아
]1941년에는 트리폴리-벵가지 철도 노선 개발이 시작되었으나, 제2차 세계 대전 중 이탈리아의 패배로 완공되지 못했다.[38]

이탈리아는 리비아에 처음으로 현대적인 의료 서비스를 제공하고 도시 위생 상태를 개선했다. 그러나 리비아인에 대한 교육 투자는 부족하여, 1940년까지 리비아인을 위한 중등학교는 트리폴리에 2개, 벵가지에 1개뿐이었다.[36]

4. 1. 산업 구조

1936년, 이탈리아령 리비아의 주요 경제 활동 부문은 다음과 같았다.[9]

순위부문고용 인원 비율 (%)
1산업30.4
2공공 행정29.8
3농업 및 어업16.7
4상업10.7
5운송5.8
6가사 노동3.8
7법조계 및 사립 교육1.3
8은행 및 보험1.1


4. 2. 인프라 개발

이탈리아는 트리폴리벵가지[34] 등 리비아의 주요 도시를 크게 발전시켰다. 항구, 공항, 병원, 학교, 도로, 건물 등을 새로 건설했다.

관광 산업도 개선되어 트리폴리와 벵가지에 크고 현대적인 "그랜드 호텔"이 건설되었다.

파시스트 정권대공황 시기에 사회 기반 시설 개선과 공공 사업을 특히 강조했다. 이탈로 발보 지사는 1934년부터 1940년까지 리비아의 철도와 도로망을 크게 확장하여 수백 킬로미터의 도로와 철도를 새로 건설하고, 새로운 산업과 수십 개의 농업 마을 설립을 장려했다.[35] 그러나 이러한 대규모 투자는 리비아 주민들의 삶의 질 개선에는 거의 기여하지 못했다. 이는 이탈리아와 이탈리아 정착민의 이익을 위해 경제를 개발하려는 목적이었기 때문이다.[15]

이탈리아는 리비아인에게 초등 교육을 제공했지만, 토착 행정은 거의 개선하지 않았다. 1939-1940년에 이탈리아 인구(총인구의 약 10%)는 초등학교 81곳을, 리비아인(총인구의 85% 이상)은 97곳을 보유했다.[15] 1940년까지 리비아인을 위한 중등학교는 트리폴리에 2개, 벵가지에 1개뿐이었다.[36]

1930년대 후반, 리비아 경제는 주로 농업 부문에서 크게 성장했다. 식품 산업을 중심으로 일부 제조업 활동도 발전했다. 건설 공사도 크게 증가했다. 이탈리아는 리비아에 처음으로 현대적인 의료 서비스를 제공하고, 도시 위생 상태를 개선했다.

1939년까지 이탈리아는 의 새로운 철도와 의 새로운 도로를 건설했다. 가장 중요하고 큰 고속도로 프로젝트는 이탈리아령 트리폴리타니아 서부 트리폴리와 이탈리아령 키레나이카 동부 토브룩을 연결하는 동서 해안 도로인 비아 발비아였다.

이탈리아가 리비아에서 마지막으로 추진한 철도 개발은 1941년에 시작된 트리폴리-벵가지 노선이었으나, 제2차 세계 대전 중 이탈리아의 패배로 완공되지 못했다.[38]

5. 고고학과 관광

이탈리아는 로마 식민지였던 렙티스 마그나사브라타 유적지를 고고학 관광을 위해 준비했다.[39] 또한, 국제적인 자동차 경주 행사였던 트리폴리 그랑프리를 개최하여 관광 산업을 장려했다.[40]

5. 1. 고고학 유적 발굴

고전 고고학은 이탈리아 당국이 이 지역에서의 존재를 정당화하기 위한 선전 도구로 사용되었다. 1911년 이전에는 트리폴리타니아키레나이카에서 고고학적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았다. 1920년대 후반에 이탈리아 정부는 렙티스 마그나사브라타의 주요 로마 도시에서 발굴을 시작했다(키레나이카는 해당 지역의 무슬림 반군과의 식민지 전쟁이 진행 중이었기 때문에 나중에 발굴되었다). 파시스트 정권이 들어선 결과, 모든 외국 고고학 탐험대가 리비아에서 쫓겨났고, 모든 고고학 작업은 이탈리아 박물관과 저널에만 전적으로 혜택을 주는 중앙 집중식 이탈리아 발굴 정책 하에 통합되었다.[39]

키레나이카가 완전히 '평정'된 후, 1930년대 이탈리아의 고고학적 노력은 트리폴리타니아보다 이전 그리스 식민지였던 키레나이카에 더 집중되었는데, 트리폴리타니아는 그리스 시대에 포에니 식민지였다.[39] 포에니 연구가 거부된 것은 부분적으로 반유대주의적인 이유 때문이었다(포에니는 아랍인과 유대인과 먼 친족 관계에 있는 셈족이었다).[39] 특히 로마 식민지인 렙티스 마그나사브라타가 특별한 관심을 받았으며, 이 유적지들을 고고학 관광을 위해 준비했다.[39]

관광은 국제적인 중요성을 지닌 자동차 경주 행사였던 트리폴리 그랑프리의 창설을 통해 더욱 장려되었다.[40]

5. 2. 관광 산업

1937년 트리폴리 그랑프리


이탈리아는 로마 식민지였던 렙티스 마그나사브라타 유적지를 고고학 관광을 위해 준비했다.[39] 국제적인 자동차 경주 행사였던 트리폴리 그랑프리를 개최하여 관광 산업을 장려했다.[40]

6. 현대의 관계

1960년대 트리폴리 대성당과 구 피아트(FIAT) 센터(Meydan al Gaza'ir).


리비아는 독립 이후에도 이탈리아와 외교 관계를 유지했으며, 상당량의 석유를 수입했다.[46] 1962년 당시 리비아에는 35,000명의 이탈로-리비아인이 남아있었다. 그러나 1970년 무아마르 가다피가 이탈리아인 추방을 명령하면서 이탈리아인 인구는 사실상 사라졌다.[41]

이후 2000년대에 들어 이탈리아와 리비아의 관계는 개선되기 시작했다. 2008년 실비오 베를루스코니 이탈리아 총리는 벵가지에서 무아마르 가다피와 역사적인 협력 조약에 서명하고, 식민 통치 기간 동안 이탈리아가 리비아 국민에게 저지른 잔학 행위에 대해 사과했다.[54] 그러나 2011년 리비아 내전으로 가다피 정권이 무너지면서 양국 간의 협력은 중단되었다.[49]

6. 1. 이탈리아 정착민 추방

1970년 무아마르 가다피 리비아 지도자는 남아있는 이탈리아인 약 20,000명을 추방하라는 명령을 내려 이탈리아인 인구는 사실상 사라졌다.[41] 이 사건은 2004년 이탈리아 총리 실비오 베를루스코니가 이탈리아 식민지배에 대해 사과한 후 처음 취소되었고, 이후 이탈리아-리비아 관계 개선으로 인해 "우정의 날"이라는 새로운 이름으로 다시 도입되었다.[42][43][44] 2000년대에 수백 명의 정착민만이 리비아로 돌아가는 것이 허용되었다. 2004년에는 리비아에 22,530명의 이탈리아인이 있었다.[45]

6. 2. 관계 개선 노력

2000년대 들어 이탈리아와 리비아의 관계는 개선되기 시작했다. 특히 불법 이민 문제 해결을 위한 협력이 이루어졌는데, 리비아가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에서 이탈리아로 향하는 이민자들의 경유지가 되는 것을 막는 대가로 이탈리아는 리비아에 대한 유럽 연합의 무역 제재 해제를 추진했다.[47]

ENI 석유 부리 DP4, 부리 유전의 플랫폼, 지중해에서 가장 큰 플랫폼. 현재 이탈리아는 리비아의 가장 중요한 교역 상대국이다.


2008년 8월 30일, 실비오 베를루스코니 이탈리아 총리는 벵가지에서 무아마르 가다피와 역사적인 협력 조약에 서명했다.[48][49][50] 이 조약에 따라 이탈리아는 과거 군사 점령에 대한 보상으로 리비아에 50억달러를 지불하고, 리비아는 자국 해안에서 발생하는 불법 이민을 막고 이탈리아 기업에 대한 투자를 늘리기로 했다.[49][51][52] 베를루스코니 총리는 이 조약이 "식민 시대 동안 이탈리아가 리비아에 가한 피해에 대한 완전하고 도덕적인 인정"이라며 식민 통치 기간 동안 이탈리아가 리비아 국민에게 저지른 잔학 행위에 대해 사과했다.[54]

그러나 2011년 리비아 내전으로 가다피 정권이 무너지면서 양국 간의 협력은 중단되었다.[54]

참조

[1] 웹사이트 History of Libya http://www.historywo[...] HistoryWorld
[2] 간행물 I censimenti nell'Italia unita I censimenti nell'Italia unita Le fonti di stato della popolazione tra il XIX e il XXI secolo ISTITUTO NAZIONALE DI STATISTICA SOCIETÀ ITALIANA DI DEMOGRAFIA STORICA Le fonti di stato della popolazione tra il XIX e il XXI secolo http://www3.istat.it[...] 2013-12-24
[3] 웹사이트 Libya - History, People, & Government https://www.britanni[...] 2018-01-11
[4] 뉴스 Italian Hopes in Africa The Times of London 1923-11-12
[5] 웹사이트 International Boundary Study No. 3 (Revised) – December 15, 1978 Chad – Libya Boundary https://law.fsu.edu/[...] The Geographer Office of the Geographer Bureau of Intelligence and Research
[6] 문서 Recent population changes in Libya: economic relationships and geographical patterns https://core.ac.uk/d[...] Durham University 1968
[7] 서적 Journal of the Royal United Service Institution, Whitehall Yard, Volume 57, Issue 2 https://books.google[...]
[8] 서적 War Over Ethiopia https://books.google[...]
[9] 서적 The Dark Side of Democracy: Explaining Ethnic Cleansing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6
[10] 서적 Ordinary Violence in Mussolini's Italy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1
[11] 서적 The dark side of democracy: explaining ethnic cleansing
[12] 서적 2007
[13] 서적 Benito Mussolini: the first fascist Pearson Longman
[14] 서적 The Oxford Handbook of Genocide Studies Oxford University Press
[15] 서적 General History of Africa
[16] 서적 Libya: A Modern History Croom Helm
[17] 서적 The Force of Destiny: A History of Italy Since 1796 Houghton Mifflin
[18] 웹사이트 Districts of Libya http://www.statoids.[...] 2013-11-10
[19] 서적 Darfur: The Long Road to Disaster Markus Wiener Publishers: Princeton 2006
[20] 웹사이트 Libyan colonial Troops: pp. 3031 http://cgsc.cdmhost.[...]
[21] 서적 Germany and the Second World War: The Mediterranean, South-East Europe, and North Africa, 1939–1941 Oxford University Press
[22] 웹사이트 Full analysis of the initial Italian attack http://cgsc.cdmhost.[...]
[23] 문서
[24] 웹사이트 A Timeline of African Countries' Independence https://www.thoughtc[...]
[25] 웹사이트 Treaty Of Peace With Italy (1947), Evaluation And Conclusion http://tigray.net/20[...] 2018-02-20
[26] 문서 2006
[27] 웹사이트 Italian colonists in Libia (in Italiano) http://www.ernandes.[...]
[28] 문서 History of Libya
[29] 웹사이트 New villages in coastal Libya (in Italian) http://www.architect[...]
[30] 문서
[31] 문서
[32] 문서
[33] 웹사이트 30,000 Libyans fought for Italy in WWII http://xoomer.virgil[...]
[34] 웹사이트 Italian Benghazi https://dadfeatured.[...]
[35] 웹사이트 Chapter Libya (in Italian) http://www.fedoa.uni[...]
[36] 서적 Africa Under Colonial Domination 1880-1935 Unesco. International Scientific Committee for the Drafting of a General History of Africa 1985
[37] 웹사이트 Economic development of Italian Libya http://cgsc.cdmhost.[...]
[38] 웹사이트 Italian railways in colonial Libya (in italian) http://www.gips.unis[...] 2011-07-22
[39] 서적 In pursuit of ancient pasts: a history of classical archaeology in the 19th and 20h centuries 2006
[40] Youtube Video of Tripoli Grand Prix https://www.youtube.[...]
[41] 뉴스 Italians plan to see Libya once again http://www.iht.com/a[...]
[42] 간행물 Libya and Europe: Economic Realism at the Rescue of the Qaddafi Authoritarian Regime 2009
[43] 간행물 Shifting Italy/Libya Borderscapes at the Interface of EU/Africa Borderland: A "Genealogical" Outlook from the Colonial Era to Post-Colonial Scenarios https://www.acme-jou[...] 2014
[44] 서적 Libya in Western Foreign Policies, 1911–2011 Palgrave Macmillan UK 2016
[45] 웹사이트 Libye http://www.axl.cefan[...] 2019-06-06
[46] 서적 Italy in the European Monetary Union CRVP
[47] 뉴스 Out of Africa 2011-03-11
[48] 웹사이트 Ratifica ed esecuzione del Trattato di amicizia, partenariato e cooperazione tra la Repubblica italiana e la Grande Giamahiria araba libica popolare socialista, fatto a Bengasi il 30 agosto 2008 http://www.senato.it[...] [[Parliament of Italy]] 2009-02-06
[49] 뉴스 Gaddafi to Rome for historic visit http://www.ansa.it/s[...] [[Agenzia Nazionale Stampa Associata|ANSA]] 2009-06-10
[50] 뉴스 Berlusconi in Benghazi, Unwelcome by Son of Omar Al-Mukhtar http://www.tripolipo[...] The Tripoli Post 2008-08-30
[51] 뉴스 Ý bồi thường $5 tỉ, xin lỗi Libya về hậu quả thời đô hộ http://nguoi-viet.co[...]
[52] 뉴스 Italia-Libia, firmato l'accordo http://www.repubblic[...] [[La Repubblica]] 2008-08-30
[53] 뉴스 Libya agrees pact with Italy to boost investment http://www.alarabonl[...] Alarab Online 2009-03-02
[54] 서적 The Report: Libya 2008 Oxford Business Group 2008
[55] 웹사이트 http://www.historywo[...]
[56] 웹인용 보관된 사본 http://law.fsu.edu/l[...] 2007-10-31
[57] 웹사이트 Statoids http://www.statoids.[...] 2013-11-10
[58] 웹사이트 Italian colonists in Libia (in Italiano) http://www.ernande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