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우유 전쟁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우유 전쟁은 2009년 벨라루스와 러시아 간에 발생한 무역 분쟁으로, 러시아가 벨라루스산 유제품 수입을 금지하면서 시작되었다. 러시아는 품질 문제를 이유로 들었지만, 벨라루스가 압하지야와 남오세티야의 독립을 인정하지 않고 미국과의 관계를 개선하려는 움직임에 대한 정치적 압박이라는 분석이 제기되었다. 이 분쟁은 벨라루스가 러시아의 경제적 압박에 반발하여 국제 통화 기금에서 대출을 받는 등 양국 관계에 영향을 미쳤으며, 이후에도 여러 차례 무역 분쟁으로 이어졌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09년 국제 관계 - 미국 기자 북한 억류 사건
    미국 기자 북한 억류 사건은 2009년 미국 기자 이유나와 로라 링이 북중 국경에서 탈북 관련 취재 중 북한에 체포되어 억류, 재판 후 징역형을 선고받았으나 빌 클린턴 전 대통령의 방북으로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사면을 받아 석방된 사건으로, 북한의 언론 탄압과 북미 관계, 국제 인권 문제에 대한 관심을 야기했다.
  • 나라에 대한 보이콧 - 윌란스 포스텐 무함마드 만평 논란
    2005년 덴마크 신문 윌란스 포스텐의 무함마드 풍자 만평 게재로 촉발된 국제적 논쟁은 언론 자유와 종교적 감정 충돌, 시위 및 폭력 사태, 불매 운동, 테러 위협, 서구-이슬람 세계 갈등 심화 등을 야기하며 언론의 사회적 책임과 표현의 자유, 다문화 사회 갈등 관리 문제에 대한 논쟁을 불러일으켰다.
  • 나라에 대한 보이콧 - 2010년 아시안 게임 태권도 실격 판정 논란
    2010년 아시안 게임 태권도 실격 판정 논란은 2010년 광저우 아시안 게임 태권도 여자 49kg급에서 대만 양수쥔 선수가 장비 규정 위반으로 실격 처리되어 대만 선수단의 반발, WTF 해명 부족, 정치권 대응 논란, 한국 상품 불매 운동, 반한 감정 고조, WTF의 자격 정지 처분 등의 사회적 파장을 일으킨 사건이다.
우유 전쟁 - [전쟁]에 관한 문서
분쟁 개요
분쟁 명칭우유 전쟁
관련 분쟁조지아-오세티야 분쟁
기간2009년 6월 6일 – 2009년 6월 17일
장소러시아 벨라루스 연맹국
결과러시아의 벨라루스 유제품 수입 금지 해제
러시아와 벨라루스 국기
러시아(왼쪽)와 벨라루스(오른쪽)의 국기가 함께 있는 모습
교전 세력
지휘관 및 주요 인물
러시아 측 지휘관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측 주요 인물겐나디 오니셴코
벨라루스 측 지휘관알렉산드르 루카셴코

2. 배경

벨라루스러시아소련 붕괴 이후 특별한 동맹 조약을 맺은 가까운 이웃 국가였다.[1][36] 그러나 2006년 말부터 양국 관계는 점차 악화되기 시작했는데, 이는 러시아의 가스 가격 인상[2]과 벨라루스가 유럽 연합(EU)과의 관계 개선을 모색하면서 비롯되었다.[2][37] 벨라루스는 EU 및 구소련 국가들과의 관계 증진을 위한 동방 파트너십에 참여하는 등 적극적인 친서방 행보를 보였다.[3][38]

2008년 러시아-조지아 전쟁 이후 러시아가 조지아로부터 분리 독립을 선언한 압하지야남오세티야의 독립을 인정하면서[4][39] 양국 간의 긴장은 더욱 고조되었다. 러시아는 벨라루스에도 이들 지역의 독립을 인정하도록 강하게 압박했으나,[3][38] 당시 러시아와 니카라과만이 두 지역의 독립을 승인한 상태였다.[6][41] 벨라루스는 러시아의 요구를 받아들이지 않고 독립을 인정하지 않았으며, 오히려 미국과 정치범 석방 문제를 논의하는 등 독자적인 외교 노선을 모색했다.[3][38]

과거 러시아는 주변국과의 관계가 악화될 때 경제적 압박 수단을 사용한 전례가 있는데, 폴란드산 육류 제품, 몰도바산 와인, 라트비아산 통조림 생선, 조지아산 농산물 대부분의 수입을 금지했던 사례가 대표적이다.[2][37]

2. 1. 러시아와 벨라루스의 관계

조지아의 분쟁 지역(압하지야남오세티야).


벨라루스러시아는 소련 붕괴 이후 이웃 국가로서 특수한 동맹 조약으로 연결된 관계였다.[1] 그러나 2006년 말부터 양국 관계에 긴장이 고조되기 시작했는데, 이는 러시아의 가스 가격 인상과 벨라루스가 유럽 연합(EU)과의 관계 개선을 모색하면서 비롯되었다.[2]

벨라루스는 EU와 6개의 구소련 국가 간 경제적, 정치적 관계 증진을 목표로 하는 동방 파트너십에 참여하였다.[3] EU는 2006년 벨라루스 대통령 선거가 조작되었다는 기존 입장을 유지하면서도, 벨라루스 대통령 알렉산드르 루카셴코에 대한 여행 금지 조치를 해제하는 등 관계 개선의 여지를 보였다.[3]

2008년 러시아-조지아 전쟁 이후 러시아는 분쟁 지역인 압하지야남오세티야의 독립을 일방적으로 인정하였다.[4] 이후 러시아는 벨라루스에도 이들 지역의 독립을 인정하라고 압력을 가했다.[3] 당시 압하지야와 남오세티야를 독립 국가로 인정한 나라는 러시아와 니카라과뿐이었다.[6] 하지만 벨라루스는 러시아의 요구를 받아들이지 않고 압하지야와 남오세티야의 독립을 인정하지 않았으며, 대신 미국과 정치범 석방 문제를 논의하는 등 독자적인 외교 행보를 보였다.[3]

과거 러시아는 주변국과의 관계가 악화될 때 경제적인 압박 수단을 사용한 전례가 있다. 예를 들어 폴란드산 육류 제품, 몰도바산 와인, 라트비아산 통조림 생선, 그리고 조지아산 농산물 대부분의 수입을 금지했던 사례가 있다.[2]

2. 2. 압하지야와 남오세티야 문제



벨라루스와 러시아는 연맹 국가 조약을 맺은 구소련 국가이지만,[36] 2006년 후반부터 양국 관계는 악화되기 시작했다. 특히 2007년 러시아-벨라루스 에너지 분쟁 이후 벨라루스는 유럽 연합과의 관계 개선을 모색하며,[37] 유럽 연합 및 구소련 국가들과의 관계 증진을 목표로 하는 동방 파트너십에 참여했다.[38] 유럽 연합은 2006년 벨라루스 대통령 선거가 조작되었다는 기존 입장을 유지하면서도, 벨라루스 대통령 알렉산드르 루카셴코에 대한 여행 금지 조치를 해제하며 관계 개선의 여지를 보였다.[38]

2008년 남오세티야 전쟁 이후 러시아는 조지아로부터 분리 독립을 선언한 압하지야남오세티야의 독립을 공식 인정했다.[39] 이후 러시아는 벨라루스에도 이들 지역의 독립을 인정하라고 압력을 가했다.[38] 당시 압하지야와 남오세티야의 독립을 인정한 국가는 러시아와 니카라과뿐이었다.[41] 그러나 벨라루스는 러시아의 요구에도 불구하고 두 지역의 독립을 즉각 인정하지 않았으며, 오히려 미국과 정치범 석방 문제를 논의하며 관계 개선을 시도했다.[38] 당시 러시아는 벨라루스와의 관계 악화 외에도, 폴란드 축산물, 몰도바 와인, 라트비아 생선 통조림, 그리고 조지아의 농산물 대부분에 대해 수입 제한 조치를 취하는 등 주변국에 경제적 압박을 가하고 있었다.[37]

2009년 7월, 벨라루스 외교부는 자국민들에게 압하지야와 남오세티야 지역을 방문할 경우 반드시 조지아를 통해서만 들어가도록 권고하는 여행 경보를 발령했다.[48] 같은 해 9월 리투아니아에서 열린 회담에서 루카셴코 대통령은 벨라루스가 러시아를 지지하기 위해 압하지야와 남오세티야의 독립을 승인했어야 했다는 입장을 보이면서도, 러시아가 약속했던 5억달러 규모의 대출을 취소한 것을 두고 "벨라루스에 대한 마녀 사냥" 때문이라고 비판했다. 그는 "(러시아 지도층) 일부는 우리가 (압력에) 굴복하거나, 두 나라의 독립을 전혀 인정하지 않기를 바랐다"고 덧붙였다.[49]

10월에 루카셴코는 벨라루스와 압하지야 및 남오세티야 간의 현재 관계를 긍정적으로 평가하면서도, 독립 승인 여부는 상황을 더 지켜본 후 결정해야 한다고 밝혔다.[49] 벨라루스 의회 의장인 울라지미르 안드레이찬카는 압하지야와 남오세티야 문제에 대해 "객관적인 평가를 시행하겠다"고 발표했다.[49] 같은 달 말, 루카셴코는 러시아가 압하지야와 남오세티야의 자결권을 존중하여 독립을 승인한 것이라는 개인적인 의견을 표명하기도 했다.[50] 11월에는 벨라루스 의회 대표단이 직접 조지아, 압하지야, 남오세티야를 방문하여 현지 상황을 파악했으며,[51] 이에 조지아는 벨라루스 측에 분쟁 지역의 독립을 인정하지 말 것을 강력히 촉구했다.[51]

3. 무역 분쟁

2009년, 러시아벨라루스산 유제품 수입을 금지하면서 양국 간의 심각한 무역 분쟁, 이른바 '우유 전쟁'이 시작되었다.[41][6][40][5][44][9] 이 분쟁은 단순한 통상 마찰을 넘어 양국의 정치적 갈등이 표면화된 사건으로 평가된다.

분쟁의 배경에는 2009년 5월 당시 러시아 총리 블라디미르 푸틴민스크 방문과 대출 제안이 있었다.[3][38] 러시아는 총 24억달러 규모 대출금 중 마지막 5억 달러 지급을 제안하며 러시아 루블 상환을 조건으로 내걸었으나,[5][40] 알렉산드르 루카셴코 벨라루스 대통령은 이 제안이 압하지야남오세티야의 독립 인정을 압박하기 위한 것이라고 주장하며 거절했다.[7][42] 이후 벨라루스가 국제 통화 기금(IMF)으로부터 10억달러의 대출을 확보하자,[3][38] 러시아는 벨라루스 유제품에 대한 위생 문제를 제기하며 압박 수위를 높였다.[5][40]

결국 2009년 6월 6일, 러시아는 위생 규정을 명분으로 내세워 벨라루스산 유제품 약 1,200개 품목의 수입을 전면 금지했다.[41][6] 이 조치는 벨라루스 유제품 수출의 95%를 차지하는 러시아 시장을 겨냥한 것으로, 벨라루스 경제에 상당한 타격을 줄 수 있었다.[41][6] 뉴욕 타임스를 비롯한 서방 언론은 이 사태를 "우유 전쟁"이라 부르며, 러시아가 지정학적 목적을 위해 무역을 무기화한 사례로 분석했다.[43][8][41][40][44][6][5][9]

벨라루스는 러시아의 조치에 강력히 반발했다. 루카셴코 대통령은 경제적 위협에 대한 대응책 마련을 지시했으며,[36][1] 벨라루스 외교부는 러시아의 금수 조치가 국제 합의를 위반한 차별적 무역 제한이라고 비판했다.[45][10] 더 나아가 벨라루스는 모스크바에서 열릴 예정이던 집단안보조약기구(CSTO) 정상 회담에 불참을 선언하며 보이콧으로 맞섰다.[42][7]

양국 간의 긴장은 2009년 6월 15일부터 시작된 협상을 통해 완화되었다.[40][5] 6월 17일, 러시아는 다음 날부터 벨라루스 유제품에 대한 수입 금지를 해제한다고 발표하며 갈등은 일단락되었다.[43][8] 이 사건은 러시아와 벨라루스 간의 복잡한 관계와 경제적 의존성, 그리고 정치적 갈등을 드러내는 중요한 사례이다.

3. 1. 푸틴의 민스크 방문과 대출 제안

러시아의 벨라루스 유제품 수입 금지를 권고한 최고 위생 책임자 겐나디 오니셴코.


2009년 5월 29일, 블라디미르 푸틴 당시 러시아 총리는 벨라루스의 수도 민스크를 방문하여 총 24억달러 규모의 대출금 중 마지막 5억 달러 지급을 제안하였다.[3][38] 이 대출은 러시아 루블로 상환해야 한다는 조건이 붙어 있었다.[5][40]

알렉산드르 루카셴코 벨라루스 대통령은 이 대출이 벨라루스압하지야남오세티야의 독립을 인정하는 조건으로 제안된 것이라고 주장했다.[7][42] 그러나 러시아 측은 이를 부인하며[6][41] 대출금 지급을 동결하였다.[7][42] 당시 러시아 재무장관이었던 알렉세이 쿠드린은 벨라루스가 연말까지 경제적으로 자립하기 어려울 것이라는 우려를 표명했다.[5][40]

러시아에 대한 경제적 종속 심화를 우려한 벨라루스는 결국 이 대출 제안을 거절하였고,[5][40] 대신 국제 통화 기금(IMF)으로부터 10억달러의 대출을 확보하였다.[3][38]

푸틴의 방문 기간 동안 러시아는 벨라루스의 주요 유제품 기업 민영화를 추진하기도 했다.[5][40] 이에 벨라루스는 유럽 연합(EU) 규정에 맞춰 자국 우유 기준을 인증받기 위한 협상을 EU와 시작하며 대응했다.[5][40] 러시아는 과거 다른 구소련 국가들에 대한 식품 금수 조치를 주도했던 최고 위생 책임자 겐나디 오니셴코를 내세워 위생 검사를 실시하는 것으로 대응했다.[5][40] 오니셴코는 벨라루스 유제품이 적절한 인증을 받지 못했다며 러시아 정부에 수입 금지를 권고했고,[5][40] 러시아 언론 또한 벨라루스 유제품이 건강에 해롭다는 내용을 보도하기 시작했다.[5][40]

3. 2. 유제품 수입 금지와 집단 안보 조약 기구(CSTO) 회담 보이콧

2009년 6월 6일, 러시아는 벨라루스산 우유 및 유제품 약 1,200가지 품목의 수입을 금지한다고 발표했다.[41][6] 러시아 측은 이 조치가 위생 규정 위반 때문이라고 주장하며 정치적 의도는 없다고 밝혔지만,[41][6] 뉴욕 타임스는 러시아가 무역 분쟁에서 흔히 사용하는 "지정학적 분쟁에서의 무기"라고 평가했다.[43][8] 이 금수 조치는 벨라루스 유제품 수출의 95%를 차지하는 러시아 시장을 겨냥한 것으로, 벨라루스 낙농업에 심각한 타격을 줄 수 있는 조치로 받아들여졌다.[41][6] 그러나 벨라루스 정부 관계자는 러시아가 해당 품목들의 수입을 공식적으로 허용한 적이 없었다는 점을 지적하며, "왜 이러한 물품을 대놓고 시끄럽게 금지하는지 이해하기 어렵다"고 반박했다.[37][2] 뉴욕 타임스, 폴리티코, 선데이 타임스 등 서방 언론은 이 사태를 "우유 전쟁"이라고 칭했다.[41][40][44][6][5][9]

이에 알렉산드르 루카셴코 대통령은 장관들을 소집하여 러시아가 가할 수 있는 잠재적 경제 위협에 대한 대응책 마련을 지시했다.[36][1] 벨라루스 외교부는 러시아의 수입 금지 조치가 "국제적 합의를 위반하는 차별적인 무역 제한"이라고 비판했다.[45][10] 더 나아가 벨라루스는 모스크바에서 열릴 예정이던 집단안보조약기구(CSTO) 정상 회담에 루카셴코 대통령이 불참할 것이라고 발표하며 보이콧 의사를 밝혔다.[42][7] 이 회담은 회원국 간 상호 안보 조약 체결을 목표로 했으며,[46][11] 러시아에게는 NATO에 대응하고 구소련 국가들에 대한 서방의 영향력을 차단하기 위한 중요한 외교적 행사였다.[41][6] 루카셴코는 벨라루스와 우즈베키스탄이 불참한 가운데 체결되는 어떠한 조약도 정당성이 없다고 주장하며 회담의 의미를 비판했다.[46][11]

양측은 2009년 6월 15일부터 협상을 시작했다.[40][5] 협상 과정에서 러시아가 초기에 제기했던 유제품의 위생 문제는 전혀 거론되지 않았다.[40][5] 결국 6월 17일, 러시아는 다음 날부터 벨라루스 유제품에 대한 수입 금지를 해제한다고 발표했다.[43][8] 블라디미르 푸틴 당시 러시아 총리는 갈등의 원인이 수입 유제품의 '양'에 있었다고 설명하며, 기존에 문제 삼았던 품질 문제는 언급하지 않았다.[46][11] 이후 러시아로 수입이 허가된 벨라루스 유제품의 물량은 오히려 두 배로 증가했다.[46][11] 갈등이 봉합되자 벨라루스는 우유 전쟁 기간 동안 벨라루스-러시아 국경에 설치했던 임시 세관을 철거하고 배치했던 세관 인력 30명을 철수시켰다.[47][12]

사태 해결 후, 싱크탱크인 유럽 외교 평의회의 앤드류 윌슨은 루카셴코가 우유 전쟁에서 승리했다고 평가하면서도, 벨라루스의 장기적인 경제적 생존 가능성에 대해서는 우려를 표했다.[36][1] 정치 분석가 비탈리 실리츠키는 폴리티코 기고를 통해 러시아가 앞으로도 루카셴코 정권을 약화시키려는 시도를 계속할 것으로 전망했다.[40][5]

4. 분쟁의 여파

우유 전쟁은 벨라루스러시아 간의 단순한 무역 분쟁을 넘어, 2008년 남오세티야 전쟁 이후 발생한 지정학적 긴장, 특히 압하지야남오세티야의 독립 인정 문제와 관련된 갈등으로 이어졌다.

분쟁 이후 러시아는 압하지야와 남오세티야의 국제적 인정을 얻기 위해 다른 국가들에게 경제적 지원을 약속하는 이른바 '수표 외교' 정책을 추진했다.[20][55] 반면, 벨라루스는 러시아의 압력에도 불구하고 두 지역의 독립 인정을 유보하며 외교적 줄다리기를 이어갔다.[14][17]

4. 1. 벨라루스의 입장 변화

2009년 7월, 벨라루스 외무부는 자국 시민이 조지아를 통해서만 압하지야남오세티야 지역으로 진입해야 한다는 여행 경보를 발령했다.[48] 같은 해 9월 리투아니아에서 열린 회담에서 알렉산드르 루카셴코 대통령은 벨라루스가 러시아를 지지하기 위해 오래 전에 압하지야와 남오세티야의 독립을 인정했어야 했다고 말했다.[14] 그는 러시아가 약속했던 5억달러 규모의 대출을 취소한 것을 두고 "벨라루스에 대한 마녀사냥"이라 비판하며, "(러시아 지도층) 일부는 우리가 머리를 숙이거나, 두 나라의 독립을 전혀 인정하지 않기를 원했다"고 주장했다.[14]

2010년 12월 유출된 자료에 따르면 알렉산드르 루카셴코는 러시아의 압력에도 불구하고 압하지야와 남오세티야의 독립을 인정하지 않은 것에 대해 충분한 대가를 받지 못했다고 생각했다.


2009년 10월, 루카셴코는 벨라루스와 압하지야 및 남오세티야와의 관계를 칭찬하며, 독립 인정을 결정하기 전에 그들의 상황을 연구해야 한다고 말했다.[14] 하원 의장 울라지미르 안드레이첸코는 압하지야와 남오세티야에 대한 "객관적인 평가를 수행"할 것이라고 발표했다.[14] 같은 달 말, 루카셴코는 러시아가 "자결권"에 근거하여 압하지야 및 남오세티야의 독립을 인정하는 것 외에는 다른 선택의 여지가 없었다는 의견을 표명했다.[15] 이에 따라 2009년 11월 벨라루스는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국회의원들을 조지아, 압하지야, 남오세티야에 파견했다.[16] 조지아 정부는 벨라루스 측에 분쟁 지역을 독립 국가로 인정하지 말 것을 촉구하며 대응했다.[16]

2010년 12월, 유출된 미국 외교 전문은 루카셴코가 압하지야 및 남오세티아를 인정하라는 러시아의 압력에 저항한 것에 대해 유럽 연합이 충분한 대가를 지불하지 않았다고 불만을 토로했음을 나타냈다.[17] 전문은 또한 루카셴코가 러시아 가스 가격 상승으로 인해 벨라루스가 압하지야 및 남오세티아를 인정하게 될 것이라는 우려를 표명했음을 나타냈다.[17]

2014년 3월, 러시아의 크림반도 합병 이후, 루카셴코는 크림반도의 지위에 대한 벨라루스의 입장을 압하지야 및 남오세티야에 대한 입장과 동일시했다.[18] 그는 "크림반도는 오세티야, 압하지야 및 기타 지역과 마찬가지로 독립 국가가 아니다. 오늘날 크림반도는 (''사실상'') 러시아 연방의 일부이다. 그것을 인정하든 안 하든, 사실은 변하지 않는다."라고 말했다.[18] 한편, 2018년 3월 조지아 신경제학교 싱크탱크의 회장 파타 셰셸리제는 조지아가 벨라루스의 불인정에 대한 대가를 지속적으로 지불하고 있다고 보고했다.[19]

4. 2. 러시아의 '수표 외교'

우유 전쟁 이후, 러시아는 압하지야와 남오세티야의 독립 인정을 얻기 위해 여러 국가에 경제적 지원을 제공하는 이른바 '수표 외교' 정책을 펼쳤다.[20][55]

2009년 9월, 베네수엘라는 압하지야와 남오세티야를 독립 국가로 인정한 세 번째 국가가 되었다.[21][56] 일주일 후 러시아는 베네수엘라와 "수십억 달러 규모의 경제 및 무기 거래" 계약을 체결했는데, 제임스타운 재단은 이를 사실상 인정의 대가로 분석했다.[21][56]

같은 해 12월에는 나우루가 네 번째로 두 지역의 독립을 인정했다.[22][57] 조지아는 나우루가 러시아로부터 5000만달러 규모의 투자를 받았다고 주장했다.[22] 2011년 5월에는 바누아투가 압하지야를 인정했으며, 바누아투의 정치인 조 나투먼은 러시아가 독립 인정을 대가로 바누아투에 5000만달러를 제공했다고 밝혔다.[20][55]

한편, 이러한 러시아의 '수표 외교'에 대응하는 움직임도 나타났다. 2011년 10월 투발루가 압하지야와 남오세티야를 인정했으나, 2014년 3월 조지아가 투발루에 25만달러를 지원하자 인정을 철회했다.[20][55] 미국의 시사 주간지 ''뉴 리퍼블릭''은 투발루의 이러한 결정이 "러시아가 수백만 달러를 들인 외교 전략의 종말을 알리는 신호탄이 될 수 있다"고 평가했다.[20][55] 조지아는 또한 피지가 독립을 인정하지 않도록 설득하며 컴퓨터 200대를 제공하기도 했다.[23][58]

2018년 5월에는 시리아가 압하지야와 남오세티야의 독립을 인정했다. 시리아는 2015년부터 시리아 내전에서 러시아의 군사적 지원을 받아왔다.[24][59]

5. 이후의 무역 분쟁

2009년 우유 전쟁 이후에도 러시아벨라루스 사이에서는 유제품을 둘러싼 무역 분쟁이 끊이지 않았다. 이러한 갈등은 양국 간의 복잡한 정치·경제적 관계 속에서 반복되었다.

러시아는 주로 위생 및 품질 문제를 명분으로 벨라루스산 유제품에 대한 수입 제한 조치를 취하는 경우가 많았다.[26][29][30][32] 하지만 이러한 조치는 벨라루스에 대한 정치적 압력이나 자국 낙농 산업 보호를 위한 수단으로 해석되기도 했다.[26][32] 특히 2014년 러시아의 크림반도 합병 이후 서방의 제재에 대응하는 과정이나, 유라시아 경제 연합 내 경제적 이해관계 충돌 상황에서 갈등이 두드러졌다.[29][32]

벨라루스 측은 러시아의 조치가 불공정한 무역 장벽이라며 반발했고,[29] 때로는 러시아 시장 의존도를 줄이고 수출 다변화를 모색하는 움직임을 보였다. 알렉산드르 루카셴코 대통령은 공개적으로 러시아의 조치를 비판하며 양국 관계의 긴장을 드러내기도 했다.[33]

이러한 유제품 관련 무역 분쟁은 2013년, 2017년, 그리고 2018년부터 2019년에 걸쳐 특히 심화되었으며, 양국 관계에 지속적인 갈등 요인으로 작용했다.[26][30][31][32]

5. 1. 2013년, 2017년 분쟁

2018년 루스탐 민니하노프 타타르스탄 대통령은 타타르스탄 낙농가에 대한 우려를 표명했으며, 이는 벨라루스 유제품에 대한 추가 금지 조치의 배경 중 하나가 되었다.


2013년 8월, 러시아 비료 회사 우랄칼리의 회장 블라디슬라프 바움게르트네르가 벨라루스로부터 회담 초대를 받은 후 민스크에서 범죄 혐의로 체포되는 사건이 있었다.[25] 이후 2013년 10월, 러시아는 품질 문제를 이유로 리투아니아산 유제품 수입을 금지했다.[26] 이 조치는 당시 유럽 연합 이사회 의장국을 맡아 여러 구소련 국가들과의 관계 강화를 위한 유럽 연합 정상 회담을 개최하려던 리투아니아에 대한 정치적 압력으로 해석되었다.[26] 리투아니아가 이 "우유 전쟁"에 대해 세계무역기구(WTO)에 문제를 제기하겠다고 하자, 러시아는 2013년 12월 금수 조치를 해제할 의사를 보였고,[27] 2014년 1월에 제한 조치는 실제로 해제되었다.[28]

한편, 2014년 러시아의 크림반도 합병 이후 EU미국이 러시아에 제재를 가하자, 러시아는 서방 국가로부터 특정 식품 수입을 금지하는 것으로 대응했다.[29] 이 과정에서 러시아는 벨라루스가 품질이 낮은 제품을 수출하여 상황을 이용하고 있다고 비난했고, 벨라루스 생산자들은 러시아가 의도적으로 무역 장벽을 만들고 있다고 반박하며 양국 간 무역 갈등이 있었다.[29]

이러한 배경 속에서 2017년 6월, 러시아는 라벨 표기 불일치와 사기를 이유로 벨라루스 기업 벨시르(Belsyr)와 슈친 크리머리(Shchuchin Creamery)가 생산한 치즈의 수입을 다시 금지했다.[30] 하지만 이 금지 조치는 같은 달 말에 해제되었다.[30] 이러한 분쟁의 영향으로 2016년부터 2017년까지 벨라루스의 대러시아 유제품 수출량은 12.8% 감소했다.[31]

5. 2. 2018-2019년 유제품 분쟁

2018년 2월 16일, 타타르스탄 대통령 루스탐 민니하노프드미트리 메드베데프 러시아 총리를 만나, 벨라루스산 저가 분유로 인해 자국 낙농업자들이 손실을 보고 있다는 우려를 전달했다.[32] 이에 2월 20일, 메드베데프 총리는 러시아, 특히 타타르스탄의 낙농업을 다른 유라시아 경제 연합 회원국보다 우선해야 한다고 공개적으로 주장했다.[32] 그는 아르카디 드보르코비치 부총리에게 관련 경제 제안 마련을 지시했다.[32]

이틀 뒤인 2월 22일,[32] 러시아는 공식적으로는 보건 문제를 이유로 들어 일부 벨라루스산 유제품의 수입을 금지했다.[29] 국가두마 의원 아이라트 하이룰린은 벨라루스 유제품이 카자흐스탄키르기스스탄으로 운송되는 과정에서 불규칙성이 있다며, 실제로는 러시아 공장으로 불법 유통되고 있다는 의혹을 제기하기도 했다.[32]

2018년 3월 1일, 루카셴코 벨라루스 대통령은 러시아의 금수 조치를 인정했다.[31] 같은 해 4월 24일, 루카셴코 대통령은 국정 연설에서 서방 국가와 러시아를 동시에 비판하며 벨라루스가 외교적으로 고립되고 있다고 주장했다.[33] 그는 "우리의 가장 가까운 동반자인 러시아가 자국 시장으로 우리 상품이 들어오는 것을 막기 위해 이러한 우유, 고기, 설탕 전쟁을 시작했다"고 비판했다.[33]

2018년 여름에는 러시아산 원유 가격이 상승하는 상황도 있었다.[34] 분쟁이 계속되던 중 2019년 5월, 벨라루스산 우유의 러시아 대량 수입 금지는 해제되었다.[35] 그러나 일부 유제품에 대한 금수 조치는 이후에도 계속 유지되었다.[34][35] 러시아 전국 낙농업자 연맹 국장 아르툠 벨로프는 "벨라루스 우유 자체를 제재하는 것은 아니"라며, 벨라루스 기업들이 문제를 해결하면 제한이 해제될 것이라고 언급하기도 했다.[69]

참조

[1] 웹사이트 Belarus, Russia Solve Milk Row, Other Problems Loom https://www.rferl.or[...] 2009-06-20
[2] 웹사이트 Russia bans Belarus milk products as tensions rise https://www.kyivpost[...] 2020-02-18
[3] 간행물 Russia-Belarus Relations Sour over Milk Ban http://content.time.[...] 2020-02-19
[4] 웹사이트 NATO Steps Back Into the U.S.S.R. https://www.nytimes.[...] 2020-02-27
[5] 웹사이트 The milk split by the milk war https://www.politico[...] 2020-02-18
[6] 웹사이트 'Milk War' Strains Russia-Belarus Ties https://www.nytimes.[...] 2020-02-18
[7] 웹사이트 Belarus-Russia rift widens, Minsk snubs Moscow meet https://www.reuters.[...] 2020-02-18
[8] 웹사이트 Russia Ends Dairy Ban on Belarus https://www.nytimes.[...] 2020-02-18
[9] 웹사이트 Belarus strongman Alexander Lukashenko takes on ally Russia in 'milk war' https://www.unian.in[...] 2020-02-27
[10] 웹사이트 Belarus leader may snub Moscow security meet https://web.archive.[...] 2020-02-18
[11] 논문 'Milk war' and 'Hot war': different wars – same goals https://www.research[...] 2009-12-01
[12] 웹사이트 Belarus removes customs posts on Russia's border https://www.sandiego[...] 2020-02-18
[13] 웹사이트 Belarus: Only Travel via Georgia to Abkhazia and South Ossetia https://eurasianet.o[...] 2020-02-27
[14] 웹사이트 Abkhazia: Lukashenko Hints on Recognition of Abkhazia, South Ossetia https://unpo.org/art[...] 2020-02-27
[15] 웹사이트 Belarus Defends Russian Recognition of South Ossetia, Abkhazia https://www.voanews.[...] 2020-02-27
[16] 웹사이트 Georgia Asks Belarus Not To Recognize South Ossetia, Abkhazia https://www.rferl.or[...] 2020-02-27
[17] 웹사이트 Report: Belarus' Lukashenko Wants Credit for Not Recognizing Abkhazia and South Ossetia https://eurasianet.o[...] 2020-02-27
[18] 웹사이트 President of the Republic of Belarus Alexander Lukashenko answers questions of mass media representatives on 23 March 2014 http://president.gov[...] 2020-02-27
[19] 웹사이트 Georgia still paying Belarus for non-recognition of Abkhazia and South Ossetia https://belsat.eu/en[...] 2020-02-27
[20] 간행물 This Tiny Pacific Island Nation Just Gave Russia a Big Bruise https://newrepublic.[...] 2020-02-27
[21] 논문 Venezuela's Multibillion Dollar Abkhazia and South Ossetia Recognition Fee https://jamestown.or[...] Jamestown Foundation 2020-02-27
[22] 웹사이트 Pacific island recognises Georgian rebel region https://web.archive.[...] 2020-02-27
[23] 웹사이트 Russia's "Checkbook Diplomacy" in the South Pacific https://thediplomat.[...] 2020-02-27
[24] 웹사이트 Syria recognises Russian-backed Georgia regions https://www.bbc.com/[...] 2020-02-27
[25] 웹사이트 Potash Dispute Escalates as Uralkali CEO Held in Belarus https://www.bloomber[...] 2020-02-18
[26] 웹사이트 Russia Suspends Dairy Imports From Lithuania https://www.rferl.or[...] 2020-02-20
[27] 웹사이트 Russia Prepared to Cease 'Milk War' With Lithuania https://www.themosco[...] 2020-02-18
[28] 웹사이트 Russian watchdog lifts import restrictions from Lithuanian dairy manufacturer https://tass.com/eco[...] 2020-05-04
[29] 웹사이트 Russia Bans Dairy Imports from Belarus https://russiabusine[...] 2020-02-18
[30] 웹사이트 Russia lifts ban on two Belarus cheese companies' products https://www.dairyrep[...] 2020-02-18
[31] 웹사이트 Shrinking economic freedom and milk war with Russia https://belarusdiges[...] 2020-02-20
[32] 웹사이트 Russian boycott of Belarusian dairy: about how Tatarstan saving agriculture, and Rosselkhoznadzor — the health of Russians https://realnoevremy[...] 2020-02-18
[33] 웹사이트 Belarusian Leader Has Harsh Words For Russia, West -- And Warning For Moscow https://www.rferl.or[...] 2020-02-20
[34] 웹사이트 Artyom Belov: "The reduction in dairy imports enabled Russian producers to develop" https://realnoevremy[...] 2020-02-19
[35] 웹사이트 Russia continues to restrict the import of Belarusian products https://uawire.org/r[...] 2020-02-27
[36] 웹인용 Belarus, Russia Solve Milk Row, Other Problems Loom https://www.rferl.or[...] 2009-06-20
[37] 웹인용 Russia bans Belarus milk products as tensions rise https://www.kyivpost[...] 2020-02-18
[38] 웹인용 Russia-Belarus Relations Sour over Milk Ban http://content.time.[...] 2020-02-19
[39] 웹인용 NATO Steps Back Into the U.S.S.R. https://www.nytimes.[...] 2020-02-27
[40] 웹인용 The milk split by the milk war https://www.politico[...] 2020-02-18
[41] 웹인용 'Milk War' Strains Russia-Belarus Ties https://www.nytimes.[...] 2020-02-18
[42] 웹인용 Belarus-Russia rift widens, Minsk snubs Moscow meet https://www.reuters.[...] 2020-02-18
[43] 웹인용 Russia Ends Dairy Ban on Belarus https://www.nytimes.[...] 2020-02-18
[44] 웹인용 Belarus strongman Alexander Lukashenko takes on ally Russia in 'milk war' https://www.unian.in[...] 2020-02-27
[45] 웹인용 Belarus leader may snub Moscow security meet https://in.reuters.c[...] 2020-02-18
[46] 저널 'Milk war' and 'Hot war': different wars – same goals https://www.research[...] 2009-12-01
[47] 웹인용 Belarus removes customs posts on Russia's border https://www.sandiego[...] 2020-02-18
[48] 웹인용 Belarus: Only Travel via Georgia to Abkhazia and South Ossetia https://eurasianet.o[...] 2020-02-27
[49] 웹인용 Abkhazia: Lukashenko Hints on Recognition of Abkhazia, South Ossetia https://unpo.org/art[...] 2020-02-27
[50] 웹인용 Belarus Defends Russian Recognition of South Ossetia, Abkhazia https://www.voanews.[...] 2020-02-27
[51] 웹인용 Georgia Asks Belarus Not To Recognize South Ossetia, Abkhazia https://www.rferl.or[...] 2020-02-27
[52] 웹인용 Report: Belarus' Lukashenko Wants Credit for Not Recognizing Abkhazia and South Ossetia https://eurasianet.o[...] 2020-02-27
[53] 웹인용 President of the Republic of Belarus Alexander Lukashenko answers questions of mass media representatives on 23 March 2014 http://president.gov[...] 2020-02-27
[54] 웹인용 Georgia still paying Belarus for non-recognition of Abkhazia and South Ossetia https://belsat.eu/en[...] 2020-02-27
[55] 저널 This Tiny Pacific Island Nation Just Gave Russia a Big Bruise https://newrepublic.[...] 2020-02-27
[56] 저널 Venezuela's Multibillion Dollar Abkhazia and South Ossetia Recognition Fee https://jamestown.or[...] Jamestown Foundation 2020-02-27
[57] 웹인용 Pacific island recognises Georgian rebel region https://in.reuters.c[...] 2020-02-27
[58] 웹인용 Russia's "Checkbook Diplomacy" in the South Pacific https://thediplomat.[...] 2020-02-27
[59] 웹인용 Syria recognises Russian-backed Georgia regions https://www.bbc.com/[...] 2020-02-27
[60] 웹인용 Potash Dispute Escalates as Uralkali CEO Held in Belarus https://www.bloomber[...] 2020-02-18
[61] 웹인용 Russia Suspends Dairy Imports From Lithuania https://www.rferl.or[...] 2020-02-20
[62] 웹인용 Russia Prepared to Cease 'Milk War' With Lithuania https://www.themosco[...] 2020-02-18
[63] 웹인용 Russian watchdog lifts import restrictions from Lithuanian dairy manufacturer https://tass.com/eco[...] 2020-05-04
[64] 웹인용 Russia Bans Dairy Imports from Belarus https://russiabusine[...] 2020-02-18
[65] 웹인용 Russia lifts ban on two Belarus cheese companies' products https://www.dairyrep[...] 2020-02-18
[66] 웹인용 Shrinking economic freedom and milk war with Russia https://belarusdiges[...] 2020-02-20
[67] 웹인용 Russian boycott of Belarusian dairy: about how Tatarstan saving agriculture, and Rosselkhoznadzor — the health of Russians https://realnoevremy[...] 2020-02-18
[68] 웹인용 Belarusian Leader Has Harsh Words For Russia, West -- And Warning For Moscow https://www.rferl.or[...] 2020-02-20
[69] 웹인용 Artyom Belov: "The reduction in dairy imports enabled Russian producers to develop" https://realnoevremy[...] 2020-02-19
[70] 웹인용 Russia continues to restrict the import of Belarusian products https://uawire.org/r[...] 2020-02-2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